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104B1 - 홍합 접착단백질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합 접착단백질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104B1
KR101870104B1 KR1020180024906A KR20180024906A KR101870104B1 KR 101870104 B1 KR101870104 B1 KR 101870104B1 KR 1020180024906 A KR1020180024906 A KR 1020180024906A KR 20180024906 A KR20180024906 A KR 20180024906A KR 101870104 B1 KR101870104 B1 KR 101870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smetic composition
mussel adhesive
comparativ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진
장경희
신대현
유환희
윤예은
이세영
이선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모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모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모코스
Priority to KR1020180024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61Q5/065Preparations for temporary colouring the hair, e.g. direct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합 접착단백질과 생약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홍합 접착단백질과 연꽃, 로즈힙, 용과, 동백나무, 홍삼 및 서양민들레의 생약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여 모발 염색성 및 모발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홍합 접착단백질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Hai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ussel adhesive proteins}
본 발명은 홍합 접착단백질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홍합 접착단백질과 생약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여 모발 염색성 및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신만의 개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현대인들의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모발 미용 및 건강에 관한 관심이 여성들과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점점 커지고 있다. 모발 염색은 자신의 개성과 이미지 변화에 매우 큰 역할을 한다. 모발 염색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염모제는 알칼리성 염모제이다. 제1제 속에 포함되어 있는 알칼리제가 모발을 연화, 팽윤시켜서 큐티클이 열리면, 그 사이로 산화염료와 색조에 변화를 주는 조색제인 커플러 또는 직접염료가 모발 내부에 쉽게 침투되고, 동시에 제2제인 산화제를 작용시켜 모발의 탈색과 함께 원하는 색상을 발현시킨다. 저분자량의 산화염료 중간체는 색을 갖고 있지는 않지만 제2제인 산화제에 의해 생성되는 산소와 결합할 때 산화중합을 일으켜 분자량이 큰 화합물이 생성되면서 커플러와의 조합으로 여러 가지 색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염색과정에서 모발이 쉽게 손상된다. 모발손상이란 모발구조에 화학적 변화를 주거나 물리적 변화를 일으켜 모발의 변성이 일어나는 것을 말하며 염색에 의한 손상은 화학적 손상이다. 모발에 알칼리가 잔류하게 되면 모발이 팽창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간층물질이 유출되기 쉽게 변하고, 산화작용으로 인해 손상이 나타난다. 이렇게 손상된 모발은 다시 회복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모발손상을 최소화하는 염색방법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중성염모제의 사용이다. 중성염모제는 산화제인 과산화수소를 적게 포함하므로 자극성이 비교적 낮으며 중성이므로 모발의 손상이 작다. 중성염모제는 NH2를 포함하는 페닐렌디아민(p-phenylenediamine)의 자극성으로 생기는 피부 트러블 및 알러지를 완화시켜주며 자외선으로 인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해 준다. 다만, 중성염모제는 모발색소를 제거하지 않고 착색하므로 알칼리성 염모제와는 달리 색상표현이 잘 되지 않아 염색성이 떨어진다는 한계를 가진다.
본 발명자들은 인체 및 환경 친화적인 홍합 접착단백질을 활용한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하던 중, 홍합 접착단백질을 적당한 순서와 분자량으로 조합하여 제조된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을 생약 복합발효추출물과 함께 염모제나 헤어 컨디셔닝제와 같은 모발 화장품의 제조에 적용하는 경우에 염색성이 우수하면서, 모발손상이 방지되고 모발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2983호(2014.05.08.)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58877호(2014.11.07.)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과 생약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여, 염색성이 우수하면서, 모발손상이 방지되고 모발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과 연꽃, 로즈힙, 용과, 동백나무, 홍삼 및 서양민들레의 생약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생약 복합발효추출물은 연꽃, 로즈힙, 용과, 동백나무, 홍삼 및 서양민들레가 각각 1~3:1~3:1~3:1~3:1~3:1~3의 중량비율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1:2~3:2~3:1:1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이다.
