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337B1 - 할랄 가축용 사료 - Google Patents
할랄 가축용 사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4337B1 KR101874337B1 KR1020170052793A KR20170052793A KR101874337B1 KR 101874337 B1 KR101874337 B1 KR 101874337B1 KR 1020170052793 A KR1020170052793 A KR 1020170052793A KR 20170052793 A KR20170052793 A KR 20170052793A KR 101874337 B1 KR101874337 B1 KR 1018743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tioxidant
- herb
- radix
- powder
- livestock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4—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e.g. magnesi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MO를 포함하지 않는 가축용 사료에 관한 것으로서, 조팝나무; 굴 패각, 해조류, 어류부산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아미노산 분말; GMO가 아닌 옥수수 분말; GMO가 아닌 콩 분말; 건강식물분말;의 혼합으로 조성됨으로써 가축의 체중증가, 구제역 등의 질병에 대한 면역력 강화의 효과를 갖는 가축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GMO를 포함하지 않는 가축용 사료에 관한 것으로서, 조팝나무; 굴 패각, 해조류, 어류부산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아미노산 분말; GMO가 아닌 옥수수 분말; GMO가 아닌 콩 분말; 건강식물분말;의 혼합으로 조성됨으로써 가축의 체중증가, 구제역 등의 질병에 대한 면역력 강화의 효과를 갖는 가축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세계 3대 종교중 하나이며, 세계 총 종교인의 2위를 차지하고 있는 이슬람교에서 ‘할랄’은 이슬람을 믿는 무슬림들의 원천적인 삶의 방식으로 혹은 라이프스타일로써 음식, 여가, 서비스, 개인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할랄시장'에서도 사용이 가축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73519호(등록일자 2006.04.18)의 '대나무액죽초액 배양 미생물제, 이를 함유하는 가축용사료';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52942호(등록일자 2010.04.07)의 '숯과 패각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33397호(공개일자 2005.04.12)의 '잠분을 이용한 단위 가축용 배합사료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개시된 사료와 비교하여, 건강 식물성 재료 위주로 사료를 제조함으로써 안전하면서도 가축의 체중 증가와 병원균에 대한 면역력 강화를 이뤄 고품질의 가축사료를 제공하고자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할랄시장에서도 판매가능하도록 건강 식물성 재료 위주로 사료를 제조하면서 아미노산, 칼슘 등의 성분을 풍부하게 포함하며, 또한 전염병에 대한 내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성분을 조성함으로써, 고품질의 안전한 사료를 제공하고, 구제역 등의 질병에 큰 내성을 갖도록 하는 가축용사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팝나무(a) 10~30wt%;
바이오 미네랄(b) 0.5~10wt%;
아미노산 분말(c) 5~10wt%;
옥수수 분말(d) 30~50wt%;
콩 분말(e) 30~50wt%;
작약(Paeoniae radix), 더덕, 도라지, 두충,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Astragali radix), 쑥(Artemisia capillaties),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천궁(Cnidium rhizome), 하수오(Polygoni multiflori radix), 황련(Coptis chinensis), 연교(Forsythia suspensa Vahl), 감초(Glycyrrhiza uralensis),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마늘(Garlic, Allium scorodorpasum L.), 갈근(Pueraria thunbergiana;Puerariae radix), 대추(Zizyphus jujuba;Zizyphi fructus), 만삼(Codonopsis pilosula;Bastarg ginseng), 해동피(Kalpanx pictus Nakai;Kalopanacis cortex), 백출(Atractylodes japonica;Atractylodis rhizoma alba) 및 복령(Poria cocos;Hoelen)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건강약초(f) 0.5~5wt%;
취나물, 꿩의다리, 윤판나물, 당개지치, 벌깨덩굴, 나비나물, 곤대서리, 병풍취, 참당귀, 우산나물, 단풍취, 귀리, 쥐오줌풀, 애기참반디, 참나물, 홀아비꽃대, 돌나물, 냉이, 떡쑥, 엄나무, 기린초, 망초, 소리쟁이, 둥굴레나물, 민들레, 도라지싹, 더덕, 씀바귀, 두리풀, 애기나리, 묵나물, 질경이, 보리뱅이, 시금치나물, 방아나물, 다닥개갓냉이, 고들빼기, 병아리고비, 깨나물, 고추나물, 미역취, 콩제비꽃, 양지꽃, 잔대, 망제비꽃, 짚신나물, 조개나물, 가락지나물, 청미래덩쿨, 까치수영, 층층이둥굴레, 개갓냉이, 궁궁이, 메꽃, 갈퀴나물, 고비나물, 좁쌀풀 나물, 멸구나물, 꼬리솔나물, 청가시나물, 쑥부쟁이, 구기자순, 산머루, 곰취, 각시취, 고사리, 고추대나물, 단풍취, 모시대, 미나리취, 바위취, 방풍나물, 누리대, 삿갓나물, 원추리, 지장보살, 엉겅퀴 또는 명아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건강식물초(g) 1~10wt%;의 혼합(a+b+c+d+e+f+g)으로 조성된 가축용 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는 유전자변형생물체(Genetically Modifed Organisms:이하 'GMO')가 아닌 옥수수, 콩을 사용하고, 동물성이 아닌 건강 식물성 재료 위주로 제조함으로써 안전한 사료를 제공한다.
