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207B1 - 비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비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207B1
KR101863207B1 KR1020180004864A KR20180004864A KR101863207B1 KR 101863207 B1 KR101863207 B1 KR 101863207B1 KR 1020180004864 A KR1020180004864 A KR 1020180004864A KR 20180004864 A KR20180004864 A KR 20180004864A KR 101863207 B1 KR101863207 B1 KR 101863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raw material
fatty acid
additive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재숙
Original Assignee
민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재숙 filed Critical 민재숙
Priority to KR1020180004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02Boiling soap; Refi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16Shaping in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22Cut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누 제조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은 비누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 자동화로 이루어지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원료의 용융화, 용액의 응고화 및 성형물 절단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비누 제조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내부에 비누 원료 및 첨가제가 투입되며, 상기 원료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며, 상기 원료와 첨가제를 교반시키는 원료공급부(100);, 상기 원료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비누용액을 응고시키는 응고부(200);, 상기 응고부에서 응고된 비누성형물을 절단하는 성형부(300);를 포함하는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비누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Soap}
본 발명은 비누 제조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은 비누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 자동화로 이루어지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원료의 용융화, 용액의 응고화 및 성형물 절단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비누 제조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특허발명 001은 폐기름탱크와 교반기 및 첨가물 투입부가 설치된 가공부를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하고, 그 하단에 하나의 진동식 걸름망이 설치된 여과부를 설치하며, 그 하단에는 비누를 정량씩 계량하는 계량부와 계량된 비누를 봉투에 담아 밀봉되게 포장하는 하나의 포장부를 3층으로 나누어 설치되는 비누의 제조장치에 대한 발명을 제시한다.
특허발명 002는 비누에 첨가되는 부재료를 분쇄하는 분쇄기(100)와; 상기 분쇄기(100)에서 분쇄된 부재료와 비누베이스를 분쇄 및 열교반하는 교반기(200)와; 상기 교반기(200)에서 교반되어 형성된 비누용액을 건조하는 건조기(300)와; 상기 분쇄기(100)와 교반기(200) 및 건조기(300)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분쇄기(100)와 교반기(200) 및 건조기(300)에 전원 인가 및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비누 제조장치에 발명을 제시한다.
특허발명 003은 오수에 포함된 기름성분을 분리하는 유수분리부, 상기 유수분리부에서 분리된 기름을 필터링하는 여과부, 비누제조시 사용되는 물과 염기성 용액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와 염기 공급부 및 상기 여과부에서 필터링된 정제유와 물 및 염기성 용액을 교반시켜 비누를 제조하는 비누제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비누제조장치에 대한 발명을 제시한다.
특허발명 004는 가성소다수와 지방산 오일의 비누화 반응이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반부; 상기 가성소다수와 지방산 오일의 비누화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교반부를 회동시키는 전기모터부; 상기 전기모터부에 공급되는 전기의 전류 크기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 상기 전기모터부에 대한 전기 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모터부와 외부 전원 사이에 설치되는 전원스위치부; 및 상기 전류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전류 크기와 기 설정된 제1 기준 전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전기모터부에 대한 전기 공급을 차단하는 상기 전원스위치부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누 제조장치에 대한 발명을 제시한다.
