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876B1 -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876B1
KR101875876B1 KR1020160103182A KR20160103182A KR101875876B1 KR 101875876 B1 KR101875876 B1 KR 101875876B1 KR 1020160103182 A KR1020160103182 A KR 1020160103182A KR 20160103182 A KR20160103182 A KR 20160103182A KR 101875876 B1 KR101875876 B1 KR 101875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line
injection
gas supply
jig
inject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8156A (ko
Inventor
장성규
Original Assignee
장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규 filed Critical 장성규
Priority to KR1020160103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8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8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F25B41/0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25B41/42Arrangements for diverging or converging flows, e.g. branch lines or j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3Vibr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체적인 구성은, 진동흡수관(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주입봉(40)이 구비되고, 상기 주입봉(4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통기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봉(40)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제2통기부(41)와 연통되는 통공입구(43)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봉(4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통기부(41)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주입공(42)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며, 상기 주입봉(40)의 타측 끝단에는 결합지그(50)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파지부(44)가 형성되고, 파지부(44)의 외주면에는 결합홈(45)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지그(50)에는 U자형상의 안착부(51)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51)의 중앙부에는 상기 파지부(44)의 결합홈(45)과 대응되면서 결합되도록 결합돌기(52)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봉(40)의 통공입구(43)로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압착지그(20)가 구비되되, 상기 압착지그(20)에서 압착구(30)의 일측 끝단에는 압착구(30)의 내부에 형성된 제1통기부(31)와 연통되는 압착주입구(3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압착구(30)의 타측 끝단에는 이송받침구(22)를 관통하면서 직선운동을 하는 이송봉(34)이 장착되며, 상기 이송받침구(22)는 설치받침대(21)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받침구(22)의 맞은편에는 설치받침대(21)의 상면 타측으로 힌지대(23)가 장착되며, 상기 힌지대(23)에는 조작대(24)의 선단이 계지되고, 상기 조작대(24)의 측방과 상기 이송봉(34)의 말단에는 링크(25)가 연결되며, 상기 압착구(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압착구(30)의 내부에 형성된 제1통기부(31)와 연통되도록 호스(75)가 장착되고, 상기 호스(75)에는 가스탱크(70)에 접속된 가스공급라인(71)이 접속되며, 상기 가스공급라인(71)에는 가스공급밸브(72)가 장착되고, 상기 가스공급라인(71)에는 가스배출밸브(74)가 장착된 가스배출라인(73)이 분기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The testing device of leak point for vibration-absorbing tube}
본 발명은 누기(漏氣)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압축기에서 고압으로 토출되는 냉매가스의 강력한 진동을 안정적으로 흡수하여 전달하는 냉동압축기용 진동 흡수관의 누기 현상을 시험하는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냉동공조 산업에서는 공기, 냉매, 특수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압축기를 통해 냉매가스가 압축되어 공급될 때에는 강력한 진동이 발생 되는바, 이러한 강력한 진동을 안정적으로 흡수하면서 냉매가스를 다음 단계로 연속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냉동압축기용 진동 흡수관이 구비된다.
진동흡수관은 고압으로 토출되는 냉매가스의 압력을 신축적으로 흡수하여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는 주름관(11)이 구비되고, 주름관(11)의 양단에는 다른 배관과 연결하는 연결관(12)이 접합되며, 주름관(11)의 외측에는 두께가 얇은 금속사로 엮어진 편조망(13)이 외삽된다.
상기 편조망(13)은 고압으로 공급되는 냉매가스의 압력을 주름관(11)이 흡수할 때에 주름관(11)이 축방향을 따라 팽창되는바, 축방향으로 팽창되는 주름관(11)의 팽창 한계구간을 인위적으로 설정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편조망(13)을 이용하여 주름관(11)의 팽창 한계구간을 인위적으로 설정해줌으로써, 주름관(11)이 냉매가스의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국부적으로 파열되거나,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다.
