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927A - 콩 가공식품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얻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콩 가공식품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얻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3927A
KR20160113927A KR1020150040321A KR20150040321A KR20160113927A KR 20160113927 A KR20160113927 A KR 20160113927A KR 1020150040321 A KR1020150040321 A KR 1020150040321A KR 20150040321 A KR20150040321 A KR 20150040321A KR 20160113927 A KR20160113927 A KR 20160113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weight
livestock
parts
generated d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구
Original Assignee
이춘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구 filed Critical 이춘구
Priority to KR1020150040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3927A/ko
Publication of KR20160113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원은 식품가공 과정 중 발생되는 부산물은 단백질과 헤미셀룰로즈, 셀룰로즈와 같은 불용화 성분도 존재하므로 직접 가축사료로 공급되는 경우 그 영양원은 대부분 흡수되지 못하고 체외로 배설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원은 특수 공정으로 천연식물로부터 얻는 미생물발효액을 이용하여 식품가공 과정 중 발생되는 슬러지(부산물)에 발효공정을 수행하여 안정화시킨 후 기존의 사료성분과 혼합하여 가축사료용 첨가제를 얻고자 하는 발명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가축사료는 미강이나 옥수수겨 중에서 선택되는 사료원료 성분 50~80 중량부와 콩 가공식품 제조과정 중 발생되는 부산물 20~50 중량부가 혼합되어 기본혼합원료를 얻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얻은 기본혼합원료 100 중량부에 미생물발효액 10~50 중량부를 넣고 12~48시간 범위로 발효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거쳐 얻은 발효물을 스크린을 경유하며 수분함유 5~7 wt% 범위로 건조시키며 포장하는 제3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만들어짐으로 사료로 상품화 된 이후 변질되지 않는 사료첨가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콩 가공식품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얻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Manufacture of livestock feed which uses the residue of bean curd }
본 발명은 콩 가공식품의 제조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슬러지물 또는 이의 가수분해물의 유효 영양원을 사육 가축의 사료원료로 이용하고자 하는 발명으로서, 콩 가공식품의의 제조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생산되는 부산물을 고부가 가치화할 수 있고, 사육 가축의 유용한 영양원으로 활용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유기성 폐기물을 자원화하기 위한 연구는 환경오염 방지와 에너지 생산을 동시에 할 수 있어서 국내 외에서 많은 관심을 갖고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중에서도 대표적인 유기성 폐기물은 음식 쓰레기, 하수 슬러지, 식품제조공정폐기물, 축산 폐기물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이들은 유기물 함량이 높기 때문에 에너지 잠재력이 높은 반면 부패가 쉽고, 저장이 어렵기 때문에 악취뿐만 아니라 토양이나 하천오염의 문제가 된다.
식품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예를 들어 콩 가공식품으로 대두나 탈지 대두를 물로 추출하는 공정에서 발생되는 대두 추출 잔사(콩비지)가 부산물로 남고, 주류 제조공정에서는 술을 거르고 남은 찌꺼기로 주박(酒粕)이 남으며, 고구마, 타피오카 기타 곡물류를 원료로 해서 소주를 제조할 때에 당을 뽑아 내고 남는 고형물 찌꺼기로 소주박이 남게 되는바 이들 식품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은 과거 농촌에서는 사육동물인 소나 돼지에 공급되는 최상의 가축사료로 이용되거나 일부는 사람의 식용으로도 사용되어 왔었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는 인구의 도시집중으로 가정에서 사육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없고, 식품제조도 공장규모로 생산되는 가공식품 부산물은 수송비, 노무비, 수송 및 저장 중의 부패 등의 원인으로 유용하게 이용되지 못하고 폐기되고 있으며, 특히 유기물이 많이 포함된 식품부산물은 하절기에는 쉽게 부패되므로 악취 등 심각한 공해를 야기시키고 있어서 도시 및 인근에 