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419B1 -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419B1
KR101878419B1 KR1020160104369A KR20160104369A KR101878419B1 KR 101878419 B1 KR101878419 B1 KR 101878419B1 KR 1020160104369 A KR1020160104369 A KR 1020160104369A KR 20160104369 A KR20160104369 A KR 20160104369A KR 101878419 B1 KR101878419 B1 KR 101878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oling
rice cake
unit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353A (ko
Inventor
정기율
정재현
Original Assignee
(주)미정
정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정, 정재현 filed Critical (주)미정
Priority to KR1020160104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419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L3/361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23L3/362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with packages or with shaping in form of blocks or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떡 재료를 고온 및 고압으로 제조한 뒤에 가래형으로 성형 및 토출하는 성형부와, 성형부에서 토출된 가래떡을 설정된 길이와 형상으로 절단시키는 절단부와, 절단부에서 절단된 떡들을 1차 냉각시키는 제1수냉부와, 제1수냉부에서 이송된 떡들을 2차 냉각시키는 제2수냉부와, 제2수냉부에서 이송된 떡들을 3차 냉각시키는 공냉부와, 공냉부에서 이송된 떡들을 포장하는 포장부 및 조작판넬을 통하여 입력된 명령에 의하여 성형부 내지 포장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함에 따라 종래의 숙성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및 방법{A RICE CAK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STIR-FRIED RICE CAK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떡복이용 떡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전통 음식인 가래떡은 주로 떡국용으로 사용되는 것이지만, 최근에는 기호식품으로 고추장 및 각종 양념에 의해 조리되는 떡볶이 떡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떡볶이 떡은 쫄면이나 라면, 어묵 등과 함께 혼합하여 만들어진 떡볶이로서 누구나 즐겨 먹는 대중적인 기호식품이나 간식으로 널리 먹고 있다.
일반적으로, 떡볶이는 가래떡을 주재료로 하는 우리나라 요리의 일종으로서, 고추장을 사용해 매운 맛을 내는 분식 떡볶이와, 간장을 사용하는 궁중 떡볶이 등 다양한 형태로 조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떡볶이는 고추장과 설탕 또는 물엿의 섞어 만든 양념장으로 졸여서 볶아내는 방식의 매운 맛 떡볶이가 널리 소비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케첩이나 후추, 겨자 등의 재료를 첨가하여 독특한 맛을 낼 수 있고, 추가하는 양념의 종류에 따라서 치즈 떡볶이, 곱창 떡볶이, 짜장 떡볶이 등의 다양한 떡볶이를 만들어 낼 수 있어 가장 대중적인 간식거리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실정이다.
떡볶이용 떡은 통상적인 가래떡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바, 쌀을 빻아 분말화 한 후 이를 쪄서 익힌 상태의 떡재료를 호퍼에 넣은 다음, 위로부터 눌러주면서 압출스크류를 구동시켜 떡재료가 압출되도록 하고, 압출된 떡재료는 별도의 관을 통과하면서 정해진 길이와 직경을 갖는 형태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종래에는 위와 같은과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즉, 종래의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는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정해진 길이와 직경을 갖는 형태로서 떡볶이용 떡을 제조한 후 숙성단계를 거친 뒤에 포장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는 가래떡의 제조부터 절단 및 포장까지 자동으로 진행될 수 없었고, 특히 숙성단계에서 통상적으로 12~60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떡제조부터 포장까지가 3일 이상이 걸리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자동 연속 공정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3120호(2009.10.15)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6863호(2012.03.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떡볶이용 떡의 제조시간을 단축하고, 자동 연속 공정의 진행이 가능한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떡 재료를 고온 및 고압으로 제조한 뒤에 가래형으로 성형 및 토출하는 성형부와, 상기 성형부에서 토출된 가래떡을 설정된 길이와 형상으로 절단시키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에서 절단된 떡을 설정된 양으로 분할하여 공급하는 분배공급부와, 상기 절단부에서 절단된 떡들을 1차 냉각시키는 제1수냉부와, 상기 제1수냉부에서 이송된 떡들을 2차 냉각시키는 제2수냉부와, 상기 제2수냉부에서 이송된 떡들을 3차 냉각시키는 공냉부와, 상기 공냉부에서 이송된 떡들을 포장하는 포장부 및 조작판넬을 통하여 입력된 명령에 의하여 상기 성형부 내지 포장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지면에 이격 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판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떡을 이송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송된 떡을 절단시키도록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각 또는 음각된 다수개의 절단홈을 구비하는 절단롤러와, 상기 절단롤러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동수단의 상면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수단과, 상기 절단롤러에 의해 절단된 떡을 수집하여 상기 분배 공급부로 공급하는 호퍼를 포함하는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제1수냉부와 제2수냉부는 냉각수가 충진된 수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한다.
