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152B1 -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152B1
KR101875152B1 KR1020160094056A KR20160094056A KR101875152B1 KR 101875152 B1 KR101875152 B1 KR 101875152B1 KR 1020160094056 A KR1020160094056 A KR 1020160094056A KR 20160094056 A KR20160094056 A KR 20160094056A KR 101875152 B1 KR101875152 B1 KR 101875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support
plate
support bar
path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1563A (ko
Inventor
이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094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1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11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95Guide tracks for safet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를 지지해주는 물체가 걸리는 걸림유닛; 및 상기 지지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체의 외측에서 상기 걸림유닛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고, 높은 위치의 구조물에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면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본 발명은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위치의 구조물에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면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또는, CDQ 설비)는 코크스 오븐에서 압출된 적열 코크스를 건식 방식으로 냉각시키는 설비이다. 예를 들어,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는, 적열 코크스가 저장되는 버켓을 이동시키는 크레인, 크레인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 및 적열 코크스를 냉각시키는 챔버를 포함한다.
적열 코크스를 냉각시키는 공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크레인을 이용하여 버켓을 챔버의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버켓 내에 저장된 적열 코크스를 챔버 내부로 장입시킨다. 버켓 내부로 장입된 적열 코크스는 버켓 내부를 순환하는 냉각가스에 의해 냉각된다. 적열 코크스와 열교환을 한 냉각가스는 보일러로 공급되고, 적열 코크스는 절출장치를 통해 벨트 컨베이어로 수송된다.
이때, 레일은 높은 위치에서 크레인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방지하려면 레일의 상태를 자주 점검해야 하고, 레일이 파손되면 신속하게 수리하거나 정비해야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레일로 접근하여 레일의 상태를 점검하거나 수리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레일의 주변에는 난간이 설치되는데, 난간은 세로대 및 세로대에 연결되는 가로대를 포함하였다.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는 난간의 가로대에 안전벨트의 고리를 걸고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작업자가 레일 상에서 이동할 때 안전벨트의 고리가 세로대에 걸려 이동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이에, 점검 또는 수리 작업에 지장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위해 난간에서 안전벨트의 고리를 풀고 이동하다가 추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KR 2014-0040580 A
본 발명은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면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지체에 설치되는 안전장치로서, 작업자를 지지해주는 물체가 걸리는 걸림유닛; 및 상기 지지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체의 외측에서 상기 걸림유닛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가이드유닛이 연결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를 구비하고, 상기 물체는 안전벨트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유닛은,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바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의 타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경로가 형성되는 경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단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바디의 타단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일 바디에 구비된 제1 돌출부가 타 바디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가능하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돌출부에서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일 바디에 구비된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가 타 바디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가능하다.
상기 플레이트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단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바디의 타단에서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일 바디에 구비된 제1 연장부와 타 바디에 구비된 제2 연장부가 서로 끼움 결합이 가능하다.
상기 걸림유닛은, 상기 경로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는 걸림부재; 상기 경로부재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부재; 및 일단이 걸림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샤프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경로부재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와 구름접촉이 가능한 롤을 포함한다.
상기 롤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경로부재에 상기 이동부재가 출입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샤프트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바와 연결되고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부재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봉의 외측에서 내부가 서로 연통된다.
상기 지지체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에서 크레인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부에 설치되는 난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벨트의 고리가 지지체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지지체의 외측에서 안전벨트의 고리가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안전벨트의 고리가 지지체의 지지바와 지지봉이 교차하는 지점에 걸리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해 지지체에서 안전벨트의 고리를 풀지 않을 수 있고, 안전벨트의 고리를 풀고 이동하다가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에 의해 작업자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안전벨트의 고리를 풀지 않고 다양한 위치로 이동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수행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동시에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부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걸림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에 구비되는 난간에 안전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안전벨트의 고리가 걸릴 수 있는 다양한 지지체들에 적용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는, 코크스를 냉각시키는 챔버(10), 챔버(10)로 냉각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20), 챔버(10) 내부로 공급된 가스를 챔버(10)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배출부(30), 코크스가 저장된 버켓을 챔버(10)의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크레인(60), 및 챔버(10)의 상측에서 크레인(60)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부(80)를 포함한다.
