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888B1 - 커튼에어백 쿠션 - Google Patents

커튼에어백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888B1
KR101864888B1 KR1020170170363A KR20170170363A KR101864888B1 KR 101864888 B1 KR101864888 B1 KR 101864888B1 KR 1020170170363 A KR1020170170363 A KR 1020170170363A KR 20170170363 A KR20170170363 A KR 20170170363A KR 101864888 B1 KR101864888 B1 KR 101864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curtain airbag
airbag cushion
panel
tensile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권
박성환
Original Assignee
(주)두올
(주)아이에이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840132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6488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올, (주)아이에이치씨 filed Critical (주)두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888B1/ko
Priority to EP18000586.0A priority Critical patent/EP3498542B1/en
Priority to ES18000586T priority patent/ES2817545T3/es
Priority to CN201810875811.4A priority patent/CN109017666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8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60R2021/23538S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7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anels
    • B60R2021/23576S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7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anels
    • B60R2021/23595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 충격시 또는 차량 전복시 일정 시간 이상 커튼에어백 쿠션의 내압을 유지하여 탑승자를 보호하고, 고온이나 저온 또는 고습 조건에서도 성능을 유지하는 커튼에어백 쿠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판넬, 심 실링부, 봉제부, 개구부로 구성되며, 커튼에어백 쿠션 원단의 기밀성 및 실런트와 봉제사의 높은 강도로 인하여 손상 없이 커튼에어백 쿠션의 내압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봉제부와 테더 연결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봉제사 뭉침 현상을 해결하고, 테더 연결부의 강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커튼에어백 쿠션{CURTAIN AIR-BAG CUSHION}
본 발명은 커튼에어백 쿠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실내 옆면의 상단에 부착되어 차량 측면 충격 시 커튼에어백 쿠션이 전개되고, 일정 시간 이상 전개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는 커튼에어백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에어백이란, 차량 실내에 창문 상단을 따라 길게 부착되어 있는 에어백으로 주행중인 차량의 측면 충돌 시 빠른 속도로 팽창하며, 특히 탑승자의 머리나 어깨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차체의 충격감지센서가 충돌 시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면 커튼에어백 쿠션에 연결된 인플레이터(inflator)가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여 순간적으로 커튼에어백이 부풀어오른다.
탑승자의 시야 확보 및 차량 탈출을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해 팽창 후 곧바로 가스가 빠져나가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에어백과 달리, 커튼에어백의 경우 1차적으로 탑승자를 측면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2차적으로 차량 전복 시를 대비하여야 하므로 수 초 동안 내부 가스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커튼에어백의 원단은 순간적인 내부 가스 압력 증가에도 불구하고 커튼에어백 자체의 손상이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고강도 및 고내열성이 요구되며, 판넬의 결합부가 충격에도 파열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종래의 커튼에어백 쿠션의 경우 전개 후 봉제 부위로 내부 가스가 유출되어 차량 전복시 