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710B1 -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710B1
KR101765710B1 KR1020160033472A KR20160033472A KR101765710B1 KR 101765710 B1 KR101765710 B1 KR 101765710B1 KR 1020160033472 A KR1020160033472 A KR 1020160033472A KR 20160033472 A KR20160033472 A KR 20160033472A KR 101765710 B1 KR101765710 B1 KR 101765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ase
containers
contents container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주원
오형택
김준영
김주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033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0Containers with movably mount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1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 B65D77/045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 B65D77/0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and being a tray or like shallow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용기수납공간을 구비하며 하부에 인출부재삽입공간을 구비한 케이스본체와, 상기 내용물용기수납공간에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양한 색상의 화장료를 구비한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인출부재삽입공간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삽입되며, 외주연에 걸림후크를 구비하고 중심에 화장도구수용공간을 형성한 인출부재와, 상기 화장도구수용공간에 화장도구를 삽입하되, 상기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축 외주면에 결합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 일측에 상부 및 하부고정후크를 형성하여 상기 인출부재의 걸림후크와 상호 체결되도록 한 구조로써,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케이스본체 상부의 화장도구를 가압하면 상기 화장도구와 결합된 인출부재가 하향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의 상부 및 하부고정후크와 인출부재의 걸림후크가 분리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는 탄력 지지하던 토션스프링에 의해 회동하며 케이스본체 외부로 펼쳐지면서 개방되고, 화장도구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인출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면서 화장도구가 케이스본체 상부로 노출되어 편리하게 화장도구를 꺼내 쓸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버튼식 가압 방법으로 내용물용기를 개방할 수 있어 편리하며, 화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는 내용물용기수납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용기수납공간(11)의 상부에는 케이스관통홀(12)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인출부재삽입공간(13)이 형성된 케이스본체(10)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내용물용기수납공간(11)에 축(23)에 의해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하부내용물용기(21,22)로 이루어진 내용물용기(20)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인출부재삽입공간(13)에 설치되며, 중앙에 화장도구수용공간(41)이 형성된 인출부재(40)와, 상기 인출부재(4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50)와, 상기 인출부재(40)의 화장도구수용공간(41)에 수용되는 화장도구(6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Button type cosmetic case}
본 발명은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용기수납공간을 구비하며 하부에 인출부재삽입공간을 구비한 케이스본체와, 상기 내용물용기수납공간에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양한 색상의 화장료를 구비한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인출부재삽입공간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삽입되며, 외주연에 걸림후크를 구비하고 중심에 화장도구수용공간을 형성한 인출부재와, 상기 화장도구수용공간에 화장도구를 삽입하되, 상기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축 외주면에 결합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 일측에 상부 및 하부고정후크를 형성하여 상기 인출부재의 걸림후크와 상호 체결되도록 한 구조로써,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케이스본체 상부의 화장도구를 가압하면 상기 화장도구와 결합된 인출부재가 하향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의 상부 및 하부고정후크와 인출부재의 걸림후크가 분리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는 탄력 지지하던 토션스프링에 의해 회동하며 케이스본체 외부로 펼쳐지면서 개방되고, 화장도구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인출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면서 화장도구가 케이스본체 상부로 노출되어 편리하게 화장도구를 꺼내 쓸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버튼식 가압 방법으로 내용물용기를 개방할 수 있어 편리하며, 화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색조화장은 기초화장이 끝난 후 더욱 아름답게 꾸미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화장품으로 미적, 색채, 유행 감각을 고려해야 하는 실용적인 화장이라 할 수 있으므로 사용방법이나 숙련도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많이 나는 화장이다.
상기 색조화장은 피부색을 균일하게 하고 결점을 커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베이스 메이크업과 입술, 눈, 손톱 등 부분적으로 입체감을 높이는 포인트 메이크업으로 구분된다.