KR 10-0623042 B1 (등록일자 2006년09월05일) KR 10-0789959 B1 (등록일자 2007년12월21일) KR 10-1109544 B1 (등록일자 2012년01월18일) KR 10-1806194 B1 (등록일자 2017년12월01일)
본 발명은 비누 제조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은 비누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 자동화로 이루어지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원료의 용융화, 용액의 응고화 및 성형물 절단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비누 제조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종래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비누 제조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내부에 비누 원료 및 첨가제가 투입되며, 상기 원료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며, 상기 원료와 첨가제를 교반시키는 원료공급부(100);, 상기 원료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비누용액을 응고시키는 응고부(200);, 상기 응고부에서 응고된 비누성형물을 절단하는 성형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부는 지방산을 가열 및 혼합하는 지방산공급부(110);, 상기 혼합물에 첨가제를 정량으로 공급하는 첨가제공급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응고부는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210);, 상기 프레임 내부에 중간측이 결합되며, 개방된 일측과 밀폐된 타측이 외부로 형성되며, 내부에 비누용액을 수용하는 성형관(2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부(310);, 상기 성형관 내경에 삽입되며, 성형관 내부에서 비누를 이동시키는 플렌저(320);, 상기 성형관으로부터 이탈되는 비누성형물을 절단하는 절단부(3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로부터 절단된 비누성형물을 금형에 삽입하여 성형하는 형타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누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 자동화로 이루어지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원료의 용융화, 용액의 응고화 및 성형물 절단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는 고체상태인 지방산의 용융속도를 빠르게 하며, 용융비누를 빠르게 고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는 절단된 비누를 금형에 공급하여 필요로 하는 패턴으로 성형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는 금형 사이에 이형지를 공급하여 비누의 금형 이형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절단부와 성형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응고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3의 응고부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성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형지 공급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비누 제조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내부에 비누 원료 및 첨가제가 투입되며, 상기 원료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며,상기 원료와 첨가제를 교반시키는 원료공급부(100);, 상기 원료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비누용액을 응고시키는 응고부(200);, 상기 응고부에서 응고된 비누성형물을 절단하는 성형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누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 자동화로 이루어지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원료의 용융화, 용액의 응고화 및 성형물 절단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비누 제조시간을 단축하며, 다품종 생산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수제비누제조는 비누원료와 첨가제를 첨가한 후, 용기에 투입하고, 용기 내부에서 응고된 후, 외형을 가공하는 방식으로 비누를 제조하였다. 이는 제조시간이 길어지며, 정확성이 낮아지며, 위험성을 내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공정을 자동화 하는 목적을 가지며, 이를 구현을 위해, 원료공급부, 응고부, 성형부를 구성한다. 원료공급부는 비누원료 및/또는 첨가제를 투입하며, 원료를 용융하며, 원료를 혼합하는 것이다. 응고부는 용해상태의 원료를 고체상태의 비누로 형성하는 것이다. 성형부는 고체상태의 비누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것이다.
[실시예 2-1]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부는 지방산을 가열 및 혼합하는 지방산공급부(110);, 상기 혼합물에 첨가제를 정량으로 공급하는 첨가제공급부(120);를 포함한다.
다양한 종류의 비누를 제조하기 위해 다양한 첨가제가 사용된다. 하나의 용기에 첨가제와 비누원료를 혼합하는 경우, 비누종류별로 복수의 혼합용기를 사용해야 되는 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하나의 용기에서 비누원료만을 용융하며, 별도의 다른 용기에서 첨가제만을 수용한다. 혼합부(130)는 혼합용기(131)에서 비누원료 및 첨가제를 혼합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공급부는 용융지방산을 수용하는 원액케이스(114);, 고형의 지방산을 분쇄하는 분쇄기(111);, 상기 분쇄된 지방산을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히터(112);, 상기 용융된 지방산을 유동시키는 회전날개(1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체상태의 지방산을 액체상태의 지방산으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분쇄기는 고체상태의 지방산을 미립형태로 분쇄한다. 이는 용융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함이다. 히터는 미립형태의 지방산을 액체상태로 상태변화 시키기 위해 가열한다. 회전날개는 용융된 지방산의 응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방산공급부는 원액케이스(114)를 형성한다. 상기 원액케이스 내부에는 용융공간을 형성한다. 고체상태의 지방산은 분쇄기를 통해 미립형태로 분쇄된다. 분쇄된 지방산은 원액케이스 내부로 투입된다. 따라서 분쇄기 위치는 원액케이스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히터는 원액케이스 내측에 설치된다. 이는 지방산을 가열하며, 용융된 지방산을 수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원액케이스 내부에는 온도측정센서를 장착하며, 온도제어기는 상기 온도측정센서의 신호를 계측하고, 히터를 작동시킨다. 이는 자동으로 용융온도를 설정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는 다수의 지방산을 수납하며, 상기 지방산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트레이(115);, 상기 공급트레이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지방산을 분쇄하는 분쇄날(116);을 포함한다.
