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942B1 - 숯과 패각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숯과 패각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942B1
KR100952942B1 KR1020090065218A KR20090065218A KR100952942B1 KR 100952942 B1 KR100952942 B1 KR 100952942B1 KR 1020090065218 A KR1020090065218 A KR 1020090065218A KR 20090065218 A KR20090065218 A KR 20090065218A KR 100952942 B1 KR100952942 B1 KR 100952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umpkin
feed
fermenta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대성
Original Assignee
물과빛의 사랑공동체 영농조합
노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물과빛의 사랑공동체 영농조합, 노대성 filed Critical 물과빛의 사랑공동체 영농조합
Priority to KR1020090065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9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과 패각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상기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숯과 패각을 호박의 발효 조성물로 처리하여 얻은 숯 및 패각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와 상기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숯과 패각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는 방부제와 항생제가 들어 있지 않아, 상기 사료를 먹고 자란 가축으로부터 얻어지는 축산물 역시 방부제와 항생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상기 사료 첨가제는 호박 발효 조성물을 이용하여 숯 및 패각을 처리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패각의 미네랄이 보다 더 많이 축산물에 흡수되는 효과가 있으며, 숯은 고유의 탈취 작용을 통해서 축사 내의 악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기존에 폐기 처분되던 패각을 사용함으로 사료의 생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호박 발효 조성물, 숯, 패각, 사료 첨가제, 가축용 사료

Description

숯과 패각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A feed additive using a charcoal and a shell, a feed containing the s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숯과 패각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상기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숯과 패각을 호박의 발효 조성물로 처리하여 얻은 숯 및 패각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와 상기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축산업은 우리나라 농업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담당하여 왔으며 식량산업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중요한 산업이지만, 생산비 중 사료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크고 사료 원료는 수입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수입 사료의 가격 상승은 축산업의 수익성에 큰 방해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수입되는 사료 원료에는 수입 과정에서 방부제가 처리되어 있으므로, 가축이 오염된 사료를 먹게 되고, 그 가축으로부터 나오는 축산물을 먹는 사람에게 유해물질이 전달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지난 수십 년간 우리 축산업은 가축의 예방과 치료 및 가축의 성장을 촉진하고, 사료효율을 개선하여, 가축의 생산성 향상을 기하기 위하여 보편적으로 항생물질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항생물질을 계속 사용하게 되면 내성을 가지는 미생물이 출현하여 항생물질의 사용량을 늘려야 하거나, 항생물질 자체의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며, 또한 축산물 중에 항생물질이 잔류하게 되어 이를 섭취하게 되는 인체에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성장촉진을 목적으로 한 항생제의 사용이 점차 규제되고 있다.
최근 축산물의 이물질 잔존 문제가 종종 물의를 일으키고 있어, 방부제 및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동물용 사료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최근 축산환경개선 및 질병의 예방 측면에서 천연기능성 물질 및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미생물제 및 발효사료 등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미생물제는 항생제의 대체 물질로서 동물의 장내 미생물 균총의 균형을 유지시켜 동물에게 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살아있는 미생물 사료첨가제이며, 유익한 미생물의 장내 우점을 유도하여 동물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동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미생물제의 사료내 첨가가 설사 방지와 더불어 돼지와 닭의 생산성을 증진 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특히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65683호 (2003.08.09.)에는 매실과즙을 유용미생물로 발효시켜 얻은 기능성 발효사료를 개시하고 있다.
그동안 가축의 면역력을 높이면서 미네랄의 공급원으로서 패류 등의 껍질, 즉 패각을 분쇄하여 사료의 재료로서 이용하는 사례가 많이 있었고, 특히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08833호 (2001.02.05.)에는 패각 분말을 식초로 용출시켜서 여과하여 얻은 패각 추출물이 함유된 가축용 배합사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79585호 (1999.11.05.)에는 새우나 게 껍질과 같은 키틴 또는 키토산 함유 산란계용 영양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11789호 (2009.02.02.)에는 우렁이 패각을 이용한 우렁이 사료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패각을 사료로 이용하는 경우, 폐기물로서 처리에 곤란을 겪게 하였던 패각을 재활용할 수 있는 잇점도 얻을 수 있다.