사용자는 평균적으로 3 내지 4가지 색상의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을 사용하는데 외출 시에는 항상 여러 색상의 화장품을 휴대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케이스에 서로 다른 색의 여러 개의 화장품을 담아 사용하는 파레트형 화장품케이스가 개발되었는데, 종래의 파레트형 화장품 케이스(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복수개로 구획되어 서로 다른 색의 화장품이 담겨지는 공간들을 형성하며, 커버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화장품 케이스(1)는 서로 다른 색상의 화장료가 구획되어 담겨져 있는 구조로써, 사용도중 색상이 섞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2207호를 개시하였는데, 이는 상부면에 다색의 화장료 접시와 거울을 갖는 용기본체(2)를 형성하고, 상기 용기본체(2)의 측부에 삽탈되는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용기본체(2)의 상부에는 관통공을 갖는 회전판을 결합 형성하여,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켜 관통공과 화장료 접시가 일치에 의해 다양한 색상의 화장료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회전판을 회전시켜 화장료 접시를 개방하는 구조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회전판을 회전시켜 원하는 색상을 찾아서 사용해야되는 번거로우며 화장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본체(2) 내에 화장료가 전부 개방되지 않아 그라데이션 화장을 하기위해 색상을 섞어 사용할 때 일일이 화장료 접시를 개방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용물용기수납공간을 구비하며 하부에 인출부재삽입공간을 구비한 케이스본체와, 상기 내용물용기수납공간에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양한 색상의 화장료를 구비한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인출부재삽입공간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삽입되며, 외주연에 걸림후크를 구비하고 중심에 화장도구수용공간을 형성한 인출부재와, 상기 화장도구수용공간에 화장도구를 삽입하되, 상기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축 외주면에 결합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 일측에 상부 및 하부고정후크를 형성하여 상기 인출부재의 걸림후크와 상호 체결되도록 한 구조로써,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케이스본체 상부의 화장도구를 가압하면 상기 화장도구와 결합된 인출부재가 하향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의 상부 및 하부고정후크와 인출부재의 걸림후크가 분리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는 탄력 지지하던 토션스프링에 의해 회동하며 케이스본체 외부로 펼쳐지면서 개방되고, 화장도구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인출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면서 화장도구가 케이스본체 상부로 노출되어 편리하게 화장도구를 꺼내 쓸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버튼식 가압 방법으로 내용물용기를 개방할 수 있어 편리하며, 화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용물용기수납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용기수납공간(11)의 상부에는 케이스관통홀(12)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인출부재삽입공간(13)이 형성된 케이스본체(10)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내용물용기수납공간(11)에 축(23)에 의해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하부내용물용기(21,22)로 이루어진 내용물용기(20)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인출부재삽입공간(13)에 설치되며, 중앙에 화장도구수용공간(41)이 형성된 인출부재(40)와;
상기 인출부재(4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50)와;
상기 인출부재(40)의 화장도구수용공간(41)에 수용되는 화장도구(60);로 구성되되,
상기 상,하부내용물용기(21,22) 일측에는 상,하부고정후크(214,224)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고정후크(214,224)는 인출부재(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후크(42)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내용물용기(21,22)의 일측명네는 홈이 형성되어 상,하부관통홀(213,2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내용물용기(21,22)는 각각 제1,2상부내용물용기(211,212)와 제1,2하부내용물용기(221,2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내용물용기(22)는 일측면에 회전제한부(2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고정후크(214,224)의 하측에는 인출부재(40)의 걸림후크(42)가 수직으로 이동되는 상,하부해제홈(215,2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고정후크(214,224)는 외측면에 상,하부고정후크사선부(214a,224a)가 형성되고, 인출부재(40)의 걸림후크(42) 외측면에는 걸림후크사선부(4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23)의 외주면에는 내용물용기(20)를 수평으로 탄력 지지하는 토션스프링(3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출부재(40)의 내주면에는 장착환홈(43)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환홈(43)에는 화장도구(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장착돌륜(58)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는 내용물용기수납공간을 구비하며 하부에 인출부삽입공간을 구비한 케이스본체와, 상기 내용물용기수납공간에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양한 색상의 화장료를 