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886B1 - 차량용 하이브리드암 - Google Patents

차량용 하이브리드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886B1
KR101880886B1 KR1020160178339A KR20160178339A KR101880886B1 KR 101880886 B1 KR101880886 B1 KR 101880886B1 KR 1020160178339 A KR1020160178339 A KR 1020160178339A KR 20160178339 A KR20160178339 A KR 20160178339A KR 101880886 B1 KR101880886 B1 KR 101880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inforcing
upper plate
rim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4344A (ko
Inventor
김양수
이동명
Original Assignee
(주)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 filed Critical (주)화신
Priority to KR1020160178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8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4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8Attaching arms to un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하이브리드암에 관한 것으로, 패널홀부가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패널부와, 패널부의 내측에 장착되어 패널부를 보강하는 플라스틱재질의 보강부와, 패널부의 외측에 안착되고, 보강부와 접합되는 플라스틱재질의 결합부를 포함하여, 강성을 유지하면서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하이브리드암{HYBRID AR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하이브리드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성을 유지하면서 경량화를 실현하여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하이브리드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서스펜션은 휠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서스펜션 암을 포함하고 있는데, 서스펜션 암은 그 형상에 따라 A자 모양의 A암과, I자 모양의 I암 등이 있고, 상하 한 쌍으로 되어 있을 경우 상측은 어퍼암이라 하고 하측은 로어암이라 한다.
A자 모양으로 된 로어암은 3개의 단부를 구비하고 있는데, 그 중 1개의 단부는 볼조인트를 매개로 차륜의 휠과 결합되고, 나머지 2개의 단부는 부시를 매개로 차체에 결합되어 장착된다.
종래의 로어암은 가격 대비 높은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스틸로 제작된 것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상당한 하중에 의해 연비를 저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3849호(2014.05.02. 등록, 발명의 명칭 : 차량용 로어암)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강성을 유지하면서 경량화를 실현하여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하이브리드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암은: 패널홀부가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패널부; 상기 패널부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패널부를 보강하는 플라스틱재질의 보강부; 및 상기 패널부의 외측에 안착되고, 상기 보강부와 접합되는 플라스틱재질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부는 하나 이상의 상기 패널홀부가 형성되는 패널상판부; 및 상기 패널상판부의 가장자리에서 구부러져 연장되는 패널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패널상판부의 내측에 밀착되는 보강상판부; 상기 보강상판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패널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와 접합되는 보강돌기부; 및 상기 보강상판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패널테두리부의 내측에 밀착되는 보강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보강테두리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패널테두리부의 외측에 밀착되는 보강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연장부는 상기 패널테두리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테두리홈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암은 플라스틱재질의 보강부가 패널부에 탈부착됨으로써, 중량이 절감되는 패널부의 강성이 증대되고, 보강부 파손시 교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암은 보강돌기부가 패널홀부에 압입되므로, 패널부와 보강부 간의 가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암은 패널테두리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테두리홈부에 보강연장부가 삽입되므로, 패널부의 중량을 절감하고 보강부와 패널부 간의 삽입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암에서 패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암에서 보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암에서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암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암(1)은 패널부(10)와, 보강부(20)와, 결합부(30)를 포함한다.
패널부(10)에는 패널홀부(111)가 형성되고,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 예로, 패널부(10)에는 3개의 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3개의 단부 중 1개의 단부는 볼조인트를 매개로 차륜의 휠과 결합되고, 나머지 2개의 단부는 부시를 매개로 차체에 결합될 수 있다.
보강부(20)는 패널부(10)의 내측에 장착되어 패널부(10)를 보강한다. 이러한 보강부(20)는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플라스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 예로, 보강부(20)는 패널부(10)에 탈부착된다. 보강부(20)가 패널부(10)에 장착되면, 보강부(20)가 패널부(1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외부 충격에 의해 보강부(20)가 파손되면, 보강부(20)를 교체할 수 있다.
