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350B1 - Length adjustable fruit harvester - Google Patents
Length adjustable fruit harves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6350B1 KR101876350B1 KR1020180023968A KR20180023968A KR101876350B1 KR 101876350 B1 KR101876350 B1 KR 101876350B1 KR 1020180023968 A KR1020180023968 A KR 1020180023968A KR 20180023968 A KR20180023968 A KR 20180023968A KR 101876350 B1 KR101876350 B1 KR 1018763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inner barrel
- fruit
- lever
- barrel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7—Manually operated fruit-pick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2—Baskets or bags attachable to the pick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과실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매달려 있는 과실을 손상없이 간편하고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수확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과실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uit collector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uit collector capable of adjusting a length so as to collect fruit collected hanging from a high position which is not reachable by hand easily, quickly, will be.
일반적으로, 지면에서 높은 위치에 열리는 사과, 감 등과 같은 과실을 수확하기 위하여 사다리를 나무에 걸쳐 놓고 올라가서 딴 과실을 밑으로 떨어뜨리거나 끝 부분에 쐐기를 끼운 대나무를 이용하여 과실의 꼭지 부분을 비틀어 꺾어서 과실을 밑으로 떨어뜨리는 것이 통상의 수확방법이다.Generally, in order to harvest fruit such as apples, persimmons, etc., which are opened at a high position on the ground, climb a ladder over a tree and drop another fruit or twist a nipple portion of a fruit using a bamboo with a wedge at the end It is the usual harvesting method to break fruit down.
하지만, 이러한 과실 수확방법 중에 사다리를 이용하는 방법은 나무를 오르내리는 위험 부담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확 작업이 힘들고 작업 능률이 저조하며, 수확 과정에서 밑으로 떨어뜨릴 때 과실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method of using the ladder among these fruit harvesting methods is not only a risk of lifting the tree, but also has a drawback that the harvesting work is difficult, the work efficiency is low, and the fruit is damaged when it is dropped down during harvesting.
그래서, 최근에는 고소작업차를 이용하여 높은 나뭇가지에 열린 과실을 작업자가 직접 따서 수확하기도 하는데, 이 역시도 고소작업차의 늘어나는 높이에 따라 과실을 수확할 수 있는 높이가 한정되므로 과실 수확이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In recent years, the worker directly harvests the fruit that has been opened on the high branches using a high-altitude work vehicle. This also limits the height at which the fruits can be harvested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elevated work vehicle, .
이에, 종래에는 높은 위치의 나뭇가지에 열린 과실을 수확할 수 있는 과실수확기구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40277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서 제안된 바 있다.Conventionally, a fruit harvesting apparatus capable of harvesting open fruit on branches of a high position has been propos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4027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과실수확기구는, 압축부 근방에서 꺾이도록 되어 있는 전구모양의 철선 4개로 결합한 성화구조부와, 성화구조부의 하단을 스테인리스 파이프 상단 사이 중간에 고정되게 하기 위한 용접부와, 성화구조부가 스테인리스 파이프의 윗부분을 유압기로 압축한 압축부와, 장대와 연결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파이프의 중간에 장대연결고정구멍을 구비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The fruit harvesting mechanism disclosed in the prior art document includes a bulging structure portion coupled with four bulb-like iron wires bent in the vicinity of the compression portion, a weld portion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bulging structure portion to the middle between the stainless steel pipe upper portion, A compression part formed by compressing the upper part of the stainless steel pipe with a hydraulic machine and a pole connection fixing hole in the middle of the stainless steel pipe for connecting with the pole.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과실수확기구는 압축부 근방에서 꺾이도록 되어 있는 전구 모양의 철선이 결합된 성화구조부 안에 과실을 넣고 나서 과실꼭지 부분을 압축부 근방의 꺾인 부분에 끼워 비틀어 꺾으면서 과실을 수확하는데, 성화구조부의 직경이 전혀 신축되지 않으므로 성화구조부에 맞지 않는 크기의 과실은 수확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fruit harvesting apparatus disclosed in the prior art document, a fruit is inserted into a sanitizing structure portion where a bulb-shaped wire bent to be bent in the vicinity of the compression portion is inserted, then the fruit faucet portion is inserted into a bent portion near the compression portion, Since the diameter of the sanctification structure is not stretched at all, the fruit having a size that does not fit the sanctification structure is difficult to harvest.
