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894B1 -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894B1
KR101874894B1 KR1020160102868A KR20160102868A KR101874894B1 KR 101874894 B1 KR101874894 B1 KR 101874894B1 KR 1020160102868 A KR1020160102868 A KR 1020160102868A KR 20160102868 A KR20160102868 A KR 20160102868A KR 101874894 B1 KR101874894 B1 KR 101874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watering
rollers
water
dehydrat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8021A (ko
Inventor
이원기
Original Assignee
(주)지크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크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지크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60102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894B1/ko
Publication of KR20180018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2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an endless pressing band
    • B30B9/24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an endless pressing band co-operating with a drum or ro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5/00Wringing machines with two or more co-operating rollers; Similar cold-smoothing apparatus
    • D06F45/16Details
    • D06F45/28Belt arrangements for guiding the linen between the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렬종대로 세워져 배치된 복수의 탈수부재가 탑재되는 로딩 테이블과, 상기 로딩테이블에 탑재된 상기 탈수부재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로딩부와, 상기 로딩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로딩부에 의해 공급된 최전방 탈수부재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탈수부재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푸셔와, 상호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롤러와, 상기 롤러가 맞물려 회전하도록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푸셔에 의해 유입된 탈수부재를 상기 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면서 가압하여 탈수부재의 물기를 제거하는 탈수부와, 상기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탈수부재에 세척용 물을 공급하는 물분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washing and dehydrating apparatus for dehydrating member used in apparatus for producing dried laver}
본 발명은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다에서 채취된 원초를 세척 및 세절시켜 만들어진 물김을 김 발장에 부은 뒤, 탈수시키는데 사용되는 탈수부재를 세척 및 탈수하기 위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은 해태 또는 해의라고도 불리며, 바다의 암초에 이끼처럼 붙어서 자란다. 또한, 김은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간장 보호작용을 가진 타우린과 아미노산 및 비타민B12, 각종 미네랄,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 해조류로서 예로부터 우리 나라와 일본에서 널리 애용되어 왔다.
통상적으로 김은 사각 형태로 성형된 후 건조된 건조 김 또는 조미 김 형태로 유통된다. 건조 김은 성형단계와 건조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성형단계는 바다에서 채취된 원초를 소정의 크기로 세절하여 물에 혼합한 후 사각형태의 김 발장에 얇게 펼쳐놓는 과정이고, 건조단계는 김 발장에 사각 형태로 성형된 김을 건조하는 과정이다.
건조 김은 대부분이 자동화된 건조 김 생산장치에 의해 대량 생산된다.
건조 김 생산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75673호(2007. 11. 05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37878호(2008. 06. 05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80267호(2009. 01. 16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61639호(2010. 10. 18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78632호(2010. 04. 23 공개)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건조 김 생산장치는 공통적으로 복수의 발장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발장에 김의 원초를 공급하여 성형하는 성형장치와,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원초를 탈수하는 탈수장치와, 탈수된 원초를 건조하는 건조장치를 포함한다.
건조 김 생산장치는 성형장치가 작은 크기로 세절된 김 원초가 섞인 원초 물을 설정된 양만큼씩 이송되는 발장위에 부음으로써 김 발장 위에 얇은 젖은 원초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발장 위에 성형된 원초층은 탈수장치를 거치면서 탈수된 후 건조장치에서 건조되어 건조 김으로 만들어진다. 탈수장치는 발장 위에 성형된 원초층을 압축하여 원초층을 탈수하는데, 원초층을 누르기 위한 탈수부재를 갖는다. 탈수부재는 스폰지나 우레탄 폼 등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정 회수 사용 후 세척 및 건조 과정을 거쳐 재사용된다.