지방산을 분쇄하여 연속으로 공급하기 위해, 블록형상의 지방산을 수용하는 공급트레이가 형성되며, 이는 분쇄된 지방산을 순차적으로 원액케이스에 공급한다.분쇄날은 블록형상의 지방산을 가루형태로 분쇄시킨다. 분쇄날은 전동모터로 구동되며, 분쇄날에는 비산방지커버를 형성하여, 가루형상의 지방산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공급부는 복수로 형성되며, 내부에 첨가제를 수용하는 첨가제용기(121);를 포함한다.
다양한 종류의 비누를 제조하기 위해, 다양한 첨가제가 요구되며, 첨가제는 각각의 용기별로 수용되며, 필요한 비누를 제조하고자 할 때 용기에 수용된 첨가제를 공급하여 원하는 비누를 생산할 수 있다. 첨가제 용기는 첨가제의 량을 측정하는 첨가제 수용량 측정센서를 형성한다. 첨가제 수용량 측정센서는 일정량의 첨가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일정량이 미흡하면 외부에 부저, 또는 경고 등을 이용하여 보충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첨가제 수용량 측정센서는 용기 내부의 초음파센서 또는 용기를 고정하는 위치에 형성된 로드셀로 형성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2-2, 2-4에 있어서, 상기 원액케이스와 연통되는 원액공급관(114a);, 상기 원액공급관에 형성된 원액공급밸브(114b);, 상기 첨가제용기에 연통되는 첨가제공급관(122);, 상기 첨가제공급관에 형성되는 첨가제공급밸브(123);, 상기 원액공관 및 상기 첨가제공급관이 연통되는 혼합용기(131);를 포함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2-5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기 내부에 형성된 교반날개(132);를 포함한다.
[실시예 2-7]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2-6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히터, 회전날개, 원액공급밸브, 첨가제공급밸브, 교반날개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500)를 포함한다.
혼합용기는 원액공급관으로부터 원액을 공급받으며, 첨가제공급관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공급받는다. 원액과 첨가제는 혼합용기 내부에서 혼합되며, 이는 교반날개에 의해 혼합된다. 제어기는 원액공급밸브 및 첨가제공급밸브를 제어하여, 일정량의 원액 및 첨가제를 공급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기는 히터, 회전날개를 제어하기도 한다. 원액공급관에는 단열층을 형성하며, 또한 보온히터를 장착한다. 원액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3-1]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응고부는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210);, 상기 프레임 내부에 중간측이 결합되며, 개방된 일측과 밀폐된 타측이 외부로 형성되며, 내부에 비누용액을 수용하는 성형관(220);을 포함한다.
성형관 내부로 비누용액을 공급한다. 액상형태의 비누용액은 성형관 내부에서 고형화 된다. 액상상태의 비누용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성형관 타측이 밀폐되며, 성형관 일측은 액상형태의 비누용액이 공급되도록 개방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부에는 냉각유체가 공급되며, 상기 프레임과 성형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231)으로 공급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부에는 냉각유체가 공급되며, 지그재그로 연결 형성되는 냉각튜브(232)로 공급되는 것을 포함한다.
용융비누는 급속히 고체상태로 변환되어야 하며, 이는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용융비누는 상온보다 저온에서 빠르게 고형화된다. 성형관은 저온상태를 유지해야 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내부에 복수의 성형관을 수용하는 프레임은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공간에 냉각유체가 직접 공급되거나, 상기 공간에 냉각튜브를 형성하여, 상기 냉각튜브에 냉각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성형관은 냉각핀을 형성된다. 이는 냉각유체로부터 공급된 냉기를 빠르게 성형관에 전달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공간에 상수관 및 드레인관을 연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냉각튜브에 상수관 및 냉각장치의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성형관 내부 온도 측정용 온도측정센서(240); 상기 온도측정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냉각유체 공급량을 제어하는 온도제어기(250);를 포함한다.
앞에서 제시된 냉각유체는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측정센서가 성형관에 장착되어 비누용액의 온도를 직접 측정한다. 성형관의 온도는 온도측정센서에 의해 계측되며, 온도제어기로 온도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온도제어기는 계측된 온도로부터 설정된 온도의 차이를 분석하며, 온도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냉각유체의 유량 및 냉각유체의 온도를 제어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성형관 타측에 장착되며, 성형관에 장착 및 탈착되는 프레임커버(221)를 포함한다.
