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478B1 - 인열 스트립을 갖는 압축된 티슈 카톤 - Google Patents

인열 스트립을 갖는 압축된 티슈 카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478B1
KR101870478B1 KR1020137025697A KR20137025697A KR101870478B1 KR 101870478 B1 KR101870478 B1 KR 101870478B1 KR 1020137025697 A KR1020137025697 A KR 1020137025697A KR 20137025697 A KR20137025697 A KR 20137025697A KR 101870478 B1 KR101870478 B1 KR 101870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carton
compressed
tear strip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5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915A (ko
Inventor
제임스 알렉산더 할람
데니스 에드워드 프라이어
마틴 크리스토퍼 번스
피터 부쓰
제임스 말리온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016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1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 B65D77/04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the inn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32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Abstract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카톤 및 미용 티슈와 같은 오버랩핑된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티슈 제품용 카톤에 관한 것이다. 압축된 카톤은 이러한 저밀도 제품을 수송하는 것과 연관된 비용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오버랩핑된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는 인열 스트립을 갖고, 이 인열 스트립은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가 팽창되는 것을 허용하여, 티슈 적층체의 압축을 해제하고 티슈가 정상적으로 분배되게 한다.

Description

인열 스트립을 갖는 압축된 티슈 카톤 {COMPRESSED TISSUE CARTON WITH TEAR STRIP}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해제될 때까지 티슈를 압축된 상태로 유지하는 해제 가능한 구속 디바이스 내에 랩핑(wrapping)되어 있는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stack)를 포함하는 티슈 카톤에 관한 것이다. 압축 티슈 적층체 및 카톤의 다양한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해제 가능한 구속 디바이스 내에 압축된 티슈를 랩핑함으로써, 사용자가 티슈를 정상적으로 분배하도록 허용하면서, 티슈가 더 작은 체적의 카톤 내에 포장될 수도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미용 티슈의 카톤과 같은 절첩된 티슈 제품을 수송할 때, 발생되는 운송 비용의 상당한 부분은 티슈의 낮은 밀도에 기인하는 공기의 수송에 기인한다. 따라서, 트럭에 의한 수송시에, 예를 들어 트럭의 체적 용량이 중량 용량보다 먼저 도달한다. 또한, 소매상의 선반에서, 티슈 제품의 큰 부피는 선반 공간을 소진시키고 따라서 소매상이 비축할 수 있는 품목의 수를 제한한다. 불행하게도, 수송 비용 효율을 증가시키고 그리고/또는 소매상 선반 공간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 소정의 카톤 내에 더 많은 티슈를 배치하는 것은 티슈의 적층체 내의 압축을 생성하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첫 번째 몇 장의 티슈를 찢지 않고 카톤으로부터 이들을 제거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소매상은 종종 더 적은 선반 공간을 사용하는 제품을 원하지만, 압축된 또는 밀집된 제품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단점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일 단점은 압축된 티슈 적층체가 전통적인 편평한 티슈 카톤에 포장될 때 열악하게 분배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소매상의 선반 상의 제품의 존재 또는 분배의 용이성을 희생하지 않고 더 경제적으로 수송될 수 있는 티슈 제품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압축된 티슈는 슬리브(sleeve) 또는 오버랩(overwrap)과 같은 해제 가능한 구속 디바이스 내에 티슈를 포장하고, 찢김 또는 찢어짐 없이 티슈를 분배하는 것이 가능한 카톤 내에 압축된 티슈를 포장함으로써 용이하게 분배될 수도 있다는 것이 현재 놀랍게도 발견되었다. 바람직한 해제 가능한 구속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제거하여 이에 의해 구속 디바이스를 개방하고 티슈가 사용자에 의해 제거될 수도 있는 분배 개구를 생성하는 인열 스트립(tear strip)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열 스트립의 제거는 약 30 내지 50 mm의 폭을 갖는 개구를 구속 디바이스 내에 생성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카톤의 외부벽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패널과, 적어도 하나의 패널 상에 배치된 개구와, 카톤 내에 배치된 오버랩핑된(overwrapped)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를 포함하고, 오버랩은 그 상부면에 배치된 인열 스트립을 갖는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를 분배하기 위한 티슈 카톤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부 패널과, 한 쌍의 대향 측면 패널과, 한 쌍의 대향 단부 패널과, 저부 패널과, 상부 패널 상에 배치되고, 카톤 개구를 형성하는 제거 가능한 서프보드(surfboard)와, 카톤 내에 배치된 높이(h2)를 갖는 오버랩핑된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와, 오버랩핑된 압축된 적층체 상에 배치된 인열 스트립을 포함하고, 인열 스트립의 제거는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가 높이(h3)로 팽창하게 하는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를 분배하기 위한 티슈 카톤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부 패널과, 제1 및 제2 측벽과, 상부 패널 상에 배치된 카톤 개구와, 카톤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거 가능한 서프보드와, 카톤 내에 배치된 인열 스트립을 갖는 해제 가능한 구속 디바이스 내에 랩핑된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티슈 카톤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부 패널 및 이 상부 패널 상에 배치된 카톤 개구를 갖는 분배 카톤을 제공하는 단계와, 티슈 시트의 적층체를 압축하는 단계와, 랩퍼 내에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를 랩핑하는 단계와, 랩핑된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를 카톤 내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축된 티슈의 카톤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 가능한 구속 디바이스 내에 랩핑되어 있는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를 도시한다.