한편, 숯은 그 자체의 흡착력에 근거하여 탈취제 등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숯의 흡착력에 근거하여 숯을 동물용 사료에 배합하는 예도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00251호 (2001.01.05.)에는 숯을 함유한 배합사료가 개시되어 있어, 가축 체내의 중금속을 중화 및 제거하면서 축사내의 분뇨로부터 암모니아 가스의 발생을 억제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패각을 동물용, 특히 가축용 사료에 이용하는 경우, 미네랄 성분의 흡수율이 그다지 높지 않은 문제가 있어서 흡수율을 높이고자 연구하던 중에, 본 발명자는 숯과 패각을 호박의 발효 조성물을 이용하여 처리한 후, 이들을 사료 첨가제로서 가축용 사료에 이용하는 경우, 호박 발효 조성물을 통해 유익한 미생물을 사료에 배합시키면서, 동시에 숯 및 패각을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하여 얻은 사료 첨가제를 이용함으로써, 미네랄의 흡수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숯과 패각을 이용하여 방부제나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 숯의 흡착력과 패각의 미네랄 성분을 이용하면서 호박의 발효 조성물을 통해 유익한 미생물을 가축의 체내에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함유하는 가축용 사료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호박을 발효시켜 얻은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하여 얻은 숯 및 패각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상기 사료 첨가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박은 동양계 호박이고, 숯은 소나무 숯이고 패각은 우렁이 또는 왕우렁이이며, 상기 숯 100 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패각은 10 내지 1000 중량부 포함되고,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은 호박을 호기 발효한 후에 숙성시켜 얻는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를 제공한다. 상기 가축은 닭일 수 있으며, 사료는 발효 사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에 있어서 상기 사료 첨가제는 사료 전체 중량에 대해서 0.1 내지 70 중량% 까지 배합될 수 있으며, 비율은 가축의 종류에 따라서, 그리고 배합되는 유기물의 종류에 따라서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다. 가축이 닭인 경우, 상기 비율은 10 내지 60 중량% 비율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상기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상기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가축용 사료에 있어서, 사료는 발효 사료일 수 있으며, 발효는 2 단계에 걸쳐서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는 방부제 및 항생제를 포함하지 않음으로 인해서, 최종 소비자인 인간에게 방부제 및 항생제가 전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는 폐기물인 패각을 이용함으로 인해서 경제적으로는 사료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또한 환경 오염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는 체내에서 중금속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숯을 포함함으로 인해서 최종적으로는 인간에게 전달될 수 있는 중금속이 가축의 체내에 축적되지 않고 빠르게 배설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숯은 배설되면서 암모니아 가스 등을 흡착함으로 인해서 축사의 냄새를 제거해 줄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에 첨가되는 사료 첨가제는 호박 발효 조성물을 이용하여 처리한 숯과 패각을 이용함으로 인해서, 호박 발효 조성물을 통해 제공되는 유익한 미생물에 의해서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축의 질병을 예방하고 설사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가축의 성장을 촉진시키며,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패각에 포함된 미네랄 성분들의 가축 체내에서의 흡수율이 높아지도록 도와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호박을 발효시켜 얻은 호박 발효 조성물을 이용하여 처리하여 얻은 숯 및 패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숯 및 패각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는 숯과 패각의 혼합물을 처리하여 제조할 수도 있고, 숯과 패각을 별도로 처리한 후 혼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숯과 패각을 별도로 처리한 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숯 100 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패각을 10 내지 1000 중량부를 포함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이 비율은 가축의 종류나 사료의 주 원료의 종류 및 양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호박은 박과의 식물에서 얻어지는 열매를 가리키며, 동양계 호박 (C. moschata), 서양계 호박 (C. maxima) 및 페포계 호박 (C. pepo) 중의 어느 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동양계 호박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박 발효 조성물은 호박을 1차적으로 호기 발효시키고 (단계 1), 그 후에 2차적으로 숙성시켜(단계 2)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호박을 호기 발효시키는 단계 1에서는, 호박 1 중량부에 대해서 설탕 0.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20 ℃ 정도에서 20일 정도 호기성 발효시켜 1차 발효액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1차 발효액을 숙성시키는 단계 2에서는, 1차 발효액을 밀봉한 상태로 20 ℃ 정도에서 10 개월 정도 숙성시켜 2차 발효액을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2차 발효액을 호박 발효 조성물로 사용하게 된다.
