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874B1 - 내용물 자동 승강 구조를 갖는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자동 승강 구조를 갖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874B1
KR101875874B1 KR1020170069045A KR20170069045A KR101875874B1 KR 101875874 B1 KR101875874 B1 KR 101875874B1 KR 1020170069045 A KR1020170069045 A KR 1020170069045A KR 20170069045 A KR20170069045 A KR 20170069045A KR 101875874 B1 KR101875874 B1 KR 101875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ontents
container
disk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목
이원의
김명중
이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브이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브이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브이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70069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0Casings wherein a spring presses the lipstick or like solid into the position for use or into the retract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38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pring-lik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을 승 하강시켜 출몰 사용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내용물이 결합되는 홀더(10) 외측에 홀더의 승강 돌기(12)가 삽입 안내되는 안내홈(22)을 형성하는 회전관(20)과, 상기 회전관 외측에 홀더의 승강 돌기가 삽입 안내되는 나선홈(32)을 형성하는 안내관(30) 및, 상기 회전관의 하부에 하 용기(40)를 결합 구성하되, 상기 홀더의 승강 돌기(12)가 회전관의 안내홈 하부에 위치하는 삽입 유지홈(22b)에서 벗어날 때 스프링(65)의 탄발력에 의해 홀더(10)가 셋팅되어 있는 초기 사용 위치까지 내용물을 자동으로 승강시키고, 이후 수동으로 출몰 조절하면서 사용하도록 하므로 초기 내용물을 승강시키는 조작이 배제되어 사용 편리성 및 조작 편리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내용물 자동 승강 구조를 갖는 용기{Container with auto lif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내용물을 승 하강시켜 출몰시켜 사용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용기 상부로 상승시키기 위한 초기 조작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내용물이 셋팅된 승강 위치(초기 사용 위치)까지 자동으로 승강 돌출되고, 이 후 수동으로 승강 조절하면서 사용하도록 하므로 초기 내용물을 승강시키는 조작이 배제되어 조작 편리성이 크게 향상되는 내용물 자동 승강 구조를 갖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용물 포장하여 필요시 상부로 출몰시켜 사용하는 구조의 용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용기는 화장 분야에서 립스틱, 컨실러, 새도우, 립밤과 같은 화장 내용물이나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브러쉬, 퍼프 등과 같은 화장 용구 또는 그 밖에 다양한 내용물을 포장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용기는 상부에 내용물이 결합되는 홀더 외측으로 회전관을 결합하고 상기 회전관 외측으로 안내관 및 상기 회전관 하부에 하용기를 결합하여 상기 하 용기에 의해 회전관을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회전관의 나선홈에 삽입되어 있는 홀더의 승강 돌기가 승하강 안내되면서 내용물을 용기 상부로 출몰 조작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즉, 종래 용기는 상부 캡 개방 후 하 용기에 의해 회전관을 회전 조작하는 수동 조작에 의해서 내용물을 용기 상부로 출몰시켜 사용하는 수동 방식으로 사용상의 편의가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개특허 제10-2009-0116094호에서는 상부 캡과 홀더에 자석 부재를 결합하여 상부 캡 개방과 함께 홀더가 승강되어 별도 조작 없이 내용물을 사용하도록 하였고, 공개실용신안 제20-2016-2800호에서는 상부 캡과 홀더에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홀과 돌기를 형성하여 상부 캡의 개방시 홀더가 함께 상승하여 별도 조작 없이 내용물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용기들은 외부 캡 개방시 내용물을 용기 상부로 간편하게 돌출시킬 수는 있으나 내용물을 사용자가 추가로 출몰 조절하도록 재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없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고, 실제 내용물의 상승도 사용자가 외부 캡을 개방하면서 함께 내용물을 들어올려 돌출시키는 것이어서 자동 조작이라 볼 수 없어 조작 편리성이 크게 개선되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특허문헌 1: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3021호 특허문헌 2: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280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내용물을 용기 상부로 상승시키기 위한 초기 조작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내용물이 셋팅된 승강 위치(초기 사용 위치)까지 자동으로 승강 돌출되고, 이후 수동으로 승강 