도 2는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를 제조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 가능한 구속 디바이스 내에 랩핑되어 있는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 및 이를 분배하기 위한 카톤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슈 카톤을 도시한다.
도 5는 라인 1-1에서 취한 도 4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카톤이 사용자에 의해 부분적으로 개방된 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톤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카톤이 사용자에 의해 부분적으로 개방된 후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톤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티슈 카톤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티슈 카톤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정의
본 명세서에서 채용될 때,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및 원형 용어 "포함한다"로부터의 다른 파생어는 임의의 언급된 특징, 요소, 완전체, 단계 또는 구성 요소의 존재를 설명하는 개방형 용어인 것으로 의도되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요소, 완전체,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티슈"는 일반적으로 미용 티슈, 화장실 티슈, 페이퍼 타월, 냅킨 등과 같은 다양한 페이퍼 제품을 칭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티슈 제품의 평량(basis weight)은 약 80 제곱 미터당 그램(gsm), 몇몇 실시예에서 약 60 gsm 미만, 몇몇 실시예에서 약 10 내지 약 60 gsm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카톤 개구"는 일반적으로 카톤의 하나 이상의 벽에 형성된 개구를 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분배 개구"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티슈의 적층체를 오버랩핑하는 재료에 형성된 개구와 같은, 티슈가 그를 통해 분배되는 개구를 칭한다.
상세한 설명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압축된 티슈를 분배하기 위한 카톤에 관한 것이다. 압축된 티슈는 슬리브 또는 오버랩과 같은 해제 가능한 구속 디바이스 내에 압축된 티슈를 포장하고, 찢김 또는 찢어짐 없이 티슈를 분배하는 것이 가능한 카톤 내에 압축된 티슈를 포장함으로써 용이하게 분배될 수도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바람직하게는, 해제 가능한 구속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개방하여 티슈를 분배하기 위해 제거하는 인열 스트립을 갖는 오버랩 재료를 포함한다. 인열 스트립을 제거함으로써, 사용자는 압축된 티슈가 팽창하게 하는 분배 개구를 생성하여, 찢김 또는 찢어짐 없이 분배를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열 스트립의 제거는 약 25 내지 50 m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40 mm의 폭을 갖는 분배 개구를 생성한다. 게다가,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인열 스트립의 제거는 예를 들어 카톤의 길이의 약 70 내지 100 퍼센트, 더 바람직하게는 카톤의 길이의 약 80 내지 90 퍼센트와 같은, 카톤의 길이에 대해 비교적 긴 분배 개구를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톤은 적은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하는 압축된 또는 밀집된 제품 내에 티슈를 제공하면서, 비압축된 티슈 용기에 상응하는 분배를 제공한다.
이제 오버랩핑된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을 참조한다. 필름 오버랩 패키지(20)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간 밀도 폴리에틸렌 재료의 시트이지만, 오버랩 패키지는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 임의의 시트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압축된 티슈가 찢어짐 없이 분배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재료는 다른 적합한 대안들 중에서도, 페이퍼,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아미드, 아세테이트, 셀로판, 고무, 탄성 중합 재료 또는 금속 포일일 수도 있다. 오버랩 재료는 상기 재료들의 단일층 또는 다층 라미네이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오버랩 재료는 비교적 얇은데, 예를 들어 약 0.1 내지 약 3 m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약 1 mm의 두께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랩(20)은 제1 폴리에틸렌 재료의 시트의 제1 종방향 에지(22)를 제2 폴리에틸렌 재료의 시트의 제2 종방향 에지(24) 상에 중첩함으로써 형성된다. 다음에, 중첩된 영역은 통상의 고온 요소 가열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융착되어 밀봉된 측면 시임(seam)을 형성한다. 프로세스는 대향 측면에 반복되어 제2 밀봉된 측면 시임을 생성한다. 미용 티슈(40)의 클립 또는 적층체, 예시적으로 약 50 내지 약 100개의 다겹 시트의 적층체가 2개의 재료의 시트 사이에 삽입되어 측면 시임이 밀봉됨에 따라 압축된다. 예를 들어, 클립은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폴리에틸렌 재료의 시트 내에 중심 설정되고, 이어서 재료의 종방향 에지들이 통상의 수단에 의해 절첩되고, 정합되고, 밀봉되어, 오버랩핑된 압축된 티슈의 클립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오버랩은 단일의 재료의 시트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 미용 티슈의 클립은 재료의 시트의 상부에 중심 설정되고 시트의 2개의 에지가 함께 절첩되어 오버랩을 형성함에 따라 압축된다. 시트 재료의 2개의 에지는 에지를 따라 통상의 수단에 의해 절첩되고, 정합되고, 밀봉되어 오버랩핑된 압축된 티슈의 클립을 형성한다.
전술된 패키지 형성 단계는 수동 절차로서 설명되었지만, 전체 포장 작업은 통상의 자동 랩핑 장비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비가 사용되면, 천공된 라인(32)은 일반적으로 오버랩을 형성하기 전에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인열 스트립은 오버랩의 상부면을 따라, 새김눈 라인(score line), 천공부, 레이저 스코어링(laser scoring) 또는 다른 취약 라인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취약 라인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2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선택된 길이의 한 쌍의 천공 라인(32)이 오버랩(20)의 상부면 상에 형성되어 천공부가 분배 개구를 형성하도록 파단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천공부(32)의 쌍은 약 10 내지 약 40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25 m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18 내지 20 mm 이격된다. 천공부(32)가 파단되고 인열 스트립(30)이 제거될 때, 압축성 오버랩(20)이 개방되어 분배 개구(37)를 형성한다(도 7 및 도 9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됨).