위 실시예에서 공냉부는 냉기가 발생되는 밀폐된 공간내에서 떡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는 터널형의 냉장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떡볶이용 떡을 직접 냉각시킬 수 있어 제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떡볶이용 떡을 냉수에 직접 접촉하여 냉각시간을 단축함으로서 호화된 전분의 치밀도를 향상시켜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성형부의 출력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절단부를 간략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절단부를 간략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분배공급부를 도시한 내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1수냉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1수냉부를 간략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1냉각수조 및 제1이송수단을 간략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2수냉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2수냉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공냉부를 간략 도시한 내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용 떡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 예 및 실시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 예 및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부재", "..수단"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구성의 단위를 의미하며,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성형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분말가루를 고온 및 고압으로 익힌 뒤에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 토출시키는 성형부(200)와, 성형부(200)에서 토출된 떡을 설정된 길이와 형상으로 절단시키는 절단부(300)와, 절단부(300)에서 절단된 떡을 설정된 양으로 분할하여 공급하는 분배공급부(400)와, 분배공급부(400)에서 공급된 떡을 1차 냉각시키는 제1수냉부(500)와, 2차 냉각시키는 제2수냉부(600)와, 3차 냉각시키는 공냉부(700)와, 떡을 포장하는 포장부(800)와, 성형부(200) 내지 포장부(800)를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제어부(100)는 조작판넬(110)에서 입력된 명령에 따라서 성형부(200) 내지 포장부(800)에 선택적으로 구동명령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0)는 전체 구성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 구성별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100) 및 조작판넬(110)의 구성은 설계자에 의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것이기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다.
성형부(2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며, 습식 분말 가루 또는 필요에 따라 물을 가한 분말가루를 고온 및 고압으로 익힌 뒤에 소정의 형상으로 토출 시킨다. 여기서, 성형부(200)는 고온 및 고압으로 떡을 익히는 성형몸체(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이송된 떡을 가압하여 가래떡으로 성형하여 토출시키는 토출수단(210)과, 토출수단(210)에서 토출된 떡의 끈적거림을 제거하도록 물이 저장된 입수통(220)을 포함한다. 상술한 성형몸체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을 적용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토출수단(210)은 성형부(200)의 출력측에서 상호 분리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토출수단(210)은 적어도 하나의 토출공(211)이 형성된다. 토출공(211)은 성형몸체(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가압 및 이송된 떡을 긴 가래형상으로 성형하여 토출시키며, 그 굵기는 토출공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입수통(220)은 성형부(200)의 출력측 하측에서 상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물이 채워진 입수본체(221)와, 입수본체(221)의 상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떡을 입수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봉(222)이 포함된다.
입수본체(221)는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에서 지면에 이격되도록 별도의 지지구조물에 의하여 지지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물의 공급과 배수가 가능하도록, 예를 들면, 물공급관(도시되지 않음) 및 개폐 손잡이(도시되지 않음)과, 배수관 및 /또는 배수구(도시되지 않음)이 포함될 수 있다.
안내봉(222)은 입수본체(221)의 상면 일측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성형부(200)에서 토출된 가래떡(A)이 물속으로 입수되어 지나가도록 안내한다. 즉, 성형부(200)에서 토출된 가래떡은 안내봉(222)의 하측으로 안내되면서 입수통(220)의 물속을 통과하여 절단부(300)로 이송된다.
절단부(300)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절단부의 측면도, 도 4는 절단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절단부(300)는 지면에 이격 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판(311)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310)과, 베이스 프레임(310)에서 떡을 이송시키는 이동수단(320)과, 이동수단(320)에 의해 이송된 떡을 절단시키는 절단롤러(340)와, 이동수단(320)의 상면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수단(350)과, 절단된 떡을 수집하여 분배공급부(400)로 전달하는 호퍼(36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310)은 지면에서 직립된 복 수개의 직립봉(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의 상단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판(311)을 구비한다.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310)의 직립봉은 끝단에서 회전롤러(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됨도 가능하다.
이동수단(320)은 모터(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310)의 상판(311)에서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입수통(220)을 거쳐 전달된 가래떡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이동수단(320)은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성형부(200)에서 이송된 떡이 12줄로 성형 및 이송되면, 본 발명에서 이동수단(320)은 2개가 설치되어 각 6개의 가래떡을 이송시킨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310)은 위와 같이 상호 이격된 이동수단(320)의 영역을 구획하고, 이동수단(320)의 안내를 위하여 상판(311)에서 상향된 벽면을 이루는 가이드벽(312)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롤러(340)는 상호 이격된 이동수단(320)의 상측에 각각 설치되어 이송된 가래떡을 가압하여 설정된 길이 및 형상으로 절단시킨다. 여기서 절단롤러(340)는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조로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을 적용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절단롤러(340)는 가래떡을 떡볶이용 떡으로 절단하기 위하여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된 다 수개의 절단홈(341)이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절단홈(341)은 사선방향으로 연장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분사수단(350)은 이동수단(320)의 상면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관(353)와, 분사관(353)로 물을 전달하는 직립관(351) 및 수평관(354)와 분사관(353)를 개폐시키는 분사손잡이(352)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술한 분사수단(350)은 물을 공급하는 수단(예를 들면, 펌프)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으나, 이는 일반적인 구성을 적용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직립관(351)는 베이스 프레임(310)에서 직립되도록 고정되어 상단에 연결되는 수평관(354) 및 분사관(353)를 지지한다. 여기서 직립관(351)는 수평관(354) 및 분사관(353)를 지지함과 동시에 내측에서 물을 전달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수평관(354)는 직립관(351)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분사관(353)를 지지 및 물을 안내한다.
