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554B1 -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554B1
KR101864554B1 KR1020170149165A KR20170149165A KR101864554B1 KR 101864554 B1 KR101864554 B1 KR 101864554B1 KR 1020170149165 A KR1020170149165 A KR 1020170149165A KR 20170149165 A KR20170149165 A KR 20170149165A KR 101864554 B1 KR101864554 B1 KR 101864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tire
gas
valv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식
Original Assignee
정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식 filed Critical 정용식
Priority to KR1020170149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554B1/ko
Priority to PCT/KR2018/001151 priority patent/WO201909358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60C11/160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retractable plug
    • B60C11/1612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retractable plug actuated by fluid, e.g. using fluid pressure differe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이 개시되며, 상기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은, 휠부; 타이어부; 상기 타이어부의 트레드의 골 내에 배치되는 튜브에 대한 기체의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튜브와 연결 가능하고 타단부가 상기 타이어부와 상기 휠부 사이의 기체 수용부 내에 위치하는 제1 관; 상기 제1 관의 타단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제1 관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2 관; 상기 제1 관 내의 기체의 상기 하우징 내로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는 오픈 상태 또는 개방 폐쇄 상태를 갖는 제1 밸브; 및 상기 하우징 외부의 상기 기체 수용부 내의 기체가 상기 제1 관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 관과 상기 제2 관을 연통시키는 오픈 상태 또는 개방 폐쇄 상태를 갖는 제2 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SLIDE PREVENTION TIRE SYSTEM}
본원은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타이어는 차축과 연결되는 휠부에 끼워져 휠부와 일체로 회전하고, 차량의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차량의 제동, 구동 및 선회 시 노면과의 미끄럼이 최소화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타이어는, 차량의 눈길 주행시, 노면과의 미끄럼이 극대화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눈길 주행시, 미끄럼 방지를 위해 타이어에 체인을 장착하였다. 그런데, 이에 따르면, 눈길 주행을 대비해 별도의 체인을 준비하여 항시 차량 내에 구비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급작스럽게 눈이 와, 타이어에 체인을 장착해야 할 경우, 노상에서 체인을 장착해야 하는데, 그 장착이 용이치 못해 사용상 불편함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의 출원인은 등록특허공보 제0-1675693호에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미끄럼 방지 벨트를 개시한 바 있다. 개시된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에 의하면, 자동적으로 타이어에 대한 미끄럼 방지 기능이 발휘될 수 있다. 그런데, 개시된 바에 따르면, 미끄럼 방지 벨트와 타이어간의 결속력이 약한 측면이 있었다.
또한, 개시된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의 경우, 미끄럼 방지 벨트의 적용을 위해서는 미끄럼 방지 벨트의 장착이 가능한 별도의 타이어가 제작되어야 했다. 또한, 종래에는 미끄럼 방지 벨트가 장착된 부분에 구멍이 생기는 경우, 타이어부 자체를 교체해야 하는 곤란성이 있었다.
본원은 차주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타이어와 노면의 미끄럼을 저하시킬 수 있고 타이어와의 강화된 결속력을 갖는 미끄럼 방지 벨트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은, 휠부; 타이어부; 상기 타이어부의 트레드의 골 내에 배치되는 튜브에 대한 기체의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튜브와 연결 가능하고 타단부가 상기 타이어부와 상기 휠부 사이의 기체 수용부 내에 위치하는 제1 관; 상기 제1 관의 타단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제1 관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2 관; 상기 제1 관 내의 기체의 상기 하우징 내로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는 오픈 상태 또는 개방 폐쇄 상태를 갖는 제1 밸브; 및 상기 하우징 외부의 상기 기체 수용부 내의 기체가 상기 제1 관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 관과 상기 제2 관을 연통시키는 오픈 상태 또는 개방 폐쇄 상태를 갖는 제2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차량의 미끄럼이 방지되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튜브의 부피를 증가시켜 미끄럼 방지 벨트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돌기를 골의 외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타이어와 노면의 미끄럼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타이어부가 별도로 제작될 필요 없이 기성용 타이어부에 제1 관의 관통 배치가 가능한 홀을 형성하는 것만으로도 활용될 수 있어, 기성용 타이어의 생산 라인으로부터도 타이어부의 용이한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타이어부의 골에 펑크가 나더라도 타이어부를 교체할 필요 없이 구멍난 부분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는 것만으로도 타이어부의 수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수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미끄럼 방지 벨트의 도시가 생략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의 미끄럼 방지 벨트가 골 내에 