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451B1 - 타이어 반제품의 위치 자동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반제품의 위치 자동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451B1
KR101868451B1 KR1020160123102A KR20160123102A KR101868451B1 KR 101868451 B1 KR101868451 B1 KR 101868451B1 KR 1020160123102 A KR1020160123102 A KR 1020160123102A KR 20160123102 A KR20160123102 A KR 20160123102A KR 101868451 B1 KR101868451 B1 KR 101868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finished product
tire
correcting uni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3755A (ko
Inventor
조현희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3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451B1/ko
Publication of KR20180033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0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4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positively actuated mov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 B65H26/02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responsive to presence of irregularities in runn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29D2030/0038Handling tyre parts or semi-finished parts, excluding beads, e.g., storing, transporting, transfe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6Positioning; Chang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93Tyres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반제품을 컨베이어 벨트에 센터링 보정되고, 타이어 반제품이 타이어 성형공정으로 균일한 폭으로 이송되어 성형시에 그린케이스 상의 형상을 고르게 하는 타이어 반제품의 위치 자동보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반제품을 타이어 성형공정으로 공급하기 위해 권취된 반제품이 적재 트럭에서 권출되어 컨베이어 벨트의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센터링 보정작업이 수행되는 타이어 반제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적재 트럭과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배치되어 반제품의 폭이 컨베이어 벨트에 균일하게 위치되도록 반제품의 위치를 감지하고 반제품의 위치를 보정하는 제1 보정부; 및 제1 보정부에 결합되어 연동되고 제1 보정부의 구동되는 범위가 초과되어 센터링 보정작업이 수행될 수 없는 것을 수신하며 제1 보정부가 초기 위치로 이동되기 위해 제1 보정부에서 반제품을 분리시키는 제2 보정부;를 포함하고, 제2 보정부의 구동시에는 컨베이어 벨트가 중단된다.

Description

타이어 반제품의 위치 자동보정 장치{Position automatic adjusting device of tire semi-finished products}
본 발명은 타이어 반제품의 위치 자동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벨트에 타이어 반제품의 폭이 균일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센터링 보정되는 타이어 반제품 위치 자동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반제품 공급장치는 타이어 반제품을 컨베이어 벨트를 사용하여 타이어 성형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미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종래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6076호는 타이어의 반제품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한쪽 끝단이 지지프레임과 힌지(Hinged) 결합되며, 다른 끝단에는 스토퍼(Stopper)로 부터 연장된 롤러(Roller)가 장착된 제1컨베이어(First Conveyor); 제1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다른 지지프레임과 한쪽 끝단이 힌지 결합되며, 다른 쪽에는 승하강 실린더가 장착된 제2컨베이어(Second Conveyor); 및 제1컨베이어의 하부와 드럼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후진 실린더에 의해 전후진이 가능하며, 선단에 경사면을 갖는 슬라이딩 가이드(Sliding Guide)가 프레임(Frame)의 양쪽에 설치된 제3컨베이어(Third Conveyor)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타이어 반제품의 폭이 불균일한 형상으로 컨베이어 벨트에 이송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타이어 반제품이 타이어 성형공정으로 이송되어 그린케이스 상의 형상이 고르지 못하여 불량이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타이어 반제품이 컨베이어 벨트에 센터링 보정되고, 타이어 반제품이 타이어 성형공정으로 균일한 폭으로 이송되어 성형시에 그린케이스 상의 형상을 고르게 하는 타이어 반제품의 위치 자동보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이어 반제품의 위치 자동보정 장치는 반제품을 타이어 성형공정으로 공급하기 위해 권취된 반제품이 적재 트럭에서 권출되어 컨베이어 벨트의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센터링 보정작업이 수행되는 타이어 반제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적재 트럭과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배치되어 반제품의 폭이 컨베이어 벨트에 균일하게 위치되도록 반제품의 위치를 감지하고 반제품의 위치를 보정하는 제1 보정부; 및 제1 보정부에 결합되어 연동되고 제1 보정부의 구동되는 범위가 초과되어 센터링 보정작업이 수행될 수 없는 것을 수신하며 제1 보정부가 초기 위치로 이동되기 위해 제1 보정부에서 반제품을 분리시키는 제2 보정부;를 포함하고, 제2 보정부의 구동시에는 컨베이어 벨트가 중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보정부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프레임과 브라켓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반제품이 통과되는 가이드롤과, 프레임과 가이드롤 사이에 배치되고 프레임에 결합되어 가이드롤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가이드롤에 대향되도록 브라켓의 하부에 결합되고 반제품이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제2 보정부와 액추에이터에 전달하는 CPC(Center Position Control)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보정부는, 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후이동되는 로드가 