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125B1 -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125B1
KR101879125B1 KR1020170044982A KR20170044982A KR101879125B1 KR 101879125 B1 KR101879125 B1 KR 101879125B1 KR 1020170044982 A KR1020170044982 A KR 1020170044982A KR 20170044982 A KR20170044982 A KR 20170044982A KR 101879125 B1 KR101879125 B1 KR 101879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tank
washing
core
clean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이수
박수복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4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8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자 코어(Stator Core)를 자동으로 세척 및 건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복수의 발전기용 고정자 코어를 수용할 수 있는 세척조, 세척조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세척조 상단에 설치되는 환기부 및 세척조와 환기부 사이에 형성되고, 세척액 및 에어를 세척조가 있는 방향으로 분사시킬 수 있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자동화된 기계 장치를 통하여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코어 제품의 내경부 사이에 형성된 결속 공간부의 건조 효율을 증대시키고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Automated cleaning apparatus for stator core}
본 발명은 발전기의 부품인 고정자 코어(Stator Core)를 자동으로 세척 및 건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조에 코어를 장입시킨 후 자동화된 분무 설비 및 환기 설비를 이용하여 코어를 세척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기는 고정자의 내측에 회전자를 배치하고 회전자가 회전할 때에 고정자에서 전자기 유도작용으로 기전력을 발생시켜 기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고정자는 프레임의 내부에 코어(core: 철심)가 적층되는데, 이러한 코어는 발전기 내부에서 자력선을 통과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코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발전기의 운전 중에 발생하는 발열량을 줄이기 위해 소정의 두께, 예를 들어 0.35mm 두께로 가공된다.
일반적으로 코어 제품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오일과 이물질 등은 표면에 잔류하게 되는데, 이러한 오일과 이물질은 제품 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공장에서 제조된 코어 제품을 인수하여 도장 작업을 수행하기 전 코어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 과정이 필요하다.
기존에 코어를 세척하는 방법은 세척액이 담긴 세척조에 코어를 잠기게 한 후 작업자가 코어를 직접 손으로 들어서 바가지를 이용하여 1매씩 세척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세척 방법은 핸들링 과정이 많아 작업자에게 많은 부담이 되고, 세척 작업 시간도 많이 소요되어 생산 효율이 낮아지고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코어 세척 작업과정 중 세척액이 비산하여 작업자에게 위해를 주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동 조작 가능한 스프레이형 세척 장치가 대안으로 제시되었으나 세척액에서 유해가스가 발생하여 작업자가 장시간 유해 환경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코어의 유분 건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건조 효율도 미흡한 문제점도 있다. 또한 코어 제품의 내경부 사이에 형성된 결속 공간부는 세척조에 장입된 상태에서는 공기가 잘 통하지 않아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코어 제품의 형상에 특화된 세척 및 건조 설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2384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코어의 세척 및 건조 방법을 개선하여 자동화된 세척 및 건조 장치를 제공하여, 작업 시간을 줄이고 코어의 세척 및 건조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어 제품의 내경부 사이에 형성된 결속 공간부의 건조 효율을 증대시키고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는 내부에 복수의 고정자 코어를 수용할 수 있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세척조 상부에 설치되며 상하로 승강가능한 환기부; 및 상기 세척조와 상기 환기부 사이에 형성되고, 세척액 및 에어를 상기 코어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는 상기 환기부에 천정이나 벽면 등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되어 외부로 연결되는 고정덕트; 상기 고정덕트와 연결되는 상하로 신축가능한 승강덕트; 상기 승강덕트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세척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승강덕트로 배출시키는 배기후드; 상기 배기후드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승강구동장치; 상기 배기후드의 좌우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과 연결되는 신축가능한 안전 가이드; 및 상기 배기후드 내부에 형성되어 세척액 유출을 방지하는 프리필터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는 상기 분사부에 상기 코어를 세척하기 위해 상기 세척조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기후드 내부에 장착되어 세척액 및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배관부; 상기 공급배관부와 연결되어 상기 코어에 세척액 및 에어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공급배관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공급배관부에 필요한 배관을 연결시킬 수 있는 퀵 커플러; 상기 퀵 커플러와 연결 가능한 세척액배관과 상기 세척액배관을 통하여 세척액을 공급시키는 세척액펌프; 상기 퀵 커플러와 연결 가능한 에어배관과 상기 에어배관을 통하여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상기 세척조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액배관으로 공급되는 세척액을 재활용하기 위한 순환배관; 재활용되는 