위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의 미끄럼 방지 벨트의 돌기가 골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의 미끄럼 방지 벨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하측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를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이하 '본 타이어 시스템'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미끄럼 방지 벨트의 도시가 생력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고, 도 2는 미끄럼 방지 벨트의 도시가 생략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벨트가 골 내에 위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4는 미끄럼 방지 벨트의 돌기가 골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의 미끄럼 방지 벨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타이어 시스템은, 휠부(2)를 포함한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타이어 시스템은, 타이어부(3)를 포함한다. 타이어부(3)는 휠부(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타이어부(3)와 휠부(2) 사이에는 기체 수용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기체 수용부(32) 내의 기체의 압력에 의해 타이어부(3)의 형태 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타이어부(3)의 트레드는 휠부(2)를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골(3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골(31)은 타이어부(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골(31)은 타이어부(3)의 폭 방향(너비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타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골(31) 내에는 튜브(19)가 배치 가능하다. 다시 말해, 골(31)에는 튜브(19)가 배치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튜브(19)는 골(31)로부터 제거(탈거)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타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골(31) 내에는 미끄럼 방지 벨트(4)가 배치 가능하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 벨트(4)는 튜브(19) 상에 배치 가능하다. 즉,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골(31)(특히, 튜브(19) 상)에는 미끄럼 방지 벨트(4)가 배치될 수 있고, 도 1을 참조하면, 상황에 따라 미끄럼 방지 벨트(4)는 골(31)(특히, 튜브(19)상)로부터 제거(탈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 벨트(4)는 본체부(41) 및 본체부(41)의 외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돌기(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체부(41)는 타이어부(3)와 유사 내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무(rubber)를 포함하는 재질로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체부(41)는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돌기(42)는 본 타이어 시스템의 회전 시 본 타이어 시스템과 지면 사이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 변형되지 않는 강성을 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틸(still)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참고로, 미끄럼 방지 벨트(4)의 골(31)에 대한 초기 장착시에, 미끄럼 방지 벨트(4)는 돌기(42)가 타이어부(3)의 외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미끄럼 방지 벨트(4)의 골에 대한 초기 장착시는 튜브(19)의 부피가 증가되기 전의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자세히 후술함). 다시 말해, 튜브(19)의 부피 증가 전에 미끄럼 방지 벨트(4)는 돌기(42)의 외측부(외측을 향하는 부분)가 타이어부(3)의 표면의 높이의 이하가 되도록, 다시 말해, 골(3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타이어 시스템은 제1 관(11)을 포함한다. 제1 관(11)은 타이어부(3)의 트레드의 골(31) 내에 배치되는 튜브(19)에 대한 기체의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제1 관(11)은 일단부가 튜브(19)와 연결 가능하다. 이 것은, 골(31)에 튜브(19)가 배치되는 경우, 제1 관(11) 내의 기체가 튜브(19) 내로 유입되거나, 튜브(19) 내의 기체가 제1 관(11) 내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1 관(11)의 내부와 튜브(19)의 내부가 연통되게 제1 관(11)과 튜브(19)가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관(11)은 타단부가 타이어부(3)와 휠부(2) 사이의 기체 수용부(32) 내에 위치한다.
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타이어 시스템은 제1 관(11)의 타단부를 수용하는 하우징(14)을 포함한다.
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타이어 시스템은 제1 관(11)(제1 관(11)의 내부)과 하우징(14)(하우징(14)의 내부 공간(35))의 연통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는 오픈 상태 또는 개방 폐쇄 상태를 갖는 제1 밸브(112)를 포함한다. 제1 밸브(112)의 오픈 상태시에 제1 관(11) 내의 기체의 하우징(14) 내로의 배출이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제1 밸브(112)는 제1 관(11)으로부터 하우징(14) 내로의 기체 배출만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일 수 있다. 참고로, 본원에 있어서, 하우징(14) 내는 하우징(14)의 내부 공간(35)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타이어 시스템은 제1 관(11)으로부터 하우징(14)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2 관(12)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3을 참조하면, 제2 관(12)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4)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잇다.
