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726B1 - 버스 프레임 장치 - Google Patents

버스 프레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726B1
KR102206726B1 KR1020180129365A KR20180129365A KR102206726B1 KR 102206726 B1 KR102206726 B1 KR 102206726B1 KR 1020180129365 A KR1020180129365 A KR 1020180129365A KR 20180129365 A KR20180129365 A KR 20180129365A KR 102206726 B1 KR102206726 B1 KR 102206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body portion
disposed
sides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7946A (ko
Inventor
김진호
박현경
정지원
Original Assignee
동해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해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해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9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72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7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62D24/02Vehicle body, not intended to move relatively to the vehicle frame, and mounted on vibration absorbing mountings, e.g. rubber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버스 프레임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버스 프레임 장치는: 차체의 양측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및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크로스부재를 포함하고, 사이드 프레임은 차체의 양측을 따라 배치되고, 상측과 하측에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외측 연장부가 형성되는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 및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외측 연장부에 겹쳐지도록 내측 연장부가 형성되는 사이드 보강부를 포함하고, 사이드 보강부는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에서 전방 서스펜션부에 설치되는 전방 사이드 보강부; 및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에서 후방 서스펜션부에 배치되고, 전방 사이드 보강부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후방 사이드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스 프레임 장치{BUS FRAME APPARATUS}
본 발명은 버스 프레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화되면서도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버스 프레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하부에는 버스 프레임이 설치된다. 버스 프레임은 차체의 밸런스와 충돌 안정성을 확보해 준다. 즉, 버스 프레임은 차량의 전후 충돌 및 측면 충돌시 차량의 강성유지와 승객의 안전을 확보해준다.
버스 프레임은 버스 중량의 10% 정도를 차지한다. 버스 프레임을 두껍게 제작하면 충돌 안정성은 확보할 수 있지만 차량의 중량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버스 프레임을 경량화시키면, 충돌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버스 프레임이 경량화되면서도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1700호(2001. 03. 05 공개, 발명의 명칭: 대형 버스용 프레임 보강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화되면서도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버스 프레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 프레임 장치는: 차체의 양측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및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크로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차체의 양측을 따라 배치되고, 상측과 하측에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외측 연장부가 형성되는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 연장부에 겹쳐지도록 내측 연장부가 형성되는 사이드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보강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에서 전방 서스펜션부에 설치되는 전방 사이드 보강부;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에서 후방 서스펜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사이드 보강부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후방 사이드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는 핫프레스포밍 가공에 의해 단면이 "⊂"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 사이드 보강부와 상기 후방 사이드 보강부는 핫프레스포밍 가공에 의해 단면이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연장부는 상기 외측 연장부의 내측면에 겹쳐지도록 상기 외측 연장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는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크로스부재는 상기 전방 서스펜션부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제1 크로스부재; 상기 전방 서스펜션부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제2 크로스부재; 및 상기 전방 서스펜션부와 상기 후방 서스펜션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크로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크로스부재는 상기 전방 서스펜션부의 전방측 배치되고, 핫프레스포밍 가공에 의해 단면이 "⊂" 형태로 형성되는 제1 크로스 바디부; 및 상기 제1 크로스 바디부의 양측을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각각 고정시키는 제1 고정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크로스부재는 상기 전방 서스펜션부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핫프레스포밍 가공에 의해 단면이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제2 크로스 바디부; 및 상기 제2 크로스 바디부의 양측에 상기 제1 크로스 바디부 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제2 크로스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크로스부재는 상기 전방 서스펜션부에서 상기 전방 사이드 보강부와 상기 후방 사이드 보강부 사이에 배치되고, 하이드로포밍 가공에 의해 단면이 "∪" 형태로 형성되며, 개구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3 크로스 바디부; 및 상기 제3 크로스 바디부의 양단부에 상기 제3 크로스 바디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3 크로스 연장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드 보강부가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에 겹쳐지도록 설치되므로,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의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 사이드 보강부와 후방 사이드 보강부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므로,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에서 전방 사이드 보강부와 후방 사이드 보강부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만큼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의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 사이드 보강부와 후방 사이드 보강부는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에서 진동이나 충격이 가장 크게 가해지는 전방 서스펜션부와 후방 서스펜션부의 강성을 보강한다. 따라서,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에서 요구되는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프레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프레임 장치에서 제1 크로스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프레임 장치에서 제1 크로스부재의 제1 고정 브라켓이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프레임 장치에서 제2 크로스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프레임 장치에서 제2 크로스부재가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프레임 장치에서 제3 크로스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프레임 장치에서 제3 크로스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프레임 장치에서 제3 크로스부재가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스 프레임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버스 프레임 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프레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프레임 장치에서 제1 크로스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프레임 장치에서 제1 크로스부재의 제1 고정 브라켓이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프레임 장치에서 제2 크로스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프레임 장치에서 제2 크로스부재가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프레임 장치에서 제3 크로스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프레임 장치에서 제3 크로스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프레임 장치에서 제3 크로스부재가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프레임 장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00)과 복수의 크로스부재(20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00)은 차체의 양측을 따라 각각 배치된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00)은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다. 사이드 프레임(100)의 양측 단부는 엔드 프레임(130)에 의해 연결된다. 엔드 프레임(130)과 사이드 프레임(100)은 직사각틀 형태로 배치된다.
