KR101881487B1 - 차량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487B1
KR101881487B1 KR1020180061145A KR20180061145A KR101881487B1 KR 101881487 B1 KR101881487 B1 KR 101881487B1 KR 1020180061145 A KR1020180061145 A KR 1020180061145A KR 20180061145 A KR20180061145 A KR 20180061145A KR 101881487 B1 KR101881487 B1 KR 101881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edestrian
protruding
sensing means
side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동준
Original Assignee
차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동준 filed Critical 차동준
Priority to KR1020180061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2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sensors or transdu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에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후방의 차량에게 알려줌으로써 교통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는 차량의 사이드미러(2)에 측방향 또는 하측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며 출몰구동수단(20)에 의해 출몰되는 출몰부재(10)와,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에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는 보행자감지수단(30)과, 상기 보행자감지수단(30)의 신호를 감시하고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이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에 보행자가 있을 경우,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을 제어하여 출몰부재(10)를 측방향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후방의 운전자에게 전방에 보행자가 있는 것을 알려준다.
따라서,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전방에 있는 차량에 가려진 보행자를 발견하지 못하여, 보행자와 충돌하는 교통사고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에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후방의 차량에게 알려줌으로써 교통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간의 교통사고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교통사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지만, 정차 또는 서행하고 있는 전방의 차량에 의해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가려지고, 이에 따라, 후방에 있는 차량의 운전자가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의 존재를 확인하지 못하여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매우 많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일반적인 차량의 경우, 본체의 양측에 측방향으로 돌출된 사이드미러가 구비된다.
공개특허 10-2013-012712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방에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후방의 차량에게 알려줌으로써 교통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사이드미러(2)에 측방향 또는 하측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며 출몰구동수단(20)에 의해 출몰되는 출몰부재(10)와,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에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는 보행자감지수단(30)과, 상기 보행자감지수단(30)의 신호를 감시하고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사이드미러(2)에는 사이드미러(2)의 측면으로 개방되는 공간부(2a)가 형성되고, 상기 출몰부재(10)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공간부(2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공간부(11a)가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개구부(11b)가 형성된 지지바(11)와, 상기 지지바(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모터(13)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권취축(12)과, 플랙시블한 재질의 시트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권취축(12)의 둘레면에 권취되며 하단이 상기 개구부(11b)를 통해 지지바(11)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경고부재(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50)은 탑승자가 상기 입력수단(40)을 조작하면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을 구동시켜 상기 출몰부재(10)가 사이드미러(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차량의 본체(1)에는 측방향에 차량이 근접하면 이를 감지하는 측방향차량감지수단(6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측방향차량감지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측방향에 다른 차량이 있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보행자감지수단(30)에 보행자가 감지되더라도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을 작동시키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수단(50)은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영상기록장치(70)에 연결되어 상기 보행자감지수단(30)에 보행자가 감지되면 상기 영상기록장치(7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영상기록장치(70)는 상기 제어수단(50)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촬영된 영상을 자동삭제되지 않는 이벤트영상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는 차량의 사이드미러(2)에 측방향 또는 하측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며 출몰구동수단(20)에 의해 출몰되는 출몰부재(10)와,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에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는 보행자감지수단(30)과, 상기 보행자감지수단(30)의 신호를 감시하고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이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에 보행자가 있을 경우,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을 제어하여 출몰부재(10)를 측방향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후방의 운전자에게 전방에 보행자가 있는 것을 알려준다.