분사관(353)는 수평관(354)에서 이동수단(320)의 상면으로 연장되어 분사손잡이(352)의 회전방향에 따라 물을 분사하거나 잠금된다. 예를 들면, 분사관(353)는 수평으로 연장되고, 하면에서 다 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되어 이동수단(320)의 상면에 물을 분사한다.
또한, 분사관(353)는 절단롤러(340)의 전후방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절단롤러(340)에 가압된 떡이 절단롤러(340)에 들러붙지 않도록 절단롤러(340)에 인입되기 이전과, 초기 냉각을 위하여 절단된 떡에 물을 분사시킬 수 있다.
호퍼(36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함체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이동수단(320)에서 이송된 떡을 수집하여 분배공급부(400)로 전달한다. 즉, 호퍼(360)의 함체는 상면이 개방되어 떡이 유입되는 유입구(361)로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되어 떡을 토출시키는 유출구(362)로 형성된다. 여기서, 함체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벽면이 모두 경사면을 이룬다. 따라서, 호퍼(360)는 한 쌍의 이동수단(320)에서 이송된 떡을 수집하여 분배공급부(400)로 전달(낙하)시킨다.
분배공급부(40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분배공급부를 도시한 내부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배공급부(400)는 회전봉(431)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날개(432)가 연결되어 회전되는 스크류(430)와, 스크류(430)를 내측에 수용하는 하우징(420)과, 하우징(42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40)과, 스크류(430)를 구동시키는 스크류 구동수단(410)을 포함한다.
지지프레임(440)은 하우징(420)을 지면에서 이격되게 지지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로는 지지프레임(440)은 하우징(420)을 경사지도록 지지하고, 끝단에서 회전롤러(441)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420)은 지지프레임(440)의 의하여 한쪽 끝단이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지지되며, 내측에서 스크류(430)가 회전 가능한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하우징(420)은 스크류(430)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는 떡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면을 밀폐시키는 커버(423)와, 커버(423)의 일측에서 개방된 입구(421)와, 내측 하면에서 관통형성된 출구(4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커버(423)는 하우징(420)의 상면을 밀폐시키도록 고정되며, 입구(421)는 상향 경사진 하우징(420)의 하측 상면에 형성되고, 출구(422)는 상향 경사진 하우징(420)의 상측 하면에서 개방된다.
스크류 구동수단(410)은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하여 스크류(430)의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스크류(430)는 스크류 구동수단(410)에 의하여 회전되어 입구(421)를 통하여 하우징(420)의 내측으로 공급되는 떡을 출구(422)측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절단부(300)에서 전달된 떡은 회전봉(431)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날개(432)의 1회전 시간 동안 유입되는 양이 일정 범위 이내로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절단부(300)에서 이송되는 속도가 균일하게 일정하고, 스크류(430)의 1회전 시간이 균일하다면, 스크류(430)가 회전되면서 균일한 양의 떡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분배공급부(400)는 절단부(300)에서 공급된 떡을 시간주기별 균일한 양으로 제1수냉부(5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1수냉부(500)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1수냉부를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제1수냉부의 측면도, 도 8은 제1이송수단을 간략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수냉부(500)는 냉각수가 채워진 제1냉각수조(510)와, 제1냉각수조(510) 내에서 떡을 이송시키는 제1이송수단(520)과, 제1이송수단(520)을 구동시키는 제1모터(521)와, 제1냉각수조(510)의 온도와 수위와 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제1센서(530)와, 제1냉각수조(510) 내의 물을 공급 및 배수시키는 제1냉각수 공급수단(540)과, 물을 공급하는 제1공급탱크(550)와, 배수된 물을 저장하는 제1배수탱크(560)를 포함한다.
제1냉각수조(51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물을 저장하는 제1수조(511)와, 제1수조(511)의 끝단에서 상향된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1경사프레임(512)을 포함한다.
제1수조(511)는 내측에서 제1이송수단(520)이 회전 가능한 공간을 이루고, 제1냉각수 공급수단(540)의 작동에 의하여 공급된 냉각수가 채워진다.
