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555B1 -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555B1
KR102269555B1 KR1020200104352A KR20200104352A KR102269555B1 KR 102269555 B1 KR102269555 B1 KR 102269555B1 KR 1020200104352 A KR1020200104352 A KR 1020200104352A KR 20200104352 A KR20200104352 A KR 20200104352A KR 102269555 B1 KR102269555 B1 KR 102269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gas
dust collector
hood
f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순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Priority to KR1020200104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5Devices for supplying or evacuating shield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a central suction system, e.g. for collecting exhaust gases in worksh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은, 밀폐공간의 내부에서 용접 시 상기 밀폐공간의 내부가스를 순환 및 배출시키는 가스배출단계; 및 높이조절되는 흡입후드를 가진 흄집진기를 웰딩카에 구비시켜, 상기 밀폐공간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용접작업위치에서의 흄을 제거하는 흄제거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METHOD FOR REMOVING WELDING GAS OF CONFINED SPACES}
본 발명은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으로서, LNG탱크 내부와 같은 밀폐공간에서 용접작업 시 발생하는 용접가스를 제거하는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된 공간에서 용접작업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흄(fume) 및 미세분진이 작업환경을 열악하게 만드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와 같은 주요 요인은 일차적으로 근로자의 체력저하와 산업재해를 유발한다.
특히, 용접작업시 발생하는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흄을 포함한 용접가스가 심각한 산업안전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이러한 흄을 포함한 용접가스는 사람이 흡입하게 되면 폐에 침착하게 되어 인체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391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흄을 포함한 용접가스를 효과적이면서도 확실하게 제거하는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은, 밀폐공간의 내부에서 용접 시 상기 밀폐공간의 내부가스를 순환 및 배출시키는 가스배출단계; 및 높이조절되는 흡입후드를 가진 흄집진기를 웰딩카에 구비시켜, 상기 밀폐공간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용접작업위치에서의 흄을 제거하는 흄제거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스배출단계는, 상기 밀폐공간 내부의 바닥에 설치된 순환팬으로 상기 내부가스를 상기 밀폐공간 내부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환시키는 가스순환공정; 및 순환되는 상기 내부가스를 상기 밀폐공간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팬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공정;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흄제거단계는, 상기 웰딩카에 흄집진기를 배치하는 집진기배치공정; 및 상기 흄집진기에 형성된 주름관 단부의 상기 흡입후드 높이를 용접작업위치의 높이에 따라 조절하는 후드높이조절공정;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집진기배치공정은, 상기 웰딩카의 상부에 상기 흄집진기를 안착시키는 집진기안착과정; 및 상기 주름관을 상기 웰딩카의 하부 측으로 배치시키는 관배치과정;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드높이조절공정은, 용접작업위치가 하측에 위치 시, 상기 흡입후드를 하강시키는 후드하강과정; 및 용접작업위치가 상측에 위치 시, 상기 흡입후드를 상승시키는 후드상승과정;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흄집진기에 구비된 윈치에는, 상기 주름관을 통해 하방배치되어 하단부가 상기 흡입후드와 연결된 와이어가 감기며, 상기 후드하강과정은 상기 윈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풀리면서 이루어지고, 상기 후드상승과정은 상기 윈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감기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흄제거단계는, 용접작업위치가 측방향에 위치 시, 상기 웰딩카에 장착된 휠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웰딩카를 횡방향 이동시키는 웰딩카이동공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은, 밀폐공간의 내부에서 용접 시 밀폐공간의 내부가스를 순환 및 배출시키는 가스배출단계가 구성됨으로써, 밀폐공간의 바닥에 머물러서 정체된 용접가스를 밀폐공간의 상측으로 불어 올려서 순환시킴에 따라, 용접열에 의해 상승하여 밀폐공간 상부에 머무르는 용접가스뿐만 아니라 상당 시간 후에 밀폐공간의 바닥에 가라앉는 용접가스 모두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되는 흡입후드를 가진 흄집진기를 웰딩카에 구비시켜 밀폐공간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용접작업위치에서의 흄을 제거하는 흄제거단계가 구성됨으로써, 용접작업하는 작업자가 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흄에 의해 작업자의 건강에 치명적인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을 지닌다.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밀폐공간의 내부가스를 순환 및 배출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웰딩카에 흄집진기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웰딩카가 LNG탱크의 내부측벽에 걸쳐진 상태에서 세로용접부가 용접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웰딩카가 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로용접부가 용접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소자나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며, 도 2는 밀폐공간의 내부가스를 순환 및 배출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밀폐공간(S)의 용접가스 제거방법은 가스배출단계(S110)와 흄제거단계(S2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가스배출단계(S110)는 밀폐공간(S)의 내부에서 용접 시 밀폐공간(S)의 내부가스를 순환 및 배출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밀폐공간(S)은 일례로서 LNG 탱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탱크 내측의 공간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LNG 탱크를 제외한 다른 여러 가지 밀폐된 공간을 포함한다.