다른 실시예에서, 인열 스트립은 오버랩으로부터 이격하는 스트립의 잡아당김이 오버랩을 스트립이 부착되는 점에 근접하여 분리되게 하여,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를 개방하도록 오버랩에 부착된 재료이다. 따라서, 인열 스트립은 오버랩으로부터 이격하는 스트립의 잡아당김이 오버랩을 열 밀봉 라인에 근접하여 그를 따라 분리되게 하여 따라서 오버랩을 개방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오버랩의 밀봉된 에지에 인접하여 오버랩의 상부면에 부착된,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의 스트립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약 90개의 다겹 미용 티슈의 클립을 포함하는 필름 오버랩 패키지(20)의 일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적으로 약 210 mm 길이, 35 mm 높이 및 115 mm 폭이다. 인열 스트립은 패키지(20)의 상부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중심 설정되고 패키지(20)의 길이의 약 80 내지 약 100 퍼센트로 연장하는 한 쌍의 천공된 라인(32)에 의해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천공부의 길이는 패키지의 길이, 예를 들어 약 210 mm 길이에 동일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티슈는 맨 위의 티슈와 오버랩 재료 사이에 공간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도록 오버랩에 의해 압축된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비압축된 티슈 적층체의 높이(h1) 및 압축된 티슈 적층체의 높이(h2)는 적층체 내의 시트의 수, 개별 시트의 캘리퍼스 측정 치수 및 시트의 절첩의 성질에 따라 다양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압축된 티슈 적층체의 높이(h2)는 비압축된 티슈 적층체(h1)의 약 35 내지 약 80 퍼센트, 더 구체적으로는 h1의 약 45 내지 약 70 퍼센트, 더욱 더 구체적으로는 h1의 약 55 내지 약 60 퍼센트일 것이다. 압축된 상태에서, h2는 카톤의 높이(H)와 대략 동일한데, 예를 들어 H의 약 90 내지 120 퍼센트일 것이다. 적합하게는, h2는 높이(H)의 약 95 내지 약 115 퍼센트, 더 구체적으로는 H의 약 100 내지 약 105 퍼센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된 티슈의 오버랩핑된 패키지(20)는 티슈 카톤(10) 내에 적재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톤(10)은 상부 패널(50), 제1 측벽(52) 및 제2 측벽(도시 생략), 대향 제1 단부 패널(53) 및 제2 단부 패널(도 4에 58로 표현되어 있음), 저부 패널(55) 및 제거 가능한 서프보드(54)를 포함한다. 서프보드(54)는 상부 패널(50) 상에 존재할 수도 있고(도 3에 직사각형 취약 라인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오버랩핑된 티슈에 액세스할 수도 있는 카톤 개구를 형성한다. 이러한 서프보드는 현재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티슈 카톤의 공통 특징이다. 이하에 더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에서, 오버랩핑된 패키지의 개방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프보드는 서프보드가 사용자에 의해 제거될 때 인열 스트립이 또한 제거되도록 인열 스트립에 부착될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서프보드(54)는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핑거탭(57)(도 4에 도시됨)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카톤은 임의의 강성 재료, 예를 들어 다른 적합한 대안들 중에서도 카드보드, 카톤 스톡, 페이퍼 보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ABS 플라스틱, 플라스틱, 금속, 목재 및 글래스로부터 구성될 수도 있다.
라인 1을 따른 도 4의 카톤의 단면도인 도 5를 참조하면, 압축된 적층 티슈의 적층체(40)는 오버랩(20) 내에 구속되는데, 이는 압축된 적층체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카톤의 높이(H)는 티슈 적층체의 압축된 높이(h2)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다. 카톤의 높이(H)는 카톤의 상부면의 내부면과 카톤의 대향 저부면의 내부면 사이에서 측정된다. 예를 들어, h2는 높이(H)의 약 90 내지 약 120 퍼센트, 더 구체적으로는 H의 약 95 내지 약 110 퍼센트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접착제(33)가 인열 스트립(30)과 서프보드(54)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어, 사용자가 서프보드(54)를 제거할 때 인열 스트립(30)이 또한 제거되게 된다.
카톤(10)의 작동이 이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카톤(10)은 천공부의 라인 등과 같은 취약 라인(56)에 의해 형성된 서프보드(54)를 제거함으로써 개방된다. 바람직하게는, 서프보드(54)는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핑거탭(57)을 갖는다. 서프보드(54)의 제거는 카톤 개구(51)를 형성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약 50 내지 약 200장의 티슈를 포함할 수도 있는 오버랩핑된 압축된 티슈의 패키지(20)를 노출시킨다. 사용자는 핑거탭(34)을 파지하고 인열 스트립(30)을 제거함으로써 오버랩핑된 패키지(20)를 개방하는데, 이 인열 스트립은 취약 라인(32)을 따라 분리되어 티슈가 분배될 수도 있는 분배 개구를 오버랩 내에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톤(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열 스트립(30)에 부착된 서프보드(54)를 제거함으로써 분배를 위해 준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열 스트립은 서프보드의 단부를 지나 연장하는 핑거탭을 갖는데, 이 핑거탭은 사용자가 서프보드와 함께 이를 제거하면서 인열 스트립을 파지할 수 있게 한다. 서프보드(54)의 제거는 인열 스트립을 제거하고, 약 50 내지 약 200장의 티슈를 포함할 수도 있는 티슈의 적층체(40)를 노출시킨다.