그리고 가축의 체중 증가와 병원균에 대한 면역력 강화를 이뤄 고품질의 가축을 안정적으로 키울 수 있는 사료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는,
조팝나무(a) 10~30wt%;
바이오 미네랄(b) 0.5~10wt%;
아미노산 분말(c) 5~10wt%;
옥수수 분말(d) 30~50wt%;
콩 분말(e) 30~50wt%;
작약(Paeoniae radix), 더덕, 도라지, 두충,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Astragali radix), 쑥(Artemisia capillaties),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천궁(Cnidium rhizome), 하수오(Polygoni multiflori radix), 황련(Coptis chinensis), 연교(Forsythia suspensa Vahl), 감초(Glycyrrhiza uralensis),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마늘(Garlic, Allium scorodorpasum L.), 갈근(Pueraria thunbergiana;Puerariae radix), 대추(Zizyphus jujuba;Zizyphi fructus), 만삼(Codonopsis pilosula;Bastarg ginseng), 해동피(Kalpanx pictus Nakai;Kalopanacis cortex), 백출(Atractylodes japonica;Atractylodis rhizoma alba) 및 복령(Poria cocos;Hoelen)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건강약초(f) 0.5~5wt%;
취나물, 꿩의다리, 윤판나물, 당개지치, 벌깨덩굴, 나비나물, 곤대서리, 병풍취, 참당귀, 우산나물, 단풍취, 귀리, 쥐오줌풀, 애기참반디, 참나물, 홀아비꽃대, 돌나물, 냉이, 떡쑥, 엄나무, 기린초, 망초, 소리쟁이, 둥굴레나물, 민들레, 도라지싹, 더덕, 씀바귀, 두리풀, 애기나리, 묵나물, 질경이, 보리뱅이, 시금치나물, 방아나물, 다닥개갓냉이, 고들빼기, 병아리고비, 깨나물, 고추나물, 미역취, 콩제비꽃, 양지꽃, 잔대, 망제비꽃, 짚신나물, 조개나물, 가락지나물, 청미래덩쿨, 까치수영, 층층이둥굴레, 개갓냉이, 궁궁이, 메꽃, 갈퀴나물, 고비나물, 좁쌀풀 나물, 멸구나물, 꼬리솔나물, 청가시나물, 쑥부쟁이, 구기자순, 산머루, 곰취, 각시취, 고사리, 고추대나물, 단풍취, 모시대, 미나리취, 바위취, 방풍나물, 누리대, 삿갓나물, 원추리, 지장보살, 엉겅퀴 또는 명아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건강식물초(g) 1~10wt%;의 혼합(a+b+c+d+e+f+g)으로 조성된다.
이하, 상기의 기술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조팝나무(Spiraea prunifolia)는 함경북도를 제외한 한국 전역 및 일본, 중국 등의 동북아시아에 분포하는 장미과 식물로서 꽃의 모양이 튀긴 좁쌀을 붙인 것 같다하여 조팝나무라고 한다.
관상용뿐만 아니라 어린순은 식용으로 사용하고 뿌리는 감기로 인한 열, 신경통, 학질 등에 민간적으로 사용되었다. 조팝나무의 추출물은 학술적으로 뛰어난 항산화 및 항염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조팝나무(spiraea prunifolia var. simpliflora)속에 속하는 식물은 다양한 알칼로이드류(예; spiradines, spiramines 및 spirasines), 벤즈알데히드, 플라보노이드(예: spiracine), 터펜류 및 아글리콘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팝나무 뿌리는 목상산(木常山) 또는 Spiraea Radix 이라하여 학질, 신경통, 인후종통, 대하 및 설사 등에 처방되었다. 조팝나무의 성분은 triterpenoid 의 aliphatic hydroxy 화합물이 보고되어 있고 묘목에서 prunasin 을 분리했으며, campesterol 및 β-sito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조팝나무는 둥근잎조팝나무(Spira eabetulifolia Pall.), 산조팝나무(S. blumei G.Don), 인가목조팝나무(S.chamaedryfolia L.), 떡조팝나무(S. chartacea Nakai), 당조팝나무(S. chinensis Maxim.), 참조팝나무(S. fritschiana Schneider), 좀조팝나무(S. microgyna Nakai), 덤불조팝나무(S. miyabei Koidzumi), 긴잎산조팝나무(S. pseudocrenata Nakai), 꼬리조팝나무(S. salicifolia L.), 갈기조팝나무(S. trichocarpa Nakai.)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산조팝나무 잎 800g을 그늘에서 건조한 후, 80% MeOH(20L)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필터하고 여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물이 포함된 MeOH 추출물 10L을 수득한다. 상기 추출물을 동결건조 후 분말화 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조팝나무는 사료에 첨가하여 항산화 및 항염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10wt% 미만인 경우에는 이와 같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3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으로 사용하게 되어 비효율적이므로, 상기 조팝나무(a)의 사용량은 가축용 사료의 전체 중량에 대해 10~3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오 미네랄은 칼슘 35~45wt%, 마그네슘 5~10wt%, 나트륨 0.5~5wt%, 칼륨 45~55wt%, 철 0.001~0.007wt%, 아연 0.01~0.05wt%, 황산이온 1.5~3.5wt%, 요오드 0.5~1.5wt%, 염소이온 0.05~0.3wt%의 성분 조성되어 돼지 및 산란계의 생산성 향상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바이오 미네랄의 사용량이 0.5wt% 미만인 경우에는 돼지 및 산란계의 생산성 향상에 좋은 영향을 기대하기 어렵고, 1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으로 사용하게 되어 비효율적이므로, 상기 바이오 미네랄(b)의 사용량은 0.5~1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미노산 분말(c)은 굴패각 20~50wt%, 해조류 20~50wt%, 어류부산물 20~5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굴 패각은 굴양식으로 발생하는 부산물로서 굴 껍질을 말하며 패각이 차지하는 중량비율은 약 90% 이다. 굴 패각의 크기와 모양이 다른 것은 패각의 발달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양식지의 환경조건 즉, 해수의 온도, 탄산칼슘이 과포화도, 파도의 세기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굴 패각은 대부분 탄산칼슘(CaCO3)이며, MgCO3와 CaSO4가 소량 포함되어 있다. 굴 패각은 방해석(calcite) 구조이며 열처리한 경우에는 구조적 차이는 없으나 CO2가 빠져나가 CaO상태로 남는다. 굴 패각의 주성분은 칼슘(Ca)으로 약 37% 정도로 CaCO3로 환산하면 약 94%이다. 이외에도 나트륨(Na)과 마그네슘(Mg)성분을 소량 포함하고 있다.
