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673B1 - 원단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원단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673B1
KR102438673B1 KR1020210004216A KR20210004216A KR102438673B1 KR 102438673 B1 KR102438673 B1 KR 102438673B1 KR 1020210004216 A KR1020210004216 A KR 1020210004216A KR 20210004216 A KR20210004216 A KR 20210004216A KR 102438673 B1 KR102438673 B1 KR 102438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oller
supply device
dancer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2028A (ko
Inventor
오희택
윤주용
Original Assignee
(주) 평 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평 안 filed Critical (주) 평 안
Priority to KR1020210004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673B1/ko
Publication of KR20220102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4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positively actuated mov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10Actuating means linear
    • B65H2555/11Actuating means linear pneumatic, e.g. infla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Landscapes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 Advancing Web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 원단공급부로부터 원단을 공급받아 인쇄기측으로 연속 공급하는 원단 공급장치에 있어, 각 이송롤러와 익스텐더롤러를 경우하여 상하 지그재그방식으로 원단을 공급함에 있어, 원단이 초기 공급되는 공급장치의 전반부측과 최종 인쇄기측으로 배출 공급되는 원단의 장력 값을 주어진 제1공압실린더, 제2공압실린더 및 고속 비례제어밸브의 빠른 제어와 함께 제1댄서롤러와 제2댄서롤러에서 별도로 원단의 균일한 이송속도를 맞추기 위한 상하 수직운동을 구현하여 인쇄기측으로 원단 연속공급시 불안정한 장력발생을 없애 연속적인 원단이 공급될 수 있게 함으로써, 원단의 멈추는 현상을 방지시켜 인쇄출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단 공급장치{Fabric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원단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메인 원단공급부로부터 권선되어 있는 원단을 공급받아 인쇄기측으로 연속 공급하는 원단 공급장치에 있어, 다수의 이송롤러를 거치는 원단의 전반이송 측과 후반이송 측에 발생하는 장력을 정밀하게 균일 유지토록 하여 인쇄기측으로 원단 연속공급시 불안정한 장력발생으로 원단이 멈추는 현상을 방지시켜 인쇄출력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도록 한 원단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단에 실사 프린트 등의 목적으로 대형 인쇄기측으로 원단의 공급하는 원단 공급장치는 상호 대응되는 지지패널에 다수개의 이송롤러와 원단의 주름을 펴기 위한 익스펜더롤러 등이 구비되어져 다수개의 이송롤러와 익스펜더롤러 및 댄서롤러를 통해 원단이 대량 권선된 메일 원단공급롤로부터 원단을 해당 인쇄기 또는 원단 가공처리기 등으로 연속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원단 공급장치를 통해 원단의 공급이 이루어짐에 있어, 원단은 각 이송롤러를 경유하여 공급이 이루어지는바, 이때 발생하는 주름을 바르게 펴서 공급하거나 원단에 가해지는 장력은 댄서롤러의 업다운 동작으로 조정되어 원단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원단의 공급을 위한 원단 공급장치 관련 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68834호(명칭: 원단공급장치, 공개일자: 2018년 06월 22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이라 칭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의 구성을 살피면, 원단을 감아거는 메인롤러수단; 및 상기 메인롤러수단에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롤러수단은, 전동수단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마련되는 회전부재; 복수의 돌출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며, 각각의 