따라서,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전방에 있는 차량에 가려진 보행자를 발견하지 못하여, 보행자와 충돌하는 교통사고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의 출몰부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차량은 본체(1)의 양측에 측방향으로 돌출된 사이드미러(2)가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안전장치는 차량의 사이드미러(2)에 측방향 또는 하측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며 출몰구동수단(20)에 의해 출몰되는 출몰부재(10)와,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 전방의 보행자를 감지하도록 된 보행자감지수단(30)과,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40)과, 상기 보행자감지수단(30)과 입력수단(40)의 신호를 감시하고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으로 구성된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미러(2)에는 사이드미러(2)의 측면으로 개방되는 공간부(2a)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2a)는 상기 사이드미러(2)의 하측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출몰부재(10)는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어, 좌우측의 사이드미러(2)에 형성된 공간부(2a)에 측방향으로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공간부(2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공간부(11a)가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개구부(11b)가 형성된 지지바(11)와, 상기 지지바(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모터(13)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권취축(12)과, 플랙시블한 재질의 시트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권취축(12)의 둘레면에 권취되며 하단이 상기 개구부(11b)를 통해 지지바(11)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경고부재(14)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11)는 강도가 높은 원형의 파이프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후측면에는 적색의 LED램프(11c)가 구비된다.
상기 LED램프(11c)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출몰부재(10)가 사이드미러(2)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었을 때 점등되어, 후방에 있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개구부(11b)는 상기 지지바(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권취축(12)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태로 구성되며 양단에 구비된 베어링(12)에 의해 상기 지지바(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정회전되면 도 4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면에 권취된 경고부재(14)가 풀려나오면서 상기 개구부(11b)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역회전되면 도 4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1b)의 하측으로 연장된 경고부재(14)가 둘레부에 권취되어 지지바(11)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한다.
상기 경고부재(14)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기능이 있는 적색의 시트재질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11)의 하측으로 연장되었을 때, 후방에 있는 차량의 운전자의 눈에 잘 띄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경고부재(14)의 하단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바부재(15)가 구비되어, 상기 권취축(12)의 둘레부에 경고부재(14)가 권취될 때, 상기 수평바부재(15)가 상기 지지바(11)의 개구부(11b) 하단에 걸려 경고부재(14)의 하단부가 지지바(11)의 내부로 완전히 말려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몰부재(10)가 사이드미러(2)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13)로 권취축(12)을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경고부재(14)가 권취축(12)의 둘레면에 권취되어 지지바(11)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권취축(12)의 둘레면에 권취된 경고부재(14)가 풀려 나와 상기 개구부(11b)를 통해 지지바(11)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2a)의 내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리드스크류(21)와, 상기 리드스크류(21)에 연결되어 리드스크류(21)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22)와, 상기 리드스크류(21)의 중간부에 나사결합되며 상면이 상기 지지바(11)에 결합고정된 슬라이드블록(23)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22)를 이용하여 리드스크류(21)를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리드스크류(21)의 나사작용에 의해 슬라이드블록(23)이 측방향으로 위치조절됨으로써, 상기 출몰부재(10)가 상기 사이드미러(2)의 측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출몰부재(10)가 사이드미러(2)의 공간부(2a)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한다.
상기 보행자감지수단(30)은 차량 본체(1)의 전면에 전방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에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50)에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보행자감지수단(30)은 차량의 본체(1) 전면에 있는 범퍼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초음파센서(31)와, 상기 초음파센서(31)의 신호를 수신하는 판단수단(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초음파센서(31)는 전방으로 초음파를 출력하고, 출력된 초음파가 물체에 반사되면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여 전방에 물체가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판단수단(32)은 상기 초음파센서(31)에 물체가 감지되면, 초음파센서(31)에 의해 감지되는 물체가 전방의 차량이나 구조물인지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인지를 판단하여,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수단(50)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즉, 차량의 전방 좌측에서 우측으로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보행자의 이동에 따라, 좌측의 초음파센서(31)에 먼저 보행자가 감지되고, 순차적으로 우측의 초음파센서(31)에 보행자가 감지된다.
그리고, 차량의 전방 우측에서 좌측으로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우측의 초음파센서(31)에 먼저 보행자가 감지되고 순차적으로 좌측의 초음파센서(31)에 보행자가 감지된다.
