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599B1 -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감소를 위한 공침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감소를 위한 공침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599B1
KR101878599B1 KR1020170039525A KR20170039525A KR101878599B1 KR 101878599 B1 KR101878599 B1 KR 101878599B1 KR 1020170039525 A KR1020170039525 A KR 1020170039525A KR 20170039525 A KR20170039525 A KR 20170039525A KR 101878599 B1 KR101878599 B1 KR 101878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sulfonylmethane
mannitol
mixture
starch
ab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환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39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5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95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e.g. thiols
    • A61K31/10Sulfides; Sulfoxides; Sulf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조정을 위한 공침조성물은, 메틸설포닐메테인, 비타민C, 만니톨, 당알코올 감미료, 당류, 덱스트린,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 및 스타치를 포함하고, 연골, 근육, 피부 및 모발 생성에 도움을 주는 메틸설포닐메테인과 항산화작용 및 면역증강작용을 가진 비타민C를 복합함으로써 연골 및 근육 구성물질인 콜라겐 생성에 도움이 되는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조정을 위한 공침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감소를 위한 공침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COPRECIPITATION COMPOSITION FOR ACCELERATING THE ABSORPTION AND ADJUSTMENT OF THE TASTE OF METHYL SULFONYL METHANEMANNITOL AND ITS PREPARATION METHOD}
본 발명은 메틸설포닐메테인 고형제제의 생체 내 흡수를 촉진하고 강한 고미를 감소시켜 복용하기 쉽도록 하며 여기에 비타민C를 복합함으로써 연골, 근육, 피부 및 모발의 구성성분인 콜라겐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감소를 위한 공침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결합조직인 연골, 근육, 피부, 손톱 및 모발 등에는 유기유황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주로 시스틴, 시스테인 및 메치오닌 등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 몸은 1일 1,500mg정도의 유황이 필요하지만 현재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물에는 30~40mg 정도로써 식이유황 보충제를 통한 섭취가 필요하다.
마늘, 양파, 부추 등 음식물을 통하여 섭취되는 식이유황은 소장에서 시스틴, 시스테인이나 메치오닌과 같은 아미노산형으로 흡수되며 노화에 따라 감소되므로 식이를 통하여 보충해주는 것이 좋다.
유기유황 중 대표적인 성분인 메틸설포닐메테인은 분말 또는 액제로 복용할 경우 고미가 너무 강하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복용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메틸설포닐메테인 분말에 부형제, 결합제, 활택제 등의 첨가제를 가하여 정제 또는 캡슐로 제조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체내에서 흡수가 느리고 약효가 감소된다.
또한, 분말제품은 물과 함께 복용하는 경우 가루가 날리고 복용량이 일정치 않으며, 강한 고미로 인하여 어린아이와 비위가 약한 성인층에도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식품으로 보충하기 어려운 식이유황인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을 복합한 공침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메틸설포닐메테인의 흡수촉진 및 고미조정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연골, 근육, 피부 및 모발 생성에 도움을 주는 메틸설포닐메테인과 항산화작용 및 면역증강작용을 가진 비타민C를 복합함으로써 연골 및 근육 구성물질인 콜라겐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감소를 위한 공침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조정을 위한 공침조성물은, 메틸설포닐메테인, 비타민C, 만니톨, 당알코올 감미료, 당류, 덱스트린,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 및 스타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조정을 위한 공침조성물은, 전체 100중량부에 대해 메틸설포닐메테인 9 내지 11중량부, 비타민C 1.0 내지 1.4중량부, 만니톨 50 내지 80중량부, 당알코올 감미료 5 내지 8중량부, 당류 6 내지 10중량부, 덱스트린 8 내지 12중량부,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 0.8 내지 1.2중량부 및 스타치 4 내지 6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알코올 감미료는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소르비톨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류는, 글루코스, 결정과당, 유당, 백당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덱스트린은, 베타시클로덱스트린, 알파시클로덱스트린, 감마시클로덱스트린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는, 스테비오사이드,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타치는 콘스타치, 포테이토스타치, 휘트스타치,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조정을 위한 공침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a) 재료 및 도구 준비단계; (b) 만니톨 