산재해 있는 중소 두부공장이나 두유 생산업체, 주류업체에서는 식품 부산물 처리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현재에는 대개가 폐기물 업자에게 일정한 수거 수수료를 지불하면서 처리를 의뢰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콩 가공식품공정에서는 대두 10kg당 수분 83%의 콩비지가 13kg정도 생성되며, 이러한 콩비지에는 건량기준으로 단백질이 24∼30%, 지방이 약 13∼15%, 탄수화물이 50∼60%로 영양성분이 풍부하나 콩비지는 수분함량이 높기 때문에 잡균이 번식하여 매우 쉽게 부패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기술로 공개특허 1994년 제025466호에서는 대두 단백질, 두부 및 두유생산 공정에서 분리된 콩비지의 pH를 조절하고 저주파 교류전류를 통하여 압착시키는 수단을 통하여 대두 추출 잔사물의 탈수 효율을 높이는 콩비지 처리방법에서 분리된 콩비지를 강산 또는 유지산으로 pH를 3.5∼5.0으로 조절하고 10∼220V, 40Hz∼20kHz의 저주파 교류전류를 통하면서 압착처리하여 쉽게 부패되지 않는 콩비지를 얻는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2001년 069775호에서는 두부, 두유 및 대두유 등의 식품가공 폐기물인 비지를 이용하여 콜레스테롤 생합성을 저해하는 monacolin K 발효법을 이용하여 발효된 비지 홍국을 기존의 닭 사료에 5-20% 혼합하여 닭고기와 계란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1/2∼1/3로 낮추고자 하는 기술로 다량의 모나콜린이 함유된 비지 홍국을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도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시된 종래기술로 제공되는 공법이 적용되는 사료는 가격이 높아 일반 축산농가에서 적용하여 수지타산은 맞추기가 쉽지 않은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두부제조 폐기물인 비지는 두부제조 과정 중 콩을 갈아서 끓인 후 단백질을 응고시킨 후 발생하기 때문에 콩 단백질의 30% 가량이 열 변성된 상태로 존재하고 그 외에도 헤미셀룰로즈, 셀룰로즈와 같은 불용화 성분도 존재하므로 콩 가공식품의 부산물에 대하여 별도로 가공공정이 없이 직접 가축사료로 공급되는 경우 그 영양원은 대부분 흡수되지 못하고 체외로 배설되는 문제점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가공 과정 중 발생되는 부산물은 단백질과 헤미셀룰로즈, 셀룰로즈와 같은 불용화 성분도 존재하므로 직접 가축사료로 공급되는 경우 그 영양원은 대부분 흡수되지 못하고 체외로 배설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원은 특수 공정으로 천연식물로부터 얻는 미생물발효액을 이용하여 식품가공 과정 중 발생되는 슬러지(부산물)에 발효공정을 수행하여 안정화시킨 후 기존의 사료성분과 혼합하여 가축사료용 첨가제 및 육용 농후사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의 기술사상은 식품가공 과정 중 발생되는 슬러지(부산물)는 별도의 안정화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타 사료성분과 함께 혼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유기성분이 다량 함유된 슬러지 성분이 신속히 분해/발효되면서 악취가 발생하며 영양원이 훼손되고 사료로 사용이 불가하기 때문에 식품가공 과정 중 발생되는 슬러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미생물발효액을 5~20 중량부 비율로 넣고 상온에서 1~3일 범위로 발효/숙성공정을 수행하여 안정화된 슬러지를 얻고 이를 이용 사료화되어 장기적 보관되는 경우에도 분해/발효되지 않는 특성을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본원 기술이 적용되는 식품가공 과정 중 발생되는 부산물이 예를 들어, 콩비지나 고구마박, 타피오카박, 소주박 등의 부산물이 종래 사료원료와 함께 혼합되어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경우에는 부산물의 원료 성분뿐 아니라 사료원료의 안정성을 함께 도모하기 위하여 식품가공 과정 중 발생되는 부산물과 사료원료 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미생물발효액에 발효/숙성시켜 안정화된 사료화 공정으로 적용시키는 기술이 바람직하다.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일 적용 예로서 가축의 생명을 유지하고 계란, 고기, 우유 등과 같은 축산물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영양원을 제공하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에서, 미강, 옥수수겨, 중에서 선택되는 사료원료 성분 50~80 중량부와 콩 가공식품 제조과정 중 발생되는 부산물 20~50 중량부가 혼합되어 기본혼합원료를 얻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얻은 기본혼합원료 100 중량부에 미생물발효액 10~50 중량부를 넣고 12~48시간 범위로 발효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거쳐 얻은 발효물을 스크린을 경유하며 수분함유 10~15 wt% 범위로 건조시키며 포장하는 제3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만들어짐으로 사료로 상품화 된 이후 변질되지 않는 특성을 갖는 사료원료물 얻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으로 적용된다.