내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원사의 틈으로 내부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튼에어백 쿠션의 원단에 코팅액을 도포하여 기밀성을 유지하고, 심 실링부 상에 봉제부를 도입하여 심 실링부의 강도를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봉제부와 테더 연결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봉제사의 뭉침 현상을 방지하고, 테더 연결부의 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공보 제2004-7924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측면 충격시 또는 차량 전복시 일정 시간 이상 커튼에어백 쿠션의 내압을 유지하여 탑승자를 보호하고, 고온이나 저온 또는 고습 조건에서도 성능을 유지하는 커튼에어백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봉제부와 테더 연결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봉제사 뭉침 현상을 해결하고, 테더 연결부의 강도가 향상된 커튼에어백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판넬;
상기 판넬을 접합하는 심 실링(seam sealing)부;
상기 심 실링부를 따라 봉제되는 봉제부;
상기 판넬 결합 시 에어백 내부 공기를 배출하여 심 실링부의 퍼짐을 방지하기 위한 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판넬의 원단은 실리콘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팅액이 도포되고,
상기 코팅액은 파단연신율 180% 이상; 인장강도 3.0MPa 이상; 인열강도 4.0KN/m 이상; 경도 30 이상이며,
상기 코팅액이 도포된 판넬의 공기투과율은 0.15cfm 이하이고,
상기 코팅액 도포량은 단위면적당 30g/㎡ 이상이며,
상기 봉제부의 시작 지점이 백 스티치(back stitch) 구조이다.
상기 판넬의 원단이 폴리에스테르이고, 경위사 밀도 44 내지 48EA/in; 단위 면적당 중량은 190 내지 240g/㎡; 인장 강도 180kgf/in 이상; 인열 강도 20kgf 이상; 연신율 20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넬의 원단이 폴리아미드이고, 경위사 밀도 49 내지 53EA/in; 단위 면적당 중량은 220 내지 300g/㎡; 인장 강도 180kgf/in 이상; 인열 강도 15kgf 이상; 연신율 20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 실링부는 2액형의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실런트가 판넬의 접합을 위해 도포되고,
상기 실리콘 수지 조성물은 밀도 1 내지 1.5g/㎤; 인장강도 3.5MPa 이상; 연신율 1,0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제부는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봉제사로 구성되고,
상기 봉제사의 섬도는 1300D 이상; 땀수 25mm당 9 내지 15EA; 도포마진 3mm 이상; 인장강도 18kgf 이상이며,
락스티치 또는 체인스티치 방법으로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튼에어백 쿠션은 차량 측면 충격이나 전복 상황에서 원단의 기밀성 및 실런트와 봉제사의 높은 강도로 인하여 커튼에어백 쿠션의 손상없이 쿠션 내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다양한 외부 환경에서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봉제부와 테더 연결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봉제사 뭉침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테더 연결부의 강도가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도 1은 커튼에어백 쿠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판넬을 결합하는 봉제선에 의해 발생한 봉제홀로 커튼에어백 쿠션 내부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3은 심 실링부에 의해 봉제홀과 쿠션 내부가 분리된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테더 연결부가 실링 처리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은 커튼에어백 쿠션 내압 상승 시 개구부가 받는 힘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개구부에 인접한 봉제부에서 봉제사가 2-line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커튼에어백 쿠션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는 커튼에어백 쿠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같이 커튼에어백 쿠션은 판넬, 심 실링부, 봉제부,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넬은 두 개의 판넬이 심 실링부 및 봉제부에 의해 이중으로 접합된 것이다.