500 내지 800g을 용기에 담아 정제수 1.6 내지 2.4L를 붓고, 70 내지 90도에서 가열하여 녹이는 단계; (c) 별도로 메틸설포닐메테인 90 내지 110g을 취하고 정제수 0.3 내지 0.5L를 가하여 70 내지 90도에서 가열하여 녹인 후, 상기(b)의 만니톨 용액에 가해주고 균등하게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제1 혼합물을 3 내지 5도에서 24시간 숙성하는 단계; (e) 상기 숙성된 제1혼합물에서 가라앉은 결정을 모아 여과한 후 30 내지 50도에서 통풍건조 하여 메틸설포닐메테인 및 만니톨 공침분말을 얻는 단계; (f) 상기 메틸설포닐메테인 및 만니톨 공침분말 600 내지 800g을 조제용기에 넣고 당알코올 감미료 50 내지 80g, 당류 60 내지 100g 및 덱스트린 80 내지 120g을 순차적으로 첨가한 후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g) 다른 용기에 따로 스타치 40 내지 60g을 첨가하고, 정제수 2.0 내지 2.4L를 부어 90도 내지 100도로 가열하고, 교반하는 단계; (h) 상기 (g)단계에서 생성된 스타치에,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 8 내지 12g 을 가하여 교반하고, 50도 이하에서 비타민C 10 내지 14g을 가한 후 혼합하여 최종스타치를 완성하는 단계; (i) 상기 제2 혼합물에 상기 최종스타치를 소량씩 가해주면서 습윤 및 연화시켜 입상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j) 상기 입상 혼합물을 열풍건조기에 넣고 40 내지 60도에서 24시간 건조시키는 단계 및 (k) 상기에서 건조된 입상 혼합물을 12 내지 16메쉬 크기를 가지는 체에 걸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단계에서 얻은 메틸설포닐메테인 및 만니톨 공침분말의 분자구조는,
Figure 112017030575552-pat00001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조정을 위한 공침조성물 및 제조방법은, 연골, 근육, 피부 및 모발 생성에 도움을 주는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공침조성물을 제조한 후, 여기에 항산화작용 및 면역증강작용을 가진 비타민C를 복합함으로써 연골 및 근육 구성물질인 콜라겐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생체 내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조정을 위한 공침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체내에서 흡수가 느리고 약효가 감소할 수 있는 부형제, 결합제, 활택제 등의 첨가제를 가하여 제조되는 과정에서 과립제조 및 타정과정을 거친 조성물에 비해, 공침물로 제작되어 용출속도가 빠르고 생체이용률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은 먼저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공침분말을 제조하여 메틸설포닐메테인의 용해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소화관 내 흡수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강한 고미를 감소시켜 어린아이와 비위가 약한 성인층이 복용하기가 수월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조정을 위한 공침조성물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조정을 위한 공침조성물은, 메틸설포닐메테인, 비타민C, 만니톨, 당알코올 감미료, 당류, 덱스트린,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 및 스타치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메틸설포닐메테인(MSM, Methyl Sulfonylmethane)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체의 구성성분 중 유황은 수소, 산소, 질소에 이어 우리 몸속에 8번째로 많은 성분이며 약 140g 정도를 함유하고 있다.
유황은 광물성, 동물성, 식물성 유황 등으로 크게 3가지 형태로 분류되며 우리 몸 안에는 대부분 유기유황으로 존재한다.
유황온천, 유황오리 및 작물 재배 용 비료 등에 사용하는 광물성 유황과 녹용, 우황, 웅담 및 사향 등의 동물성 유황 그리고 소나무, 은행나무, 편백나무, 인삼, 마늘, 양파, 부추, 삼채 등의 식물성 유황으로 구분된다.
유기유황은 식이유황으로도 부르며 인체의 결합조직인 연골, 근육, 피부, 손톱 및 모발 등에 함유되어 있으며, 우리 몸이 필요로 하는 유황은 1일 1500mg정도가 필요하나 현재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물에는 30~40mg 정도이므로 식이유황 보충제를 통한 섭취가 필요하다.
음식물을 통하여 섭취되는 식이유황은 소장에서 시스틴, 시스테인이나 메치오닌과 같은 아미노산형으로 흡수되며 노화에 따라 감소되므로 식이를 통하여 보충해주는 것이 좋다.
유기유황 중 대표적인 성분인 메틸설포닐메테인(MSM, Methyl Sulfonylmethane)은 디메틸설폰(Dimethylsulfone)으로도 불리워지며 디메틸설폭시드(Dimethyl sulfoxide)의 산화대사산물이다.
메틸설포닐메테인은 유황성분(Sulfur)이 34.06%가 함유되어 있고, 산소(Oxygen)는 34%, 탄소(Carbon)는 25.52%, 수소(Hydrogen)가 6.42%가 함유되어 있다.
메틸설포닐메테인은 미국 Stanley Jacob 박사와 Robert Herschler 박사의 공동연구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당시 의학계의 혁명으로 평가 받았다.
비타민 연구로써 세계적으로 유명한 칼 파이퍼 박사는 20세기가 비타민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유황의 시대가 될 것이라고 예견한 바 있다.
메틸설포닐메테인의 효능을 살펴보면 관절 연골과 신경계의 재생 또는 부활을 유도해 관절염을 비롯한 각종 통증과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이외에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가지 질병 및 질환에 적용할 수 있다.
신경섬유를 통한 통증자극을 차단시켜 염증과 근육경련을 감소시키고 혈액의 흐름을 증가시켜 통증을 완화시킨다.
인체를 해독하고 혈액의 공급을 증가시켜 인체의 모든 체세포조직의 탄력과 유연성을 유지시킨다.
피부 진피층의 콜라겐을 강화하고 케라틴의 기능을 향상시켜 피부탄력성 회복과 노화 지연에 도움이 된다.
활성산소로 인해 손상된 DNA를 복구시켜주고, 면역세포의 생산을 촉진하며 중금속과 각종 유해물질을 해독한다.
메틸설포닐메테인은 C섬유신경망을 통해 통증자극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두뇌의 통증 반응을 일시적으로 차단하여 신속하고 안정적인 진통효과를 내는 천연의 진통제이다.
C섬유(C-sensory fiber)는 신경섬유 중 하나로, 통증이나 온도감각을 전달하는 섬유로써 관절염, 근육골격의 부상등과 관련된 극심한 통증은 이 경로를 통해서 나타난다.