이하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숯 및 패각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숯은 모든 나무의 숯이 가능하나, 소나무로부터 얻은 숯이 바람직하며, 패각은 모든 패류의 패각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우렁이나 왕우렁이의 패각이 바람직하다. 논두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우렁이는 각종 영양성분 중에서도 칼슘과 철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왕우렁이는 유기농법을 이용하는 농경지 주변에서 수거한 왕우렁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왕우렁이를 삶은 후 탈피기에서 왕우렁이 패각과 왕우렁이 살을 분리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숯은, 숯 100 중량부에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 1 내지 60 중량부와 물 100 중량부의 혼합액 1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하여 10 내지 40 ℃에서 1 내지 50일 동안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혼합액이 상기 숯 속까지 스며들 수 있도록 방치할 수 있으며, 그 시간은 1 내지 48시간 정도 할 수 있다. 처리는 공기가 잘 통하는 포대에 넣은 후 직사광선이 들어오지 않는 곳에서, 15℃ ~ 25℃의 조건에서 7일 ~ 15일 동안 방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패각은, 필요에 따라서는 2단계의 처리 과정을 거쳐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패각은 패각 100 중량부에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 1 내지 60 중량부와 물 100 중량부의 혼합액 1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한 후 흙 및 그 위에 짚으로 덮은 상태에서 10 내지 40 ℃에서 1 내지 50일 동안 방치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2단계 처리 과정을 거치는 경우의 2차 처리는 1차 처리시킨 패각을 짚으로 덮은 상태에서 10 내지 40 ℃에서 10 내지 180일 동안 방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패각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왕우렁이 패각을 흙바닥에 펴 놓고,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 10 ~ 3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액을 뿌린 후에, 황토흙을 뿌리고 그 위에 짚을 골고루 덮은 후에, 15내지 25 ℃의 조건에서 7 내지 10일 동안 방치하며, 그 후에 공기가 통하는 상자에 상기 패각을 넣고 그 위에 짚을 덮은 후 15 내지 25 ℃의 조건에서 70 내지 100일 동안 방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는 상기 사료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 료 첨가제의 첨가 비율은 가축의 종류 및 사료의 다른 원료의 종류에 따라서, 적당히 조절 가능하며, 사료 제조시에 들어가는 원료들의 총 중량에 대해서 0.1 내지 70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가축이 닭인 경우에 있어서의 쌀겨를 주원료로 하는 발효 사료의 제조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다만, 이는 사료의 제조방법의 일례일 뿐, 이에 의해서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쌀겨 100 중량부, 상기와 같이 호박 발효 조성물을 이용하여 처리한 숯 5 내지 40 중량부 및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을 이용하여 처리한 패각 1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물 15 내지 50 중량부 및 호박 발효 조성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발효시켜 1차 발효사료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 1차 발효사료를 가축용 사료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2단계 발효를 통하여서 제조되는 2차 발효사료를 가축용 사료로 이용할 수도 있다.