종래에는 탈수부재를 세척하는 작업이 대부분 수작업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수작업으로 세척이 완료된 탈수부재는 물기 제거를 위해 손으로 탈수부재를 쥐어 짜거나, 별도의 탈수장치를 이용하여 탈수를 진행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공정이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경우, 경우에 따라 탈수부재의 세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탈수부재가 세균에 오염되어 비위생적이며,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 작업이 불균일하게 이루어져 탈수부재의 수명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작업이 별도로 진행되는 경우, 작업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조 김 생산과정에서 사용된 탈수부재의 공급, 세척, 탈수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탈수부재를 보다 신속하게 세척 및 탈수시킬 수 있고, 수작업에 비해 탈수부재를 보다 확실하게 세척하여 탈수부재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는 일렬종대로 세워져 배치된 복수의 탈수부재가 탑재되는 로딩 테이블과, 상기 로딩테이블에 탑재된 상기 탈수부재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로딩부와, 상기 로딩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로딩부에 의해 공급된 최전방 탈수부재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탈수부재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푸셔와, 상호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롤러와, 상기 롤러가 맞물려 회전하도록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푸셔에 의해 유입된 탈수부재를 상기 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면서 가압하여 탈수부재의 물기를 제거하는 탈수부와, 상기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탈수부재에 세척용 물을 공급하는 물분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탈수부는, 상호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롤러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복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외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분사부는, 상기 탈수부의 상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1공급관과, 상기 제1공급관과 연결되고, 상기 탈수부의 상부에 상기 탈수부를 통과하는 탈수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공급관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롤러 사이로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분사부는, 상기 롤러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2공급관과, 상기 롤러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공급관을 통해 롤러의 내부로 공급된 물을 롤러의 외부로 배출하는 분사구와, 상기 분사구와 상기 제2공급관을 연결하도록 상기 롤러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롤러 사이의 간격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점차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은,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연결되고 후방에 배치된 탈수부재를 접촉 지지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로딩테이블에 탑재된 탈수부재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누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딩테이블에는 탈수부재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 및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로딩테이블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누름판은 상기 가이드홀을 통과하는 연결봉을 통해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딩테이블의 전방에는, 최전방의 탈수부재가 상기 푸셔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는 동안 탈수부재의 전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탈수부재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안내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수부의 하단에는 상기 탈수부재의 탈수과정에서 배출된 물이 집수되는 집수통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에 따르면, 건조 김 생산과정에서 사용된 탈수부재의 공급, 세척, 탈수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탈수부재를 보다 신속하게 세척 및 탈수시킬 수 있고, 수작업에 비해 탈수부재를 보다 확실하게 세척하여 탈수부재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탈수부재의 위생성이 향상되어 탈수부재가 세균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탈수부재의 탈수과정에서 탈수부재에 균일한 가압력이 가해져 무리한 가압력에 의해 탈수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탈수부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탈수부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는, 건조 김 생산과정에서 젖은 원초층을 가압하여 탈수하는데 사용된 탈수부재를 세척 및 탈수하기 위한 것으로, 로딩부와, 푸셔와, 탈수부와, 물분사부와, 언로딩테이블을 포함한다.
삭제
먼저, 로딩부는 일렬종대로 세워져 배치된 복수의 탈수부재가 탑재되는 로딩테이블과, 상기 로딩테이블에 탑재된 상기 탈수부재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탈수부재는 발장 위에 성형된 원초층을 탈수시키기 위해 원초층을 눌러 압축한다. 이러한, 탈수부재는 스폰지나 우레탄 폼 등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정 회수 사용 후 세척 및 건조 과정을 거쳐 재사용된다.
본 발명의 경우, 사용 후의 탈수부재는 세워진 상태로 로딩테이블에 탑재되고, 로딩테이블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일렬로 정렬된다. 상기와 같이 로딩테이블에 탑재된 탈수부재는 이송수단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딩부와 탈수부는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삭제
따라서, 로딩부를 따라 전방으로 이송된 탈수부재를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탈수부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푸셔가 필요하다.
푸셔는 상기 로딩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로딩테이블을 따라 탈수부재가 전방으로 이송되면, 푸셔가 작동하여, 최전방의 탈수부재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압하고, 그 가압력에 의해 탈수부재는 탈수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푸셔는 신축수단과 가압판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축수단의 구동력으로 가압판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최전방의 탈수부재를 탈수부로 공급하고, 다시 타측에서 일측으로 복귀되었다가 최전방으로 이송된 다른 탈수부재를 탈수부로 가압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신축수단은 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 등을 비롯하여, 양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면서, 가압판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했다가 다시 타측에서 일측으로 복귀시킬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발생할 수 있다.