이처럼 냉동압축기용 진동흡수관(10)은 주름관(11), 연결관(12), 편조망(13) 등으로 구성되면서, 브레이징 또는 용접과 같은 접합기술을 통해 서로 접속되는 형태로 제조됨으로써, 접속 지점에서 고압으로 공급되는 냉매가스가 새어나오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완제품으로 만들어진 진동 흡수관의 누기(漏氣) 현상을 시험하여 성능을 검증하는바, 종래에는 진동 흡수관에 헬륨 가스를 충진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헬륨 측정기를 손에 잡고, 진동흡수관(10)의 외주면을 따라 측정기를 움직이면서 기체의 새는 지점을 감지하도록 하였으나, 대기중에도 미량의 헬륨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정확한 누기 지점을 포착하는 일이 어려웠다.
한편, 대기중에서 진동 흡수관의 누기 현상을 시험하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헬륨이 충진된 상태의 진동흡수관(10)을 물속에 침잠시킨 후, 새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물거품을 육안으로 구별하도록 하였으나, 주름관(11)의 외측을 감싸고 있는 얇은 금속사로 엮어진 편조망(13)에서 물방울이 맺히면서 물방울이 수면위로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정확한 냉매가스의 새는 지점을 포착하는 것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냉동압축기용 진동 흡수관의 접합 상태를 시험하고자, 진동흡수관(1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시험 기체의 이송 수단은 물론 검출 작업중 시험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진동흡수관(10)이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직진 유지 수단으로 작용하는 주입봉(40)이 구비되고, 상기 주입봉(40)으로 시험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압착지그(20)가 구비되며, 상기 진동흡수관(10)의 외주면에 진공챔버(60)를 외삽함으로써, 진공상태에서 진동흡수관(10)의 새는 지점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의 구체적인 수단은, 진동흡수관(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주입봉(40)이 구비되고, 상기 주입봉(4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통기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봉(40)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제2통기부(41)와 연통되는 통공입구(43)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봉(4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통기부(41)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주입공(42)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며, 상기 주입봉(40)의 타측 끝단에는 결합지그(50)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파지부(44)가 형성되고, 파지부(44)의 외주면에는 결합홈(45)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지그(50)에는 U자형상의 안착부(51)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51)의 중앙부에는 상기 파지부(44)의 결합홈(45)과 대응되면서 결합되도록 결합돌기(52)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봉(40)의 통공입구(43)로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압착지그(20)가 구비되되, 상기 압착지그(20)에서 압착구(30)의 일측 끝단에는 압착구(30)의 내부에 형성된 제1통기부(31)와 연통되는 압착주입구(3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압착구(30)의 타측 끝단에는 이송받침구(22)를 관통하면서 직선운동을 하는 이송봉(34)이 장착되며, 상기 이송받침구(22)는 설치받침대(21)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받침구(22)의 맞은편에는 설치받침대(21)의 상면 타측으로 힌지대(23)가 장착되며, 상기 힌지대(23)에는 조작대(24)의 선단이 계지되고, 상기 조작대(24)의 측방과 상기 이송봉(34)의 말단에는 링크(25)가 연결되며, 상기 압착구(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압착구(30)의 내부에 형성된 제1통기부(31)와 연통되도록 호스(75)가 장착되고, 상기 호스(75)에는 가스탱크(70)에 접속된 가스공급라인(71)이 접속되며, 상기 가스공급라인(71)에는 가스공급밸브(72)가 장착되고, 상기 가스공급라인(71)에는 가스배출밸브(74)가 장착된 가스배출라인(73)이 분기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연결관(12), 주름관(11), 편조망(13) 등이 서로 접속되면서 형성된 냉동압축기용 진동흡수관(10)의 누기(漏氣) 현상을 진공챔버(60) 방식을 통해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음에 따라, 진동흡수관(10)의 불량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누기 시험을 거친 양질의 진동흡수관(10)이 설치되는 냉동공조 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되는 부수적인 장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중 압착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중 결합지그와 파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중 주입봉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중 진공챔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중 진공챔버와 진동 흡수관의 대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의 결합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에 대한 기술구성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이나 구성 및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와 부합되지 않는 부연 설명에 지나지 않을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중 압착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먼저, 상기 진동흡수관(10)은 냉동압축기에서 냉매가스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공급할 때에 강력한 진동을 신축적으로 흡수하여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는 주름관(11)이 구비되고, 주름관(11)의 양단에는 다른 배관과 연결하는 연결관(12)이 접합되며, 주름관(11)의 외측에는 두께가 얇은 금속사로 엮어진 편조망(13)이 외삽되는 구성이다.