해조류는 전 세계적으로 약 8,000종이 알려져 있는데, 그중에서 식용해조는 50여종이 있다. 해조류에는 각종미네랄 K, Ca, Mg, Fe, P, I, Zn와 각종 비타민A, B1, B2, B6, B12, 나이아신, pantothenic acid, 비타민C, 비타민E, 식이섬유인 알긴산, 칼륨이온이 많이 들어 있어, 우수한 알칼리성 건강식품이다. 녹조류에는 파래, 청각, 청태가 있는데, 3대 영양소 중에서 탄소화물과 단백질이 매우 풍부하여 체구성 물질로서 뿐만 아니라 열량 면에서도 우수한 식품이다. 파래에는 비타민A가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비타민 B1,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칼슘과 철분이 많이 들어 있다.
갈조류에는 톳, 미역, 다시마, 모자반이 있으며 이들은 비타민A는 물론이고 다른 종류의 비타민도 적지 않게 함유되어 있으며 무기염류로는 칼슘과 칼륨이 많이 들어 있으며 철분도 상당량 들어 있다. 광합성산물로는 녹말의 형태로 저장하지 않고, laminarin, 또는 만니톨의 형태로 저장한다.
어류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에는 비가식 부위인 내장, 뼈, 어피 등이 있다. 이때 뼈는 소화하기 어려운 인(P)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내장에는 내인성 효소로 인한 단백질 분해 및 변성이 일어나 쉽게 부패할 수 있다. 그러나 어류의 약 5~10%를 차지하는 어피는 건중량당 90%에 달하는 높은 단백질 함유량을 보이며, 특히 콜라겐, 알부민, 미온신, 엘라스린 등 다양한 고분자 단백질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어류의 부산물 중 어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굴 패각 20~50wt%, 해조류 20~50wt%, 어류부산물 20~5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아미노산 분말은 돼지 및 산란계의 체중 증가와 면역기능 강화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5wt% 미만인 경우에는 이와 같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을 사용하게 되어 비효율적이므로, 상기 아미노산 분말(c)의 사용량은 가축용 사료의 전체 중량에 대해 5~1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옥수수 분말은 GMO가 아닌 옥수수를 분쇄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사료에 첨가함으로써 영양원으로 작용하여 육계의 생산성 향상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효과를 갖는 옥수수 분말의 사용량이 30wt% 미만인 경우에는 이와 같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5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을 사용하게 되어 비효율적이므로, 상기 옥수수 분말(d)의 사용량은 가축용 사료의 전체 중량에 대해 30~5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콩 분말은 GMO가 아닌 콩을 분쇄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사료에 첨가함으로써 영양원으로 작용하여 육계의 생산성 향상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효과를 갖는 콩 분말의 사용량이 30wt% 미만인 경우에는 이와 같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5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을 사용하게 되어 비효율적이므로, 상기 콩 분말(e)의 사용량은 가축용 사료의 전체 중량에 대해 30~5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강약초(f)의 사용량이 0.5wt% 미만인 경우에는 가축의 건강 증진과 감염균에 대한 높은 내성에 대한 효과를 제공하기 어렵고, 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조단가의 상승으로 인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약하므로, 상기 건강약초(f)의 사용량은 가축용 사료의 전체 중량에 대해 0.5~5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강약초(f)는 더욱 구체적으로, 작약(Paeoniae radix) 2~10wt%, 더덕 2~10wt%, 도라지 2~10wt%, 두충 2~10wt%,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Astragali radix) 2~10wt%, 쑥(Artemisia capillaties) 2~10wt%,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2~10wt%, 천궁(Cnidium rhizome) 2~10wt%, 하수오(Polygoni multiflori radix) 2~10wt%, 황련(Coptis chinensis) 2~10wt%, 연교(Forsythia suspensa Vahl) 2~10wt%, 감초(Glycyrrhiza uralensis) 2~10wt%,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2~10wt%, 마늘(Garlic, Allium scorodorpasum L.) 2~10wt%, 갈근(Pueraria thunbergiana;Puerariae radix) 2~10wt%, 대추(Zizyphus jujuba;Zizyphi fructus) 2~10wt%, 만삼(Codonopsis pilosula;Bastarg ginseng) 2~10wt%, 해동피(Kalpanx pictus Nakai;Kalopanacis cortex) 2~10wt%, 백출(Atractylodes japonica;Atractylodis rhizoma alba) 2~10wt%, 복령(Poria cocos;Hoelen) 2~1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며,줄기는 여러 개가 한포기 에서 나와 곧게 서고 잎과 줄기에 털이 없고 뿌리가 굵다.
주로 작약뿌리를 약재로 사용하며, 주요 효능, 효과로는 진통, 해열, 진경, 이뇨, 지한, 복통, 위통, 관절염, 빈혈, 타박상 등으로 쓰인다. 현대에 와서 작약에 대한 생리활성 연구는 항염, 항알러지 진통작용, 항균활성 및 미백효과가 밝혀져 있으며, 작약의 성분으로는 Paeoniflorin, Paeonol, Albiflorin 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상기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은 초롱꽃과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로서 뿌리는 도라지처럼 굵고 식물체를 자르면 백색의 즙액이 나오며, 잎은 어긋나고 짧은 뿌리를 식용한다. 생약의 사삼은 뿌리를 말린 것이며, 한방에서는 치열ㆍ거담 및 폐열 제거 등에 사용되어진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부 아시아 산간지방에 야생하며 유사종으로 화관 안쪽에 자갈색 반점이 없는 푸른더덕이 있다. 더덕은 인삼과 같은 사포닌과 스테롤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한방에서는 인삼 대용품으로 사용하고 있고, 영양적으로도 훌륭한 식품으로 다른 산채에 비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이 많이 들어 있고 칼슘, 인, 철분 같은 무기질과 비타민도 풍부하다.