상기 생약 복합발효추출물은 연꽃, 로즈힙, 용과, 동백나무, 홍삼 및 서양민들레의 생약복합물이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와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에 의해 순차 발효되어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 0.5~3중량%, 연꽃, 로즈힙, 용과, 동백나무, 홍삼 및 서양민들레의 생약 복합발효추출물 2~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염모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컨디셔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의 활성성분인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은 모발에 작용하여 염색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고 염색성을 높이며 우수한 헤어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연꽃, 로즈힙, 용과, 동백나무, 홍삼 및 서양민들레의 생약 복합발효추출물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그 상승작용에 의하여 더욱 우수한 염색성 및 헤어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을 유전공학적으로 생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컨디셔너 조성물의 코팅력을 나타내는 사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개성을 표현하는 염색(Hair coloring)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는 다양하고 선명한 색상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염색성 향상과 이에 따른 모발의 손상 방지이다. 염모제의 염색성이 향상되면 그 만큼 모발의 손상 우려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홍합 족사단백질(foot protein)을 적당한 순서와 분자량으로 조합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인체 및 환경 친화적인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을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함으로써, 염색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고 헤어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해양생명체인 홍합(Mussel)은 접착단백질(adhesive proteins)을 생산, 분비함으로써 홍합 자신을 바다 속의 바위와 같은 젖은 고체표면에 단단히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강한 파도의 충격이나 바다 속의 부력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다. 홍합에서 만들어져 분비되는 홍합 접착단백질은 종류와 성질을 구분하기 위하여 foot protein의 약자인 fp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분류한다. 이는 홍합 접착단백질이 홍합의 발에서만 분비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현재까지 발견된 홍합 접착단백질은 총 6가지로, 각각의 홍합 접착단백질은 fp-1에서 fp-6까지의 이름이 붙어있다. 이 중 fp-1, fp-3, fp-5 단백질이 접착 및 코팅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모든 홍합 접착단백질에서는 3,4-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DOPA)이라는 물질이 공통적으로 발견되는데, 물이 있는 환경에서 다양한 표면에서의 강한 접착력은 접착단백질에 높은 비율로 존재하는 이 DOPA로부터 나오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DOPA는 단백질의 구성요소인 아미노산 중 타이로신이 폴리페놀 산화제에 의해 수화된 형태로 친수성 표면과 매우 강한 수소결합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방향족 물질을 포함하는 소수성 표면이나 금속 표면과도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홍합은 유리, 금속, 플라스틱, 테플론 등 매우 다양한 표면에 접착할 수 있다. 또한 DOPA는 홍합 접착단백질에 높은 비율로 존재하는 다른 아미노산인 라이신이나 또 다른 DOPA와 서로 공유결합을 이뤄 표면에 접착한 단백질들이 빠르게 견고해지게 해 에폭시나 페놀수지와 같은 화학접착제보다 강력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다습한 곳이나 물에서 접착력이 떨어지는 기존 화학접착제와 달리 홍합 생물접착제는 물에 젖을수록 더욱 강력한 접착 능력을 자랑하므로 수중 공사에 획기적인 재료로 응용될 수도 있다. 생체에 사용 시 인간세포를 공격하거나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아 수술시 실로 꿰맬 필요 없이 생체조직의 접착에 이용할 수 있으며 의료용으로 커다란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자들은 각각의 홍합 족사단백질(foot protein)을 하이브리드화하여, 서로 다른 구성 및 분자량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을 제조하고, 이를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를 하였다. 다양한 접착강도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을 설계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융합 접착단백질을 탐색하였다.
본 발명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은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fp-13151)은 1번 족사단백질(fp-1), 3번 족사단백질(fp-3), 1번 족사단백질(fp-1), 5번 족사단백질(fp-5) 및 1번 족사단백질(fp-1)을 융합한 것으로 37kda의 분자량을 가지는 것이다(도 1).
상기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은 외부 유전자를 발현할 수 있는 용도로 제작된 통상의 벡터에 발현 가능하도록 삽입하여, 유전공학적인 방법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상기 벡터는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한 숙주세포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거나, 신규로 제작할 수 있다.
유전공학적인 방법으로 상기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을 생산하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모식도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먼저 상기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발현 가능하도록 포함하는 벡터를 제조한다. 상기 벡터를 숙주세포에 형질전환하여 형질전환체를 제조한다. 상기 형질전환체를 배양하여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을 생산한다. 상기 벡터를 숙주세포에 형질전환하는 방법 및 형질전환체로 부터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방법은 통상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발현시킨 재조합 단백질은 발현 양상에 따라 각각 분리 및 정제한다. 수용성 형태로 발현되는 경우, 세포 파쇄물의 상층액을 친화성 수지, 예컨대 니켈 레진이 충진된 컬럼으로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재조합 단백질을 정제할 수 있다. 비수용성 형태로 발현되는 경우 세포 파쇄물의 세포 부산물(펠렛)을 산성 유기용매, 바람직하기로는 pH 3~6의 유기용매에 현탁시켜 현탁액을 제조한 후, 상기 현탁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하여 재조합 단백질을 정제할 수 있다. 상기 산성 유기용매로는 아세트산, 구연산 및 젖산이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세트산의 경우, 5~30(v/v)%의 아세트산 용액에 세포 부산물(펠렛)을 용해시킨다. 산성 유기용매 처리로 수득한 상층액은 또한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재조합 단백질을 더욱 정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상기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은 모발에 작용하여 염색시 모발 손상을 방지하면서 염모제의 부착성을 높여 모발 염색성을 향상시키고 모발 광택성, 부드러움 등과 같은 헤어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활성성분으로서 연꽃, 로즈힙, 용과, 동백나무, 홍삼 및 서양민들레의 생약 복합발효추출물을 함께 함유한다.
연꽃(Lotus)은 아시아 남부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가 원산지이다. 연못에서 자라고 논밭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어가며 마디가 많고 가을에는 특히 끝부분이 굵어진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나와서 높이 1∼2m로 자란 잎자루 끝에 달리고 둥글다. 또한 지름 40cm 내외로서 물에 젖지 않으며 잎맥이 방사상으로 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겉에 가시가 있고 안에 있는 구멍은 땅속줄기의 구멍과 통한다. 꽃은 7∼8월에 피고 홍색 또는 백색이며 꽃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지름 15∼20cm이며 꽃줄기에 가시가 있다.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수술은 여러 개이다. 꽃받침은 크고 편평하며 지름 10cm 정도이고 열매는 견과이다. 잎은 수렴제, 지혈제로 사용하거나 민간에서 오줌싸개 치료에 이용한다. 땅속줄기는 연근(蓮根)이라고 하며, 비타민과 미네랄의 함량이 비교적 높아 생채나 그 밖의 요리에 많이 이용한다. 뿌리줄기와 열매는 약용으로 하고 부인병에 쓴다.
