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305B1 - 김 찌꺼기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김 찌꺼기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305B1
KR102285305B1 KR1020190080533A KR20190080533A KR102285305B1 KR 102285305 B1 KR102285305 B1 KR 102285305B1 KR 1020190080533 A KR1020190080533 A KR 1020190080533A KR 20190080533 A KR20190080533 A KR 20190080533A KR 102285305 B1 KR102285305 B1 KR 102285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drying
washing
filter
resid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4303A (ko
Inventor
김민규
Original Assignee
김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규 filed Critical 김민규
Priority to KR1020190080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305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6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combined with subsequent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56Construction of filtering bands or supporting belts, e.g. devices for centering, mounting or sealing the filtering bands or the support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6Sea weed; Marine pro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김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김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된 세척수에서 김 찌꺼기를 필터링하여 깨끗한 상태로 재활용하거나 해양에 배출시킬 수 있고, 세척수에서 필터링된 김 찌꺼기를 건조시켜서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김 찌꺼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김이 세척된 세척수에서 김 찌꺼기를 필터링하는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와,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에서 필터링된 김 찌꺼기를 건조하는 김 찌꺼기 건조장치(200)와,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에서 김 찌꺼기가 제거된 세척수에 음이온을 생성시키는 음이온 생성장치(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김 찌꺼기 처리 시스템{Treatment system for laver garbage}
본 발명은, 김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김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된 세척수에서 김 찌꺼기를 필터링하여 깨끗한 상태로 재활용하거나 해양에 배출시킬 수 있고, 세척수에서 필터링된 김 찌꺼기를 건조시켜서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김 찌꺼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태라고 불리는 김은 우리나라에서 오래전부터 섭취되어온 식품으로, 각종 영양성분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김은 주로 사각 형태로 성형되고 건조되어 유통되며, 건조 김이 구운 김으로 가공되거나 건조 김 상태 그대로 김밥의 재료 등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건조 김의 일반적 생산방법은 세척단계와 성형단계와 건조단계 및 김 분리단계를 갖는다.
세척단계는 바다에서 양식되어 수거된 김이 세척수와 함께 수조에서 채워진 상태에서 세척봉이 회전되면, 김에 부착된 뻘이나 해양미생물과 같은 플랑크톤 등이 제거될 수 있다.
성형단계는 바다에서 채취된 원초(김)를 소정의 크기로 세절하여 물에 혼합한 후 세절된 김을 고르게 분산시켜서 소정의 형태(사각 형태 등)로 발장에 얇게 펼쳐놓는다.
건조단계는 성형단계를 통해 발장에 펼쳐진 김을 건조하는 단계이며, 김 분리단계는 건조단계를 통해 발장 위에서 건조된 김을 발장에서 분리한다.
그러나, 미세한 크기로 세절된 김 찌꺼기와 김세척에 사용된 세척수가 해양으로 버려지고 있는데, 버려지는 미세한 크기의 원초가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해양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특허공보 10-1031284호(2011.04.29.)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김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김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된 세척수에서 김 찌꺼기를 필터링하여 깨끗한 상태로 재활용하거나 해양에 배출시킬 수 있고, 세척수에서 필터링된 김 찌꺼기를 건조시켜서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김 찌꺼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 찌꺼기 처리 시스템은, 김이 세척된 세척수에서 김 찌꺼기를 필터링하는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와,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에서 필터링된 김 찌꺼기를 건조하는 김 찌꺼기 건조장치(200)와,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에서 김 찌꺼기가 제거된 세척수에 음이온을 생성시키는 음이온 생성장치(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는 김이 세척된 세척수가 수용되는 세척수집수조(110)와, 세척수집수조(110)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필터링하여 김 찌꺼기를 걸러내는 세척수필터부재(120)와, 세척수필터부재(120)에 의해 걸러진 김 찌꺼기를 제거하는 제거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세척수필터부재(120)는 세척수집수조(110)를 상부에서 하부로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세척수에서 김 찌꺼기를 걸러내는 필터벨트(121)와, 세척수집수조(110)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로 권취되는 필터벨트(121)가 세척수집수조(110)에 간섭되지 않게 하면서 회전을 지지하는 피동풀리(122)와, 권취되는 필터벨트(121)를 회전시키는 구동풀리(123)와, 구동풀리(123)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24)와, 세척수집수조(110)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로 세척수가 통과되면서 필터벨트(121)를 하부를 받쳐서 처짐을 방지하는 필터받침부(125)와, 필터받침부(125)에서 상부로 들뜨는 필터벨트(121)의 양측을 통해 세척수의 유실됨이 방지되도록 필터벨트(121)의 양측을 필터받침부(125)로 가압하는 필터가압부(1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세척수집수조(110)에는 장홀(112)이 형성되고, 필터가압부(126)는 세척수집수조(110)의 장홀(112)에 일단이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롤러(126a)와, 롤러(126a)들의 타단에 연결된 상태로 웨이트를 제공하는 웨이트샤프트(12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는 세척수집수조(110)에서 세척수가 월류됨을 방지하는 월류방지부(140)를 포함하고, 월류방지부(140)는 세척수집수조(110)에서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판(141)과, 지지판(141)에 지지되면서 회전되는 필터벨트(121)에 밀착되도록 세척수집수조(1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월류방지롤러(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는 필터벨트(121)를 압착하여서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필터압착부(150)를 