형성된 실린더와, 로드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일측이 결합되고 가이드롤의 일단부에 축회전되도록 타측이 결합되어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는 링크와, 링크에 결합되어 반제품이 승강되는 분리용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반제품 위치 자동보정 장치에 의하면, 반제품을 균일한 폭으로 타이어 성형공정으로 이송시키고, 타이어 성형공정 중 그린케이스 상의 형상을 고르게 하여, 타이어 성형시에 발생되는 타이어 불균일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반제품 위치 자동보정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타이어 반제품 위치 자동보정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의 (a)와 (b)는 도 1에 따른 타이어 반제품 위치 자동보정 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타이어 반제품 위치 자동보정 장치 중 제1 보정부가 초기위치로 이동되는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반제품 위치 자동보정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타이어 반제품 위치 자동보정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반제품 위치 자동보정 장치(100)는 반제품(1)을 타이어 성형공정으로 공급하기 위해, 권취된 상기 반제품(1)이 적재 트럭(2)에서 권출되어 컨베이어 벨트(3)의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센터링 보정작업이 수행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타이어 반제품 위치 자동보정 장치(100)는 제1 보정부(110)와, 제2 보정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정부(110)와, 상기 제2 보정부(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보정부(110)는 상기 적재 트럭(2)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 사이(3)에 배치되어 상기 반제품(1)의 폭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3)에 균일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반제품(1)의 폭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반제품(1)의 폭의 위치에 따라 구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보정부(110)는 프레임(111)과, 상기 프레임(111)의 상부에 결합되는 브라켓(112)과, 상기 프레임(111)과 상기 브라켓(11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반제품(1)이 통과되는 가이드롤(113)과, 상기 프레임(111)과 상기 가이드롤(11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11)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롤(113)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114)와, 상기 가이드롤(113)에 대향되도록 상기 브라켓(112)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반제품(1)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2 보정부(120)와, 상기 액추에이터(114)에 전달하는 CPC(Center Position Control)센서(115)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1)은 상기 반제품(1)이 상기 컨베이어(3)로 투입되는 위치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11)의 상부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상기 브라켓(112)이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112)은 후술할 상기 CPC센서(115)가 상기 가이드롤(113)에 대향될 수 있도록 수평되어 상기 프레임(111)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롤(113)은 상기 프레임(111) 또는 상기 브라켓(112)의 양측에 축 결합되는 샤프트(113a)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3)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반제품(1)이 이송되는데 이때, 상기 반제품(1)이 이송됨과 더불어 동시에 회전되는 프리롤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113)의 일측 또는 타측에는 가이드롤 브라켓(113b)이 형성되고 후술할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114a)와 결합되어 상기 액추에이터(114)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롤(113)이 이동된다.
상기 액추에이터(114)는 상기 프레임(111)에 결합되는데, 상기 프레임(111)과, 상기 가이드롤(113) 사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이드롤(113)의 축 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가이드롤(113)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액추에이터(114)에는 상기 가이드롤(113)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로드(114a)가 형성된다.
상기 액추에이터(114)의 구동과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CPC센서(115)는 상기 반제품(1)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롤(113)로 신호를 전달하고 그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롤(113)에 통과되는 상기 반제품(1)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CPC센서(115)에 감지된 신호가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되어 상기 액추에이터(114)를 구동시킨다.
상기 제2 보정부(120)는 상기 브라켓(112)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후이동되는 로드(121a)가 형성된 실린더(121)와, 상기 로드(121a)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롤(113)의 일단부에 축회전되도록 타측이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121)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는 링크(122)와, 상기 링크(122)에 결합되어 상기 반제품(1)이 승강되는 분리용 롤러(12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보정부(120)는 상기 링크(122)와 상기 롤러(123)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롤(113)에 이격되도록 지지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21)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이드롤(113)이 일측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거나, 타측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로드(121a)가 후진된다.
