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871B1 - 청자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청자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871B1
KR101873871B1 KR1020160139545A KR20160139545A KR101873871B1 KR 101873871 B1 KR101873871 B1 KR 101873871B1 KR 1020160139545 A KR1020160139545 A KR 1020160139545A KR 20160139545 A KR20160139545 A KR 20160139545A KR 101873871 B1 KR101873871 B1 KR 101873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adon
elvan
loess
glaz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5437A (ko
Inventor
김경진
김보미
Original Assignee
김경진
김보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진, 김보미 filed Critical 김경진
Priority to KR1020160139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871B1/ko
Priority to PCT/KR2016/012229 priority patent/WO2018079881A1/ko
Publication of KR20180045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8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02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86Glazes; Cold glaz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자유약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청자유약 조성물은 황토, 맥반석 및 용매를 포함하여, 원적외선 방사와 음이온 용출 효과가 있고, 청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청자유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청자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ELADON GLAZE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발생 및 음이온 용출 효과가 있는 청자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자는 황토와 점토, 고령토 등을 적절히 혼합하여 물에 풀어진 체로 걸러 앙금을 가라앉히고 노천에 건조시키는 수비방법으로 제토한 청자점토로 만든 형태(이하, 태토라 한다.) 위에 철분이 포함된 장석질 유약을 입혀 구워낸 자기의 일종으로, 이때 유약의 색이 초록이 섞인 푸른색으로 비취색과 흡사하고 투명에 가깝다. 청자유약을 상기 태토 위에 칠하면 태토의 흐린 회색이 바탕이 된 녹청색의 청자를 제조할 수 있다.
청자의 태토와 유약은 청자를 만든 나라와 지방, 시대, 굽는 방법 등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유약은 도자기 표면에 도포하여 광택을 주거나 아름답게 하고 강도를 증가시키는 용도, 도자기의 표면에 얇게 씌워서 광택과 색채 또는 무늬를 내어주는 유리질 소재를 칭한다.
청자는 외관이 수려하고 색이 아름다워 예부터 사랑받아 왔으며, 현대까지 장식용뿐만 아니라 식기로서의 수요도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도기나 자기는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가 많고, 전자레인지, 오븐, 식기세척기 등의 생활가전에 의한 충격에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청자는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재료가 고가이므로 대량생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보편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생활 가전에 파손되지 않는 강도를 가지는 청자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적외선이 발생하고 음이온이 용출되는 청자유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급이 용이하고 청자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청자유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청자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황토, 맥반석 및 용매를 포함하는 청자유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황토는 입경이 1000 내지 1500 mesh이고, 상기 맥반석은 입경이 100 내지 500 mesh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황토 및 맥반석은 1:2 내지 1:4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청자유약 조성물은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하여, 맥반석 200 내지 400 중량부, 장석 200 내지 300 중량부, 규석 80 내지 90 중량부, 석회석 200 내지 300 중량부 및 와목점토 5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황토 및 맥반석 개별 분쇄 단계, 상기 황토와 맥반석을 각각 용매에 침지하여 부유하는 황토 미분과 맥반석 미분을 선별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황토 미분과 맥반석 미분을 혼합하여 황토-맥반석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각각 분말형태의 장석, 규석, 석회석, 와목점토를 용매에 습식 혼합하여 습식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된 황토-맥반석 혼합물과 습식 혼합물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자유약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황토-맥반석 혼합물을 용매에 침지하여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자유약 조성물은 원적외선이 발생하고 음이온이 용출되는 청자유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자유약 조성물은 또한 공급이 용이하고 청자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청자유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황토, 맥반석 및 용매를 포함하는 청자유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황토는 항진균성,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작용, 생리 활성화 작용 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황토 또한 분쇄하여 분말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황토는 입경이 1000 내지 1500 mesh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 내지 1500 mesh인 미세분말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황토는 입경 1500 mesh 미만인 경우 항균력이 떨어지고, 1000 mesh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른 맥반석 분말과의 교반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맥반석(Quartz Porphyry, 麥飯石)은 회백색을 띈 안산반암으로서 암석의 모양이 보리밥알갱이와 같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 맥반석의 성분은 Ge(게르마늄), SiO2, Al2O3, Fe2O3, CaO, MgO, K2O, NaO, TiO2, P2O5, MnO, TiO2, P2O5, MnO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무기물과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 되어 쓰임새가 확대되고 있다. 강한 흡착, 무기질의 석출, 수질조절, 수중용존산소량 조절 등의 기능이 보고된 바 있다. 맥반석은 암석의 성질이 구멍이 많은 다공성으로 구멍을 통해 흡착 작용을 하여 용액 내 불순물 제거, 중금속 제거, 균체 포착 등의 효과가 있고, 용액 내 미네랄 용출, 음이온 용출 촉진 효과, 원적외선 발생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맥반석은 분쇄하여 분말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맥반석은 입경이 100 내지 500 mesh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 mesh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맥반석은 청자유약 조성물에서 상기 범위 내의 분말로 포함되는 경우 원적외선 발생 효과 및 중금속 포착 효과가 향상된다.