포함하고, 필터압착부(150)는 필터벨트(121)의 상부를 가압하는 상부롤러(151)와, 상부롤러(151)에 필터벨트(121)가 압착되도록 필터벨트(121)의 하부 양측을 가압하는 복수의 하부롤러(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김 찌꺼기 건조장치(2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건조케이스(210)와, 건조케이스(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에서 필터링된 김 찌꺼기를 건조케이스(2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입호퍼(220)와, 건조케이스(210)의 내부공간에 다단으로 구비되어 유입호퍼(220)를 통해 유입되는 김 찌꺼기가 올려지고, 김 찌꺼기가 통과되는 통과홀(231)이 형성되는 건조판(230)과, 건조판(230)들을 관통하면서 건조케이스(2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관류되는 공기통로(241)가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축(240)과, 회전축(24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재(250)와, 회전축(24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260)와, 회전축(240)에 다단으로 연통되게 고정되어 건조판(230)의 김 찌꺼기가 건조되도록, 회전축(240)과 함께 회전되면서 공기통로(241)에서 관류되는 공기를 건조판(230)들에 분사하는 공기분사부재(270)와, 회전축(240)에 다단으로 고정되어 회전축(240)과 함께 회전되면서 건조판(230)의 김 찌꺼기를 통과홀(231)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280)와, 건조케이스(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건조판(230)을 통과한 건조된 김 찌꺼기를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2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공기공급부재(250)는 회전축(240)의 단부가 지지되어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베어링(251)과, 회전베어링(251)을 커버하는 상태로 건조케이스(210)에 고정되는 베어링케이스(252)와, 베어링케이스(252)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회전축(240)에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안내관(253)과, 공기안내관(253)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팬(2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홀수 번째 건조판(230)들에는 통과홀(231)이 중앙에 근접되게 형성되고, 짝수 번째 건조판(230)들에는 통과홀(231)이 외측에 근접되게 형성되며, 이동부재(280)는 회전축(240)에 연결되는 이동샤프트(281)와, 이동샤프트(281)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건조판(230)에 안착된 김 찌꺼기를 긁어서 이동시키는 다수의 스크리퍼(282)를 포함하고, 홀수 번째 이동부재(280)의 스크리퍼(282)들은 이동샤프트(28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정각도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홀수 번째 건조판(230)의 통과홀(231)로 김 찌꺼기를 이동시킬 수 있고, 짝수 번째 이동부재(280)의 스크리퍼(282)들은 홀수 번째 스크리퍼(282)들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짝수 번째 건조판(230)의 통과홀(231)로 김 찌꺼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이동샤프트(281)의 일측에는 장홀(283)이 형성되고, 이동부재(280)는 이동샤프트(281)를 회전축(240)에 연결시키는 연결부(284)를 포함하며, 연결부(284)는 회전축(240)에 고정되고 바닥에 나사탭이 형성되는 바닥부(285)와, 이동샤프트(281)의 장홀(283)을 관통하면서 바닥부(285)의 나사탭에 결합되는 볼트부(286)와, 바닥부(285)의 양측에서 기립된 상태로 이동샤프트(281)의 상하이동은 허용하면서 이동샤프트(281)의 좌우이동은 구속하는 양측벽(28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건조판(230)은 중앙부분이 상부로 돌출되는 삿갓형태로 형성되고, 김 찌꺼기 건조장치(200)는 건조판(230)에서 흘러내리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세척수 배출부(201)를 포함하며, 세척수 배출부(201)는 건조판(230)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는 배출판(202)과, 배출판(202)의 둘레를 따라 기립되는 외벽(203)과, 외벽(203)에 관통되게 연결되어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관(2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음이온 생성장치(300)는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310)과, 분사노즐(31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충돌되어서 부서지면서 음이온이 생성되게 하는 음이온망체(320)와, 음이온망체(320)에 의해 부서져서 음이온이 생성된 세척수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30)와, 이탈방지부(33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세척수가 모여지는 세척수탱크(340)와, 세척수탱크(340)에 모여지는 세척수에서 음이온이 생성되도록 세척수탱크(340)로 낙하되는 세척수에 공기를 분사하여 충돌시키는 공기분사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김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김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된 세척수에서 김 찌꺼기를 필터링하여 깨끗한 상태로 재활용할 수 있어서,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깨끗한 상태의 세척수를 해양으로 배출시켜도 해양오염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세척수에서 건져낸 세척수에서 필터링된 김 찌꺼기를 건조시켜서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 찌꺼기 처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김 찌꺼기 필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김 찌꺼기 필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김 찌꺼기 필터장치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김 찌꺼기 필터장치에 적용되는 제거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김 찌꺼기 건조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김 찌꺼기 건조장치의 요부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김 찌꺼기 건조장치의 다른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김 찌꺼기 건조장치의 건조판을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김 찌꺼기 건조장치의 이송부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음이온 생성장치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음이온 생성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김이 세척된 세척수에서 김 찌꺼기를 필터링하는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와,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에서 필터링된 김 찌꺼기를 건조하는 김 찌꺼기 건조장치(200)와, 필터장치(100)에서 김 찌꺼기가 제거된 세척수에 음이온을 생성시키는 음이온 생성장치(300)를 포함한다.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는 김이 세척된 세척수가 수용되는 세척수집수조(110)와, 세척수집수조(110)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필터링하여 김 찌꺼기를 걸러내는 세척수필터부재(120)와, 세척수필터부재(120)에 의해 걸러진 김 찌꺼기를 제거하는 제거부재(130)를 포함한다.