그리고, 과실꼭지 부분을 압축부 근방의 꺾인 부분에 끼워 비틀어 꺾어서 과실을 수확하므로 이의 수확과정이 불편하고 번거로워 과실의 수확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uit stem is twisted by being bent at the bent part near the compression part to harvest the fruit, the harvesting process thereof is inconvenient and the harvest efficiency of the fruit is deteriorated.
또한, 종래의 과실수확기구를 이용한 과실 수확한 후에는 매번 작업자가 직접 과실수확기구의 성화구조부 내에서 과실을 꺼내 별도의 수확통에 과실을 담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after the fruit harvesting using the conventional fruit harvesting apparatus, the operator has to take the fruits out of the sanitizing structure of the fruit harvesting apparatus every time and have to inconvenience the fruits in the separate harvesting vessel.
따라서, 본 발명은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매달려 있는 과실을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수확할 수 있고, 수확한 과실을 바로 수집망에 저장하여 과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과실 수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uit collector capable of easily and quickly harvesting the fruit hanging from a high untouched position, and capable of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fruit to safely protect the fruit by storing the harvested fruit directly in the collection network It has its purpos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과실 수집기는, 중공의 외통부재(110); 외통부재 내에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내통부재(120); 내통부재에 구비되어 과실을 그립하여 수확하는 집게부(130); 및 외통부재에 구비되어 집게부에서 수확된 과실이 담아져 보관되는 수집망(200);을 포함하는 과실 수집기로서, 집게부(130)는 그 일단부가 내통부재에 삽입되어 구비되고 타단부는 내통부재에서 돌출되어 외측으로 만곡되게 벌어져 과실을 그립하고 놓을 수 있는 다수의 집게아암(131); 집게아암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통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아암(132); 및 힌지아암과 내통부재의 힌지부에 구비되어 집게아암을 벌어진 상태로 구비시키는 탄성부재(134);를 포함하고, 내통부재에는 집게부의 집게아암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구비되되, 내통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122); 내통부재 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150); 레버와 연결부재에 그 양측 단부가 각각 고정되게 연결되는 제 1 와이어(140); 및 연결부재와 각 집게아암에 그 양측 단부가 각각 고정되게 연결되어 레버가 회전됨에 따라 제 1 와이어와 연결부재에 의해 이동되면서 집게아암을 회전시키는 제 2 와이어(160);를 포함하고, 제 1 와이어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레버에는 레버의 회전시 제 1 와이어가 접하여 감기면서 당겨질 수 있도록 한 캠부(122a)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연결부재(150)는 내통부재(120)의 내경에 대응한 외경을 갖는 원통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150)의 전후 양 측면에는 각각의 고정후크(152)(153)가 구비되며, 연결부재(150) 후면의 고정후크(152)에는 제 1 와이어(140)가 연결되어 구비되고, 연결부재(150) 전면의 고정후크(153)에는 제 2 와이어(160)가 각각 연결되어 구비되되 전면의 고정후크(153)는 연결부재에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블록부(151)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각 집게아암(131)의 제 2 와이어(160)가 고정후크(153)에 일대일 대응으로 연결됨에 따라 제 2 와이어(160)들이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수집망(200)은 외통부재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림부(210); 림부의 원주를 따라 걸림되어 구비되는 그물망(220); 및 림부에 걸림된 각 단위 그물망마다 구비되어 각 단위 그물망을 연결하거나 개방시키는 영구자석(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uit-gathering apparatus including: a hollow outer tube member; An inner barrel member (120)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ove in and out of the outer barrel member; An extract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과실 수집기에 따르면, 손이 닿지 않는 높은 나뭇가기에 열린 과실을 간편하게 따 수확할 수 있고, 수확한 과실을 바로 수집망에 저장하여 보관함으로써 과실을 손상없이 안전하게 수확하여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과실 수확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length-adjustable frui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harvest the opened fruit on the high tortoise that is out of the reach, and to store the fruit harvested in the collection network immediately, And the fruit harvesting operation is performed rapidly,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실 수집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실 수집기의 외통부재와 내통부재의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통부재의 내부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통부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통부재에 구비되는 집게부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통부재가 외통부재에서 인출된 상태의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집망이 개방된 상태의 작동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rui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outer tube member and the inner tube member of the frui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inner configuration of the inner barrel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ner barrel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al view of a grip unit provided on the inner barr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inner barrel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of being drawn out from the outer barrel member.