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타이어 시스템은 하우징(14) 외부의 기체 수용부(32)와 제1 관(11)의 연통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는 오픈 상태 또는 개방 폐쇄 상태를 갖는 제2 밸브(111)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제2 밸브(111)는 기체 수용부(32) 내의 기체가 제1 관(11) 내로 유입되도록 제1 관(11)과 제2 관(12)을 연통시키는 오픈 상태 또는 개방 폐쇄 상태를 갖는다. 예시적으로, 제2 밸브(111)는 기체 수용부(32)로부터 제2 관(12)을 거쳐 제1 관(11) 내로의 기체의 유입만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밸브(111)는 기체 수용부(32) 내의 기체가 튜브(19) 내로 유입되어 튜브(19)의 부피가 증가하도록 오픈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다시 말해, 제2 밸브(111)의 오픈 상태에 의하면, 기체 수용부(32) 내의 기체가 제2 관(12) 및 제1 관(11)을 거쳐 튜브(19) 내로 유입되어 튜브(19)의 부피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튜브(19) 상에 미끄럼 방지 벨트(4)가 배치되는 경우, 튜브(19)의 부피 증가에 따라 미끄럼 방지 벨트(4)는 골(31)의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제2 밸브(111)는 튜브(19) 상에 배치되는 미끄럼 방지 벨트(4)의 돌기(42)가 타이어부(3)의 외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튜브(19)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오픈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밸브(112)는 튜브(19) 내의 기체가 하우징(14) 내로 배출되어 튜브(19)의 부피가 감소되도록 오픈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다시 말해, 제1 밸브(112)의 오픈 상태에 의하면, 튜브(19) 내의 기체가 제1 관(11)을 거쳐 하우징(14) 내로 배출되어 튜브(19)의 부피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튜브(19) 상에 미끄럼 방지 벨트(4)가 배치되는 경우, 튜브(19)의 부피 감소에 따라 미끄럼 방지 벨트(4)는 골(31)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제1 밸브(112)는 튜브(19) 상에 배치되는 미끄럼 방지 벨트(4)의 돌기(42)가 타이어부(3)의 외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튜브(19)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오픈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타이어 시스템에 의하면, 미끄럼 방지 벨트(4)는 튜브(19)의 부피 변화에 의해 내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 벨트(4)는 튜브(19)의 부피 증가 전의 초기 상태에는 돌기(42)가 타이어부(3)의 외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 벨트(4)는 튜브(19)의 부피가 증가되면 돌기(42)의 적어도 일부가 골(3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 벨트(4)는 튜브(19)의 부피가 감소되어 초기 상태(부피 증가 전 상태)로 복구되면 돌기(42)가 타이어부(3)의 외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초기 위치로 위치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소정의 탄성을 갖는 미끄럼 방지 벨트(4)의 본체부(41)는 골(31)에 대해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 소정으로 늘어날 수 있고, 골(31)에 대해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 탄성에 의해 수축되며 본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타이어 시스템은 타이어부(3)의 트레드의 골(31)의 내면 상에 배치되는 튜브(19)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19)는 부피의 증가가 가능하다. 즉, 튜브(19)는 부피의 증가가 이루어지기 전의 초기 상태 또는 부피의 증가가 이루어진 변형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튜브(19)는 후술하는 제1 관(11)과 연통 가능하게 골(3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타이어 시스템(3)는 보상 챔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 챔버(15)는 기체 수용부(32)의 기체 압력을 보상해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밸브(111)의 오픈 상태시에 기체 수용부(32) 내의 기체가 제2 관(12) 및 제1 관(11)으로 유입될 경우, 기체 수용부(32) 내의 기체의 압력은 감소할 수 있는데, 이것을 보상 챔버(15)가 보상해줄 수 있다. 보상 챔버(15) 내에는 기체 수용부(32) 내의 기체와 동일한 기체가 수용될 수 있고, 보상 챔버(15)는 그 내부와 기체 수용부(32)가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오픈 상태 또는 개방 폐쇄 상태를 갖는 제3 밸브(16)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 챔버(15)는 기체 수용부(32)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보상 챔버(15)는 그의 오픈 상태시에 보상 챔버(15) 내로부터 기체 수용부(32)로의 기체의 이동만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일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관(11)의 외면과 타이어부(3)의 제1 관(11)을 둘러싸는 내면 사이에는 하우징(14) 내의 기체가 배출되도록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밸브(112)를 통해 하우징(14) 내로 유출된 기체는 제1 관(11)의 외면과 타이어부(3)의 제1 관(11)을 둘러싸는 내면 사이의 상기 틈을 통해 골(31)로 배출될 수 있고, 골(31)로 배출된 기체는 공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31)로 배출된 기체는 골(31)의 내면과 튜브(19)의 외면 사이를 통해 공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틈의 간격은 기체의 배출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값 이하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틈이 커지면 기체의 배출 압력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틈의 간격은 틈을 통해 배출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미끄럼 방지 벨트(4)가 위치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압력값이라 함은 미끄럼 방지 벨트(4)의 틈을 통해 배출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미끄럼 방지 벨트(4)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기체의 배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최대 압력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 벨트(4)에 있어서, 돌기(42)는 골(31) 내에 위치하는 메인부(421) 및 메인부(421)로부터 