또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같은 염증 조절 물질인 싸이토카인(Cytokine)을 조절하여 통증을 조절하는 작용을 나타낸다.
인체가 콜라겐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유황이 필요하며 메틸설포닐메테인은 피부와 두피의 핵심성분인 콜라겐, 엘라스틴 및 케라틴 단백질을 생성시켜 주름개선과 피부노화방지, 각종 피부질환과 모발건강에 큰 도움이 된다.
메틸설포닐메테인은 강력한 항산화 물질인 글루타치온(Glutathione)의 생성에 관여하고 다른 항산화제의 환원에도 관여하여 간에서 각종 유해 물질과 중금속 등을 해독하는데 도움을 준다.
유황함유 아미노산인 시스틴 및 시스테인은 글루타치온의 전구물질로, 시스테인의 하이드로설파이드(-SH) 및 치올(Thiol)기가 중금속의 해독에 도움이 되는 멜라토치오네인의 구성에 관여한다.
메틸설포닐메테인은 유황함유 아미노산인 시스틴, 시스테인, 메타이오닌 등의 형성에 기여하며 비타민C와 함께 콜라겐 생성에 역할을 담당한다.
다음으로, 비타민C는 신체에서 생성이 되지 않아 음식을 통해 섭취하여야만 하는 필수 영양소 중의 하나로, 포유동물이나 식물은 포도당으로부터 비타민C를 스스로 합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사람은 비타민C를 체내에서 합성할 수 없다.
그 이유는 사람의 몸 속에는 비타민C의 합성과 관련된 여러 효소들이 모두 존재하지만 가장 마지막 단계를 촉매하는 글루노락톤산화효소(gulonolactoneoxidase)가 변성되어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비타민C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각종 과일, 피망, 딸기, 레몬, 감귤, 파슬리, 양배추, 무, 배추 등 신선한 채소류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육류, 우유 및 계란에는 거의 없다.
비타민C는 콜라겐(Collagen) 형성의 기본물질이기 때문에 조직의 성장과 보수에 필요하고, 골절의 치료에도 필요한 성분으로써 잇몸을 튼튼히 하고, 부신기능을 좋게 하며, 철분의 흡수를 좋게 하여준다.
항산화 작용을 갖고 있어 인체 내의 산화형 물질을 환원형으로 되돌려 산화를 방지하며, 콜레스테롤치를 떨어뜨려, 동맥경화를 예방하며 고혈압을 내려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C는 일종의 세포 접착제로 튼튼한 혈관, 각종기관, 근육을 만드는 ‘콜라겐’ 생성에 꼭 필요한 영양소이다. 콜라겐이 세포를 튼튼하게 하면 감기 바이러스도 쉽게 침입할 수 없다.
비타민C는 세포에 강력한 콜라겐 망을 둘러치고 있어 암을 방지한다. 그리고 위암이나 간암을 유발하는 발암물질인 니트로소아민의 생성을 억제한다.
항암제로 알려진 인터페론은 원래 사람의 몸에서 만들어지는 것인데 이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도 비타민C다.
비타민C가 감기에 좋은 다른 이유는 면역력을 강화시키기 때문이다. 바이러스를 공격하는 면역 활동의 주력 멤버인 백혈구의 기능을 강화하고 스스로 바이러스에 공격을 가하는 등 공수 양면에서 몸을 보호한다.
비타민C는 다른 항산화 영양제에 비해 구조가 안정화돼 있어 항산화 효과도 뛰어나다. 따라서 눈, 백혈구 세포 등 활성산소로부터 손상을 받기 쉬운 조직에는 비타민C 함량이 비교적 높다.
비타민C는 신체 단백질의 30%를 차지하는 콜라겐 생성 도우미로써 뼈, 연골, 피부 세포를 묶어주는 결합 조직으로 점막을 형성하고 피부 주름 및 피부 처짐을 줄여준다. 비타민C 결핍증인 괴혈병은 콜라겐 결핍증이며 잇몸 출혈과 쉽게 멍이드는 증상을 보인다.
비타민C는 부신 호르몬 생성의 필수 성분이며 따라서 스트레스 조절 작용이 있어 항 스트레스 비타민이라고 할 수 있다.
비타민C는 T 임파구 생성 과 대식 세포(Macrophage)의 이동을 증대시키고, 인터페론(Interferon)의 생산을 증가시키며 흉선 기능에 필요하다.
또한, 비만세포를 안정화 시키고(Mast cell wall stabilizer) 조직의 산소 포화 정도(Tissue Oxygenation)를 개선시킨다.
비타민C는 심혈관질환을 감소시키고 고혈압 및 동맥 경화를 예방한다. 동맥 혈관의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이동시키고 손상된 동맥을 수복시켜 콜레스테롤 침착을 방지한다.
비타민C는 히스타민 방출을 안정화 시키고 점액 분비를 감소시키며, 기관지 협소화를 방지하며 약물 및 기타 화학 물질의 간 해독을 증가시킨다.
만니톨은 널리 식물계에 분포하며, 자연계에 가장 많은 당알코올 감미료이다. 식도 정맥류에 의한 급성 출혈을 치료할 수 있다.