도 8은 사용자가 서프보드(54)를 제거하고 분배를 위해 카톤(10)을 준비하기 전에 도 4의 제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분배 전에,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40)는 오버랩(20)에 의해 구속되어, 랩핑된 압축된 티슈의 클립(60)을 형성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이격된 천공부(32)에 의해 형성된 인열 스트립(30)은 오버랩(20)의 상부면 상에 배치된다.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h2)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카톤(H)의 높이에 상대적인데, 예를 들어 높이(H)의 약 90 내지 약 120 퍼센트, 더 구체적으로 H의 약 95 내지 약 110 퍼센트이다.
사용자가 서프보드(54) 및 인열 스트립(30)을 제거한 후에,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40)는 비압축된 분배 높이(h3)로 수직으로 연장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톤 및 오버랩은 티슈의 적층체(40)가 팽창하게 하여, 분배를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도 9를 더 참조하면, 인열 스트립이 제거될 때, 한 쌍의 대향 에지(33, 35)가 형성되고, 이들 대향 에지는 분배 개구(37)를 형성한다. 각각의 티슈는 사용자에 의해 분배 개구(37)를 통해 잡아당겨진다. 분배 개구(37)의 형성은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가 압축 해제되는 것을 허용하여, 특히 적층체 내의 맨 위의 시트들 중에서 인접한 시트들 사이에 공기 간극을 형성한다. 티슈의 초기 분배 중에, 공기 간극은 오버랩(20)의 상부 부분 및 카톤(50)의 상부 패널이 클립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배출되고 있는 티슈의 표면에 대해 임의의 바람직하지 않은 저항력을 추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에지(33, 35)는 각각의 티슈가 패키지로부터 제거됨에 따라 티슈를 스치거나 문질러 벗겨지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56)의 천공된 에지를 지나 연장한다.
분배 개구(37)의 형성은 서프보드(54) 및 인열 스트립(30)이 제거될 때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가 팽창되게 하기 위한 영역을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한 서프보드의 해제시에, 압축된 티슈 적층체는 압축된 높이(h2)로부터 분배 높이(h3)로 팽창하고, 여기서 분배 높이(h3)는 h2보다 약 100 퍼센트 내지 약 120 퍼센트 크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분배 높이(h3)는 서프보드가 제거된 후에 그리고 첫 번째 티슈가 분배되기 전에 측정된 티슈 적층체의 최대 높이를 칭한다. 그러나, 적층체 높이는 패키지 압축의 해제에 의해 팽창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요건은 아니라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에서, h2는 h3와 동일할 수도 있다.
분배 높이(h3)가 압축된 티슈 적층체의 높이(h2)보다 큰 이들 실시예에서, 카톤은 적층체의 최대 팽창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서프보드의 제거에 의해 형성된 개구는 상부 패널(50)의 총 표면적의 적어도 약 30 퍼센트,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35 퍼센트,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40 퍼센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에서, 카톤 개구의 폭(w)은 약 30 내지 약 80 mm일 수도 있고, 길이(l)는 약 150 내지 약 200 mm일 수도 있고, 반면에 상부 패널(50)의 폭(W)은 약 90 내지 약 140 mm일 수도 있고, 길이(L)는 약 190 내지 약 240 mm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한 카톤 및 오버랩의 개방시에 즉시, 카톤 개구(51)의 폭은 분배 개구(37)의 폭보다 크다. 그러나, 사용시에, 분배 개구의 폭은 티슈가 분배됨에 따라 계속 확장될 수도 있어 카톤 개구의 폭만큼 넓어지거나 그보다 더 넓어지게 된다.
도 8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티슈는 분배 개구(37)를 통해 분배된다. 분배 개구(37)는 초기에 인열 스트립에 의해 형성된다. 인열 스트립의 제거시에, 오버랩 내의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를 통해 티슈가 분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배 개구(37)의 형상은 압축된 티슈의 분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최적화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배 개구(37)는 인열 스트립의 폭보다 약 50 내지 150 퍼센트, 더 바람직하게는 약 75 내지 125 퍼센트 큰 폭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분배 개구(37)의 폭은 약 30 내지 약 50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35 내지 약 45 mm이다. 분배 개구는 오버랩의 길이로 연장될 수도 있고, 특정 경우에 카톤의 길이와 대략 동일할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배 개구(37)의 길이는 약 150 내지 약 200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160 내지 약 185 mm와 같이, 서프보드의 길이와 동일하다.