로즈힙(Rose hip)은 장미(Rosa canina)의 열매이다. 페놀산(phenolic acid), 프로 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 탄닌(tann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지방산(fatty acid), 펙틴(pectine), 카로테노이드(carotenoid), 과일산(fruit acid) 등이 포함되어 있다. 로즈힙 열매에서 추출하는 로즈힙 오일에는 프로비타민 A(provitamin A)와 레티놀산(retinoic acid)이 함유되어 있으며, 필수지방산이 풍부하다. 피부에 빠르게 흡수되어 수분을 보충하고, 막을 형성하여 건조화를 막아 주고, 피부 결을 부드럽게 하므로 다양한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된다. 피부염, 여드름, 습진 등의 피부질환 및 태양에 입은 화상 피부의 개선, 피부 갈라짐 현상 완화 등에도 사용된다.
용과(Dragon fruit)는 선인장 열매의 한 종류로 겉모습이 울퉁불퉁하며 표면이 붉은 색으로 덮여 있다. 가지에 열매가 달린 모습이 용의 모습을 연상시킨다고 하여 용과라는 이름이 붙었다. 원산지는 중앙아메리카의 열대우림이다. 현재 동남아와 중국을 중심으로 경제작물로 널리 재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비타민과 항산화물질이 많은 과일로 노화방지, 변비, 피부미용 등에 효과가 있다.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는 전북 고창, 전남 해남, 완도, 강진, 여수, 광양, 경남 거제,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 등지에서 자라는 상록활엽 소교목이다. 키는 약 15m, 직경이 약 50㎝ 정도로 자라며, 잎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광택이 나고 뒷면은 황록색이며 타원형으로 어긋나고 길이는 5~12㎝, 폭이 3~7㎝이고 물결 모양의 잔 톱니가 있다. 꽃은 암술과 수술이 같이 있으며 적색으로 잎에 붙어 있거나 줄기의 끝이나 꼭대기에 핀다. 꽃잎은 5~7개가 밑에서 합쳐지며 길이 3~5㎝로 수술과도 합쳐지고 수술은 노란색으로 약 90~100개가 있다. 열매는 10월경에 지름이 3~5㎝가량 되었을 때 종자 껍질이 벌어지는 형태로, 둥글고 암갈색의 종자가 3~9개 정도 들어있다. 식물체와 꽃은 관상용으로 하며, 종자에서는 기름을 짠다. 잿물을 내어 매염제로 쓰이기도 한다.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는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전국 각지의 산야지 낮은 지대 특집 근처의 밭둑 및 왕성한 번식률을 가진 풀로서 장소를 가리지 않고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25cm 안팎이다. 민들레와 크게 다른 점은 꽃받침이 밑으로 젖혀져 있다. 흰민들레나 민들레같은 재래종은 꽃이 4∼5월에 피나, 서양민들레는 봄에서 초가을에 걸쳐 꽃이 핀다. 열매는 4월부터 익으며 수과로 길이 2∼4mm로서 갈색이며 관모는 흰색이다. 관상용, 밀원용으로 쓰이고 어린 잎은 식용하며, 한방에서 완하제, 강장제, 건위제 등의 약재로 쓰인다.
본 발명의 생약 복합발효추출물은 연꽃, 로즈힙, 용과, 동백나무, 홍삼 및 서양민들레를 특정 비율로 혼합하고 발효시켜 제조된다. 구체적으로는 연꽃, 로즈힙, 용과, 동백나무, 홍삼 및 서양민들레가 각각 1~3:1~3:1~3:1~3:1~3:1~3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생약 혼합물을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와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으로 순차 발효시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먼저, 세척 건조 후 세절된 연꽃, 로즈힙, 용과, 동백나무의 잎과 줄기, 홍삼 및 서양민들레 전초를 각각 1~3:1~3:1~3:1~3:1~3:1~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삼베 주머니에 넣는다.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누룩, 2~5 중량%, 쌀 15~40 중량% 및 정제수 55~80중량%로 혼합하여 준비한 누룩혼합물에 상기 생약재 혼합물이 담긴 삼베 주머니를 묻어 30~40℃에서 24~48시간 발효시킨다.
이어 상기 발효물을 용매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한다. 용매로는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용매를 사용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V/V) 에탄올을 가하여 90~95℃에서 2~3시간 중탕시켜 추출한다. 여과 후, 감압 건조하여 제조된 추출물 분말을 증류수에 넣고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을 가하여 30~40℃에서 12~24시간 동안 발효시킨다. 원심 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하고, 동결 건조기로 농축시켜 생약 복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 0.5~3중량%, 연꽃, 로즈힙, 용과, 동백나무, 홍삼 및 서양민들레의 생약복합발효추출물 2~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과 생약 복합발효추출물이 함유되어 모발의 손상이 억제되면서 염색성은 더욱 우수하였으며, 모발의 부드러움, 광택과 같은 헤어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였다.
상기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유용성분을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코엔자임 Q10, 콜라겐 및 맥주효모추출물(saccharomyces cerevisiae extract)을 더욱 포함한다.