상기 링크(122)는 상기 가이드롤(113)에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롤(113)을 구성하는 상기 샤프트(113a)에 결합됨이 가장 바람직하고, 상기 샤프트(113a)의 양측단에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리용 롤러(123)는 상기 링크(122)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롤(113)에 대향되도록 상기 링크(122)에 결합되어 구동시에, 상기 가이드롤(113)과 평행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분리용 롤러(123)는 상기 지지대(124)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롤(113)과 같은 프리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입력과 출력과 설정 및 송수신이 가능한 것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구성과 기능적 특징이 이미 공지된 기술로서 모두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타이어 반제품 위치 자동보정 장치(100)의 구동과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a)와 (b)는 도 1에 따른 타이어 반제품 위치 자동보정 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제품(1)은 상기 타이어 성형공정으로 공급되기 위해,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 트럭(2)에 의해 권출되고 상기 적재 트럭(2)에서 이격된 위치에 컨베이어 벨트(3)가 설치되어 상기 반제품(1)이 이송된다.
상기 타이어 반제품 위치 자동보정 장치(100)는 상기 반제품(1)이 상기 타이어 성형공정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반제품(1)의 폭이 일정하게 이송되지 않아, 상기 타이어 성형공정 중 그린케이스 상에서 불균일한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타이어 반제품 위치 자동보정 장치(10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3) 또한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가이드롤(113)에 통과되는 상기 반제품(1)의 위치가 설정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반제품(1)은 상기 가이드롤(113)에 통과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3)로 이송되고, 상기 반제품(1)의 폭이 일정하게 상기 컨베이어 벨트(3)로 이송되기 위해 상기 CPC센서(115)가 상기 가이드롤(113)을 통과하는 상기 반제품(1)의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반제품(1)의 위치가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CPC센서(115)에서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설정된 위치로 상기 반제품(1)이 위치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114)가 구동되어 상기 가이드롤(113)의 위치를 보정한다.
상기 가이드롤(113)은 상기 반제품(1)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로 보정되도록 도모하는데, 보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액추에이터(114)의 구동되는 범위가 초과되어 더 이상 상기 반제품(1)을 보정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는, 상기 반제품(1)을 설정된 위치로 보정하는 과정에서 누적되어 발생되는 것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제2 보정부(120)가 구동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보정부(120)의 구동은 상기 액추에이터(114) 또는 상기 CPC센서(115)에서 이동되는 범위의 초과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3)의 구동을 중단시키고, 상기 실린더(121)의 상기 로드(121a)를 구동시키는데, 이때, 상기 로드(121a)를 후진시켜 상기 링크(122)가 축회전하게 된다.
상기 링크(122)의 일측은 상기 샤프트(113a)에 결합되고 상기 링크(122)의 타측은 상기 로드(121a)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122)가 축회전됨에 따라, 상기 지지대(124)에 결합된 상기 분리용 롤러(123)가 상승되어 상기 반제품(1)을 상기 가이드롤(113)에서 분리시킨다.
도 4는 도 1에 따른 타이어 반제품 위치 자동보정 장치 중 제1 보정부가 초기위치로 이동되는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서의 상기 제2 보정부(120)의 구동이 완료된 것을 감지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액추에이터(114)를 구동시켜 상기 가이드롤(113)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가이드롤(113)이 초기의 위치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로드(121a)가 전진되어 상기 분리용 롤러(123)를 원위치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3)가 구동되고, 상기 반제품(1)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3)에 의해 상기 타이어 성형공정으로 이송된다.
상기 타이어 반제품의 위치 자동보정 장치(100)는 상기 반제품(1)이 상기 가이드롤(113)에 설정된 위치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의 방법과 같이 반복되어 구동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타이어 반제품 2:적재 트럭
3:컨베이어 벨트
100:타이어 반제품 위치 자동보정 장치.
110:제1 보정부 111:프레임
112:브라켓 113:가이드롤
113a:샤프트 113b:가이드롤 브라켓
114:액추에이터 114a:액우에이터 로드
115:CPC센서 120:제2 보정부
121:실린더 121a:실린더 로드
122:링크 123:분리용 롤러
124:지지대

Claims (3)

  1. 반제품을 타이어 성형공정으로 공급하기 위해 권취된 상기 반제품이 적재 트럭에서 권출되어 컨베이어 벨트의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센터링 보정작업이 수행되는 타이어 반제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 트럭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반제품의 폭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균일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반제품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반제품의 위치를 보정하는 제1 보정부; 및
    상기 제1 보정부에 결합되어 연동되고 상기 제1 보정부의 구동되는 범위가 초과되어 센터링 보정작업이 수행될 수 없는 것을 수신하며 상기 제1 보정부가 초기 위치로 이동되기 위해 상기 제1 보정부에서 상기 반제품을 분리시키는 제2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정부의 구동시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중단되며,
    상기 제1 보정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반제품이 통과되는 가이드롤과,
    상기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롤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가이드롤에 대향되도록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반제품이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2 보정부와, 상기 액추에이터에 전달하는 CPC(Center Position Control)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반제품의 위치 자동보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정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후이동되는 로드가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로드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롤의 일단부에 축회전되도록 타측이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에 결합되어 상기 반제품이 승강되는 분리용 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반제품의 위치 자동보정 장치.