먼저, 세척수에는 김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김 찌꺼기가 포함되어 있다.
세척수집수조(110)는 세척수가 집수되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고, 세척수를 배수시키는 배수관(111)이 하부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세척수집수조(110)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세척수필터부재(120)에 의해 김 찌꺼기가 걸러지면서 세척수집수조(110)에 집수된 후에, 배수관(111)을 통해 배수되어서 음이온 생성장치(300)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해양으로 배수되는 경우에도 세척수가 깨끗한 상태이므로 해양오염을 유발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필터벨트(121)가 회전되면서 지지판(141) 및 월류방지롤러(142)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되므로 필터벨트(121)에 적셔진 세척수가 탈리될 수 있다.
세척수필터부재(120)는 세척수집수조(110)를 상부에서 하부로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세척수에서 김 찌꺼기를 걸러내는 필터벨트(121)와, 세척수집수조(110)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로 권취되는 필터벨트(121)가 세척수집수조(110)에 간섭되지 않게 하면서 회전을 지지하는 피동풀리(122)와, 권취되는 필터벨트(121)를 회전시키는 구동풀리(123)와, 구동풀리(123)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24)와, 세척수집수조(110)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로 세척수가 통과되면서 필터벨트(121)를 하부를 받쳐서 처짐을 방지하는 필터받침부(125)와, 필터받침부(125)에서 상부로 들뜨는 필터벨트(121)의 양측을 통해 세척수의 유실됨이 방지되도록 필터벨트(121)의 양측을 필터받침부(125)로 가압하는 필터가압부(126)를 포함한다.
필터벨트(121)는 구동풀리(123) 및 피동풀리(122)들에 감겨져서 세척수집수조(110)를 감싸는 형태로 회전된다. 그리고, 필터벨트(121)는 미세한 크기의 홀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세척수는 투과되면서 김 찌꺼기는 걸러진다. 이러한, 필터벨트(121)는 연속으로 회전되는 상태로 낙하되는 세척수에서 김 찌꺼기를 걸러낸다.
피동풀리(122)들이 세척수집수조(110)에서 외측으로 이격되면서 상하좌우에 배치되므로, 필터벨트(121)가 세척수집수조(110)를 상하좌우로 감싸는 상태로 세척수집수조(110)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회전된다.
구동풀리(123)는 세척수집수조(110)의 외측에 배치된다.
구동부(124)는 구동풀리(123)에 축결합되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124)가 구동풀리(123)를 회전시키면 피동풀리(122)에 걸린 상태로 연결된 필터벨트(121)가 회전되면서 세척수집수조(110)로 낙하되는 세척수에서 김 찌꺼기를 걸러낸다.
필터받침부(125)는 필터벨트(121)를 통과한 세척수가 통과되도록 타공판으로 구성되어 세척수집수조(110)의 상부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필터벨트(121)의 하부를 받쳐서 지지하여 필터벨트(121)가 아래로 쳐지지 않으면서 펼쳐진 상태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유지된다. 이에 의해, 펼쳐진 필터받침부(125)에 의해 김 찌꺼기의 걸러짐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가압부(126)는 필터벨트(121)의 상부에 가압하는 상태로 세척수집수조(1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롤러로 구성되어 필터벨트(121)의 상부를 가압하므로 필터벨트(121)의 외측이 들뜨지 않게 된다. 이에 의해, 필터벨트(121)의 외측을 통해 김 찌꺼기가 걸러지지 않은 세척수의 침투됨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세척수집수조(110)에는 장홀(112)이 형성된다. 장홀(112)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가압부(126)는 세척수집수조(110)의 장홀(112)에 일단이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롤러(126a)와, 롤러(126a)들의 타단에 연결된 상태로 웨이트를 제공하는 웨이트샤프트(126b)를 포함한다.
롤러(126a)의 일단에 형성된 축이 세척수집수조(110)의 장홀(112)에 유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롤러(126a)가 장홀(112)에서 상하로 유동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
웨이트샤프트(126b)에 롤러(126a)들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므로 회전되는 롤러(126a)들이 웨이트샤프트(126b)의 하중에 의해 필터벨트(121)의 양측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의해, 필터벨트(121)의 양측이 들뜨지 않으면서 평탄한 상태가 유지된다.
제거부재(130)는 세척수집수조(110)의 외측에 구비되어 필터벨트(121)를 긁어서 김 찌꺼기를 제거하는 브러쉬(131)와, 브러쉬(131)를 회전시키는 브러쉬구동부(132)와, 브러쉬(131)에 의해 필터벨트(121)에서 탈리되는 김 찌꺼기가 모집되는 모집통(133)을 포함한다.
브러쉬(131)는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제거구동부(132)는 모터로 구성되어 브러쉬(131)에 축결합된다.
모집통(133)은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면서 브러쉬(131)의 하부에 위치되어 브러쉬(131)에 의해 탈리되는 김 찌꺼기가 내부공간으로 모집될 수 있다. 그리고, 모집통(133)에 모여진 김 찌꺼기가 김 찌꺼기 건조장치(200)로 제공되도록 모집통(133)에서 김 찌꺼기 건조장치(200)까지 컨베이어벨트(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거구동부(132)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브러쉬(131)가 필터벨트(121)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어서 필터벨트(121)에 부착된 김 찌꺼기가 탈리되어서 모집통(133)에 모집된다.