상기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염모제 또는 헤어컨디셔너의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모제는 제1제와 제2제를 포함한다. 제1제에는 통상적인 산화염료 전구체와 커플러를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의 산화염료 전구체와 커플러를 사용한다. 위 산화염료 전구체 및 커플러로는 현재 알려진 대부분의 산화염료 전구체와 커플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산화염료 전구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o-아미노페놀, p-페닐렌디아민, 염산 톨루엔-2,5 디아민, 염산 p-페닐렌디아민, 톨루엔-2,5-디아민, 황산 p-페닐렌디아민, 황산 p-메칠아미노페놀, 황산 o-아미노페놀, 황산 p-아미노페놀, 황산 톨루엔-2,5-디아민 또는 황산 p-페닐렌디아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커플러로는 2-메틸-5-히드록시에틸 아미노페놀, p-아미노-o-크레솔, m-아미노페놀, 염산 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염산 m-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α-나프톨, 레조시놀 또는 2-메틸리조시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위 산화염료 전구체와 혼합하여 사용되어 모발에 다양한 색조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제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직접 염료(direct dyes)를 더욱 첨가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직접 염료로는 아리아놀(arianol)염료, p-니트로-o-페닐렌디아민, 니트로-p-페닐렌디아민, 2-아미노-4니트로페놀, 2-아미노-5-니트로페놀, 염산니트로-p-페닐렌디아민, 피트라민산 또는 기타 식물성 염료인 헤나(henna)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으로서의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과 생약 복합발효추출물은 알칼리성 염모제의 제1제에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염모제의 제1제에는 염모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금속 봉쇄제, 용제, 계면활성제, 점증제, 향료 및 컨디셔닝제 등이 사용되나 이는 염모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며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의 제2제에 함유되는 산화제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과산화수소, 과산화요소, 알칼리 금속 브로메이트, 페리시아니드, 퍼보레이트 또는 퍼설페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제에도 염모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 본 발명의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라핀, 경질유동이소파라핀 등 고급지방산 알콜, 고급지방산 에스테르 유제, 양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페나세틴 등의 안정화제, 디소듐이디티에이 등의 금속봉쇄제, 인산 등의 pH조정제 등이 함유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의 제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의 발현 유전자를 포함하는 대장균(E. coli BL21(DE3)) 형질전환체를 제작하였다.
E. coli BL21(DE3)는 LB(5 g/L yeast extract, 10 g/L Tryptone 및 10 g/L NaCl) 배지에 배양하고, 배양액의 흡광도가 600㎚에서 0.6 정도가 되었을 때 IPTG를 최종농도 1 mM로 첨가하여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E. coli BL21(DE3) 배양액은 13,000rpm, 4~10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렛을 수득하였고, 이를 -80℃에 보관하였다.
수득된 세포 펠렛은 용해 버퍼(2.4 g/L sodium phosphate monobasic, 5.6 g/L sodium phosphate dibasic, 10 mM EDTA 및 1% Triton X-100)를 사용하여 교반하였고, 고압 파쇄기를 사용하여 세포를 파쇄하였다. 파쇄물은 9,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홍합 접착단백질을 포함하는 불용성 단백질 응집체를 수득하였다. 불용성 단백질 응집체로부터 25% 아세트산을 사용하여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을 추출하였고, 9,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홍합 접착단백질을 포함하는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상층액은 10N NaOH를 사용하여 pH 12.8까지 상승시켰다. 동일한 조건으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상층액은 아세트산을 사용하여 pH 6∼7 까지 중화적정한 후, 동일한 조건으로 원심분리하여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의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침전물을 적정량의 정제수로 용해한 후 동결건조하여, 순도 90% 이상의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 동결 건조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1: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의 피부 안정성 확인
피부 안전성 평가는 피시험자 20명(평균 연령 32.5±7)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패치 테스트). 증류수에 농도별로 녹인 홍합 접착 단백질 용액을 Finn chamber에 0.1 ml가하여 피시험자 성인 남녀 20명의 팔 안측에 부착하고 약 24시간 경과 후 제거하였다. 첩포 제거 후 피부를 흐르는 물에 씻은 후 30분 경과 후 나타나는 홍반을 평가 기준에 의하여 판정하고 평균 자극값을 얻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농도 0.1% 0.5% 1.0% 5.0% 10.0% 20.0%
평균 자극 값 0 0 0 0 0 1.05
평가 기준(0:홍반없음 1:약한 홍반, 붉은점 형태 2:불규칙한 홍반 상태 3:약한 홍반 4:강한 홍반 5:붉은색 갈변 수포 등)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0.1~10.0%의 홍합 접착 단백질 용액은 홍반없음을 나타내었으며, 20.0% 홍합 접착 단백질 용액은 평균 1.05로 약한 홍반 또는 일부 붉은 점의 온화한 자극을 나타냈다.
제조예 1: 생약 복합발효추출물의 제조
연꽃, 로즈힙, 용과, 동백나무, 홍삼 및 서양민들레는 약재시장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세척 건조 후 세절된 연꽃, 로즈힙, 용과, 동백나무의 잎과 줄기 혼합물, 홍삼 및 서양민들레 전초를 각 200g씩 혼합하여 삼베 주머니에 넣었다.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누룩 5중량%, 쌀 40중량% 및 정제수 55중량%로 혼합하여 준비한 누룩혼합물에 상기 생약재 혼합물이 담긴 삼베 주머니를 묻어 30℃에서 48시간 발효시켰다. 이어 상기 삼베 주머니를 꺼내어 상기 1차 발효물을 30%(V/V) 에탄올 용매로 90~95℃에서 2시간 중탕시켜 추출하였다. 여과 후, 감압 건조하여 제조된 추출물 분말을 증류수에 넣고,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20g을 함께 넣어 40℃에서 12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90℃로 5분간 가온하여 효소반응을 완료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여 생약 복합발효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2~5: 생약 복합발효추출물의 제조
세척 건조 후 세절된 연꽃, 로즈힙, 용과, 동백나무의 잎과 줄기 혼합물, 홍삼 및 서양민들레 전초를 상기 제조예 1과 동일중량(총 중량 1,200g)으로 하고 혼합비만 하기 표 2와 같이 달리하여 생약 복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 분 혼합 비율
제조예 2 1:1:2:2:1:1
제조예 3 1:1:2:3:1:1
제조예 4 1:1:3:2:1:1
제조예 5 1:1:3:3:1:1
비교 제조예 1: 연꽃 발효추출물의 제조
세척 건조 후 세절된 연꽃 1,200g을 삼베 주머니에 넣었다.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누룩 5중량%, 쌀 40중량% 및 정제수 55중량%로 혼합하여 준비한 누룩혼합물에 상기 생약재 혼합물이 담긴 삼베 주머니를 묻어 30℃에서 48시간 발효시켰다. 이어 상기 삼베 주머니를 꺼내어 상기 1차 발효물을 30%(V/V) 에탄올 용매로 90~95℃에서 2시간 중탕시켜 추출하였다. 여과 후, 감압 건조하여 제조된 추출물 분말을 증류수에 넣고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20g을 함께 넣어 40℃에서 12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90℃로 5분간 가온하여 효소반응을 완료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여 연꽃 발효추출물을 얻었다.