돌출부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원단의 주름을 펼 수 있는 안내편과,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안내편이 돌출부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안내편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주름방지부재; 및 원단이 일측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를 회전축과 직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원단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는 위치정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급수단에는, 원단에 감아걸리면 원단의 장력에 따라서 승하강하는 텐션롤러와, 상기 텐션롤러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위치검출수단은, 상기 텐션롤러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며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부와, 각각의 발광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빛을 감지하는 복수의 수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텐션롤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를 위치이동하여 상하 위치가 검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텐션롤러 상술한 댄서롤러와 동일하고, 상기 주름방지부재는 익스텐션롤러와 동일한 것으로 이하 상기 텐션롤러는 댄서롤러, 주름방지부재는 익스텐션롤러로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댄서롤러는 개시된 공개공보에서 미설명되어 있지만,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대향되게 구비된 복수의 실린더 및 실린더의 작동로드 단부 측에 연결 설치된 것으로, 상기 댄서롤러의 중심축 양단에는 스프라켓휠이 결합되며, 이 스프라켓휠은 대응되는 지지프레임에 양측이 회전되게 구비된 회전축 단부의 스프라켓휠에 경유되게 걸려지는 체인 및 체인에 매달린 무게추로 인해 하부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 원단을 경유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댄서롤러는 원단의 이송에 대한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동작은, 상기 위치검출수단인 발광부와 수광부가 수직 배열된 일측을 댄서롤러의 상부 또는 하부 이동방향에 따라 수광부는 각각의 발광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방출된 빛을 감지하는 것으로, 익스텐션롤러에서 원단의 주름을 펴주는 동작과 일측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댄서롤러의 상하 동작감지는 단순히 실린더에서는 댄서롤러의 연결 및 댄서롤러측의 스프라켓휠을 경유하는 체인에 대응하여 수직 동작의 감지동작에 한하기 때문에, 원단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장력 보정에는 취약한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상기 댄서롤러는 무게추에 의해 일정방향으로 일정크기의 힘이 가해진 상태를 유지하며, 그 위치의 변동에 관계없이 이송되는 원단에 일정의 장력이 인가되도록 한 구성은 별도의 회전축은 물론, 스프라켓휠, 체인의 연결에 의해 복잡하한 구조로서 천 소재의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장치로서 적합치 못한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원단 공급장치는 원단의 주름 및 편중이송을 방지해결은 가능하지만, 원단의 균일한 장력유지에 따른 인쇄기측으로으로 연속공급시 인쇄기측에서 재차 장력보정을 위해 원단을 멈추는 동작으로 향후 원단의 실사출력 품질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메인 원단공급부로부터 권선되어 있는 원단을 공급받아 인쇄기측으로 연속 공급하는 원단 공급장치에 있어, 다수의 이송롤러를 거치는 원단의 전반이송 측과 후반이송 측에 발생하는 장력을 정밀하게 균일 유지토록 하여 인쇄기측으로 원단 연속공급시 불안정한 장력발생으로 원단이 멈추는 현상을 방지시켜 인쇄출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원단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단이 대량으로 감긴 메인 원단공급부로부터 원단을 인쇄기측으로 공급이송하는 원단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단 공급장치는,
다수개의 연결대로서 대응되게 지지되고, 수직되는 장공이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며, 상기 장공의 외측부에는 랙기어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장공의 내측부에는 상기 랙기어부재와 대각선상으로 가이드플레이트가 부착된 지지패널;