구비한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인출부재삽입공간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삽입되며, 외주연에 걸림후크를 구비하고 중심에 화장도구수용공간을 형성한 인출부재와, 상기 화장도구수용공간에 화장도구를 삽입하되, 상기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축 외주면에 결합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 일측에 상부 및 하부고정후크를 형성하여 상기 인출부재의 걸림후크와 상호 체결되도록 한 구조로써,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케이스본체 상부의 화장도구를 가압하면 상기 화장도구와 결합된 인출부재가 하향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의 상부 및 하부고정후크와 인출부재의 걸림후크가 분리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및 하부내용물용기는 탄력 지지하던 토션스프링에 의해 회동하며 케이스본체 외부로 펼쳐지면서 개방되고, 화장도구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인출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면서 화장도구가 케이스본체 상부로 노출되어 편리하게 화장도구를 꺼내 쓸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버튼식 가압 방법으로 내용물용기를 개방할 수 있어 편리하며, 화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 화장품 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의 화장도구를 가압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의 화장도구를 가압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의 화장도구의 가압을 해제하여 내용물용기가 개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의 화장도구의 가압을 해제하여 내용물용기가 개방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의 내용물용기를 케이스본체에 수납시키는 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의 화장도구를 가압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의 화장도구를 가압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의 화장도구의 가압을 해제하여 내용물용기가 개방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의 화장도구의 가압을 해제하여 내용물용기가 개방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의 내용물용기를 케이스본체에 수납시키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는 내용물용기수납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용기수납공간(11)의 상부에는 케이스관통홀(12)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인출부재삽입공간(13)이 형성된 케이스본체(10)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내용물용기수납공간(11)에 축(23)에 의해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하부내용물용기(21,22)로 이루어진 내용물용기(20)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인출부재삽입공간(13)에 설치되며, 중앙에 화장도구수용공간(41)이 형성된 인출부재(40)와, 상기 인출부재(4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50)와, 상기 인출부재(40)의 화장도구수용공간(41)에 수용되는 화장도구(6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본체(10)는 상면(14)과 상기 상면(14)의 일측에 형성되는 측면(16)과 상기 측면(16)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면(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본체(1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면(16)을 제외한 나머지 3면이 모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본체(10)는 상면(14)과 하면(15) 사이에 내용물용기수납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내용물용기수납공간(11)에는 내용물용기(20)가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면(14)에는 케이스관통홀(12)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관통홀(12)에는 화장도구(60)가 관통 결합된다.
상기 하면(15)에는 인출부재삽입공간(13)이 형성되며, 상기 인출부재삽입공간(13)에는 인출부재(40)가 삽입 장착된다.
상기 내용물용기수납공간(11)에는 내용물용기(20)가 결합되되, 상기 내용물용기(20)는 축(23)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축(23)의 외주면에는 내용물용기(20)를 수평으로 탄력 지지하는 토션스프링(3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30)은 내용물용기(20)의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내용물용기(20)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용물용기(20)는 상,하부내용물용기(21,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부내용물용기(21,22)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제1,2상부내용물용기(211,212)와 제1,2하부내용물용기(221,2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2상부내용물용기(211,212)와 제1,2하부내용물용기(221,222)에는 다양한 색상의 화장료를 구비할 수 있어서 화장품 용기를 여러 개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2상부내용물용기(211,212)와 제1,2하부내용물용기(221,222)는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홈이 형성되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2상부내용물용기(211,212)와 제1,2하부내용물용기(221,222)가 서로 측면에 맞닿아 있을 때 중앙에 각각 상,하부관통홀(213,223)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관통홀(213,223)에는 화장도구(60)가 관통하여 인출부재(40)에 결합된다.