위, 십이지장 궤양에 의한 심한 급성 출혈 또는 급성 미란성 혹은 출혈성 위염에 수반되는 심한 급성 출혈의 치료에 도움이 된다.
또한, 췌장루 및 장루의 치료에도 쓰인다.
또한, 췌장수술 후에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즉,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이 혼합하면 연골, 근육, 피부 및 모발뿐 아니라 위, 십이지장을 보호라는 효과도 도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당알코올 감미료, 당류, 덱스트린,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 및 스타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당알코올 감미료는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소르비톨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할 수 있다.
당알코올 감미료는 당에 수소첨가(환원)시켜 제조되며, 당이 갖고 있는 carbonyl기가 수산기로 된 것을 말한다.
또한, 저칼로리 감미료로 기능성식품은 물론 일반식품에 많이 사용되는 원료소재이다.
당류는 글루코스, 결정과당, 유당, 백당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할 수 있다.
당류는 탄수화물 중에서 비교적 분자가 작고, 물에 녹아서 단맛이 나는 화합물을 말한다.
분자의 수에 따라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로 구분될 수 있다.
덱스트린은 베타시클로덱스트린, 알파시클로덱스트린, 감마시클로덱스트린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할 수 있다.
덱스트린은 녹말을 산, 열, 효소 등으로 가수분해시킬 대 녹말에서 말토스에 이르는 중간단계에서 생기는 여러 가지 가수분해 산물이다.
또한, 약품의 부형제로 쓰일 수 있다.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는 스테비오사이드,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할 수 있다.
스타치는 콘스타치, 포테이토스타치, 휘트스타치,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체 100중량부에 대해 메틸설포닐메테인 9 내지 11중량부, 비타민C 1.0 내지 1.4중량부, 만니톨 50 내지 80중량부, 당알코올 감미료 5 내지 8중량부, 당류 6 내지 10중량부, 덱스트린 8 내지 12중량부,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 0.8 내지 1.2중량부 및 스타치 4 내지 6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틸설포닐메테인 9 내지 11중량부를 기준으로 복용하면, 앞서 설명한 메틸설포닐메테인의 효능을 얻을 수 있으며 뼈와 관절에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비타민C 1.0 내지 1.4중량부를 기준으로 복용하면 콜라겐을 생성하기에 적당하지만, 비타민C를 과다 복용 할 경우 설사와 구토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여 위장과 간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상기에 기재된 중량부 내에서 기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면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상기에 기재된 중량부 내에서 기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만니톨 50 내지 80중량부와 당알코올 감미료 5 내지 8중량부를 기준에 맞게 복용하면 설탕과 달리 당분이 적어 당뇨환자나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이 복용하면 좋다. 각각의 중량부보다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에는 당분이 높아져 상기와 같은 효능을 기대하긴 어려우므로, 상기에 기재된 중량부 내에서 기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류 6 내지 10중량부도 마찬가지로 기준보다 높거나 덜 복용할 경우 상기에 기재된 효능을 얻기가 어려우므로 상기에 기재된 중량부 내에서 기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덱스트린 8 내지 12중량부를 기준으로 복용하면 혈관의 흡수되는 속도를 늦춰줌으로써 인슐린의 과다분비를 막는다. 그러나 상기 중량부를 초과하여 복용하면 상기와 같은 효능을 얻기 어려우므로, 상기에 기재된 중량부 내에서 기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 0.8 내지 1.2중량부도 상기 당알코올과 유사한 역할을 하며,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에는 다이어트에 비효율적이며, 당뇨환자에게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에 기재된 중량부 내에서 기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타치 4 내지 6중량부를 기준으로 섭취하면 저항성 전분이 함유되어 있어 인체 내에서 식이섬유와 같은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소화가 천천히 되도록 하여 포만감을 줄 수 있다.
그러나, 과다복용 할 경우에는 미네랄 흡수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상기에 기재된 중량부 내에서 기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조정을 위한 공침조성물 제조방법을 나열한 흐름도인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재료 및 도구 준비단계(S10), 만니톨 500 내지 800g을 용기에 담아 정제수 1.6 내지 2.4L를 붓고, 70 내지 90도에서 가열하는 단계(S20), 메틸설포닐메테인 90 내지 110g을 취하고 정제수 0.3 내지 0.5L를 가하여 70 내지 90도에서 가열하여 녹여 제1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S30), 제1 혼합물을 3 내지 5도에서 24시간 숙성하는 단계(S40), 숙성한 후 가라앉은 결정을 모아 여과한 후 30 내지 50도에서 통풍건조 하여 메틸설포닐메테인 및 만니톨 공침분말을 얻는 단계(S50), 메틸설포닐메테인 및 만니톨 공침분말 600 내지 800g을 조제용기에 넣고 당알코올 감미료 50 내지 80g, 당류 60 내지 100g 및 덱스트린 80 내지 120g을 순차적으로 첨가한 후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S60), 다른 용기에 따로 스타치 40 내지 60g을 첨가하고, 정제수 2.0 내지 2.4L를 부어 90도 내지 100도로 가열하고, 교반하는 단계(S70), 상기 S70단계에서 생성된 스타치에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 8 내지 12g 을 가하여 교반하고, 50도 이하에서 비타민C 10 내지 14g을 가한 후 혼합하여 최종스타치를 완성하는 단계(S80), 상기 제2 혼합물에 상기 최종스타치를 소량씩 가해주면서 습윤 및 연화시켜 입상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S90), 입상 혼합물을 열풍건조기에 넣고 40 내지 60도에서 24시간 건조시키는 단계(S100) 건조된 입상 혼합물을 12 내지 16메쉬 크기를 가지는 체에 걸러 포장하는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면, S10단계에서 재료는 메틸설포닐메테인, 비타민C, 만니톨, 당알코올 감미료, 당류, 덱스트린,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 및 스타치며, 제조할 때 필요한 도구를 준비하는 단계일 수 있다.