챔버(10)는 내부에 코크스가 처리되는 공간(또는, 냉각되는 공간)을 가진다. 챔버(10)의 상부에는 코크스가 장입될 수 있는 장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코크스가 배출되는 배출기가 구비된다.
가스 공급부(20)는 챔버(10) 내부로 코크스를 냉각시키는 냉각가스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챔버(10) 내부로 공급된 냉각가스는 장입구로 투입된 코크스를 냉각시키면서 코크스의 헌열을 회수한다.
가스 배출부(30)는 챔버(10) 내부로 공급된 냉각가스를 챔버(10)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가스 배출부(30)는 코크스의 헌열을 회수한 냉각가스를 열교환기(40)에 공급할 수 있고, 열교환기(40)는 증기 터빈 등에 사용되는 스팀을 생산할 수 있다. 열교환기(40)에서 냉각된 냉각가스는 가스 공급부(20)로 공급되어 챔버(10) 내부의 코크스를 냉각시키는데 재사용될 수 있다.
크레인(60)은 챔버(10)의 상측에서 버켓(70)을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크레인(60)은 바닥에 위치한 버켓(70)을 상측으로 들어올리고, 전진하여 챔버(10)의 장입구 상측에 버켓(70)을 위치시킬 수 있다. 버켓(70)에 저장된 코크스가 챔버(10)로 모두 장입되면, 크레인(60)은 후진하고, 버켓(70)을 하측으로 내려 바닥에 위치시킬 수 있다.
레일부(80)는 크레인(6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레일부(80)는 크레인(60)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레일(82), 레일(82)이 설치되는 지지대(81)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82)은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이 구비되어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크레인(60)은 한 쌍의 레일(82) 상에 안착되어 레일(82)의 연장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대(8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이 구비되어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레일(82)의 상부면에는 한 쌍의 지지대(81)가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81)의 상부면은 챔버(10)의 상부면보다 더 높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60)이 챔버(10)의 상부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이동할 수 있고, 버켓(70)의 챔버(10)의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대(81)의 상부면에는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난간(90)이 설치된다. 난간(90)은 지지대(81)의 연장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난간(9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세로대(91), 및 세로대(9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로대(92)로 포함한다.
세로대(91)는 상하방향으로 연정형성되는 기둥일 수 있다. 세로대(91)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지지대(81)의 연장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일렬로 배치된다.
가로대(92)는 세로대(9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어,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막대일 수 있다. 가로대(92)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세로대(91)들 사이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복수의 세로대(91)가 가로대(92)들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가로대(92)가 세로대(91)들 사이의 이격공간을 막아 작업자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가로대(92)는 상하방향으로도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난간(9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때, 지지대(81)의 상부면이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지지대(81) 상에 레일부(80)를 점검하거나 수리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자는 가로대(92)에 안전벨트의 고리를 걸고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작업자가 지지대(81) 상에서 이동하는 경우 가로대(92)와 세로대(91)가 연결되는 부분에 안전벨트의 고리(H)가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작업이 지연되고, 작업자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위해 안전벨트의 고리를 풀고 이동하다가 추락사고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면서 작업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장치(100)는, 지지체에 설치되는 안전장치로서, 작업자를 지지해주는 물체가 걸리는 걸림유닛(120) 및 지지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지지체의 외측에서 걸림유닛(120)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유닛(110)을 포함한다. 이때, 지지체는 가이드유닛(110)이 연결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를 구비하고, 물체는 안전벨트일 수 있고, 걸림유닛(120)에는 안전벨트의 고리(H)가 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에서 크레인(60)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부(80)에 설치되는 난간(90)일 수 있다. 지지체는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바 및 지지바에 연결되고 지지바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봉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방향은 전후방향일 수 있고, 지지바는 가로대(92)일 수 있고, 지지봉은 세로대(91)일 수 있다. 