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469B1 -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469B1
KR101869469B1 KR1020170173591A KR20170173591A KR101869469B1 KR 101869469 B1 KR101869469 B1 KR 101869469B1 KR 1020170173591 A KR1020170173591 A KR 1020170173591A KR 20170173591 A KR20170173591 A KR 20170173591A KR 101869469 B1 KR101869469 B1 KR 101869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bolt
hole
support plate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찬선
Original Assignee
임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찬선 filed Critical 임찬선
Priority to KR1020170173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26Feeding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눕힌 상태의 포장용 파우치를 흡착으로 들어서 세운 상태로 이송하는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 포장을 위해 파우치를 들어서 세울 때 하측으로 처지는 파우치의 하면을 들어 올려 흡착된 상면과 함께 일자형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파우치 상승 시 처지는 하면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들어 올리는 받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파우치, 특히 대형 M자형 파우치의 이송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POUCH TRANSFER}
본 발명은 눕힌 상태의 포장용 파우치를 흡착으로 들어서 세운 상태로 이송하는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 포장을 위해 파우치를 들어서 세울 때 하측으로 처지는 파우치의 하면을 들어 올려 흡착된 상면과 함께 일자형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파우치 상승 시 처지는 하면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들어 올리는 받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파우치, 특히 대형 M자형 파우치의 이송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품의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한 여러 종류의 파우치는 이면 실링된 일자형 파우치(레토르트 파우치(retort pouch))와, 전후 폭방향으로 접힘 가능한 M자형 파우치(스탠딩 파우치(standing pouch))가 있다.
상기한 파우치는 물품 포장 전 상부가 개구되도록 양면이 실링된 상태에서, 서워진 파우치를 벌려 파우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여 포장이 이루어진다.
이에 공개특허 제10-2006-0028571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파우치용 포장기는, 파우치를 그리퍼로 잡아서 벌린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파우치가 충분한 크기로 벌려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우치용 포장기에서, 물품 포장 전의 파우치가 눕힌 상태로 이송되어 상기 그리퍼로 공급되는 바, 눕혀진 파우치의 상면을 흡착으로 들어서 세운 후, 세워진 파우치를 그대로 상기 그리퍼로 전달하여 파우치의 벌림 후 물품 수납 공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종래의 파우치용 포장기에 있어서, 파우치를 세워서 상기 그리퍼로 전달하는 파우치용 이송 장치는 파우치의 상면을 단순 흡착 후 세워서 전달하기 때문에, 흡착된 파우치가 눕혀진 상태로 상승할 때 흡착되지 않은 파우치의 하면이 벌어지면서, 파우치가 벌어진 상태 그대로 세워져 상기 그리퍼로 전달됨에 따라 그리퍼의 파우치 고정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그리퍼의 벌림 작동에 의해 파우치가 제대로 벌어지지 않는 등, 이송 불량으로 인해 포장기의 작동이 멈추거나 오작동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파우치의 크기가 클수록, 특히 대형 M자형 파우치의 경우, 그 발생 빈도가 더 많아지게 되어, 전체 공정의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대형 M자형 파우치는, 이면 실링된 일반적인 일자형 파우치와 다르게, 접힘 가능한 측벽부 및 바닥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눕힌 상태로 파우치를 들어 올릴 때 접힘 구조 및 대형 크기로 인한 무게로 인해 파우치의 하면이 보다 쉽게 하측으로 처지게 되어, 정확한 이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파우치, 특히 대형 M자형 파우치에 물품을 포장하기 위해, 눕혀진 파우치를 들어서 세운 후 이송할 때, 파우치의 구조나 무게로 인해 파우치의 하면이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파우치 상승 중 하측으로 처지는 파우치의 하면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들어 