탈수부는 상호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롤러와, 상기 롤러가 맞물려 회전하도록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푸셔에 의해 유입된 탈수부재를 상기 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가압하여 탈수부재의 물기를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는 전방에 배치된 제1롤러와, 후방에 배치된 제2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푸셔에 의해 탈수부재가 탈수부로 유입되면,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롤러 사이로 탈수부재가 통과하면서, 롤러의 가압력에 의해 탈수부재의 탈수가 진행되고, 물기가 제거된 탈수부재는 탈수부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수단은,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상기 롤러의 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모터의 축과 롤러의 축에 각각 고정된 기어 및 상기 기어를 연결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롤러에 전달하는 체인 등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의 회전비를 조절하여 롤러의 축으로 전달하는 감속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전방에 배치된 제1롤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회전수단과, 후방에 배치된 제2롤러가 전방에 배치된 롤러와 맞물려 회전하게 후방에 배치된 롤러를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회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롤러와 제2롤러는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별도의 회전수단과 연결되어 서로 맞물리게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회전수단은 하나의 모터만을 구비하여, 하나의 모터가 전방에 배치된 제1롤러와 후방에 배치된 제2롤러를 서로 맞물리게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킬수도 있다.
물분사부는 상기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탈수부재에 세척용 물을 공급한다. 따라서,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탈수부재는 물분사부에서 공급된 물로 세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탈수까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물분사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언로딩테이블은 상기 탈수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탈수부를 통과하면서 세척 및 탈수가 진행된 후, 탈수부를 빠져나온 탈수부재가 탑재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딩테이블 또는 언로딩테이블의 양측에는 탈수부재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벽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로딩테이블 또는 언로딩테이블에 탑재된 탈수부재가 측벽에 접촉 지지되어 로딩테이블 또는 언로딩테이블 밖으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로딩 또는 언로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탈수부는, 상호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롤러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복수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롤러가 연달아 배치될 경우, 탈수부재가 통과되는 탈수부의 전체 경로가 길어지고,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가 여러번 반복되어, 탈수부재 세척 및 탈수가 보다 확실히 진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탈수부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한 쌍의 롤러(311,312) 사이의 간격(D1,D2)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탈수부재(10)가 진입하는 일측에 배치된 한 쌍의 롤러 사이의 간격(D1)은 탈수부재(10)가 배출되는 타측에 배치된 한 쌍의 롤러 사이의 간격(D2)에 비해 크다.
또한, 탈수부재(10)가 한 쌍의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롤러(311,312) 사이의 간격(D1,D2)은 상기 탈수부재(10)의 폭(W) 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롤러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질 경우, 탈수부(300)를 통과하는 동안 탈수부재(10)는 점차적으로 큰 가압력을 받게 되고, 탈수부(300)를 빠져나오기 직전에 가장 큰 가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탈수부재(10)가 보다 확실히 탈수된 후 탈수부(300)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탈수부재(10)가 탈수부(300)를 통과하는 동안 점차적으로 큰 가압력을 받게 될 경우, 탈수부(300)로 공급된 탈수부재(10)가 처음부터 무리한 가압력을 받지 않아 탈수부재(10)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나아가 탈수부재(1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탈수부(300)에는 롤러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탈수부재(10)의 크기에 맞게 롤러의 간격을 조절해가면서 탈수부재(10)를 탈수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외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롤러의 외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면, 탈수부재가 밋밋한 롤러 사이를 통과했을 경우 대비 탈수부재의 이송이 원활해짐과 동시에 탈수부재의 탈수가 보다 확실하게 진행될 수 있다.