LNG탱크(T)의 내측에 형성된 내부측벽(W)에서 용접 시 용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용접가스가 바닥에 가라앉아서 쌓이게 되는데, 이러한 용접가스를 사람이 흡입하게 되면 인체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의 용접가스는 용접작업 시 발생하는 아연가스, 일산화탄소 등의 가스와, 고온의 용접온도에서 금속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증기에 포함된 금속의 미세한 입자인 흄(fume)을 포함하여, 용접작업으로 인하여 생기는 모든 유해한 가스를 통칭한다.
이에 본 발명은 용접 중에 발생되어 밀폐공간(S)의 바닥에 쌓이는 용접가스를, 가스배출단계(S110)를 통해 순환시키면서 아울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스배출단계(S110)는 가스순환공정(S110)과 가스배출공정(S1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스순환공정(S110)은 가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밀폐공간(S) 내부의 바닥에 설치된 순환팬(110)으로 내부가스를 밀폐공간(S) 내부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환시키는 공정이다.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LNG탱크(T)의 바닥에는 복수 개의 순환팬(11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복수 개의 순환팬(110)이 작동함으로써 바닥에 쌓여서 적체된 용접가스가 유동하여 내부공간의 전체적인 부분으로 순환하게 된다.
이때, 복수 개의 순환팬(110)의 설치위치, 설치방향에 따라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내부가스가 순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배출공정(S120)은 가스순환공정(S110)에 의하여 순환되는 내부가스를 밀폐공간(S)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팬(120)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정이다.
실질적으로 용접작업 시 용접가스는 고온의 용접열에 의해 상승하여 밀폐공간(S)의 상부로 퍼져서 머무르게 되며, 이후 일정 정도의 시간이 지난 다음에 점차적으로 바닥에 내려온다.
이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LNG탱크(T)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배출팬(120)이 설치되어, 이러한 복수 개의 배출팬(120)이 작동함으로써 상부에 머물러 있는 용접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나아가, 바닥에 쌓인 용접가스도 가스순환공정(S110)을 통해 상측으로 순환유동 시, LNG탱크(T)의 상부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배출팬(120)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가스배출단계(S110)와 함께 흄제거단계(S200)가 수행되는데, 흄제거단계(S200)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웰딩카에 흄집진기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및 도 5는 웰딩카가 LNG탱크의 내부측벽에 걸쳐진 상태에서 세로용접부가 용접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웰딩카가 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로용접부가 용접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흄제거단계(S200)는 높이조절되는 흡입후드(350)를 가진 흄집진기(300)를 웰딩카(200)에 구비시켜, 밀폐공간(S)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용접작업위치에서의 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밀폐공간(S)에서 용접작업 시 용접부위에서 흄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흄은 인접한 작업자에게 흡입되어 중금속이 흡수됨으로써, 작업자는 폐렴과 함께 금속열이 발생할 수 있고, 나아가 이러한 폐렴 또는 급성 기관지염은 합병증으로 일시적인 급성신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흄집진기(300)로 용접작업위치에서 직접적으로 흄을 제거하는 흄제거단계(S200)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흄제거단계(S200)는 집진기배치공정(S210)과 후드높이조절공정(S2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집진기배치공정(S210)은 웰딩카(200)에 흄집진기(300)를 배치하는 공정이다.