상기 지지패널에 축 양단이 회전 지지되며, 메인 원단공급부로부터 원단을 공급받아 정렬 이송시키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지지패널에 축 양단이 회전 지지되어 이송되는 원단 주름방지를 위해 둘레부가 좌우로 동작구현되어 원단을 정렬하여 이송시키는 익스펜더롤러와, 상기 익스펜더롤러가 설치되는 지지패널의 전후 상부 측에 축 양단이 회전 지지되고, 축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롤러를 경유하는 원단의 장력하중을 전기신호로 발생하는 로드셀이 구비된 제1이송롤러 및 제2이송롤러와, 상기 지지패널의 장공과 가이드플레이트의 길이 변에 축 양단이 수직 안내되고, 축 양단에는 상기 랙기어부재와 치합되는 피니온기어가 결합되어 제1이송롤러와 익스펜더롤러 사이에서 원단의 이송속도를 조정하는 제1댄서롤러 및 상기 익스펜더롤러와 제2이송롤러 사이에서 원단의 이송속도를 조정하는 제2댄서롤러로 이루어진 원단이송부;
상기 제1 및 제2댄서롤러의 축단에 작동로드가 연결대로 연결되어 대응되는 지지패널에 각각 수직으로 부착 고정되는 제1공압실린더 및 제2공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원단 공급장치의 원단 장력 조절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익스텐더롤러와 제2댄서롤러 사이에는 대응되는 지지패널에 제3이송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제3이송롤러는 원단의 이송에 대한 장력보정을 위해 지지패널로부터 상하로 가변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롤러의 축상에는 메인 원단공급부로부터 권선된 원단의 감긴 방향에 따라 가이드롤러측으로 원단을 정렬하여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공압실린더에는 제1 및 제2댄서롤러에서 받는 장력하중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공압실린더의 작동 공기압을 자동조정하여 장력 변화된 값에 빠르게 대응하는 고속 비례제어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길이변에는 제1 및 제2공압실린더의 작동로드측이 연결되는 제1댄서롤러와 제2댄서롤러의 상하 위치에 따른 장력 값을 구하기 위한 슬라이드 가변저항이 부착되고,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은 슬라이드 노브에 연결되는 포크부재가 제1댄서롤러와 제2댄서롤러의 축단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공급장치는, 메인 원단공급부로부터 원단을 공급받아 인쇄기측으로 연속 공급하는 원단 공급장치에 있어, 각 이송롤러와 익스텐더롤러를 경우하여 상하 지그재그방식으로 원단을 공급함에 있어, 원단이 초기 공급되는 공급장치의 전반부측과 최종 인쇄기측으로 배출 공급되는 원단의 장력 값을 주어진 제1공압실린더, 제2공압실린더 및 고속 비례제어밸브의 빠른 제어와 함께 제1댄서롤러와 제2댄서롤러에서 별도로 원단의 균일한 이송속도를 맞추기 위한 상하 수직운동을 구현하여 인쇄기측으로 원단 연속공급시 불안정한 장력발생을 없애 연속적인 원단이 공급될 수 있게 함으로써, 원단의 멈추는 현상을 방지시켜 인쇄출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인 원단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공급장치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공급장치에 적용되는 실린더, 댄서롤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댄서롤러측의 피니온기어와 랙기어부재의 치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와 각 구성요소의 개략적인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블럭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원단공급부로부터 원단 공급장치를 통해 원단의 공급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댄서롤러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댄서롤러의 상하작동을 검출하는 슬라이드가변저항 및 포크부재의 설치를 일예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원단(1)이 대량으로 감긴 메인 원단공급부(2)로부터 원단을 인쇄기측으로 공급이송하는 원단 공급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원단 공급장치(100)는, 크게는 지지패널(10), 원단이송부(20) 및 제1공압실린더(30), 제2공압실린더(40)로 나누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패널(10)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연결대(11)로서 대응되게 지지되는 것으로, 수직되는 장공(12)이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며, 상기 장공(12)의 외측부에는 랙기어부재(13)가 부착되고, 상기 장공(12)의 내측부에는 상기 랙기어부재(13)와 대각선상으로 가이드플레이트(14)이 부착되어 본체의 구조물을 이룬다.