상기 상,하부내용물용기(21,22)의 상,하부관통홀(213,223) 일측에는 상,하부고정후크(214,224)가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고정후크(214,224)는 인출부재(40)에 결합되어 내용물용기(20)를 용기본체(10)의 내용물용기수납공간(11)에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하부고정후크(214,224)는 외측면에 상,하부고정후크사선부(214a,224a)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고정후크사선부(214a,224a)는 개방된 내용물용기(20)가 도 11과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내용물용기수납공간(11)에 다시 수납될 때, 인출부재(40)에 형성된 걸림후크(42)의 걸림후크사선부(42a)와 맞닿아 원할하게 체결되게 해준다.
상기 상,하부고정후크(214,224)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측에 상,하부해제홈(215,225)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해제홈(215,225)에는 인출부재(40)에 형성된 걸림후크(42)가 수직으로 이동되는 공간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내용물용기(22)는 일측면에 회전제한부(226)가 형성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물용기(20)가 개방될 때, 상부내용물용기(21)는 완전히 펼쳐지게 개방되고, 하부내용물용기(22)는 회전제한부(226)가 케이스본체(10)의 측면(16)에 맞닿게 되어 완전히 펼쳐지지 않고 일정 각도로 개방되게 된다.
상기 하부내용물용기(22)가 일정 각도로 펼쳐지기 때문에 상부내용물용기(21)와 하부내용물용기(22)에 수용된 다양한 화장료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인출부재삽입공간(13)에는 인출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인출부재(40)는 중앙에 화장도구수용공간(4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후크(42)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장착환홈(43)이 형성된다.
상기 화장도구수용공간(41)에는 화장도구(60)가 장착되되, 상기 화장도구(60)는 케이스본체(10)의 케이스관통홀(12)를 관통하여 장착된다.
상기 걸림후크(42)는 상,하부내용물용기(21,22)의 일측에 형성된 상,하부고정후크(214,224)와 체결되어 상기 상,하부내용물용기(21,22)가 케이스본체(10)의 내용물용기수납공간(11)에 위치하게 해준다.
상기 걸림후크(42)는 외측면에 걸림후크사선부(42a)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후크사선부(42a)는 도 11과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물용기(20)가 용기본체(10)의 내용물용기수납공간(11)에 다시 수납될 때, 상,하부고정후크(214,224)의 외측면에 형성된 상,하부고정후크사선부(214a,224a)와 맞닿아 원할하게 체결되게 해준다.
상기 인출부재(40)의 내주면에는 장착환홈(43)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환홈(43)에는 화장도구(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장착돌륜(61)이 결합되어 상기 화장도구(60)가 화장도구수용공간(4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화장도구(60)는 하부에 브러시(62)가 결합되며, 상기 브러시(62)를 이용하여 내용물용기(20)에 수용된 다양한 화장료를 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출부재(40)의 하부에는 탄성부재(50)가 장착되며, 상기 탄성부재(50)는 인출부재(4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출부재(40)의 걸림후크(42)와 내용물용기(20)의 상,하부고정후크(214,224)를 체결된 상태로 유지시켜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의 조립방법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를 조립하기 위해 케이스본체(10)의 인출부재삽입공간(13)에 인출부재(40)를 장착하되, 상기 인출부재(40)의 하단에 탄성부재(50)를 설치하여 상기 인출부재(40)를 탄력 지지하게 한다.
이후, 상기 케이스본체(10)에 내용물용기(20)를 축(23)에 의해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내용물용기(20)는 상,하부내용물용기(21,2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축(23)의 외주면에는 내용물용기(20)를 수평으로 탄력 지지하는 토션스프링(30)이 결합된다.
상기 내용물용기(20)를 케이스본체(10)에 결합하면, 상기 내용물용기(20)에 형성된 상,하부고정후크(214,224)와 인출부재(40)의 걸림후크(42)가 체결된다.