2단계 발효 과정을 거치는 2차 발효 사료는, 쌀겨 100 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1차 발효사료 15 내지 50 중량부,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숯 15 내지 50 중량부 및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패각 70 내지 130 중량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 생선 찌꺼기 40 내지 90 중량부 및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 1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쌀겨는 쌀을 찧을 때 나오는 가장 고운 속겨로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나, 친환경 자연농법으로 생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농약성분이 없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생선찌꺼기는 어느 생선을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등푸른 생선 찌꺼기를 사용하면 고도불포화지방산(DHA) 성분이 가축의 체내에 축적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더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호박을 가로, 세로 3㎝ 크기로 절단한 후 설탕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항아리에 75% 를 채워서 발효시켰다. 항아리의 입구에 공기가 잘 통하는 광목천으로 덮고 그 위에 짚을 놓은 후에 뚜껑을 덮었다. 20℃ 조건에서 20일 동안 발효시킨 후에 발효액을 취하여, 새로운 항아리에 넣은 후 밀봉한 상태로 20℃조건에서 10개월 동안 숙성 시켜 호박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마른 소나무 장작을 숯으로 만들고,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 2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액을 상기 숯에 뿌리고, 36 시간 동안 상기 혼합액이 상기 숯 속까지 스며들게 한 후, 상기 숯을 공기가 잘 통하는 포대에 넣어 20℃의 조건에서 10일 동안 방치시켜서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숯을 제조하였다.
왕우렁이 패각을 흙바닥에 펴 놓고,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 2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액을 뿌린 후에, 황토흙을 뿌리고 그 위에 짚을 골고루 덮은 후에, 20℃의 조건에서 8일 동안 방치하였으며, 그 후에 공기가 통하는 상자에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된 왕우렁이 패각을 넣고 그 위에 짚을 덮은 후 20℃의 조건에서 90일 동안 방치하여서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왕우렁이 패각을 제조하였다.
쌀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숯 20 중량부,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왕우렁이 패각 40 중량부, 물 35 중량부 및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 3 중량부를 혼합한 후, 20℃의 조건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1차 발효사료를 제조하였다.
쌀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1차 발효사료 35 중량부,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숯 35 중량부,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왕우렁이 패각 100 중량부, 고등어 찌거기 65 중량부 및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 5 중량부를 혼합한 후, 20℃의 조건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2차 발효사료를 제조하였다.
삭제
삭제
[실험예 1]
생후 410일 된 닭 9마리씩을 선정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2차 발효사료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2차 사료를 60일 동안 투여하였다.
실시예 1의 발효사료 를 투여한 닭이 낳은 계란과 시중에서 구입한 계란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국립축산과학원에 의뢰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
분석항목명 실시예 1 시중 구입 계란
무기물 (mg/kg) Ca 575.44 375.52
Fe 20.06 9.89
DHA (%) 2.13 0
표 1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발효사료를 먹은 닭이 낳은 계란은 시중에서 구입한 계란에 비해 칼슘 및 철분 성분이 월등하게 많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중에서 구입한 계란에는 DHA가 없는 반면에, 본 발명의 발효사료를 먹은 닭이 낳은 계란에는 DHA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호박 1 중량부에 대해서 설탕 1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20 ℃에서 20일 동안 호기성 발효시켜 1차 발효액을 제조하고, 상기 1차 발효액을 밀봉한 상태로 20 ℃에서 10 개월 동안 숙성시켜 호박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소나무 숯 100 중량부에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 20 중량부와 물 100 중량부의 혼합액 1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하여 20 ℃에서 10일 동안 방치하여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숯을 제조하는 단계; 및
    왕우렁이 패각 100 중량부에 상기 호박 발효 조성물 20 중량부와 물 100 중량부의 혼합액 1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한 후 흙 및 그 위에 짚으로 덮은 상태에서 20 ℃에서 8일 동안 방치하여 1차 처리하고, 1차 처리시킨 패각을 짚으로 덮은 상태에서 20 ℃에서 90일 동안 방치하여 2차 처리하여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왕우렁이 패각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박을 발효시켜 얻은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숯 및 패각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쌀겨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숯과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패각을 20:4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제3항의 사료 첨가제 60 중량부, 물 35 중량부 및 제3항의 호박 발효 조성물 3 중량부를 혼합하여 20℃의 조건에서 3일 동안 1차 발효시켜 1차 발효사료를 얻고, 이어서