상기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urm A. DE. Candolle)는 길경으로 초롱꽃(Campanulaceae)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서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대만, 러시아 등 동아시아에 분포한다.
도라지의 뿌리인 길경(桔梗)의 주성분으로서는 triterpenoid계 사포닌과 당질, 섬유질을 함유하고 있어 한방에서는 방약합편에 49건 동의보감에 287건의 처방에 빈용되는 유용한 약용식물로서 예로부터 식용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 길경의 사포닌에는 Platycodin A, C, D와 Polygalacin D, spinasterol, spinasterol glucoside, inulin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거담, 배농, 진해약, 편도선염, 최유, 감기, 기침, 천식, 폐결핵, 거담제로서 유용하고 늑막염에 효과가 있다.
상기 두충(Eucommia ulmoides Oliver)은 식물분류학상 두충과(Eucommiaceage)에 속하는 낙엽활목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1속 1종이 분포한다. 두충나무의 수피와 잎, 열매에는 gum의 일종인 guttapercha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알칼로이드, 펙틴, 레진, 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Astragali radix)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로 종자로 번식하고 뿌리를 말려서 약재로 이용하며 뿌리가 굵고 길며 주름이 적고 질이 단단하며 솜 성질과 가루 성질이 강하고 맛이 단 것이 우량품이다. 특히 생리 활성물질 함유하고 있어 중요 약용식물로 사용되고 있다. 뿌리에 Frmononetin, Gycine betain, Cline, Ioliquiritigenin,γ-Aminobutyric acid, Canavanine, Isoflavonoid, Saponin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미량원소로 Mg2+, Fe2+, Mn2+, Zn2+, Cu2+, Rb, Mo, Cr, S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쑥(Artemisia capillaties)은 특수 성분으로 알카로이드,비타민 특히 다량의 무기물 등이 들어 있고 정유가 0.02% 함유되어 있으며, 그 주성분으로는 cineol,α-thujon,sesquiterpene, sesquiterpenealcohol외에 아데닌, 콜린 등이 함유된 것으로 밝혀져 있다. 쑥은 독특한 맛과 향으로 인해 여러 가지 식품 재료로서도 많이 이용된다. 쑥의 주요성분으로는 alkaloid류, 비타민류, 정유류, 무기질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는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2~3생 초본으로 뿌리를 당귀라 하고 잎을 승검초라하며 강원도 고산지대에서 주로 생산되는 약용 식물이다. 뿌리와 잎을 식용 또는 약재로 다양하게 사용하여 왔고 당귀의 잎인 승검초는 방향성 식물로 식용, 약용에 쓰이며 잎자루와 연한 줄기는 생으로 먹고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
상기 천궁(Cnidium rhizome)의 기원은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는 미나리과의 Ligusticum chuanxiong Hort(土川芎)을, 일본에서는 Cnidium officinale Makino(日川芎)이라한다.
천궁의 근경은 진경, 진정, 혈압강하, 혈관확장, 항균, 항산화 효과, 항진균 및 비타민E결핍증 치료 등에 약효가 있는 중요한 약용작물중 하나이다. 약용으로 이용되는 천궁의 근경에는 1-2%의 정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cnidilide, ligustilide, neocnidilide, butylphalide, sedanoninc acid anhydride, senkeyunolide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국내에서는 영양, 봉화, 영주, 거창 등지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약재로는 천궁의 뿌리 부위만 이용되고 있다.
상기 하수오(Polygoni multiflori radix)에는 적하수오 (Polygoni multiflori radix)와 백하수오 (Cynanchi wilfordii radix)가 사용되고 있다. 백하수오는 박주과리과(Asclepiadaceae)의 Cynanchum bungeiDence,C. auriculatum RoyleexWight,C. wilfordii(Maxim.) Hemsl. 등의 덩이뿌리로 한국이 원산지이며, 적하수오는 Pokygonum multiflorum Thunberg(마디풀과 Polygonaceae)의 덩이뿌리로서 중국이 원산지이다. 적하수오와 백하수오는 기원식물과 유기성분계 모두 다르다. 백하수오의 주성분으로는 gagaminine, cynandione A, wilfoside K1N 등이 있으며, 효능으로는 자양강장,보혈작용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gagaminine은 간 세포의 알데하이드 산화에 대하여 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cynandioneA는 신경세포의 손상을 억제하고, 항산화활성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상기 황련(Coptis chinensis)은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목으로서 주요성분은 isoquinoline계열 alkaloid인 berberine이며, 이외에 coptisine, epiberberlin, feluricacid, magnoflorine, palmatine, worenine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berberine은 항균작용, 항염증, 지혈, 혈압강하 및 항암작용 등이 우수하며, 중추신경억제, 신장염 치료효과 및 기관지 평활근 확장작용이 보고되었다.