판넬은 원단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 실리콘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팅액이 도포된다. 차량의 측면에 부착되는 커튼에어백은 탑승자를 측면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차량 전복 시를 대비하여야 하므로, 수 초 동안 커튼에어백 쿠션 내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코팅액이 도포되지 않은 원단을 사용하면 원사 사이의 틈으로 가스가 분출되므로, 상기 실리콘 조성물이 포함된 코팅액을 도포하여 커튼에어백 쿠션의 내압을 유지한다.
상기 코팅액 조성물은 2액형의 실리콘 수지 조성물로 주제와 경화제 혼합 후 점도가 15,000 내지 43,000mPa.s 이고, 파단연신율이 180% 이상, 인장 강도 3.0MPa 이상, 인열 강도 4.0KN/m 이상, 경도 30 이상이며, 코팅액 도포 후의 커튼에어백의 공기 투과율은 0.15cfm 이하이다.
본 발명의 커튼에어백 쿠션은 코팅액이 도포된 원단에 의해 내압 성능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커튼에어백 쿠션 팽창 후 초기 압력은 300 내지 500kPa이며, 30ms 후 내압은 10kPa 이상, 40ms 후 내압은 20kPa 이상, 1.5s 후 내압은 7kPa 이상, 6.0s 후 내압은 4kPa이다.
코팅액을 도포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이프 코팅, 콤마 코팅, 롤 코팅, 침지 코팅, 스프레이 코팅 등 어느 방법이나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에어 나이프 코팅은 비교적 박막을 직물 표면상에 형성하고, 코팅제의 직물에의 침입도 적을 뿐만 아니라 유연한 코팅 기포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판넬은 평직(plain weave)으로 제조되고, 판넬의 원단을 구성하는 원사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원사의 파단연신율은 15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단연신율이 15% 미만이면 탄성 부족으로 커튼에어백 쿠션 전개시 원단 손상의 우려가 있으며, 파단연신율이 30%를 초과하면 과도한 탄성으로 인하여 원단이 늘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원사는 고온(180)에서 4 내지 8% 범위의 수축률을 갖는데,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커튼에어백 쿠션 내부 환경에 따라 과도한 원단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ET 원사는 470 내지 590Dtex 범위의 굵기를 가지며, PET 원사의 굵기가 470Dtex 미만이면 원사 강도 부족으로 인하여 원단의 강도도 낮아져 커튼에어백 쿠션의 성능을 만족할 수 없다. PET 원사의 굵기가 590Dtex를 넘어서면 커튼에어백 쿠션의 중량이 증가하여 차량 연비 효율이 감소한다.
상기 PET 원사에 의해 직조되고, 표면에 코팅액이 도포된 폴리에스테르 원단은 위사와 경사가 각각 49 내지 53EA/in이며, 단위 면적당 중량은 220 내지 300g/㎡ 이다. 단위 면적당 중량이 220g/㎡ 미만이면 원단의 강도가 낮아 커튼에어백 쿠션의 원단으로 사용할 수 없고, 300g/㎡을 넘어서면 자동차의 연비 효율이 급격하게 감소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단은 인장 강도가 180kgf/in 이상, 인열 강도가 15kgf 이상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단의 인장 강도가 180kgf/in 미만이거나, 인열 강도가 15kgf 미만이면 커튼에어백 쿠션에 있어서 요구되는 성능을 불만족하여 탑승객 보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는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66이다. 나일론 66 원사의 굵기는 470 내지 500Dtex 범위이며, 원사의 굵기가 470Dtex에 미치지 못하면 원단의 강도가 낮아 요구되는 커튼에어백 쿠션 성능을 불만족하고, 500Dtex를 넘어서면 커튼에어백 쿠션의 중량이 증가하여 차량 연비 효율이 감소한다.
상기 나일론 66 원사에 의해 직조되고, 표면에 코팅액이 도포된 폴리아미드 원단은 위사와 경사가 각각 44 내지 48EA/in이며, 단위 면적당 중량은 190 내지 240g/㎡이다. 단위 면적당 중량이 190g/㎡ 미만이면 원단의 강도가 지나치게 낮아 커튼에어백 쿠션의 원단으로 사용할 수 없고, 240g/㎡을 넘어서면 자동차의 연비 효율이 급격하게 감소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폴리아미드 원단의 경우 인장 강도는 180kgf/in 이상, 인열 강도는 20kgf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아미드 원단의 인장 강도가 180kgf/in 미만이거나, 인열 강도가 20kgf 미만이면 커튼에어백 쿠션에 있어서 요구되는 성능을 불만족하여 탑승객 보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
커튼에어백 쿠션 원단의 연신율은 20 내지 65% 범위이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 탄성이 지나치게 부족하거나 과도하게 되는 경우 커튼에어백 쿠션 성능이 저하된다. 특히, PET 원사 대비 나일론 66 원사의 높은 연신율로 인하여 동일한 외부 조건에서 PET 원단의 늘어나는 부피가 나일론 66 원단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커튼에어백 쿠션의 원단이 PET인 경우, 이러한 재질 특성으로 인하여 나일론 66인 경우보다 내압이 높다.