상기 맥반석 분말은 입경 500 mesh ㎛ 미만인 경우 맥반석의 원적외선 발생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100 mesh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약 혼합 후 침전이 발생할 수 있고, 유약을 바른 청자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황토 미세분말 및 맥반석 분말은 상기 범위 내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이 청자유약 조성물의 시유 특성, 청자 유면 광택, 평활도, 표면조도 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황토를 미세분말로 분쇄하고, 황토 분말과 맥반석 분말을 입자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혼합함으로써 다공성의 맥반석에, 황토 미세분말이 고착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황토 및 맥반석의 분쇄는 황토 및 맥반석을 50 내지 100 ℃의 열풍으로 2 내지 4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건조된 황토 및 맥반석을 100 mesh 이하의 입자직경으로 1차 분쇄시켜 사용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분쇄된 황토와 맥반석을 각각 정제수에 침지하여 부유하는 황토 미분과 맥반석 미분을 선별하여 건조시키고, 건조된 황토 미분과 맥반석 미분을 상기 범위 내로 2차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정제수에 침지 후 부유하는 미분을 사용하므로, 가볍고 미세한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내로 분쇄된 황토 미분과 맥반석 미분을 혼합하여 황토-맥반석 혼합물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황토-맥반석 혼합물을 정제수에 침지하여 숙성시킨 후 사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숙성 단계를 실시하는 경우, 숙성은 0 내지 4 ℃의 저온에서 3일 이상 숙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토-맥반석 혼합물을 숙성하여 황토 및 맥반석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원적외선 발생 및 음이온 방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황토 및 맥반석은 1:2 내지 1:4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황토 1 중량비에 대하여 맥반석이 2 중량비 미만으로 포함되면 청자의 색상이 변질될 수 있고, 황토 1 중량비에 대하여 맥반석이 4 중량비 초과하여 포함되면, 유약의 발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황토 및 맥반석이 상기 범위 내의 중량비로 혼합될 경우, 내구성이 향상되어 전자레인지에 적용 가능한 청자를 제조할 수 있고, 입자가 서로 다른 황토 및 맥반석 분말의 고착이 알맞게 일어날 수 있다.
상기 황토 및 맥반석은 청자유약 조성물에 첨가되면 안정적이고, 유면의 평활도를 높여주며, 표면조도를 개선하고,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청자유약 조성물 제조단계에서 상기 황토 및 맥반석은 먼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 IPA), 에탄올, 증류수 등일 수 있다.
상기 청자유약 조성물은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하여, 맥반석 200 내지 400 중량부, 장석 200 내지 300 중량부, 규석 80 내지 90 중량부, 석회석 200 내지 300 중량부 및 와목점토 5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장석, 규석, 석회석은 유약의 3대 주요 원료이자 유약의 3대 요소이다. 상기 장석(長石)은 점토에 첨가되어 점토질이나 규석질을 용해하여 강도를 갖게 하는 융제 역할을 하며 규석, 석회석의 용융을 도와 점토 면에 유약이 융착되도록 도와준다. 상기 장석은 칼륨, 나트륨, 칼슘, 바륨을 함유한 알루미늄 규산염광물로, 화학식 (K,Na,Ca,Ba)(Al,Si)4O8로 표시된다.
상기 규석(珪石)은 유리질이 주성분으로써 유약의 뼈대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 규석은 그 자체가 유리질이나 고온에만 녹기 때문에 저온의 장석이나 석회석과 함께 어울려서 적정온도의 유약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유약에서 규석을 증가시키면 용융온도가 높아지고(내화도도 증가) 경도와 강도가 증가하며 팽창계수가 저하된다.