올리는 받침판을 구비한 처짐 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파우치의 하면을 보다 안정적으로 들어 올려 파우치가 일자형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이송부의 양측에 상기 처짐 방지부가 개별 설치되어 있는,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흡착 패드의 승하강 및 파우치의 상승 중 상기 받침판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받침판의 들림 동작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을 좌우 회동시키는 회전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파우치 상승을 위한 공간 및 파우치의 하면을 들어서 일자형으로 필 때 파우치의 양 측단이 수용되는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하고, 파우치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받침판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부와 받침부로 이루어진 'ㄴ' 자형 받침판 및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블록의 회전축에 탈착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는,
눕힌 상태의 포장용 파우치를 흡착으로 들어서 세운 상태로 이송하는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에 있어서,
파우치가 눕힌 상태로 대기하는 대기부;
상기 대기부 상부에서 승하강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파우치의 상면을 흡착하는 흡착 패드를 구비한 이송부;
상기 흡착 패드에 의해 파우치가 들리면서 하측으로 처지는 파우치의 하면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들어 올리는 받침판을 구비한 처짐 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파우치의 양면이 일자형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파우치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에서
상기 처짐 방지부는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에서,
상기 처짐 방지부는 상기 받침판을 좌우 회동시키는 회전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에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회전블록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연장 연결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부에서 연결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결된 받침부를 구비하여, 회동 시 상기 받침부가 상기 파우치의 하면을 받치면서 들어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는,
파우치, 특히 대형 M자형 파우치를 물품 포장을 위해 들어서 세운 상태로 이송할 때, 파우치의 하면이 처지면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파우치를 일자형으로 유지된 상태로 전달하여, 파우치 이송 후 물품 포장이 오작동 없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파우치 상승 후 세워짐 동작을 감안한 처짐 방지부의 구조 및 동작 설계를 통해, 파우치의 이송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파우치 이송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간소화된 구성을 통해 종래의 파우치 이송 장치의 구조 변경 등이 필요 없이 본 발명의 처짐 방지부를 보다 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파우치의 크기나 종류 등에 따라 받침판을 쉽고 빠르고 안전하게 교체하여 작업을 재개할 수 있으므로,
파우치 포장 작업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의 요부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의 요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처짐 방지부의 부분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의 시제품을 촬영한 사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 가능한 측벽부 및 바닥부를 구비한 대형 M자형 파우치를 대표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레토르트 파우치를 비롯해 파우치의 크기나 종류에 상관없이, 각종 파우치가 눕혀진 상태에서 세워져 이송되는 포장 설비 등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눕힌 상태의 포장용 파우치를 흡착으로 들어서 세운 상태로 이송하는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부 측면도인 도 1, 본 발명의 요부 정면도인 도 2, 본 발명의 처짐 방지부(30)의 동작을 구분하여 도시한 정면도들인 도 3, 본 발명의 시제품을 촬영한 사진도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이송 전 파우치(P)가 대기하는 대기부(10), 파우치(P)를 들어서 세운 후 이송하는 이송부(20), 파우치(P)의 상승 중 파우치(P)의 하면이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 방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대기부(10)는 포장 전의 파우치(P)가 눕힌 상태로 대기하는 것으로, 도 1에서는 대기부(10)로써 공급부(미도시)에서 눕혀진 상태로 이송되는 파우치(P)가 정지하여 대기하는 벨트 컨베이어(11)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20)는, 상기 대기부(10) 상부에서 승하강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파우치(P)의 상면(1)을 흡착하는 흡착 패드(21)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부(20)는,