한편, 본 발명에서 심 실링부는 2액형의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실런트가 도포되는 부분이다. 상기 실리콘 수지 조성물은 밀도 1 내지 1.5g/㎤, 인장강도 3.5MPa 이상, 연신율 1,050% 이상이며, 도포 후 경화를 위해 상온에서 12시간 이상 방치한다.
상기 실런트는 8 내지 18mm의 폭으로 판넬 상에 도포된다. 실런트의 도포폭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도포 두께가 지나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커튼에어백 쿠션 전개 시 쿠션 손상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실런트의 도포 두께는 0.5 내지 1.2mm 이하의 범위를 유지하여야 한다.
도포된 실런트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0.061 내지 0.147g/㎠이다. 단위면적당 중량이 0.061g/㎠ 에 미치지 못하면 실런트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커튼에어백 쿠션(100) 팽창시 가스 누출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0.147 g/㎠ 를 초과하면 실런트 경화에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봉제부는 심 실링부를 따라 접합부를 강화하기 위하여 도입된 것으로, 심 실링부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봉제사로만 판넬을 결합하는 경우 봉제홀로 커튼에어백 내부 가스가 유출되나(도 2), 본 발명의 경우 심 실링부의 실리콘 실런트로 인하여 봉제홀 주위가 쿠션 내부와 분리됨으로써 가스 누출이 발생하지 않는다(도 3). 상기 봉제부의 봉제사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66을 사용한다.
상기 봉제사의 굵기는 1266D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300D 이상이다. 봉제사의 굵기가 1266D 미만이면 커튼에어백 쿠션 전개시 봉제사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봉제사의 땀수는 25mm당 9 내지 15EA, 도포 마진은 3mm이상 유지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도포 마진이란 실런트 도포 끝단에서 봉제사가 관통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며, 도포 마진이 3mm에 미치지 못하면 커튼에어백 쿠션 전개시 실런트가 제역할을 하지 못해 봉제 부위로 가스 누출 우려가 있다.
봉제부가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은 백 스티치(back stitch) 구조이며(도 1 확대 부분), 이는 봉제부 끝단에서 봉제사가 뭉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봉제사 뭉침 현상이 발생하면 인플레이터 조립 후 커튼에어백 쿠션에 고정 시 간섭이 발생하여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백 스티치는 판넬의 끝단에서 2 내지 3mm 간격을 두고 실시한다.
본 발명에서 테더는 차량 앞부분에 커튼에어백 쿠션을 고정하여 차량과 커튼에어백 쿠션을 연결한다. 도 4와 같이 테더 연결부에 실런트를 도포함으로써 기존의 커튼에어백 쿠션 대비 강도가 120% 이상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판넬이 실런트 및 봉제사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커튼에어백 쿠션 원단의 인장 강도 및 인열 강도가 증가한다. 구체적으로 심 실링부에 봉제 전후 강도를 비교하면, 상온 조건, 사이클링(Cycling) 조건, Heat Aging 조건, 오존 조건, Humidity 조건에서 인장 강도 150% 이상, 인열 강도 120% 이상 증가한다. 사이클링 조건은 아래 사이클링 조건 1 내지 2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사이클링(Cycling) 조건 1]
① 38, 95% 습윤 상태에서 24시간 경과, 80℃에서 24시간 경과, 29℃에서 6시간 경과 조건을 2회 반복
[사이클링(Cycling) 조건 2]
① -40, 29시간 경과, 22℃, 95% 습윤 상태에서 19시간 경과, 107℃에서 29시간 경과, 22℃, 95% 습윤 상태에서 19시간 경과 조건을 3회 반복
[Heat Aging 조건]
108에서 408시간 경과
[오존 조건]
오존 가스 농도 0.5ppm, 38에서 14일 경과
[Humidity 조건]
70, 95% 습윤 상태에서 408시간 경과
본 발명의 심 실링부의 강도는 18kgf 이상이다. 심 실링부의 강도가 18kgf 미만이면 커튼에어백 쿠션 내부의 순간적인 압력 증가로 인하여 심 실링부가 파열되어 일정 시간 이상 압력이 유지될 수 없다.