제1경사프레임(512)은 제1수조(511)의 한쪽 끝단(예를 들면, 제2수냉부(600)측)에서 상향된 경사면을 이루어져 제1이송수단(520)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제1냉각수 공급수단(540)은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되어 제1공급탱크(550)에서 공급된 냉각수를 제1수조(511)에 충진하고, 제1수조(511)에서 충진된 냉각수를 제1배수탱크(560)로 배출시킨다. 이를 위하여 제1냉각수 공급수단(540)은 제1공급탱크(550)와 제1배수탱크(560)에 각각 연결되는 배관(도시되지 않음)과, 각 배관(도시되지 않음)에서 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힘을 발생하는 펌프(도시되지 않음)와, 배관(도시되지 않음)의 잠금 및 개방을 위한 밸브(도시되지 않음)등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센서(530)는 제1수조(511)에 충진된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와 제1냉각수 공급수단(540)에 의해 물이 공급된 이후의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로는 제1수조(511)에 충진된 냉각수의 온도는 10~20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제1센서(530)의 온도와 수위감지 또는 시간 감지신호를 확인하여 제1냉각수 공급수단(540)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이송수단(520)은 제1수조(511)에서 제1경사프레임(512)에 걸져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제1이송수단(520)은 제1모터(521)의 회전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예를 들면, 컨베이어로서 상면에서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되어 상향 돌출되어 영역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제1분할턱(522)을 포함한다.
제1분할턱(522)은 상호 이격된 복수개로서 분배공급부(400)를 통하여 매회 토출되는 균일한 양의 떡을 분할된 영역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공간을 구획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로는 제1이송수단(520)은 제1수조(511)의 수면아래로 입수되어 이동되다가, 제1수조(511)의 끝단에서 경사지도록 연장된 제1경사프레임(512)의 일면으로 연장된다. 즉, 제1이송수단(520)은 제1수조(511)에서 제1경사프레임(512)의 상측까지 무한 회전된다.
이때, 제1이송수단(520)의 상면에서 제1분할턱(522)에 의하여 분할된 떡들은 제1경사프레임(512)의 상측 끝단에 이르러서 제2수냉부(600)로 전달(또는 낙하)된다.
제2수냉부(600)는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2수냉부를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제2수냉부(600)를 간략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수냉부(600)는 냉각수가 채워진 제2냉각수조(610)와, 제2냉각수조(610)내에서 떡을 이송시키는 제2이송수단(620)과, 제2냉각수조(610)의 냉각수 온도 및 시간을 감지하는 제2센서(630)와, 냉풍을 출력하는 냉풍기(640)와, 냉각수가 저장된 제2공급탱크(660)와, 배수된 냉각수를 저장하는 제2배수탱크(670)와, 냉각수를 공급 및 배수시키는 제2냉각수 공급수단(650)을 포함한다.
제2냉각수조(610)는 5~15도의 냉각수가 충진되는 제2수조(611)와, 제2수조(611)의 끝단에서 상향된 경사면을 이루는 제2지지프레임(612)과, 제2수조(611)의 상측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냉풍기(640)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613)을 포함한다.
제2수조(611)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에서 제2공급탱크(660)에서 공급된 냉각수가 충진된다. 아울러, 제2수조(611)는 제2배수탱크(670)로 이어지는 배관이 연결된 배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프레임은 제2수조(611)의 한쪽 끝단에서 상향된 경사면을 이루어 제2이송수단(620)이 상향된 위치로 연장 및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상부프레임(613)은 직립된 수직봉(613a)과 수직봉(613a)의 끝단에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장 및 연결되는 수평봉(613b)을 구비하여 냉풍기(640)를 지지한다.
제2이송수단(620)은 제2모터(621)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컨베이어로서 상면에서 상호 이격된 복 수개의 제2분할턱(621)을 구비한다. 아울러, 제2이송수단(620)은 제2수조(611)의 냉각수에 입수된 상태에서 이동되어 제2지지프레임(612)의 상측까지 연장된다.
제2센서(630)는 제2수조(611)에 충진된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냉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 및 냉각수가 충진된 이후의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도시되지 않음)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는 냉각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출력하고, 타이머는 냉각수가 충진된 이후의 시간을 카운팅하여 제어부(100)에 출력하고,수위감지센서는 제2수조에 충진된 냉각수의 수위를 감지한다.
제2냉각수 공급수단(650)은 제2공급탱크(660)에 저장된 냉각수를 제2수조(611)로 공급하고, 제2수조(611)에 충진된 냉각수를 제2배수탱크(670)로 배수시킨다. 이를 위하여 제2냉각수 공급수단(650)은 제2공급탱크(660) 및 제2배수탱크(670)로 연결되는 배관과, 펌프 및 밸브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냉각수 온도와 수위가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면 제2냉각수 공급수단(650)을 공급시켜 설정된 기준을 벗어난 냉각수를 제2배수탱크(670)로 배수하여 재충전하거나 모자른 수위를 채울 수 있도록 냉각수를 보충하도록 제어한다.
냉풍기(640)는 상부프레임(613)에 연결 및 지지되어 제2수조(611)의 상측에서 냉풍을 출력한다. 이와 같은 냉풍기(640)의 작용은 제2수조(611)에 충진된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된 범위 이내로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냉풍기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온오프 되며, 제어부(100)는 조작판넬(110)에서 입력된 명령에 따라 냉풍기(640)를 제어한다.
공냉부(700)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공냉부를 도시한 내부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공냉부(700)는 밀폐된 공간을 이루는 냉동하우징(710)과, 냉동하우징(710)의 내측에서 다단으로 배치되는 제3이송수단(720)과, 냉동하우징(710)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730)과, 냉동하우징(710)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3센서(740)를 포함한다.