여기서, 브러쉬구동부(132)가 브러쉬(131)를 필터벨트(121)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김 찌꺼기가 용이하게 탈리될 수 있다. 또한, 브러쉬구동부(132)가 브러쉬(131)를 필터벨트(121)의 회전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면 김 찌꺼기가 더욱 용이하게 탈리될 수 있다.
그리고,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는 세척수집수조(110)에서 세척수가 월류됨을 방지하는 월류방지부(140)를 포함한다.
월류방지부(140)는 세척수집수조(110)에서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판(141)과, 지지판(141)에 지지되면서 회전되는 필터벨트(121)에 밀착되도록 세척수집수조(1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월류방지롤러(142)를 포함한다.
지지판(141)들은 후술되는 필터받침부(125)의 전후에 위치되면서 세척수집수조(110)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평판으로 구성된다. 이때, 지지판(141)들이 세척수가 유실되지 못하도록 세척수집수조(110)의 상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지지판(141)들은 세척수집수조(110)의 내부를 향해 약2~5도 각도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어서, 세척수를 세척수집수조(110)의 내부공간으로 안내할 수 있다.
월류방지롤러(142)들은 지지판(141)들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세척수집수조(110)에 공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월류방지롤러(142)의 높이에 의해 세척수가 월류하지 못한다.
또한,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는 필터벨트(121)를 압착하여서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필터압착부(150)를 포함한다.
필터압착부(150)는 필터벨트(121)의 상부를 가압하는 상부롤러(151)와, 상부롤러(151)에 필터벨트(121)가 압착되도록 필터벨트(121)의 하부 양측을 가압하는 복수의 하부롤러(152)를 포함한다.
따라서, 필터벨트(121)가 상부롤러(151) 및 하부롤러(152)들의 사이를 강제로 통과하면서 상부롤러(151)의 하부 및 하부롤러(152)들의 상부에 압착되므로 압착되는 필터벨트(121)에서 세척수가 배출된다.
이에 의해, 필터벨트(121)에 필터링되어서 남겨진 김 찌꺼기에는 세척수가 최소화로 남겨지므로 세척수가 최소화된 상태의 김 찌꺼기가 제거부재(130)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김 찌꺼기 건조장치(2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건조케이스(210)와, 건조케이스(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에서 필터링된 김 찌꺼기를 건조케이스(2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입호퍼(220)와, 건조케이스(210)의 내부공간에 다단으로 구비되어 유입호퍼(220)를 통해 유입되는 김 찌꺼기가 올려지고, 김 찌꺼기가 통과되는 통과홀(231)이 형성되는 건조판(230)과, 건조판(230)들을 관통하면서 건조케이스(2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관류되는 공기통로(241)가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축(240)과, 회전축(24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재(250)와, 회전축(24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260)와, 회전축(240)에 다단으로 연통되게 고정되어 건조판(230)의 김 찌꺼기가 건조되도록, 회전축(240)과 함께 회전되면서 공기통로(241)에서 관류되는 공기를 건조판(230)들에 분사하는 공기분사부재(270)와, 회전축(240)에 다단으로 고정되어 회전축(240)과 함께 회전되면서 건조판(230)의 김 찌꺼기를 통과홀(231)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280)와, 건조케이스(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건조판(230)을 통과한 건조된 김 찌꺼기를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290)를 포함한다.
건조케이스(210)는 원통형태로 형성된다.
유입호퍼(220)는 건조케이스(210)의 상부에서 외측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즉, 유입호퍼(220)를 통해 유입되는 김 찌꺼기는 건조케이스(210)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건조판(230)에 안착된다.
건조판(230)은 원판형태로 형성되고, 김 찌꺼기에 열을 가하기 위한 히터가 바닥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다단으로 구비되는 건조판(230)들 중 홀수 번째 건조판(230)들에는 통과홀(231)이 중앙에 근접되게 형성되고, 짝수 번째 건조판(230)들에는 통과홀(231)이 외측에 근접되게 형성된다.
회전축(240)은 내부가 중공되는 파이프로 구성되면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재(250)는 회전축(240)의 단부가 지지되어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베어링(251)과, 회전베어링(251)을 커버하는 상태로 건조케이스(210)에 고정되는 베어링케이스(252)와, 베어링케이스(252)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회전축(240)에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안내관(253)과, 공기안내관(253)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팬(254)을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축(240)이 회전베어링(251)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되는 상태에서 공기공급팬(254)의 작동에 의해 공기가 공기안내관(253)을 통해 안내되어서 회전축(240)으로 공급된다. 즉, 회전축(240)은 공급되는 공기를 공기분사부재(270)로 제공한다.
그리고, 공기공급부재(250)는 공기안내관(253)을 통해 관류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255)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안내관(253)을 통해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면 김 찌꺼기가 빠르게 건조될 수 있다.
회전부재(260)는 회전축(240)에 연결되는 수동기어(261)와, 수동기어(261)에 대응되는 구동기어(262)와, 구동기어(262) 및 수동기어(261)에 감겨지는 체인(263)과, 구동기어(262)를 회전시키는 모터(264)를 포함한다. 또한, 회전부재(260)는 회전축(240)에 직접 연결되는 모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공기분사부재(270)는 회전축(240)에 연결되는 공기가 관류되는 공기파이프(271)와, 공기파이프(271)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공기가 분사되는 공기노즐(272)을 포함한다. 따라서, 공기파이프(271)에서 관류되는 공기가 공기노즐(272)들을 통해 분사되므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건조판(230)의 김 찌꺼기가 건조될 수 있다.