S20단계는 만니톨 500 내지 800g을 용기에 담아 정제수 1.6 내지 2.4L를 붓고, 70 내지 90도에서 가열하는 단계이며, 정제수 1.6 내지 2.4L에 만니톨을 용해하는 단계로 70 내지 90도로 가열하면서 열에 의해 만니톨이 정제수에 잘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S30단계는 상기 S20단계에서 만니톨과 정제수가 혼합된 용액에 메틸설포닐메테인 90 내지 110g을 취하고 정제수 0.3 내지 0.5L를 가하여 70 내지 90도에서 가열하여 녹여 제1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또한, S30단계는 별도로 메틸설포닐메테인 90 내지 110g을 취하고 정제수 0.3 내지 0.5L를 가하여 70 내지 90도에서 가열하여 녹인 후, 상기 S20단계에서 생성된 만니톨과 정제수가 혼합된 용액에 가해주고 균등하게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
S40단계는 제1 혼합물을 3 내지 5도에서 24시간 숙성하는 단계이며, 상기 S30단계에서 만니톨, 메틸설포닐메테인, 정제수가 혼합된 제1 혼합물을 3 내지 5도에서 24시간 동안 침전시키는 단계이다.
즉, 숙성시켜 침전물이 가라앉도록 방치하는 것이다.
S50단계는 숙성한 후 가라앉은 결정을 모아 여과한 후 30 내지 50도에서 통풍건조 하여 메틸설포닐메테인 및 만니톨 공침분말을 얻는 단계이며, 상기 S40단계에서 24시간 동안 침전된 제1 혼합물을 여과장치로 적어도 한번 이상 걸러 30 내지 50도에서 통풍건조시키고, 침전된 메틸설포닐메테인 및 만니톨 결정성 공침분말을 얻을 수 있는 단계이다.
S60단계는 메틸설포닐메테인 및 만니톨 공침분말 600 내지 800g을 조제용기에 넣고 당알코올 감미료 50 내지 80g, 당류 60 내지 100g 및 덱스트린 80 내지 120g을 순차적으로 첨가한 후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S70단계는 다른 용기에 따로 스타치 40 내지 60g을 취하고, 정제수 2.0 내지 2.4L를 부어 90도 내지 100도로 가열하고, 교반하는 단계이며, S80단계는 생성된 스타치에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 8 내지 12g을 가하여 혼합하고, 50도 이하에서 비타민C 10 내지 14g을 가한 후 혼합하여 최종스타치를 완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S60단계 까지는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S70 및 S80단계부터 따로 진행되어 S60단계까지 진행된 것에 혼합하는 것이다.
참고로, 최종스타치에는 정제수,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 및 비타민C가 첨가될 수 있다.
다음으로, S80단계에서 생성된 최종스타치를 S60단계에서 생성된 제2 혼합물에 소량씩 첨가하여 연화시켜 입상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인 S90단계일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소량의 기준은 인체에 무해하지 않을 정도의 기준으로 첨가할 수 있으며, 한정하지 않았다.
S100단계는 입상 혼합물을 열풍건조기에 넣고 40 내지 60도에서 24시간 건조시키는 단계로써, S50단계에서 이미 메틸설포닐메테인 및 만니톨 공침분말을 얻었고, 그 공침분말에 정제수가 첨가되지 않고, 당알코올 감미료, 당류 및 덱스트린을 첨가하여 S60단계까지 분말상태였다.
그러나, S70 및 S80단계에서 생성된 최종스타치는 정제수를 포함하여 생성되어 습윤 및 연화된 상태이다.
이 두가지를 혼합하는 단계가 S90단계였으므로, S100단계에서 입상 혼합물을 건조시켜 고체화 시킨다.
S110단계는 S100단계에서 건조된 입상 혼합물을 12 내지 16메쉬의 크기만큼의 체에 걸러 최종적으로 세립으로 제조하여 포장하는 단계이며, 실온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에서는 이해가 쉽도록 중량부와 비례하게 전체1kg을 기준으로 하여 중량으로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e)단계에서 얻은 메틸설포닐메테인 및 만니톨 공침분말의 분자구조는,
Figure 112017030575552-pat00002
일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분자구조에서 메틸설포닐메테인 : (CH3)2SO2 만니톨 : C6H14O6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조정을 위한 공침조성물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 방법
재료 및 도구 준비단계, 만니톨 500g을 용기에 담아 정제수 1.6L를 붓고, 70도에서 가열하는 단계, 별도로 메틸설포닐메테인 90g을 취하고 정제수 0.3L를 가하여 70도에서 가열하여 녹인 후, 상기 만니톨 용액에 가해주고 균등하게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3도에서 24시간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제1혼합물에서 가라앉은 결정을 모아 여과한 후 30도에서 통풍건조 하여 메틸설포닐메테인 및 만니톨 공침분말을 얻는 단계, 상기 메틸설포닐메테인 및 만니톨 공침분말 600g을 조제용기에 넣고 당알코올 감미료 50g, 당류 60g 및 덱스트린 80g을 순차적으로 첨가한 후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다른 용기에 따로 스타치 40g을 첨가하고, 정제수 2.0L를 부어 90도로 가열하고, 교반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스타치에,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 8g을 가하여 교반하고, 50도 이하에서 비타민C 10g을 가한 후 혼합하여 최종스타치를 완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에 상기 최종스타치를 소량씩 가해주면서 습윤 및 연화시켜 입상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입상 혼합물을 열풍건조기에 넣고 40도에서 24시간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에서 건조된 입상 혼합물을 12메쉬 크기를 가지는 체에 걸러 포장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조성물.