상기 지지패널(10)에 적용되는 원단이송부(20)는 다수의 롤러가 설치되며, 이러한 롤러들의 구성은, 상기 지지패널(10)에 가이드롤러(21), 익스펜더롤러(22), 제1이송롤러(23), 제2이송롤러(24), 제1댄서롤러(25) 및 제2댄서롤러(26)가 배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롤러(21)는 지지패널(10)에 대해 축 양단이 회전 지지되며, 메인 원단공급부(2)로부터 원단(1)을 공급받아 정렬 이송시키기 위해 지지패널(10)의 전방(도 3 기준으로 우측에 해당함)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21)의 축상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원단공급부(2)로부터 권선된 원단(1)의 감긴 방향에 따라 가이드롤러(21)측으로 원단을 정렬하여 안내하는 가이드부재(21-1)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익스펜더롤러(22)는 통상적으로 원단의 공급이송에서 원단에 발생한 주름을 펴주고, 좌우 정렬을 하기 위한 롤러로서, 이는 선원기술에서 설명한 익스펜더롤러의 기능과 동일하게 둘레부가 좌우로 동작구현되어 상기 지지패널(10)에 축 양단이 회전 지지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이송롤러(23)는 가이드롤러(21)와 익스텐더롤러(22) 사이의 지지패널(10)에, 상기 제2이송롤러(24)는 원단이 최종적으로 배출되어 인쇄기 방향으로 이송되는 지지패널(10)의 후단측(도 3 기준으로 좌측에 해당함) 전후 상부 측에 축 양단이 회전 지지된다.
상기 제1이송롤러(23), 제2이송롤러(24)는 지지패널(10)에 양단이 지지되는 축 단에 상기 가이드롤러(21)를 경유하는 원단(1)의 장력 하중을 전기신호로 발생하는 로드셀(23-1,24-1)이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 로드셀은 지지패널에 고정설치되어 제1이송롤러 및 제2이송롤러의 양단이 관통되어 이 축으로부터 원단 이송에 의해 받는 장력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매체이다.
상기 제1댄서롤러(25) 및 제2댄서롤러(26)는, 지지패널(10)의 장공(12)과 가이드플레이트(14)의 길이 변에 축 양단이 수직 안내되고, 축 양단에는 상기 지지패널(10)에 마련된 랙기어부재(13)와 치합되는 피니온기어(G)가 결합된다.
상기 제1댄서롤러(25)는 제1이송롤러(23)와 익스펜더롤러(22) 사이에서 원단(1)의 이송속도를 조정하기 위함이고, 상기 제2댄서롤러(26)는 제1댄서롤러(25) 및 상기 익스펜더롤러(22)와 제2이송롤러(24) 사이에서 원단(1)의 이송속도를 조정하기 위함이다.
상기 랙기어부재(13)와 가이드플레이트(14)에 수직으로 안내되는 상기 제1댄서롤러(25) 및 제2댄서롤러(26)의 축단측 피니온기어(G)는 기존 체인을 이용한 스프라켓휠의 연결 및 무게추를 이용한 방식에 비해 원단의 이송속도에 따른 보다 안정적인 수직동작으로 작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및 제2댄서롤러(25,26)의 축단에 대해 상기 제1공압실린더(30) 및 제2공압실린더(40)의 작동로드는 제공되는 축지지용 연결대로서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댄서롤러(25,26)와 직교되게 연결되고, 이는 대응되는 지지패널(10)에 각각 수직으로 부착 고정되어 공기압으로서 원단이송에 대한 제1 및 제2댄서롤러(25,26)의 상하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공압실린더(30,40)에는 제1 및 제2댄서롤러(25,26)에서 받는 장력하중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공압실린더(30,40)의 작동 공기압을 자동조정하여 장력 변화된 값에 빠르게 대응하는 고속 비례제어밸브(30-1,40-1)가 설치된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드셀(23-1,24-1), 제1 및 제2공압실린더(30,40) 및 고속 비례제어밸브(30-1,40-1)는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이들을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익스텐더롤러(22)와 제2댄서롤러(26) 사이에는 대응되는 지지패널(10)에 