상기 석회석(石灰石)은 수성암 종류이며 칼슘성분이 많고 유약에 첨가되어 유약의 표면을 부드럽고 고르게 해주며 유탁작용(釉濁作用)을 한다. 상기 석회석은 대부분 유약에 기본 원료로 사용되며 분말상태는 약간 회색빛이 도는 흰색이며 상기 작용 외에 도자기 표면의 광택과 유연성에 영향을 준다.
상기 유약의 3요소 즉 장석, 규석, 석회석에 의하여 유약의 골격이 이루어지면 여기에 별도로 산화물 등의 발색제를 첨가하여 색상을 내주거나 유탁제나 결정생성제를 넣어주어 유약의 투명도나 표면상태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장석, 규석 및 석회석은 통상의 유약에 첨가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와목점토는 지름 1 내지 3mm 정도의 석영 입자를 흩어진 점 모양으로 다량 포함하는 백색 내지 옅은 회녹색의 카올린 점토로, 유약에 소량으로 사용되어 유약이 바닥에 가라앉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청자유약 조성물의 배합단계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청자유약 조성물은 황토 및 맥반석 개별 분쇄 단계, 상기 황토와 맥반석을 각각 용매에 침지하여 부유하는 황토 미분과 맥반석 미분을 선별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황토 미분과 맥반석 미분을 혼합하여 황토-맥반석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각각 분말형태의 장석, 규석, 석회석, 와목점토를 용매에 습식 혼합하여 습식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황토-맥반석 혼합물과 습식 혼합물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청자유약 조성물 배합 단계는 황토-맥반석 혼합물을 흡식 혼합물과 교반하기 전에 정제수에 침지하여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교반 및 혼합 방법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황토-맥반석 혼합물은 교반기에서 건식교반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습식 혼합물 제조 단계는 습식 볼밀링 공정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볼 밀링 공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각각 분말형태의 장석, 규석, 석회석, 와목점도를 볼 밀링기(ball milling machine)에 투입하여 용매과 함께 습식 혼합한다. 볼 밀링기를 이용하여 일정 속도로 회전시켜 상기 재료를 기계적으로 혼합한다. 상기 볼 밀링에 사용되는 볼은 불순물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등의 세라믹 재질의 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볼은 모두 같은 크기의 것일 수도 있고 2가지 이상의 크기를 갖는 볼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볼의 크기, 밀링 시간, 볼 밀링기의 분당 회전속도 등을 조절한다. 예를 들면, 볼의 크기는 1 내지 50㎜ 정도의 범위로 설정하고, 볼 밀링기의 회전속도는 50 내지 500rpm 정도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볼 밀링은 1 내지 48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밀링에 의해 습식 혼합물이 혼합되고, 균일한 입자 크기 분포를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습식 혼합 공정을 거치면 미분화되어 슬러리(slurry) 상태를 이루며, 이러한 슬러리 상태의 물질을 청자유약 조성물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황토-맥반석 혼합물과 습식 혼합물을 각각 제조 후 교반함으로써, 황토-맥반석 혼합물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황토-맥반석 혼합물(건식)과, 습식 혼합물을 교반함으로써, 종래의 겔 형태의 유약이 아닌, 건식으로 유약을 뭉쳐서 기능이 필요로 하는 부분에만 별도로 이중시유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청자유약 조성물을 이용하여 청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청자 제조 방법은 (1) 태토 선정, 수비(水備), 토련(土練) 및, 성형(成形)(청자 기물 제조), (2). 1차 번조, (3). 시유, (4). 2차 번조, 5. 요출 및 선별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번조(燔造)는 질그릇이나 사기그릇, 도자기 등을 불에 구워서 만드는 일을 일컬으며, 도예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과정이다. 태토와 유약에 따른 청자의 색을 나타내기 위해 1차 번조(초벌구이) 800 내지 900 ℃까지 9 내지 11 시간, 2차 번조(재벌구이) 1230 내지 1300 ℃까지 14 내지 16 시간(950환원)동안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청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태토(胎土)를 준비한다. 상기 태토는 통상의 청자 제조방법에 따라 준비될 수 있다. 상기 태토를 원하는 형태로 성형하여 청자 기물을 형성한다. 청자 기물이라 함은 목표하는 형태의 청자를 제조하기 위해 성형된 청자 태토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상기 성형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주입 성형, 압출 성형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형성된 청자 기물을 1차 번조한다. 1차 번조(초벌구이)는 가스가마에서 수증기를 방출시키기 위해 200 ℃까지 가마 문과 굴뚝의 댐퍼를 열어놓고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온도가 800 내지 900 ℃가 될때까지 서서히 9 내지 11 시간 동안 번조하는 것일 수 있다. 가마 문과 굴뚝의 댐퍼를 열어놓고 번조하는 180 ~ 200℃ 사이에 기물 중에 있는 흡착수가 완전히 증발하며, 510 ~ 710℃ 사이 태도에 화학적으로 결합해 있는 화학결정수와 유기물에 들어 있는 가스가 모두 증발한다. 1차 번조 과정에서 태토는 현저히 수축되고 약해지기 때문에 온도를 서서히 올려야 한다. 수증기 및 가스를 방출하지 않으면 도자기 외부 표면에 균열이 생길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중요하다.