이처럼 접합 지점이 다수개인 진동흡수관(10)에서 냉매가스의 새는 지점을 사전에 측정하고자, 도 1에서와 같이 진동흡수관(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주입봉(40)이 구비된다. 상기 주입봉(40)은 진동흡수관(10)의 내부로 시험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공급 수단이며, 동시에 고압으로 채워지는 시험 기체의 압력으로 인해 진동흡수관(10)이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직진 유지 수단인데다, 시험 기체의 공급량을 절감시키기 위해 진동흡수관(10)의 체적을 잠식하는 잠식 수단이기도 하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인체에 무해한 헬륨 가스를 시험 기체로 사용한다.
한편, 상기 주입봉(40)의 선단에 형성된 통공입구(43)에 시험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압착지그(20)가 구비되는 바, 도 2의 (a)에서와 같이 압착구(30)의 선단에는 원추형상의 압착주입구(3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원추형상의 압착주입구(32)는 압착구(30)의 내부에 형성된 제1통기부(31)와 연통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원추형상의 압착주입구(32)는 주입봉(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형성된 제2통기부(41)의 통공입구(43)와 대응되면서 결합됨으로써, 외부에 설치된 가스탱크(70)에서 감압기와 레귤레이터 등의 통상적인 구성을 통해 높은 압력으로 공급되는 시험 기체가 주입봉(40)을 매개체로 진동흡수관(10)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압착구(30)에서 원추형상의 압착주입구(32)와 연결되는 지점에는 진동흡수관(10)의 연결관(12)이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제1고정홈(33)이 형성되고, 압착구(30)의 후방에는 이송봉(34)이 이송받침구(22)에 관통되도록 장착되되, 상기 이송받침구(22)는 설치받침대(21)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받침구(22)의 맞은편에는 설치받침대(21)의 상면 타측으로 힌지대(23)가 장착되어, 상기 힌지대(23)에 조작대(24)의 선단이 회동 가능하게 계지되며, 상기 조작대(24)의 측방과 상기 이송봉(34)의 말단을 연결하는 링크(25)가 장착된다.
따라서, 도 2의 (b)에서와 같이 조작대(24)를 ①번 화살표 방향으로 들어 올리면서 회전시키면, 힌지대(23)를 축으로 하여 조작대(24)가 회전될때에, 이송봉(34)은 링크(25)에 의하여 ②번 화살표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면서, 결국 압착구(30)의 원추형상의 압착주입구(32)와 주입봉(40)의 통공입구(43)가 밀착되면서 접합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압착구(30)의 내부에 형성된 제1통기부(31)에 시험 기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호스(75)가 연결되고, 상기 호스(75)는 가스탱크(70)에 접속된 가스공급라인(71)과 접속되며, 상기 가스공급라인(71)에는 가스공급밸브(72)가 장착되어 시험 기체의 공급을 관장하도록 한다.