상기 제2단계에서 사용되는 미생물 발효액은 과일이나 꽃의 열매로부터 얻은 종균을 이용하여 얻고 pH 가 3.2~3.5 범위에서 사용되도록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단계 적용에서 사용되는 콩 가공식품 부산물의 사용대신 주류 제조 과정 중 부산물로 발생되는 주박이나 소주박으로 변경되어 적용되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은 가축의 생명을 유지하고 계란, 고기, 우유 등과 같은 축산물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영양원을 제공하기 위한 가축사료 첨가물로서, 미강, 옥수수겨 중에서 선택되는 사료원료 성분 50~80 중량부와 식품 가공과정 중 발생되는 부산물 20~50 중량부가 혼합되어 기본혼합원료를 얻고, 상기 기본혼합원료 100 중량부에 미생물발효액 10~50 중량부를 넣고 12~48시간 범위로 발효시킨 후 상기 발효물을 스크린을 경유하며 수분함유 10~15 wt% 범위로 건조시키며 포장하여 상품화 된 이후 변질되지 않는 특성을 갖는 원료물을 얻도록 적용되어 기존의 사료 조성물에 5~20 wt% 범위로 포함되어 가축사료로 사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이용되는 미생물발효액은 그 적용대상이 살아 있는 동물을 대상으로 하므로 인공적으로 가공된 화학적 공정에 의한 종균이 아니라 천연식물로부터 얻는 종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과일나무 중 아그배의 열매나 백합열매나 목련열매를 따서 15~30℃의 저온분위기에서 20~40일 범위로 숙성시키고 그 상부에 면포나 삼베를 덮어 놓는 경우 면포나 삼베의 상부로 종균이 흰 곰팡이 상태로 올라오도록 적용되어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숙성기간을 단축시키고 싶을 땐 아그배 열매나 백합열매나 목련열매를 따서 15~30℃의 저온분위기에서 10일 정도 숙성시키고 미량의 설탕이나 당밀을 약간 가해준 후 약 3~4일이 지나면 면포나 삼베의 상부로 종균이 올라오는바, 이 종균을 깨끗한 정수 100ℓ에 당밀 100g, 벼 100g 정도와 설탕 10여 스픈이 넣어진 배양액을 만들어 종균을 넣고 약 3~5일 정도를 경과시키며 pH 가 3.2~3.5 범위에 이르게 되면 본원에 사용되는 미생물발효액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
본원은 일반 콩 가공식품 과정 중 발생하는 슬러지류가 단백질이 24∼30%, 지방이 약 13∼15%, 탄수화물이 50∼60%로 영양성분이 풍부하나 콩비지는 수분함량이 높기 때문에 잡균이 번식하여 매우 쉽게 부패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어서 도시 및 인근에 산재해 있는 중소 두부공장이나 두유 생산업체에서는 콩비지 처리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현재에는 대개가 폐기물 업자에게 일정한 수거 수수료를 지불하면서 처리를 의뢰하고 있는 실정인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콩 식품 부산물을 고부가가치화할 수 있고, 폐기물 치리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서 환경적으로도 유익한 효과를 제공한다.
현재 수입산 사료첨가물(다이아몬드사 제품)은 6000원/kg 정도로 농가에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본원에서 제공되는 사료첨가물은 수입가의 1/2~1/3 선으로 저렴하게 제공될 수 있고, 오히려 양계농가에서 더욱 많은 산란율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양계농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만들어진 제조실시예 a, b 제품을 킹콩 1, 2로 명명하여 한일사료 분석실에 분석을 의뢰하여 얻은 샘플분석표임.