실린더(22),
상기 실린더(22)에 의해 승하강되며 전후 회전하는 구동축(23),
상기 구동축(23)에 연결되어 승하강 및 회동하고 상기 흡착 패드(21)를 구비한 회동축(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흡착 패드(21)는 에어 콤프레서 등의 진공 흡착수단(미도시)이 연결되어, 압력이 흡착 패드(21)에 파우치(P)의 진공 흡착에 필요한 마이너스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이송부(20)는 상기 실린더(22)에 의해 상기 흡착 패드(21)가 하강하여 상기 대기부(10)에서 정지된 파우치(P)의 상면(1)을 흡착한 후,
실린더(22)에 의해 흡착 패드(21)가 상승하면서 파우치(P)를 들어 올리고,
흡착 패드(21)의 상승이 완료되면 모터 등에 의해 상기 구동축(23)이 회전하면서 회동축(24)을 회동시켜, 하측을 향하던 흡착 패드(21)가 전방을 향하면서 흡착된 파우치(P)를 세우게 되며,
이렇게 파우치(P)의 상승 후 세워짐 동작이 완료되면, 파우치용 포장기의 그리퍼 등이 세워진 파우치(P)를 전달받아 후속 공정이 진행됨으로써, 파우치(P)의 이송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흡착 패드(21)에 의한 파우치(P)가 상승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자체의 무게, 특히 대형 M자형 파우치(P)의 접힘 구조 등으로 인해, 흡착 패드(21)로 흡착되지 않은 파우치(P)의 하면(2)이 하측으로 처지면서 파우치(P)의 양면(1)(2)이 벌어지게 되는 바,
이렇게 벌어진 상태로 파우치(P)가 세워지면, 그리퍼 등이 세워진 파우치(P)를 전달받을 때 정확한 파지가 이루어지지 않아, 파우치(P) 이송 불량 내지 물품 수납 불량이나 오작동으로 인한 설비 가동의 정지 등이 발생할 수 있어, 파우치(P) 포장 공정의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처짐 방지부(30)를 도입하였다.
상기 처짐 방지부(30)는, 상기 흡착 패드(21)에 의해 파우치(P)가 들리면서 하측으로 처지는 파우치(P)의 하면(2)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들어 올리는 받침판(31)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파우치(P))의 양면(1)(2)이 일자형으로 유지된 상태(즉, 벌어지지 않고 접힌 상태)에서 파우치(P)가 세워진 상태로 이송된다.
이러한 처짐 방지부(30)는 상기 이송부(20)의 양측에 각각 개별 설치되어, 상승 중 하측으로 처지는 파우치(P)의 하면(2) 양측을 동시에 정확하게 상측으로 밀어서, 파우치(P)가 일자형으로 접힌 상태 그대로 세워진 후, 그리퍼 등에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파우치(P)의 하면(2)을 받쳐서 상승시키는 상기 받침판(31)의 동작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예를 들어 일자형 받침판(31)이 파우치(P) 하부에서 단순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형태 등),
파우치(P)가 상승 후 세워질 때 상기 받침판(31)에 의한 동작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처짐 방지부(30)는 상기 받침판(31)을 좌우 회동시키는 회전블록(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블록(32)은 모터 등에 의해 좌우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흡착 패드(21)의 승하강에 연동하여 회전 작동함으로써, 흡착 패드(21)가 파우치(P)를 들어 올릴 때, 상기 받침판(31)이 회동하면(2)서 파우치(P)의 하면(2)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처짐 방지부(30)를 동작별로 구분하여 도시한 도 3에는 흡착 패드(21)에 의한 파우치(P)의 상승 완료 후, 받침판(31)이 내측으로 회동 작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구분 동작으로, 흡착 패드(21)의 상승 중 파우치(P)가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여 받침판(31)에 의해 파우치(P)의 하면(2)을 받칠 수 있는 높이에서 회전블록(32)에 의한 받침판(31)의 회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나아가 파우치(P)의 처짐 방지를 위한 상기 받침판(31)의 작동 공간 확보가 용이하도록,
상기 받침판(31)은,
상기 회전블록(32)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연장 연결된 연결부(31A)와,
상기 연결부(31A)의 끝단부에서 연결부(31A)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결된 받침부(31B)를 구비하여,
회동 시 상기 받침부(31B)가 상기 파우치(P)의 하면(2)을 받치면서 들어 올린다.