냉동하우징(710)은 이송컨베이어(750)를 통하여 이송된 떡을 공냉시키기 위하여 차가운 공기가 공급되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이루어 떡들이 이송되는 이송 경로를 형성한다. 즉, 냉동하우징(710)은 이송컨베이어(750)가 연결되는 유입구(711)와, 3차 냉각된 떡을 배출시키는 배출구(712)와, 제3이송수단(720)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713)을 포함한다.
유입구(711)는 냉동하우징(710)의 상측 일면에 형성되어 이송컨베이어(750)로부터 이송된 떡이 유입된다. 배출구(712)는 냉동하우징(710)의 하측 일면에서 형성되어 제3이송수단(720)으로부터 이송된 떡을 포장부(800)(또는 이송컨베이어(750))측으로 배출시킨다.
지지수단(713)은 냉동하우징(710)의 내측에서 다단으로 배치된 제3이송수단(720)을 지지한다. 예를 들면, 지지수단(713)은 냉동하우징(710)에서 다단 적층된 판넬(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봉(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지지수단(713)은 판넬 없이 다 수개의 지지봉으로서 제3이송수단(720)의 하면에 연결되어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수단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을 적용할 수 있어 다양한 실시예로 적용가능하다.
제3이송수단(720)은 냉동하우징(710)의 내측에서 다단으로 배치되어 이송컨베이어(750)를 통하여 이송된 떡은 상측에서부터 지그재그 방향으로 하향 이동시켜 3차 냉각시킨다. 이를 위하여 제3이송수단(720)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3모터(721)를 구비하고, 다단으로 배치되어 제3모터(721)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복수개의 회전벨트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회전벨트는, 예를 들면, 이송컨베이어(750)로부터 전달된 떡이 유입되는 유입구(711)의 하측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1회전벨트(722a)와, 제1회전벨트(722a)의 하측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회전벨트(722b), 제2회전벨트(722b)의 하측에서 수평연장된 제3회전벨트(722c)와, 제3회전벨트(722c)의 하측에서 수평연장된 제4회전벨트(722d)와, 제4회전벨트(722d)의 하측에서 수평연장된 제5회전벨트(722e)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5회전벨트(722e)는 상술한 지지수단(713)에 의하여 다단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회전벨트(722a~722e)는 유입구(711)를 통하여 전달된 떡이 지그재그식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예를 들면, 유입구(711)의 하측에 위치되어 제1회전벨트(722a)의 입력측을 이루는 일측 끝단에서 연장되어 출력측을 이루는 타측 끝단은 제2회전벨트(722b)의 입력측을 이루는 타측 끝단의 직상방에 위치된다.
또한, 제2회전벨트(722b)의 출력측을 이루는 일측 끝단은 제3회전벨트(722c)의 입력측을 이루는 일측 끝단의 직상방에 위치되고, 제3회전벨트(722c)의 출력측을 이루는 타측 끝단은 제4회전벨트(722d)의 입력측을 이루는 타측 끝단의 직상방에 위치된다.
또한, 제4회전벨트(722d)의 출력측은 제5회전벨트(722e)의 입력측을 이루는 일측 끝단의 직상방에 위치되고, 제5회전벨트(722e)의 출력측을 이루는 타측 끝단은 배출구(712)로 연장된다.
따라서, 떡은 제1회전벨트(722a)에서 수평 이동 후 제2회전벨트(722b)로 하향 이동되고, 제2회전벨트(722b)에서 반대방향으로 이동 후 제3회전벨트(722c)로 하향이동되고, 제3회전벨트(722c)에서 제4회전벨트(722d), 제4회전벨트(722d)에서 제5회전벨트(722e)로 순차 이동된다.
이와 같이 제3이송수단(720)은 복수개의 회전벨트(722a~722e)가 다단으로 적층되어 떡의 이송거리를 증가시켜 냉동하우징(710)의 냉기로서 3차 냉각시킬 수 있다.
온도조절수단(730)은 냉동하우징(710)의 내측온도를 설정된 범위 이내로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온도조절수단(730)의 구성 및 작용은 일반 냉동고를 응용할 수 있는 것이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3센서(740)는 냉동하우징(71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감지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부(100)는 제3센서(740)의 온도감지신호로서 냉동하우징(710)의 온도를 실시간 감시하여 냉동하우징(710)의 온도가 설정된 범위 이내로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조절수단(730)을 제어한다.
포장부(800)는 공냉부(700)에서 이송된 떡볶이용 떡을 설정된 분량으로 분류하여 진공 포장하며, 이는 공지된 구성을 적용함에 따라 그 설명 및 도면을 생략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떡볶이용 떡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용 떡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재료를 일정한 압력과 온도로 익혀 가래떡으로 성형하는 S100 단계와, 성형된 떡을 설정된 형상과 길이로서 절단시키는 S200 단계와, 절단된 떡을 설정된 양으로 분배 공급하는 S300단계와, 10~30도의 물로서 1차 냉각시키는 S400 단계와, 5~15도의 냉각수로 2차 냉각 시키는 S500 단계와, 5도 이하의 온도에서 공냉시키는 S600 단계와, 포장하는 S700 단계를 포함한다.