Fig. 7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collecting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과실 수집기 및 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ui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과실 수집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측에 구비되는 중공의 외통부재(110)와, 외통부재(110) 내에 삽입되어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내통부재(120)와, 내통부재(120)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과실을 그립하여 수확하는 집게부(130)와, 외통부재(110)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집게부(130)에서 수확된 과실이 담아져 보관되는 수집망(2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length-adjustable frui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외통부재(110)는 수집기(100)의 최외관을 이루는 중공관으로서, 그 외측면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후술될 내통부재(120)의 손잡이(121)와 레버(122)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공(111)이 외통부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The
내통부재(120)는 외통부재(110) 내에 삽입되는 중공관으로서, 외통부재(110) 내에서 전,후로 직선 이동되면서 외통부재(110)의 선단부에서 출입되게 구비된다.The
이러한 내통부재(12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그 외측면에 내통부재(120)를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121)가 구비되고, 이 손잡이(121)는 외통부재(110)의 안내공(111)을 통해 외측으로 관통되어 돌출되게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또한, 손잡이(121)에는 레버(12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고, 레버(122)에는 도 3에서와 같이 후술될 집게부(130)를 레버(122)에 연결시키는 구동수단인 와이어케이블(이하 "와이어"라 한다)이 구비되어, 레버(122)를 손잡이(121) 측으로 당겨 회전시키면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집게부(130)를 오므려 나뭇가지에 열린 과실을 그립(grip)하여 딸 수 있게 된다.A
한편, 집게부(130)는 내통부재(120)의 선단부에 구성되어 나뭇가지에 열린 과실을 직접 그립하는 부재로서, 다수의 집게아암(131)을 포함한다.The
이와 같이 집게부(130)에 구성되는 집게아암(131)은 본 실시예에서는 총 4개로 구성된 것을 일례로 예시하였으나, 집게아암(131)의 개수는 과실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경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gripping
이러한 각 집게아암(131)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가 내통부재(120)에 삽입되어 구비되고 타단부는 내통부재(120)에서 돌출되어 외측으로 만곡되게 벌어져 과실을 그립하고 놓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3 to 5, one end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게다가, 각 집게아암(131)의 외측면에는 힌지아암(132)이 돌출 형성되고, 힌지아암(132)은 집게아암(131)의 외측면에서 후방으로 "ㄱ"자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In addition, a
이에 따라, 각각의 힌지아암(132)이 이루는 원주의 내측에는 내통부재(120)의 선단부가 구비되고, 각 힌지아암(132)은 내통부재(120)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힌지아암(132)과 내통부재(120)의 힌지부(133)에는 집게아암(131)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134)가 구비된다.The inner end of the
이러한 탄성부재(134)는 힌지아암(132)과 내통부재(120)의 힌지부(133)에 구비되는 토션스프링으로서, 그 양측 단부가 전방을 향한 상태로 일측 단부는 내통부재(120)의 외측면에 접하여 구비되고, 타측 단부는 힌지아암(132)에 접하여 구비됨으로써, 이러한 탄성부재(134)에 의해 집게아암(131)은 항상 벌어지려는 복원력을 제공받게 된다.The
즉, 집게아암(131)이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시는 탄성부재(134)가 압축되면서 힌지아암(132)을 통해 오므려진 집게아암(131)을 벌려 원위치로 복귀시키려는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134)를 힌지부(133)에 구비된 토션스프링으로 예시하였지만,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오므려진 집게아암(131)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부재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That is, when the
한편, 상기와 같은 내통부재(120)에는 집게부(130)의 집게아암(131)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이 구비된다.The