이후, 케이스본체(10)의 케이스관통홀(12)을 관통하여 인출부재(40)의 화장도구수용공간(41)에 화장도구(60)를 장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조립된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의 화장료를 사용하기 위해 도 7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장도구(60)를 아래쪽으로 가압한다.
상기 화장도구(60)를 도 7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으로 가압하면 상기 화장도구(60)와 함께 인출부재(40)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인출부재(40)가 아래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인출부재(40)의 걸림후크(42)가 내용물용기(20)의 상,하부해제홈(215,225)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후크(42)와 상,하부고정후크(214,224)의 체결이 해제된다.
상기 걸림후크(42)와 상,하부고정후크(214,224)에 체결이 해제되면, 축(23)의 외주면에 결합된 토션스프링(30)의 탄성에 의해 내용물용기(20)가 펼쳐져 개방된다.
이때, 상기 내용물용기(20)가 개방될 때, 하부내용물용기(22)는 회전제한부(226)가 케이스본체(10)의 측면(16)에 맞닿게 되어 완전히 펼쳐지지 않고 일정 각도로 개방되어 상부내용물용기(21)와 하부내용물용기(22)에 수용된 다양한 화장료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장도구(60)의 가압을 해제하면 인출부재(40)가 탄성부재(5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화장도구(60)가 케이스본체(10) 상부로 인출되어 간편하게 화장도구(60)를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화장도구(60)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사용한 다음, 도 11과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물용기(20)를 케이스본체(10)의 내용물용기수납공간(11)으로 넣기 위해 수평 이동시킨다.
이때, 인출부재(40)의 걸림후크(42)에 형성된 걸림후크사선부(42a)와 내용물용기(20)의 상,하부고정후크사선부(214a,224a)가 맞닿게 되며 이후 내용물ㅇ요기(20)를 더욱 압박하여 내용물용기수납공간(11)으로 밀어 넣으면 상,하부고정후크사선부(214a,224a)가 걸림후크사선부(42a)를 밀어서 인출부재(40)가 아래쪽으로 밀려 들어간다. 그 후 상,하부고정후크사선부(214a,224a)가 걸림후크사선부(42a)를 지나게 되면 인출부재(40)가 탄성부재(50)에 의해 위로 올라와서 내용물용기(20)가 인출부재(40)에 체결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를 실시하기 위한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케이스본체 11:내용물용기수납공간
12:케이스관통홀 13:인출부재삽입공간
14:상면 15:하면
16:측면 20:내용물용기
21:상부내용물용기 211:제1상부내용물용기
212:제2상부내용물용기 213:상부관통홀
214:상부고정후크 214a:상부고정후크사선부
215:상부해제홈 22:하부내용물용기
221:제1하부내용물용기 222:제2하부내용물용기
223:하부관통홀 224:하부고정후크
224a:하부고정후크사선부 225:하부해제홈
226:회전제한부 23:축
30:토션스프링 40:인출부재
41:화장도구수용공간 42:걸림후크
42a:걸림후크사선부 43:장착환홈
50:탄성부재 60:화장도구
61:장착돌륜 62:브러시

Claims (8)

  1. 내용물용기수납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용기수납공간(11)의 상부에는 케이스관통홀(12)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인출부재삽입공간(13)이 형성된 케이스본체(10)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내용물용기수납공간(11)에 축(23)에 의해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하부내용물용기(21,22)로 이루어진 내용물용기(20)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인출부재삽입공간(13)에 설치되며, 중앙에 화장도구수용공간(41)이 형성된 인출부재(40)와;
    상기 인출부재(4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50)와;
    상기 인출부재(40)의 화장도구수용공간(41)에 수용되는 화장도구(60);로 구성되되,
    상기 상,하부내용물용기(21,22) 일측에는 상,하부고정후크(214,224)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고정후크(214,224)는 인출부재(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후크(42)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내용물용기(21,22)의 일측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하부관통홀(213,2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내용물용기(21,22)는 각각 제1,2상부내용물용기(211,212)와 제1,2하부내용물용기(221,2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내용물용기(22)는 일측면에 회전제한부(2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고정후크(214,224)의 