제3이송롤러(27)가 설치되며, 상기 제3이송롤러(27)는 원단(1)의 이송에 대한 장력보정을 위해 지지패널(10)로부터 상하로 가변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첨부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댄서롤러의 상하작동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록써,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4)의 길이변에는 제1 및 제2공압실린더(30,40)의 작동로드측이 연결되는 제1댄서롤러(25)와 제2댄서롤러(26)의 상하 위치에 따른 장력 값을 구하기 위한 슬라이드 가변저항(16)이 부착된다.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16)은 슬라이드 노브(16a)에 연결되는 포크부재(28)가 제1댄서롤러(25)와 제2댄서롤러(26)의 축단에 설치된다. 이는 상기 제1 및 제22댄서롤러의 상하동작을 각각 슬라이드 가변저항(16)에서 검출하고, 이러한 저항값은 제어부(50)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공압실린더(30,40) 의 작동범위를 제어하여 원단이송에 대한 장력 및 이송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원단 공급장치의 원단 장력과 이송속도 조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단(1)의 공급은 메인 원단공급부(2)측을 기점으로 원단을 풀어 본 발명인 원단 공급장치(100)에 원단(1)을 각 롤러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경유되도록 걸어주고, 그 원단의 일단은 도면상에서 미도시된 인쇄기측으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원단(1)은 가이드롤러(20)의 가이드부재(21-1)에 가장자리가 안내되어 그 후방으로 위치한 제1이송롤러(23), 제1댄서롤러(25), 익스텐더롤러(22), 제3이송롤러(27), 제2댄서롤러(26) 및 제2이송롤러(24)를 경유하는 형태로 걸어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원단(1)의 공급시 발생하는 장력에 대해 상기 제1이송롤러(23)의 축단에 구비된 로드셀(23-1)은 가이드롤러(21)에서 익스텐더롤러(22)를 경유하는 원단(1) 이송시 하중에 의한 장력 값을 읽어들이고, 이러한 신호는 초기 원단 공급장치에서 설정된 임의의 값에 대한 제어부(50)를 통해 제1공압실린더(30)의 작동로드 측과 직교되어 연결된 제1댄서롤러(25)는 상하 유동하면서 원단의 이송속도(buffer)를 제어하여 균일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공급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의 원단(1)은 익스텐더롤러(22)의 동작구현으로 원단의 주름을 펴주면서 좌우 정렬시켜 그 일측 지지패널(10)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된 제3이송롤러(27)를 통해 제2댄서롤러(26)와 제2이송롤러(24)를 거쳐 인쇄기 측으로 공급이 이루어지며, 이 또한 상기 제2댄서롤러(26)의 축단에 직교되게 지지패널(10)에 설치된 제2공압실린더(40)는 제2댄서롤러(26)를 원단의 장력 발생에 대한 상하 유동시켜 원단의 이송속도를 맞추어 장력이 균일하게 유지된 상태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이송롤러(24)의 축단 양측에 설치된 로드셀(24-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단의 장력하중 값을 읽어 들이고, 이러한 전기적인 신호는 상기 제2공압실린더(40)을 작동하여 제2댄서롤러(26)를 통한 원단(1)의 이송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제1댄서롤러(25) 및 제2댄서롤러(26)의 상하 유동동작은 지지패널(10)의 장공(12)을 통해 그 외측에 부착 설치된 랙기어부재(13)과 지지패널(10)의 내측에 부착된 가이드플레이트(14)에 수직 안내됨과 동시에 각 축단에 결합된 피니온기어(G)는 상기 랙기어부재(13)의 기어를 따라 수직으로 하강 또는 상승되는 업/다운 동작으로서 원단의 이송시 장력 및 이송속도를 균일하게 맞추어 줄 수 있게 한다.