이러한 구동수단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부재(120)의 손잡이(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레버(122)와, 내통부재(120) 내에 직선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150)와, 레버(122)와 연결부재(150)에 그 양측 단부가 각각 고정되게 연결되는 제 1 와이어(140)와, 연결부재(150)와 각 집게아암(131)에 그 양측 단부가 각각 고정되게 연결되는 제 2 와이어(160)를 포함한다.3 to 5, the driving means includes a
레버(122)는 그 상단부가 손잡이(121)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결합부의 전면부에는 제 1 와이어(140)가 접하는 반원형상의 캠부(122a)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upper end of the
따라서, 레버(122)의 캠부(122a)에는 레버(122)의 회전시 제 1 와이어(140)가 회전되는 캠부(122a)의 외측면에 접하여 감기면서 당겨지게 되고, 이와 같이 캠부(122a)에 의해 당겨지는 제 1 와이어(140)는 후술될 연결부재(150)와 제 2 와이어(160)를 통해 집게아암(131)을 회전시키게 된다.The
제 1 와이어("와이어케이블"이라고도 하나, 이하에서는 "와이어"라 통칭한다)(140)는 내통부재(120) 내에 구비되되, 그 일단부 즉 후단부는 내통부재(120)에서 인출되어 캠부(122a)를 지나 레버(122)에 고정되고, 타단부 즉 선단부는 후술될 연결부재(150)에 연결되어 구비된다.The first wire (also referred to as a "wire cable"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wire") 140 is provided in the
그리고, 제 1 와이어(140)는 레버(122)의 결합부 즉 힌지점을 지난 내통부재(120)의 후방 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롤러(170)에 의해 지지된다.The
이러한 가이드롤러(170)는 내통부재(120)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가이드롤러(170)에는 제 1 와이어(140)가 접하여 감김되면서 레버(122)에 고정된다. 가이드롤러(170)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와이어(140)는 내통부재(120)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구비된다.The
따라서, 레버(122)를 손잡이(121) 측으로 당기면, 회전되는 레버(122)와 같이 제 1 와이어(140)가 당겨지면서 제 1 와이어(140)에 연결된 연결부재(150)를 내통부재(120) 내에서 후방으로 직선 이동시키게 된다.When the
그리고, 연결부재(150)는 내통부재(120)의 내경에 대응한 외경을 갖는 원통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150)의 전후 양 측면에는 각각의 고정후크(152)(153)가 구비되며, 연결부재(150) 후면의 고정후크(152)에는 제 1 와이어(140)가 연결되어 구비되고, 연결부재(150) 전면의 고정후크(153)에는 후술될 제 2 와이어(160)가 각각 연결되어 구비된다.The connecting
특히, 연결부재(150)의 선단부에는 "+"자 또는 "×"자 형태로 돌출된 블록부(151)가 형성되고, 블록부(151)의 각 단부에는 각각의 고정후크(153)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이 고정후크(153)에는 각 집게아암(131)에 구비되는 각각의 제 2 와이어(160)가 일대일 대응으로 연결되어 구비된다.Particularly, a
따라서, 상기와 같은 블록부(151)의 고정후크(153)에 각 집게아암(131)의 제 2 와이어(160)가 일대일 대응으로 연결됨에 따라 제 2 와이어(160)들이 서로 이격되게 구비됨으로써 제 2 와이어(160)들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고, 집게부(130)의 힌지아암(132)에 구비된 탄성부재(134)의 복원력에 의해 각각의 제 2 와이어(160)들은 긴장된 장력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제 2 와이어(160)들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한편, 상기와 같은 연결부재(150)는 내통부재(120)와의 사이에 돌기와 홈의 구조로 된 안내수단이 구성될 수 있고, 이 안내수단에 의해서 연결부재(150)가 내통부재(120) 내에서 전후로 직선 이동될 시 연결부재(150)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연결부재(150)에 연결된 제 2 와이어(160) 간의 꼬임을 방지할 수도 있다.The connecting
이때, 제 2 와이어(160)가 연결되는 집게아암(131)의 후단부에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연결부재(150)에서와 같은 후크부를 구비하여 제 2 와이어(160)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후크부의 구성없이도 제 2 와이어(160)를 집게아암(131)의 후단부에 걸어 고정시킬 수도 있다.4 and 5, a hook portion such as that of the connecting
게다가, 내통부재(120)의 선단부에는 회전되는 집게아암(131)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집게아암(131)의 원활한 회전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돌출부가 내통부재(12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The