또한, 차량의 전방에 다른 차량이나 물체가 있을 경우, 차량이나 물체는 좌우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전후방향으로 간격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초음파센서(31)에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물체가 감지될 경우, 상기 판단수단(32)은 차량의 전방에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어수단(50)으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입력수단(4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가 도어를 열고 하차할 하려고 할 때, 상기 입력수단(40)을 조작하여 상기 제어수단(50)에 작동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보행자감지수단(30)과 입력수단(40)의 신호를 수신하여, 보행자감지수단(30)에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감지되면, 좌, 우측의 사이드미러(2)에 구비된 출몰구동수단(20)을 제어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측 사이드미러(2)에 구비된 출몰부재(10)가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한 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축(12)에 권취된 경보부재가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후방에 있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행자가 있음을 알리도록 한다.
또한, 차량이 정지되어 탑승자가 차량에서 하차할 때, 운전자가 상기 입력수단(40)을 작동신호를 입력할 경우에도, 상기 제어수단(5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 우측의 출몰구동수단(20)을 제어하여 상기 출몰부재(10)가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한 후, 상기 구동모터(13)를 제어하여 경보부재가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서, 후방에 있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탑승자가 문을 열고 하차하는 것을 알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안전장치는 차량의 사이드미러(2)에 측방향 또는 하측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며 출몰구동수단(20)에 의해 출몰되는 출몰부재(10)와,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에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는 보행자감지수단(30)과, 상기 보행자감지수단(30)의 신호를 감시하고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이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에 보행자가 있을 경우,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을 제어하여 출몰부재(10)를 측방향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후방의 운전자에게 전방에 보행자가 있는 것을 알려준다.
따라서,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전방에 있는 차량에 가려진 보행자를 발견하지 못하여, 보행자와 충돌하는 교통사고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미러(2)에는 사이드미러(2)의 측면으로 개방되는 공간부(2a)가 형성되고, 상기 출몰부재(10)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공간부(2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공간부(2a)가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개구부(11b)가 형성된 지지바(11)와, 상기 지지바(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모터(13)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권취축(12)과, 플랙시블한 재질의 시트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권취축(12)의 둘레면에 권취되며 하단이 상기 개구부(11b)를 통해 지지바(11)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경고부재(14)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바(11)가 사이드미러(2)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바(11)의 하측으로 경고부재(14)가 연장되어, 출몰부재(10) 전체의 면적이 확대됨으로, 후방에 있는 차량의 운전자가 출몰부재(10)를 더욱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내부에는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40)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50)은 탑승자가 상기 입력수단(40)을 조작하면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을 구동시켜 상기 출몰부재(10)가 사이드미러(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가 하차를 하기 위해 문을 열기 전에, 운전자가 상기 입력수단(40)을 조작하면, 상기 출몰부재(10)가 사이드미러(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후방의 운전자(오토바이나 자전거의 운전자 포함)가 이를 확인하여, 차량의 도어가 곧 열리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으로, 열린 문에 차량이나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가 충돌하는 개문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보행자감지수단(30)은 초음파센서(31)와 판단수단(32)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보행자감지수단(30)은 차량의 전면에 구비되어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의 전방에 보행자가 있는 지를 감지하는 영상분석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행자감지수단(30)에 보행자가 감지되거나, 운전자가 상기 입력수단(40)을 조작하면, 상기 제어수단(50)은 좌, 우측 사이드미러(2)에 구비된 출몰구동수단(20)을 제어하여 좌, 우측 사이드미러(2)에 구비된 출몰부재가 동시에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사이드미러(2)에 구비된 출몰부재만 선택적으로 출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은 상기 공간부(2a)의 내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리드스크류(21)와, 상기 리드스크류(21)에 연결되어 리드스크류(21)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22)와, 상기 리드스크류(21)의 중간부에 나사결합되며 상면이 상기 지지바(11)에 결합고정된 슬라이드블록(23)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은 상기 제어수단(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출몰부재(10)가 사이드미러(2)의 측방향으로 출몰되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차량의 본체(1)에는 측방향에 차량이 근접하면 이를 감지하는 측방향차량감지수단(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측방향차량감지수단(60)은 본체(1)의 양측에 측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측방향에 일정한 거리 내에 다른 차량이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감지센서를 이용한다.