즉, 상기 받침판(31)은 'ㄴ'자형으로 회전블록(32)에 연결되어, 내측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받침부(31B)가 파우치(P)의 하부 공간으로 보다 깊숙이 들어간 상태에서 파우치(P)의 하면(2)을 받치면서 상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파우치(P)의 종류나 크기 등에 따라, 규격(받침부(31B)의 길이나 전후 너비 등)이 다른 받침판(31)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블록(32)은 일면에서 돌출된 회전축(32a)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31)은 상기 연결부(31A)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블록(32)에서 탈부착되어 받침판(31)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32a)이 끼워지는 장착공(31a)이 형성된 장착부(3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부(31C)는 장착공(31a)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나사공을 구비하여, 장착부(31C)가 회전축(32a)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공에 볼트(33)를 나사 결합하여, 볼트(33)의 끝단부가 회전축(32a)의 외면에 가압되면서, 받침판(31)이 회전축(32a)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파우치(P)의 양면(1)(2)이 일자형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파우치의 이송이 이루어져, 파우치(P)를 들어서 세울 때 파우치(P)의 하면(2)이 처지면서 파우치(P)가 벌어진 상태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송 불량 내지 포장 불량 등으로 인한 설비의 가동 정지를 예방하여, 파우치(P) 포장의 생산성을 향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장착부(31C)를 상기 회전축(32a)에 볼트(33)로 결합시킬 때, 볼트와 나사공 자체의 나사 결합과 별도로, 볼트(33)의 끝단부에 너트를 체결해야 보다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데, 상기한 구성과 같이 본 발명은 장착공(31a)에 회전축(32a)이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33)가 결합되므로 너트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은 볼트(B) 자체에 상기 회전축(32a)에 대한 가압이 가능하면서, 동시에 너트로 변환되는 고정부재(B20)를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볼트(B)는 너트 기능의 고정부재(B20)를 구비한 변형볼트로써,
장착부(31C)의 나사공(31a)에 끼워져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제1 나사산(B11)을 구비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원형의 관통홀(B12)과, 상기 관통홀(B12)의 일측 끝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오목 형성된 삼각형의 삽입홈(B13)을 구비한 나사몸통(B10),
외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B11)에 대응하는 제2 나사산(B21)을 갖고, 상기 삽입홈(B13)에 대응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삼각형의 끼움홀(B22)을 구비하되, 상기 나사몸통(B10)에 대하여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분절된 3개의 이동편(B23)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홀(B22)의 평면부에 길이방향으로 정지홈(B22a)이 오목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고정부재(B20),
상기 관통홀(B12)에서 인출입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로드부(B31), 상기 로드부(B31)의 일측 끝단부에서 상기 삽입홈(B1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 연결된 삼각형의 돌출부(B32), 상기 로드부(B31)의 타측 끝단부에 연결된 헤드부(B33)로 이루어진 조임부재(B30),
상기 나사몸통(B10)의 타측 끝단부와 상기 헤드부(B3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돌출부(B32)가 상기 삽입홈(B13)에 끼워지도록 조임부재(B3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B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볼트(B)를 상기 나사공(31a)에 나사 결합 후, 상기 헤드부(B33)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조임부재(B30)를 계속 조이면, 상기 삽입홈(B13)에서 이탈한 돌출부(B32)가 상기 끼움홀(B22)에서 회전하면서 면접한 이동편(B23)들을 외측으로 벌려 고정부재(B20)를 너트로 변환시킨 후, 돌출부(B32)의 모서리부(B32a)가 각 이동편(B23)의 정지홈(B22a)에 끼워져, 볼트(B)의 너트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나사몸통(B10)은 일반적인 무두볼트(B) 형태로써,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B12)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고, 관통홀(B12)의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삽입홈(B13)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B20)는, 상기 나사몸통(B10)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 나사산(B11)에서 일측으로 연장 연결된 제2 나사산(B21)을 갖는 3개의 이동편(B23)들로 이루어지며, 각 고정부재(B20)의 이동편(B23)들은 내측에 상기 삽입홈(B13)에 대응하는 끼움홀(B22)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홀(B22)의 평면부 중간 부위에는 돌출부(B32)의 모서리부(B32a)가 걸림 가능하게 각이 진 정지홈(B22a)이 오목 형성되며, 상기 이동편(B23)은 일측 평면부가 정지홈(B22a)의 내측 끝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결된 경사부(B22b)를 형성한다.