세척액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세척조 일측 하단에 설치되는 세척액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가장자리 상단에 보호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는 상기 배기후드에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개재되고 세척 및 건조 과정 중 발생하는 각종 유해가스 등을 흡입하여 상기 승강덕트로 배출 가능하도록 하는 블로워 팬; 상기 블로워 팬의 하부에 개재되고 세척액 유출을 방지하는 프리필터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는 상개 승강구동장치에 상기 고정프레임 상단에 형성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서 연장되어 상기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에 맞물려 함께 회전 가능한 제2기어; 상기 제2기어에 축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와이어드럼 및 상기 와이어드럼에 권취되고 상기 배기후드의 양측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기후드를 승강시키는 와이어 로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는 상기 안전가이드가 팬터그래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는 배기후드의 전면과 후면의 하부에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는 상기 세척조에상기 세척조 내부로 장입이 가능한 동시에 상기 세척조 외부로 장출이 가능한 침전조 및 상기 세척조 내부 하단에는 상기 침전조를 상기 세척조 바닥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안착시킬 수 있는 침전조지지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는 상기 공급배관부에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정중앙을 통과하는 제1공급배관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공급배관 및 제3공급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는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액 또는 에어의 분사각도는 15°에서 65°이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는 상기 제1공급배관, 상기 제2공급배관 및 상기 제3공급배관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노즐부, 제2노즐부 및 제3노즐부의 분사 각도를 각 노즐부별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는 상기 침전조에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 좌측면과 우측면의 상단에 리프트카의 적재부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삽입홈; 상기 본체부의 전후좌우면 하단에 세척액이 유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유입부; 세척된 세척액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바닥부분에 형성된 배출구멍; 상기 본체부의 전면 최상단으로부터 전면 중앙까지 플레이트가 생략된 절개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는 위치의 높이가 상기 세척조의 상기 침전조지지대로부터 상기 세척조의 최상단까지의 길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코어의 반지름의 길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 세척 및 처리 방법은 복수의 코어를 별도로 제작된 침전조에 투입시키고 상기 침전조를 리프트카에 결합시켜 세척조로 이동시킨 후 상기 리프트카를 이용하여 상기 코어가 수용된 상기 침전조를 상기 세척조 내부로 장입하는 침전조 장입단계; 세척액펌프를 가동하여 세척액을 노즐로 공급하고 상기 노즐을 통하여 세척액을 상기 코어가 수용된 상기 세척조 방향으로 분사시켜 상기 코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세척단계; 에어펌프를 가동하여 에어를 상기 노즐로 공급하고 상기 노즐을 통하여 에어를 상기 코어가 수용된 상기 세척조 방향으로 분사시켜 상기 코어에 붙어 있는 세척액을 증발시키는 1차 건조단계; 상기 침전조를 리프트카에 결합시킨 후 상기 리프트카를 이용하여 상기 코어가 수용된 상기 침전조를 상기 세척조 외부로 장출하는 침전조 장출단계; 상기 침전조 내에 수용된 코어가 콘베어의 행거에 고정 결합된 상태로 상기 콘베어에 의해 페인트 부스 내로 이송되는 이송단계; 상기 페인트 부스 내로 이송된 코어가 상기 페인트 부스 내에서 도장되는 도장단계; 상기 도장된 코어가 전자식 건조기 내로 이송된 후 상기 전자식 건조기에 의해 건조되는 2차 건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 세척 및 처리 방법은 상기 침전조 장입 단계와 상기 세척단계 사이에 세척액을 상기 세척조 내로 투입시키는 세척액 투입단계를 더 포함하고, 투입되는 세척액의 수위는 침전조지지대 이하로 할 수 있다.
세척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자동화된 기계 장치를 통하여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코어 제품의 내경부 사이에 형성된 결속 공간부의 건조 효율을 증대시키고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에 의하여 세척 및 건조되는 코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의 세척조와 환기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의 세척조와 분사부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의 분사부가도시된 저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의 침전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의 침전조가 리프트카에 의해 세척조에 안착되는 모습이 도시된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 세척 및 처리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에 의하여 세척 및 건조되는 코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0)의 전체적인 형상은 부채꼴 형상을 이루고, 외경 에지(11)에는 복수의 웨지 그루브(12)가 형성되며 내경부(16)에는 복수의 결속 공간부(17)가 형성된다. 또한, 내경부(16)의 일단에는 도브 테일(16a)이 형성되고, 도브 테일(16a)의 양측에는 정렬 홈(18)이 형성될 수 있다. 코어(10)는 발전기의 운전 중에 발생하는 발열량을 줄이기 위해 소정의 두께, 예를 들어 0.35mm 두께로 가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코어(10) 제품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오일과 이물질 등은 표면에 잔류하게 되는데, 이러한 오일과 이물질은 제품 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공장에서 제조된 코어(10) 제품을 인수하여 도장 작업을 수행하기 전 코어(10)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 과정이 필요하다.