삭제
일례로, 상기 돌출부는 롤러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파이프 등을 롤러의 외측면에 용접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롤러의 전체 구간에 형성될 수 있고, 롤러의 일부 구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탈수부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제1,2 상부프레임과, 상기 제1,2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제1,2 하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의 상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단은 하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분사부는 상기 탈수부의 상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1공급관과, 상기 제1공급관과 연결되고, 상기 탈수부의 상부에 상기 탈수부를 통과하는 탈수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공급관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롤러 사이로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이때, 제1공급관은 별도의 수원(水源)과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1공급관은 수원(水源)에서 제공된 물을 롤러 사이의 상부에 형성된 분사노즐로 공급할 수 있다. 이후, 분사노즐을 통해 공급된 물이 롤러 사이로 분사되고, 분사된 물에 의해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탈수부재의 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분사부는 상기 롤러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2공급관과, 상기 롤러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공급관을 통해 롤러의 내부로 공급된 물을 롤러의 외부로 배출하는 분사구와, 상기 분사구와 상기 제2공급관을 연결하도록 상기 롤러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 제2공급관 역시 별도의 수원(水源)과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2공급관은 수원(水源)에서 제공된 물을 이송하여 롤러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로 공급할 수 있다. 이후, 유로로 공급된 물은 분사구를 통해 롤러의 밖으로 배출되고, 배출된 물에 의해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탈수부재의 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은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연결되고 후방에 배치된 탈수부재를 접촉 지지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로딩테이블에 탑재된 탈수부재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누름판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가 회전하면, 동력전달부재는 누름판을 전방으로 이송시키고, 누름판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탈수부재를 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모터와 연결된 풀리 및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풀리에서 권취 또는 권출 되면서 누름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와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모터가 회전하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누름판을 전후방향으로 이송하는 볼스크류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딩테이블에는 전후방향으로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 및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로딩테이블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누름판은 상기 가이드홀을 통과하는 연결봉을 통해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가 회전하면, 동력전달부재는 연결봉 및 누름판을 전방으로 이송시키고, 누름판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탈수부재를 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로딩테이블에 가이드홀이 형성되면, 가이드홀에 끼워진 연결봉이 가이드홀의 안내를 받으며, 직선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모터 및 동력전달부재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로딩테이블의 하단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딩테이블의 전방에는, 최전방의 탈수부재가 상기 푸셔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는 동안 탈수부재의 전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탈수부재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안내벽이 형성될 수 있다.
푸셔가 최전방의 탈수부재를 탈수부로 밀어 넣는 과정에서, 탈수부재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푸셔가 최전방의 탈수부재를 가압하는 동안 탈수부재의 전면과 후면을 지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로딩테이블의 전방에 안내벽이 형성되어, 탈수부재가 탈수부에 공급되는 동안 탈수부재의 전면이 안내벽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탈수부재의 후면은 후방에 배치된 탈수부재의 전면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푸셔가 최전방의 탈수부재를 탈수부로 밀어 넣는 동안 탈수부재는 넘어지거나 일그러지지 않고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탈수부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부의 하단에는 상기 탈수부재의 탈수과정에서 배출된 물이 집수되는 집수통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탈수부의 하단에 집수통이 설치되면, 탈수부에서 탈수가 진행되는 동안 탈수부재에서 배출된 물이 외부로 흐르지 않고 집수통에 수거되어 작업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통은 탈수부의 하단에 서랍식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집수통을 보다 쉽게 탈수부의 하단에서 빼낼 수 있고, 빼낸 집수통을 탈수부의 하단에 손쉽게 끼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통에는 외부에서 집수통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위 확인용 투명창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외부에서 집수통에 집수된 물의 양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집수통에 물이 가득 차면 집수통을 서랍식으로 빼낸 뒤 집수통의 물을 버릴 수 있다. 이후, 빈 집수통은 다시 탈수부의 하단에 서랍식으로 끼워지고, 탈수부에서 탈수가 진행되는 동안 탈수부재에서 배출된 물은 집수통으로 수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통에 수거된 물을 연속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펌프와 연결된 호스가 상기 집수통에 연결될 수도 있고, 집수통에 수거된 물을 중력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호스만이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를 이용한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세척 및 탈수가 필요한 탈수부재는 세워진 상태로 로딩테이블에 탑재되고, 로딩테이블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일렬로 정렬된다. 상기와 같이 로딩테이블에 탑재된 탈수부재는 이송수단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다.
이후, 푸셔가 작동하여, 최전방의 탈수부재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압하고, 그 가압력에 의해 탈수부재는 탈수부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푸셔에 의해 탈수부재가 탈수부로 유입되면, 탈수부재를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가압하여 탈수부재의 물기를 제거한다.
또한, 탈수부재가 롤러를 통과하는 동안 물분사부는 탈수부재에 세척용 물을 분사한다. 따라서,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탈수부재는 물분사부에서 공급된 물로 세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탈수까지 진행될 수 있다.