조절하면서 사용하도록 하므로 초기 내용물을 승강시키는 조작이 배제되어 조작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에 내용물이 결합되고 외 측방에 승강 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외측으로 결합하고 홀더의 승강 돌기가 삽입 안내되는 안내홈을 형성하되, 상기 안내홈의 하단에 내용물의 삽입 상태를 유지하는 삽입 유지홈을 수평으로 연장 형성하는 회전관과, 상기 회전관의 외측으로 결합하고, 내 주연에 홀더의 승강 돌기가 삽입 안내되는 나선홈을 형성하는 안내관과, 상기 회전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 용기 및, 상기 홀더의 승강 돌기가 회전관의 삽입 유지홈을 벗어나는 위치에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홀더를 내용물의 초기 사용 위치까지 자동으로 승강 돌출시키는 자동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동 승강수단은 상부 디스크와 하부 디스크 및 상기 상부 디스크와 하부 디스크 사이로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하되, 상기 상부 디스크는 하부 디스크 외측에 삽입되어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부 걸림 위치까지 탄발 승강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상부 디스크 상부의 축공과 상기 축공에 삽입되는 홀더 하부의 축부는 가이드 홈과 돌기의 맞물림 구조에 의해 홀더의 승 하강을 안내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하부 디스크는 하 용기, 회전관과 동시에 회전 작동하도록 결합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부 디스크는 상,하부 외주연에 제1,2 기어부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 디스크를 하 용기에 내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제2 기어부가 하 용기 내주연의 기어부에 치합 결합되고, 상기 하부 디스크의 상부로 회전관을 내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제1 기어부에 회전관 하부 내주연의 기어부가 치합 결합되어 서로 동시에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 디스크의 하단에는 내외측에 걸림 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회전관의 내측 중앙과 하부 디스크의 외측 상단에 걸림턱에 걸려지는 위치까지 탄발 상승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은 상,하단에 수직 연장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 연장돌기를 상,하부 디스크의 리브 사이로 삽입 결합하여 홀더가 하강할 때 하부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태엽과 같이 회전하면서 탄발 압축된 후, 홀더의 상승 초기시 회전하면서 탄발 팽창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홀더의 상부에 결합되는 내용물은 화장 내용물이나 화장 내용물을 도포하기 위한 화장 용구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용물이 결합되는 홀더 외측에 홀더의 승강 돌기가 삽입 안내되는 안내홈을 형성하는 회전관과, 상기 회전관 외측에 홀더의 승강 돌기가 삽입 안내되는 나선홈을 형성하는 안내관 및, 상기 회전관의 하부에 하 용기를 결합 구성하되, 상기 홀더의 승강 돌기가 회전관의 안내홈 하부에 위치하는 삽입 유지홈에서 벗어날 때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홀더가 셋팅되어 있는 초기 사용 위치까지 내용물을 자동으로 승강시키고, 이후 수동으로 출몰 조절하면서 사용하도록 하므로 초기 내용물을 승강시키는 조작이 배제되어 사용 편리성 및 조작 편리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특히, 상기 스프링은 테엽과 같이 회전하면서 탄발 압축된 후 홀더의 상승 초기시 회전하면서 탄발 팽창하기 때문에 충분한 탄성력과 회전력에 의해 내용물이 결합되는 홀더를 초기 사용 위치까지 원활하게 상승시켜 작동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기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용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용기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용기의 주요부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용기의 내용물 초기 돌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용기의 내용물 추가 돌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내용물 자동 승강 구조를 갖는 용기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0)와, 회전관(20), 안내관(30), 하 용기(40), 상부 캡(50) 및, 자동 승강 수단(6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10)는 상부에 내용물이 결합되고 외 측방에 승강 돌기(12)를 돌출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홀더(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내용물은 다양하게 마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립스틱, 컨실러, 새도우, 립밤과 같은 화장 내용물(2)이나 상기 화장 내용물을 도포하기 위한 브러쉬, 퍼프 등의 화장 용구(5)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관(20)은 홀더(10)의 외측에 결합하고 홀더의 승강 돌기(12)가 삽입 안내되는 안내홈(2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안내홈(22)의 상단과 하단에는 내용물의 돌출 상태를 유지하는 돌출 유지홈(22a)과 삽입 상태를 유지하는 삽입 유지홈(22b)을 수평으로 연장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관(20)의 하부에는 하 용기(40)가 결합된다.