이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22)가 손잡이(121) 측으로 당겨져 회전되면, 레버(122)와 같이 제 1 와이어(140)가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제 1 와이어(140)에 연결된 연결부재(150)가 내통부재(120)의 후방으로 이동되고, 연결부재(150)의 이동에 의해 이에 연결된 제 2 와이어(160)가 내통부재(120)의 후방으로 당겨짐으로써 제 2 와이어(160)가 연결된 각각의 집게아암(131)은 힌지부(133)를 축으로 회전되면서 오므려지게 된다.5, when the
한편, 수집망(200)은 집게부(130)의 집게아암(131)에서 수확한 과실을 담아 보관하는 부재로서, 외통부재(110)의 선단부에 고정되게 구비되지만, 다른 실시예로는 전술한 내통부재(120)와 마찬가지로 수집망(200)을 내통부재(120)에 연결하여 내통부재(120)의 인출시 내통부재(120)와 같이 외통부재(110)에서 인출되게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llecting net 200 is a member for storing fruit harvested in the
이러한 수집망(20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부재(110)의 선단부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림부(210)와, 림부(210)의 원주를 따라 걸림되어 구비되는 그물망(220)과, 림부(210)에 걸림된 각 단위 그물망마다 구비되어 각 단위 그물망을 연결하거나 개방시키는 영구자석(230)을 포함한다.6 and 7, the collecting net 200 includes a
여기서, 그물망(220)은 다수의 단위 그물망으로 이루어지되, 단위 그물망은 림부(210)의 좌우(또는 전후) 측에 각각 그 일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부는 하방으로 늘어진 상태의 자유단부로 구비되며, 하방으로 늘어진 양 단위 그물망의 자유단부에는 영구자석(230)이 각각 고정되어 구비된다.Here, the
따라서, 양 단위 그물망의 영구자석(230)이 부착되면 그물망(220)이 형성되고, 그물망(220)에 과실이 담아진 상태에서 과실을 아래로 누르면 영구자석(230)이 분리되면서 그물망(220)이 개방되어 과실이 배출된다.Therefore, when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과실 수집기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frui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작업자는 고소작업차에 탑승한 채로 나뭇가지에 열린 과실을 수확하고, 손이 닿지 않는 위치의 과실은 본 발명의 과실 수집기(100)를 이용하여 수확하게 된다.First, the operator harvests the open fruit on the branch while being boarded in the high-altitude work car, and harvests the fruit in the position not reachable by using the
이러한 본 발명의 과실 수집기(100)는 외통부재(110)를 잡고 내통부재(120)의 손잡이(121)를 밀어 내통부재(120)를 도 6에서와 같이 외통부재(110)의 선단부로 인출시켜 손이 닿지 않는 나뭇가지의 과실을 내통부재(120) 선단부의 집게부(130) 내에 위치시킨다.The
이 상태에서 손잡이(121)에 구비된 레버(122)를 손잡이(121) 측으로 당겨 회전시키면, 도 5에서와 같이 레버(122)가 후방으로 회전됨에 동시에 레버(122)에 고정된 고정단(141)을 통해 제 1 와이어(140)가 레버(122)와 같이 후방으로 당겨지게 된다.5, the
그러면, 제 1 와이어(140)에 의해 내통부재(120) 내에 구비된 연결부재(15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연결부재(150)의 전면에 형성된 블록부(151)의 고정후크(153)에 각각 연결된 제 2 와이어(160)들이 꼬임이 방지되면서 후방으로 당겨지게 된다.The connecting
이와 같이 당겨지는 제 2 와이어(160)들에 의해 집게부(130)에 구비된 다수의 집게아암(131)들은 힌지아암(132)과 내통부재(120) 간의 힌지부(133)를 축으로 내통부재(120)의 축 중심 측으로 각각 회전되어 오므려지면서 과실을 감싸게 되고, 이 상태에서 인출되어 있던 내통부재(120)를 외통부재(110) 내로 인입시키면 과실이 나뭇가지로부터 떨어져 수확된다.The plurality of
한편, 집게아암(131)을 통해 과실을 수확한 상태로 내통부재(120)를 외통부재(110) 내로 인입하면, 집게아암(131)에 수확된 과실이 수집망(200)에 위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손잡이(121) 측으로 당기고 있던 레버(122)를 놓으면 오므려져 있던 집게아암(131)이 힌지아암(132)과 내통부재(120)의 힌지부(133)에서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134)의 인장력에 의해 역회전되면서 원위치로 벌어져 잡고 있던 과실을 놓게 되며, 이로 인해 과실은 수집망(200) 내로 떨어져 저장된다.Meanwhile, when the
이때, 탄성부재(134)에 의해 집게아암(131)이 원위치로 복귀되면, 제 2 와이어(160)와 연결부재(150) 및 제 1 와이어(14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제 1 와이어(140)의 전방 이동에 의해 레버(122)가 손잡이(121)로부터 역회전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At this time, when the
이런 동작을 반복하여 손이 닿지 않는 과실을 계속해서 수확하여 수집망(200)에 저장할 수 있고, 수집망(200)에 저장된 과실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수집망(200)을 과일 바구니 등의 집합소로 옮긴 상태에서 수집망(200) 내의 과실을 아래로 밀어낸다.When the fruit stored in the
그러면, 도 7에서와 같이, 수집망(200)을 형성하고 있던 그물망(220) 하부의 영구자석(230)이 분리되면서 그물망(220)의 하부가 개방되어 과실이 그물망(220)에서 배출되고, 배출 후에는 수집기(100)를 흔들어주면 분리된 영구자석(230)이 서로 부착되어 그물망(220)을 다시 형성하게 되어, 과실 수확작업을 계속 진행할 수 있게 된다.7, when th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수집기 110 : 외통부재
