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850B1 -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2850B1 KR101862850B1 KR1020160150863A KR20160150863A KR101862850B1 KR 101862850 B1 KR101862850 B1 KR 101862850B1 KR 1020160150863 A KR1020160150863 A KR 1020160150863A KR 20160150863 A KR20160150863 A KR 20160150863A KR 101862850 B1 KR101862850 B1 KR 1018628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tition wall
- exhaust gas
- panel
- muffler
- wall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3—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using transversal baffles defining a tortuous path for the gases or successively throttling gas flo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03—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dead chambers communicating with gas flow passages
- F01N1/00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dead chambers communicating with gas flow passages comprising at least one perforated tube extending from inlet to outlet of the silenc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3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in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 F01N3/03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in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with catalytic reactors, e.g. catalysed diesel particulate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플러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는 유해물질을 정화시키는 촉매부; 상기 촉매부로부터 상기 머플러의 단부까지의 공간을 후방공간부, 중앙공간부 및 전방공간부로 구획하는 격벽부; 상기 촉매부를 지나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중앙공간부로 안내하는 가이드호퍼; 상기 중앙공간부에 충진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후방공간부로 순환되도록 안내하는 리턴안내관; 및 상기 후방공간부에 충진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전방공간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안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는 유해물질을 거르는 촉매부가 구비되고, 머플러의 내부를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촉매부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중앙공간부로부터 후방공간부로 리턴된 후에 전방공간부로 배출되면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구획패널을 머플러 내벽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의 배기장치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폭발압력을 감쇠하여 엔진의 소음을 저감하는 소음감쇠 기능과, 머플러와 연결관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를 저온, 저압으로 변화시키는 냉각 기능 및 엔진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인체나 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곳으로 보내는 배기가스의 흐름유도 기능을 수행한다.
오토바이 등의 내연기관 차량에 적용되는 통상의 배기장치는 엔진의 배기구에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수용하고 모으는 배기관과, 배기관에 연결되고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결관 및 연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를 저온, 저압으로 변화시키고 소음을 감쇠한 다음 외부로 배출시키는 머플러로 구성되어 상술한 일반적인 배기장치의 기본적인 기능을 충족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머플러는 금속재의 원통파이프 혹은 타원형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흡음재를 구비하고 전후방에 흡입구와 배출구를 각각 구비하는데, 오토바이의 경우 처리용량이 비교적 적은 소형의 머플러는 후륜의 상부, 즉 후륜과 리어카울링 사이에 설치된다.
그러나 통상의 오토바이 머플러는 머플러가 단순히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형상이기 때문에 배기가스 입자의 운동 에너지를 충분하게 감쇠하기에는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있고, 흡음재로 석면을 사용하기 때문에 성능저하 및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며, 머플러의 형상이 커서 넓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고, 단면이 일률적인 원형 또는 타원형상이어서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미적인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토바이 머플러는 원통으로 되어 내관과 외관사이에 흡음재를 충진하고 내관에 다수의 구멍을 뚫어 소음작용을 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배기가스가 내관을 지나 배출되는 경로가 협소하여 배기력이 순탄하지 못하고 배기가스를 감소시키는 촉매가 없어서 배기가스가 외부로 많이 방출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토바이용 머플러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머플러는, 머플러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케이싱 내에 이격되게 고정 구비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서 선택적으로 상호 연통되거나 구획되게 형성되는 복수 단으로 구비되고, 각각 천공된 다수의 배기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확장관이 부분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배기관으로 구성되는 다단식 배기관과, 다단식 배기관 중 최상류측 배기관의 전방단에 구비되는 연소촉진용촉매부재와, 배기관에 구비되는 흡음 부재와, 케이싱의 하류단을 커버하도록 결합되고, 다단식 배기관의 최하류측 배기관과 연통되는 배기가스 배출로를 갖고 형성되는 엔드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6565호(2016년 09월 22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오토바이용 머플러)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머플러는, 머플러의 직경을 변경하고, 흡음재를 설치하여 소음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머플러의 