사이드 프레임(100)에는 전방 서스펜션부(102)와 후방 서스펜션부(104)가 설치된다. 전방 서스펜션부(102)는 전방 프레임부(미도시)에 배치되고, 후방 서스펜션부(104)는 후방 프레임부(미도시)에 배치된다. 전방 프레임부와 후방 서스펜션부(104) 사이에는 중간 프레임부(미도시)가 배치된다. 전방 서스펜션부(102)에는 전방 서스펜션 장치(미도시)가 탑재되고, 후방 서스펜션부(104)에는 후방 서스펜션 장치(미도시)가 탑재된다.
전방 서스펜션부(102)는 약간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또한, 후방 서스펜션부(104)도 약간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전방 서스펜션부(102)와 후방 서스펜션부(104)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전방 서스펜션부(102)의 중심부는 후방 서스펜션부(104)의 중심부보다 높게 형성된다.
복수의 크로스부재(200)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00)을 연결한다. 복수의 크로스부재(200)는 사이드 프레임(100)과 수직하게 각각 배치된다.
사이드 프레임(100)은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110)와 사이드 보강부(120)를 포함한다.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110)는 차체(미도시)의 양측을 따라 배치되고, 상측과 하측에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외측 연장부(112)가 형성된다. 사이드 보강부(120)는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110)의 내측에 배치되고, 외측 연장부(112)에 겹쳐지도록 내측 연장부(122)가 형성된다.
사이드 보강부(120)가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110)에 겹쳐지도록 설치되므로,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110)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보강부(120)와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110)의 내부가 비어있으므로, 사이드 프레임(100)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사이드 보강부(120)는 전방 사이드 보강부(120a)와 후방 사이드 보강부(120b)를 포함한다.
전방 사이드 보강부(120a)는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110)에서 전방 서스펜션부(102)에 설치된다. 후방 사이드 보강부(120b)는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110)에서 후방 서스펜션부(104)에 배치되고, 전방 사이드 보강부(120a)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전방 사이드 보강부(120a)와 후방 사이드 보강부(120b)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므로,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110)에서 전방 사이드 보강부(120a)와 후방 사이드 보강부(120b)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만큼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110)의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전방 사이드 보강부(120a)와 후방 사이드 보강부(120b)는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110)에서 진동이나 충격이 가장 크게 가해지는 전방 서스펜션부(102)와 후방 서스펜션부(104)의 강성을 보강한다. 따라서,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110)에서 요구되는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110)는 핫프레스포밍(hot press forming) 가공에 의해 단면이 "⊂"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 사이드 보강부(120a)와 후방 사이드 보강부(120b)는 핫프레스포밍 가공에 의해 단면이 "⊃" 형태로 형성된다. 핫프레스포밍 가공은 판재를 가열한 후 프레스 성형을 하고, 프레스된 판재를 냉각수로 급속 냉각시키는 가공 방법이다. 판재가 핫프레스포밍 가공에 의해 제작됨에 따라 판재의 성형성이 증가되고, 스프링백(spring back) 현상이 감소되므로, 초고강성의 부품의 강도 향상 및 경량화 효과를 최대화시킬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110)의 내측 연장부(122)는 사이드 보강부(120)의 외측 연장부(112)의 내측면에 겹쳐지도록 외측 연장부(112) 사이에 설치된다. 사이드 보강부(120)가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110)의 내측을 지지하므로, 사이드 프레임(100)의 상측면과 하측면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프레임(100)의 상하방향 밴딩 모우멘트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금형 내에서 판재가 냉각수에 의해 급랭되므로, 판재가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될 수 있다.