1차 번조된 청자 기물에 청자유약 조성물을 시유한다. 시유란 1차 번조된 도자기에 유약을 입히는 과정을 말한다. 유약은 미세기공이 존재하는 청자 기물 표면에 유리질 막을 형성하여 강도 증진 및 흡수율 감소를 유도하고, 고유의 발색과 질감을 발현한다. 1차 번조가 된 기물은 다공질 상태는 물에 풀어 둔 유약이 물과 함께 흡수되어 기면에 유약이 붙게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때 지나치게 빠른 흡수가 기공을 형성하기도 하여 핀홀의 수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핀홀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유약이 과다하게 흡수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해 기물의 표면을 젖은 스펀지로 닦아내거나 순간적으로 물에 담가 주는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시유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컨대 1차 번조된 청자 기물을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청자유약 조성물에 담그거나, 청자유약 조성물을 붓과 같은 도구로 청자 기물의 표면에 바르거나, 청자유약 조성물을 스프레이 장치로 청자 기물의 표면에 뿌리는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담금법, 흘림법, 분무법, 도장법, 진동법, 체적법, 휘발법 등 여러 시유방법으로 사용해도 그 효과가 좋다.
초벌구이한 기물을 가마에서 꺼내 곧바로 시유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먼지가 내려 앉거나, 땀이나서 기름기가 있는 손으로 기물을 자꾸 만지면 그곳 역시 유약이 잘 묻지 않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시유는 또한 적당한 두께로 하도록 해야한다.
상기와 같은 시유 방법은 대부분 습식으로 시유하는 것이나, 건식으로 유약을 뭉쳐서 기능이 필요로 하는 부분에만 별도로 이중시유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시유된 청자 기물을 1230 내지 1300 ℃에서 2차 번조(재벌구이)하여 청자를 제조할 수 있다. 2차 번조는 700℃가 될 때까지 낮은 온도부터 서서히 가열하고, 700℃가 되어 가마 내부가 검붉은 색으로 달아오르면 불과 유약을 보기 위한 불구멍을 모두 닫고 1230 내지 1300℃까지 온도를 빨리 상승시킨다. 900 ℃ 후부터는 번조 분위기에 따라 유약의 발색이 뚜렷이 달라진다. 본 발명에서는 환원염에서 구워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환원염은 산소가 부족하면 연료가 덜 타게 되고 덜 탄 연료는 산소를 강하게 요구하기 때문에 유약이나 태토 안에 들어있는 산소를 취하여 연소하게 된다. 유약이나 태토에 산소와 결합해 있던 광물은 산소를 내어 주고 원래의 상태로 환원하게 된다. 산소를 내어준 광물은 원상태로 환원되었기 때문에 구리는 원래의 빛깔인 빨간색이 되고 철은 회청색이 된다. 2차 번조에서 태토가 유리질로 변하고 유약의 성분이 녹아서 유리 같이 된다.