실시예 조성물의 성분 및 조성물 함유량
번호 성분 함유량
1 메틸설포닐메테인 9.0
2 비타민C 1.0
3 만니톨 50
4 당알코올 감미료 5.0
5 당류 6.0
6 덱스트린 8.0
7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 0.8
8 스타치 4.0
실시예 1. 콜라겐 생성 및 관절염 완화 효과
상기 표1에서 기재된 조성물의 성분 및 조성물 함유량 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조정을 위한 공침조성물을 제조하여 피부 탄성 부족 및 관절염에 노출된 여성 50대, 60대, 70대, 80대 각각25명씩 선출하였고, 100명에게 3개월간 복용하게 하여 만족도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이후에 100명에게 이미 상용화된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 비타민C의 성분 대신에 스테로이드 성분이 함유된 타사제품을 3개월간 복용하도록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경우, 각 항목에 대하여 10점 평점법을 적용하고 실시하고, 그 평균을 구하였다.
실시예 1 타사제품
피부 탄력성 9.1 7.3
관절염 완화 9.3 7.1
본 발명의 실시예1과 타사제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피부 탄력 및 관절염 완화 효과 만족도 실험을 실시한 결과, 표 2와 같이 타사제품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예1가 피부 탄력성 및 관절염 완화효과에서 모두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틸설포닐메테인, 비타민C, 만니톨, 당알코올 감미료, 당류, 덱스트린,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 및 스타치가 첨가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대한 피부 탄력 및 관절염 완화 효과가 모두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2. 고미 조정 효과 및 섭취의 용이성
상기 표1에서 기재된 원료 및 함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조정을 위한 공침조성물을 입상으로 제조한 것과 이미 상용화된 위 및 장 질환을 완화시키는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 비타민C의 성분 대신에 스테로이드 성분이 함유된 가루로 제조된 타사제품을 위나 장이 약하며 쓴 약을 섭취하기 어려운 3세 내지 7세의 유아 중 10명에게 복용시켜 고미 조정효과 및 섭취의 용이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2 타사제품
고미 조정 효과 9.5 6.6
섭취의 용이성 8.6 5.6
메틸설포닐메테인과만니톨 공침조성물의 고미조정효과
혼합비율 공침분말 혼합분말

메틸설포닐메테인

만니톨
100g 100g 7.0 10.0
100g 200g 6.0 10.0
100g 500g 4.0 9.5
100g 600g 2.0 9.0
100g 700g 1.5 8.5
100g 800g 1.0 8.0
10단계 평점법(쓴맛이 매우 강하다 : 10.0, 쓴맛이 강하다 : 8.0 쓴맛이 약간 강한 편이다 : 6.0, 쓴맛이 약간 있다 : 4.0, 쓴맛이 약간 느껴진다 : 2.0, 쓴맛이 거의 없다 : 0)
메틸설포닐메테인과만니톨 공침조성물의 첨가제에 따른 고미조정효과

혼합비율

고미정도

비고

메틸설포닐메테인
(100g)

만니톨
(600g)

글루코스
(10.0g)

1.5

당류
메틸설포닐메테인
(100g)
만니톨
(600g)
결정과당
(10.0g)
1.0
메틸설포닐메테인
(100g)
만니톨
(600g)
유당
(10.0g)
2.0
메틸설포닐메테인
(100g)
만니톨
(600g)
소르비톨
(8.0g)
1.5
당알코올
감미료
메틸설포닐메테인
(100g)
만니톨
(600g)
자일리톨
(8.0g)
1.0
메틸설포닐메테인
(100g)
만니톨
(600g)
에리스리톨
(8.0g)
1.5
메틸설포닐메테인
(100g)
만니톨
(600g)
스테비오사이드
(1.0g)
1.0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
메틸설포닐메테인
(100g)
만니톨
(600g)
아스파탐
(1.0g)
1.5
메틸설포닐메테인
(100g)
만니톨
(600g)
수크랄로스
(1.0g)
1.5
10단계 평점법 (쓴맛이 매우 강하다 : 10.0, 쓴맛이 강하다 : 8.0 쓴맛이 약간 강한 편이다 : 6.0, 쓴맛이 약간 있다 : 4.0, 쓴맛이 약간 느껴진다 : 2.0, 쓴맛이 거의 없다 : 0)
본 발명의 실시예2와 타사제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고미 조정 효과 및 섭취의 용이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표 3과 같이 타사제품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예2가 고미 조정 효과 및 섭취의 용이성 효과에서 모두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 4를 살펴보면 상기 표1에서 기재된 원료 및 함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조정을 위한 공침조성물로 제조했을 때와 일반적인 혼합분말로 제조했을 때를 비교하였다. 또한, 만니톨의 함유량에 따른 고미정도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표 4는 공침분말과 혼합분말의 고미에 대한 효과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 데, 공침조성물일 경우가 일반 혼합분말보다 고미조정에 효과적이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만니톨이 함유되는 량이 증가될수록 고미정도도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메틸설포닐메테인 및 만니톨 공침분말에 당류, 당알코올 감미료,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를 각각 첨가하여 고미정도를 실험한 것인데, 당류에서는 결정과당이, 당알코올 감미료에서는 자일리톨이,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에서는 스테비오사이드가 고미정도가 낮아지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틸설포닐메테인, 비타민C, 만니톨, 당알코올 감미료, 당류, 덱스트린,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 및 스타치가 첨가되고 입상으로 제조되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공침조성물에 대한 고미 조정 효과 및 섭취의 용이성 효과가 모두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연골, 근육, 피부 및 모발 생성에 도움을 주는 메틸설포닐메테인과 항산화작용 및 면역증강작용을 가진 비타민C를 복합함으로써 연골 및 근육 구성물질인 콜라겐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한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Claims (9)