카톤(10)의 일반적인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일 수 있지만, 육각형, 삼각형, 정사각형 등과 같은 다른 형상이 또한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유사하게, 상부 패널(50) 및 분배 개구(37)의 일반적인 형상은 직사각형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정사각형, 타원형 등과 같은 다른 형상이 또한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카톤의 상부 및 저부 측벽은 임의의 형상 또는 크기일 수 있다. 적합한 형상은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타원형, 원형, 별형(star shaped) 또는 홈형(fluted)을 포함할 수 있다. 카톤의 전체 크기 및 측벽의 형상은 카톤 내에 배치된 시트 재료를 적절하게 분배하기 위해 필요한 바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 카톤의 크기 및 형상은 분배되는 시트 재료의 크기, 어떻게 시트가 분배기 내의 배치에 앞서 절첩되는지, 분배기 내에 배치된 시트의 수, 적층체의 배향, 분배기 내의 적층체의 구성 및 분배되는 재료의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종종 하나 초과의 허용 가능한 형상이 시트 재료를 적절하게 분배하도록 작용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패널 및 저부 패널은 대략 21.5 cm 길이 및 11.5 cm 폭의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을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측벽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저부 패널에 부착된 2개의 쌍의 대향 패널을 포함한다. 대향 측벽의 쌍은 대략 3.5 cm의 높이 및 대략 21.5 cm의 길이를 갖는다. 단부 패널이라 또한 칭하는 대향 측벽의 다른 쌍은 대략 3.5 cm의 높이 및 대략 11.5 cm의 길이를 갖는 패널을 포함한다. 이러한 크기는 적층체로 절첩되어 분배기 내에 배치될 때 편평한 카톤 내의 표준 크기 미용 티슈 시트를 분배하기 위해 유용하다.
티슈의 적층체는 맞절첩(interfolding)되고, 미리 절첩되어 맞절첩되거나 맞절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구문 "미리 절첩되어 맞절첩된" 또는 "맞절첩된" 티슈는, 티슈들이 절첩되고 티슈들의 클립 내의 바로 위 및/또는 아래의 이웃하는 티슈들과 개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티슈들은 제지 기술 분야에서 채용되는 바와 같은 인터폴더(interfolder)의 사용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맞절첩될 수 있다. 인터폴더가 사용되면, 연속적인 티슈들이 천공 라인에서 서로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천공 라인의 비천공된 세그먼트는 연속적인 티슈들이 카톤으로부터의 제거시에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충분히 약해야 한다. 이는 티슈 시트의 천공의 정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웃하는 티슈들과 개재되지 않은 비맞절첩된 클립에 채용될 수도 있는 티슈는 이웃하는 티슈들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어, 1장의 티슈의 분배시에, 다음의 인접한 티슈가 분배를 위한 준비가 된다. 특히 바람직한 절첩 패턴은 다소 적은 마찰을 제공하는 맞절첩 패턴을 포함하는데, 이는 용기로부터 뽑아질 때 티슈의 찢어짐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웨브 또는 시트는 적층된 배열로 절첩될 수도 있다. 각각의 웨브 또는 시트는 편평하게 놓일 때, 다수의 경우에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다수의 상이한 절첩부가 채용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예는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절첩부는 시트 상의 이들의 각각의 위치를 참조하여 제1 절첩부, 제2 절첩부, 제3 절첩부 등으로서 정의된다. 즉, 4개의 절첩부를 갖는 시트 또는 웨브는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시트의 일 에지로부터 그 시트의 대향 에지로 이동할 때 순서대로 각각 제1 절첩부, 제2 절첩부, 제3 절첩부 및 제4 절첩부를 가질 것이다.
절첩된 시트는 예를 들어 4개의 패널 또는 절첩부 및 3개의 주름을 가질 것이다. 1개의 주름이 각각의 절첩부의 접합부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주름은 제1 절첩부 및 제2 절첩부의 접합부에 있다. 이중 절첩 시트는 예를 들어 2개의 절첩된 패널 및 1개의 주름을 가질 것이고, 반면에 삼중 절첩 시트는 3개의 절첩된 패널 및 2개의 주름을 가질 것이다.
용어 "웨브"는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다겹 시트 재료가 겹의 수에 무관하게 시트 재료의 "웨브"인 것으로 고려되도록 하나 이상의 겹의 재료로 제조된 시트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된 티슈의 적층체(40)는 초기 비압축된 높이(h1)를 갖는다. 적층체는 압축력을 받게 된다. 압축력은 적층체(40)를 압축하여, 그 높이를 압축된 높이(h2)로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압축력은 사용자가 카톤을 개방할 때, 절첩된 티슈의 적층체가 압축되지 않거나 티슈의 분배가 악영향을 받는 정도로 상당히 압축되지 않게 되도록 제어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적층체의 비압축된 높이(h1)는 예를 들어 약 45 내지 약 95 mm일 수도 있다. 압축력은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70 퍼센트만큼 적층체의 높이를 감소시켜, 압축된 높이(h2)가 약 25 내지 약 50 cm가 된다.
본 발명을 더 예시하기 위해, 상부 패널, 제1 및 제2 측벽, 대향 제1 및 제2 단부 패널, 저부 패널, 카톤 개구 및 카톤 개구의 일부를 덮는 서프보드를 갖는, 도 3에 도시된 카톤과 유사한 티슈 카톤이 구성되었다. 카톤의 치수는 이하와 같았다: 높이(H) 35 mm, 길이(L) 215 mm, 폭(W) 115 mm, 서프보드 길이(l) 175 mm 및 서프보드 폭(w) 55 mm. 다른 티슈 카톤의 치수의 비교가 이하의 표 1에서 발견된다.