111 : 안내공 120 : 내통부재
121 : 손잡이 122 : 레버
122a : 캠부 130 : 집게부
131 : 집게아암 132 : 힌지아암
133 : 힌지부 134 : 탄성부재
140 : 제 1 와이어 150 : 연결부재
151 : 블록부 152,153 : 고정후크
160 : 제 2 와이어 170 : 가이드롤러
200 : 수집망 210 : 림부
220 : 그물망 230 : 영구자석100: collector 110: outer tube member
111: guide ball 120: inner barrel member
121: handle 122: lever
122a: cam part 130:
131: tongue arm 132: hinge arm
133: hinge part 134: elastic member
140: first wire 150: connecting member
151:
160: second wire 170: guide roller
200: collection network 210: limb
220: network 230: permanent magnet
Claims (3)
집게부(130)는 그 일단부가 내통부재에 삽입되어 구비되고 타단부는 내통부재에서 돌출되어 외측으로 만곡되게 벌어져 과실을 그립하고 놓을 수 있는 다수의 집게아암(131); 집게아암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통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아암(132); 및 힌지아암과 내통부재의 힌지부에 구비되어 집게아암을 벌어진 상태로 구비시키는 탄성부재(134);를 포함하고,
내통부재에는 집게부의 집게아암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구비되되, 내통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122); 내통부재 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150); 레버와 연결부재에 그 양측 단부가 각각 고정되게 연결되는 제 1 와이어(140); 및 연결부재와 각 집게아암에 그 양측 단부가 각각 고정되게 연결되어 레버가 회전됨에 따라 제 1 와이어와 연결부재에 의해 이동되면서 집게아암을 회전시키는 제 2 와이어(160);를 포함하고,
제 1 와이어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레버에는 레버의 회전시 제 1 와이어가 접하여 감기면서 당겨질 수 있도록 한 캠부(122a)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연결부재(150)는 내통부재(120)의 내경에 대응한 외경을 갖는 원통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150)의 전후 양 측면에는 각각의 고정후크(152)(153)가 구비되며, 연결부재(150) 후면의 고정후크(152)에는 제 1 와이어(140)가 연결되어 구비되고, 연결부재(150) 전면의 고정후크(153)에는 제 2 와이어(160)가 각각 연결되어 구비되되 전면의 고정후크(153)는 연결부재에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블록부(151)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각 집게아암(131)의 제 2 와이어(160)가 고정후크(153)에 일대일 대응으로 연결됨에 따라 제 2 와이어(160)들이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수집망(200)은 외통부재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림부(210); 림부의 원주를 따라 걸림되어 구비되는 그물망(220); 및 림부에 걸림된 각 단위 그물망마다 구비되어 각 단위 그물망을 연결하거나 개방시키는 영구자석(230);을 포함하는 과실 수집기A hollow outer tube member 110; An inner barrel member (120)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ove in and out of the outer barrel member; An extracting unit 130 provided on the inner barrel to grip and harvest fruits; And a collecting net (200) provided in the outer cylinder to store fruits harvested in the collecting unit,
A plurality of gripping arms 131, one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ner barrel memb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protruded from the inner barrel member and bent outward to grip and place the fruit; A hinge arm (132)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gripper arm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barrel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134) provided at a hinge portion of the hinge arm and the inner barrel member to hold the gripping arm in a flared state,