상기 안내관(30)은 회전관(20)의 외측에 결합하고, 내 주연에 홀더의 승강 돌기(12)가 삽입 안내되는 나선홈(3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상부 캡(50)은 하 용기(40) 상부로 결합되어 개폐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자동 승강수단(60)은 홀더의 승강 돌기(12)가 회전관의 삽입 유지홈(22b)을 벗어나는 위치에서 스프링(65)의 탄발력에 의해 홀더(10)를 세팅되어 있는 내용물의 초기 사용 위치까지 자동으로 승강 돌출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자동 승강수단(60)은 상부 디스크(61)와 하부 디스크(63) 및 상기 상부 디스크와 하부 디스크 사이로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65)으로 구성하되, 상기 상부 디스크(61)는 하부 디스크(63) 외측에 삽입되어 스프링(65)의 탄발력에 의해 상부 걸림 위치(L)까지 탄발 승강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상부 디스크(61)는 상부의 축공(62)에 홀더 하부의 축부(13)를 삽입하되, 상기 축부와 축공에는 가이드 홈(71)과 돌기(72)의 맞물림 구조에 의해 회전 방지 및 홀더의 승하강을 안내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71)과 돌기(72)는 스플라인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디스크(63)는 하 용기(40), 회전관(20)과 동시에 회전 작동하도록 결합 구성하되, 상기 하부 디스크(63)의 상,하부 외주연에 제1,2 기어부(63a)(63b)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 디스크(63)를 하 용기(40)에 내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제2 기어부(63b)가 하 용기 내주연의 기어부(44)에 치합 결합되고, 상기 하부 디스크의 상부로 회전관(20)을 내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제1 기어부(63a)에 회전관 하부 내주연의 기어부(24)가 치합 결합되어 서로 동시에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디스크(61)의 하단에는 내외측에 걸림 돌기(61a)(61b)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회전관(20)의 내측 중앙과 하부 디스크(63)의 외측 상단에 걸림턱(29)(69)에 걸려지는 상부 걸림 위치(L)까지 탄발 상승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65)은 상,하단에 수직 연장 돌기(66)(67)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수직 연장돌기(66)(67)를 상,하부 디스크(61)(63)의 리브(61c)(63c) 사이로 삽입 결합하여 홀더가 하강할 때 하부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태엽과 같이 회전하면서 탄발 압축된 후 홀더의 상승 초기시 회전하면서 탄발 팽창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하 용기의 회전에 의해 홀더(10)의 내용물을 용기 내부로 삽입할 때 스프링(65)의 하단이 하부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태엽과 같이 회전하면서 상부 디스크가 하강하여 탄발 압축하게 되고, 상기 하 용기의 회전에 의해 홀더(10)의 내용물을 돌출 작동시키는 초기(홀더의 승강돌기가 회전관의 삽입 유지홈(22b)에서 벗어나는 위치) 회전하면서 탄발 팽창하여 상부 디스크(61)를 내용물의 초기 사용 위치까지 자동으로 승강 돌출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로서, 11은 내용물 결합홈, 28은 회전관 외부에 안내관이 삽입 안착되는 지지턱, 41,42는 하 용기 내부에서 하부 디스크, 회전관의 결합시 이탈 방지를 위한 걸림턱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 보기로 한다.