상기 연교(Forsythia suspensa Vahl)는 물푸레나무과 (Ole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인 개나리나무(신리화)의 과실로서 예로부터 한방에서 종창, 임질, 통경, 이뇨, 치질, 결핵, 소염 및 해독제로써 사용되어왔다. 리그난화합물과 forsythiaside, suspensoside, 및 acteoside등의 caffeoyl glycosides, 그리고 triterpenoids 및 rutin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 성분들은 항암, 혈압강하, 항균, 및 항염증 등의 여러 생리적작용을 갖고 있다. 연교에 존재하는 리그난화합물(matairesinol 및 arctigenin)은 거의 배당체(matairesinoside 및 arctiin)로 존재하고 있으며, 그 함량은 개나리 품종 및 성장 시기에 따라 상당히 차이가 있다.이들 리그난화합물은 항암, 항균 및 항바이러스 등 여러 가지 생리활성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상기 감초(Glycyrrhiza uralensis)는 콩과(Leguminosae)류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천연의 감미로운 맛과 다양한 약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감초의 성분은 뿌리와 줄기에 함유된 triterpenoid saponins 계통인 glycyrrhizin 또는 glycyrrhizic acid가 주성분으로 되어 있고, 이 성분은 glycyrrhetinic acid에 glucuronic acid의 2분자가 결합된 배당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배당체가 단맛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외에도 uralenic acid, liguiritic acid, glabrone, glabrene 등이 있고, Isoflavonoid 계열인 Iicoricidin, glycerol 등이 있으며, 기타 Coumarin derivatives인 herniarin, umbelliferone등의 성분과 amino acid계열인 alanine, asparagine, glycine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상기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 HARMS)는 오가피 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으로써 우리나라 각지의 해발 400~1,800m 되는 산기슭에서 무더기로 자란다. 약리실험에 의하면 중추신경 계통을 흥분시키고, 운동성을 높이며, 조건반사 활동을 강하게 하며, 피로회복 촉진작용, 면역부활작용, 방사선 방어 작용, 종양세포의 활착과 다른 조직으로의 전이억제작용, 혈당량 감소작용, 백혈구 증가작용, 강장작용, 소염작용, 진해작용, 거담작용 등이 밝혀져 있다. 가시오가피의 이와 같은 효능은 주로 lignan과 iridoid glycoside류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시오가피의 다양한 glycoside들 중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은 eleutheroside E, eleutheroside B 등이며, 특히 가시오가피의 대표적인 생리활성 성분인 eleutheroside E는 T세포 증가작용, 정력 증대와 학습력 증진, 간기능 개선, 항암효과 등을 나타내며 eleutheroside E 다음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는 eleutheroside B는 골 질환 예방, 항산화 활성, 항암작용, 항 피로작용, 항 스트레스작용 등의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
상기 마늘(Garlic, Allium scorodorpasum L.)은 백합과에 속한 인경채로로서 원산지는 중앙아시아, 남부유럽, 특히 지중해 연안지방이다. 마늘의 일반성분에 관한 Reghavan 등의 보고에 의하면 신선한 마늘은 100g 당 수분 70g, 단백질 4.4g, 지방 0.2g, 탄수화물 23g, 조섬유 0.7g, 회분 1.3g, 칼슘 5mg, 인 44mg, 철 0.4mg, 비타민 B1 0.24mg, 비타민 B2 0.03mg, 니코틴산 0.9mg, 그리고 비타민 C 3mg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갈근(Pueraria thunbergiana;Puerariae radix)은 콩과에 속하는 칡의 뿌리(갈근, 葛根)로서 꽃(갈화,葛花)과 함께 예로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민간요법에서 갈근(PuerariaeRadix)은 감기, 두통, 해갈, 당뇨병, 설사, 이질 등의 치료에 사용했으며, 한방에서는 고혈압, 관상동맥경화증, 협심증, 노인성 당뇨, 숙취제거, 발한 및 해열 등에 사용했다. 또한 최근의 연구결과에서 혈압강하 작용, 항염작용, 항산화 작용, 알코올 해독 및 간장보호작용 등의 효능이 보고되었다.
갈근의 주요 성분으로는 isoflavonoid 계열의 daidzin, puerarin, formononetin 등이 알려져 있으며, triterpenoid계열의 soyasapogenolA 및 kudzusapogenol B, 그리고 polysaccharide,coumarin 계열의 물질들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갈근의 약리 성분 및 생리활성 물질로는 catechin과 flavonoid계 화합물인 daidzein 및 genistein, puerarol, kaldonein 등이 밝혀졌다.
상기 대추(Zizyphus jujuba;Zizyphi fructus)는 갈매나무과 대추나무의 열매로 중국계 대추와 인도계 대추가 있으며, 주로 생태형이 전혀 다른 2종이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대추의 과육 가운데 가장 풍부한 성분은 당질로 단당류와 이당류가 들어있으며, 대추에는 감미를 가지는 당류 외에도 대추 당이 함유되어 있어 감미가 강하며, 가용성 당류가 약 10~42% 함유되어 있다. 대추의 주된 당류는 과당, 포도당, 올리고당이며, 아미노산, 사과산, 페놀, 비타민 A, B, C 등이 있어 약리 효과가 높고, 사포닌도 대추의 주요성분으로서 과실, 종자, 잎, 줄기, 뿌리 등에 골고루 함유되어 있다.
대추씨에는 수지의 일종인 betuline(C30H50O2)과 betul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Adenosine-3,5-monophosphatate와 같은 물질이 있어 adenylcyclase와 phosphodiesterase의 활성으로 항알레르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건조방법에 따른 C-AMP의 함량은 동결건조 〉blanching후 자연건조 〉열풍건조 〉자연건조의 순으로 높다고 보고되었다.