특히 코어(10)의 내경부(16) 사이에 형성된 결속 공간부(17)는 복수의 코어(10)가 겹쳐진 상태로 세척조에 장입된 상태에서는 공기가 잘 통하지 않아, 결속 공간부(17)에 부착된 유분이 건조 후에도 그대로 남아 있는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코어 제품의 형상에 특화된 건조 기능을 구비한 세척 설비가 필요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는 내부에 복수의 발전기용 고정자 코어(1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세척조(100)와 세척조(100)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세척조(100) 상부에 설치되며 상하로 승강이 가능한 환기부(200) 및 세척조(100)와 환기부(200) 사이에 형성되고, 세척액 및 공기를 세척조(100)내에 수용된 코어(10)로 분사하는 분사부(300)를 포함한다.
세척조(100)는 세척 및 건조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코어(1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재질은 부식 방지가 가능한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폴리에틸렌 합성 플라스틱일 수 있다.
환기부(200)는 세척조 내부에 위치한 코어(10)의 세척 및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세척조(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하로 승강이 가능한 구조를 통하여 필요에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상하로 승강이 가능한 환기부(200)는 코어(10)를 세척조(100) 내에 장입시킬 때에는 상부로 상승시키켜 코어의 장입에 문제가 없도록 하고, 코어(10)가 세척조(100)에 안착하면 하강시켜 세척조 상단을 밀폐시킴으로써 유해가스의 외부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세척이 완료된 단계에서는 다시 환기부(200)를 상부로 상승시켜 코어(10)를 세척조(100)에서 원활하게 장출시킬 수 있다.
분사부(300)는 세척조(100)와 환기부(200) 사이에 형성되어, 세척 시에는 세척액을 코어가 수용된 세척조(100) 방향으로 분사하여 코어를 세척시키고, 건조 시에는 에어를 코어가 수용된 세척조(100) 방향을 향하여 분사하여 코어를 건조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의 세척조와 환기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부(200)는 천정이나 벽면 등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10), 고정프레임(210)에 장착되어 외부로 연결되는 고정덕트(220), 고정덕트(220)와 연결되는 상하로 신축 가능한 승강덕트(230), 승강덕트(230)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세척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승강덕트(230)로 배출시키는 배기후드(240), 배기후드(240)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승강구동장치(250), 배기후드(240)의 좌우 상단에 설치되어 고정프레임(210)과 연결되는 신축 가능한 안전 가이드(260)를 포함한다.
고정프레임(210)은 환기부(200)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하로 승강하는 환기부(200)가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천정이나 벽면 등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고정프레임(210)은 상단에 승강구동장치(250)가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넓은 직사각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프레임(210)의 가장자리 상단에는 보호가이드(211)가 형성될 수 있는데, 고정프레임(210)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덕트(220) 또는 승강구동장치(250)를 수리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추락 등의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배기후드(240)는 세척조(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승강덕트(230)와 연결되어 세척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흡입한다. 배기후드(240)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상의 하우징(241)과 하우징(241)의 상부에 개재되고 세척 및 건조 과정 중 발생하는 각종 유해가스 등을 흡입하여 승강덕트(230)로 배출 가능하도록 하는 블로워 팬(242) 및 블로워 팬(242)의 하부에 개재되고 세척액 유출을 방지하는 프리필터부재(243)를 포함한다.
블로워 팬(242)을 통해 흡입된 유해가스는 배기후드(240)와 연결된 승강덕트(230) 및 외부로 연결된 고정덕트(220)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블로워 팬(242)의 하부에는 세척액 유출을 방지하는 프리필터부재(243)가 설치될 수 있다. 프리필터부재(243)는 세척과정에서 분사되는 세척액이 비산되어 블로워 팬(242)이 위치한 공간 또는 승강덕트(230) 내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프리필터부재(243)는 정기적으로 세척이 필요하기 때문에, 세척 시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우징(241)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덕트(230)는 신축이 가능한 주름관 형상으로, 배기후드(240)와 고정덕트(220) 사이를 연결하여, 배기후드(240)에서 흡입된 유해가스를 외부와 연결된 고정덕트(220)로 이동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승강덕트(230)는 배기후드(240)가 하강 시에는 세척조(100)의 상부까지 길이가 늘어날 수 있고, 배기후드(240)가 상승 시에는 고정프레임(210)의 하부까지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승강구동장치(250: 251~256)는 배기후드(240)를 승하강시키는 장치로, 고정프레임(210) 상단에 형성되는 모터(253), 모터(253)에서 연장되어 모터(253)가 회전함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는 제1기어(255), 제1기어(255)에 맞물려 함께 회전 가능한 제2기어(256), 제2기어(256)에 축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254), 회전축(254)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회전축(254)과 함께 회전하는 와이어드럼(252) 및 와이어드럼(252)에 권취되고 배기후드(240)의 양측 상단에 연결되어 와이어 드럼(254)의 회전에 의해 배기후드(240)를 승강시키는 와이어로프(251)를 포함한다.