첨부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댄서롤러(25,26)의 상하 동작시 그 축단에 설치된 포크부재(28)이 지지패널(10)상의 가이드플레이트(14)에 구비된 슬라이드 가변저항(16)의 슬라이드 노브(16a)를 홀딩한 상태에서 상하 동작되며, 상기 슬라이드 노브(16a)의 위치에 따른 가변저항은 제어부에서 현재 댄서롤러를 통한 원단의 이송시 발생하는 장력에 대해 상기 제1공압실린더(30), 제2공압실린더(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원단의 이송시 장력 및 이송속도를 균일하게 맞추어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원단 공급장치(100)의 전반부와 후반부에서의 장력을 별도로 각각 원단의 장력과 이송속도를 제어하면서 원단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점은, 인쇄기측으로 원단이 공급됨에 있어, 프린터가 출력하는 동안 원단을 멈추지 않고 연속으로 설정된 속도에 맞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 출력에 대한 품질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50)를 통한 제1공압실린더(30)와 제2공압실린더(40)의 제어동작은 상기 제1 및 제2공압실린더에 구비되어 압력을 실린더의 작동 압력 값을 반응이 빠르게 작동하는 고속 비례제어밸브(30-01,40-1)의 빠른 응답 제어방식으로 실린더 작동로드 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공급이 이루어져야 하는 프린터 측으로의 원단공급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원단 2: 메인 원단공급부
10: 지지패널 11: 연결대
12: 장공 13: 랙기어부재
14: 가이드플레이트 16: 슬라이드 가변저항
16a: 슬라이드 노브 20: 원단이송부
21: 가이드롤러 21-1: 가이드부재
22: 익스텐더롤러 23: 제1이송롤러
24: 제2이송롤러 23-1,24-1: 로드셀
25: 제1댄서롤러 26: 제2댄서롤러
27: 제3이송롤러 28: 포크부재
30: 제1공압실린더 40: 제2공압실린더
30-1,40-1: 고속 비례제어밸브 50: 제어부
100: 원단 공급장치 G: 피니온기어

Claims (5)

  1. 원단(1)이 대량으로 감긴 메인 원단공급부(2)로부터 원단을 인쇄기측으로 공급이송하는 원단 공급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원단 공급장치(100)는,
    다수개의 연결대(11)로서 대응되게 지지되고, 수직되는 장공(12)이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며, 상기 장공(12)의 외측부에는 랙기어부재(13)가 부착되고, 상기 장공(12)의 내측부에는 상기 랙기어부재(13)와 대각선상으로 가이드플레이트(14)이 부착된 지지패널(10);
    상기 지지패널(10)에 축 양단이 회전 지지되며, 메인 원단공급부(2)로부터 원단(1)을 공급받아 정렬 이송시키는 가이드롤러(21)와,
    상기 지지패널(10)에 축 양단이 회전 지지되어 이송되는 원단 주름방지를 위해 둘레부가 좌우로 동작구현되어 원단(1)을 정렬하여 이송시키는 익스펜더롤러(22)와,
    상기 익스펜더롤러(22)가 설치되는 지지패널(10)의 전후 상부 측에 축 양단이 회전 지지되고, 축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롤러(21)를 경유하는 원단(1)의 장력하중을 전기신호로 발생하는 로드셀(23-1,24-1)이 구비된 제1이송롤러(23) 및 제2이송롤러(24)와,
    상기 지지패널(10)의 장공(12)과 가이드플레이트(14)의 길이 변에 축 양단이 수직 안내되고, 축 양단에는 상기 랙기어부재(13)와 치합되는 피니온기어(G)가 결합되어 제1이송롤러(23)와 익스펜더롤러(22) 사이에서 원단(1)의 이송속도를 조정하는 제1댄서롤러(25) 및 상기 익스펜더롤러(22)와 제2이송롤러(24) 사이에서 원단(1)의 이송속도를 조정하는 제2댄서롤러(26)로 이루어진 원단이송부(20);
    상기 제1 및 제2댄서롤러(25,26)의 축단에 작동로드가 연결대로 연결되어 대응되는 지지패널(10)에 각각 수직으로 부착 고정되는 제1공압실린더(30) 및 제2공압실린더(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펜더롤러(22)와 제2댄서롤러(26) 사이에는 대응되는 지지패널(10)에 제3이송롤러(27)가 설치되며, 상기 제3이송롤러(27)는 원단(1)의 이송에 대한 장력보정을 위해 지지패널(10)로부터 상하로 가변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21)의 축상에는 메인 원단공급부(2)로부터 권선된 원단(1)의 감긴 방향에 따라 가이드롤러(21)측으로 원단을 정렬하여 안내하는 가이드부재(21-1)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공압실린더(30,40)에는 제1 및 제2댄서롤러(25,26)에서 받는 장력하중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공압실린더(30,40)의 작동 공기압을 자동조정하여 장력 변화된 값에 빠르게 대응하는 고속 비례제어밸브(30-1,40-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4)의 길이변에는 제1 및 제2공압실린더(30,40)의 작동로드측이 연결되는 제1댄서롤러(25)와 제2댄서롤러(26)의 상하 위치에 따른 장력 값을 구하기 위한 슬라이드 가변저항(16)이 부착되고,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16)은 슬라이드 노브(16a)에 연결되는 포크부재(28)가 제1댄서롤러(25)와 제2댄서롤러(26)의 축단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공급장치.