이러한 근접감지센서는 차량의 사각지대경고시스템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측방향차량감지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측방향에 다른 차량이 있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보행자감지수단(30)에 보행자가 감지되더라도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을 작동시키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는 전방에 보행자가 있을 경우, 사이드미러(2)에 구비된 출몰부재(10)를 측방향으로 돌출시켜 측방향 후측에 위치된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행자가 있음을 경고하게 되는데, 측방향에 다른 차량이 있는 상태에서 출몰부재(10)를 측방향으로 돌출시킬 경우, 출몰부재(10)가 측방향에 있는 다른 차량에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50)은 측방향에 다른 차량이 있을 경우, 전방에 보행자가 감지되더라도, 상기 출몰부재(10)를 출몰시키지 않음으로써, 출몰부재(10)가 측방향에 있는 다른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50)은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영상기록장치(70)에 연결되며, 상기 보행자감지수단(30)에 보행자가 감지되어,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을 제어할 때, 상기 영상기록장치(7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영상기록장치(70)는 통상적으로 블랙박스라 불리며, 차량의 실내에 전방이나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차량의 전후방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저장하며, 충격이 감지될 경우, 저장된 영상을 자동삭제되지 않은 이벤트영상으로 분류하여 별도의 디렉토리에 저장함으로써, 사후에 관리자가 이벤트영상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영상기록장치(70)는 상기 제어수단(50)으로부터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제어신호가 출력된 순간부터 미리 시간동안 촬영된 영상을 이벤트영상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보행자가 후방의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될 경우, 상기 영상기록장치(70)에 저장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고발생의 원인과 책임소재를 밝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영상기록장치(70)는 메모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데, 이벤트형상으로 분류되지 않은 일반영상은 메모리가 차면 자동으로 삭제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전방에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있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영상기록장치(7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보행자가 통과하는 상황이 촬영된 영상을 이벤트영상으로 분류하여 자동삭제되지 않도록 저장하게 됨으로, 만일 보행자가 다른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될 경우, 이벤트영상을 확인함으로써, 사고발생의 원인과 책임소재를 밝힐 수 있게 된다.
10. 출몰부재 20. 출몰구동수단
30. 보행자감지수단 40. 입력수단
50. 제어수단

Claims (5)

  1. 삭제
  2. 차량의 사이드미러(2)에 측방향 또는 하측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며 출몰구동수단(20)에 의해 출몰되는 출몰부재(10)와,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에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는 보행자감지수단(30)과,
    상기 보행자감지수단(30)의 신호를 감시하고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미러(2)에는 사이드미러(2)의 측면으로 개방되는 공간부(2a)가 형성되고,
    상기 출몰부재(10)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공간부(2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공간부(11a)가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개구부(11b)가 형성된 지지바(11)와,
    상기 지지바(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모터(13)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권취축(12)과,
    플랙시블한 재질의 시트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권취축(12)의 둘레면에 권취되며 하단이 상기 개구부(11b)를 통해 지지바(11)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경고부재(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
  3. 차량의 사이드미러(2)에 측방향 또는 하측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며 출몰구동수단(20)에 의해 출몰되는 출몰부재(10)와,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에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는 보행자감지수단(30)과,
    상기 보행자감지수단(30)의 신호를 감시하고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50)은 탑승자가 상기 입력수단(40)을 조작하면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을 구동시켜 상기 출몰부재(10)가 사이드미러(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
  4. 차량의 사이드미러(2)에 측방향 또는 하측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며 출몰구동수단(20)에 의해 출몰되는 출몰부재(10)와,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에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는 보행자감지수단(30)과,
    상기 보행자감지수단(30)의 신호를 감시하고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본체(1)에는 측방향에 차량이 근접하면 이를 감지하는 측방향차량감지수단(6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측방향차량감지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측방향에 다른 차량이 있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보행자감지수단(30)에 보행자가 감지되더라도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을 작동시키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