이동부재(280)는 회전축(240)에 연결되는 이동샤프트(281)와, 이동샤프트(281)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건조판(230)에 안착된 김 찌꺼기를 이동시키는 다수의 스크리퍼(282)를 포함한다.
이동샤프트(281)는 샤프트형태로 구성되고, 스크리퍼(282)들은 판형태로 형성되어 이동샤프트(28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샤프트(281)가 회전되면 스크리퍼(282)들이 김 찌꺼기를 약간씩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리퍼(282)는 이동샤프트(281)의 길이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샤프트(281)가 회전축(240)과 함께 1회전되면 스크리퍼(282)가 김 찌꺼기를 긁어서 스크리퍼(282)의 폭만큼 이동시킨다. 즉, 이동샤프트(281)가 회전될 때마다 김 찌꺼기가 스크리퍼(282)의 폭만큼씩 이동되어서 통과홀(231)까지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다단으로 구비되는 이동부재(280)들 중 홀수 번째 이동부재(280)의 스크리퍼(282)들은 이동샤프트(28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대략 45도 각도로 형성되어 홀수 번째 건조판(230)의 통과홀(231)로 김 찌꺼기를 이동시킬 수 있고, 짝수 번째 이동부재(280)의 스크리퍼(282)들은 홀수 번째 스크리퍼(282)들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짝수 번째 건조판(230)의 통과홀(231)로 김 찌꺼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동샤프트(281)들이 회전축(240)과 함께 회전되면, 홀수 번째 이동샤프트(281)의 스크리퍼(282)들에 의해 김 찌꺼기가 홀수 번째 건조판(230)의 중앙으로 이동되어 중앙에 형성된 통과홀(231)을 통해 관통될 수 있고, 짝수 번째 이동샤프트(281)의 스크리퍼(282)들에 의해 김 찌꺼기가 짝수 번째 건조판(230)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외측에 형성된 통과홀(231)을 통해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이동샤프트(281)의 일측에는 장홀(283)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부재(280)는 이동샤프트(281)를 회전축(240)에 연결시키는 연결부(284)를 포함한다.
연결부(284)는 회전축(240)에 고정되고 바닥에 나사탭이 형성되는 바닥부(285)와, 이동샤프트(281)의 장홀(283)을 관통하면서 바닥부(285)의 나사탭에 결합되는 볼트부(286)와, 바닥부(285)의 양측에서 기립된 상태로 이동샤프트(281)의 상하이동은 허용하면서 이동샤프트(281)의 좌우이동은 구속하는 양측벽(287)을 포함한다.
바닥부(285)의 양측에 양측벽(287)이 기립되므로 전체적인 형상이 'U'형태를 이루게 된다.
볼트부(286)는 나사축의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나사축의 상부에 헤드가 형성된다. 나사축은 이동샤프트(281)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볼트부(286)의 나사축이 이동샤프트(281)의 장홀(283)을 관통하면서 바닥부(285)의 나사탭에 결합되면 이동부재(280)의 이동샤프트(281)가 볼트부(286)의 나사축에서 상하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샤프트(281)가 볼트부(286)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로 유동될 수 있어서, 건조판(230)에 스크리퍼(282)들이 정확하게 밀착될 수 있으므로, 스크리퍼(282)가 김 찌꺼기를 정확하게 긁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부(290)는 건조케이스(2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최하부에 위치하는 마지막 건조판(230)의 통과홀(231)을 통해 낙하되는 김 찌꺼기가 모여지는 모집케이스(291)와, 모집케이스(291)의 내부공간에 모여지는 김 찌꺼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292)와, 이송스크류(292)를 회전시키는 스크류구동부(293)를 포함한다.
이송케이스(291)는 원통이나 반원통형태로 형성되면서 내부공간이 상부 및 타단으로 개방되고 일단이 마지막 건조판(230)의 하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스크류구동부(293)의 작동에 의해 이송스크류(292)가 회전되면 모집케이스(291)에 모여진 김 찌꺼기가 이송되어서 모집케이스(291)의 타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된 김 찌꺼기는 자원으로 재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건조판(230)은 중앙부분이 상부로 돌출되는 삿갓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삿갓형태의 건조판(230)에 젖은 김 찌꺼기가 안착되면 김 찌꺼기에서 세척수가 배출되어 건조판(230)의 외측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러한, 삿갓형태의 건조판(230)은 김 찌꺼기가 유입되는 유입호퍼(220)에 근접되도록 건조케이스(210)에서 최상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김 찌꺼기 건조장치(200)는 건조판(230)에서 흘러내리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세척수 배출부(201)를 포함한다.
세척수 배출부(201)는 건조판(230)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는 배출판(202)과, 배출판(202)의 둘레를 따라 기립되는 외벽(203)과, 외벽(203)에 관통되게 연결되어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관(204)을 포함한다.