비교 제조예 2: 로즈힙 발효추출물의 제조
세척 건조 후 세절된 로즈힙 1,200g을 삼베 주머니에 넣어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로즈힙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3: 용과 발효추출물의 제조
세척 건조 후 세절된 용과 1,200g을 삼베 주머니에 넣어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용과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4: 동백나무 발효추출물의 제조
세척 건조 후 세절된 동백나무 잎과 가지 혼합물 1,200g을 삼베 주머니에 넣어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동백나무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5: 홍삼 발효추출물의 제조
세척 건조 후 세절된 홍삼 1,200g을 삼베 주머니에 넣어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홍삼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6: 서양민들레 발효추출물의 제조
세척 건조 후 세절된 서양민들레 전초 1,200g을 삼베 주머니에 넣어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서양민들레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7: 생약 복합추출물의 제조
세척 건조 후 세절된 연꽃, 로즈힙, 용과, 동백나무의 잎과 줄기 혼합물, 홍삼 및 서양민들레 전초를 각각 200g 씩 혼합한 혼합물(총 중량 1,200g)을 30%(V/V) 에탄올 용매로 90~95℃에서 2시간 중탕시켜 추출하였다.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여 생약 복합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6: 염모제의 제조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실시예 1의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서열번호 1)과 상기 제조예의 생약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염모제 제1제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대조예
2 3 4 5 6
p-페닐렌디아민 1.5 1.5 1.5 1.5 1.5 1.5
m-아미노페놀 0.6 0.6 0.6 0.6 0.6 0.6
레소르신 0.5 0.5 0.5 0.5 0.5 0.5
m-페닐렌디아민 0.1 0.1 0.1 0.1 0.1 0.1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 0.1 0.1 0.1 0.1 0.1 0.1
아스코르빈산 0.23 0.23 0.23 0.23 0.23 0.23
소듐설페이트 0.4 0.4 0.4 0.4 0.4 0.4
세테아릴알콜 11.0 11.0 11.0 11.0 11.0 11.0
폴리옥시에틸렌옥레일에티르 2.0 2.0 2.0 2.0 2.0 2.0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1.0 1.0 1.0 1.0 1.0 1.0
올레익산 2.0 2.0 2.0 2.0 2.0 2.0
베헤닐알콜 1.0 1.0 1.0 1.0 1.0 1.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SE 1.0 1.0 1.0 1.0 1.0 1.0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4.0 4.0 4.0 4.0 4.0 4.0
모노에탄올아민 6.0 6.0 6.0 6.0 6.0 6.0
강암모니아수 0.5 0.5 0.5 0.5 0.5 0.5
시트르산 0.1 0.1 0.1 0.1 0.1 0.1
사이클로메치콘 0.2 0.2 0.2 0.2 0.2 0.2
홍합 접착단백질(실시예 1) 2.0 2.0 2.0 2.0 2.0 -
생약복합발효추출물 제조예 1 3.0 - - - - 3.0
제조예 2 - 3.0 - - - -
제조예 3 - - 3.0 - - -
제조예 4 - - - 3.0 - -
제조예 5 - - - - 3.0 -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화제(제2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세테아릴알코올 3.0
파라핀 2.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1.5
페나세틴 0.05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 0.2
인산 0.15
과산화수소(35%) 15
정제수 잔량
비교예 1~8: 염모제의 제조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실시예 1의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서열번호 1)과 상기 비교 제조예의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염모제 제1제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구 성(중량%) 비교예
1 2 3 4 5 6 7 8
p-페닐렌디아민 1.5 1.5 1.5 1.5 1.5 1.5 1.5 1.5
m-아미노페놀 0.6 0.6 0.6 0.6 0.6 0.6 0.6 0.6
레소르신 0.5 0.5 0.5 0.5 0.5 0.5 0.5 0.5
m-페닐렌디아민 0.1 0.1 0.1 0.1 0.1 0.1 0.1 0.1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3.0 3.0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 0.1 0.1 0.1 0.1 0.1 0.1 0.1 0.1
아스코르빈산 0.23 0.23 0.23 0.23 0.23 0.23 0.23 0.23
소듐설페이트 0.4 0.4 0.4 0.4 0.4 0.4 0.4 0.4
세테아릴알콜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폴리옥시에틸렌옥레일에티르 2.0 2.0 2.0 2.0 2.0 2.0 2.0 2.0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1.0 1.0 1.0 1.0 1.0 1.0 1.0 1.0
올레익산 2.0 2.0 2.0 2.0 2.0 2.0 2.0 2.0
베헤닐알콜 1.0 1.0 1.0 1.0 1.0 1.0 1.0 1.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SE 1.0 1.0 1.0 1.0 1.0 1.0 1.0 1.0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4.0 4.0 4.0 4.0 4.0 4.0 4.0 4.0
모노에탄올아민 6.0 6.0 6.0 6.0 6.0 6.0 6.0 6.0
강암모니아수 0.5 0.5 0.5 0.5 0.5 0.5 0.5 0.5
시트르산 0.1 0.1 0.1 0.1 0.1 0.1 0.1 0.1
사이클로메치콘 0.2 0.2 0.2 0.2 0.2 0.2 0.2 0.2
홍합 접착단백질(실시예 1) 2.0 2.0 2.0 2.0 2.0 2.0 2.0 2.0
생약복합발효추출물 비교 제조예 1 3.0 - - - - - - -
비교 제조예 2 - 3.0 - - - - - -
비교 제조예 3 - - 3.0 - - - - -
비교 제조예 4 - - - 3.0 - - - -
비교 제조예 5 - - - - 3.0 - - -
비교 제조예 6 - - - - - 3.0 - -
비교 제조예 7 - - - - - - 3.0 -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시험예 2: 염색 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제1제 염모제 조성물과 제2제 산화액을 동일한 중량 비율로 섞어 시료를 제조하여 염색성을 평가하였다.