그러나 지지바가 연장되는 방향이나 지지바와 지지봉의 연장되는 방향 및 지지바와 지지봉의 연결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가이드유닛(110)은 지지체의 외측에서 걸림유닛(120)을 지지하고, 걸림유닛(120)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가이드유닛(110)과 걸림유닛(120)에 의해 안전벨트의 고리(H)가 지지체에 간접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안전벨트의 고리(H)가 지지바와 지지봉이 연결되는 부분에 걸리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유닛(110)은,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111), 플레이트(111)의 일면에 설치되고, 지지바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12), 및 플레이트(111)의 타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걸림유닛(120)이 이동하는 경로가 형성되는 경로부재(113)를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유닛(110)은 경로부재(113)의 내부에 설치되는 롤(115), 및 경로부재(113)의 개구에 설치되는 도어(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11)는 연결부재(112)에 연결되어 경로부재(113)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플레이트(111)는, 바디(111a)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11a)는 사각형의 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디(111a)의 일면은 지지체를 마주볼 수 있고, 타면은 지지체의 외측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디(111a)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일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바디(111a)의 타면에 설치되는 경로부재(113)도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지지봉의 외측에서 내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바디(111a)의 정렬을 맞추면, 경로부재(113)들의 정렬이 맞춰져 내부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유닛(120)이 지지바와 지지봉이 연결되는 부분에 걸리지 않고 경로부재(113)들 내부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플레이트(111)는 바디(111a)의 일단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111b), 및 바디(111a)의 타단에 형성되는 삽입홈(111c)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바디(111a)가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경우, 바디(111a)의 전단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111a)가 구비될 수 있고, 바디(111a)의 후단에 삽입홈(111c)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11b)는 사각형의 판 모양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11b)의 중심부는 바디(111a)의 중심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돌출부(111b)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삽입홈(111c)은 제1 돌출부(111b)의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11c)의 중심부는 제1 돌출부(111b)의 중심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삽입홈(111c)은 크기는 제1 돌출부(111b)의 크기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바디(111a)가 전후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경우, 후방에 위치한 바디(111a)에 구비된 제1 돌출부(111b)가 전방에 위치한 바디(111a)에 형성된 삽입홈(111c)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돌출부(111b)를 삽입홈(111c)에 끼우면 바디(111a)들의 정렬이 맞춰질 수 있고, 결합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c)와 같이, 플레이트(111)는, 제1 돌출부(111b)에서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111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돌출부(111d)는 전후방향과 교차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11d)는 제1 돌출부(111b)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111c)은 제1 돌출부(111b)와 제2 돌출부(111d)가 합쳐진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바디(111a)가 전후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경우, 후방에 위치한 바디(111a)의 제1 돌출부(111b)와 제2 돌출부(111d)가 전방에 위치한 바디(111a)의 삽입홈(111c)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바디(111a)들이 견고하게 연결되어 작업자가 이동하는 도중에 바디(111a)들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돌출부들의 연장방향이나 연결구조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는, 도 5의 (d)와 같이, 플레이트(111)가 바디(111a)의 일단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연장부(111e), 및 바디(111a)의 타단에서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연장부(111e)와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는 제2 연장부(111f)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장부(111e)는 바디(111a)의 전단에서 'ㄴ' 형태로 돌출될 수 있고, 제2 연장부(111f)는 바디(111a)의 후단에서 'ㄱ'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1 연장부(111e)에 구비되는 돌기와 제2 연장부(111f)에 구비되는 돌기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바디(111a)를 전후방향으로 일렬로 배치하는 경우, 후방에 위치한 바디(111a)에 구비되는 제1 연장부(111e)와 전방에 위치한 바디(111a)에 구비되는 제2 연장부(111f)가 서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바디(111a)들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바디(111a)들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연장부들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연결부재(112)는 플레이트(111)에 결합되어 지지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112)는 플레이트(111)와 지지체를 연결해주고, 플레이트(111)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연결부재(112)는, 지지체에 연결되는 벨트(112a), 벨트(112a)와 플레이트(111)를 결합시켜주는 결합부(112b), 및 벨트(112a)를 조여주는 조절부(112c)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112a)는 지지체의 지지바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일측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벨트(112a)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벨트(112a)를 지지바에 끼울 수 있다. 