타이어부(3)의 너비 방향으로 돌출되어 타이어부(3)의 너비 방향으로 골(31)로부터 돌출 배치되는 결속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어부(3)와 미끄럼 방지 벨트(4)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고, 타이어부(3)에 대해 미끄럼 방지 벨트(4)가 헛도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를 참조하면, 본체부(41)는 돌기(42)의 메인부(421) 및 결속부(422)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돌기(42)의 결속부(422)의 끝단(4221)은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결속부(422)와 메인부(421) 사이(4222)에는 라운드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42)에 의한 본체(41)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벨트(4)는, 복수 개의 돌기(42)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41)는 타이어부(3)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시 말해, 메인부(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타이어 시스템은 하우징(14)의 유동을 방지하는 브라켓(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타이어 시스템은 상술한 튜브(19) 및 미끄럼 방지 벨트(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미끄럼 방지 벨트(4)는 그의 일단과 타단에 상호 결속 가능한 결속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끄럼 방지 벨트(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골(31)을 따라 연장 배치된 후 일단과 타단이 결속됨으로써 타이어부(3)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참고로,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14)은 그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개구부 및 개구부를 개폐(개구 및 폐쇄)시키는 도어(do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의 개방을 통해 개구부가 개방되어 하우징(14)의 내부의 장치들(제1 밸브(112), 제2 밸브(111) 등)의 구비, 수리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타이어 시스템에 따르면, 별도의 타이어부(3)가 제작될 필요 없이, 기성용 타이어부가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성용 타이어부에 제1 관(11)이 관통 배치될 홀이 형성됨으로써 본 타이어 시스템의 타이어부(3)가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성용 타이어부의 골이 보다 확장되어 본 타이어 시스템의 타이어부(3)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기성용 타이어부를 본 타이어 시스템의 타이어부(3)로 적용하면, 골(31)에 튜브(19)와 미끄럼 방지 벨트(4)가 장착되는 것만으로도 용이하게 미끄럼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본 타이어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본 타이어 시스템에 의하면, 본 타이어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의 차주는 용이하게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에는, 차량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 타이어에 체인을 장착하였다. 그런데, 이에 따르면, 별도의 체인을 항시 차량 내에 구비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급작스럽게 눈이 와, 타이어에 체인을 장착해야 할 경우, 노상에서 차주가 직접 체인을 장착해야 하는데, 그 장착이 용이치 못해 사용상 불편함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타이어 시스템에 의하면, 타이어부(3)에는 미끄럼 방지 벨트(4)가 장착되어 있고,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돌기(41)가 타이어부(3)의 표면보다 더 높이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타이어에 체인이 장착된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이한 타이어부(3)의 미끄럼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 벨트(4)는 타이어부(3)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끄럼 방지 벨트(4)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기존에 타이어부(3)에 장착되어 있던 미끄럼 방지 벨트(4)는 제거되고, 다른 미끄럼 방지 벨트(4)가 함몰구(3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본 타이어 시스템은 미끄럼 방지 벨트(4)의 교체성과 미끄럼 방지 벨트(4)에 의한 미끄럼 방지 효과를 자동성을 동시에 확보함으로써, 안전과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타이어 시스템에 의하면, 타이어부(3)에 구멍이 발생하더라도, 타이어부(3)의 교체 없이 구멍난 부분만 수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31)에 구멍이 형성되는 경우, 타이어부(3)의 교체 없이 타이어부(3)의 내면과 같은 부분만 수리한 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튜브(19)가 배치된 상태에서 골(31)에 구멍이 형성되는 경우, 타이어부(3)의 구멍난 부분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고, 튜브(19)가 교체됨으로써 타이어부(3)의 지속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은 튜브(19) 내로의 기체의 유입 및 튜브(19) 내로부터의 기체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해 전달되는 전자적 신호를 수신하여 튜브(19)로부터의 기체의 배출 및 튜브(19)로의 기체의 유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타이어 시스템이 적용되는 차량의 차주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제어부에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제어부는 차주가 보낸 신호를 수신하여, 튜브(19) 내로 기체를 유입시킴으로써 미끄럼 방지 벨트(4)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차주(사용자)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제어부에 신호를 보냄으로써, 차량의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미끄럼 방지 벨트(4)의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어부는 제1 밸브(112) 및 제2 밸브(111)의 제어를 통해 튜브(19)에 대한 기체의 유입 및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튜브(19)로의 기체의 유입이 필요한 경우, 제어부는 제2 밸브(111)를 오픈시킴으로써, 튜브(19)로 기체를 유입시킬 수 있다. 튜브(19)로의 기체의 유입이 완료되면 제2 밸브(111)를 닫을 수 있다. 참고로, 제2 밸브(111)의 오픈 시에 제1 밸브(112)는 개방 폐쇄일 것이다.