염착성 평가
염모제의 부착성을 확인하기 위해 Texture analyzer(CT3, Brookfield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U.S.A)를 이용하여 각각의 부착력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인체의 손가락과 유사한 모형 및 촉감을 가지는 TA-23 Probe를 사용하여 10mm 깊이만큼 1.0mm/s 속도로 진입시킨 후 나올 때의 필요한 최대 힘(g)과 면적(mJ)을 읽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시료 Adhesiveness (mJ)
대조예 1.31
실시예 2 1.54
실시예 3 1.56
실시예 4 1.60
실시예 5 1.65
실시예 6 1.60
비교예 1 1.58
비교예 2 1.56
비교예 3 1.60
비교예 4 1.56
비교예 5 1.54
비교예 6 1.50
비교예 7 1.55
비교예 8 1.60
상기 표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실시예 1)을 함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염모제는 이를 함유하지 않은 대조예의 염모제와 비교해 볼 때 매우 우수한 부착성을 나타내었다.
색상 지속력 평가
염모제 시료를 각각 100g씩 취하여 15cm 길이의 실험용 사람 모발에 골고루 도포하여 30분 방치하였다. 샴푸액을 이용하여 흐르는 물에 2분간 세척한 후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건조시킨 모발을 색차계(Hunterlab Labscan XE)를 이용하여 초기 명도값(L0 *)을 측정하였다.
측정 후 염색한 모발을 샴푸액에 넣은 후 shaker를 이용하여 30분간 200rpm의 속도로 흔들어 준 후, 흐르는 물에 2분간 헹구어 헤어드라이어로 건조하였다. 건조 후 색차계를 이용하여 명도값(L*)을 측정하였다. 초기 명도값(L0 *)과의 차이인 △L*값을 이용해 색상지속력을 평가하였다. △L*값이 작을수록 색상지속력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시료 명도값(L*) 변화량
대조예 3.18
실시예 2 1.90
실시예 3 1.86
실시예 4 1.80
실시예 5 1.62
실시예 6 1.74
비교예 1 2.40
비교예 2 2.36
비교예 3 2.12
비교예 4 2.24
비교예 5 2.42
비교예 6 2.52
비교예 7 2.10
비교예 8 2.05
표 7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을 함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염모제는 대조예에 비하여 염색 후 색상 지속력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 제조예 1~5의 생약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시료에서 더욱 우수한 색상지속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의 염모제 시료에서 가장 우수한 색상지속력을 나타내었다.
모발 손상정도 평가
상기 색상지속력 평가에 사용된 실험용 사람 모발의 손상정도를 하기의 기준에 따라 전문패널 10명이 평가하였다.
모발의 손상 정도는 광택과 촉감의 저하 정도에 따라 0점(광택과 촉감의 저하 없음) ~ 5점(광택과 촉감의 저하 정도가 큼)의 점수를 부여하도록 하고 그 값을 평균하여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시료 모발손상정도
대조예 4.0
실시예 2 1.1
실시예 3 0.8
실시예 4 0.6
실시예 5 0.4
실시예 6 0.7
비교예 1 2.0
비교예 2 2.6
비교예 3 1.9
비교예 4 2.4
비교예 5 2.5
비교예 6 2.5
비교예 7 2.0
비교예 8 3.2
상기 표 8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약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염모제에서 염색 후의 모발의 손상정도가 낮게 나타나므로, 본 발명 실시예의 염모제는 염색시 모발 보호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11: 헤어컨디셔너의 제조
하기 표 9의 조성으로 실시예 1의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서열번호 1)과 상기 제조예의 생약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컨디셔너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대조예
7 8 9 10 11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0.20 0.20 0.20 0.20 0.20 0.20
부틸렌글라이콜 2.00 2.00 2.00 2.00 2.00 2.00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4.00 4.00 4.00 4.00 4.00 4.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50 2.50 2.50 2.50 2.50 2.50
세테아릴알코올 4.00 4.00 4.00 4.00 4.00 4.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0 2.00 2.00 2.00 2.00 2.00
미네랄오일 5.00 5.00 5.00 5.00 5.00 5.00
디메치콘 2.00 2.00 2.00 2.00 2.00 2.00
사이클로메치콘 2.00 2.00 2.00 2.00 2.00 2.00
홍합 접착단백질(실시예 1) 2.00 2.00 2.00 2.00 2.00 -
생약복합발효추출물 제조예 1 3.00 - - - - 3.00
제조예 2 - 3.00 - - - -
제조예 3 - - 3.00 - - -
제조예 4 - - - 3.00 - -
제조예 5 - - - - 3.00 -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비교예 9~16: 헤어컨디셔너의 제조
하기 표 10의 조성으로 실시예 1의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서열번호 1)과 상기 비교 제조예의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 컨디셔너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구 성(중량%) 비교예
9 10 11 12 13 14 15 16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부틸렌글라이콜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세테아릴알코올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미네랄오일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디메치콘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사이클로메치콘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홍합 접착단백질(실시예 1)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생약복합발효추출물 비교 제조예 1 3.00 - - - - - - -
비교 제조예 2 - 3.00 - - - - - -
비교 제조예 3 - - 3.00 - - - - -
비교 제조예 4 - - - 3.00 - - - -
비교 제조예 5 - - - - 3.00 - - -
비교 제조예 6 - - - - - 3.00 - -
비교 제조예 7 - - - - - - 3.00 -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시험예 3: 헤어컨디셔닝 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헤어컨디셔너 조성물에 대하여 헤어컨디셔닝 효과를 평가하였다.