고체상태 비누성형물을 쉽게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성형관 일측에는 프레임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다. 성형관은 배출구 폐쇄시 기밀성을 유지해야 한다. 이는 성형관 내부에 주입된 용융비누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성형관 일측에 밀폐체를 삽입한다.
[실시예 3-6]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커버에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과 고정하는 클램프(223)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는 볼트/너트, 홈과 돌기, 고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너트, 홈과 돌기, 고리를 치환하여 동일 목적과 효과를 달성하는 수단이 균등대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부(310);, 상기 성형관 내경에 삽입되며, 성형관 내부에서 비누를 이동시키는 플렌저(320);, 상기 성형관으로부터 이탈되는 비누성형물을 절단하는 절단부(330);를 포함한다.
성형부에 수용된 비누성형물을 외부로 배출하며,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고정부, 플렌저, 절단부가 사용된다. 고정부는 프레임을 고정하며, 플렌저는 성형부 내부의 비누성형물을 배출하며, 절단부는 일정한 크기로 비누성형물을 절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를 고정하는 위치고정지그(340)를 포함한다.
성형부 절단위치가 정확하게 위치되어야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위치고정지그는 프레임에 볼트 등으로 체결 고정된다. 고정부일측에는 플렌저가 장착되어 성형부 내부의 비누성형물을 배출하며, 고정부타측에는 절단부를 형성하여, 배출되는 비누성형물을 절단한다. 따라서, 절단부와 플렌저 사이에 정확하게 성형부를 위치시켜야 된다. 이를 위해 고정부는 위치고정지그에 장착되며, 클램프에 의해 고정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성형부 내부의 비누성형물은 플렌저의 힘으로 배출된다. 플렌저는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를 결합하여 작동된다. 하나의 프레임에는 복수의 성형부를 장착하므로, 복수의 성형부에 삽입된 플렌저가 하나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되거나 또는 각각의 플렌저에 결합된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일측에 형성되며, 비누성형물 이송량을 측정하는 피딩센서(350);를 포함한다.
비누성형물은 일정한 두께로 정확하게 절단해야 한다. 피딩센서가 비누성형물의 진입량을 측정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비누성형물을 절단하는 절단커터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비누성형물을 절단하는 절단휠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고체상태로 변환된 비누성형물은 설정된 크기로 절단해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비누성형물 절단용 절단부는 절단커터로 형성하거나, 또는 절단휠로 형성한다.
절단커터는 평면, 사면 아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로부터 절단된 비누성형물을 금형에 삽입하여 성형하는 형타부(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형타부는 상형 및 하형의 금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절단부로부터 절단된 고형화된 비누는 일정한 형상의 외형을 형성하기 위해 금형 내부에 삽입되어 형상을 형성한다. 금형은 상형 및 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형 및 하형은 조립 및 분해된다. 조립에 의해 압입 가공을 형성하며, 이는 금형으로 특정된 비누형상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절단부 및 상기 형타부 사이에는 이송부를 형성한다. 상기 이송부는 절단부로부터 절단된 비누블록을 형타부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형변환장치를 포함한다.
형타부는 다이와 프레스로 형성된다. 다이에 하형이 결합되며, 프레스에 상형이 결합된다. 상기 다이 및 프레스는 상기 상형 및 하형과 결합되는 결착부를 형성한다.
상기 결착부의 결합 및 탈착에 의해 금형을 교체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형상의 비누를 유연하게 생산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형타부 측면에 형성되며, 이형지를 공급하는 이형지공급장치(600)를 포함한다.
비누블록이 상형 및 하형 사이에 삽입되어 압착된다. 압착과정 중 압착력에 의해 성형비누와 금형은 접착된다. 이는 성형비누가 금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 문제를 유발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금형 및 비누블록 사이에 이형지를 삽입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5-4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 공급장치는 릴형태로 감겨있는 공급릴(610);, 릴형태로 이형지를 회수하는 회수릴(620);을 포함한다.