먼저, 내용물을 승강 돌출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 캡(50)을 분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안내관(30)과 하 용기(40)를 붙잡고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하 용기(40)는 내주연의 기어부(44)와 하부 디스크의 제2 기어부(63b)가 기어 치합되어 있고, 상기 하부 디스크의 제1 기어부(63a)와 회전관의 기어부(24)가 기어 치합되어 있어 하 용기(40)- 하부 디스크(63)- 회전관(20)이 서로 동시에 회전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하 용기의 회전 작동으로 회전관(20)이 회전하면서 내용물이 결합된 홀더(10) 외 측방의 승강 돌기(12)가 회전관의 안내홈(22)과 안내관의 나선홈(32)에 이동 안내되는데, 초기 상기 홀더의 승강 돌기(12)가 회전관의 안내홈 하단에 수평 연장되어 있는 삽입 유지홈(22b)에서 벗어나면서 홀더가 자동 승강 수단에 의해 셋팅된 승강 위치까지 자동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자동 승강 수단의 상부 디스크와 하부 디스크 사이로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65)의 탄발력에 의해 상부 디스크가 상부 걸림 위치(L)까지 자동으로 승강하게 되는데, 상기 상부 디스크(61)의 하단 내 외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 돌기(61a)(61b)가 회전관(20)의 내측 중앙과 하부 디스크(63)의 외측 상단에 걸림턱(29)(69)에 걸려지는 위치까지 탄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부 디스크(61) 상부의 축공(62)에 축부(13)가 삽입 결합된 홀더(10)가 함께 상승한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홀더(10) 상부에 결합된 내용물이 초기 사용위치까지 자동 상승하여 즉각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내용물을 용기 상부로 셋팅된 위치까지 자동 상승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내용물을 추가로 출몰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상기 안내관(30)과 하 용기(40)를 붙잡고 회전하는 것에 의해 안내관(30), 회전관(20)이 회전하도록 하면서 종래 용기와 동일하게 홀더 외측의 승강 돌기(12)가 회전관의 안내홈(22)과 안내관의 나선홈(32)에 안내되어 내용물을 추가로 출몰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홀더 하부의 축부(13)가 상부 디스크(61) 상부의 축공(62)에 스플라인 구조의 가이드 홈(71)과 돌기(72)로 서로 맞물려 있어 홀더가 수직 승 하강하도록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내용물을 용기 상부로 돌출시켜 사용하고, 사용 완료한 후에는 내용물을 용기 내부로 하강 원위치시킨다.
이는 상기 안내관(30)과 하 용기(40)를 붙잡고 역 회전하는 것에 의해 안내관(30), 회전관(20)이 회전하도록 하면서 종래 용기와 동일하게 홀더 외측의 승강 돌기(12)가 회전관의 안내홈(22)과 안내관의 나선홈(32)에 안내되어 홀더를 하강시킨다.
이때, 상기 홀더 하부의 축부(13)가 상부 디스크(61) 상부의 축공(62)에 스플라인 구조의 가이드 홈(71)과 돌기(72)로 서로 맞물려 있어 수직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 하부의 축부(13)가 상부 디스크 상부의 축공(62)에 하강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홀더(10)와 함께 상부 디스크(61)가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디스크(61)가 하강하면서 상기 상부 디스크(61)와 하부 디스크(63)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65)을 다시 압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프링(65)은 상,하 단부에 돌출 형성된 수직 연장 돌기(66)(67)가 상,하부 디스크(61)(63)의 리브(61c)(63c) 사이로 삽입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하 용기의 회전에 의해 회전관(20)과 하부 디스크(63)가 일체 회전하는 과정에서 스프링(65)의 하단이 회전하면서 압축되는 것이다.