The inner barrel member includes a lever (122) provided with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clamping arm of the clamping unit, the lever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casing member; A connecting member (150) movably provided in the inner barrel member; A first wire (140) fixedly connected to both the lever and the connecting member at both ends thereof; And a second wire (160) fixed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each of the gripping arms at both ends thereof to rotate the gripping arm while being moved by the first wire and the connecting member as the lever is rotated,
The lever, to which the first wire is connected and fixed, has a cam portion (122a) protruding from the first wire so that the first wire can be wound while being touched,
The connecting member 15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barrel member 120. The connecting members 150 are provided with fixing hooks 152 and 153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The first wire 140 is connected to the fixing hook 152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150 and the second wire 160 is connected to the fixing hook 153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150, The fixing hooks 153 are formed on the plurality of block parts 151 protruding from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second wires 160 of the respective clamping arms 131 are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fixing hooks 153 The second wires 16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ollecting net (200) includes a rim portion (210) fixed to the outer cylinder member; A net 220 which is hook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im portion; And a permanent magnet (230) provided for each unit net hooked to the rim and connecting or opening each unit n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3968A KR101876350B1 (en) | 2018-02-27 | 2018-02-27 | Length adjustable fruit harves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3968A KR101876350B1 (en) | 2018-02-27 | 2018-02-27 | Length adjustable fruit harves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6350B1 true KR101876350B1 (en) | 2018-07-09 |
Family
ID=6291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3968A KR101876350B1 (en) | 2018-02-27 | 2018-02-27 | Length adjustable fruit harves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6350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41805A (en) * | 2019-09-10 | 2020-02-04 | 浙江海洋大学 | Lotus seedpod picking device |
CN111820004A (en) * | 2020-07-22 | 2020-10-27 | 安徽省农业科学院农业工程研究所 | Thin-shell pecan fruit harvesting device |
KR20200131525A (en) * | 2019-05-14 | 2020-11-24 | 박다인 | A bag module for fruit harvesting apparatus |
KR20210039239A (en) * | 2019-10-01 | 2021-04-09 | 송준복 | Apparatus for gathering individual fruits |
WO2021112608A1 (en) * | 2019-12-06 | 2021-06-10 | 최미정 | Fruit harvesting device |
KR20220022696A (en) * | 2020-08-19 | 2022-02-28 | 최미정 | Pocket for harvesting fruit of fruit tree |
CN114128488A (en) * | 2021-11-14 | 2022-03-04 | 北京工业大学 | Rotation type lily picking mechanism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89688B1 (en) * | 1996-07-22 | 1999-06-01 | 정석종 | Fruit harvest |
KR20040072307A (en) * | 2003-02-10 | 2004-08-18 | 학교법인 신천학원 | Fruit harvester |
JP2005176745A (en) * | 2003-12-19 | 2005-07-07 | Satoshi Iwase | Fruit-collecting working tool |
KR200474453Y1 (en) * | 2013-02-07 | 2014-09-23 | 김규석 | the fruit harvester |