벨트(112a)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지지봉들 사이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112b)는 볼트일 수 있고, 벨트(112a)와 플레이트(111)를 관통하여 경로부재(113)에 체결될 수 있다. 또는, 결합부(112b)가 벨트(112a)와 플레이트(111) 및 경로부재(113)를 관통하여 너트에 체결될 수도 있다. 이때, 경로부재(113)에는 너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경로부재(113)의 내측으로 돌출된 너트에 의해 걸림유닛(120)의 이동이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벨트(112a)가 플레이트(111)에 결합되는 방법 및 경로부재(113)가 플레이트(111)에 결합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조절부(112c)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볼트는 벨트(112a)의 개방된 부분을 관통하여 너트에 체결될 수 있다. 너트에 볼트를 조이면 볼트의 헤드와 너트 사이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면서, 벨트(112a)가 지지바에 조여질 수 있다. 볼트와 너트를 풀어주면 볼트의 헤드와 너트 사이의 이격거리가 멀어지면서, 벨트(112a)가 지지바에서 풀어질 수 있다. 볼트와 너트를 분리하면, 벨트(112a)를 지지바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112)에 의해 안전장치(100)가 지지체에 용이하게 설치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체가 있는 모든 작업장에 안전장치(1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안전장치(100)를 용이하게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이에, 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재(11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플레이트(111)와 지지체를 연결해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부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경로부재(113)는 걸림유닛(120)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경로부재(113)는 복수개가 일렬로 연결되어 걸림유닛(120)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경로부재(113)들은 지지봉의 외측에서 내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유닛(120)이 경로부재(113)들 내부에서 방해물에 걸리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즉, 안전벨트의 고리(H)가 경로부재(113)와 걸림유닛(120)에 의해 지지체에 간접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간섭없이 안전벨트의 고리(H)가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안전벨트의 고리(H)가 지지봉과 지지바가 연결되는 부분에 걸리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경로부재(113)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배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부재(113)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경로부재(113)의 일면이 개방될 수 있고, 개방된 부분은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에, 후술될 걸림유닛(120)의 샤프트(123)가 경로부재(113) 일면의 개방된 부분을 관통하여 걸림유닛(120)의 이동부재(122)와 걸림부재(121)를 연결시켜줄 수 있다. 또한, 샤프트(123)가 경로부재(113) 일면의 개방된 부분을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경로부재(113)는 전단과 후단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경로부재(113)를 일렬로 배치하면, 경로부재(113)들의 내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걸림유닛(120)은 경로부재(113)들 내부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경로부재(113) 중 최전방의 경로부재의 전단 및 최후방의 경로부재의 후단은 차단판(미도시)에 의해 막힐 수 있다. 이에, 걸림유닛(120)이 이동하다가 최전방 경로부재의 개방된 전단 또는 최후방 경로부재의 개방된 후방을 통해 경로부재(113)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경로부재(113)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와 같이, 경로부재(113)의 내부에 이동부재(122)와 구름접촉이 가능한 롤(115)이 설치될 수 있다. 롤(115)은 이동부재(122)와 접촉할 때 회전하여 이동부재(122)에 가해지는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이동부재(122)가 경로부재(113) 내부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작업자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롤(115)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경로부재(113)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롤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경로부재(113) 내부에서 이동부재(122)가 롤(115)과 계속 접촉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롤(115)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이동부재(122)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롤(115)은 경로부재(113)의 개방된 부분을 제외하고, 이동부재(122)의 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122)는 경로부재(113)의 내부에서 항시 롤(115)과 접촉하고 있고, 롤(115)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롤(115)의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경로부재(113)에 걸림유닛(120)의 이동부재(122)가 출입 가능한 개구(113a)가 형성되고, 도어(114)는 개구(113a)에 설치되어 개구(113a)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개구(113a)는 경로부재(113)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113a)는 경로부재(113) 일면의 개방된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개구(113a)는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면적이 걸림유닛(120)의 이동부재(122)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122)가 개구(113a)를 통해 경로부재(113) 내부로 출입할 수 있다. 그러나 개구(113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어(114)는 경로부재(113)의 개구(113a)에 설치되어 개구(113a)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도어(114)로 개구(113a)를 개방하면, 개구(113a)를 통해 이동부재(122)를 경로부재(113) 내부에서 외부로 뺄 수 있다. 