상기 만삼(Codonopsis pilosula;Bastarg ginseng)은 쌍 떡잎식물 초롱꽃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서 그 뿌리와 줄기를 그대로 또는 수증기로 쪄서 건조한 것을 약용으로 쓴다. 주로 한국 및 중국 등지에 서식하며, 뿌리의 생김새는 더덕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다. 만삼에는 hesperidin, β-sitosterol, loberyolinin,β-daucosterol과 triterpenylesters, codonopilatesA-C, phenylpropanoid glycosides 및 β-carbiolinealkaloid이 함유되어 있으며, 알려진 임상적 효과는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 활성, 혈장 corticosterone을 증가시키는 내분비효과, 스트레스유발성 위염의 감소등 Antistress 효과, 기억력 향상 등 CNS 효과, 위장점막을 보호하여 GItract의 궤양발생을 방지하는 항궤양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작약(Paeonia lactiflora;Paeoniae radix)은 미나리아재비과로 산지에서 자라고 한 포기에 여러 개의 줄기가 나는 60cm 정도의 높이로 뿌리는 방추 형태로 우리나라 중부 이북의 고산지대 양지쪽에 자생하며 흔히 재배되고 있다. 한방에서는 다년생 초본인 적작약의 뿌리를 씻어 끓는 물에 담갔다가 꺼내 건조한 것으로 과민성 대장증후군, 사지경련, 복통, 진통, 부인병, 항알러지, 소염치료 등에 효능을 나타내고, 주요 약효 성분으로 보고된 paeoniflorin은 중추신경 흥분을 억제하여 진통, 항염, 이뇨, 혈관이완 등의 작용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열을 내리는 작용이 강한 목단피와 같이 사용하면 두 식물의 상이한 특성을 이용하여 그 효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해동피(Kalpanx pictus Nakai;Kalopanacis cortex)는 음나무의 건조한 수피를 해동피(海桐皮)라 한다. 민간이나 한방에서 거풍습, 활혈, 치통등에 쓰여왔다. 해동피의 주요 생리활성성분으로는 lignan, kalotoxin, kalopanaxsaponin A, kalopanaxin A, liriodendrin, hederagenin A, sysringin, protocatechic acid, coniferin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Hederagenin의 배당체인 Kalopanaxsaponin A와 I는 C.albicans와 C. neoformans에 대한 현저한 항균성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면역학적 손상에 의한 이상 지질 대사를 조절하며 심각한 혈액학적 변화를 방지 할 수 있다는 보고가 시사되었다.
상기 백출(Atractylodes japonica;Atractylodis rhizoma alba)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또는 삽주(Atractylodes japonica Koidz.)의 뿌리줄기를 건조한 것으로, 전통적으로 동아시아에서 소화기계 질환을 치료하고 활력을 주는 약초으로 널리 사용되어져 왔다. 백출의 성미는 감고온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감온은 보중하고, 고온은 조습하여 중초에 들어가 비위를 보하는 약이 된다. 백출은 소화기계에 대한 작용 외에 이뇨, 지한, 자양, 안태, 진통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복령(Poria cocos;Hoelen)은 담자균아강 다공균목 구멍장이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의 일종으로, 소나무를 벌채한 뒤 3~10년이 지난 뒤 뿌리에서 기생하여 성장하는 균핵으로 형체가 일정하지 않다. 뿌리는 암갈색이고 내부는 회백색이다.
복령의 주성분으로는 탄수화물, 수분, 조섬유질, 무기질 및 미량의 단백질이 있으며 탄수화물 중 복령다당체(pachyman)가 가장 많고 그 외 pachymic acid, tumulosic acid, dehydrotumulosic acid, ergosterol, eburicoic acid, dehydroeburicoic acid, trametenolic acid 등이 있다.
상기 건강식물초(g)는 취나물, 꿩의다리, 윤판나물, 당개지치, 벌깨덩굴, 나비나물, 곤대서리, 병풍취, 참당귀, 우산나물, 단풍취, 귀리, 쥐오줌풀, 애기참반디, 참나물, 홀아비꽃대, 돌나물, 냉이, 떡쑥, 엄나무, 기린초, 망초, 소리쟁이, 둥굴레나물, 민들레, 도라지싹, 더덕, 씀바귀, 두리풀, 애기나리, 묵나물, 질경이, 보리뱅이, 시금치나물, 방아나물, 다닥개갓냉이, 고들빼기, 병아리고비, 깨나물, 고추나물, 미역취, 콩제비꽃, 양지꽃, 잔대, 망제비꽃, 짚신나물, 조개나물, 가락지나물, 청미래덩쿨, 까치수영, 층층이둥굴레, 개갓냉이, 궁궁이, 메꽃, 갈퀴나물, 고비나물, 좁쌀풀 나물, 멸구나물, 꼬리솔나물, 청가시나물, 쑥부쟁이, 구기자순, 산머루, 곰취, 각시취, 고사리, 고추대나물, 단풍취, 모시대, 미나리취, 바위취, 방풍나물, 누리대, 삿갓나물, 원추리, 지장보살, 엉겅퀴 또는 명아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사용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취나물 2~10wt%, 냉이 2~10wt%, 떡쑥 2~10wt%, 민들레 2~10wt%, 질경이 2~10wt%, 고들빼기 2~10wt%, 짚신나물 2~10wt%, 곰취 2~10wt%, 방풍나물 2~10wt%, 누리대 2~10wt%, 원추리 2~10wt%, 엉겅퀴 2~10wt%, 명아주 2~1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건강식물초(g)는 가축의 성장 및 생산성 향상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0.5wt% 미만인 경우에는 이와 같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을 사용하게 되어 제조단가의 상승에 의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건강약초(f)의 사용량은 가축용 사료의 전체 중량에 대해 0.5~5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강식물초(g)는 가축의 소화력 증진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1wt% 미만인 경우에는 이와 같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을 사용하여 오히려 사료의 품질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상기 건강식물초(g)의 사용량은 가축용 사료의 전체 중량에 대해 1~1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의 배합예를 살펴보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가축용 사료(단위 wt%) | |||||
성분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조팝나무 | 10 | 15 | 20 | 24 | 26 |
바이오 미네랄1) | 10 | 8 | 6 | 3 | 1 |
아미노산 분말2) | 9 | 8 | 7 | 6 | 5 |
옥수수 분말 | 31 | 31 | 31 | 31 | 31 |
콩 분말 | 31 | 31 | 31 | 31 | 31 |
건강약초3) | 1 | 1 | 2 | 3 | 5 |
건강식물초4) | 8 | 6 | 3 | 2 | 1 |
상기 표 1에서,
1): 칼슘 40wt%, 마그네슘 5wt%, 나트륨 3wt%, 칼륨 48wt%, 철 0.005wt%, 아연 0.045wt%, 황산이온 3wt%, 요오드 0.9wt%, 염소이온 0.0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바이오 미네랄을 사용.