서로 연결되는 배출판(202) 및 외벽(203)의 단면은 'L'형태를 이루어서 흘러내리는 세척수가 넘치지 않으면서 배출관(204)을 통해 관류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판(230)에서 흘러내리는 세척수가 세척수 배출부(201)에 모여지면서 배출관(20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서 장치(1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많은 양의 세척수가 제거된 김 찌꺼기가 하부에 위치하는 건조판(230)들에 순차적으로 제공되므로 건조되는 시간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음이온 생성장치(300)는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310)과, 분사노즐(31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충돌되어서 부서지면서 음이온이 생성되게 하는 음이온망체(320)와, 음이온망체(320)에 의해 부서져서 음이온이 생성된 세척수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30)와, 이탈방지부(33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세척수가 모여지는 세척수탱크(340)와, 세척수탱크(340)에 모여지는 세척수에서 음이온이 생성되도록 세척수탱크(340)로 낙하되는 세척수에 공기를 분사하여 충돌시키는 공기분사부(350)를 포함한다.
분사노즐(310)에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파이프(311)가 연결되고,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파이프(312)가 연결된다. 따라서, 세척수파이프(311)를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면서 공기파이프(312)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면 분사노즐(310)에서 세척수가 강하게 분사된다.
이러한, 분사노즐(310)는 세척수탱크(340)에 고정되면서 상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
음이온망체(320)는 반구형태로 형성되는 망(321)과, 망(321)을 통과하는 세척수가 흘러내리도록 망(321)의 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322)과, 경사판(32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탈방지부(330)에 지지되는 복수의 지지턱(323)을 포함한다.
망(321)에 세척수가 충돌되면서 부서지는 과정에서 음이온이 생성된다.
경사판(322)은 음이온이 생성된 세척수를 외측으로 안내하여 분사노즐(31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와 접촉됨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턱(323)들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이탈방지부(330)에 볼트로 고정되므로 지지턱(323)들의 사이를 통해 음이온이 생성된 세척수가 통과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가 망(32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부서지면서 음이온이 생성된 후에 경사판(322)을 따라 흘러서 지지턱(323)들의 사이를 통해 낙하되어서 세척수탱크(340)에 모여지게 된다.
이탈방지부(330)는 반구형태로 형성되어 음이온망체(320)를 커버하는 상태로 세척수탱크(340)의 상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음이온망체(320)를 통과한 세척수가 이탈방지부(330)에 의해 안내되어서 세척수탱크(340)로 모여지게 된다.
세척수탱크(340)는 세척수가 모여지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면서 이탈방지부(330)가 상부에 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수탱크(340)에는 내주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세척수를 내측으로 안내하는 내측안내판(341)이 형성된다. 즉, 안내판(341)에 의해 세척수가 내부공간으로 낙하된다.
공기분사부(350)는 세척수탱크(340)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공기가 관류되는 공기파이프(351)와, 공기파이프(351)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노즐(352)과, 공기파이프(351)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콤프레셔(353)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탈방지부(330)에서 낙하되거나 세척수탱크(340)의 내측안내판(341)에 의해 내부공간으로 낙하되는 세척수에 공기분사부(350)의 공기노즐(352)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충돌되면 음이온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음이온이 포함된 세척수는 김을 세척하기 위해 재사용될 수 있어서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김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김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된 세척수에서 김 찌꺼기를 필터링하여 깨끗한 상태로 재활용하거나 해양에 배출시킬 있어서 깨끗해진 세척수 및 건조된 김 찌꺼기를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김 찌꺼기 필터장치 110 : 세척수집수조
111 : 배수관 112 : 장홀
120 : 세척수필터부재 121 : 필터벨트
122 : 피동풀리 123 : 구동풀리
124 : 구동부 125 : 필터받침부
126 : 필터가압부 126a : 롤러
126b : 웨이트샤프트 130 : 제거부재
131 : 브러쉬 132 : 브러쉬구동부
133 : 모집통 140 : 월류방지부
141 : 지지판 142 : 월류방지롤러
150 : 필터압착부 151 : 상부롤러
152 : 하부롤러
200 : 김 찌꺼기 건조장치 210 : 건조케이스
220 : 유입호퍼 230 : 건조판
231 : 통과홀 240 : 회전축
241 : 공기통로 250 : 공기공급부재
251 : 회전베어링 252 : 베어링케이스
253 : 공기안내관 254 : 공기공급팬
260 : 회전부재 261 : 수동기어
262 : 구동기어 263 : 체인
264 : 모터 270 : 공기분사부재
271 : 공기파이프 272 : 공기노즐
280 : 이동부재 281 : 이동샤프트
282 : 스크리퍼 283 : 장홀
284 : 연결부 285 : 바닥부
286 : 볼트부 287 : 양측벽
290 : 이송부 291 : 모집케이스
292 : 이송스크류 293 : 스크류구동부
201 : 배출부 202 : 배출판
203 : 외벽 204 : 배출관
300 : 음이온 생성장치 310 : 분사노즐
311 : 세척수파이프 312 : 공기파이프
320 : 음이온망체 321 : 망
322 : 경사판 323 : 지지턱
330 : 이탈방지부 340 : 세척수탱크
341 : 내측안내판 350 : 공기분사부
351 : 공기파이프 352 : 공기노즐
353 : 에어콤프레셔

Claims (12)