상기와 같이 고온고습 조건이나 저온 조건, 높은 오존 농도 조건에서도 커튼에어백 쿠션 원단의 강도는 18kgf 이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여름철 온도 및 습도가 높은 날씨 또는 고농도 오존하에서도 커튼에어백 쿠션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개구부는 커튼에어백 쿠션 내압에 의한 응력 완화를 위한 것이며, 판넬 결합 시 개구부를 통해 내부 공기를 배출한다(도 5). 차량의 측면 충돌이 일어나 인플레이터에 의해 커튼에어백 쿠션 내부에 가스가 주입되어 상기 커튼에어백 쿠션이 급속도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심 실링부의 실런트 밀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부를 도입하였으며, 개구부의 형태는 일자(-)형 및 십자(+)형이나, 그 외 원형, 다각형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개구부에 인접하여 원형으로 심 실런트가 도포되며, 상기 심 실런트를 따라 봉제부가 형성된다. 원형 심 실런트 도포부의 강도 증가를 위해 개구부에 인접한 봉제부는 봉제사가 2-line으로 형성되며(도 6), 개구부에 인접하지 않은 봉제부는 봉제사가 1-line으로 형성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나일론 66 원사(475Dtex/420D, 파단 강도 39.4N, 파단 연신율 21.6%, 고온에서의 수축률 5.7%)에 의해 직조된 나일론 66 원단에 실리콘 코팅액(다우코닝사, LCF 3600)을 도포하여 제조한 판넬을 실리콘 실런트(다우코닝사, SE 6777)로 결합 후 봉제사(AMANN사 20M)로 봉제한 커튼에어백 쿠션을 제조하였다. 상기 커튼에어백 쿠션의 개구부는 일자(-)형이며, 봉제부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은 백 스티치 구조이고, 테더 연결부는 실링 처리하였다.
<실시예 2>
PET 원사(566.5Dtex/500D, 파단 강도 46.2N, 파단 연신율 19.3%, 고온에서의 수축률 6.9%)에 의해 직조된 PET 원단에 실리콘 코팅액(다우코닝사, LCF 3600C)을 도포하여 제조한 제 1 판넬과 제 2 판넬을 실리콘 실런트(다우코닝사, SE 6777)로 결합 후 봉제사(AMANN사 20M)로 봉제한 커튼에어백 쿠션을 제조하였다. 상기 커튼에어백 쿠션의 개구부는 일자(-)형이며, 봉제부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은 백 스티치 구조이고, 테더 연결부는 실링 처리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원단에 실리콘 코팅액을 도포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커튼에어백 쿠션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에서 원단에 실리콘 코팅액을 도포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커튼에어백 쿠션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봉제사로 봉제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커튼에어백 쿠션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2에서 봉제사로 봉제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커튼에어백 쿠션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테더 연결부에 실링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커튼에어백 쿠션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커튼에어백 쿠션 원단에 대해 코팅 전후 물성을 평가하고 표 1과 표 2에 나타내었다.
(1) 단위면적당 중량(g/㎡)
원단 시편 250mm X 250mm의 중량을 측정 후 시편의 면적(0.0625㎡)으로 나누어 단위면적당 중량을 평가하였다.
(2) 두께(mm)
원단 두께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원단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3) 인장 강도(kgf/in)
시편 100mm X 300mm로 제작 후 UTM(Universal Testing Machine) 장비에서 속도 300mm/min에 초기 거리(클램프 간격) 75mm로 원단이 끊어질 때의 힘을 측정하였다.
(4) 연신율(%)
원단의 인장 강도 측정시 인장이 시작될 때 초기 거리와 원단이 끊어질 때 거리를 측정하여 하기 식을 통해 연신율을 평가하였다.
(5) 인열 강도(kgf)
시편 75mm X 200mm로 제작 후 UTM(Universal Testing Machine) 장비에서 속도 300mm/min에 초기 거리(클램프 간격) 75mm로 원단이 끊어질 때의 힘을 측정하였다.
(6) 공기 투과도(cfm)
125Pa로 Cubic feet당 1분 동안 투과된 공기량을 측정하였다.
(CFM =Cubic feet per min)
구분
나일론66 475Dtex/420D
비교예 1 실시예 1
단위면적당 중량(g/㎡) 182.5 210.2
두께(mm) 0.29 0.29
인장 강도
(kgf/in)
경사 245.2 264.5
위사 250.1 278
연신율
(%)
경사 38.5 43.3
위사 40.2 45.6
인열 강도
(kgf)
경사 18.3 60.4
위사 18.5 58.7
공기 투과도(cfm) 1.9 0.0
구분
PET 566.5Dtex/500D
비교예 1 실시예 1
단위면적당 중량(g/㎡) 251.6 276.9
두께(mm) 0.31 0.31
인장 강도
(kgf/in)
경사 270.6 297.8
위사 279.0 303.9
연신율
(%)
경사 37.1 42.7
위사 42.7 47
인열 강도
(kgf)
경사 13.8 28.3
위사 12.8 25.1
공기 투과도(cfm) 1.9 0.15
표 1 및 표 2에서 커튼에어백 쿠션 원단에 코팅액 도포 전후 인열 강도가 증가하였으며, 공기 투과도가 0.15cfm 이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된 심 실링 커튼에어백 쿠션 원단에 대해 상온 조건, 사이클링 조건(Cycling) 조건 1, Heat Aging 조건, 오존 조건 하에서 봉제 전후 물성을 평가하고 각각 표 3 내지 표 6에 나타내었다.
원단 사양 시험구분 시험결과
평균 Min. Max.