Figure 112013088194727-pct00001
티슈 카톤은 3겹 티슈의 88장의 시트의 압축된 적층체가 적재되었다. 총 티슈 면적(즉, 겹의 수를 곱하고, 시트의 수를 곱한, 단일 티슈겹의 면적)은 210276 cm2이었다. 88장의 시트는 6.5 cm의 비압축 높이(h1)를 가졌다. 적층체는 3.7 cm의 높이(h2)로 43 퍼센트만큼 압축되었다. 압축된 티슈는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오버랩 내에 포장되었다. 오버랩핑된 티슈의 클립은 114 mm 폭 및 209 mm 길이로 측정되었고, 그 상부면의 한 쌍의 평행하게 이격된 천공부에 의해 형성된 인열 스트립을 가졌다. 천공부는 209 mm 길이였고, 20 mm만큼 이격되었다.
서프보드는 티슈를 분배하기 위해 분배 카톤의 상부로부터 제거되었고 인열 스트립이 압축된 클립으로부터 제거되었다. 인열 스트립의 제거시에, 40 mm의 개구가 형성되었다. 티슈의 적층체가 압축되는 것에도 불구하고, 분배는 티슈를 찢지 않고 성취되었다. 첫 번째 티슈를 분배하기 전에, 티슈의 적층체는 41 cm의 높이로 상승하였다. 후속 티슈들이 무사히 카톤으로부터 제거되었다.
유사한 크기의 비압축된 티슈를 분배하는데 사용된 전통적인 카톤에 비교하여 대략 53 퍼센트의 카톤 체적 감소가 성취되었다. 요구된 카드보드 포장은 28 퍼센트만큼 감소되었다. 그 결과, 이러한 제품을 위한 재료 및 수송 비용과 연관된 비용 절약이 상당할 것이다.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된 상기 예는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모든 등가물에 의해 규정된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를 분배하기 위한 티슈 카톤으로서,
    a. 상부 패널;
    b. 한 쌍의 대향 측면 패널;
    c. 한 쌍의 대향 단부 패널;
    d. 저부 패널;
    e. 상기 상부 패널 상에 배치되고, 카톤 개구를 형성하는 제거 가능한 서프보드;
    f. 상기 카톤 내에 배치된 압축된 높이(h2)를 갖는 오버랩핑된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 및
    g. 오버랩핑된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 상에 배치된 인열 스트립
    을 포함하고,
    상기 인열 스트립의 제거는 분배 개구를 형성하고 압축된 티슈의 적층체가 비압축된 높이(h3)로 팽창하게 하는 티슈 카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스트립은 적어도 하나의 취약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티슈 카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스트립은 한 쌍의 이격된 평행한 취약 라인에 의해 형성되고, 취약 라인은 분배 개구의 대향 에지를 형성하는 티슈 카톤.
  13. 제1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이격된 라인은 15 내지 25 mm 이격되는 티슈 카톤.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스트립의 제거는 30 내지 45 mm의 폭을 갖는 티슈 분배 개구를 더 형성하는 티슈 카톤.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스트립은 핑거탭을 더 포함하는 티슈 카톤.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프보드는 30 내지 80 mm의 폭을 갖는 티슈 카톤.
  17. 제10항에 있어서, h2는 비압축된 높이(h1)의 동일한 티슈의 적층체보다 30 내지 70 퍼센트 작은 티슈 카톤.
  18. 제10항에 있어서, 제거 가능한 서프보드 또는 인열 스트립 상의 사이에 배치된 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티슈 카톤.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스트립의 길이는 상부 패널의 길이의 90 내지 100 퍼센트인 티슈 카톤.
KR1020137025697A 2011-03-04 2012-02-17 인열 스트립을 갖는 압축된 티슈 카톤 KR101870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040,464 US10442594B2 (en) 2011-03-04 2011-03-04 Compressed tissue carton with tear strip
US13/040,464 2011-03-04
PCT/IB2012/050741 WO2012120392A2 (en) 2011-03-04 2012-02-17 Compressed tissue carton with tear str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915A KR20140016915A (ko) 2014-02-10
KR101870478B1 true KR101870478B1 (ko) 2018-07-19

Family

ID=46752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697A KR101870478B1 (ko) 2011-03-04 2012-02-17 인열 스트립을 갖는 압축된 티슈 카톤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442594B2 (ko)
EP (1) EP2680733B1 (ko)
JP (1) JP6097226B2 (ko)
KR (1) KR101870478B1 (ko)
AU (1) AU2012226468B2 (ko)
BR (1) BR112013022259A2 (ko)
CA (1) CA2828674A1 (ko)
IL (1) IL228057A0 (ko)
MX (1) MX341236B (ko)
WO (1) WO2012120392A2 (ko)
ZA (1) ZA2013063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398A1 (en) * 2013-12-09 2015-06-18 Sca Hygiene Products Ab Dispenser for interfolded napkins
US10149579B2 (en) * 2014-01-13 2018-12-11 Gpcp Ip Holdings Llc Sheet product dispensers and related methods for automatically loading a roll of sheet product in a dispenser
WO2016027806A1 (ja) * 2014-08-18 2016-02-25 匠子 石原 ティッシュボックスホルダー及びホルダー付ティッシュボックス
US20160235260A1 (en) * 2015-02-16 2016-08-18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Bend to open flat poly-pack tissue cassette for use in over-shell dispensers
US10278552B2 (en) * 2016-12-08 2019-05-07 The Clorox Company Disinfecting wipes flex pack closure
WO2019045683A1 (en) * 2017-08-29 2019-03-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SHEET DISPENSER
KR101949806B1 (ko) * 2018-09-07 2019-02-19 주식회사 클린존 코인 티슈용 디스펜서
JP7317595B2 (ja) * 2019-06-28 2023-07-31 大王製紙株式会社 フィルム包装ティシュー集合包装体
BR102020014219A2 (pt) * 2020-07-10 2022-01-25 Elias Ferreira Fita adesiva com fio seccionad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0215A (en) * 1975-01-24 1976-07-20 Hoerner Waldorf Corporation Dispensing package for moistened tissues