  1. 김이 세척된 세척수에서 김 찌꺼기를 필터링하는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와,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에서 필터링된 김 찌꺼기를 건조하는 김 찌꺼기 건조장치(200)와,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에서 김 찌꺼기가 제거된 세척수에 음이온을 생성시키는 음이온 생성장치(300)를 포함하고,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는
    김이 세척된 세척수가 수용되는 세척수집수조(110)와,
    세척수집수조(110)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필터링하여 김 찌꺼기를 걸러내는 세척수필터부재(120)와,
    세척수필터부재(120)에 의해 걸러진 김 찌꺼기를 제거하는 제거부재(130)를 포함하고,
    세척수필터부재(120)는
    세척수집수조(110)를 상부에서 하부로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세척수에서 김 찌꺼기를 걸러내는 필터벨트(121)와,
    세척수집수조(110)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로 권취되는 필터벨트(121)가 세척수집수조(110)에 간섭되지 않게 하면서 회전을 지지하는 피동풀리(122)와,
    권취되는 필터벨트(121)를 회전시키는 구동풀리(123)와,
    구동풀리(123)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24)와,
    세척수집수조(110)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로 세척수가 통과되면서 필터벨트(121)를 하부를 받쳐서 처짐을 방지하는 필터받침부(125)와,
    필터받침부(125)에서 상부로 들뜨는 필터벨트(121)의 양측을 통해 세척수의 유실됨이 방지되도록 필터벨트(121)의 양측을 필터받침부(125)로 가압하 는 필터가압부(126)를 포함하고,
    세척수집수조(110)에는 장홀(112)이 형성되고,
    필터가압부(126)는
    세척수집수조(110)의 장홀(112)에 일단이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롤러(126a)와,
    롤러(126a)들의 타단에 연결된 상태로 웨이트를 제공하는 웨이트샤프트(126b)를 포함하고,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는 세척수집수조(110)에서 세척수가 월류됨을 방지하는 월류방지부(140)를 포함하고,
    월류방지부(140)는
    세척수집수조(110)에서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판(141)과,
    지지판(141)에 지지되면서 회전되는 필터벨트(121)에 밀착되도록 세척수집수조(1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월류방지롤러(142)를 포함하고,
    지지판(141)들이 세척수가 유실되지 못하도록 세척수집수조(110)의 상부에 연결되고,
    월류방지롤러(142)들은 지지판(141)들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세척수집수조(110)에 공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는 필터벨트(121)를 압착하여서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필터압착부(150)를 포함하고,
    필터압착부(150)는
    필터벨트(121)의 상부를 가압하는 상부롤러(151)와,
    상부롤러(151)에 필터벨트(121)가 압착되도록 필터벨트(121)의 하부 양측을 가압하는 복수의 하부롤러(152)를 포함하고,
    김 찌꺼기 건조장치(2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건조케이스(210)와,
    건조케이스(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에서 필터링된 김 찌꺼기를 건조케이스(2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입호퍼(220)와,
    건조케이스(210)의 내부공간에 다단으로 구비되어 유입호퍼(220)를 통해 유입되는 김 찌꺼기가 올려지고, 김 찌꺼기가 통과되는 통과홀(231)이 형성되는 건조판(230)과,
    건조판(230)들을 관통하면서 건조케이스(2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관류되는 공기통로(241)가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축(240)과,
    회전축(24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재(250)와,
    회전축(24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260)와,
    회전축(240)에 다단으로 연통되게 고정되어 건조판(230)의 김 찌꺼기가 건조되도록, 회전축(240)과 함께 회전되면서 공기통로(241)에서 관류되는 공기를 건조판(230)들에 분사하는 공기분사부재(270)와,
    회전축(240)에 다단으로 고정되어 회전축(240)과 함께 회전되면서 건조판(230)의 김 찌꺼기를 통과홀(231)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280)와,
    건조케이스(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건조판(230)을 통과한 건조된 김 찌꺼기를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290)를 포함하고,
    공기공급부재(250)는
    회전축(240)의 단부가 지지되어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베어링(251)과,
    회전베어링(251)을 커버하는 상태로 건조케이스(210)에 고정되는 베어링케이스(252)와,
    베어링케이스(252)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회전축(240)에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안내관(253)과,
    공기안내관(253)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팬(254)을 포함하고,
    홀수 번째 건조판(230)들에는 통과홀(231)이 중앙에 근접되게 형성되고,
    짝수 번째 건조판(230)들에는 통과홀(231)이 외측에 근접되게 형성되며,
    이동부재(280)는
    회전축(240)에 연결되는 이동샤프트(281)와,
    이동샤프트(281)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건조판(230)에 안착된 김 찌꺼기를 긁어서 이동시키는 다수의 스크리퍼(282)를 포함하고,
    홀수 번째 이동부재(280)의 스크리퍼(282)들은 이동샤프트(28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정각도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홀수 번째 건조판(230)의 통과홀(231)로 김 찌꺼기를 이동시킬 수 있고,
    짝수 번째 이동부재(280)의 스크리퍼(282)들은 홀수 번째 스크리퍼(282)들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짝수 번째 건조판(230)의 통과홀(231)로 김 찌꺼기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샤프트(281)의 일측에는 장홀(283)이 형성되고,
    이동부재(280)는 이동샤프트(281)를 회전축(240)에 연결시키는 연결부(284)를 포함하며,
    연결부(284)는
    회전축(240)에 고정되고 바닥에 나사탭이 형성되는 바닥부(285)와,