모터(253)를 구동시키면 제1기어(255)가 함께 회전하고 제1기어(255)에 맞물려 있는 제2기어(256)가 회전한다. 제2기에(256)가 회전하면 제2기어(256)에 축결합된 회전축(254)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그와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드럼(252)이 회전하고 와이어드럼(252)의 외주의 와이어로프(251)가 권취됨에 따라 와이어로프(251)와 연결된 배기후드(240)가 승강된다.
안전가이드(260)는 배기후드(240)의 승강 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배기후드(240)의 상단 좌우에 설치되며 고정프레임(210)의 좌우 하단과 연결된다. 안전가이드(250)는 승강덕트(240)의 신축에 따라 같이 상하로 신축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데, 안전 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배기후드(240)의 승강에 따라 유연하게 신축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터그래프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후드(240)의 전면과 후면의 하부에는 내부를 확인하는 투시부(280)가 포함될 수 있다. 투시부(280)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제로 형성되고, 분사부(30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세척액 또는 에어의 분사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의 세척조와 분사부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100)는 세척조(100) 내부로 장입이 가능한 동시에 세척조(100) 외부로 장출이 가능한 침전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침전조(120)는 다량의 코어(10)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세척조(100) 내부 하단에는 침전조(120)를 세척조(100) 바닥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안착시킬 수 있는 침전조지지대(13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의 분사부가도시된 저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100)와 환기부(200) 사이에 세척액 및 공기를 코어로 분사하는 분사부(300)가 형성된다.
분사부(300)는 코어(10)를 세척하기 위해 세척조(100) 상부에 위치하고 배기후드(240) 내부에 장착되어 세척액 및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배관부(310), 공급배관부(310)와 연결되어 코어(10)에 세척액 및 에어를 분사하는 노즐(320), 공급배관부(310)의 일측에 설치되고, 공급배관부(310)에 필요한 배관을 연결시킬 수 있는 퀵 커플러(330), 퀵 커플러(330)와 연결 가능한 세척액배관(340)과 세척액배관(340)을 통하여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액펌프(341), 퀵 커플러(330)와 연결 가능한 에어배관(350)과 에어배관(350)을 통하여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미도시), 세척조(100) 하단에 설치되어 세척액배관(340)으로 공급되는 세척액을 재활용하기 위한 순환배관(360), 재활용되는 세척액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조(100) 일측 하단에 설치되는 세척액필터(370)를 포함한다.
공급배관부(310)는 배기후드(240)의 하우징(241) 내부에 형성되며, 세척액 및 에어를 노즐(320)로 공급한다. 공급배관부(310)는 단수 또는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세척 및 건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복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41) 내부의 정중앙을 통과하는 제1공급배관(311)과 하우징(241)의 내측 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공급배관(312) 및 제3공급배관(313)을 포함한 형태로 구성하여 세척액 및 에어의 분사범위 및 분사거리를 좁힌 상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공급배관이 설치되는 경우에도 각 공급배관들은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유입관(331)을 통하여 세척액 및 에어를 공급받을 수 있다.
노즐(320)은 공급배관부(310)의 하단에 설치되며 공급배관부(310)에서 공급된 세척액을 하부에 위치한 코어(10)가 수용된 세척조를 향해 분사시킨다. 또한 건조 시에는 공급배관부(310)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같은 방향으로 분사시킬 수 있다. 노즐(320)의 재질은 황동(brass), PVC 외 다양한 재질이 가능하며, 노즐(320)의 분사형태는 세척 시 가장 양호한 성능을 발휘하는 4각형 분사형태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32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액 또는 에어의 분사각도(θ)가 예각이면 무방하나, 최적의 세척 및 건조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각도(θ)는 15°에서 65°이내가 바람직하다. 분사각도(θ)가 15°미만이면 밀어내는 힘만 강하여 이물질을 제대로 제거할 수 없고, 분사각도(θ)가 65°초과이면 하우징(241)의 내측 하부 벽면으로 때리는 힘만 강하여 세척액이 분사되는 부분의 국부적인 침전물 제거만이 이루어지므로 효율적이 못하기 때문이다.
복수의 공급배관부(310)를 설치하는 경우 코어의 세척 및 건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1공급배관(311), 제2공급배관(312) 및 제3공급배관(313)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노즐부(321), 제2노즐부(322) 및 제3노즐부(323)의 분사 각도를 각 노즐부별로 다르게 배치할 수 있다.