또한, 튜브(19)로부터의 기체의 배출이 필요한 경우, 제어부는 제1 밸브(112)를 오픈시킬 수 있다. 제1 밸브(112)가 오픈되면 음압 등에 의해 제1 관(11) 내의 기체가 하우징(14) 내로 배출되면서 튜브(19) 내의 기체가 제1 관(11)을 통해 하우징(14) 내로 빨아드려지며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제2 밸브(111)는 개방 폐쇄 상태일 것이다.
또한, 제어부는 제3 밸브(16)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기체 수용부(32) 내의 압력(또는 기체 충진률) 저하시 제3 밸브(16)를 오픈시켜 기체 수용부(32) 내의 압력을 보상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밸브(16)에 대한 제어는 기체 수용부(32) 내에 구비된 압력 감지 센서 등의 압력 저하 감지, 사용자의 작동 지시 등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제1 밸브(112), 제2 밸브(111) 및 제3 밸브(16)에 대한 제어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타이어부(3)의 손상 등으로 인해, 기체 수용부(32) 내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어 기체 수용부(32) 내의 압력이 감소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밸브(16)의 오픈을 통해 기체 저장부(15)로부터 기체 수용부(32) 내로 기체가 공급되어 기체 수용부(32) 내의 기체 충진율 및 압력 저하가 복구(보상)될 수 있다.
참고로, 본원의 도면에는 복수 개의 골(31) 중 하나의 골(31)에 대해 구비되는 튜브(19), 미끄럼 방지 벨트(4), 제1관(11)과 제2관(12) 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복수 개의 골(31)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튜브(19), 미끄럼 방지 벨트(4), 제1관(11)과 제2관(1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상술한 본 타이어 시스템을 제조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제1 관
111: 제2 밸브
112: 제1 밸브
12: 제2 관
13: 브라켓
14: 하우징
19: 튜브
15: 기체 저장부
16: 제3 밸브
3: 타이어부
31: 골
32: 기체 수용부
4: 미끄럼 방지 벨트
41: 본체부
42: 돌기
421: 메인부
422: 결속부

Claims (8)

  1. 타이어에 있어서,
    휠부(2);
    타이어부(3);
    상기 타이어부(3)의 트레드의 골(31) 내에 배치되는 튜브(19)에 대한 기체의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튜브(19)와 연결 가능하고 타단부가 상기 타이어부(3)와 상기 휠부(2) 사이의 기체 수용부(32) 내에 위치하는 제1 관(11);
    상기 제1 관(11)의 타단부를 수용하며,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하우징(14);
    상기 제1 관(11)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4)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2 관(12);
    상기 제1 관(11) 내의 기체가 상기 하우징(14) 내로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는 오픈 상태 또는 개방 폐쇄 상태를 갖는 제1 밸브(112); 및
    상기 하우징(14) 외부의 상기 기체 수용부(32) 내의 기체가 상기 제1 관(11)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 관(11)과 상기 제2 관(12)을 연통시키는 오픈 상태 또는 개방 폐쇄 상태를 갖는 제2 밸브(111)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111)는 상기 기체 수용부(32) 내의 기체가 상기 튜브(19) 내로 유입되어 상기 튜브(19)의 부피가 증가하도록, 오픈 상태를 가지고,
    상기 제1 밸브(112)는 상기 튜브(19) 내의 기체가 상기 하우징(14) 내로 배출되어 상기 튜브(19)의 부피가 감소되도록, 오픈 상태를 갖는 것인,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111)는 상기 튜브(19) 상에 배치되는 미끄럼 방지 벨트(4)의 돌기(42)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타이어부(3)의 외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튜브(19)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오픈 상태를 가지고,
    상기 제1 밸브(112)는 상기 튜브(19) 상에 배치되는 미끄럼 방지 벨트(4)의 돌기(42)가 상기 타이어부(3)의 외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튜브(19)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오픈 상태를 갖는 것인,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골(31) 내에 배치 가능한 튜브(19); 및
    본체부(41) 및 상기 본체부(41)의 외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42)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42)가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튜브(19) 상에 배치 가능한 미끄럼 방지 벨트(4)를 포함하되,