    이동샤프트(281)의 장홀(283)을 관통하면서 바닥부(285)의 나사탭에 결합되는 볼트부(286)와,
    바닥부(285)의 양측에서 기립된 상태로 이동샤프트(281)의 상하이동은 허용하면서 이동샤프트(281)의 좌우이동은 구속하는 양측벽(287)을 포함하고,
    건조판(230)은 중앙부분이 상부로 돌출되는 삿갓형태로 형성되고,
    김 찌꺼기 건조장치(200)는 건조판(230)에서 흘러내리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세척수 배출부(201)를 포함하며,
    세척수 배출부(201)는
    건조판(230)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는 배출판(202)과,
    배출판(202)의 둘레를 따라 기립되는 외벽(203)과,
    외벽(203)에 관통되게 연결되어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관(204)을 포함하고,
    음이온 생성장치(300)는
    김 찌꺼기 필터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310)과,
    분사노즐(31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충돌되어서 부서지면서 음이온이 생성되게 하는 음이온망체(320)와,
    음이온망체(320)에 의해 부서져서 음이온이 생성된 세척수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30)와,
    이탈방지부(33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세척수가 모여지는 세척수탱크(340)와,
    세척수탱크(340)에 모여지는 세척수에서 음이온이 생성되도록 세척수탱크(340)로 낙하되는 세척수에 공기를 분사하여 충돌시키는 공기분사부(350)를 포함하고,
    음이온망체(320)는
    반구형태로 형성되는 망(321)과,
    망(321)을 통과하는 세척수가 흘러내리도록 망(321)의 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322)과,
    경사판(32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탈방지부(330)에 지지되는 복수의 지지턱(3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찌꺼기 처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080533A 2019-07-04 2019-07-04 김 찌꺼기 처리 시스템 KR102285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533A KR102285305B1 (ko) 2019-07-04 2019-07-04 김 찌꺼기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533A KR102285305B1 (ko) 2019-07-04 2019-07-04 김 찌꺼기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303A KR20210004303A (ko) 2021-01-13
KR102285305B1 true KR102285305B1 (ko) 2021-08-03

Family

ID=74142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533A KR102285305B1 (ko) 2019-07-04 2019-07-04 김 찌꺼기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3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4179B (zh) * 2021-05-10 2023-08-22 广东微控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防止叶片间水分残留的消毒剂用柠檬叶预处理装置
CN114941933B (zh) * 2022-06-21 2023-06-27 九江市贯垄农产品有限公司 一种黑芝麻杂质筛选烘干设备
CN115447020B (zh) * 2022-09-05 2023-06-09 众成智造科技(广东)有限公司 一种废旧塑料回收利用清洗装置
CN115475796B (zh) * 2022-09-16 2023-10-20 江苏达成生物科技有限公司 十三碳二元酸生产用洗涤、干燥一体设备
CN115540526B (zh) * 2022-09-27 2023-11-21 意朗智能科技(南通)有限公司 一种环保节能式的智能化无动力干燥设备
CN117046877B (zh) * 2023-10-13 2024-01-26 晖崟新能源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尾菜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CN117206973B (zh) * 2023-11-07 2024-02-23 泰州双华数控机床有限公司 一种水冷式切割机床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4158A (ja) * 2012-12-27 2014-07-07 Kawasaki Heavy Ind Ltd 糖化スラリーからの糖回収方法及び残渣を洗浄する洗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3391A (ko) * 2008-12-23 2010-07-01 이종춘 유기성 폐기물 슬러지의 발효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시스템
KR20090060972A (ko) * 2009-05-04 2009-06-15 황용안 알칼리전해수를 활용한 해태건조기의 발장세정장치
KR101874894B1 (ko) * 2016-08-12 2018-07-05 (주)지크하이테크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4158A (ja) * 2012-12-27 2014-07-07 Kawasaki Heavy Ind Ltd 糖化スラリーからの糖回収方法及び残渣を洗浄する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303A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5305B1 (ko) 김 찌꺼기 처리 시스템
US2652588A (en) Apparatus for recovering oysters
CN106820201A (zh) 一种自清理马铃薯清洗装置
CN210782846U (zh) 一种蔬菜清洗装置
CN109530327A (zh) 一种滚筒式超声波清洗机
CN217094658U (zh) 一种具有清洗功能的钢丝加工用烘干装置
CN207969622U (zh) 一种基于蒸煮泡于一体的食品加工设备
CN112958595B (zh) 含油泥杂物的热洗方法及设备
CN210960321U (zh) 一种百合鳞片清洗设备
CN209476830U (zh) 一种滚筒式超声波清洗机
CN216857505U (zh) 一种攻牙机的清洁装置
CN208850617U (zh) 一种土豆脱皮机构及脱皮机
CN214767507U (zh) 一种中药药材清洗装置
CN214516334U (zh) 茶叶水洗生产线
CN110698348B (zh) 一种6-氯-2,4-二硝基苯胺制备方法
CN211268561U (zh) 一种具有风干功能的清洗机
CN213624752U (zh) 一种工作服生产用布料清洗装置
JP3579833B2 (ja) 海藻類の加工方法とその装置
CN220202195U (zh) 一种面料水洗机
CN219373726U (zh) 一种板栗加工用板栗清洗装置
CN209643802U (zh) 一种速冻豆类生产线用二级深度清洗装置
KR102442884B1 (ko) 리사이클을 통한 세척수 공급 및 슬러지 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벨트프레스 탈수기
CN213259695U (zh) 一种可移动的多功能农产品加工设备
CN214294616U (zh) 一种带式水果榨汁机
CN206752111U (zh) 坯布毛絮自动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