특히 코어(10)의 내경부(16) 사이에 형성된 결속 공간부(17)가 잘 건조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1노즐부(321)와 제2, 제3노즐부(322, 323)의 분사각도를 다르게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하우징(241)의 측면에 형성된 노즐부는 밀어내는 힘을 강하게 작용하도록 하고, 하우징(241) 중앙에 형성된 노즐부에서는 하우징(241)의 내측 하부벽면을 때리는 힘을 강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코어(10) 결속 공간부(17)의 건조 효율이 높이기 위해서는 제1노즐부(321)의 분사각도는 35°에서 65°이내가 되도록 하고 제2노즐부(322)와 제3노즐부(323)의 분사각도는 15°에서 45°이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각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노즐(320)을 통해 코어(10)의 내경부(16) 사이로 원활한 에어의 공급 가능하여 결속 공간부(17)의 유분을 효율적으로 제거 및 건조시킬 수 있다.
퀵커플러(330)는 공급배관부(310)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관(331)과 연결되며, 세척 시에는 세척액배관(340)을 연결시킬 수 있고, 건조 시에는 에어배관(350)에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 부재로 작용한다. 유입관(331)을 통과하는 세척액 또는 밸브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332)가 퀵커플러(330)와 공급배관부(3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세척 시에는 퀵커플러(330)와 연결된 세척액배관(340)을 통하여 세척액이 공급배관부(310)로 공급된다. 세척액은 세척액배관(340)과 연결된 세척액펌프(341)를 가동시켜 공급되며, 이 때 세척액의 유량은 밸브(332)를 통하여 조절할 수 있다.
건조 시에는 퀵커플러(330)와 연결된 에어배관(350)을 통하여 에어가 공급배관부(310)로 공급된다. 에어를 공급시키기 위한 에어펌프를 가동시켜 에어를 공급하는데, 에어의 유량은 밸브(332)를 통하여 조절할 수 있다.
배기후드(240) 전후면의 하부에 형성된 투시부(280)를 통하여 노즐(320)에서 분사되는 세척액 또는 에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세척액 또는 에어의 상태에 따라 필요시 밸브(332)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순환배관(360)은 세척조(100) 하단에 침전되는 세척 후의 세척액을 세척액배관(340)으로 재공급한다. 이 때 세척과정에서 사용된 세척액은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이물질이 제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세척조(100) 일측 하단의 순환배관(360)과 세척액배관(340) 사이에 세척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세척액필터(370)가 설치된다. 세척액필터(370)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세척액은 세척액펌프(341)를 통하여 세척액배관(340)으로 다시 공급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의 침전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의 침전조가 리프트카에 의해 세척조에 안착되는 모습이 도시된 정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조(120)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본체부(121)와 본체부(121) 좌측면과 우측면의 상단에 리프트카(20)의 적재부(21)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삽입홈(124), 본체부(121)의 전후좌우면 하단에 세척액이 유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유입부(122), 세척된 세척액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본체부(121)의 바닥부분에 형성된 배출구멍(123), 본체부의 전면 최상단으로부터 전면 중앙까지 플레이트가 생략된 절개부(125)를 포함한다.
침전조(120)는 한 번에 다량의 코어(10)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세척조(100) 내부로 장입이 가능하며, 리프트카(20)에 의하여 운반이 가능하다. 침전조(120)는 1회에 복수개의 코어(10), 예를 들어 약 80매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세척조(100) 내부에 쉽게 안착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가로변과 세로변의 길이가 세척조(100)의 가로변 및 세로변보다 작게 형성된다.
침전조(120)의 좌측면과 우측면의 상단에는 리프트카(20)의 적재부(21)의 삽입이 가능한 삽입홈(124)이 형성된다. 리프트카(20)의 적재부(124)를 침전조(120) 일측 삽입홈(124a)에 삽입 후 반대측 삽입홈(124b)으로 빠져 나오게 함으로써, 침전조(120)는 리프트카(20)의 적재부(21)와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안정적인 결합 구조로 인하여 침전조(120)는 리프트카(20)에 의한 수평 이동 및 수직 방향 승강이 가능하다.
침전조(120)를 세척조(100) 내부에 안착시킨 후 리프트카(20)의 적재부(21)를 침전조(120)의 삽입홈(124)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빼기 위해서 삽입홈(124)의 침전조(120) 최하단부로부터의 높이는 세척조(100) 침전조지지대(130)로부터 세척조(100)의 최상단까지의 길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삽입홈(124)의 침전조(120) 최하단부로부터의 높이는 코어(10)의 반지름의 길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만약 삽입홈(124)의 높이가 세척조(100) 침전조지지대(130)로부터 세척조(100)의 최상단까지의 길이보다 낮으면 적재부(21)의 삽입홈(124) 삽입 과정에서 세척조(100)와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삽입홈(124)의 높이가 코어(10)의 반지름 길이보다 낮으면 적재부(21)의 삽입홈(124) 삽입 과정에서 코어(10)와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유입부(122)는 침전조(120)의 하단에 형성되며. 침전조(120) 내로 세척액을 유입시켜 코어(10)의 침전이 가능하도록 전후좌우 방향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코어(10) 세척에 사용된 세척액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침전조(120) 바닥에는 다수개의 배출구멍(123)이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25)는 침전조(120)의 전면 상단에 형성된다. 침전조(120)의 좌측 상단에 형성된 삽입홈(124)이 형성되는 위치의 높이가 코어(10)의 반지름 길이보다 상단에 위치해야 하므로 침전조(120)의 전체적인 높이가 코어(10)의 반지름 길이보다 과도하게 높아질 수 있다. 하지만 침전조(120)에 코어(10)를 수용하는 과정은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침전조(120)의 전면 플레이트가 너무 높으면 작업자가 코어(10)를 침전조(120) 내부로 수납하기 불편하기 때문에 작업과정에서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침전조(120) 전면 상단에 절개부(125)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코어(10)를 침전조(120) 내부로 용이하게 수납 가능하도록 한다.