이러한 고정부재(B20)는, 상기 나사몸통(B10)과 접하는 이동편(B23)들의 타면 및 고정부재(B20)들이 서로 접하는 각 이동편(B23)들의 양면에,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된 이동돌기(B14) 및 이동홈(B23a)이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 고정부재(B20)들이 나사몸통(B10)과 함께 회전하면서, 이동편(B23)의 내측에서 가압이 이루어질 경우 각 이동편(B23)들이 방사상으로 펴지면서 벌어진다.
이때 상기 이동홈(B23a)에는 상기 이동돌기(B14)를 외측 끝단부로 가압하는 스프링(B23b)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조임부재(B30)는 로드부(B31)의 일측 끝단부에 상기 삽입홈(B13) 및 끼움홀(B22)에 대응하는 삼각형의 돌출부(B32)가 구비되고, 로드부(B31)의 타측 끝단부에는 나사몸통(B10) 외부로 노출되며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끼울 수 있는 공구홈(B33a)을 구비한 헤드부(B3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B40)은, 압축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헤드부(B33)가 나사몸통(B10)에서 멀어지도록, 즉 조임부재(B30)가 나사몸통(B10)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인출되도록 가압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볼트(B)는, 도 5의 [A]와 같이, 스프링(B40)에 의해 조임부재(B30)가 나사몸통(B10)의 타측으로 인출되도록 강제되어, 돌출부(B32)가 삽입홈(B13)에 끼워져 있으므로, 볼트(B)를 장착부(31c)의 나사공(31a)에 끼운 후 공구를 이용해 조임부재(B30)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몸통(B10) 및 고정부재(B20)들이 함께 회전하면서 나사공(31a)에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볼트(B)의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부재(B20)가 회전축(32a)에 접촉하면서 가압(장착부(31c)의 고정)되는 볼트(B)의 1차 나사 결합이 완료되면, 도 5의 [B]와 같이, 공구로 헤드부(B33)를 눌러 돌출부(B32)를 삽입홈(B13)에서 이탈시키면 돌출부(B32)가 끼움홀(B22)로 인입되며, 이 상태에서 조임부재(B30)를 조임방향으로 다시 회전시키면 조임부재(B30)만이 2차 회전하면서 돌출부(B32)의 모서리부(B32a)가 이동편(B23)들의 경사부(B22b)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이동편(B23)들이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나사몸통(B10)의 외경보다 크게 벌어지게 된다.
이때 돌출부(B32)에 의해 벌림 동작하는 고정부재(B20)는 조임부재(B30)의 누름 깊이에 따라 달라진다. 즉, 조임부재(B30)를 누름과 동시에 조임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나사공(31a)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부재(B20)는 벌어지지 않고, 나사공(31a)외부에 위치하는 고정부재(B20)만이 벌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임부재(B30)의 2차 회전 시, 이동편(B23)들을 가압하는 돌출부(B32)의 모서리부(B32a)가 회전 이동하면서, 이동편(B23)들의 정지홈(B22a)에 끼워져 회전이 정지된 상태로 이동편(B23)들의 벌림 상태가 유지된다.