외측 연장부(112)와 내측 연장부(122)는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용접으로는 레이저 용접, 시밍용접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110)와 사이드 보강부(120)가 핫프레스포밍 가공된 후 용접되므로,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110)의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크로스부재(200)는 제1 크로스부재(210), 제2 크로스부재(220) 및 제3 크로스부재(230)를 포함한다.
제1 크로스부재(210)는 전방 서스펜션부(102)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제2 크로스부재(220)는 전방 서스펜션부(102)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제3 크로스부재(230)는 전방 서스펜션부(102)와 후방 서스펜션부(104) 사이에 배치된다.
제1 크로스부재(210)와 제2 크로스부재(220)가 전방 서스펜션부(102)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배치되므로, 진동이나 충격이 가장 크게 가해지는 전방 서스펜션부(102)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방 서스펜션부(102)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밸런스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크로스부재(230)가 전방 서스펜션부(102)와 후방 서스펜션부(104) 사이에 배치 중간 프레임부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제1 크로스부재(210)는 제1 크로스 바디부(211) 및 제1 고정 브라켓(213)을 포함한다.
제1 크로스 바디부(211)는 전방 서스펜션부(102)의 전방측 배치되고, 핫프레스포밍 가공에 의해 단면이 "⊂"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크로스 바디부(211)는 개방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제1 크로스 바디부(211)의 양측에는 제1 크로스 바디부(211)에 고정되도록 제1 고정리브(211a)가 형성된다. 제1 고정리브(211a)는 사이드 보강부(120)에 용접이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 브라켓(213)은 제1 크로스 바디부(211)의 양측을 사이드 프레임(100)에 각각 고정시킨다. 제1 고정 브라켓(213)은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110)의 상면에 배치된다.
제2 크로스부재(220)는 제2 크로스 바디부(221) 및 제2 크로스 보강부(223)를 포함한다.
제2 크로스 바디부(221)는 전방 서스펜션부(102)의 후방측 배치되고, 핫프레스포밍 가공에 의해 단면이 사각 형태로 형성된다. 제2 크로스 바디부(221)가 사각 형태로 형성되므로, 제2 크로스 바디부(221)의 강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제2 크로스 보강부(223)는 제2 크로스 바디부(221)의 양측에 제1 크로스 바디부(210)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고, 사이드 프레임(100)에 각각 고정된다.
제2 크로스 보강부(223)의 양측에는 양측으로 만곡되는 제2 고정리브(221a)가 형성된다. 제2 보강리브(221a)는 사이드 보강부(120)에 용접이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3 크로스부재(230)는 제3 크로스 바디부(231) 및 제3 크로스 연장리브(235)를 포함한다.
제3 크로스 바디부(231)는 전방 서스펜션부(102)에서 전방 사이드 보강부(120a)와 후방 사이드 보강부(120b) 사이에 배치되고, 하이드로포밍 가공에 의해 단면이 "∪" 형태로 형성되며, 개구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제3 크로스 바디부(231)의 개구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므로, 제3 크로스 바디부(231)의 하측 밴딩 모우멘트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3 크로스 연장리브(235)는 제3 크로스 바디부(231)의 양단부에 제3 크로스 바디부(23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110)의 내측에 고정된다. 제3 크로스 연장리브(235)와 제3 크로스 바디부(231)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 플랜지부(232)가 형성된다. 제3 플랜지부(232)는 제3 크로스부재(230)의 강성을 보강한다.