  1.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감소를 위한 공침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공침조성물은,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을 포함하며,
    상기 공침조성물에 비타민C, 당알코올 감미료, 당류, 덱스트린,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 및 스타치를 첨가하며,
    상기 당알코올 감미료는,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소르비톨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하고,
    상기 당류는, 글루코스, 결정과당, 유당, 백당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하되,
    상기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는, 스테비오사이드,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하는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감소를 위한 공침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감소를 위한 공침조성물은,
    전체 100중량부에 대해 메틸설포닐메테인 9 내지 11중량부, 비타민C 1.0 내지 1.4중량부, 만니톨 50 내지 80중량부, 당알코올 감미료 5 내지 8중량부, 당류 6 내지 10중량부, 덱스트린 8 내지 12중량부,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 0.8 내지 1.2중량부 및 스타치 4 내지 6중량부를 포함하는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감소를 위한 공침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은, 베타시클로덱스트린, 알파시클로덱스트린, 감마시클로덱스트린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하는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감소를 위한 공침조성물.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치는, 콘스타치, 포테이토스타치, 휘트스타치,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하는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감소를 위한 공침조성물.
  8.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감소를 위한 공침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재료 및 도구 준비단계;
    (b) 만니톨 500 내지 800g을 용기에 담아 정제수 1.6 내지 2.4L를 붓고, 70 내지 90도에서 가열하는 단계;
    (c) 상기(b)단계에서 생성된 만니톨과 정제수가 혼합된 용액에 메틸설포닐메테인 90 내지 110g을 취하고 정제수 0.3 내지 0.5L를 가하여 70 내지 90도에서 가열하여 녹여 제1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제1 혼합물을 3 내지 5도에서 24시간 숙성하는 단계;
    (e) 상기 숙성된 제1혼합물에서 가라앉은 결정을 모아 여과한 후 30 내지 50도에서 통풍건조 하여 메틸설포닐메테인 및 만니톨 공침분말을 얻는 단계;
    (f) 상기 메틸설포닐메테인 및 만니톨 공침분말 600 내지 800g을 조제용기에 넣고 당알코올 감미료 50 내지 80g, 당류 60 내지 100g 및 덱스트린 80 내지 120g을 순차적으로 첨가한 후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g) 다른 용기에 따로 스타치 40 내지 60g을 취하고 정제수 2.0 내지 2.4L를 부어 90도 내지 100도로 가열하고, 교반하는 단계;
    (h) 상기 (g)단계에서 생성된 스타치에,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 8 내지 12g을 가하여 교반하고, 50도 이하에서 비타민C 10 내지 14g을 가한 후 혼합하여 최종스타치를 완성하는 단계;
    (i) 상기 제2 혼합물에 상기 최종스타치를 소량씩 가해주면서 습윤 및 연화시켜 입상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j) 상기 입상 혼합물을 열풍건조기에 넣고 40 내지 60도에서 24시간 건조시키는 단계 및
    (k) 상기에서 건조된 입상 혼합물을 12 내지 16메쉬 크기를 가지는 체에 걸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당알코올 감미료는,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소르비톨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하고,
    상기 당류는, 글루코스, 결정과당, 유당, 백당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하되,
    상기 천연 또는 인공감미료는, 스테비오사이드,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하는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감소를 위한 공침조성물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얻은 메틸설포닐메테인 및 만니톨 공침분말의 분자구조는,
    Figure 112018061226730-pat0000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감소를 위한 공침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70039525A 2017-03-28 2017-03-28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감소를 위한 공침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878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525A KR101878599B1 (ko) 2017-03-28 2017-03-28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감소를 위한 공침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525A KR101878599B1 (ko) 2017-03-28 2017-03-28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감소를 위한 공침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599B1 true KR101878599B1 (ko) 2018-07-13

Family