2): 굴패각 50wt%, 해조류 25wt%, 어류부산물 2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아미노산 분말을 사용.
3): 작약(Paeoniae radix) 10wt%, 더덕 5wt%, 도라지 5wt%, 두충 5wt%,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Astragali radix) 5wt%, 쑥(Artemisia capillaties) 5wt%,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5wt%, 천궁(Cnidium rhizome) 5wt%, 하수오(Polygoni multiflori radix) 5wt%, 황련(Coptis chinensis) 5wt%, 연교(Forsythia suspensa Vahl) 5wt%, 감초(Glycyrrhiza uralensis) 5wt%,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5wt%, 마늘(Garlic, Allium scorodorpasum L.) 5wt%, 갈근(Pueraria thunbergiana;Puerariae radix) 5wt%, 대추(Zizyphus jujuba;Zizyphi fructus) 5wt%, 만삼(Codonopsis pilosula;Bastarg ginseng) 5wt%, 해동피(Kalpanx pictus Nakai;Kalopanacis cortex) 5wt%, 백출(Atractylodes japonica;Atractylodis rhizoma alba) 3wt%, 복령(Poria cocos;Hoelen) 2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건강약초를 사용.
4): 취나물 9wt%, 냉이 9wt%, 떡쑥 9wt%, 민들레 9wt%, 질경이 9wt%, 고들빼기 9wt%, 짚신나물 9wt%, 곰취 9wt%, 방풍나물 9wt%, 누리대 9wt%, 원추리 5wt%, 엉겅퀴 3wt%, 명아주 2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건강식물초를 사용.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는 병원균에 대한 가축의 내성을 높여주며, 또한 가축의 체중 증가, 발육 증진 효능이 뛰어나, 농가의 수입원으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5)
- 조팝나무(a) 10~30wt%;
바이오 미네랄(b) 0.5~10wt%;
아미노산 분말(c) 5~10wt%;
옥수수 분말(d) 30~50wt%;
콩 분말(e) 30~50wt%;
작약(Paeoniae radix), 더덕, 도라지, 두충,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Astragali radix), 쑥(Artemisia capillaties),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천궁(Cnidium rhizome), 하수오(Polygoni multiflori radix), 황련(Coptis chinensis), 연교(Forsythia suspensa Vahl), 감초(Glycyrrhiza uralensis),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마늘(Garlic, Allium scorodorpasum L.), 갈근(Pueraria thunbergiana;Puerariae radix), 대추(Zizyphus jujuba;Zizyphi fructus), 만삼(Codonopsis pilosula;Bastarg ginseng), 해동피(Kalpanx pictus Nakai;Kalopanacis cortex), 백출(Atractylodes japonica;Atractylodis rhizoma alba) 및 복령(Poria cocos;Hoelen)의 혼합으로 조성된 건강약초(f) 0.5~5wt%;
취나물, 꿩의다리, 윤판나물, 당개지치, 벌깨덩굴, 나비나물, 곤대서리, 병풍취, 참당귀, 우산나물, 단풍취, 귀리, 쥐오줌풀, 애기참반디, 참나물, 홀아비꽃대, 돌나물, 냉이, 떡쑥, 엄나무, 기린초, 망초, 소리쟁이, 둥굴레나물, 민들레, 도라지싹, 더덕, 씀바귀, 두리풀, 애기나리, 묵나물, 질경이, 보리뱅이, 시금치나물, 방아나물, 다닥개갓냉이, 고들빼기, 병아리고비, 깨나물, 고추나물, 미역취, 콩제비꽃, 양지꽃, 잔대, 망제비꽃, 짚신나물, 조개나물, 가락지나물, 청미래덩쿨, 까치수영, 층층이둥굴레, 개갓냉이, 궁궁이, 메꽃, 갈퀴나물, 고비나물, 좁쌀풀 나물, 멸구나물, 꼬리솔나물, 청가시나물, 쑥부쟁이, 구기자순, 산머루, 곰취, 각시취, 고사리, 고추대나물, 단풍취, 모시대, 미나리취, 바위취, 방풍나물, 누리대, 삿갓나물, 원추리, 지장보살, 엉겅퀴 또는 명아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으로 조성된 건강식물초(g) 1~10wt%;의 혼합(a+b+c+d+e+f+g)으로 조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건강식물초(g)는 취나물 2~10wt%, 냉이 2~10wt%, 떡쑥 2~10wt%, 민들레 2~10wt%, 질경이 2~10wt%, 고들빼기 2~10wt%, 짚신나물 2~10wt%, 곰취 2~10wt%, 방풍나물 2~10wt%, 누리대 2~10wt%, 원추리 2~10wt%, 엉겅퀴 2~10wt%, 명아주 2~1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2793A KR101874337B1 (ko) | 2017-04-25 | 2017-04-25 | 할랄 가축용 사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2793A KR101874337B1 (ko) | 2017-04-25 | 2017-04-25 | 할랄 가축용 사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4337B1 true KR101874337B1 (ko) | 2018-08-03 |
Family
ID=63250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2793A KR101874337B1 (ko) | 2017-04-25 | 2017-04-25 | 할랄 가축용 사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433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0987A (ko) * | 2019-03-18 | 2020-09-28 | 안법훈 | 애완견용 다이어트 사료 |
KR102254820B1 (ko) * | 2021-01-15 | 2021-05-24 | 주식회사 펫21 | 한방약재를 포함하는 동물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20026011A (ko) * | 2020-08-24 | 2022-03-04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붕장어 부산물을 포함하여 우수한 영양성분을 포함하고, 면역 개선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사료 조성물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36549A (ko) * | 2003-04-17 | 2003-05-09 | 손병선 | 건강 영양 약닭. |
KR20050033397A (ko) | 2003-10-06 | 2005-04-12 | 안승규 | 잠분을 이용한 단위 가축용 배합사료 제조방법 |
KR100573519B1 (ko) | 2004-11-20 | 2006-04-26 | 유영옥 | 대나무액죽초액 배양 미생물제, 이를 함유하는 가축용사료 |