이때 웰딩카(welding car)(200)는 용접을 위해 작업자의 발판(F)을 걸칠 수 있는 작업대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수직방향에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작업자의 용접작업이 가능하도록 발판(F)이 걸쳐질 수 있는 구조로서 타워형 구조로 형성된다. 참고로, 웰딩카(200)에서 제일 하부에 놓여지는 발판(F)은 웰딩카(2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웰딩카(200)에 흄집진기(300)를 설치함으로써, 웰딩카(200)에서 작업자가 용접작업 시 흄집진기(300)를 통해 흄이 인접한 위치에서 곧바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집진기배치공정(S210)은 집진기안착과정(S211)과 관배치과정(S212)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집진기안착과정(S211)은 웰딩카(200)의 상부에 흄집진기(300)를 안착시키는 과정이며, 상기 관배치과정(S212)은 주름관(340)을 웰딩카(200)의 하부 측으로 배치시키는 과정이다.
이와 같이 흄집진기(300)를 웰딩카(200)의 상부에 안착고정시키고 흄집진기(300)의 주름관(340)을 하측으로 연장시킴으로써, LNG탱크(T)의 내부측벽(W)에서 하부부터 상측으로 용접작업위치가 바뀌면서 용접작업이 수행될 때, 후술되는 후드높이조절공정(S220)에서 주름관(340) 단부의 흡입후드(350)를 이와 대응되게 점차적으로 올릴 수가 있어서, 용접작업위치에서의 흄이 확실하게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후드높이조절공정(S220)은 흄집진기(300)에 형성된 주름관(340) 단부의 상기 흡입후드(350) 높이를 용접작업위치의 높이에 따라 조절하는 고정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NG탱크(T)의 내부측벽(W)에서 가로용접부(H)와 세로용접부(V) 중에서 세로용접부(V)를 용접작업을 할 때에는, 용접작업위치가 수직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변경된다.
이에 LNG탱크(T)의 내부측벽(W)에서 하부부터 상측으로 용접작업위치가 바뀌면서 용접작업이 수행되거나 상부부터 하측으로 용접작업위치가 바뀌면서 용접작업이 수행되어야 함에 따라, 이와 대응되게 흄집진기(300)의 흡입후드(350)도 높이조절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드높이조절공정(S220)은 후드하강과정(S221)과, 후드상승과정(S22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드하강과정(S221)은 용접작업위치가 하측에 위치 시, 흡입후드(350)를 하강시키는 과정이다.
또한, 후드상승과정(S222)은 용접작업위치가 상측에 위치 시, 흡입후드(350)를 상승시키는 과정이다.
이와 같은 후드하강과정(S221)과 후드상승과정(S222)은 흄집진기(300)에 구비된 윈치(330)와 이러한 윈치(330)에 감기면서 주름관(340)의 흡입후드(350)에 연결된 와이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윈치(330)는 주름관(340)의 상단부가 연통되며, 흄집진기(300)의 본체(310)와 연결관(320)을 통해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흄집진기(300)의 윈치(330)에는 와이어(미도시)가 감기는데, 이러한 와이어(미도시)는 주름관(340)을 통해 하방배치되어 하단부가 흡입후드(35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후드하강과정(S221)은 윈치(330)의 작동에 의해, 즉 윈치(330)에서 와이어가 감긴 풀리가 정방향 회전되게 작동하여 와이어가 풀리면서 이루어진다.
즉, 윈치(330)를 작동시켜서 와이어를 권출시켜 흡입후드(350)를 하강하게 함으로써, 웰딩카(200)를 기준으로 하부에서 용접작업을 하는 경우에 흡입후드(350)를 하측의 용접작업위치까지 내릴 수 있다.
또한, 후드상승과정(S222)은 윈치(330)의 작동에 의해, 즉 윈치(330)에서 와이어가 감긴 풀리가 역방향 회전되게 작동하여 와이어가 감기면서 이루어진다.
즉, 윈치(330)를 작동시켜서 와이어를 권취시켜 흡입후드(350)를 상승하게 함으로써, 웰딩카(200)를 기준으로 상부에서 용접작업을 하는 경우에 흡입후드(350)를 상측의 용접작업위치까지 올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용접작업위치에 따라 후드높이조절을 하도록 후드높이조절공정(S220)이 구성됨으로써, 밀폐공간(S)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용접작업위치에서의 흄을 인접한 위치에서 흡입하여, 용접작업하는 작업자가 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흄에 의해 작업자의 건강에 치명적인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여기에서 후드하강과정(S221)과 후드상승과정(S222)은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고, 역으로 후드상승과정(S222) 이후에 후드하강과정(S221)이 진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LNG탱크(T)의 내부측벽(W)에서 가로용접부(H)와 세로용접부(V) 중에서 가로용접부(H)를 용접작업을 할 때에는, 용접작업위치가 가로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변경된다.