    쌀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1차 발효사료 35 중량부,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숯과 호박 발효 조성물로 처리한 패각의 중량비를 35:100으로 포함하는 제3항의 사료 첨가제 135 중량부, 고등어 찌꺼기 65 중량부 및 제3항의 호박 발효 조성물 5 중량부를 혼합하여 20℃의 조건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2차 발효사료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KR1020090065218A 2009-07-17 2009-07-17 숯과 패각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952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218A KR100952942B1 (ko) 2009-07-17 2009-07-17 숯과 패각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218A KR100952942B1 (ko) 2009-07-17 2009-07-17 숯과 패각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2942B1 true KR100952942B1 (ko) 2010-04-16

Family

ID=42219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218A KR100952942B1 (ko) 2009-07-17 2009-07-17 숯과 패각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9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07B1 (ko) * 2014-07-08 2014-12-24 농업회사법인 덕산바이오(주) Em 균을 이용한 복합균주 발효사료 제조방법
KR101874337B1 (ko) 2017-04-25 2018-08-03 이명희 할랄 가축용 사료
KR101939556B1 (ko) 2018-06-12 2019-01-17 주식회사 백광 발효 패각을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63854B1 (ko) 2020-10-29 2021-06-14 (주)엔젤에스캄 악취 제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145A (ja) * 2002-04-16 2004-05-20 Jigyo Sozo Kenkyusho:Kk 飼料用添加物
RU2292738C1 (ru) 2005-07-25 2007-02-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рма для цыплят-бройлеров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145A (ja) * 2002-04-16 2004-05-20 Jigyo Sozo Kenkyusho:Kk 飼料用添加物
RU2292738C1 (ru) 2005-07-25 2007-02-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рма для цыплят-бройлеров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07B1 (ko) * 2014-07-08 2014-12-24 농업회사법인 덕산바이오(주) Em 균을 이용한 복합균주 발효사료 제조방법
KR101874337B1 (ko) 2017-04-25 2018-08-03 이명희 할랄 가축용 사료
KR101939556B1 (ko) 2018-06-12 2019-01-17 주식회사 백광 발효 패각을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63854B1 (ko) 2020-10-29 2021-06-14 (주)엔젤에스캄 악취 제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17408B (zh) 一种高效生物菌肥及其制备方法
KR101532922B1 (ko) 바이오가스 부산물을 함유한 젖소 사료 첨가제
CN106472846A (zh) 应用黑水虻幼虫的动物饲料
KR102025123B1 (ko) 친환경 토탄 깔개 및 그 제조방법
KR102451530B1 (ko) 바이오차를 이용한 토양개량제 및 유기탄소비료의 제조방법
KR100952942B1 (ko) 숯과 패각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Oviasogie et al. Production, utilization and acceptability of organic fertilizers using palms and shea tree as sources of biomass
CN104221884A (zh) 一种吸收排泄物量大的猪舍垫料及其垫床的制备方法
Martín et al. Spent substrate from mushroom cultivation: exploitation potential toward various applications and value-added products
CN107466877A (zh) 一种牛床生物垫料及其使用方法
KR101107557B1 (ko) 가축분을 이용한 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83599B1 (ko) 부숙유기질비료의 살균, 탈취 및 부숙 촉진을 위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10422A (ko) 부숙유기질비료의 살균, 탈취 및 부숙 촉진을 위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96323B1 (ko)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및 가축의 사육방법
DE60302082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oji enthaltenden Futterzubereitung unter Verwendung von Ölen, und danach erhältliche Futterzubereitung
KR101876425B1 (ko) 가축의 면역력 증가 및 가축 분뇨 냄새 저감제 그 제조 방법
KR101770713B1 (ko) 콩 가공식품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얻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CN106721045A (zh) 一种适用禽畜富硒饲料
KR102244733B1 (ko) 팥물을 활용한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KR102430672B1 (ko) 토착 미생물을 활용한 비료 제조방법
CN108668915B (zh) 一种盐碱地畜禽养殖用发酵床垫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20160113927A (ko) 콩 가공식품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얻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KR101834749B1 (ko) 인진쑥, 어성초, 및 자소엽을 이용한 동물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CN105124135A (zh) 养殖和种植专用大蒜酵素及其制备方法
CN101028040B (zh) 一种饲料用松针浓缩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