도 2는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만들어진 제조실시예 a 제품을 기존 사료에 2 중량%로 함유되도록 양계에 적용하고 농장주가 산란개수를 확인하여 기록 후 출원인에게 전달해준 실험결과 자료임.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사료(feedstuff)"는 가축이 생명을 유지하고 계란, 고기, 우유 등과 같은 축산물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유기 또는 무기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는 물질을 지칭하며,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농후사료(concentrated feed)"는 부피가 적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의 영양소 함량이 높은 사료를 지칭하도록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이 구현되는 실시양태를 을 상세히 설명할 때 식품가공 과정 중 발생되는 슬러지(부산물) 중 콩 가공식품의 제조 과정 중 발생되는 슬러지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하며 콩 가공식품 부산물이 주류 제조 과정 중 발생되는 주박이나 소주박으로 변경되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콩 가공식품의 제조 과정 중 발생되는 슬러지(부산물)는 별도의 안정화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타 사료성분과 함께 혼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유기성분이 다량 함유된 슬러지 성분이 신속히 분해/발효되면서 악취가 발생하며 영양원이 훼손되어 사료의 기능을 상실하기 때문에 콩 슬러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미생물발효액을 5~20 중량부 비율로 넣고 상온에서 1~3일 범위로 발효/숙성공정을 수행하여 안정화된 슬러지를 얻고 이를 이용 사료화되어 장기적 보관되는 경우에도 분해/발효되지 않는 특성을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실시양태를 설명하기 위해 먼저 자연 식물원료로부터 종균을 얻는 제조실시예와 미생물발효액 제조실시예와 사료 제조실시예 등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자연 식물원료로부터 종균을 얻는 제조실시예(1)
본원 발명자는 식품 가공 공정 중 발생하는 유기성 슬러지(부산물)를 이용하여 가축사료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자연 식물원료로부터 종균을 얻어 발효공정을 수행하고자 하였는바, 발명자가 사용한 종균은 배 나무의 열매 중 배꽃으로부터 초기에 많은 열매가 달린 아그배를 약 1/10 정도만 남겨 견실한 과일로 키우고 나머지는 속아내는 아그배를 세라믹용기(항아리) 바닥에 깔아 놓고 약 18~20℃의 저온 분위기에서 약 20일 범위로 숙성시킨 후 그 상부에 면포를 덮어 놓으면 약 1주일 후 면포 저부로 종균이 하얕게 달라 붙는 것을 볼 수 있는바 이를 아그배 종균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
상기의 식물성 종균제조는 아그배열매 이외에 볏짚은 통하여 얻을 수 있는바 볏짚과 벼를 약 18~20℃의 저온 분위기에서 20~40일 범위로 숙성시키고 그 상부에 삼베를 덮어 얻어 놓으면 약 1주일 후 삼베 저부로 종균이 하얕게 달라 붙는 것을 볼 수 있는바 이를 볏짚 종균을 얻을 수 있다.
미생물발효액 제조실시예(2)
본원 발명자는 깨끗한 정수 100ℓ에 당밀 100g, 벼 100g 정도와 설탕 10여 스픈이 넣어진 배양액을 만들고 상기 제조실시예(1)에서 얻은 아그배 종균을 넣고 35~38℃를 유지하는 항온실 약 3~4일 정도를 경과시키며 pH 가 3.2~3.5 범위에 이르게 된 미생물발효액으로 본원기술에 적용할 수 있었다.