이렇게 조임부재(B30)의 2차 회전이 완료되면, 스프링(B40)에 의해 조임부재(B30)가 나사몸통(B10)에서 다시 인출되도록 강제되는데, 정지홈(B22a)에 끼워진 돌출부(B32)의 모서리부(B32a)가 나사몸통(B10) 또는 벌어지지 않은 이동편(B23)들에 걸리게 되어 조임부재(B30)의 인출이 불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벌어진 고정부재(B20)와 헤드부(B33) 사이에 장착부(31c)가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져, 고정부재(B20)가 회전축(32a)의 회면을 가압하면서 장착부(31C)를 회전축(32a)에 고정시키면서, 벌어진 고정부재(B20)의 이동편(B23)들이 너트의 기능을 대신해 볼트(B)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볼트(B)를 통한 받침판(31)의 고정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나사공(31a)에서 볼트(B) 전체가 풀리면서 분리되기 위해선 나사몸통(B10)이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는데, 나사몸통(B10)과 고정부재(B20)들의 슬라이딩 결합 구조 및 돌출부(B32)의 걸림 결합 구조로 인해, 나사몸통(B10) 자체의 분리 방향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볼트(B) 전체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이 불가능하여, 결합 완료된 볼트(B)가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너트를 체결한 것과 같이 볼트(B)의 결합이 일반 나사 결합보다 더 견고해진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32a)에서 받침판(31)의 장착부(31C)를 분리할 땐, 상기 조임부재(B30)를 다시 누르면서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돌출부(B32)의 모서리부(B32a)가 정지홈(B22a)에서 이탈하면서 이동편(B23)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스프링(B23b)에 의해 이동돌기(B14)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벌어진 이동편(B23)들이 다시 오므려지고, 조임부재(B3)를 인출한 상태에서 풀림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나사몸통(B10)이 함께 회전하면서 볼트(B)가 풀어져 분리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 파우치 1 : 상면
2 : 하면
10 : 대기부 11 : 벨트 컨베이어
20 : 이송부 21 : 흡착 패드
22 : 실린더 23 : 구동축
24 : 회동축
30 : 처짐 방지부 31 : 받침판
31A : 연결부 31B : 받침부
31C : 장착부 31a : 나사공
32 : 회전블록 32a : 회전축
33, B : 볼트

Claims (4)

  1. 눕힌 상태의 포장용 파우치(P)를 흡착으로 들어서 세운 상태로 이송하는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에 있어서,
    파우치(P)가 눕힌 상태로 대기하는 대기부(10);
    상기 대기부(10) 상부에서 승하강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파우치(P)의 상면을 흡착하는 흡착 패드(21)를 구비한 이송부(20);
    상기 흡착 패드(21)에 의해 파우치(P)가 들리면서 하측으로 처지는 파우치(P)의 하면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들어 올리는 받침판(31)을 구비한 처짐 방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파우치(P)의 양면이 일자형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파우치(P)의 이송이 이루어지되,
    상기 처짐 방지부(30)는 일면에서 돌출된 회전축(32a)을 구비하여 상기 받침판(31)을 좌우 회동시키는 회전블록(32)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31)은 상기 회전블록(32)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연장 연결된 연결부(31A)와, 상기 연결부(31A)의 끝단부에서 연결부(31A)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결된 받침부(31B)를 구비하여, 회동 시 상기 받침부(31B)가 상기 파우치(P)의 하면을 받치면서 들어 올리며,
    상기 받침판(31)은 상기 연결부(31A)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블록(32)에서 탈부착되어 받침판(31)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32a)이 끼워지는 장착공(31a)이 형성된 장착부(31C)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31C)는 장착공(31a)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나사공을 구비하여, 장착부(31C)가 회전축(32a)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공에 볼트(33)를 나사 결합하여, 볼트(33)의 끝단부가 회전축(32a)의 외면에 가압되면서, 받침판(31)이 회전축(32a)에 고정되어 결합되되,
    상기 볼트(33)는 너트 기능의 고정부재(B20)를 구비한 볼트(B)로써,
    장착부(31C)의 나사공(31a)에 끼워져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제1 나사산(B11)을 구비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원형의 관통홀(B12)과, 상기 관통홀(B12)의 일측 끝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오목 형성된 삼각형의 삽입홈(B13)을 구비한 나사몸통(B10),