이후, 탈수부를 통과하면서 세척 및 탈수가 진행된 탈수부재는 언로딩테이블로 배출되고,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 작업은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김 생산과정에서 사용된 탈수부재의 공급, 세척, 탈수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탈수부재를 보다 신속하게 세척 및 탈수시킬 수 있고, 수작업에 비해 탈수부재를 보다 확실하게 세척하여 탈수부재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 탈수부재의 위생성이 향상되어 탈수부재가 세균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탈수부재의 탈수과정에서 탈수부재에 균일한 가압력이 가해져 무리한 가압력에 의해 탈수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탈수부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탈수부재
300 : 탈수부
311, 312 : 롤러

Claims (10)

  1. 건조 김 생산과정에서 젖은 원초층을 가압하여 탈수하는데 사용된 탈수부재를 세척 및 탈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렬종대로 세워져 배치된 복수의 탈수부재가 탑재되는 로딩 테이블과, 상기 로딩테이블에 탑재된 상기 탈수부재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로딩부;
    상기 로딩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로딩부에 의해 공급된 최전방 탈수부재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탈수부재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푸셔;
    상호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롤러와, 상기 롤러가 맞물려 회전하도록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푸셔에 의해 유입된 탈수부재를 상기 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면서 가압하여 탈수부재의 물기를 제거하는 탈수부; 및
    상기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탈수부재에 세척용 물을 공급하는 물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탈수부는, 상호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롤러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복수 배치되고,
    상기 물분사부는, 상기 롤러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2공급관; 상기 롤러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공급관을 통해 롤러의 내부로 공급된 물을 롤러의 외부로 배출하는 분사구; 및 상기 분사구와 상기 제2공급관을 연결하도록 상기 롤러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외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부는,
    상기 탈수부의 상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1공급관; 및
    상기 제1공급관과 연결되고, 상기 탈수부의 상부에 상기 탈수부를 통과하는 탈수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공급관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롤러 사이로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롤러 사이의 간격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점차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연결되고 후방에 배치된 탈수부재를 접촉 지지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로딩테이블에 탑재된 탈수부재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테이블에는 탈수부재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 및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로딩테이블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누름판은 상기 가이드홀을 통과하는 연결봉을 통해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테이블의 전방에는, 최전방의 탈수부재가 상기 푸셔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는 동안 탈수부재의 전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탈수부재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안내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의 하단에는 상기 탈수부재의 탈수과정에서 배출된 물이 집수되는 집수통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
KR1020160102868A 2016-08-12 2016-08-12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 KR101874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868A KR101874894B1 (ko) 2016-08-12 2016-08-12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868A KR101874894B1 (ko) 2016-08-12 2016-08-12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021A KR20180018021A (ko) 2018-02-21
KR101874894B1 true KR101874894B1 (ko) 2018-07-05

Family

ID=61525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868A KR101874894B1 (ko) 2016-08-12 2016-08-12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8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305B1 (ko) * 2019-07-04 2021-08-03 김민규 김 찌꺼기 처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9255A (ja) * 2003-05-02 2005-07-28 Masakatsu Ozawa 脱水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9255A (ja) * 2003-05-02 2005-07-28 Masakatsu Ozawa 脱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021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841071U (zh) 刷辊式干果清洗装置
CN104305504B (zh) 酱状物料自动强力压榨线
KR101395827B1 (ko) 드럼 회전형 기계부품 세척장치
JP5064876B2 (ja) スポンジ板洗い機
JP2010508046A (ja) 野菜の洗浄装置とこれを利用した野菜の洗浄システム
KR20210004303A (ko) 김 찌꺼기 처리 시스템
CN111616380A (zh) 一种蔬菜传送清洗装置
KR102143204B1 (ko) 멸치자숙용 발 세척장치
KR20160106831A (ko) 노즐 청소 장치
KR20120013077A (ko) 야채류 가공장치
KR101874894B1 (ko)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
ITMI20100443A1 (it) Macchina di lavaggio
CN211914896U (zh) 一种洗箱机
KR101558045B1 (ko) 김탈수용 스펀지판 자동세척장치
CN210960340U (zh) 一种果蔬清洗自动化加工产线
JP7328521B2 (ja) 容器洗浄装置
KR102250953B1 (ko) 김탈수용 스펀지판 자동세척장치
KR100914827B1 (ko) 농산물 자동세척기
JP6325899B2 (ja) 水耕パネルの洗浄装置および方法
CN112317230A (zh) 一种同时进行双面涂层并自动清洗刀具的涂层机
CN109938672B (zh) 一种含皂钢丝棉球连续生产线
KR100668769B1 (ko) 식판 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식판 자동세척기
CN113950548A (zh) 用于织物的连续平幅洗涤机器和方法
JP2977695B2 (ja) 苗箱洗浄機における消毒装置
CN217631318U (zh) 一种建筑施工用铝合金模板快速清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