또한, 누기 측정이 완료된 진동흡수관(10)을 검출장치에서 탈거할 때에는 상기 가스공급라인(71)에서 분기된 가스배출라인(73)에 설치된 가스배출밸브(74)를 개방하여 진동흡수관(10)에 채워진 기체를 일부분 배출시킨 다음, 용이하게 진동흡수관(10)을 검출장치에서 탈거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중 결합지그(50)와 파지부(44)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중 주입봉(4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의 (a)에서와 같이 주입봉(40)의 일측에는 원통 형상의 파지부(44)가 형성되고, 파지부(44)의 외주면에는 결합홈(45)이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44)는 결합지그(50)에 장착되는 바, 결합지그(50)에는 U자형상의 안착부(51)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51)의 중앙부에는 상기 파지부(44)의 결합홈(45)과 대응되면서 결합되도록 결합돌기(52)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의 (b)에서와 같이 주입봉(40)은 진동흡수관(10)의 내부로 시험 기체를 주입하는 동안 주입봉(40)의 일측에 형성된 파지부(44)가 결합지그(50)에 장착됨으로써, 견고하게 움직이지 않고 자리를 잡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의 (a)에서와 같이, 진동흡수관(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시험 기체를 주입하는 주입봉(40)의 내부에는 제2통기부(41)가 형성되고, 주입봉(40)의 선단에는 상기 제2통기부(41)와 연통되는 통공입구(43)가 형성되며, 길쭉한 주입봉(4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통기부(41)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주입공(42)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됨으로써, 가스탱크(70)에서 공급되는 시험 기체가 상기 주입봉(40)의 통공입구(43)로 주입된 후, 제2통기부(4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주입공(42)을 통해 진동흡수관(10)의 내부에 가득 충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주입봉(40)의 말단에는 제2고정홈(48)이 형성된 받침캡(47)이 접합되어, 파지부(44)의 타측에 형성된 장착홈(46)으로 내삽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홈(48)에는 진동흡수관(10)의 연결관(12)이 견고하게 끼워지면서, 시험 기체를 채우는 동안 진동흡수관(10)이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의 (b)에서와 같이 주입봉(40)의 선단에는 제2통기부(41)와 연통되는 통공입구(43)가 형성되되, 앞서 설명한 압착구(30)의 원추형상의 압착주입구(32)와 대응되면서 밀착되도록 원추형상의 홈을 갖는 형태로 통공입구(4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중 진공챔버(6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중 진공챔버(60)와 진동흡수관(10)의 대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의 (a)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진동흡수관(10)의 누기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진동흡수관(10)을 진공챔버(60)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즉, 원통형상의 진공챔버(60)에서 양단에는 입출구 기능을 하는 선단부(61)가 형성되고, 진공챔버(60)의 중앙에는 진공포트(63)가 연결되되, 진공포트(63)를 견고하게 접속시키기 위해 진공챔버(60)의 외주면에는 보강부(62)가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62)의 외주면으로 진공포트(63)가 접속된다.
따라서, 진공챔버(60)의 내부로 삽입된 진동흡수관(10)의 외주면과 진공챔버(60)의 내주면과의 사이 공간을 진공부로 설정하기 위해, 진동흡수관(10)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관(12)에 고무링(65)이 외주면에 장착된 밀폐링(64)을 끼움으로써, 상기 밀폐링(64)의 고무링(65)이 진공챔버(60)의 선단부(61)와 진동흡수관(10)의 연결관(12)의 사이 공간에 위치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의 결합 사시도로서, 도 6의 (b) 및 도 7에서와 같이 진공챔버(60)의 내부에 삽입된 진동흡수관(10)은 결합지그(50)와 압착구(30)의 사이에 견고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외부에 설치된 진공펌프(80)가 작동되면, 진공챔버(60)에 접속된 진공포트(63)를 통해 진동흡수관(10)의 외주면과 진공챔버(60)의 내주면과의 사이 공간이 진공부로 조성되는바, 진동흡수관(10)에 누기 지점이 존재한다면, 진동흡수관(10)의 내부를 채우고 있는 시험 기체가 상기 진공포트(63)를 지나 시험 기체를 선별하는 별도의 계측장비(81)로 이송됨으로써, 진공펌프(80)의 작동중 시험 기체의 발생 유무를 계측장비(81)의 디스플레이부에 에러 메세지로 표시하거나, 음성 신호로 송출하는 등 현재 시험하고 있는 진동흡수관(10)의 에러 여부를 작업자에게 알리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연결관(12), 주름관(11), 편조망(13) 등이 서로 접속되면서 형성된 냉동압축기용 진동흡수관(10)의 누기(漏氣) 현상을 진공챔버(60) 방식을 통해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음에 따라, 진동흡수관(10)의 불량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누기 시험을 거친 양질의 진동흡수관(10)이 설치되는 냉동공조 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되는 부수적인 장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10 : 진동흡수관