종래 기술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코어(10)를 한 장씩 세척조(100)로 운반하였기 때문에 작업자의 업무 부담이 가중되고, 작업 시간도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별도의 침전조(120)를 활용하여 다량의 코어(10)를 한 번에 수납하고, 침전조(120)를 리프트카(20)에 안정적으로 결합시켜 운반 후 세척조(100) 내에 용이하게 안착시킴으로써 작업시간을 줄이고, 작업자의 업무 부담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를 이용한 고정자 코어 세척 및 처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 세척 및 처리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S110 단계는 복수의 코어(10)를 별도로 제작된 침전조(120)에 투입시키는 코어 투입 단계이다. S120 단계는 침전조 장입단계로, S110단계에서 코어(10)가 투입된 침전조(120)를 리프트카(20)에 결합시켜 세척조(100)로 이동시킨 후 배기후드(240)가 상부로 상승된 상태에서 리프트카(20)를 이용하여 코어(10)가 수용된 침전조(120)를 세척조(100) 내부로 장입시키는 단계이다.
S130단계는 배기후드 하강단계로, S120단계에서 침전조(120)가 세척조(100)내부로 장입되면, 승강구동장치(250)를 사용하여 배기후드(240)를 하강시킨 후 세척조(100) 상단을 배기후드(240)로 덮어 밀폐시키는 단계이다. S110단계와 S130단계 사이에 세척조(100) 내에 세척액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세척액의 수위는 침전조 지지대(13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140단계는 세척액 공급단계로, 세척액배관(340)과 ?커플러(330)를 연결시킨 후 세척액펌프(341)를 가동하여 세척액을 세척액배관(340) 및 공급배관부(310)를 경유하여 노즐(320)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S150단계는 세척단계로, S140단계에서 세척액이 공급된 노즐(320)을 통하여 세척액을 코어(10)가 수용된 세척조(100) 방향으로 분사시켜 코어(10)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단계이다.
S160단계는 에어 공급단계로, 세척액배관(340)과 퀵커플러(330)를 분리하고 에어배관(350)과 퀵커플러(330)를 연결시킨 후 에어펌프를 가동하여 에어배관(350) 및 공급배관부(310)를 경유하여 에어를 노즐(320)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S170단계는 1차 건조단계로, S160단계에서 에어가 공급된 노즐(320)을 통하여 에어를 코어(10)가 수용된 세척조(100) 방향으로 분사시켜 코어(10)에 붙어 있는 세척액을 증발시키는 단계이며, S180단계는 코어(10)의 1차 건조가 완료된 이후 배기후드(240)를 상승시키는 단계이다.
S190단계는 침전조 장출단계로, S170단계에서 1차 건조가 완료된 침전조(120)를 리프트카(20)에 결합시킨 후, 리프트카(20)를 이용하여 코어(10)가 수용된 침전조(120)를 세척조(100) 외부로 장출시키는 단계이다.
S200단계는 이송단계로, S190단계에서 세척조(100) 외부로 장출된 침전조(120)를 리프트카(20)를 이용하여 콘베어 하부로 이송시킨 다음, 침전조(120) 내에 수용된 코어(10)가 한 장씩 장출된 후 콘베어의 행거에 결합되고, 콘베어의 행거에 고정 결합된 상태로 콘베어에 의해 페인트 부스 내로 이송되는 단계이다.
S210단계는 도장단계로, S200단계에서 페인트 부스 내로 이송된 코어(10)가 페인트 부스 내에서 도장되는 단계이다.