[실시예 5-6] 본 발명의 비누 제조장치 실시예 5-5에 있어서, 상기 공급릴 및 회수릴은 상형 및 하형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비누생산장치는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형지 또한 자동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박판형상의 이형지는 자동공급이 용이하지 않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형지를 두루마리형태로 감아서 준비하는 공급릴과 가공 후 잔류된 이형지를 회수하는 회수릴을 형성한다. 상기 공급릴과 회수릴 사이에는 금형을 삽입한다. 상기 공급릴과 회수릴은 2겹으로 형성되며, 비누블록은 상기 2겹사이에 삽입되어 금형과 결합된다. 원활한 회수를 위해, 이형지는 금형외부로 잔류된 잔류부를 포함한다. 상기 잔류뷰는 회수릴의 회전력으로 성형 이후의 이형지를 회수할 수 있다.
100 :원료공급부 110 : 지방산공급부
111 : 분쇄기 112 : 히터
113 :회전날개 114 : 원액케이스
115 :공급트레이 116 : 분쇄날
120 :첨가제공급부 121 : 첨가제용기
122 :첨가제공급관 123 : 첨가제공급밸브
200 :응고부 210 : 프레임
220 :성형관 221 : 프레임커버
223 :클램프 231 : 공간
232 :냉각튜브 240 : 온도측정센서
250 :온도제어기 300 : 성형부
310 :고정부 320 : 플렌저
330 :절단부 340 : 위치고정지그
350 :피딩센서 400 : 형타부
500 : 제어기 600 : 이형지 공급장치
610 :공급릴 620 : 회수릴

Claims (5)

  1. 비누 제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비누 원료 및 첨가제가 투입되며, 상기 원료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며,상기 원료와 첨가제를 교반시키는 원료공급부(100);,
    상기 원료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비누용액을 응고시키는 응고부(200);,
    상기 응고부에서 응고된 비누성형물을 절단하는 성형부(300);,
    상기 원료공급부는 지방산을 가열 및 혼합하는 지방산공급부(110); 상기 지방산 혼합물에 첨가제를 정량으로 공급하는 첨가제공급부(120);를 포함하는 것;,
    상기 지방산공급부는 용융지방산을 수용하는 원액케이스(114); 고형의 지방산을 분쇄하는 분쇄기(111); 상기 분쇄된 지방산을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히터(112); 상기 용융된 지방산을 유동시키는 회전날개(113);를 포함하는 것;,
    상기 분쇄기는 다수의 지방산을 수납하며, 상기 지방산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트레이(115); 상기 공급트레이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지방산을 분쇄하는 분쇄날(116);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고부는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210);,
    상기 프레임 내부에 중간측이 결합되며, 개방된 일측과 밀폐된 타측이 외부로 형성되며, 내부에 비누용액을 수용하는 성형관(220);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부(310);,
    상기 성형관 내경에 삽입되며, 성형관 내부에서 비누를 이동시키는 플렌저(320);,
    상기 성형관으로부터 이탈되는 비누성형물을 절단하는 절단부(330);를 포함하는 비누 제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로부터 절단된 비누성형물을 금형에 삽입하여 성형하는 형타부(400);를 포함하는 비누 제조장치.