제3 크로스 바디부(231)의 양측과 제3 크로스 연장리브(235)에는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110)의 내측 연장부(122)에 면접촉되도록 제3 고정리브(235a)가 형성된다. 제3 고정리브(235a)는 용접이나 체결부재에 의해 내측 연장부(122)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사이드 프레임 102: 전방 서스펜션부
104: 후방 서스펜션부 110: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
112: 외측 연장부 120: 사이드 보강부
120a: 전방 사이드 보강부 120b: 후방 사이드 보강부
122: 내측 연장부 130: 엔드 프레임
132: 서포트 리브 134: 조립 브라켓
200: 크로스부재 210: 제1 크로스부재
211: 제1 크로스 바디부 211a: 제1 고정리브
213: 제1 고정 브라켓 220: 제2 크로스부재
221: 제2 크로스 바디부 221a: 제2 고정리브
223: 제2 크로스 보강부 230: 제3 크로스부재
231: 제3 크로스 바디부 232: 제3 플랜지부
235: 제3 크로스 연장리브 235a: 제3 고정리브

Claims (8)

  1. 차체의 양측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및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크로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차체의 양측을 따라 배치되고, 상측과 하측에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외측 연장부가 형성되는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 연장부에 겹쳐지도록 내측 연장부가 형성되는 사이드 보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이드 보강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에서 전방 서스펜션부에 설치되는 전방 사이드 보강부;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에서 후방 서스펜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사이드 보강부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후방 사이드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크로스부재는,
    상기 전방 서스펜션부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제1 크로스부재;
    상기 전방 서스펜션부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제2 크로스부재; 및
    상기 전방 서스펜션부와 상기 후방 서스펜션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크로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크로스부재는 상기 전방 서스펜션부의 전방측 배치되는 제1 크로스 바디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크로스부재는,
    상기 전방 서스펜션부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제2 크로스 바디부; 및
    상기 제2 크로스 바디부의 양측에 상기 제1 크로스 바디부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제2 크로스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크로스부재는,
    상기 전방 서스펜션부에서 상기 전방 사이드 보강부와 상기 후방 사이드 보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크로스 바디부; 및
    상기 제3 크로스 바디부의 양단부에 상기 제3 크로스 바디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3 크로스 연장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크로스 바디부의 양측에는 상기 사이드 보강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고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크로스 보강부의 양측에는 양측으로 만곡되며, 상기 사이드 보강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2 고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3 크로스 바디부의 양측과 상기 제3 크로스 연장리브에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의 내측 연장부에 면접촉되어 고정되도록 제3 고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3 크로스 연장리브와 상기 제3 크로스 바디부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프레임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바디부는 핫프레스포밍 가공에 의해 단면이 "⊂"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 사이드 보강부와 상기 후방 사이드 보강부는 핫프레스포밍 가공에 의해 단면이 "⊃"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프레임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연장부는 상기 외측 연장부의 내측면에 겹쳐지도록 상기 외측 연장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프레임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는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프레임 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로스부재는,
    상기 제1 크로스 바디부의 양측을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각각 고정시키는 제1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크로스 바디부는,
    핫프레스포밍 가공에 의해 단면이 "⊂"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프레임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크로스 바디부는,
    핫프레스포밍 가공에 의해 단면이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프레임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크로스 바디부는,
    하이드로포밍 가공에 의해 단면이 "∪" 형태로 형성되며, 개구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프레임 장치.
KR1020180129365A 2018-10-26 2018-10-26 버스 프레임 장치 KR102206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365A KR102206726B1 (ko) 2018-10-26 2018-10-26 버스 프레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365A KR102206726B1 (ko) 2018-10-26 2018-10-26 버스 프레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946A KR20200047946A (ko) 2020-05-08
KR102206726B1 true KR102206726B1 (ko) 2021-01-26

Family

ID=70677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365A KR102206726B1 (ko) 2018-10-26 2018-10-26 버스 프레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7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538B1 (ko) * 2021-11-24 2022-05-30 손형원 특장차 트레일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6234A (ja) * 2009-08-25 2011-03-10 Toyota Motor Corp 車体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5532B2 (ja) * 1997-06-05 2003-1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ロスメンバ結合部構造
KR20160134893A (ko) * 2015-05-13 2016-11-24 동해금속 주식회사 차량용 크로스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6234A (ja) * 2009-08-25 2011-03-10 Toyota Motor Corp 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946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2682B2 (ja) 車体フロア構造
CN108909845B (zh) 车身前部构造
JP5391771B2 (ja) 車両の車体下部構造
JP2006327284A (ja) 自動車のルーフ構造
JP5549420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5968971B2 (ja) 車体後部構造
EP0823363A2 (en) Body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KR102206726B1 (ko) 버스 프레임 장치
JP2007216831A (ja) 車両用ドア
JP7103488B2 (ja) 車体後部構造
JP6892272B2 (ja) 自動車のリアシートベルトアンカ固定構造
KR101856240B1 (ko) 쇽업쇼버 하우징 및 그의 체결구조
JPH09175432A (ja) 車両のキャブのアンダーフレーム構造
JP6803290B2 (ja) ラゲージドア構造
KR20210037044A (ko) 버스 프레임 모듈
JP7183976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
JP6278212B2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CN108349547B (zh) 汽车的前部车身结构
JP2016117321A (ja) 車体後部構造
JP6810622B2 (ja) 自動車の駆動用バッテリ保護構造
US11712949B2 (en) Automobile side structure and automobile
CN113302070A (zh) 汽车车门
KR100957272B1 (ko) 사이드멤버 보강구조
JP6984525B2 (ja) 外板パネル補剛構造及び補剛外板パネル
US11993314B2 (en) Underbody structure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