결합부(30)는 플라스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패널부(10)의 외측에 안착되며, 보강부(20)와 접합된다. 이러한 결합부(30)에 의해 보강부(20)가 패널부(10)의 내측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암에서 패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부(10)는 패널상판부(11)와 패널테두리부(12)를 포함한다.
패널상판부(11)에는 하나 이상의 패널홀부(111)가 형성된다. 패널테두리부(12)는 패널상판부(11)의 가장자리에서 구부러져 연장된다. 일 예로, 패널상판부(11)는 패널부(10)의 상판에 해당되며, 패널테두리부(12)는 패널상판부(11)의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패널홀부(111)는 패널상판부(11)에만 한정되지 않고, 패널테두리부(12)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암에서 보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암에서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20)는 보강상판부(21)와, 보강돌기부(22)와, 보강테두리부(23)를 포함한다.
보강상판부(21)는 패널상판부(11)의 내측에 밀착되어 패널상판부(11)를 지지한다. 보강돌기부(22)는 보강상판부(21)에서 돌출되고, 패널홀부(111)에 삽입되어 결합부(30)와 접합된다. 이때, 보강돌기부(22)는 패널홀부(111)에 압입되어 패널상판부(11)와 가결합될 수 있다. 보강테두리부(23)는 보강상판부(2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패널테두리부(12)의 내측에 밀착되어 패널테두리부(12)를 지지한다.
일 예로, 보강상판부(21)와, 보강돌기부(22)와, 보강테두리부(2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패널부(10)에 압입되어 서로 간의 결합관계가 유지될 수 있다. 그 외, 보강상판부(21)와, 보강돌기부(22)와, 보강테두리부(2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접착제에 의해 패널부(10)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20)는 보강연장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연장부(24)는 보강테두리부(23)에서 연장되고, 패널테두리부(12)의 외측에 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보강연장부(24)는 보강테두리부(23)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패널테두리부(12)의 하단부를 감쌀 수 있다. 보강연장부(24)는 접착제에 의해 패널테두리부(12)의 외측에 부착될 수 있다. 보강연장부(24)는 보강테두리부(23)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보강연장부(24)가 성형되는 경우 서로 간의 간격이 균일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하중이 집중되는 부위에는 수개의 보강연장부(24) 간의 간격이 촘촘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보강연장부(24)는 패널테두리부(12)의 외측에 형성되는 테두리홈부(13)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연장부(24)가 테두리홈부(13)에 삽입되면 패널테두리부(12)의 외측으로 보강연장부(24)가 돌출되는 것을 억제하고, 패널부(10)의 내측에 삽입되는 보강부(20)의 위치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20)는 보강탄성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탄성부(25)는 보강돌기부(22)의 외측에 장착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띠 형상을 갖는 보강탄성부(25)는 보강돌기부(22)에 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강돌기부(22)가 패널홀부(111)에 삽입될 때 보강돌기부(22)와 패널홀부(111) 사이의 유격을 제거함으로써, 보강돌기부(22)가 패널홀부(111)에 가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30)는 패널홀부(111) 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패널상판부(11)의 외측에서 접착제에 의해 보강돌기부(22)와 접합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부(30)는 패널상판부(11)의 외측에 밀착되는 결합몸체부(31)와, 결합몸체부(31)의 저면 중앙부에 오목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부(32)에는 보강돌기부(22)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30)는 패널상판부(11) 외에 패널테두리부(1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30)가 보강부(2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강테두리부(23)에도 보강돌기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돌기부(22)는 패널테두리부(12)를 관통하여 패널테두리부(12)의 외측에 위치되는 결합부(30)와 접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암의 제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금속재질의 패널부(10) 내측으로 플라스틱재질의 보강부(20)가 삽입되면, 보강상판부(21)가 패널상판부(11)의 내측에 밀착되고, 보강테두리부(23)가 패널테두리부(12)의 내측에 밀착된다.
이때, 보강상판부(21)에 형성되는 보강돌기부(22)가 패널상판부(11)에 형성되는 패널홀부(111)에 삽입되면서 패널홀부(111)에 밀착되어, 패널부(10)와 보강부(20)가 가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패널부(10)와 보강부(20)가 가결합 상태를 유지하면, 패널부(10)의 외측에 밀착되는 결합부(30)를 보강돌기부(22)와 접합하여, 패널부(10)와 보강부(20)의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한편, 보강테두리부(23)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보강연장부(24)는 패널테두리부(12)의 외측에 형성되는 테두리홈부(13)에 삽입되므로, 보강부(20)가 패널부(10)에 초기 삽입될 때 보강부(20)가 정위치로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보강부(20)의 파손이 발생하면, 작업자는 보강부(20)를 교체 장착하여 패널부(10)의 강성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암(1)은 플라스틱재질의 보강부(20)가 패널부(10)에 탈부착됨으로써, 중량이 절감되는 패널부(10)의 강성이 증대되고, 보강부(20) 파손시 교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암(1)은 보강돌기부(22)가 패널홀부(111)에 압입되므로, 패널부(10)와 보강부(20) 간의 가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암(1)은 패널테두리부(12)의 외측에 형성되는 테두리홈부(13)에 보강연장부(24)가 삽입되므로, 패널부(10)의 중량을 절감하고, 보강부(20)와 패널부(10) 간의 삽입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패널부 11 : 패널상판부
12 : 패널테두리부 20 : 보강부
21 : 보강상판부 22 : 보강돌기부
23 : 보강테두리부 24 : 보강연장부
30 : 결합부