이에 LNG탱크(T)의 내부측벽(W)에서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용접작업위치가 바뀌면서 용접작업이 수행되어야 함에 따라, 웰딩카(200)의 이동과 함께 흄집진기(300)도 연동되어 이동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흄제거단계(S200)는 웰딩카이동공정(S2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웰딩카이동공정(S230)은 용접작업위치가 측방향에 위치 시, 웰딩카(200)에 장착된 휠(201)의 회전에 의해 웰딩카(200)를 횡방향 이동시키는 공정이다.
이러한 웰딩카이동공정(S230)에 의해 웰딩카(200)와 함께 웰딩카(200)에 구비된 흄집진기(300)도 함께 이동함으로써, 용접작업위치가 측방향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용접과 함께 흄의 제거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참고로, 웰딩카(200)의 휠(201)은 LNG탱크 내부측벽(W)의 상면에 안착되어 내부측벽(W)의 상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밀폐공간(S)의 용접가스 제거방법은, 밀폐공간(S)의 내부에서 용접 시 밀폐공간(S)의 내부가스를 순환 및 배출시키는 가스배출단계(S110)가 구성됨으로써, 밀폐공간(S)의 바닥에 머물러서 정체된 용접가스를 밀폐공간(S)의 상측으로 불어 올려서 순환시킴에 따라, 용접열에 의해 상승하여 밀폐공간(S) 상부에 머무르는 용접가스뿐만 아니라 상당 시간 후에 밀폐공간(S)의 바닥에 가라앉는 용접가스 모두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되는 흡입후드(350)를 가진 흄집진기(300)를 웰딩카(200)에 구비시켜 밀폐공간(S)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용접작업위치에서의 흄을 제거하는 흄제거단계(S200)가 구성됨으로써, 용접작업하는 작업자가 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흄에 의해 작업자의 건강에 치명적인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S110 : 가스배출단계 S110 : 가스순환공정
S120 : 가스배출공정 S200 : 흄제거단계
S210 : 집진기배치공정 S211 : 집진기안착과정
S212 : 관배치과정 S220 : 후드높이조절공정
S221 : 후드하강과정 S222 : 후드상승과정
S230 : 웰딩카이동공정 T : LNG탱크
S : 밀폐공간 : W : 내부측벽
H : 가로용접부 V : 세로용접부
110 : 순환팬 120 : 배출팬
200 : 웰딩카 201 : 휠
300 : 흄집진기 310 : 본체
320 : 연결관 330 : 윈치
340 : 주름관 350 : 흡입후드

Claims (7)

  1. 밀폐공간의 내부에서 용접 시 상기 밀폐공간의 내부가스를 순환 및 배출시키는 가스배출단계; 및
    높이조절되는 흡입후드를 가진 흄집진기를 웰딩카에 구비시켜, 상기 밀폐공간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용접작업위치에서의 흄을 제거하는 흄제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배출단계는,
    상기 밀폐공간 내부의 바닥에 설치된 순환팬으로 상기 내부가스를 상기 밀폐공간 내부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환시키는 가스순환공정; 및
    순환되는 상기 내부가스를 상기 밀폐공간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팬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공정;을 구비하여,
    상기 순환팬은 상기 밀폐공간의 바닥에 복수 개가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배출팬은 상기 밀폐공간의 상부에 복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가스배출단계에서 상기 밀폐공간의 바닥에 쌓여서 적체된 용접가스를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순환시켜 상기 밀폐공간 내부의 전체적인 부분으로 순환시키면서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흄제거단계는,
    상기 웰딩카에 흄집진기를 배치하는 집진기배치공정; 및
    상기 흄집진기에 형성된 주름관 단부의 상기 흡입후드 높이를 용접작업위치의 높이에 따라 조절하는 후드높이조절공정; 및
    용접작업위치가 측방향에 위치 시, 상기 웰딩카에 장착된 휠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웰딩카를 횡방향 이동시키는 웰딩카이동공정;을 구비하며,
    상기 웰딩카는 수직방향에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용접작업이 가능하도록 발판이 걸쳐지는 구조로서 타워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흄집진기가 배치되어, 상기 흄제거단계에서 수직방향에서 변경되는 용접작업위치에 따라 상기 흡입후드의 높이가 조절되고 측방향에서 변경되는 용접작업위치에 따라 상기 웰딩카가 횡방향 이동되면서, 상기 웰딩카에서 용접작업 시 상기 흄집진기에 의한 흄의 제거가 함께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배치공정은,
    상기 웰딩카의 상부에 상기 흄집진기를 안착시키는 집진기안착과정; 및