    상기 미끄럼 방지 벨트(4)는 상기 튜브(19)의 부피 증가 전에는 상기 돌기(42)가 상기 골(31)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 가능한 것인,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42)는 상기 골(31) 내에 위치하는 메인부(421) 및 상기 메인부(421)로부터 상기 타이어부(3)의 너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타이어부(3)의 너비 방향으로 상기 골(31)로부터 돌출 배치되는 결속부(422)를 포함하는 것인,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수용부(32)의 기체 압력을 보상해주는 보상 챔버(15)를 더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11)의 외면과 상기 타이어부(3)의 상기 제1 관(11)의 외면을 둘러싸는 내면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14) 내의 기체가 배출되도록 틈이 형성되는 것인,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
  8. 제1항에 따른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을 제조하는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 제조 방법.
KR1020170149165A 2017-11-10 2017-11-10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 KR101864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165A KR101864554B1 (ko) 2017-11-10 2017-11-10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
PCT/KR2018/001151 WO2019093582A1 (ko) 2017-11-10 2018-01-26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165A KR101864554B1 (ko) 2017-11-10 2017-11-10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554B1 true KR101864554B1 (ko) 2018-06-04

Family

ID=62628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165A KR101864554B1 (ko) 2017-11-10 2017-11-10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64554B1 (ko)
WO (1) WO201909358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657U (ko) * 1997-03-27 1998-11-16 김영귀 차량용 스파이크 내장형 타이어
KR101675693B1 (ko) * 2015-07-09 2016-11-11 정용식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미끄럼 방지 벨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2720A (ja) * 1998-08-06 2000-02-22 Kinzo Hatta 滑り止め機能を有するタイヤ
KR200235692Y1 (ko) * 2001-03-16 2001-10-08 박상은 철핀장치를 구비한 스노우타이어.
US20050092411A1 (en) * 2003-10-31 2005-05-05 O'brien John M. Tire having expandable tread por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657U (ko) * 1997-03-27 1998-11-16 김영귀 차량용 스파이크 내장형 타이어
KR101675693B1 (ko) * 2015-07-09 2016-11-11 정용식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미끄럼 방지 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3582A1 (ko)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2957B2 (en) Transmitter in tir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JP6440353B2 (ja) 自己膨張タイヤ用の小型弁システム
US3942572A (en) Multicelled, tubeless safety tire with air activated snow and ice studs
KR101914825B1 (ko) 종합적인 타이어 압력 유지 시스템
US20100147387A1 (en) Central Tire Inflation Wheel Assembly and Valve
CN105939873B (zh) 轮胎装置
US20080047645A1 (en) tractive tire method and apparatus
US8631695B2 (en) Extended valve stem Cap
JP2014122032A (ja) 締結システムが組み込まれた空気入りタイヤ
US20130233399A1 (en) Valve stem grommet structure
KR101864554B1 (ko)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
NZ538205A (en) Air flow control apparatus
US20060151082A1 (en) Self-sealing puncture proof tire
US8075294B2 (en) Tire mold and tire with internal grooves in shoulder area
KR101663634B1 (ko) 미끄럼 방지용 보조 바퀴
EP1519843B1 (en) Method for installing a device onto the inner surface of a tyre and installation kit
US1626512A (en) Pneumatic tire
KR20140107149A (ko) 차량용 휠 부착 미끄럼방지장치
KR20180017945A (ko) 원 휠 투 타이어
KR101675693B1 (ko) 미끄럼 방지 타이어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미끄럼 방지 벨트
GB2565618B (en) Tyre pump
CN101274582A (zh) 防滑带及其制造方法和采用该防滑带的轮胎及其制造方法
JP2009173045A (ja) 空気充填袋及びタイヤ・ホイール組付体
US7311791B2 (en) Safety liner having a valve for a vehicle tire and method of use
KR100568801B1 (ko) 차량용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