도어(114)로 개구(113a)를 폐쇄하면, 개구(113a)가 막혀 이동부재(122)가 경로부재(113)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경로부재(113)의 내부를 수리거나 교체할 때 또는, 이동부재(122)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때, 경로부재(113)에서 이동부재(122)를 분리한 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어(114)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경로부재(113)의 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도어(114)는 샤프트(123)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114)의 이동방향이 샤프트(123)의 연장방향과 동일하면, 작업자의 이동에 의해 샤프트(123)가 당겨질 때 샤프트(123)에 의해 도어(114)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123)가 당겨지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도어(114)가 개폐되도록 설치하여, 샤프트(123)에 의해 도어(114)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작업 중에 이동부재(122)가 개구(113a)를 통해 경로부재(113)에서 빠져 작업자의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114)의 중심부에는 개구(113a)에 형상을 따른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114)의 개구부와 경로부재(113)의 개구(113a)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면, 경로부재(113)의 개구(113a)가 개방된다. 도어(114)의 개구부와 경로부재(113)의 개구(113a)가 엇갈려 배치되면, 경로부재(113)의 개구(113a)는 폐쇄된다. 즉, 도어(114)의 개방되지 않은 부분이 경로부재(113)의 개구(113a)를 막아 개구(113a)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도어(114)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관통홀(114a)이 구비될 수 있고, 경로부재(113)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관통홀(114a)을 관통하는 한 쌍의 돌출바(113b)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바(113b)의 끝단은 관통홀(114a)보다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14)가 돌출바(113b)의 끝단을 통해 경로부재(113)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114)를 전후를 이동시키면, 관통홀(114a)이 돌출바(113b)에 걸려 도어(114)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도어(114)가 경로부재(113)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도어(114)를 이동시켜 개구(113a)를 개폐할 수 있다. 한 쌍의 관통홀(114a)은 개구부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도어(114)가 균형을 유지하면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어(114)에는 손잡이(114b)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손잡이(114b)를 잡고 도어(114)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어(114)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고, 도어(114)가 개구(113a)를 개폐하는 방법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걸림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걸림유닛(120)은, 경로부재(113)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안전벨트의 고리(H)가 걸려 작업자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걸림유닛(120)은, 경로부재(113)의 외측에 위치하는 걸림부재(121), 경로부재(113)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부재(122), 및 일단이 걸림부재(1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동부재(122)에 연결되는 샤프트(123)를 포함한다. 또한, 걸림유닛(120)은 체결부재(124), 및 스토퍼(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재(121)는 원형의 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안전벨트의 고리(H)가 걸림부재(121)에 걸릴 수 있고, 고리(H)가 걸림부재(12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걸림부재(12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동부재(122)는 경로부재(113)의 내부에 위치하고, 경로부재(113)의 연장방향을 따라 경로부재(113)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재(122)는 경로부재(113)의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이동부재(122)는 경로부재(113) 내부에서 굴림 운동을 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122)의 단면의 면적은 경로부재(113)의 단면 면적과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122)가 경로부재(113)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경로부재(113)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부재(12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샤프트(123)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막대일 수 있다. 샤프트(123)는 일단이 걸림부재(1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동부재(122)에 연결된다. 따라서, 걸림부재(121)가 이동하면 샤프트(123)로 연결된 이동부재(122)도 함께 이동할 수 있고, 이동부재(122)가 경로부재(113) 내부에서 멈추면 샤프트(123)로 연결된 걸림부재(121)도 멈출 수 있다. 이에, 샤프트(123)는 걸림부재(121)와 이동부재(122)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재(122)는 샤프트(123)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123)는 이동부재(122)의 중심부를 회전 가능하게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123)가 회전하지 않고 이동부재(122)를 전후방향으로 밀면, 이동부재(122)가 경로부재(113)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걸림부재(121)가 샤프트(123)에 의해 회전하여 안전벨트의 선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부재(124)는 이동부재(122)를 관통한 샤프트(123)에 체결되는 너트일 수 있다. 