11 : 주름관
12 : 연결관
13 : 편조망
20 : 압착지그
21 : 설치받침대
22 : 이송받침구
23 : 힌지대
24 : 조작대
25 : 링크
30 : 압착구
31 : 제1통기부
32 : 압착주입구
33 : 제1고정홈
34 : 이송봉
40 : 주입봉
41 : 제2통기부
42 : 주입공
43 : 통공입구
44 : 파지부
45 : 결합홈
46 : 장착홈
47 : 받침캡
48 : 제2고정홈
50 : 결합지그
51 : 안착부
52 : 결합돌기
60 : 진공챔버
61 : 선단부
62 : 보강부
63 : 진공포트
64 : 밀폐링
65 : 고무링
70 : 가스탱크
71 : 가스공급라인
72 : 가스공급밸브
73 : 가스배출라인
74 : 가스배출밸브
75 : 호스
80 : 진공펌프
81 : 계측장비

Claims (3)

  1. 진동흡수관(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주입봉(40)이 구비되고, 상기 주입봉(4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통기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봉(40)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제2통기부(41)와 연통되는 통공입구(43)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봉(4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통기부(41)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주입공(42)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며, 상기 주입봉(40)의 타측 끝단에는 결합지그(50)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파지부(44)가 형성되고, 파지부(44)의 외주면에는 결합홈(45)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지그(50)에는 U자형상의 안착부(51)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51)의 중앙부에는 상기 파지부(44)의 결합홈(45)과 대응되면서 결합되도록 결합돌기(52)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봉(40)의 통공입구(43)로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압착지그(20)가 구비되되, 상기 압착지그(20)에서 압착구(30)의 일측 끝단에는 압착구(30)의 내부에 형성된 제1통기부(31)와 연통되는 압착주입구(3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압착구(30)의 타측 끝단에는 이송받침구(22)를 관통하면서 직선운동을 하는 이송봉(34)이 장착되며, 상기 이송받침구(22)는 설치받침대(21)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받침구(22)의 맞은편에는 설치받침대(21)의 상면 타측으로 힌지대(23)가 장착되며, 상기 힌지대(23)에는 조작대(24)의 선단이 계지되고, 상기 조작대(24)의 측방과 상기 이송봉(34)의 말단에는 링크(25)가 연결되며, 상기 압착구(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압착구(30)의 내부에 형성된 제1통기부(31)와 연통되도록 호스(75)가 장착되고, 상기 호스(75)에는 가스탱크(70)에 접속된 가스공급라인(71)이 접속되며, 상기 가스공급라인(71)에는 가스공급밸브(72)가 장착되고, 상기 가스공급라인(71)에는 가스배출밸브(74)가 장착된 가스배출라인(73)이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입봉(40)의 말단에는 진동흡수관(10)의 연결관(12)이 끼워지도록 제2고정홈(48)이 형성된 받침캡(47)이 접합되고, 상기 받침캡(47)은 상기 파지부(44)의 타측에 형성된 장착홈(46)에 내삽되며, 상기 주입봉(40)의 통공입구(43)는 원추형상의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착구(30)의 압착주입구(32)는 원추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압착구(30)에서 압착주입구(32)와 연결되는 지점에는 진동흡수관(10)의 연결관(12)이 끼워지도록 제1고정홈(33)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관(10)이 내삽되는 진공챔버(60)가 구비되되, 상기 진공챔버(60)의 양단에는 입출구 기능을 하는 선단부(61)가 형성되고, 진공챔버(60)의 중앙에는 진공포트(63)가 접속되며, 상기 진공챔버(60)의 내부로 삽입된 진동흡수관(10)의 외주면과 진공챔버(60)의 내주면과의 사이 공간을 진공부로 조성하기 위해, 진동흡수관(10)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관(12)에는 고무링(65)이 외주면에 장착된 밀폐링(64)을 끼움으로써, 상기 밀폐링(64)의 고무링(65)이 진공챔버(60)의 선단부(61)와 진동흡수관(10)의 연결관(12)의 사이 공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
KR1020160103182A 2016-08-12 2016-08-12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 KR101875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182A KR101875876B1 (ko) 2016-08-12 2016-08-12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182A KR101875876B1 (ko) 2016-08-12 2016-08-12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156A KR20180018156A (ko) 2018-02-21