상기 2차 번조 온도가 1230 ℃미만인 경우에는 청자유약 조성물이 불완전하게 용융되어 청자 소성체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거나 광택(윤기) 특성이 좋지 않을 수 있고, 13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에너지의 소모가 많아 비경제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번조는 상기 소성온도에서14 내지 16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차 번조 시간이 너무 긴 경우에는 에너지의 소모가 많으므로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더 이상의 소성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2차 번조 시간이 작은 경우에는 불완전한 소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성은 환원 분위기(예컨대, 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LPG) 분위기 또는 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LPG) 분위기와 공기가 혼합된 분위기)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에 의해 황토 및 맥반석이 함유된 청자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청자는 종래와 같이 도자기 재료인 흙에 맥반석을 혼합하는 것이 아닌 이미 1차 번조된 기물에 황토 및 맥반석이 함유된 청자유약 조성물을 시유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청자 식기와 음식물이 직접 접촉하게되고, 본 발명에 따른 식기의 원적외선 방사와 음이온 용출 효과가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황토-맥반석 혼합물에 의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전자레인지, 오븐, 식기세척기 등에 사용이 가능한 청자 식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 제조예 1: 맥반석 분말]
맥반석을 50 내지 100 ℃의 열풍으로 2 내지 4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건조된 맥반석을 100 mesh 이하의 입자직경으로 1차 분쇄시켰다.
상기 분쇄된 맥반석을 증류수에 침지하여 맥반석 미분을 선별하여 건조시키고, 건조된 맥반석 미분을 평균입경이 약 400 mesh가 되도록 2차 분쇄하였다.
[ 실험예 1: 맥반석 기능 평가]
1) 미네랄 용출시험
Ca, K, Na 등의 미네랄 성분이 용출되며, 용출되는 정도는 맥반석판보다 맥반석 가루에 의해 더욱 많음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가루 사용에 의한 넓은 표면적 때문으로 사료되며, 미네랄 성분의 용출정도는 Ca>K>Na의 순이었다.
2) 유해물질 용출시험
A. 맥반석을 2일간과 7일간 Blank water 용출시킨 후, 휘발성 유기물질을 분석하였다. 모든 시료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들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B. 수중 농약류 검사결과
맥반석을 용출시킨 시료에 대하여 농약류를 분석한 결과 모두에서 분석대상 농약이(중금속) 검출되지 않았다.
C. 음이온 성분 용출 조사결과
증류수에 맥반석을 넣고 2일 및 1주일 후 용출되는 음이온 성분을 측정. 조사한 F-, NO3 -, SO4 -2 이온성분은 전혀 용출되지 않았으나 염소이온은 용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일정량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용출되는 정도는 맥반석 가루가 가장 현저하였으며 맥반석판, 맥반석 구슬이 순서였다.
D. 중금속 성분의 용출 조사결과 (Mn, Fe, Cu, Zn, Pb, Cd, As, Se, Hg)
증류수에 맥반석을 넣고 일정시간 방치시킨 후 용출되는 중금속 성분을 측정 조사한 결과 금속 성분들은 1주일 침적에 의해서 검출되지 않았다.
E. 미생물 시험결과
맥반석을 넣은 시험수에 일반세균 및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F. 심미적 영향물질의 용출시험 결과
유기물 농도를 대표할 수 있는 과망간산칼륨 소비량과 증발 잔류물의 경우 약간 증가하고 pH의 경우 시간의 경가에 따라 강알칼리화 되었다.
또한 경도의 농도가 약간 증가되었으며 이는 미네랄 용출의 결과로 사료된다. 그밖에 맛, 냄새, 색도, 세제, 탁도 등에서는 전혀 변화가 없었다.
3) 유해물질 제거효과
맥반석은 암석의 성질이 구멍이 많은 다공성으로 이 구멍을 통해서 흡착 작용을 하는데 맥반석 가루 16g을 사용하였을 때에 Mn, Fe, Cu, Pb, Cd, As의 중금속이 침적 4시간경과 후 90%이상이 제거되었으며 Hg(수은)는 80% 제거되는 등 뛰어난 제거효과를 나타냈다.
4) 시안의 제거효과에 대한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또한 백반석의 양이 많을수록 제거가 잘 됨을 알 수 있었다.
5) 용존산소량 및 pH 변화 측정 결과
약산성이었던 물이 약알칼리성으로 변하였으며, 용존산소량은 시간경과에 따라 약 30%증가를 보였다.
6) 살균력 시험결과
시료의 양이 많을수록 세균의 감소가 높게 나타났다.
조직적 특징에 따라 많은 sio-와 미생물중의 많은 N+기 이중 결합을 이루므로 균체를 포착하는 흡착능력이 있다.