Claims (5)

  1. 패널홀부가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패널부;
    상기 패널부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패널부를 보강하는 플라스틱재질의 보강부; 및
    상기 패널부의 외측에 안착되고, 상기 보강부와 접합되는 플라스틱재질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부는
    하나 이상의 상기 패널홀부가 형성되는 패널상판부; 및
    상기 패널상판부의 가장자리에서 구부러져 연장되는 패널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패널상판부의 내측에 밀착되는 보강상판부;
    상기 보강상판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패널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와 접합되는 보강돌기부;
    상기 보강상판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패널테두리부의 내측에 밀착되는 보강테두리부;
    상기 보강테두리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패널테두리부의 외측에 밀착되는 보강연장부; 및
    상기 보강돌기부의 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보강돌기부가 상기 패널홀부에 삽입될 때 상기 보강돌기부와 상기 패널홀부 사이의 유격을 제거하여, 상기 보강돌기부의 가조립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강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연장부는 상기 패널테두리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테두리홈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이브리드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78339A 2016-12-23 2016-12-23 차량용 하이브리드암 KR101880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339A KR101880886B1 (ko) 2016-12-23 2016-12-23 차량용 하이브리드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339A KR101880886B1 (ko) 2016-12-23 2016-12-23 차량용 하이브리드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344A KR20180074344A (ko) 2018-07-03
KR101880886B1 true KR101880886B1 (ko) 2018-07-23

Family

ID=62918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339A KR101880886B1 (ko) 2016-12-23 2016-12-23 차량용 하이브리드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88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0240A (ko) * 2005-10-11 2007-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그로멧구조
DE102007015616B4 (de) * 2007-03-29 2021-10-21 Zf Friedrichshafen Ag Verbindungsstück zum gelenkigen Verbinden von im Fahrwerk eines Fahrzeugs angeordneten Bauelemen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344A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1386B2 (en) Suspension arm for vehicle
US8029033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US20160068036A1 (en) Suspension Frame Structure
US9789743B2 (en) Suspension structure for vehicle
EP2865582A1 (en) Frp member
KR20190020456A (ko) Tm마운트의 스토퍼
WO2012124692A1 (ja) サスペンションフレーム構造
KR101880886B1 (ko) 차량용 하이브리드암
JP2010167949A (ja) サスペンションタワー
CN210082868U (zh) 稳定杆固定装置、稳定杆总成以及车辆
JP6360623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2016117321A (ja) 車体後部構造
KR101613470B1 (ko) 자동차용 로워암
KR20180036365A (ko) 리어 트레일링암
KR20170087266A (ko) 프론트 로어암 장치
CN207360426U (zh) 一种加强的前轮罩装置
KR101880882B1 (ko) 차량용 로어암
KR100887825B1 (ko) 차량의 로우아암구조
JP2019116123A (ja) 車体前部構造
CN106427534A (zh) 一种水箱横梁支撑结构及汽车
KR102206726B1 (ko) 버스 프레임 장치
KR102175954B1 (ko) 차량용 프레임 구조
KR102607438B1 (ko) 차량용 현가암
JP2014201072A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ブラケット構造
JP2019034666A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及びそれを備える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