즉, 상기 스프링(65)의 상,하단이 상,하부 디스크(61)(63)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디스크(61)의 하강과 하부 디스크(63)의 회전에 의해 태엽과 같이 회전하면서 압축하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홀더의 승강 돌기(12)가 회전관의 안내홈(22)을 따라 하강하여 안내홈(22) 하단에 수평으로 연장된 삽입 유지홈(22b)에 위치하여 스톱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내용물을 용기 내부로 원위치 복귀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 홀더 상부의 내용물을 스프링(65)의 탄발력에 의해 상부 디스크가 셋팅되어 있는 상부 걸림 위치까지 자동으로 승강시키고, 이후 추가로 수동 조작하여 출몰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내용물을 초기 스프링(65)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시킬 때 상기 스프링(65)이 단순히 상하 압축된 상태에서 탄발 상승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태엽과 같이 회전하면서 탄발 압축된 상태에서 다시 회전하면서 탄발 팽창하게 되기 때문에 탄발력 상승은 물론 홀더(10)의 승강 돌기(12)가 회전관(20)의 안내홈(22)과 안내관(30)의 나선홈(32)에서 걸림 마찰 없이 더 효과적으로 승강 작동시킬 수 있어 작동 신뢰성이 더욱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용기에 사용되는 내용물은 다양하게 마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립스틱, 컨실러, 새도우, 립밤과 같은 화장 내용물(2)이나 상기 화장 내용물을 도포하기 위한 브러쉬, 퍼프 등의 화장 용구(5) 등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을 용기 상부로 상승시키는 초기 조작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내용물이 셋팅된 승강 위치(초기 사용 위치)까지 자동으로 승강 돌출되고, 이후 수동으로 승강 조절하면서 사용하도록 하므로 초기 내용물을 승강시키는 조작이 배제되어 종래 용기에 비해 조작 편리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홀더 12: 승강 돌기
13: 축부 20: 회전관
22: 안내홈 22b: 삽입 유지홈
24,44: 기어부 29,69: 걸림턱
30: 안내관 32: 나선홈
40: 하 용기 50: 상부 캡
60: 자동 승강수단 61: 상부 디스크
61a,61b: 걸림 돌기 61c,63c: 리브
62: 축공 63: 하부 디스크
63a,63b: 제,2 기어부 65: 스프링
66,67: 수직 연장돌기 71: 가이드 홈
72: 가이드 돌기

Claims (6)

  1. 상부에 내용물이 결합되고 외 측방에 승강 돌기(12)를 돌출 형성하는 홀더(10)와,
    상기 홀더(10)의 외측으로 결합하고 홀더의 승강 돌기(12)가 삽입 안내되는 안내홈(22)을 형성하되, 상기 안내홈(22)의 하단에 내용물의 삽입 상태를 유지하는 삽입 유지홈(22b)을 수평으로 연장 형성하는 회전관(20)과,
    상기 회전관(20)의 외측으로 결합하고, 내 주연에 홀더의 승강 돌기(12)가 삽입 안내되는 나선홈(32)을 형성하는 안내관(30)과,
    상기 회전관(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 용기(40) 및,
    상기 홀더의 승강 돌기(12)가 회전관의 삽입 유지홈(22b)을 벗어나는 위치에서 스프링(65)의 탄발력에 의해 홀더(10)를 내용물의 초기 사용 위치까지 자동으로 승강 돌출시키는 자동 승강수단(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동 승강수단(60)은 상부 디스크(61)와 하부 디스크(63) 및 상기 상부 디스크와 하부 디스크 사이로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65)으로 구성하되,
    상기 상부 디스크(61)는 하부 디스크(63) 외측에 삽입되어 스프링(65)의 탄발력에 의해 상부 걸림 위치까지 탄발 승강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상부 디스크(61) 상부의 축공(62)과 상기 축공에 삽입되는 홀더 하부의 축부(13)는 가이드 홈(71)과 돌기(72)의 맞물림 구조에 의해 홀더의 승 하강을 안내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하부 디스크(63)는 하 용기(40), 회전관(20)과 동시에 회전 작동하도록 결합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자동 승강 구조를 갖는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디스크(63)는 상,하부 외주연에 제1,2 기어부(63a)(63b)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 디스크(63)를 하 용기(40)에 내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제2 기어부(63b)가 하 용기 내주연의 기어부(44)에 치합 결합되고, 상기 하부 디스크의 상부로 회전관(20)을 내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제1 기어부(63a)에 회전관 하부 내주연의 기어부(24)가 치합 결합되어 서로 동시에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자동 승강 구조를 갖는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디스크(61)의 하단에는 내 외측에 걸림 돌기(61a)(61b)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회전관(20)의 내측 중앙과 하부 디스크(63)의 외측 상단에 걸림턱(29)(69)에 걸려지는 위치까지 탄발 상승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자동 승강 구조를 갖는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5)은 상,하단에 수직 연장 돌기(66)(67)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 연장돌기(66)(67)를 상,하부 디스크(61)(63)의 리브(61c)(63c) 사이로 삽입 결합하여 홀더가 하강할 때 하부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태엽과 같이 회전하면서 탄발 압축된 후, 홀더의 상승 초기시 회전하면서 탄발 팽창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자동 승강 구조를 갖는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내용물은 화장 내용물(2)이나 화장 내용물을 도포하기 위한 화장 용구(5)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자동 승강 구조를 갖는 용기.