7) 미생물 생성 억제 시험
최적의 농도로 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미생물의 생성 여부를 알아본 결과 특정균의 생성이 없었다.
[ 제조예 2: 황토 및 맥반석을 포함하는 청자유약 조성물 제조]
< 실시예 1>
강진황토 10 중량%, 맥반석 30.3 중량%, 장석 24.3 중량%, 규석 8.7 중량%, 석회석 20.7 중량%, 와목점토 6 중량%로 준비하였다.
상기 황토 및 맥반석을 100 ℃의 열풍으로 2 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건조된 황토 및 맥반석을 100 mesh 이하의 입자직경으로 1차 분쇄시켰다. 상기 분쇄된 황토와 맥반석을 각각 증류수에 침지하여 부유하는 황토 미분과 맥반석 미분을 선별하여 건조하고, 건조된 황토 미분과 맥반석 미분을 평균입경이 각각 황토 1200 mesh, 맥반석 400mesh가 되도록2차 분쇄하였다.
상기 미분을 혼합하여 황토-맥반석 혼합물 제조하고, 황토-맥반석 혼합물을 정제수에 침지하여 4 ℃에서 3 일간 숙성시켰다.
각각 분말형태의 장석, 규석, 석회석, 와목점도를 증류수에 습식 혼합하여 습식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된 황토-맥반석 혼합물과 습식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비교예 1>
맥반석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황토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황토 및 맥반석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 제조예 3: 청자유약 조성물이 시유된 청자 제조]
소지를 성형하여 식기 모양의 청자 기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청자 기물을 1000℃의 산화분위기에서1차 번조하였다.
1차 번조된 청자 기물에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청자유약 조성물에 담궈 시유하고, 시유된 청자 기물을 1300 ℃에서 2차 번조하여 청자 식기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관능평가]
관능실험은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제조한 청자 식기의 색감, 촉감, 강도, 음식의 신선도 유지, 전체적 기호도에 대하여 응답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관능 검사 요원은 20명으로 10대~40대의 학생, 직장인으로 구성하였다. 관능 검사 요원들은 각각의 평가 항목에 대해서 1~5점 사이에서 평가를 하도록 하였다(1점으로 갈수록 평가가 나쁜 것을 의미하며, 5점으로 평가가 좋은 것을 의미한다).
색감 촉감 강도 음식의 신선도 유지 전체적 기호도
실시예1 4.3 4.35 5 4.05 4.5
비교예1 4 3.9 3 3.4 3.4
비교예2 4.05 3.15 2.9 3.15 3.5
비교예3 4.5 4 2.75 3.25 3.05
구체적으로 색감은 청록빛과 투명도가 높으면 5, 갈색 등 다른 색상이 비치거나 불투명하면 1점, 촉감은 매끄러우면 5점 거칠면 1점, 강도는 전자레인지 사용시 이상이 없으면 5점, 균열이 발생하거나 깨지면 1점, 음식의 신선도 유지는 액체의 음식을 식기에 담아 상온에 보관하였을 때, 신선도가 유지되면 5점, 부패하거나 변질되는 속도가 빠르면 1점인 것으로 평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각 평가 항목에서 평균 4점 이상의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특히 강도에 대한 평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황토 및 맥반석 개별 분쇄 단계, 상기 황토와 맥반석을 각각 용매에 침지하여 부유하는 황토 미분과 맥반석 미분을 선별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황토 미분과 맥반석 미분을 혼합하여 황토-맥반석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각각 분말형태의 장석, 규석, 석회석, 및 석영입자를 포함하는 와목점토를 용매에 습식 혼합하여 습식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된 황토-맥반석 혼합물과 습식 혼합물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된 혼합물은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하여, 맥반석 200 내지 400 중량부, 장석 200 내지 300 중량부, 규석 80 내지 90 중량부, 석회석 200 내지 300 중량부 및 석영입자를 포함하는 와목점토 5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황토는 입경이 1000 내지 1500 mesh이고, 상기 맥반석은 입경이 100 내지 500 mesh인 것인
    청자유약 조성물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맥반석 혼합물을 용매에 침지하여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청자유약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60139545A 2016-10-25 2016-10-25 청자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3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545A KR101873871B1 (ko) 2016-10-25 2016-10-25 청자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6/012229 WO2018079881A1 (ko) 2016-10-25 2016-10-28 청자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545A KR101873871B1 (ko) 2016-10-25 2016-10-25 청자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437A KR20180045437A (ko) 2018-05-04