US4790436A (en) * 1986-06-23 1988-12-13 Kenji Nakamura Resealable dispenser-container
US20100243504A1 (en) * 2009-03-31 2010-09-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fill Cartridges of a Folded Tissue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28981A (en) 1925-08-14 1927-05-17 Independent Paper Mills Inc Package of paper napkins, towels, and the like
US2672233A (en) 1949-11-30 1954-03-16 Continental Can Co Package
US3172563A (en) 1961-05-09 1965-03-09 Kimberly Clark Co Package of paper tissues
DE1261439B (de) 1960-12-30 1968-02-15 American Can Co Verpackungsbehaeltnis aus Karton mit einer Aufreisszone
US3197062A (en) * 1962-09-27 1965-07-27 Kimberly Clark Co Expandable tissue dispensing package
US3239097A (en) 1963-03-05 1966-03-08 Kimberly Clark Co Dispensing carton for interfolded tissues
US3263807A (en) * 1963-03-14 1966-08-02 Gen Foods Corp Package
US3325003A (en) * 1965-10-15 1967-06-13 Oscar A Bilezerian Packaged treated tissues
US3379364A (en) * 1966-07-07 1968-04-23 Reynolds Metals Co Package means
US3576243A (en) 1969-03-24 1971-04-27 Procter & Gamble Dispensing carton
US3684086A (en) * 1970-07-10 1972-08-15 Int Paper Co Tissue and wrapper for dispensing tissues
JPS4990581U (ko) 1972-11-22 1974-08-06
US3979019A (en) * 1975-08-07 1976-09-07 Hoerner Waldorf Corporation Dispensing closure for tissue carton
JPS59112775U (ja) 1983-01-17 1984-07-30 株式会社電気工事西川組 取出し口を側面に設けたテイツシユ・ボツクス
JPS59181075U (ja) 1983-05-21 1984-12-03 葛西 正人 のぞき窓つきテイツシユペ−パ−の箱
JPS6122779U (ja) 1984-07-14 1986-02-10 利宗 増井 ティッシュペーパー収納箱
EP0253308B1 (en) * 1986-07-15 1990-10-24 FIN-OMET S.r.l. A method for producing dispensable towels as well as towels thus produced and their relating container
JPH0645384B2 (ja) 1988-01-01 1994-06-15 憲司 中村 包装体
US5016753A (en) 1989-07-28 1991-05-21 Henderson Donald M Telescoping packaging system
US4944405A (en) * 1989-09-29 1990-07-31 Manville Corporation Multi-celled enclosed carton
US5145091A (en) 1991-10-15 1992-09-08 The Garber Company Resealable container assembly
US5219421A (en) 1992-06-16 1993-06-15 Reid Dominion Packaging Limited Paperboard tissue box with paperboard dispenser
US5505305A (en) * 1992-10-21 1996-04-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oisture-proof resealable pouch and container
CA2102163A1 (en) 1993-11-01 1995-05-02 Charles A. Annand Top opening facial tissue container
JPH07315458A (ja) 1994-05-18 1995-12-05 Yoshihiko Sugiura 内容量が同一で包装容積が半減できるティッシュペーパー用 包装箱
JP3009515U (ja) 1994-09-27 1995-04-04 徳七 山崎 衛生用紙
DE4434866C2 (de) 1994-09-29 2002-10-31 Focke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führen von zusammendrückbaren Packungen in Behälter
US5535887A (en) 1995-06-02 1996-07-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ensing package for discrete stage compressed tissues, compressed tissues therefor, and method of dispensing such tissues
US5507130A (en) 1995-06-02 1996-04-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ensing package for discrete stage compressed tissues, compressed tissues therefor, and method of dispensing such tissues
JPH09140624A (ja) 1995-11-28 1997-06-03 Kanko Kogyo Kk ボックス入り圧縮ティッシュペーパー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3074560B2 (ja) * 1995-11-28 2000-08-07 菅公工業株式会社 袋入り圧縮ティッシュペーパーの製造装置
JPH10290763A (ja) 1997-04-17 1998-11-0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容器
US6065591A (en) * 1997-12-19 2000-05-23 Bba Nonwovens Simpsonville, Inc. Non-resealable wet wipe package
US6102277A (en) 1999-07-23 2000-08-15 Krapohl, Sr.; Robert J. Reducible cereal box packaging
US6672475B1 (en) 1999-08-05 2004-01-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ensing carton for paper sheet products
JP4067320B2 (ja) 2000-02-01 2008-03-26 王子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収納箱
US6409044B1 (en) 2000-03-30 2002-06-25 Playtex Products, Inc. Dispensing orifice
JP2001340257A (ja) * 2000-05-31 2001-12-11 Junji Mizuma 補充用ティッシュペーパの包装構造及び補充用ティッシュペーパの梱包構造並びに補充用ティッシュペーパに用いる詰替用ティッシュボックス
US6474542B1 (en) * 2000-07-12 2002-11-05 S. C. Johnson Home Storage, Inc. Carton with framed opening feature and product viewing window