  5. 차량의 사이드미러(2)에 측방향 또는 하측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며 출몰구동수단(20)에 의해 출몰되는 출몰부재(10)와,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에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는 보행자감지수단(30)과,
    상기 보행자감지수단(30)의 신호를 감시하고 상기 출몰구동수단(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50)은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영상기록장치(70)에 연결되어 상기 보행자감지수단(30)에 보행자가 감지되면 상기 영상기록장치(7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영상기록장치(70)는 상기 제어수단(50)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촬영된 영상을 자동삭제되지 않는 이벤트영상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
KR1020180061145A 2018-05-29 2018-05-29 차량용 안전장치 KR101881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145A KR101881487B1 (ko) 2018-05-29 2018-05-29 차량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145A KR101881487B1 (ko) 2018-05-29 2018-05-29 차량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487B1 true KR101881487B1 (ko) 2018-07-24

Family

ID=63059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145A KR101881487B1 (ko) 2018-05-29 2018-05-29 차량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4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250A1 (ko) * 2019-09-04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41U (ja) * 1991-06-21 1993-01-08 忠次 岩永 警告ライト付サイドミラー
KR20000009904U (ko) * 1998-11-13 2000-06-05 홍종만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빗물 가리개
KR20130127126A (ko) 2012-05-14 2013-11-22 우제일 보행자 보호용 자동차 안전장치
KR20160091585A (ko) * 2015-01-26 2016-08-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보행자 인지 표시 장치
KR20160147530A (ko) * 2015-06-15 2016-12-23 현원재 차량의 사이드미러 사각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6483A (ko) * 2015-07-08 2017-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행자 감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차량 및 보행자 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41U (ja) * 1991-06-21 1993-01-08 忠次 岩永 警告ライト付サイドミラー
KR20000009904U (ko) * 1998-11-13 2000-06-05 홍종만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빗물 가리개
KR20130127126A (ko) 2012-05-14 2013-11-22 우제일 보행자 보호용 자동차 안전장치
KR20160091585A (ko) * 2015-01-26 2016-08-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보행자 인지 표시 장치
KR20160147530A (ko) * 2015-06-15 2016-12-23 현원재 차량의 사이드미러 사각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6483A (ko) * 2015-07-08 2017-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행자 감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차량 및 보행자 감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250A1 (ko) * 2019-09-04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
US11900813B2 (en) 2019-09-04 2024-02-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viding safety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vehicle for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5920B2 (en)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door from opening into traffic
EP1657569B1 (en)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by image processing
US5510764A (en) Device for detecting school bus stop arm violations
CN112384407B (zh) 包括开门报警系统的车辆
CN108016353B (zh) 车用开门预先检测系统
CN109455139B (zh) 一种基于汽车开门的警示保护装置
JP6011791B2 (ja) 車両用後方監視装置
KR102420218B1 (ko) 하차 승객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984376B (zh) 车辆开门防撞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6374787B2 (ja) ゲート装置及びゲート制御システム
KR101881487B1 (ko) 차량용 안전장치
CN115136219A (zh) 用于在考虑到跟随对象情况下在从车辆中出来时协助乘员的方法、计算装置以及驾驶员辅助系统
JP2013060172A (ja) 車両周辺監視システム
CN106809217A (zh) 周围物体探测系统及具有该系统的车辆
CN109080546A (zh) 用于折入机动车辆外后视镜的方法
JP6143036B2 (ja) 車両用後方監視装置
KR20180093751A (ko) 차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475196B1 (ko) 레이다 센서 모듈을 이용한 차량 감시 시스템 및 차량 감시 방법
KR101813806B1 (ko) 버스 안전 하차를 위한 하차 문 개폐 제어 시스템
KR102591105B1 (ko) 일방통행용 도로의 역방향 주행 방지장치
JP2020016950A (ja) 衝突判定装置および衝突判定方法
KR19980048812U (ko) 차량손상가해자 기록장치
JP7194890B2 (ja) 自動車のミラー装置
KR100569664B1 (ko) 전동차 사고 방지 시스템
JP7276748B2 (ja) ステップ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