나일론66 420D
인장 강도 비교예 3 50.38 47.83 53.40
실시예 1 110.93 100.13 116.95
인열 강도 비교예 3 44.85 40.41 47.93
실시예 1 59.25 42.39 65.96

PET 500D
인장 강도 비교예 4 49.22 44.35 53.39
실시예 2 106.80 96.41 113.68
인열 강도 비교예 4 34.18 30.60 40.19
실시예 2 55.97 49.43 63.95
원단 사양 시험구분 시험결과(kgf)
평균 Min. Max.

나일론66 420D
인장 강도 비교예 3 52.89 45.66 59.99
실시예 1 108.43 91.31 121.87
인열 강도 비교예 3 43.49 40.21 46.61
실시예 1 64.47 58.93 71.80

PET 500D
인장 강도 비교예 4 48.94 40.40 53.27
실시예 2 116.51 107.52 124.46
인열 강도 비교예 4 39.38 36.97 42.07
실시예 2 55.97 47.47 61.79
원단 사양 시험구분 시험결과(kgf)
평균 Min. Max.

나일론66 420D
인장 강도 비교예 3 48.72 46.47 52.07
실시예 1 130.92 107.12 151.34
인열 강도 비교예 3 36.84 35.34 38.86
실시예 1 67.20 62.51 73.26

PET 500D
인장 강도 비교예 4 50.22 48.48 54.22
실시예 2 139.73 95.97 159.05
인열 강도 비교예 4 40.60 37.73 43.09
실시예 2 63.05 52.71 69.70
원단 사양 시험구분 시험결과(kgf)
평균 Min. Max.

나일론66 420D
인장 강도 비교예 3 58.10 51.95 62.59
실시예 1 96.38 83.81 108.55
인열 강도 비교예 3 35.51 32.45 38.38
실시예 1 64.97 54.01 71.69

PET 500D
인장 강도 비교예 4 53.51 50.91 56.33
실시예 2 106.18 93.79 111.00
인열 강도 비교예 4 36.74 33.33 39.94
실시예 2 56.61 50.56 64.52
표 3 내지 표 6의 각각의 조건에서 실런트 도포 후 봉제한 경우 평균적으로 봉제 전보다 인장 강도 150% 이상 증가, 인열 강도 120% 이상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된 커튼에어백 쿠션의 테더 연결부 실링 처리 전후 인장 강도를 평가하고 표 7에 나타내었다.

인장 강도(kgf/in)
1 2 3 4 5 평균
실시예 1 164 168 169 164 158 165
비교예 5 215 220 223 219 218 219
표 7에서 테더 연결부에 실링 처리한 경우 인장 강도가 평균 130%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100 커튼에어백 쿠션
110 판넬
120 심 실링부
130 봉제부
131 봉제 시작·종료 지점
140 개구부
150 테더 연결부

Claims (4)