S100 단계는 제어부(100)의 구동명령에 따라 성형부(200)가 투입된 떡 재료를 고온 및 고압으로 익혀 2 이상의 가래떡으로 성형하여 토출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작업자는 성형부(200)에 떡 재료를 투입한 뒤에 조작판넬(110)을 조작하여 구동명령을 입력한다. 따라서, 성형부(200)는 투입된 떡재료를 고온 및 고압으로 익혀 떡을 제조한 뒤에 토출수단(210)을 통하여 가래떡으로 성형하여 토출시킨다. 이때, 토출된 가래턱은 입수통(220)이 안내봉(222)의 안내에 따라 물속으로 입수된 상태를 거친 뒤 절단부(300)로 이동된다.
S200 단계는 성형부(200)에서 이송된 가래떡을 설정된 크기와 형상으로서 절단시키는 단계이다. 절단부(30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하여 절단 롤러가 구동되고, 이동수단(320)이 구동되어 베이스 프레임(310)의 상면으로 무한 회전된다. 따라서, 입수통(220)을 통하여 전달된 가래떡은 이동수단(320)의 회전에 의하여 베이스 프레임(310)의 입력측에서 분배공급부(400)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분사수단(350)은 절단롤러(340)의 전방과 후방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되어 이동수단(320)에 물을 분사한다.
따라서, 가래떡은 분사수단(350)에 의해 분사된 물로 적셔진 상태에서 절단롤러(340)의 하측으로 인입된다. 가래떡은 절단롤러(340)의 가압으로 설정된 형상과 길이로서 성형된다. 이때, 절단롤러(340)의 표면은 음각 또는 양각된 절단홈(341)이 형성되어 가래떡을 절단하였고, 분사수단(350)에 의해 물이 분사된 상태에서 가래떡을 가압하였기 때문에 들러붙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후, 절단롤러(340)에 의해 절단된 떡은 호퍼(360)을 통하여 수집되어 분배 공급부(400)로 이송된다.
S300 단계는 분배공급부(400)가 절단된 떡을 설정된 양으로 균등하게 분할하여 공급하는 단계이다. 즉, 분배공급부(400)는 호퍼(360)의 유출구(362)를 통하여 전달된 떡을 스크류(430)의 회전간격을 주기로 하여 제1수냉부(500)로 공급한다. 따라서, 분배공급부(400)는 동일한 양의 떡볶이용 떡을 시간주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S400 단계는 분배공급부(400)에서 공급된 떡이 제1수냉부(500)의 제1수조(511)로 입수되면서 이송되어 1차 냉각되는 단계이다. 제어부(100)는 제1수냉부(500)의 제1이송수단(520)을 구동시켜 분배공급부(400)에서 공급된 떡을 냉각수가 채워진 제1수조(511)에 입수된 상태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떡은 제1수조(511)에 입수된 상태로 이송되다가 제1경사프레임(512)을 타고 상향 이송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제1센서(53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제1수조(511)의 냉각수를 배수 및/또는 재충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센서(530)는 제1수조(511)의 수위감지, 온도 및 충진된 이후의 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설정된 기준과 감지신호를 비교하여 제1냉각수 공급수단(540)을 구동시켜 제1수조(511)에 충진된 물을 배수시킨 뒤에 제1공급탱크(550)에 충진된 물을 제1수조(511)로 충진시킨다.
S500 단계는 제2수냉부(600)에서 제1수냉부(500)에서 1차 냉각된 떡을 2차 냉각시키는 단계이다. 제어부(100)는 제2수냉부(600)의 제2이송수단(620)과 냉풍기(640)를 구동시켜 제2수조(611)로 입수된 떡을 냉각시킨다. 제2수조(611)의 온도는 냉풍기(640)의 냉풍이 가해져 제2수조(611)의 온도가 5~15도의 저온을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즉, 제어부(100)는 제2센서(630)의 감지신호(예를 들면, 냉각수 온도, 수위 및 물충전 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거나, 냉각수가 충진된 이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제어부(100)는 제2수조(611)의 온도와 냉각수 재충전 이후의 설정된 시간이 설정된 기준과 차이가 있다면, 제2냉각수 공급수단(650)을 구동시킨다. 제2냉각수 공급수단(650)은 제2수조(611)에 충진된 냉각수를 제2배수탱크(670)로 배수시키고, 제2공급탱크(660)에서 공급된 냉각수를 제2수조(611)로 충진시킨다.