KR1020170069045A 2017-06-02 2017-06-02 내용물 자동 승강 구조를 갖는 용기 KR101875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045A KR101875874B1 (ko) 2017-06-02 2017-06-02 내용물 자동 승강 구조를 갖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045A KR101875874B1 (ko) 2017-06-02 2017-06-02 내용물 자동 승강 구조를 갖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874B1 true KR101875874B1 (ko) 2018-07-06

Family

ID=6292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045A KR101875874B1 (ko) 2017-06-02 2017-06-02 내용물 자동 승강 구조를 갖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8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310Y1 (ko) * 2019-05-08 2019-10-25 이성환 슬라이딩 브러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0356A (en) * 1987-10-15 1991-03-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wivel-up type dispensing package
JP2556724B2 (ja) * 1987-03-06 1996-11-20 ロアン ソチエタ ペル アチオーニ 美容製品用の回転式塗布装置
JP3462554B2 (ja) * 1994-02-24 2003-11-05 三菱鉛筆株式会社 着色用芯の自動繰出し容器
KR20050033428A (ko) * 2004-09-22 2005-04-12 김영육 브러시 일체형 승강식 립스틱
KR200442207Y1 (ko) * 2007-05-15 2008-10-20 (주)아모레퍼시픽 멀티 팔레트와 다이얼 회전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00008838U (ko) * 2009-02-27 2010-09-06 (주)아모레퍼시픽 콤팩트 케이스
KR20100013021U (ko) * 2009-06-23 2010-12-31 (주)아모레퍼시픽 임의 함몰 방지용 간섭부를 갖는 립스틱 용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6724B2 (ja) * 1987-03-06 1996-11-20 ロアン ソチエタ ペル アチオーニ 美容製品用の回転式塗布装置
US5000356A (en) * 1987-10-15 1991-03-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wivel-up type dispensing package
JP3462554B2 (ja) * 1994-02-24 2003-11-05 三菱鉛筆株式会社 着色用芯の自動繰出し容器
KR20050033428A (ko) * 2004-09-22 2005-04-12 김영육 브러시 일체형 승강식 립스틱
KR200442207Y1 (ko) * 2007-05-15 2008-10-20 (주)아모레퍼시픽 멀티 팔레트와 다이얼 회전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00008838U (ko) * 2009-02-27 2010-09-06 (주)아모레퍼시픽 콤팩트 케이스
KR20100013021U (ko) * 2009-06-23 2010-12-31 (주)아모레퍼시픽 임의 함몰 방지용 간섭부를 갖는 립스틱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310Y1 (ko) * 2019-05-08 2019-10-25 이성환 슬라이딩 브러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2658B2 (ja) リップスティック容器
KR200400078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CN101316528B (zh) 唇膏盒
KR101333044B1 (ko) 콤팩트 용기
JP2019501675A (ja) ワンタッチ方式でキャップが開閉操作される化粧品容器
KR200493142Y1 (ko) 홀더 분리형 립스틱 용기
JP2017536139A (ja) リップスティック容器
KR101503239B1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101875874B1 (ko) 내용물 자동 승강 구조를 갖는 용기
JP7407921B2 (ja) 出没式容器
GB2512630A (en) Compact housing for a cosmetic container
KR102395106B1 (ko) 화장품 용기
KR100526307B1 (ko) 휴대용 화장품케이스
JPH10502860A (ja) 自動リップスティックケース
KR20180040182A (ko) 휴대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듀얼 스틱형 화장품 용기
US2461177A (en) Manicure case
KR20090002581U (ko) 화장품용기의 승강장치
KR20220160785A (ko) 자동 립스틱 용기
KR102031206B1 (ko) 립스틱 인출 방지 기능을 갖는 립스틱 용기
KR200338764Y1 (ko) 립스틱 용기
KR102569160B1 (ko) 정량 출몰 조절용 다각형 스틱 용기
JP3892924B2 (ja) 棒状化粧品容器
AU2019202277B1 (en) A Creative Teacup
KR101765710B1 (ko)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
KR101975408B1 (ko) 회전걸림유닛에 의해 순차적으로 개방되는 화장품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