  1. 판넬;
    상기 판넬을 접합하는 심 실링(seam sealing)부;
    상기 심 실링부를 따라 봉제되는 봉제부;
    상기 판넬 결합 시 에어백 내부 공기를 배출하여 심 실링부의 퍼짐을 방지하기 위한 개구부;
    실런트가 도포되어 인장강도 120% 이상 증가한 테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넬의 원단은 실리콘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팅액이 도포되고,
    상기 코팅액은 파단연신율 180% 이상; 인장강도 3.0MPa 이상; 인열강도 4.0KN/m 이상; 경도 30 이상이며,
    상기 코팅액이 도포된 판넬의 공기투과율은 0.15cfm 이하이고,
    상기 코팅액 도포량은 단위면적당 30g/㎡ 이상이고,
    상기 심 실링부는 2액형의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실런트가 판넬의 접합을 위해 도포되고,
    상기 2액형의 실리콘 수지는 밀도 1 내지 1.5g/㎤; 인장강도 3.5MPa 이상; 연신율 1,050% 이상이며,
    상기 봉제부의 시작 지점이 백 스티치(back stitch) 구조이고,
    상기 봉제부는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봉제사로 구성되고,
    상기 봉제사의 섬도는 1266D 이상; 땀수 25mm당 9 내지 15EA; 도포마진 3mm 이상; 인장강도 18kgf 이상이며,
    락스티치 또는 체인스티치 방법으로 봉제되고,
    상기 개구부에 인접한 봉제부는 봉제사가 2-line으로 형성되고, 개구부에 인접하지 않은 봉제부는 봉제사가 1-line으로 형성된 커튼에어백 쿠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의 원단이 폴리에스테르이고, 경위사 밀도 44 내지 48EA/in; 단위 면적당 중량은 190 내지 240g/㎡; 인장 강도 180kgf/in 이상; 인열 강도 20kgf 이상; 연신율 20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에어백 쿠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의 원단이 폴리아미드이고, 경위사 밀도 49 내지 53EA/in; 단위 면적당 중량은 220 내지 300g/㎡; 인장 강도 180kgf/in 이상; 인열 강도 15kgf 이상; 연신율 20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에어백 쿠션.
  4. 삭제
KR1020170170363A 2017-03-03 2017-12-12 커튼에어백 쿠션 KR101864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000586.0A EP3498542B1 (en) 2017-12-12 2018-07-10 Curtain airbag cushion
ES18000586T ES2817545T3 (es) 2017-03-03 2018-07-10 Cojín de airbag de cortina
CN201810875811.4A CN109017666B (zh) 2017-03-03 2018-08-03 帘式气囊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620 2017-03-03
KR20170027620 2017-03-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888B1 true KR101864888B1 (ko) 2018-06-07