KR101875876B1 true KR101875876B1 (ko) 2018-07-06

Family

ID=6152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182A KR101875876B1 (ko) 2016-08-12 2016-08-12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8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9577A (zh) * 2020-10-13 2021-01-05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容积连续变化的吸枪头及漏点检测系统
CN113804383B (zh) * 2021-11-18 2022-02-22 山东科锐医疗用品有限公司 胰岛素注射笔针头的振动检测装置
CN114412772A (zh) * 2022-01-10 2022-04-29 上海颛民机电有限公司 一种气体压缩机检测方法及装置
CN117906940A (zh) * 2024-03-20 2024-04-19 山东北方创信防水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橡胶密封圈密封性能检测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1335A (en) * 1987-07-16 1989-01-24 Toshiba Corp Leak inspection for continuous length pipe
JPH0327339U (ko) * 1989-07-27 1991-03-19
KR950004581B1 (ko) * 1991-03-20 1995-05-02 대원전선주식회사 폴리에틸렌 파이프 내압 시험기
KR20050057129A (ko) * 2002-09-03 2005-06-16 가부시끼가이샤니찌린 진동흡수관
JP2005201412A (ja) * 2004-01-19 2005-07-28 Ork:Kk 振動吸収管
KR100943455B1 (ko) * 2008-05-30 2010-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다중관 검사 장치 및 다중관 검사방법
KR20120122817A (ko) * 2011-04-30 2012-11-07 (주)아이닉스 정수기필터용 리크 검사방법 및 장치
KR101260229B1 (ko) * 2011-11-03 2013-05-03 신동해(주) 냉동압축기용 진동 흡수관
KR101525415B1 (ko) * 2015-01-14 2015-06-17 한양철강(주) 리크 테스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1335A (en) * 1987-07-16 1989-01-24 Toshiba Corp Leak inspection for continuous length pipe
JPH0327339U (ko) * 1989-07-27 1991-03-19
KR950004581B1 (ko) * 1991-03-20 1995-05-02 대원전선주식회사 폴리에틸렌 파이프 내압 시험기
KR20050057129A (ko) * 2002-09-03 2005-06-16 가부시끼가이샤니찌린 진동흡수관
JP2005201412A (ja) * 2004-01-19 2005-07-28 Ork:Kk 振動吸収管
KR100943455B1 (ko) * 2008-05-30 2010-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다중관 검사 장치 및 다중관 검사방법
KR20120122817A (ko) * 2011-04-30 2012-11-07 (주)아이닉스 정수기필터용 리크 검사방법 및 장치
KR101260229B1 (ko) * 2011-11-03 2013-05-03 신동해(주) 냉동압축기용 진동 흡수관
KR101525415B1 (ko) * 2015-01-14 2015-06-17 한양철강(주) 리크 테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156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876B1 (ko) 진동 흡수관용 누기 검출장치
KR101909619B1 (ko) 모세관 누설 검사장치
KR102108763B1 (ko) 각도 자동교정 기능을 갖는 누설시험장치용 밀폐장치
CN203249742U (zh) 洗涤壶漏水检测装置
US6430988B1 (en) Ultrasonic leakage inspection device of non-pressure type
CN107817167B (zh) 管路件连接强度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CN106644279B (zh) 高压充气连接管缺陷检测装置
CN106840527A (zh) 排气消声器气密检测一体设备
KR101609738B1 (ko) 라디에이터의 기밀 테스트 장치
KR101542512B1 (ko) 연료탱크 누설 검사장치
RU2550715C2 (ru) Измерительная игла с функцией обратного клапана
JP2010256018A (ja) 気密試験装置及び気密試験方法
KR20140129717A (ko) 차량 에어컨 배관용 호스파이프의 누설검사 장치
CN217845556U (zh) 一种暖通配件生产用空气泄漏检验测试装置
CN106525353A (zh) 高压充气连接管缺陷检测方法
KR20130005391U (ko) 배관의 밸브 장착상태 점검장치
JP3633589B2 (ja) 洩れ検査方法および洩れ検査装置
CN103207053B (zh) 洗涤壶漏水检测装置
CN204405274U (zh) 一种用于多点总压管连接打压仪的装置
CN106989872B (zh) 一种滤清器黑塑料测漏装置
CN109000861B (zh) 一种船舶艉密封压油试验方法
KR100922633B1 (ko) 차지밸브 검사기
KR101420313B1 (ko) 관 조립품의 접합부 검사방법
JP2002005780A (ja) 埋設配管欠陥箇所検出装置
CN209432373U (zh) 气密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