KR1020210004216A 2021-01-12 2021-01-12 원단 공급장치 KR102438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216A KR102438673B1 (ko) 2021-01-12 2021-01-12 원단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216A KR102438673B1 (ko) 2021-01-12 2021-01-12 원단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028A KR20220102028A (ko) 2022-07-19
KR102438673B1 true KR102438673B1 (ko) 2022-09-02

Family

ID=82607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216A KR102438673B1 (ko) 2021-01-12 2021-01-12 원단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792873A (zh) * 2024-08-16 2024-10-18 盐城爱然服饰有限公司 一种防松动的服饰面料加工用分切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595B1 (ko) 2012-05-03 2013-10-04 (주)아이피에스코리아 필름 이송 장치
KR101875078B1 (ko) 2014-01-20 2018-07-05 (주)피엔티 필름 절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3768B2 (ja) * 2013-08-26 2017-03-29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長尺物の張力付与装置及びその張力付与方法
KR20180068834A (ko) * 2016-12-14 2018-06-22 부솔산업 주식회사 원단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595B1 (ko) 2012-05-03 2013-10-04 (주)아이피에스코리아 필름 이송 장치
KR101875078B1 (ko) 2014-01-20 2018-07-05 (주)피엔티 필름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028A (ko)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3543A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KR101320895B1 (ko) 텐션 조절이 가능한 롤 코팅 장치
US3897053A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438673B1 (ko) 원단 공급장치
KR102048852B1 (ko) 액티브 댄서를 이용한 웹 좌우 장력 독립 제어 장치 및 방법
KR0149437B1 (ko) 고무화-쉬트의 공급 장치
KR101423227B1 (ko) 산업필름 공급 와인더용 가이드롤러조립체
KR20160099167A (ko) 낚시바늘 제조장치용 와이어 공급장치
JP4239369B2 (ja) ウエブの蛇行制御装置およびこの蛇行制御装置を用いた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の製造装置
CN1572487B (zh) 纸的导向装置
CN103072369A (zh) 多色印刷机的纸材输送装置
JPH11321830A (ja) ウェブ巻装ロールの包装材除去装置
JP2002234648A (ja) 輪転印刷機
US3737090A (en) Draw roll assembly for bag machine
KR100491125B1 (ko) 모터를 이용한 끝단 위치제어 장치
KR101800879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인쇄지의 이송장치
US6966475B2 (en) Draw roller with adjustable pull ring
JPH08216363A (ja) 自動紙通し装置のウェブ送り装置
CN220864990U (zh) 具有卷筒纸裁切机输纸功能的单张自动模切烫印机
CN220617822U (zh) 一种降低应力松弛布面的溜布装置
KR101689027B1 (ko) 책자형 인쇄물의 표지 인쇄기
KR860002651Y1 (ko) 윤전인쇄기의 소재 이송속도 자동 조절장치
CN219448663U (zh) 一种织带恒张力送料熨烫装置
CN214610665U (zh) 一种能够张紧薄膜的新型供膜装置
JPH06206653A (ja) 輪転印刷機における紙端位置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