하측에는 인출부재(40)의 걸림후크(42)가 수직으로 이동되는 상,하부해제홈(215,2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고정후크(214,224)는 외측면에 상,하부고정후크사선부(214a,224a)가 형성되고, 인출부재(40)의 걸림후크(42) 외측면에는 걸림후크사선부(4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23)의 외주면에는 내용물용기(20)를 수평으로 탄력 지지하는 토션스프링(3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40)의 내주면에는 장착환홈(43)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환홈(43)에는 화장도구(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장착돌륜(58)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
KR1020160033472A 2016-03-21 2016-03-21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 KR101765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472A KR101765710B1 (ko) 2016-03-21 2016-03-21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472A KR101765710B1 (ko) 2016-03-21 2016-03-21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710B1 true KR101765710B1 (ko) 2017-08-08

Family

ID=5965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472A KR101765710B1 (ko) 2016-03-21 2016-03-21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359A1 (ko) * 2018-08-22 2020-02-27 옥수정 휴대용 화장품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334A (ja) 2001-02-28 2002-09-10 Yoshino Kogyosho Co Ltd 塗布具収納部を有する化粧容器
JP2004275715A (ja) 2003-03-17 2004-10-07 Young Kwang Byun ボタン開放式化粧品ケース
KR200372597Y1 (ko) 2004-10-06 2005-01-14 주식회사 엘케이엠코스메틱 회전 트레이 화장품 용기의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334A (ja) 2001-02-28 2002-09-10 Yoshino Kogyosho Co Ltd 塗布具収納部を有する化粧容器
JP2004275715A (ja) 2003-03-17 2004-10-07 Young Kwang Byun ボタン開放式化粧品ケース
KR200372597Y1 (ko) 2004-10-06 2005-01-14 주식회사 엘케이엠코스메틱 회전 트레이 화장품 용기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359A1 (ko) * 2018-08-22 2020-02-27 옥수정 휴대용 화장품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787B1 (ko) 인입 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화장품용 상자
KR101756977B1 (ko) 내용물 용기가 회전되는 콤팩트 용기
EP3376893B1 (en) Multiple cosmetic holder and applicator and its method of use
US8434640B2 (en) Release system for container
JP2004275715A (ja) ボタン開放式化粧品ケース
KR101222087B1 (ko) 다단형 화장품 용기
KR101638813B1 (ko) 인출식 팔레트를 갖춘 화장품용기
JP2019522518A (ja) テンション部が一体に形成されたコンパクト容器
KR200442207Y1 (ko) 멀티 팔레트와 다이얼 회전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765710B1 (ko)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
KR100933621B1 (ko) 화장품용기의 개폐구조
KR101896281B1 (ko) 회전식 색조화장품 케이스
KR20180040182A (ko) 휴대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듀얼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101947711B1 (ko) 다단 색조화장품 용기
KR101743759B1 (ko) 원터치로 인출되는 립스틱이 내장된 콤팩트 용기
KR20180127573A (ko)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
KR20200014381A (ko) 화장품 홀더 시스템
KR20190046299A (ko) 화장도구를 손쉽게 꺼내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케이스
KR101794513B1 (ko) 화장도구에 의해 개방되는 화장품 용기
US7806290B2 (en) Release system for container
KR200393233Y1 (ko) 내용물케이스의 슬라이딩 출몰구조를 갖는 콤팩트용기
KR101711184B1 (ko) 립스틱이 내장된 콤팩트 용기
KR100589059B1 (ko) 화장품 케이스
KR101908918B1 (ko) 화장도구의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케이스
KR20210090854A (ko) 이중 버튼 구조를 갖는 듀얼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