KR101873871B1 true KR101873871B1 (ko) 2018-07-04

Family

ID=6202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545A KR101873871B1 (ko) 2016-10-25 2016-10-25 청자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3871B1 (ko)
WO (1) WO20180798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8173A (zh) * 2019-05-23 2019-08-16 佛山市东鹏陶瓷有限公司 一种生态级负离子陶瓷釉层结构、瓷砖及瓷砖制备方法
CN111377610A (zh) * 2020-03-13 2020-07-07 宜兴市金鱼陶瓷有限公司 一种青瓷窑变釉及其制备方法
CN111943638A (zh) * 2020-08-19 2020-11-17 金华市婺窑小镇文化发展有限公司 一种高硬度宝石金刚紫光釉的制备方法
CN114455839A (zh) * 2020-11-09 2022-05-10 王建勋 一种钧瓷釉料的制备方法
CN113121200B (zh) * 2021-03-22 2022-12-30 福建省德化县嘉发陶瓷有限公司 釉上彩粉青瓷的制备工艺
CN113860741A (zh) * 2021-09-09 2021-12-31 湖南德兴瓷业有限公司 一种湘青釉及其制备方法
CN113858391B (zh) * 2021-10-27 2022-11-22 龙泉市尚唐瓷艺发展有限公司 一种双层隔热龙泉青瓷的制备方法及制备装置
CN115159849B (zh) * 2022-08-11 2023-05-16 福建省德化县华茂陶瓷有限公司 仿古黄秘色青瓷及其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244B1 (ko) * 1994-10-18 1997-12-29 박헌출 도기와에 논슬립(Non slip) 유약조성과 그 처리방법
KR980001892A (ko) * 1996-06-15 1998-03-30 최재호 옹기용 유약 조성물
KR100644884B1 (ko) * 2004-09-08 2006-11-15 동서산업주식회사 음이온 방출, 원적외선 방사 및 항균 기능을 가지는 유약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5348B1 (ko) * 2011-09-26 2013-06-17 김갑용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청자의 제조방법
KR101672337B1 (ko) * 2014-09-05 2016-11-04 채홍의 유약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79881A1 (ko) 2018-05-03
KR20180045437A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871B1 (ko) 청자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4251B1 (ko) 콩깍지 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
KR101021620B1 (ko) 내열직화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내열직화자기
CN101747089A (zh) 一种汝窑玛瑙釉及其加工方法和应用
CN107266023B (zh) 表面温润如玉有透光性的喷墨渗花瓷质抛光砖及制备方法
KR101998651B1 (ko) 차 잎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995434B2 (ja) 来待粘土及び焼物の製造方法
CN1049839A (zh) 高氧化铝高强度日用瓷及其生产方法
KR102196349B1 (ko) 낙엽재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0830395B1 (ko) 백색 내열 소지 조성물
KR20190047539A (ko) 땅콩껍질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677219A (zh) 一种抗菌釉料、具有高硬度、平整釉面及抗菌功能的陶瓷砖及其制备方法
KR101994246B1 (ko) 광택투명 및 유백색 항균 유약 및 이를 이용하는 도자기의 제조 방법
CN107382281A (zh) 一种翡翠绿炉钧的烧制工艺
KR20070024444A (ko) 백색 내열 유약조성물
KR101017359B1 (ko) 초강화자기, 초강화자기용 소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516931B1 (ko) 기능성 타일의 제조 방법
KR20020015538A (ko) 도자기용 유약의 제조방법 및 도포방법
KR100673791B1 (ko) 화산암재를 이용한 도자기 소지 조성물
KR101917133B1 (ko) 커피 슬러지를 이용한 유약
KR101525356B1 (ko) 한탄강변 현무암이 포함된 이중 층 구조의 자기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자기
KR100610330B1 (ko) 세라믹 내열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790205B1 (ko) 인조 현무암 제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조현무암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25796B1 (ko) 제주 화산암재가 첨가된 배합소지의 제조방법
KR100688874B1 (ko) 화산암재를 이용한 도자기용 유약, 그 제조 및 사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