    상기 주름관을 상기 웰딩카의 하부 측으로 배치시키는 관배치과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높이조절공정은,
    용접작업위치가 하측에 위치 시, 상기 흡입후드를 하강시키는 후드하강과정; 및
    용접작업위치가 상측에 위치 시, 상기 흡입후드를 상승시키는 후드상승과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흄집진기에 구비된 윈치에는, 상기 주름관을 통해 하방배치되어 하단부가 상기 흡입후드와 연결된 와이어가 감기며,
    상기 후드하강과정은 상기 윈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풀리면서 이루어지고, 상기 후드상승과정은 상기 윈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감기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
  7. 삭제
KR1020200104352A 2020-08-20 2020-08-20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 KR102269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352A KR102269555B1 (ko) 2020-08-20 2020-08-20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352A KR102269555B1 (ko) 2020-08-20 2020-08-20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555B1 true KR102269555B1 (ko) 2021-06-28

Family

ID=7660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352A KR102269555B1 (ko) 2020-08-20 2020-08-20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5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1368A (ja) * 1993-11-30 1995-06-13 Honda Motor Co Ltd 作業場内の排気装置
KR101879125B1 (ko) * 2017-04-06 2018-08-1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
KR102043911B1 (ko) 2017-09-12 2019-11-13 한국기계연구원 회전형 보호가스 공급 및 흄 제거장치
KR20200040480A (ko) * 2018-10-10 2020-04-20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배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1368A (ja) * 1993-11-30 1995-06-13 Honda Motor Co Ltd 作業場内の排気装置
KR101879125B1 (ko) * 2017-04-06 2018-08-1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고정자 코어용 자동 세척 장치
KR102043911B1 (ko) 2017-09-12 2019-11-13 한국기계연구원 회전형 보호가스 공급 및 흄 제거장치
KR20200040480A (ko) * 2018-10-10 2020-04-20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배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45659C (zh) 热切割加工机以及使用该热切割加工机的切割方法
JP5719474B2 (ja) 電気炉用屋根
CN108513553B (zh) 作业车辆
KR102269555B1 (ko) 밀폐공간의 용접가스 제거방법
BR112014032362B1 (pt) instalação móvel para aspiração e tratamento de gases e/ou poeira e/ou misturas gasosas
JP2013018618A (ja) 昇降路内機器点検用の作業台装置
KR101160459B1 (ko)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US3134014A (en) Welding apparatus
JP2007253236A (ja) ろう付け/溶接マニピュレータおよびノズルの操作方法
JPH10249573A (ja) 熱切断加工機における吸塵方法および装置
JP6989342B2 (ja) 上昇管清掃装置
KR101033312B1 (ko)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 방법
KR20200112829A (ko) 웨이퍼 세정처리장치 및 웨이퍼 세정방법
CN105499855B (zh) 大型储罐自动焊辅助工作仓及其使用方法
CN214024238U (zh) 一种龙门式焊接带除尘功能焊接工作站
JP3583925B2 (ja) 溶接作業用排煙設備
JP7165573B2 (ja) 集塵装置及び集塵方法
KR101170717B1 (ko) 순환식과 집중식 포집구조를 겸용한 휴대용 흄집진기
JP2009161346A (ja) エレベータ
JPH0687092A (ja) 加工設備の排煙装置
JP5511519B2 (ja) クリーンルームおよびそのエア供給装置の制御方法
CN217596157U (zh) 一种八字筋对焊机
US4081178A (en) Apparatus for collection of tapping gases from electric smelting furnaces
CN214816054U (zh) 一种建筑工程施工模板焊接装置
CN215615937U (zh) 一种用于焊接机的焊接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