체결부재(124)의 외경은 이동부재(122)에 형성된 샤프트(123)가 관통하는 홀의 내경보다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124)는 샤프트(123)가 홀에서 빠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재(122)에는 체결부재(124)를 수납하는 수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체결부재(124)가 이동부재(122) 외측으로 돌출되어 경로부재(113)의 내벽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125)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샤프트(123)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샤프트(123)에는 스토퍼(125)가 설치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125)가 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동부재(122)는 체결부재(124)와 스토퍼(125) 사이에 위치한다. 이동부재(122)는 체결부재(124)와 스토퍼(125)에 의해 고정되어 이동부재(122)가 스토퍼(125)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25)에 의해 이동부재(122)가 샤프트(123)를 타고 샤프트(123)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걸림유닛(120)의 구성요소들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파손되면 파손된 부분만 분리하여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이에, 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처럼, 안전벨트의 고리(H)가 지지체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지지체의 외측에서 안전벨트의 고리(H)가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안전벨트의 고리(H)가 지지체의 지지바와 지지봉이 교차하는 지점에 걸리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해 지지체에서 안전벨트의 고리(H)를 풀지 않을 수 있고, 안전벨트의 고리(H)를 풀고 이동하다가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에 의해 작업자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안전벨트의 고리(H)를 풀지 않고 다양한 위치로 이동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수행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동시에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90: 난간 100: 안전장치
110: 가이드유닛 111: 플레이트
112: 연결부재 113: 경로부재
114: 도어 120: 걸림유닛
121: 걸림부재 122: 이동부재
123: 샤프트 H: 안전벨트 고리

Claims (14)

  1.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를 구비하는 지지체에 설치되는 안전장치로서,
    작업자를 지지해주는 물체가 걸리는 걸림유닛; 및
    상기 지지바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체의 외측에서 상기 걸림유닛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바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의 타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경로가 형성되는 경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단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바디의 타단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일 바디에 구비된 제1 돌출부가 타 바디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가능한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안전벨트를 포함하는 안전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돌출부에서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일 바디에 구비된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가 타 바디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가능한 안전장치.
  6.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를 구비하는 지지체에 설치되는 안전장치로서,
    작업자를 지지해주는 물체가 걸리는 걸림유닛; 및
    상기 지지바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체의 외측에서 상기 걸림유닛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바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의 타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경로가 형성되는 경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단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바디의 타단에서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일 바디에 구비된 제1 연장부와 타 바디에 구비된 제2 연장부가 서로 끼움 결합이 가능한 안전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걸림유닛은,
    상기 경로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는 걸림부재;
    상기 경로부재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부재; 및
    일단이 걸림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안전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샤프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전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경로부재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와 구름접촉이 가능한 롤을 포함하는 안전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롤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안전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경로부재에 상기 이동부재가 출입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안전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샤프트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안전장치.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바와 연결되고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부재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봉의 외측에서 내부가 서로 연통되는 안전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에서 크레인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부에 설치되는 난간을 포함하는 안전장치.