ID=62913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525A KR101878599B1 (ko) 2017-03-28 2017-03-28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감소를 위한 공침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5953A1 (en) * 2020-12-04 2022-06-09 Inovobiologic, Inc. Eutectic matrix for nutraceutical compositions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012B1 (ko) * 1995-01-18 1999-06-15 우펜 캄프 라인하트, 헤벡커 노르버트 유리율 및 흡수능이 개선된 플라바노리그난 제제, 이 제제의 제조방법 및 이 제제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20020074822A (ko) * 2001-03-22 2002-10-04 한미약품공업 주식회사 약물의 고미가 차폐된 경구투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07848B1 (ko) * 2005-04-26 2007-04-13 권석은 천연식이유황과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유황 축적 증대용 양계용 영양액, 그 영양액의 제조방법, 그 영양액 의한 닭의 사육방법, 그 사육 방법으로 사육된 닭, 및 그 닭에 의해 생산되는 천연식이유황이 함유된 계란
KR20120107951A (ko) * 2009-10-30 2012-10-04 바이오제닉 이노베이션스 엘엘씨 약물 저항성 미생물 치료를 위한 메틸설포닐메탄
KR20130058160A (ko) * 2011-11-25 2013-06-04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쓴맛이 차폐된 실데나필 시트레이트의 저작정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94180A (ko) * 2010-03-31 2013-08-23 스타빌리테크 리미티드 바이러스 입자, 폴리펩타이드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안정화를 위한 부형제
KR20140116988A (ko) * 2013-03-25 2014-10-07 이승훈 메틸설포닐메탄을 함유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및 지질 대사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KR20150105714A (ko) * 2014-03-10 2015-09-18 (주)네이쳐푸드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012B1 (ko) * 1995-01-18 1999-06-15 우펜 캄프 라인하트, 헤벡커 노르버트 유리율 및 흡수능이 개선된 플라바노리그난 제제, 이 제제의 제조방법 및 이 제제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20020074822A (ko) * 2001-03-22 2002-10-04 한미약품공업 주식회사 약물의 고미가 차폐된 경구투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07848B1 (ko) * 2005-04-26 2007-04-13 권석은 천연식이유황과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유황 축적 증대용 양계용 영양액, 그 영양액의 제조방법, 그 영양액 의한 닭의 사육방법, 그 사육 방법으로 사육된 닭, 및 그 닭에 의해 생산되는 천연식이유황이 함유된 계란
KR20120107951A (ko) * 2009-10-30 2012-10-04 바이오제닉 이노베이션스 엘엘씨 약물 저항성 미생물 치료를 위한 메틸설포닐메탄
KR20130094180A (ko) * 2010-03-31 2013-08-23 스타빌리테크 리미티드 바이러스 입자, 폴리펩타이드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안정화를 위한 부형제
KR20130058160A (ko) * 2011-11-25 2013-06-04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쓴맛이 차폐된 실데나필 시트레이트의 저작정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16988A (ko) * 2013-03-25 2014-10-07 이승훈 메틸설포닐메탄을 함유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및 지질 대사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KR20150105714A (ko) * 2014-03-10 2015-09-18 (주)네이쳐푸드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5953A1 (en) * 2020-12-04 2022-06-09 Inovobiologic, Inc. Eutectic matrix for nutraceutical composi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iseeva et al. Vitamin C (ascorbic acid)–description, benefits and where it is found
CN106072573A (zh) 一种适用于老年肌肉衰减症食用的特膳食品
CN107343657A (zh) 生酮饮食配方粉
JP4312402B2 (ja) 抗うつ剤、抗更年期障害剤、抗老人性痴呆症剤、抗アルツハイマー剤
CN107232611B (zh) 一种由维生素d、k和叶酸组成的营养素组合物
CN107028191B (zh) 一种适合中老年人群精准营养的维生素组合物
CN101695382A (zh) 兼具改善骨骼及关节功能的补钙制剂
CN110151715B (zh) 一种哺乳期女性适用的钙咀嚼片及其制备方法
CN102028139B (zh) 易吸收钙片
CN106690331A (zh) 一种海带膳食纤维颗粒及其制备方法
KR101878599B1 (ko) 메틸설포닐메테인과 만니톨의 흡수촉진 및 고미감소를 위한 공침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CN108514109A (zh) 麻醉术后专用型临床营养配方及其制备方法
CN1718117A (zh) 黑木耳燕麦螺旋藻即冲饮品及其制备方法
KR20170142756A (ko) 굼벵이를 포함하는 간 및 혈액순환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21159063A (ja) コンニャク機能性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46355B1 (ko) 저열량 과일잼
KR101859166B1 (ko) 인삼이 함유된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642176B1 (ko) 성장촉진 조성물
KR20170109380A (ko) 밀웜을 함유한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밀웜 양갱
CN108815505A (zh) 提高中老年人骨密度和骨关节功能避免腰腿抽筋的组合物
JP3634721B2 (ja) 高脂血症の予防又は治療剤
CN114617267A (zh) 一种强化型复合骨肽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050286B1 (ko) 건강기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916631A (zh) 一种超高纯度二十八烷醇-黄酮复合去氘水组合协同精制的高能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363998B1 (ko) 퇴행성관절염 개선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