KR1020180004864A 2018-01-15 2018-01-15 비누 제조장치 KR101863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864A KR101863207B1 (ko) 2018-01-15 2018-01-15 비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864A KR101863207B1 (ko) 2018-01-15 2018-01-15 비누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207B1 true KR101863207B1 (ko) 2018-05-31

Family

ID=62454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864A KR101863207B1 (ko) 2018-01-15 2018-01-15 비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2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5976A (zh) * 2018-10-26 2019-01-04 湘潭大学 一种碎肥皂再利用装置
KR101966934B1 (ko) * 2018-09-20 2019-04-08 주식회사 미고가 저온숙성 천연비누 제조 장치
CN110885721A (zh) * 2019-11-30 2020-03-17 安徽华谊日新科技有限公司 一种碎肥皂回收搅拌器
CN111286427A (zh) * 2020-03-16 2020-06-16 姜文文 一种手工肥皂制造装置
KR20230137156A (ko) 2022-03-21 2023-10-04 송경호 캐릭터 형상의 비누 제조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209B1 (ko) * 1991-04-23 1995-10-16 유니레버 엔 브이 비누-아실 이세티오네이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JPH10279998A (ja) * 1997-04-07 1998-10-20 Ricoh Co Ltd 金属石鹸ブロックの製造型及びその製造方法
JP3740625B2 (ja) * 1997-08-26 2006-02-01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インサート成形における圧入・保圧・離型方法
KR101420926B1 (ko) * 2012-09-28 2014-07-16 김정율 오리기름을 함유하는 고형비누,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5763310B2 (ja) * 2010-08-12 2015-08-12 株式会社ピーアンドピーエフ 枠練り石鹸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68530B1 (ko) * 2014-12-24 2016-10-24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용 환원재 제조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209B1 (ko) * 1991-04-23 1995-10-16 유니레버 엔 브이 비누-아실 이세티오네이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JPH10279998A (ja) * 1997-04-07 1998-10-20 Ricoh Co Ltd 金属石鹸ブロックの製造型及びその製造方法
JP3740625B2 (ja) * 1997-08-26 2006-02-01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インサート成形における圧入・保圧・離型方法
JP5763310B2 (ja) * 2010-08-12 2015-08-12 株式会社ピーアンドピーエフ 枠練り石鹸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20926B1 (ko) * 2012-09-28 2014-07-16 김정율 오리기름을 함유하는 고형비누,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668530B1 (ko) * 2014-12-24 2016-10-24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용 환원재 제조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5763310호(2015.08.12.) 1부.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934B1 (ko) * 2018-09-20 2019-04-08 주식회사 미고가 저온숙성 천연비누 제조 장치
CN109135976A (zh) * 2018-10-26 2019-01-04 湘潭大学 一种碎肥皂再利用装置
CN109135976B (zh) * 2018-10-26 2024-02-23 湘潭大学 一种碎肥皂再利用装置
CN110885721A (zh) * 2019-11-30 2020-03-17 安徽华谊日新科技有限公司 一种碎肥皂回收搅拌器
CN111286427A (zh) * 2020-03-16 2020-06-16 姜文文 一种手工肥皂制造装置
KR20230137156A (ko) 2022-03-21 2023-10-04 송경호 캐릭터 형상의 비누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207B1 (ko) 비누 제조장치
CN207240609U (zh) 一种再造料系统混料装置
EP2760924B1 (en) A method for recycling waste thermoplastic materials and using this recycled thermoplastic in composite material production
CN107283907B (zh) 一种转盘式铁屑压饼全自动生产线
CN102241158A (zh) 塑料粉末成型机自动加粉装置
CN110951136A (zh) 一种高透明度再生塑料配方、制备方法及造粒机
KR101598356B1 (ko) 합성수지 블록의 제조시스템
CN211248192U (zh) 一种蜡模铸造用快速熔蜡装置
KR101091214B1 (ko)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을 위한 재활용 장치
CN210552332U (zh) 一种废旧塑料深加工用加热熔化装置
KR101642905B1 (ko) 수직형 반연속 주조 방법
CN203972780U (zh) 盐芯制备用定量加料装置
KR20150142661A (ko) 합성수지와 비중체를 이용한 중량체 및 그 제조장치
CN216068182U (zh) 一种挤出造粒设备
KR20160081781A (ko) 엘리베이터용 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시스템
CN210969704U (zh) 一种餐具生产用注塑机的下料装置
CN104802437B (zh) 卧式物料挤压脱水成饼设备
CN213671686U (zh) 一种铸造蜡回收成型装置
CN202079715U (zh) 全自动塑料粉末成型机自动加粉装置
CN210254079U (zh) 一种自动混砂装置
CN220390152U (zh) 一种自动混料的注塑设备
CN211165459U (zh) 一种改进型的机床废渣处理机
CN110480827A (zh) 一种机械化粘土制模的方法
CN219191399U (zh) 一种用于柱状固体缓蚀阻垢剂成型的装置
KR960012430B1 (ko) 재생폐비닐 사출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