Family

ID=58401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363A KR101864888B1 (ko) 2017-03-03 2017-12-12 커튼에어백 쿠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00372B2 (ko)
EP (1) EP3369629A1 (ko)
JP (1) JP6374557B1 (ko)
KR (1) KR101864888B1 (ko)
CN (2) CN108528380A (ko)
ES (1) ES2817545T3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4895B2 (en) 2015-11-06 2022-01-04 Inv Performance Materials, Llc Low permeability and high strength fabric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634841B2 (en) 2017-05-02 2023-04-25 Inv Performance Materials, Llc Low permeability and high strength woven fabric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708045B2 (en) 2017-09-29 2023-07-25 Inv Performance Materials, Llc Airbags and methods for production of airbag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1588A (ja) * 2001-04-27 2002-11-05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エアバッグ
KR20040079246A (ko) 2003-03-07 2004-09-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분리형 커튼에어백
KR101103804B1 (ko) * 2008-03-26 2012-01-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사이드 커튼형 에어백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KR20120078662A (ko) * 2010-12-31 2012-07-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사이드 커튼형 에어백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2521A (en) * 1974-09-19 1977-10-04 Serge Ferrari Coating and calendaring of 2-dimensionally tensioned fabric
JPH0616100A (ja) * 1992-06-30 1994-01-25 Unitika Ltd エアーバッグ用シート
JPH06246761A (ja) * 1993-02-26 1994-09-06 Hitachi Chem Co Ltd 自動車用エアバッグにおけるリッド表皮の製造方法
AR010847A1 (es) * 1997-01-20 2000-07-12 Rhone Poulenc Filtec Ag TEJIDO TÉCNICO EN PARTICULAR, PARA BOLSAS DE AIRE, Y METODO PARA LA FABRICACIoN DEL HILO DE FILAMENTO PARA EL TEJIDO.
JP4017813B2 (ja) * 2000-06-19 2007-12-05 キョーワ株式会社 建築工事シート用難燃剤とこれを用いた建築工事用シート
JP2003072505A (ja) * 2001-08-30 2003-03-12 Takata Corp 自動車乗員頭部の保護バッグ
JP4506471B2 (ja) * 2004-01-14 2010-07-21 東レ株式会社 皮革様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
DE102004058564A1 (de) * 2004-12-03 2006-06-29 Takata-Petri (Ulm) Gmbh Seiten-Airbageinrichtung
JP2007119974A (ja) * 2005-10-31 2007-05-17 Shin Etsu Chem Co Ltd 縫製エアバッグ目止め材用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
US20080085942A1 (en) * 2006-10-05 2008-04-10 Scott Jackson Coating system, method of coating, and coated articles
US8960714B2 (en) * 2008-03-26 2015-02-24 Kolon Industries, Inc. Side curtain airbag and airbag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2010221815A (ja) * 2009-03-23 2010-10-07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
CN104192090B (zh) * 2009-12-30 2017-07-11 可隆株式会社 气囊垫和包括该气囊垫的气囊系统
JP6013710B2 (ja) * 2010-08-02 2016-10-25 旭化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織物およびエアバッグ
US20160214562A1 (en) * 2013-09-30 2016-07-28 Key Safety Systems, Inc. Airbag with sealed seam
JP6396709B2 (ja) * 2014-07-24 2018-09-26 セーレン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
KR102239009B1 (ko) * 2014-10-17 2021-04-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커튼 에어백
US9505368B2 (en) * 2015-02-27 2016-11-29 Tk Holdings Inc. Fastener and fastening system for an airbag assembly
WO2016147684A1 (ja) * 2015-03-19 2016-09-2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JPWO2016147683A1 (ja) * 2015-03-19 2017-11-0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US9533652B1 (en) * 2015-07-14 2017-01-03 Autoliv Asp, Inc. One-directional valve for multi-chamber airbags
WO2017143010A1 (en) * 2016-02-16 2017-08-24 Tk Holdings Inc. Center side airbag module
US9873401B2 (en) * 2016-02-26 2018-01-23 Autoliv Asp, Inc. Airbag fabric including apertur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10000177B2 (en) * 2016-03-24 2018-06-19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Airbag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1588A (ja) * 2001-04-27 2002-11-05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エアバッグ
KR20040079246A (ko) 2003-03-07 2004-09-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분리형 커튼에어백
KR101103804B1 (ko) * 2008-03-26 2012-01-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사이드 커튼형 에어백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KR20120078662A (ko) * 2010-12-31 2012-07-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사이드 커튼형 에어백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4895B2 (en) 2015-11-06 2022-01-04 Inv Performance Materials, Llc Low permeability and high strength fabric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634841B2 (en) 2017-05-02 2023-04-25 Inv Performance Materials, Llc Low permeability and high strength woven fabric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708045B2 (en) 2017-09-29 2023-07-25 Inv Performance Materials, Llc Airbags and methods for production of airba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17666B (zh) 2019-11-05
US10800372B2 (en) 2020-10-13
ES2817545T3 (es) 2021-04-07
EP3369629A1 (en) 2018-09-05
CN109017666A (zh) 2018-12-18
CN108528380A (zh) 2018-09-14
JP2018144788A (ja) 2018-09-20
US20180251095A1 (en) 2018-09-06
JP6374557B1 (ja) 2018-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804B1 (ko) 사이드 커튼형 에어백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US20020145276A1 (en) Laminated textile fabrics for use in air holding vehicle restraint systems
US20060163853A1 (en) Air bag with gas blocking sealant at sewn seams
KR101864888B1 (ko) 커튼에어백 쿠션
JP2011051587A (ja) 膨張可能なエアバッグ
JP5545806B2 (ja) エアバッグ装置
EP2423053A2 (en) Tube-shaped fabric member for airbag gas injection, and a production method for the same
US20060205302A1 (en) Film lined airbag
KR20110001498A (ko) 사이드 커튼형 에어백,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KR101103802B1 (ko) 사이드 커튼형 에어백,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에어백 시스템
JP2003513841A (ja) 厚さが極めて薄い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を有する低透過性エアバッグクッション
KR101350986B1 (ko) 기체에 의한 부품성 이중직물 및 에어백
KR101621078B1 (ko) 사이드 커튼형 에어백,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JP2007320511A (ja) エアバッグ
EP3498542B1 (en) Curtain airbag cushion
KR100850790B1 (ko) 보호 구조의 형성을 위한 이중 직물
US20160244019A1 (en) Double Side Coated Airbag
KR102349085B1 (ko)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KR101200902B1 (ko) 기체에 의한 부품성 이중직물 및 에어백
KR101352328B1 (ko) 기체에 의한 부품성 이중직물, 에어백, 및 에어백의제조방법
WO2015034261A1 (ko) 에어백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90037403A (ko) 사이드 커튼형 에어백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JP2006159990A (ja) インフレータブルカーテン
KR20100047969A (ko) 사이드 커튼형 에어백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KR100838355B1 (ko) 팽창성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5000056;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80605

Effective date: 20180831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