JP2006333703A (ja) * | 2005-05-06 | 2006-12-14 | Daicho Kikaku:Kk | 動物飼料添加剤及び動物飼料 |
KR100952942B1 (ko) | 2009-07-17 | 2010-04-16 | 물과빛의 사랑공동체 영농조합 | 숯과 패각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
JP2011188850A (ja) * | 2010-02-16 | 2011-09-29 | Matsuura Zoen Kk | 食品廃棄物を原料とする家畜用飼料の製造方法 |
KR20160014841A (ko) * | 2014-07-29 | 2016-02-12 |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 한약재박과 식이유황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
WO2016071209A1 (en) * | 2014-11-03 | 2016-05-12 | Specialites Pet Food | Palatable dry cat foods and methods for preparation thereof |
-
2017
- 2017-04-25 KR KR1020170052793A patent/KR1018743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36549A (ko) * | 2003-04-17 | 2003-05-09 | 손병선 | 건강 영양 약닭. |
KR20050033397A (ko) | 2003-10-06 | 2005-04-12 | 안승규 | 잠분을 이용한 단위 가축용 배합사료 제조방법 |
KR100573519B1 (ko) | 2004-11-20 | 2006-04-26 | 유영옥 | 대나무액죽초액 배양 미생물제, 이를 함유하는 가축용사료 |
JP2006333703A (ja) * | 2005-05-06 | 2006-12-14 | Daicho Kikaku:Kk | 動物飼料添加剤及び動物飼料 |
KR100952942B1 (ko) | 2009-07-17 | 2010-04-16 | 물과빛의 사랑공동체 영농조합 | 숯과 패각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
JP2011188850A (ja) * | 2010-02-16 | 2011-09-29 | Matsuura Zoen Kk | 食品廃棄物を原料とする家畜用飼料の製造方法 |
KR20160014841A (ko) * | 2014-07-29 | 2016-02-12 |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 한약재박과 식이유황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
WO2016071209A1 (en) * | 2014-11-03 | 2016-05-12 | Specialites Pet Food | Palatable dry cat foods and methods for preparation thereof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0987A (ko) * | 2019-03-18 | 2020-09-28 | 안법훈 | 애완견용 다이어트 사료 |
KR102212785B1 (ko) | 2019-03-18 | 2021-02-08 | 안법훈 | 애완견용 다이어트 사료 |
KR20220026011A (ko) * | 2020-08-24 | 2022-03-04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붕장어 부산물을 포함하여 우수한 영양성분을 포함하고, 면역 개선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사료 조성물 |
KR102496505B1 (ko) * | 2020-08-24 | 2023-02-06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붕장어 부산물을 포함하여 우수한 영양성분을 포함하고, 면역 개선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사료 조성물 |
KR102254820B1 (ko) * | 2021-01-15 | 2021-05-24 | 주식회사 펫21 | 한방약재를 포함하는 동물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5429B1 (ko) | 야생초 화장품 | |
KR101946236B1 (ko) |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항균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 |
CN103141679B (zh) | 一种含中草药的复合型羊饲料 | |
CN104161187B (zh) | 一种畜禽用中草药饲料添加剂、制备方法及应用 | |
KR101952695B1 (ko) | 천연물질을 이용한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 |
KR101874337B1 (ko) | 할랄 가축용 사료 | |
KR100939906B1 (ko) | 한방 추출액을 이용한 어류 양식용 사료첨가제 | |
CN111544543A (zh) | 一种具有清肺、解烟毒及解酒益肝功能的组合物 | |
CN108260608A (zh) | 一种植物源生长调节剂及其在作物促生长方面的应用 | |
CN106923047A (zh) | 玫瑰鸡饲料添加剂、玫瑰鸡饲料及其制备方法 | |
CN106562074A (zh) | 一种液态鱼味猫粮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KR20180089696A (ko) | 천연식물 추출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 |
CN108096434B (zh) | 一种猪饲料的植物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CN107375982B (zh) | 一种适用北方房屋的空气清新剂 | |
KR100780552B1 (ko) | 한약재를 포함한 영·유아용 기능성 분유 및 그 제조방법 | |
CN110433275A (zh) | 一种用于调节人体机能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 |
CN108783432A (zh) | 具有抗癌作用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 |
KR101028073B1 (ko) |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신체 각 부위를 활성화 시키며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작용 및 기전을 가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Ashok et al. | Underutilized leafy vegetables of India and their pharmaceutical value to provoke human immune system | |
KR20060134247A (ko) | 황토사료 및 그 제조방법 | |
CN108815286B (zh) | 一种防治蜜蜂烂子病的中草药制剂及其制作方法和施用方法 | |
KR20190000237A (ko) | 백숙용 한방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CN106942507A (zh) | 一种防病鹅饲料及其制备方法 | |
CN106071141A (zh) | 一种绒山羊饲料添加剂 | |
Jain et al. | Natural sources of anti-inflamm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