KR1020160123102A 2016-09-26 2016-09-26 타이어 반제품의 위치 자동보정 장치 KR101868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102A KR101868451B1 (ko) 2016-09-26 2016-09-26 타이어 반제품의 위치 자동보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102A KR101868451B1 (ko) 2016-09-26 2016-09-26 타이어 반제품의 위치 자동보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755A KR20180033755A (ko) 2018-04-04
KR101868451B1 true KR101868451B1 (ko) 2018-06-18

Family

ID=61975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102A KR101868451B1 (ko) 2016-09-26 2016-09-26 타이어 반제품의 위치 자동보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4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2088B1 (fr) * 2019-10-21 2021-11-05 Michelin & Cie Enroulage et Déroulage d’une Bande de Gomme et d’un Intercalaire Portant la Bande de Gomme
FR3102087B1 (fr) * 2019-10-21 2021-11-05 Michelin & Cie Enroulage et Déroulage d’une Bande de Gomme et d’un Intercalaire Portant la Bande de Gomme
NL2028310B1 (en) * 2021-05-27 2022-12-08 Vmi Holland Bv Unwinding system and method for unwinding a tire component from a stock reel and for outputting said tire component in a transport direction
BR112023024560A2 (pt) * 2021-05-27 2024-02-06 Vmi Holland Bv Sistema de desenrolamento, conjunto e método para desenrolar um componente de pneu de uma bobina de estoque
NL2028312B1 (en) * 2021-05-27 2022-12-12 Vmi Holland Bv Unwinding system, assembly and method for unwinding a tire component from a stock re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6019A (ja) * 1996-02-21 1997-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ベルト供給装置のセンタリング方法及び装置
JP2001113610A (ja) * 1999-10-15 2001-04-24 Bridgestone Corp クッション付きベルト部材のセンタリング方法及び装置
KR100635031B1 (ko) * 2005-10-05 2006-10-1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성형기 재료의 공급 센터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447B1 (ko) * 2003-09-18 2005-11-2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이송용 반제품 시트의 센터링장치
KR100693210B1 (ko) * 2005-11-18 2007-03-1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반제품 성형드럼에서 반제품 재료를 분리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6019A (ja) * 1996-02-21 1997-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ベルト供給装置のセンタリング方法及び装置
JP2001113610A (ja) * 1999-10-15 2001-04-24 Bridgestone Corp クッション付きベルト部材のセンタリング方法及び装置
KR100635031B1 (ko) * 2005-10-05 2006-10-1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성형기 재료의 공급 센터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755A (ko)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451B1 (ko) 타이어 반제품의 위치 자동보정 장치
CN112041250B (zh) 橡胶片构件的供给装置以及方法
WO2020255555A1 (ja) 未加硫の環状ゴム部材の製造装置および方法
JP2009249139A (ja) 巻取シート状物受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215190B1 (ko) 고속 롤투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3370563B (zh) 用于运输轮胎部件的运输装置、施加器以及方法
KR100635031B1 (ko) 성형기 재료의 공급 센터링장치
KR100736420B1 (ko) 평판타발기의 판지 피딩시스템
KR102324736B1 (ko) 박스 판지의 공급 설비 및 이를 이용한 박스 판지의 공급 방법
KR20090055076A (ko) 골판지원단의 자동이송공급장치
KR101776580B1 (ko) 목재 적재 장치
KR101522165B1 (ko) 스트립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JP2777708B2 (ja) ボビン支持装置
KR101800879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인쇄지의 이송장치
KR20030069452A (ko) 인쇄기용 골판지 공급장치
JP2012035463A (ja) タイヤ材料搬送装置
JP2712108B2 (ja) 給紙装置へのロール原反供給方法及び装置
KR200368857Y1 (ko) 타이어 센터링 정렬장치
CN207175024U (zh) 一种卷料板材的自动上料装置
KR102438673B1 (ko) 원단 공급장치
JP2017052102A (ja) タイヤ材料搬送装置およびタイヤ材料搬送方法
KR20070111134A (ko) 플로터의 원단 장력조절 장치
JPS6111718Y2 (ko)
KR200261074Y1 (ko) 벨트쿠션자동공급장치
KR200277573Y1 (ko) 제대기의 다열식 원단 자동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