US6817484B2 (en) * 2000-10-27 2004-11-16 Sca Hygiene Products Gmbh Container for a stack of interfolded tissue sheet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container
EP1336577A1 (en) 2002-02-15 2003-08-20 SCA Hygiene Products GmbH Container for a stack of interfolded tissue sheets
US6715633B2 (en) 2002-03-06 2004-04-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nterfolded sheet dispenser having a starter sheet pull-out system
JP2004026294A (ja) 2002-06-26 2004-01-29 Yukiji Tominaga ティッシュケース
US20050150801A1 (en) 2004-01-14 2005-07-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ckage having an expansion mechanism
US20050202191A1 (en) * 2004-03-10 2005-09-15 Nowak Michael R. Ream wrap packaging with tear tapes
WO2005108238A1 (ja) 2004-05-07 2005-11-17 Daio Paper Corporation 家庭用衛生薄葉紙の収納箱
JP4732707B2 (ja) 2004-05-18 2011-07-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エットシートパッケージを収納する収納ケース
US7273156B2 (en) 2004-06-02 2007-09-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djustable sheet dispenser
JP2006298416A (ja) 2005-04-19 2006-11-02 Nippon Giken Kogyo Kk ポリ袋の収納装置
US7571832B2 (en) 2005-09-16 2009-08-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 of interfolded tissues with enhanced dispensing
US7661554B2 (en) * 2005-12-13 2010-02-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issue sheet dispenser and process for making same
KR20080009791A (ko) 2006-07-25 2008-01-30 이동훈 티슈 케이스
US7568594B2 (en) 2006-08-25 2009-08-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Oblong tissue dispenser
US7614519B2 (en) 2006-11-30 2009-11-10 Rockline Industries, Inc. Push button dispensing lid
FR2914281B1 (fr) 2007-03-27 2009-06-05 Saica France Sa Emballage de regroupement et de transport de lots de contenus de dimension et en quantites variables.
DE202007005536U1 (de) 2007-04-17 2007-06-28 Dinkhauser Kartonagen Vertriebs Gmbh Teleskopverpackung
US8033421B2 (en) 2007-10-03 2011-10-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fillable travel dispenser for wet wipes
JP5143575B2 (ja) 2008-01-18 2013-02-13 功 小林 紙片束の包装体
US20090289077A1 (en) 2008-05-22 2009-11-26 Scott Melin Wipes Canister
US20090289078A1 (en) 2008-05-22 2009-11-26 Scott Melin Wipes Dispenser With Improved Dispenser Opening
US8389092B2 (en) * 2008-07-17 2013-03-05 Sca Hygiene Products Ab Stack of folded material
JP4986954B2 (ja) 2008-08-20 2012-07-25 英幸 大坪 詰め替え用ティッシュペーパーの包装体および包装方法
US20100078444A1 (en) * 2008-09-30 2010-04-01 Thomas Gerard Shannon Compressed tissue product
US8210393B1 (en) 2011-01-24 2012-07-03 Prodius, LLC Tissue dispens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0215A (en) * 1975-01-24 1976-07-20 Hoerner Waldorf Corporation Dispensing package for moistened tissues
US4790436A (en) * 1986-06-23 1988-12-13 Kenji Nakamura Resealable dispenser-container
US20100243504A1 (en) * 2009-03-31 2010-09-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fill Cartridges of a Folded Tissue Produc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332500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28674A1 (en) 2012-09-13
EP2680733A4 (en) 2014-09-10
US20120223093A1 (en) 2012-09-06
EP2680733A2 (en) 2014-01-08
BR112013022259A2 (pt) 2018-06-12
MX2013009924A (es) 2013-10-01
AU2012226468A1 (en) 2013-09-12
AU2012226468B2 (en) 2017-05-04
KR20140016915A (ko) 2014-02-10
MX341236B (es) 2016-08-09
JP2014511314A (ja) 2014-05-15
JP6097226B2 (ja) 2017-03-15
US10442594B2 (en) 2019-10-15
WO2012120392A2 (en) 2012-09-13
IL228057A0 (en) 2013-09-30
ZA201306303B (en) 2014-10-29
WO2012120392A3 (en) 2012-11-15
EP2680733B1 (en)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478B1 (ko) 인열 스트립을 갖는 압축된 티슈 카톤
US8695848B2 (en) Angled tissue carton
US8905263B2 (en) Dispenser
KR20110060914A (ko) 압축 티슈 제품
KR101870479B1 (ko) 압축된 티슈 카톤
CN112074468B (zh) 卫生薄页纸包装体
JP2004521035A (ja) 折曲げ式現場拡大紙梱包材料
CA2272906C (en) Improved package for compressible product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160235260A1 (en) Bend to open flat poly-pack tissue cassette for use in over-shell dispensers
US10947029B2 (en) Flexible sheet dispenser
CN114375277A (zh) 卷筒卫生纸包装体
JP2012501280A (ja) 拡大可能なパッケ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