S220단계는 2차 건조단계로, S210단계에서 도장이 완료된 코어(10)가 콘베어에 의해 전자식 건조기 내로 이송된 후 전자식 건조기에 의해 다시 건조되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를 이용하면 환기부(200)를 통하여 세척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자동화된 기계 장치를 통하여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작업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좀 더 쾌적한 환경에서 코어(10)를 세척하고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분사부(300)를 이용하여 코어(10) 제품의 내경부(16) 사이에 형성된 결속 공간부(17)의 건조 효율을 증대시키고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세척조
120: 침전조 121: 본체부
122: 유입부 123: 배출구멍
124: 삽입홈 125: 절개부
130: 침전조 지지대
200: 환기부 210: 고정프레임
211: 보호가이드
220: 고정덕트 230: 승강덕트
240: 배기후드 241: 하우징
242: 블로워 팬 243: 프리필터부재
250: 승강구동장치
251: 와이어 로프 252: 와이어드럼
253: 모터 254: 회전축
255: 제1기어 256: 제2기어
260: 안전 가이드 280: 투시부
300: 분사부 310: 공급배관부
320: 노즐 330: 퀵 커플러
331: 유입관
340: 세척액배관 341: 세척액펌프
350: 에어배관
352: 에어밸브
360: 순환배관 370: 세척액필터

Claims (16)

  1. 내부에 복수의 고정자 코어를 수용할 수 있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세척조 상부에 설치되며 상하로 승강가능한 환기부; 및
    상기 세척조와 상기 환기부 사이에 형성되고, 세척액 및 에어를 상기 코어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조는, 상기 세척조 내부로 장입이 가능한 동시에 상기 세척조 외부로 장출이 가능한 침전조와, 상기 세척조 내부 하단에는 상기 침전조를 상기 세척조 바닥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안착시킬 수 있는 침전조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침전조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좌측면과 우측면의 상단에 리프트카의 적재부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본체부의 전후좌우면 하단에 세척액이 유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유입부와, 세척된 세척액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바닥부분에 형성된 배출구멍과, 상기 본체부의 전면 최상단으로부터 전면 중앙까지 플레이트가 생략된 절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는
    천정이나 벽면 등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되어 외부로 연결되는 고정덕트;
    상기 고정덕트와 연결되는 상하로 신축가능한 승강덕트;
    상기 승강덕트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세척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승강덕트로 배출시키는 배기후드;
    상기 배기후드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승강구동장치;
    상기 배기후드의 좌우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과 연결되는 신축가능한 안전 가이드; 및
    상기 배기후드 내부에 형성되어 세척액 유출을 방지하는 프리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코어를 세척하기 위해 상기 세척조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기후드 내부에 장착되어 세척액 및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배관부;
    상기 공급배관부와 연결되어 상기 코어에 세척액 및 에어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공급배관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공급배관부에 필요한 배관을 연결시킬 수 있는 퀵 커플러;
    상기 퀵 커플러와 연결 가능한 세척액배관과 상기 세척액배관을 통하여 세척액을 공급시키는 세척액펌프;
    상기 퀵 커플러와 연결 가능한 에어배관과 상기 에어배관을 통하여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상기 세척조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액배관으로 공급되는 세척액을 재활용하기 위한 순환배관;
    재활용되는 세척액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세척조 일측 하단에 설치되는 세척액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가장자리 상단에 보호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후드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개재되고 세척 및 건조 과정 중 발생하는 각종 유해가스 등을 흡입하여 상기 승강덕트로 배출 가능하도록 하는 블로워 팬;
    상기 블로워 팬의 하부에 개재되고 세척액 유출을 방지하는 프리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장치는
    상기 고정프레임 상단에 형성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서 연장되어 상기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에 맞물려 함께 회전 가능한 제2기어;
    상기 제2기어에 축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와이어드럼 및
    상기 와이어드럼에 권취되고 상기 배기후드의 양측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기후드를 승강시키는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가이드는 팬터그래프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후드의 전면과 후면의 하부에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
  9. 삭제
  10. 제5항에 있어서,
    공급배관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정중앙을 통과하는 제1공급배관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공급배관 및 제3공급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액 또는 에어의 분사각도는 15°에서 65°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배관, 상기 제2공급배관 및 상기 제3공급배관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노즐부, 제2노즐부 및 제3노즐부의 분사 각도를 각 노즐부별로 다르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는 위치의 높이는