가축사료 제조실시예(3)
본원 발명자는 아래 표 1의 조성으로 사료조성물을 만들고 사료조성물에 대한 영양성분의 함량을 분석하는 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제조예 a 제조예 b 제조예 c 제조예 d
사료원료
미강 50 80
옥수수겨 50 80
본원첨가물
두부슬러지 50 50 20 20
미생물발효액 50 50 50 50
소 계 150 150 150 150
분석내용







수 분 6.2 5.91 6.6 6.12
조단백 14.18 15.69 14.20 15.72
조지방 18.43 13.52 18.41 13.38
조섬유 12.21 13.58 12.02 13.48
조회분 11.43 10.86 11.62 11.02
칼슘 0.32 0.28 0.31 0.27
1.31 1.19 1.30 1.17
ADF 11.73 13.44 11.62 13.48
NDF 23.59 24.14 23.48 24.21
상기 제조예에는 미강이나 옥수수겨 중에서 선택되는 사료원료에 두부제조공정에서 부산물로 제공된 두부 슬러지를 혼합시켜 기본혼합원료를 얻고 기본혼합원료에 미생물발효액을 넣고 37±3℃ 를 유지하는 항온실에서 30시간 발효/숙성 공정을 수행하고 건조스크린을 통해 건조공정을 수행하여 수분함량 5~7% 조건에서 출원인이 킹콩 1,2로 명명하여 한일사료 분석실에 의뢰하여 분석된 내용이고, 상기 실험에 사용된 미강은 수분 4 wt%가 사용되었고 옥수수겨는 수분 5.5wt%가 사용되었으며, 두부 슬러지는 수분 25.5wt%가 사용되었으며 상기 실험결과는 본원 출원인이 개인이고 정식으로 분석의뢰에는 의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것을 감당하기 어려워서 표 1의 제조실시예 a, b로 만들어진 제품을 킹콩 1, 2로 명명하여 서울우유에 실험의뢰를 부탁하고 서울우유에서 한일사료 분석실에 분석을 의뢰하여 얻은 분석자료이다.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발효분해물은 조단백 성분이 14~16% 범위이고 조지방 성분이 12~17& 범위이며, 조섬유 성분이 12~14% 범위이고 조회분 성분이 10~12% 범위로 제공되며 칼슘, 인 성분을 함유하고 ADF, NDF가 높은 함량을 나타내는 사실로부터 농후사료로 제공되어 사료 첨가물로 사용되기에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원에서 제공되는 사료 첨가물은 가축의 생명을 유지하고 계란, 고기, 우유 등과 같은 축산물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영양원을 제공하기 위한 가축사료의 첨가물로서 기존 상품화되어 사용되는 가축사료류에 1~10wt% 범위로 추가되어 사용되는 가축사료 첨가물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원 발명자는 본원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만들어진 사료첨가물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양계 15만 여수를 사육하는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가업리 13-1의 신춘추농장(031-879-2978)에서 한 개의 사육 동에서 기존의 수입산 사료첨가제(다이아몬드)를 일반사료에 2중량%로 함유시켜 사용할 때와 본원의 상기 제조예 a로 만들어진 사료 첨가물을 일반사료에 2중량%로 함유시켜 사용할 때의 산란개수를 특정기간(2015년 1월 23일부터 2015년 2월 22일까지)조사하고자 하였으며, 그 실험결과는 하기와 같았다.
2015년 1월 1일부터 2015 1월 22일까지의 평균 산란개수 : 490±5
2015년 1월 23일부터 2015 2월 22일까지의 평균 산란개수 : 510±5
2015년 2월 23일 이후 평균 산란개수 : 490±5
따라서 본원에서 제공되는 사료첨가물은 기존의 수입산 사료첨가제(다이아몬드)보다 우수하여 금후로 양계농가에 기능성 사료첨가제로 사용가능성을 확인하고 특허출원에 이르게 되었으며, 출원인의 일방적 주장이 아니라 양계농원에서 매일 첵크하며 전해준 관련 자료를 첨부하고 또는 실제로 현장농원에 확인할 수 있도록 연락처(전화번호) 및 주소지를 밝히도록 하였다.
본원에서 도 1내용은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만들어진 제조실시예 a, b 제품을 킹콩 1, 2로 명명하여 한일사료 분석실에 분석을 의뢰하여 얻은 샘플분석표이고, 도 2는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만들어진 제조실시예 a 제품을 기존 사료에 2 중량%로 함유되도록 양계에 적용하고 농장주가 산란개수를 확인하여 기록 후 출원인에게 전달해준 실험결과 자료이므로 별도의 부호설명은 필요없다 할 것이다.