염색 및 퍼머로 인해 비교적 손상된 모발을 보유한 25~40세 여성 140명을 선정하여 1개월 동안 1주일에 3회 사용하게 한 후, 하기 표 11에 나타낸 평가 항목에 대하여 비교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가장 낮은 점수는 1점으로 하고, 가장 높은 점수는 5점으로 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평 가 항 목 대조예 실시예 비교예
7 8 9 10 11 9 10 11 12 13 14 15 16
사용시 부드러움 3.6 4.0 4.2 4.4 4.5 4.1 3.8 3.8 3.7 3.9 4.0 3.8 3.7 3.6
모발이 젖었을 때 부드러움 3.8 4.0 4.2 4.5 4.6 4.5 4.0 4.0 3.8 3.9 4.0 4.0 3.9 3.8
모발 건조 시 부드러움 4.0 4.5 4.5 4.6 4.7 4.6 4.0 4.1 4.2 4.2 4.3 4.1 4.2 4.1
보습감 3.7 4.0 4.2 4.3 4.7 4.3 3.8 4.0 4.0 3.7 3.8 3.9 4.0 3.8
윤기 3.5 4.4 4.5 4.6 4.6 4.4 4.2 4.3 4.0 4.2 4.1 4.1 4.2 3.8
컨디셔닝 지속효과 3.6 4.2 4.2 4.4 4.5 4.2 3.8 3.8 4.0 4.0 4.1 3.8 4.0 3.8
반복사용 시 끈적이지 않음 4.2 4.3 4.4 4.5 4.5 4.5 4.2 4.3 4.2 4.2 4.3 4.2 4.2 4.3
상기 표 1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홍합접착단백질을 함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헤어컨디셔너는 대조예에 비해 모든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특히, 모발에 윤기를 부여하는 능력이 우수하였으며, 반복 사용 시 모발이 끈적이지 않아 빌드업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약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의 헤어컨디셔너는 비교예의 헤어컨디셔너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헤어컨디셔닝 효과가 더욱 우수하였다.
광택도 평가
모발 다발 (hair tress)을 이용하여 모발 광택도 평가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미국의 De-Meo Brothers 社로부터 구입한 아시아 여성의 정상모로 모발 다발을 만든 다음 10% SLS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충분한 물로 헹구고 자연 건조하였다. 평가 조건은 모발 다발의 무게는 10g, 길이는 20 cm로 하고, 상기 실시예, 비교예의 헤어컨디셔너 조성물 3g을 1분간 도포 후 30초간 흐르는 물로 세척하고 자연건조 하였다. 상기의 처리 과정을 거친 모발 다발을 두발 제품에 대한 관능 평가 경험이 풍부한 전문 패널 20명에게 불규칙하게 배열하여 아래의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5점: 광택이 눈에 띄게 뛰어나고 우수함, 4점: 광택이 뛰어나고 우수함
3점: 보통, 2점: 광택이 보이지 않음, 1점: 광택이 전혀 보이지 않음
시료 광택도
대조예 3.8
실시예 6 4.0
실시예 7 4.2
실시예 8 4.2
실시예 9 4.4
실시예 10 4.3
비교예 9 3.8
비교예 10 3.9
비교예 11 4.0
비교예 12 4.0
비교예 13 3.9
비교예 14 3.8
비교예 15 3.8
비교예 16 4.0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과 생약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 컨디셔너 조성물에서 더욱 우수한 광택도를 나타내었다.