    상기 세척조의 상기 침전조지지대로부터 상기 세척조의 최상단까지의 길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코어의 반지름의 길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
  15. 복수의 코어를 별도로 제작된 침전조에 투입시키고 상기 침전조를 리프트카에 결합시켜 세척조로 이동시킨 후 상기 리프트카를 이용하여 상기 코어가 수용된 상기 침전조를 상기 세척조 내부로 장입하는 침전조 장입단계;
    세척액펌프를 가동하여 세척액을 노즐로 공급하고 상기 노즐을 통하여 세척액을 상기 코어가 수용된 상기 세척조 방향으로 분사시켜 상기 코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세척단계;
    에어펌프를 가동하여 에어를 상기 노즐로 공급하고 상기 노즐을 통하여 에어를 상기 코어가 수용된 상기 세척조 방향으로 분사시켜 상기 코어에 붙어 있는 세척액을 증발시키는 1차 건조단계;
    상기 침전조를 리프트카에 결합시킨 후 상기 리프트카를 이용하여 상기 코어가 수용된 상기 침전조를 상기 세척조 외부로 장출하는 침전조 장출단계;
    상기 침전조 내에 수용된 코어가 콘베어의 행거에 고정 결합된 상태로 상기 콘베어에 의해 페인트 부스 내로 이송되는 이송단계;
    상기 페인트 부스 내로 이송된 코어가 상기 페인트 부스 내에서 도장되는 도장단계;
    상기 도장된 코어가 전자식 건조기 내로 이송된 후 상기 전자식 건조기에 의해 건조되는 2차 건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조는, 상기 세척조 내부로 장입이 가능한 동시에 상기 세척조 외부로 장출이 가능한 침전조와, 상기 세척조 내부 하단에는 상기 침전조를 상기 세척조 바닥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안착시킬 수 있는 침전조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침전조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좌측면과 우측면의 상단에 리프트카의 적재부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본체부의 전후좌우면 하단에 세척액이 유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유입부와, 세척된 세척액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바닥부분에 형성된 배출구멍과, 상기 본체부의 전면 최상단으로부터 전면 중앙까지 플레이트가 생략된 절개부
    를 포함하는 고정자 코어 세척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 장입 단계와 상기 세척단계 사이에 세척액을 상기 세척조 내로 투입시키는 세척액 투입단계를 더 포함하고, 투입되는 세척액의 수위는 상기 침전조지지대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 세척 방법.
KR1020170044982A 2017-04-06 2017-04-06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 KR101879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982A KR101879125B1 (ko) 2017-04-06 2017-04-06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982A KR101879125B1 (ko) 2017-04-06 2017-04-06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125B1 true KR101879125B1 (ko) 2018-08-16

Family

ID=63443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982A KR101879125B1 (ko) 2017-04-06 2017-04-06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1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7076A (zh) * 2019-03-28 2019-06-14 浙江江潮电机实业有限公司 一种电机绕组定子铁芯内外表面自动清理专机及其使用方法
KR20200014044A (ko) * 2018-07-31 2020-02-10 이선범 레인지 후드
KR102108285B1 (ko) * 2019-10-15 2020-05-07 이성주 자동 세척기
KR102269555B1 (ko) * 2020-08-20 2021-06-28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436B1 (ko) * 2014-09-19 2015-12-03 원영식 챔버용 잔류가스 배기후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436B1 (ko) * 2014-09-19 2015-12-03 원영식 챔버용 잔류가스 배기후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044A (ko) * 2018-07-31 2020-02-10 이선범 레인지 후드
KR102078464B1 (ko) 2018-07-31 2020-02-17 이선범 레인지 후드
CN109877076A (zh) * 2019-03-28 2019-06-14 浙江江潮电机实业有限公司 一种电机绕组定子铁芯内外表面自动清理专机及其使用方法
KR102108285B1 (ko) * 2019-10-15 2020-05-07 이성주 자동 세척기
KR102269555B1 (ko) * 2020-08-20 2021-06-28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125B1 (ko)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
KR101701517B1 (ko) 캡슐형 세정기
KR101594172B1 (ko) 분체 도장 장치
PL186021B1 (pl) Przemysłowe urządzenie do czyszczenia
CN104084356A (zh) 油漆环保涂装生产线
KR20170049752A (ko) 알루미늄 거푸집 세척장치 및 방법
JP4568251B2 (ja) 複数種類のパレットに対応可能な脱水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洗浄設備
CN111906074A (zh) 发动机平衡器壳体清理系统
KR101470301B1 (ko) 표면가공을 포함하는 가공부품의 이물질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0796946B1 (ko) 철구조물을 처리하기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KR101718097B1 (ko) 다단 접촉식 스크래퍼와 열풍 건조식 복합 구조를 갖는 인발파이프 교정기용 교정유 제거 및 회수장치
CN218554987U (zh) 一种龙门机械手清洗装置
KR102021958B1 (ko) 화학 연마 장치
KR101632233B1 (ko) 기계부품의 방청코팅장치
CN107335657B (zh) 清洗机的回转机构
CN215965424U (zh) 一种滑移式半封闭清洗装置
CN213700974U (zh) 一种线路板加工用沉金前处理机
CN108971127A (zh) 光纤周转盒专用清洗及干燥设备
CN212329122U (zh) 适用于铸铁件清洗的超声波清洗装置
CN211801962U (zh) 一种鞋垫加工烘干喷漆一体机
TWI388381B (zh) 光罩回收設備
CN104646376A (zh) 一种智能高效高压清洗机
CA3012208C (en) Mat washing system
CA3055943A1 (en) Mat washing system
CN214109921U (zh) 一种五金制品加工用高效打磨抛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