Claims (4)

  1. 가축의 생명을 유지하고 계란, 고기, 우유 등과 같은 축산물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영양원을 제공하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미강이나 옥수수겨 중에서 선택되는 사료원료 성분 50~80 중량부와 콩 가공식품 제조과정 중 발생되는 부산물 20~50 중량부가 혼합되어 기본혼합원료를 얻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얻은 기본혼합원료 100 중량부에 미생물발효액 10~50 중량부를 넣고 12~48시간 범위로 발효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거쳐 얻은 발효물을 스크린을 경유하며 수분함유 5~7 wt% 범위로 건조시키며 포장하는 제3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만들어짐으로 사료로 상품화 된 이후 변질되지 않는 특성을 갖는 사료첨가제 조성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사용되는 미생물 발효액은 과일이나 꽃의 열매로부터 얻은 종균을 이용하여 얻고 pH 가 3.2~3.5 범위에서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1단계 적용에서 사용되는 콩 가공식품 부산물이 주류 제조 과정중 발생되는 주박이나 소주박으로 변경되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4. 가축의 생명을 유지하고 계란, 고기, 우유 등과 같은 축산물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영양원을 제공하기 위한 가축사료에 있어서,
    미강, 옥수수겨 중에서 선택되는 사료원료 성분 50~80 중량부와 식품 가공과정 중 발생되는 부산물 20~50 중량부가 혼합되어 기본혼합원료를 얻고, 상기 기본혼합원료 100 중량부에 미생물발효액 10~50 중량부를 넣고 12~48시간 범위로 발효시킨 후 상기 발효물을 스크린을 경유하며 수분함유 5~7 wt% 범위로 건조시키며 포장하여 상품화 된 이후 변질되지 않는 특성을 갖고 사료첨가물로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KR1020150040321A 2015-03-23 2015-03-23 콩 가공식품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얻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KR20160113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321A KR20160113927A (ko) 2015-03-23 2015-03-23 콩 가공식품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얻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321A KR20160113927A (ko) 2015-03-23 2015-03-23 콩 가공식품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얻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927A true KR20160113927A (ko) 2016-10-04

Family

ID=5716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321A KR20160113927A (ko) 2015-03-23 2015-03-23 콩 가공식품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얻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39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992A (ko) 2022-01-26 2023-08-0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셀룰로오스 분해력이 강한 미생물과 영지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발효물을 포함하는 복합 발효 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992A (ko) 2022-01-26 2023-08-0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셀룰로오스 분해력이 강한 미생물과 영지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발효물을 포함하는 복합 발효 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ananbeh et al.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on date-palm leaves mixed with other agro-wastes in Saudi Arabia
CN103102189B (zh) 利用工厂污泥和海鲜菇菌渣的有机肥料配方及其生产工艺
CN103283954A (zh) 一种以甘蔗尾叶为主要原料制备生物饲料的方法
Aragón et al. The effect of a silage inoculant on silage quality, aerobic stability, and meat production on farm scale
CN103283956A (zh) 一种用香蕉秆、茎叶制备生物饲料的方法
KR20190062995A (ko) 비지박을 함유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료 조성물
CN103859229A (zh) 一种蚯蚓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970203A (zh) 多纤维菌素肉牛养殖饲料
KR20160101307A (ko) 대두 침지수를 발효하여 제조하는 양액, 비료 또는 사료용 발효물 제조방법
CN104366013A (zh) 以桑树的茎杆、叶为主要原料制制备生物饲料的方法
KR20180066534A (ko) 식용 곤충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70713B1 (ko) 콩 가공식품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얻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KR102257872B1 (ko) 부숙유기질비료의 살균, 탈취 및 부숙 촉진을 위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52942B1 (ko) 숯과 패각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02389023A (zh) 秸秆饲料蛋白菌及其制作方法
KR102183599B1 (ko) 부숙유기질비료의 살균, 탈취 및 부숙 촉진을 위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30789B1 (ko) 정제형 부산물 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3927A (ko) 콩 가공식품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얻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Nikšić et al. Farming of Medicinal Mushrooms
KR20170142077A (ko) 애완동물용 다이어트 사료의 제조방법
KR101779981B1 (ko) 잣 솔방울 유 및 잣 솔방울 박을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1094A (ko) 한약재 부산물을 활용한 곤충사료와 이의 제조방법
CN104206671A (zh) 用甘蔗全株制备生物饲料的方法
KR101473373B1 (ko) 코끼리풀을 이용한 소 사육용 사료조성물
KR101362125B1 (ko) 영양 발효 음용수, 영양 발효 음용수의 제조방법, 영양 발효 음용수를 이용한 가축 사육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 가축의 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