여기서, 제1공급탱크(550)와 제2공급탱크(660), 제1배수탱크(560)와 제2배수탱크(670)는 동일하거나 또는 별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응용예중 하나에 해당되는 것이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별개의 구성으로 설치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S600 단계는 2차 냉각된 떡이 공냉부(700)로 이동되어 3차 냉각되는 단계이다. 공냉부(700)는 제어부(100)의 구동에 의하여 제3이송수단(720)을 구동시켜 이송컨베이어(750)를 통하여 이송된 떡을 냉동하우징(710)에 형성된 이동경로로 설정된 시간동안 이동시켜 3차 냉각시킨다.
여기서, 공냉부(700)는 터널형의 냉각장치(예를 들면, 냉장고)에 해당되며, 내측에서 떡이 설정된 시간 동안 이동될 수 있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복 수개의 회전벨트(722a~722e)를 상하방향으로 적층시킨다. 즉, 떡은 공냉부(700)의 내측에서 좌에서 우, 우에서 좌, 다시 좌에서 우, 우에서 좌로 이동되는 복 수개의 회전벨트(722a~722e)를 따라 이동되면서 냉각되어 노화상태에 도달된다. 바람직하게로는 위 복수개의 회전벨트(722a~722e)는 총 10분에서 60분 미만의 시간 내에 통과될 수 있도록 거리를 설정하거나, 이송 속도를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로는 복수개의 회전벨트(722a~722e)는 각각 상호 이격되어 상면의 영역을 분할하도록 상호 이격되어 상향 돌출된 분할턱을 포함한다.
S700 단계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하여 공냉부(700)에서 3차 냉각된 떡을 포장하는 단계이다. 포장부(800)는 이송컨베이어(750)를 통하여 공냉부(700)에서 이송된 떡을 진공 포장시킨다. 이와 같은 포장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을 적용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앞서 분배 공급부에서 설정된 수량만큼 분배하여 공급함에 따라 포장부(800)에서 별도로 수량을 분배하거나 분류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래떡을 떡볶이용 떡으로 성형한 뒤에 수조에 입수시켜 떡의 전분을 제거하여 끈적거림을 방지하고, 냉동고에서 다단으로 회전벨트를 배치하여 이송시킴에 따라 포장시 밀착된 떡들이 들러붙지 않는 노화상태에 도달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100 : 제어부 110 : 조작판넬
200 : 성형부 210 : 토출수단
220 : 입수통 300 : 절단부
310 : 베이스 프레임 320 : 이동수단
340 : 절단롤러 350 : 분사수단
360 : 호퍼 400 : 분배공급부
410 : 스크류 구동수단 420 : 하우징
430 : 스크류 500 : 제1수냉부
510 : 제1냉각수조 520 : 제1이송수단
530 : 제1센서 540 : 제1냉각수 공급수단
550 : 제1공급탱크 560 : 제1배수탱크
600 : 제2수냉부 610 : 제2냉각수조
620 : 제2이송수단 630 : 제2센서
640 : 냉풍기 650 : 제2냉각수 공급수단
660 : 제2공급탱크 670 : 제2배수탱크
700 : 공냉부 710 : 냉동하우징
720 : 제3이송수단 730 : 온도조절수단
740 : 제3센서 750 : 이송컨베이어
800 : 포장부

Claims (11)

  1. 떡 재료를 고온 및 고압으로 제조한 뒤에 가래형으로 성형 및 토출하는 성형부;
    상기 성형부에서 토출된 가래떡을 설정된 길이와 형상으로 절단시키는 절단부(300);
    상기 절단부에서 절단된 떡을 설정된 양으로 분할하여 공급하는 분배공급부(400)
    상기 절단부에서 절단된 떡들을 1차 냉각시키는 제1수냉부;
    상기 제1수냉부에서 이송된 떡들을 2차 냉각시키는 제2수냉부;
    상기 제2수냉부에서 이송된 떡들을 3차 냉각시키는 공냉부;
    상기 공냉부에서 이송된 떡들을 포장하는 포장부; 및
    조작판넬을 통하여 입력된 명령에 의하여 상기 성형부 내지 포장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300)는
    지면에 이격 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판(311)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310);
    상기 베이스 프레임(310)에서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떡을 이송시키는 이동수단(320);
    상기 이동수단(320)에 의해 이송된 떡을 절단시키도록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각 또는 음각된 다수개의 절단홈을 구비하는 절단롤러(340);
    상기 절단롤러(34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동수단(320)의 상면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수단(350); 및
    상기 절단롤러(340)에 의해 절단된 떡을 수집하여 상기 분배 공급부(400)로 공급하는 호퍼(360);를 포함하는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냉부와 제2수냉부는 냉각수가 충진된 수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냉부는
    차가운 공기가 충진되는 밀폐된 공간에서 떡들의 이송경로가 형성되는 터널형의 냉각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냉부는
    물이 충진된 제1수조; 및
    상기 제1수조의 수면 아래에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이송된 떡들을 상기 제1수조의 수면 아래에서 이송시키는 제1이송수단을 포함하는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냉부는
    냉각수가 충진된 제2수조; 및
    상기 제2수조의 수면아래에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수냉부에서 이송된 떡들을 상기 제2수조의 수면 아래에서 이송시키는 제2이송수단;을 포함하는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냉부는
    상기 제2수조의 상측에서 냉풍을 토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냉풍기를 포함하는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냉부는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는 냉동하우징;
    상기 냉동하우징으로 떡들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떡들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냉동하우징 내에서 다단으로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에서 배출구까지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복 수개의 회전벨트를 포함하는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8. 재료를 고온 및 고압을 익힌 뒤에 가래떡으로 성형하는 a)단계;
    상기 a)단계에서 성형된 떡을 설정된 형상과 길이로서 절단시키고, 절단된 떡을 설정된 양으로 분할하여 공급하는 b)단계;
    상기 b)단계에서 절단된 떡을 제1수조로 입수시켜 1차 냉각하는 c)단계;
    상기 c)단계에서 1차 냉각된 떡을 제2수조로 입수시켜 2차 냉각시키는 d)단계;
    상기 d)단계에서 2차 냉각된 떡을 저온으로 유지되는 밀폐 공간에서 설정된 시간동안 3차 냉각시키는 e)단계; 및