코팅력 평가
모발 다발 (hair tress)을 이용하여 헤어컨디셔너 조성물의 코팅력을 평가하였다. 모발 다발의 무게는 10g, 길이는 20 cm로 하고, 대조예와 실시예 10의 컨디셔너 3g을 1분간 도포 후 30초간 흐르는 물로 세척하고 자연건조 하였다. 그 후 SEM(Hitach SU8010)을 통해 image를 확인 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헤어컨디셔너 조성물을 도포한 모발의 SEM image를 관찰한 결과 대조예에 비해 실시예 10의 헤어컨디셔너 조성물의 코팅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110> COSMOCOS Co., Ltd. <120> Hai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ussel adhesive proteins <130> C-201801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3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ybrid mussel adhesive protein(fp-13151) <400> 1 Met Ala Ser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1 5 10 15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20 25 30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35 40 45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Gly 50 55 60 Cys Arg Ala Asp Tyr Tyr Gly Pro Lys Tyr Gly Pro Pro Arg Arg Tyr 65 70 75 80 Gly Gly Gly Asn Tyr Asn Arg Tyr Gly Gly Ser Arg Arg Tyr Gly Gly 85 90 95 Tyr Lys Gly Trp Asn Asn Gly Trp Lys Arg Gly Arg Trp Gly Arg Lys 100 105 110 Tyr Tyr Glu Phe Ala Ser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115 120 125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130 135 140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145 150 155 160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165 170 175 Tyr Lys Gly Cys Ser Ser Glu Glu Tyr Lys Gly Gly Tyr Tyr Pro Gly 180 185 190 Asn Ser Asn His Tyr His Ser Gly Gly Ser Tyr His Gly Ser Gly Tyr 195 200 205 His Gly Gly Tyr Lys Gly Lys Tyr Tyr Gly Lys Ala Lys Lys Tyr Tyr 210 215 220 Tyr Lys Tyr Lys Asn Ser Gly Lys Tyr Lys Tyr Leu Lys Lys Ala Arg 225 230 235 240 Lys Tyr His Arg Lys Gly Tyr Lys Lys Tyr Tyr Gly Gly Ser Ser Glu 245 250 255 Phe Glu Phe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260 265 270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275 280 285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290 295 300 Pro Pro Thr Tyr Lys Ala Lys Pro Ser Tyr Pro Pro Thr Tyr Lys Lys 305 310 315 320 Leu

Claims (6)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과 연꽃, 로즈힙, 용과, 동백나무, 홍삼 및 서양민들레가 각각 1~3:1~3:1~3:1~3:1~3:1~3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생약복합물을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와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으로 순차 발효시켜 제조되는 연꽃, 로즈힙, 용과, 동백나무, 홍삼 및 서양민들레의 생약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브리드 홍합 접착단백질 0.5~3중량%, 연꽃, 로즈힙, 용과, 동백나무, 홍삼 및 서양민들레의 생약 복합발효추출물 2~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코엔자임 Q10, 콜라겐 및 맥주효모추출물을 더욱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염모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컨디셔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24906A 2018-02-28 2018-02-28 홍합 접착단백질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0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906A KR101870104B1 (ko) 2018-02-28 2018-02-28 홍합 접착단백질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906A KR101870104B1 (ko) 2018-02-28 2018-02-28 홍합 접착단백질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104B1 true KR101870104B1 (ko) 2018-06-21

Family

ID=62806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906A KR101870104B1 (ko) 2018-02-28 2018-02-28 홍합 접착단백질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1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69802A (zh) * 2022-07-06 2022-08-09 美慕(北京)科技有限公司 具有护发助染功效的贻贝蛋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6617109A (zh) * 2023-06-05 2023-08-22 广州植境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贻贝粘蛋白头皮修护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5420A2 (en) * 2010-03-16 2011-09-22 Kollodis Biosciences, Inc. Adhesive extracellular matrix mimetic
KR101392983B1 (ko) 2012-11-16 2014-05-0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홍합 접착 단백질을 이용한 인공모발 접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58877B1 (ko) 2013-06-10 2014-11-07 주식회사 더마랩 오배자, 함초 및 감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5420A2 (en) * 2010-03-16 2011-09-22 Kollodis Biosciences, Inc. Adhesive extracellular matrix mimetic
KR101392983B1 (ko) 2012-11-16 2014-05-0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홍합 접착 단백질을 이용한 인공모발 접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58877B1 (ko) 2013-06-10 2014-11-07 주식회사 더마랩 오배자, 함초 및 감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홍합에 붙은 실타래가 바이오산업미래, 경남일보, [online], 2014.11.10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69802A (zh) * 2022-07-06 2022-08-09 美慕(北京)科技有限公司 具有护发助染功效的贻贝蛋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4869802B (zh) * 2022-07-06 2022-10-04 美慕(北京)科技有限公司 具有护发助染功效的贻贝蛋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6617109A (zh) * 2023-06-05 2023-08-22 广州植境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贻贝粘蛋白头皮修护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617109B (zh) * 2023-06-05 2024-02-20 广州植境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贻贝粘蛋白头皮修护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305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9172B1 (ko)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JP2002241299A (ja) メイラード反応修復剤
JP2002241293A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KR10144301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145233A (ja) コウゾを含む天然木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美白用化粧料の組成物および化粧品
KR102248056B1 (ko) 조롱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70104B1 (ko) 홍합 접착단백질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8903B1 (ko) 속눈썹, 눈썹 및 모발의 굵기 증대 및 성장촉진용 조성물
KR101046438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06090B1 (ko) 발효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조성물
KR20070068881A (ko)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
KR102100345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30432A (ko) 칠화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9316B1 (ko) 모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07943A (ko) 산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107146A (ko) 식물복합 추출물(칠백진고)을 함유하는 혈행 촉진용 및피부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69A (ko) 당류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 제조 방법
KR102076655B1 (ko) 미세침 분말 및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32888B1 (ko) 식용필름 및 이를 이용한 피부미용방법
KR102571637B1 (ko) 염생식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644064B1 (ko) 포도, 올리브잎 및 몰약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1011B1 (ko) 모발화장료 조성물
KR102432887B1 (ko) 피부용 화장품 및 식용 필름을 포함하는 피부건강 개선용 세트 및 이를 이용한 피부미용방법
KR102208482B1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