    외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B11)에 대응하는 제2 나사산(B21)을 갖고, 상기 삽입홈(B13)에 대응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삼각형의 끼움홀(B22)을 구비하되, 상기 나사몸통(B10)에 대하여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분절된 3개의 이동편(B23)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홀(B22)의 평면부에 길이방향으로 정지홈(B22a)이 오목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고정부재(B20),
    상기 관통홀(B12)에서 인출입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로드부(B31), 상기 로드부(B31)의 일측 끝단부에서 상기 삽입홈(B1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 연결된 삼각형의 돌출부(B32), 상기 로드부(B31)의 타측 끝단부에 연결된 헤드부(B33)로 이루어진 조임부재(B30),
    상기 나사몸통(B10)의 타측 끝단부와 상기 헤드부(B3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돌출부(B32)가 상기 삽입홈(B13)에 끼워지도록 조임부재(B3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B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볼트(B)를 상기 나사공(31a)에 나사 결합 후, 상기 헤드부(B33)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조임부재(B30)를 계속 조이면, 상기 삽입홈(B13)에서 이탈한 돌출부(B32)가 상기 끼움홀(B22)에서 회전하면서 면접한 이동편(B23)들을 외측으로 벌려 고정부재(B20)를 너트로 변환시킨 후, 돌출부(B32)의 모서리부(B32a)가 각 이동편(B23)의 정지홈(B22a)에 끼워져, 볼트(B)의 너트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 방지부(30)는 상기 이송부(2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70173591A 2017-12-15 2017-12-15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 KR101869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591A KR101869469B1 (ko) 2017-12-15 2017-12-15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591A KR101869469B1 (ko) 2017-12-15 2017-12-15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469B1 true KR101869469B1 (ko) 2018-06-20

Family

ID=62770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591A KR101869469B1 (ko) 2017-12-15 2017-12-15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4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751A (ja) * 1991-10-25 1993-05-21 Toyo Jidoki Co Ltd 給袋装置
CN103204270A (zh) * 2013-04-12 2013-07-17 安徽永成电子机械技术有限公司 一种带夹持装置的抓袋定位机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751A (ja) * 1991-10-25 1993-05-21 Toyo Jidoki Co Ltd 給袋装置
CN103204270A (zh) * 2013-04-12 2013-07-17 安徽永成电子机械技术有限公司 一种带夹持装置的抓袋定位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92559B (zh) 移印键帽设备自动输送线
CN205952437U (zh) M型包装袋的上袋机构
JP5443957B2 (ja) 反転装置
US20080014072A1 (en) Configuration for accommodating, transferring and/or transporting at least one functional part of a technical device
CN112265824B (zh) 一种机械制造抓取装置
KR101738972B1 (ko) 지퍼백 내용물 자동 포장장치
CN108516178A (zh) 一种道路货运辅助装置
KR101869469B1 (ko) 파우치용 세이프티 이송 장치
KR20200119719A (ko) 육묘 용기 적층 취출 방법 및 육묘 용기 적층 취출 장치
CN110758831A (zh) 打包设备
JP5469657B2 (ja) 部品移送組付装置
KR101430665B1 (ko) Led 이송장치
CN109335125B (zh) 自动装袋机
TWI763307B (zh) 自動化裝箱設備
JP2014008972A (ja) 包装袋供給装置
JP5364150B2 (ja) 部品移送装置
JP2011184108A (ja) 並列材料のクランプ移載装置
KR102165875B1 (ko)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CN211442965U (zh) 一种菌料填料机
CN218662627U (zh) 开盒成型装置
KR102014096B1 (ko) 포대 자동 공급장치
JP5474672B2 (ja) 物品把持装置
CN219078445U (zh) 一种箱体夹送装置
JP2592887Y2 (ja) 長尺物吸着子
CN107934052A (zh) 一种包装袋口打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