KR20150006745A (en) * | 2013-07-09 | 2015-01-19 | 황경봉 | Fruit a harvester |
-
2018
- 2018-02-27 KR KR1020180023968A patent/KR10187635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89688B1 (en) * | 1996-07-22 | 1999-06-01 | 정석종 | Fruit harvest |
KR20040072307A (en) * | 2003-02-10 | 2004-08-18 | 학교법인 신천학원 | Fruit harvester |
JP2005176745A (en) * | 2003-12-19 | 2005-07-07 | Satoshi Iwase | Fruit-collecting working tool |
KR200474453Y1 (en) * | 2013-02-07 | 2014-09-23 | 김규석 | the fruit harvester |
KR20150006745A (en) * | 2013-07-09 | 2015-01-19 | 황경봉 | Fruit a harvester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1525A (en) * | 2019-05-14 | 2020-11-24 | 박다인 | A bag module for fruit harvesting apparatus |
KR102266597B1 (en) | 2019-05-14 | 2021-06-17 | 박다인 | A bag module for fruit harvesting apparatus |
CN110741805A (en) * | 2019-09-10 | 2020-02-04 | 浙江海洋大学 | Lotus seedpod picking device |
KR20210039239A (en) * | 2019-10-01 | 2021-04-09 | 송준복 | Apparatus for gathering individual fruits |
KR102327551B1 (en) | 2019-10-01 | 2021-11-17 | 송준복 | Apparatus for gathering individual fruits |
WO2021112608A1 (en) * | 2019-12-06 | 2021-06-10 | 최미정 | Fruit harvesting device |
CN111820004A (en) * | 2020-07-22 | 2020-10-27 | 安徽省农业科学院农业工程研究所 | Thin-shell pecan fruit harvesting device |
CN111820004B (en) * | 2020-07-22 | 2023-12-12 | 安徽省农业科学院农业工程研究所 | Apocarya fruit harvesting device |
KR20220022696A (en) * | 2020-08-19 | 2022-02-28 | 최미정 | Pocket for harvesting fruit of fruit tree |
KR102559035B1 (en) * | 2020-08-19 | 2023-07-24 | 최미정 | Pocket for harvesting fruit of fruit tree |
CN114128488A (en) * | 2021-11-14 | 2022-03-04 | 北京工业大学 | Rotation type lily picking mechanis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6350B1 (en) | Length adjustable fruit harvester | |
CN109571400A (en) | A kind of pineapple auxiliary picking mechanical arm | |
AU2021103745A4 (en) | Apple picking manipulator and apple picking mechanical equipment | |
CN208691784U (en) | Adaptive turn-knob drive lacking fruit picking apparatus | |
CN215683458U (en) | Apple picking manipulator and apple picking mechanical equipment | |
CN207828485U (en) | A kind of efficient waxing attachment of weaving | |
KR101867694B1 (en) | Fruit harvester | |
CN212232211U (en) | Intelligent picking robot | |
CN207995695U (en) | Adjustable domestic high-branch fruit picker | |
CN208258454U (en) | A kind of semi-automatic high-branch fruit picker | |
KR102004995B1 (en) | Pincers for weeds removal | |
CN207589541U (en) | A kind of various fruits picker applied widely | |
GB2202724A (en) | Fruit pickers | |
CN202260016U (en) | Collapsible connector and telephone using the same | |
CN107615984A (en) | Spina gleditsiae picker | |
CN208724432U (en) | Fruits picking mechanical hand based on three-dimensional diamond shape telescoping mechanism | |
CN206452060U (en) | Preformed armor rods winding tool | |
CN112930875A (en) | Be applied to robotic arm that agricultural was picked | |
KR101323682B1 (en) | a apparatus for harvesting fruit | |
CN210432434U (en) | Fruit picker | |
JP3161176U (en) | Fruit fruit | |
JP4145858B2 (en) | Fruit collector | |
CN213616181U (en) | Vice with adjusting buckle | |
JP3123464U (en) | Fruit harvester | |
CN220630137U (en) | Handheld simple fruit pick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