KR1020160094056A 2016-07-25 2016-07-25 안전장치 KR101875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056A KR101875152B1 (ko) 2016-07-25 2016-07-25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056A KR101875152B1 (ko) 2016-07-25 2016-07-25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563A KR20180011563A (ko) 2018-02-02
KR101875152B1 true KR101875152B1 (ko) 2018-07-06

Family

ID=6122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056A KR101875152B1 (ko) 2016-07-25 2016-07-25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1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699B1 (ko) * 2022-06-07 2023-06-27 김형수 비계용 추락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104A (ja) * 1992-08-01 1994-02-22 Takenaka Komuten Co Ltd 命綱の支持案内装置及びこの装置の建物躯体への設置方法
JPH07224540A (ja) * 1994-02-15 1995-08-22 Aruinko Kk 墜落事故防止装置
KR200288364Y1 (ko) * 2002-06-10 2002-09-09 인해식 생명줄 걸이대장치
JP2012161443A (ja) * 2011-02-07 2012-08-3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安全具及びこれを係着する手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104A (ja) * 1992-08-01 1994-02-22 Takenaka Komuten Co Ltd 命綱の支持案内装置及びこの装置の建物躯体への設置方法
JPH07224540A (ja) * 1994-02-15 1995-08-22 Aruinko Kk 墜落事故防止装置
KR200288364Y1 (ko) * 2002-06-10 2002-09-09 인해식 생명줄 걸이대장치
JP2012161443A (ja) * 2011-02-07 2012-08-3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安全具及びこれを係着する手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699B1 (ko) * 2022-06-07 2023-06-27 김형수 비계용 추락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563A (ko) 201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28302B (zh) 包装袋自动整理捆扎机
KR101875152B1 (ko) 안전장치
US6708817B2 (en) Drive and tensioning station of a chain scraper conveyor
US20220228821A1 (en) Method of using a lance cleaning system with movable support
DE2510591A1 (de) Ofen zum erhitzen kontinuierlich vorbewegter rohlinge
DE202018106385U1 (de) Vorrichtung zum Erwärmen von Kunststoffvorformlingen
US3566667A (en) Multidirection power actuated force unit
KR20220041697A (ko) 열처리된 금속에 분사된 냉각수를 제거하는 담금질장치
CN209777549U (zh) 轴承外圈供料装置及轴承外圈粗加工系统
EP3814044B1 (en) An end barrier box and a reflow oven using the end barrier box
JP3775326B2 (ja) 圧延機入側の圧延材冷却装置
PL229930B1 (pl) Sposób chłodzenia zaworów kutych na gorąco oraz urządzenie do tego sposobu
CN113634710B (zh) 一种下料稳定的转向器用传动链拆节设备及拆节方法
US3426563A (en) Peening apparatus
JPH09264509A (ja) バーナノズル
KR101315225B1 (ko) 스택 댐퍼 장치
DE102018128143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wärmen von Kunststoffvorformlingen
CN117928203B (zh) 工件沥干装置
KR102372620B1 (ko) 정렬상태 유지 기능을 갖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KR102408793B1 (ko) 피가공물 자동 이송 시스템
US1949438A (en) Cleaning and annealing machine
KR101867756B1 (ko) 코크스 처리장치
CN210732470U (zh) 轨道组件宽度调节机构和具有其的在线式智能作业机器人
JPH0626842Y2 (ja) 鋳抜き孔検査ボールの供給装置
JP2006231361A (ja) H形鋼の冷却ライン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