    상기 e)단계에서 3차 냉각된 떡을 포장하는 f)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베이스 프레임(310)의 상면에서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양각 또는 음각된 다 수개의 절단홈을 구비한 절단롤러(340)로 떡을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절단롤러(340)의 전방 및 후방에 물을 분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롤러(340)에 의해 절단된 떡을 호퍼(360)로 수집하고, 호퍼(360)에 수집된 떡을 순차적으로 회전되는 스크류의 회전 주기에 따라 설정된 양으로 분할하여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떡볶이용 떡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제2수조의 상측에 고정된 냉풍기에서 냉풍이 토출되는 a-1)단계를 더 포함하는 떡볶이용 떡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c)단계에서 2차 냉각된 떡을 저온으로 유지되는 냉동하우징에서 설정된 시간 내로 배출되도록 유입구에서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떡볶이용 떡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떡을 상기 제1수조의 수면 아래에서 이동된 후 상기 제2수조의 상측으로 이동 후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용 떡 제조방법.
KR1020160104369A 2016-08-17 2016-08-17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878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369A KR101878419B1 (ko) 2016-08-17 2016-08-17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369A KR101878419B1 (ko) 2016-08-17 2016-08-17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353A KR20180020353A (ko) 2018-02-28
KR101878419B1 true KR101878419B1 (ko) 2018-07-17

Family

ID=61401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369A KR101878419B1 (ko) 2016-08-17 2016-08-17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4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697A (ko) 2019-11-06 2021-05-14 양동규 냉각수 순환식 떡 제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845B1 (ko) * 2018-08-31 2020-04-10 한병관 떡 제조 자동화 시스템
KR102067797B1 (ko) * 2019-10-07 2020-01-17 주식회사 예담 농업회사법인 떡 제조장치 및 떡 제조방법
KR102121834B1 (ko) * 2020-02-19 2020-06-11 김혜진 떡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327A (ko) * 2001-12-03 2003-06-11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터널식 차압 예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63217A (ko) * 2011-12-06 2013-06-14 (주)디엠지푸드 인스턴트 건조 떡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120B1 (ko) 2007-05-08 2009-10-23 성호정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
KR101126863B1 (ko) 2009-06-18 2012-04-13 강태석 떡볶이 떡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327A (ko) * 2001-12-03 2003-06-11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터널식 차압 예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63217A (ko) * 2011-12-06 2013-06-14 (주)디엠지푸드 인스턴트 건조 떡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697A (ko) 2019-11-06 2021-05-14 양동규 냉각수 순환식 떡 제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353A (ko)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419B1 (ko)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및 방법
US5238493A (en) Coating and breading apparatus
US6539743B2 (en) Transport assembly for transporting free flowing frozen product away from a cryogenic processor
US201102007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expanded food
EP1276394B1 (en) Multiple purpose quick-changeover extrusion system
EP2877030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moulding food patties
WO2001072151A1 (en) Multiple purpose quick-changeover extrusion system
US77589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extruded portions of cheese
US9648898B2 (en) Metering the disposition of a food product into cavities forming a pellet
JP2020513752A (ja) ポンピング可能な食材の塊から食料製品を成形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10448660B2 (en) Metering the disposition of a food product into cavities forming a pellet
CN100352359C (zh) 用于生产食料的规则薄膜的装置和方法
US6117235A (en) Continuous coating and breading apparatus
KR101126863B1 (ko) 떡볶이 떡의 제조장치
WO2016107652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opcorn nougat
US6319531B1 (en) Method for rehydrating food granules with water
KR102665521B1 (ko) 면류 제조장치
KR20070065686A (ko) 떡 보쌈 피 제조장치
CN108522576A (zh) 一种米带成型设备
JP4673259B2 (ja) 粒状食品含有食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20210131571A (ko)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누룽지 배출장치
KR102067797B1 (ko) 떡 제조장치 및 떡 제조방법
JPS63283541A (ja) 食品の味付け方法及び装置
KR102341640B1 (ko) 누룽지 제조시스템
KR100915169B1 (ko) 라면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