구조가 복잡하여 머플러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렵고, 종래기술의 머플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머플러를 제거하고, 새로운 머플러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기존의 머플러를 재활용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는 유해물질을 거르는 촉매부가 구비되고, 머플러의 내부를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촉매부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중앙공간부로부터 후방공간부로 리턴된 후에 전방공간부로 배출되면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구획패널을 머플러 내벽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머플러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는 유해물질을 정화시키는 촉매부; 상기 촉매부로부터 상기 머플러의 단부까지의 공간을 후방공간부, 중앙공간부 및 전방공간부로 구획하는 격벽부; 상기 촉매부를 지나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중앙공간부로 안내하는 가이드호퍼; 상기 중앙공간부에 충진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후방공간부로 순환되도록 안내하는 리턴안내관; 및 상기 후방공간부에 충진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전방공간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안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격벽부는, 상기 후방공간부와 상기 중앙공간부를 구획하는 제1격벽부; 상기 중앙공간부와 상기 전방공간부를 구획하는 제2격벽부; 및 상기 제2격벽부를 상기 머플러의 내벽에 밀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격벽부 또는 상기 제2격벽부의 지름을 확장시키면서 상기 머플러의 내벽에 상기 제1격벽부 또는 상기 제2격벽부를 밀착시키는 지름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름확장부는, 상기 제1격벽부의 지름을 확장시키도록 상기 제1격벽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변부; 및 상기 제2격벽부의 지름을 확장 또는 축소시키도록 상기 제2격벽부에 구비되는 제2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가변부는, 상기 제1격벽부의 지름이 확장되도록 상기 제1격벽부에 안착되고 제1연결단턱을 구비하는 제1연장링부재; 상기 제1격벽부의 지름이 확장되도록 상기 제1격벽부에 안착되고 제2연결단턱을 구비하며 상기 제1연장링부재와 연결되는 제2연장링부재; 및 상기 제1연결단턱과 상기 제2연결단턱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가변부는, 상기 배출안내관이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중앙부에 복수 개의 고정기둥부가 형성되는 제1패널; 상기 고정기둥부에 의해 상기 제1패널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결되고, 작동홀부가 형성되는 제2패널; 상기 고정기둥부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어 상기 작동홀부 내측에 배치되는 작동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 사이의 간격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출몰블록; 및 상기 출몰블록이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출몰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마감하도록 상기 출몰블록의 양측면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간격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머플러 내벽에 설치되고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는 유해물질을 거르는 촉매부와, 촉매부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머플러의 후방으로 순환시킨 후에 다시 배출시키는 방음부가 구비되므로 이륜차 구동 중에 발생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는 유해물질을 거름과 동시에 배기가스가 머플러 내부로 순환하면서 배출압력이 저감되어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는, 머플러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부를 머플러 내벽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되므로 기존의 머플러 내부에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기존의 머플러를 교체하지 않고 활용하여 배기가스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는, 격벽부의 지름을 가변시켜 머플러 내벽에 밀착시키는 가변부가 구비되므로 머플러의 크기 및 형상과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머플러에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의 가변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의 가변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의 가변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의 가변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는, 머플러(1)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는 유해물질을 정화시키는 촉매부(10)와, 촉매부(10)로부터 머플러(1)의 단부까지의 공간을 후방공간부(7), 중앙공간부(5) 및 전방공간부(3)로 구획하는 격벽부(32, 38)와, 촉매부(10)를 지나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중앙공간부(5)로 안내하는 가이드호퍼(12)와, 중앙공간부(5)에 충진되는 배기가스를 후방공간부(7)로 순환되도록 안내하는 리턴안내관(34)과, 후방공간부(7)에 충진되는 배기가스를 전방공간부(3)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안내관(36)을 포함한다.
머플러(1)의 내측 단부에는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촉매가 수납되는 촉매부(10)가 설치되므로 머플러(1)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촉매부(1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배출되고, 격벽부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 개의 공간을 순환하면서 배기가스의 배출압력이 감소되어 배기가스의 배출압력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격벽부(32, 38)는, 후방공간부(7)와 상기 중앙공간부(5)를 구획하는 제1격벽부(32)와, 중앙공간부(5)와 전방공간부(3)를 구획하는 제2격벽부(38)와, 제2격벽부(38)를 머플러(1)의 내벽에 밀착시키는 고정부(50)를 포함한다.
촉매부(10)의 외측 단부에는 가이드호퍼(12)가 설치되고, 가이드호퍼(12)의 출구 측에는 제1격벽부(32)가 설치되어 머플러(1)의 후방공간부(7)와 중앙공간부(5)를 구획하고, 배출안내관(36)의 내측 단부에는 제1격벽부(32)가 연결되고, 배출안내관(36)의 외측 단부에는 제2격벽부(38)가 연결된다.
따라서 제1격벽부(32)는, 가이드호퍼(12)에 의해 지지되고, 제2격벽부(38)는, 배출안내관(36)에 의해 지지되며, 제1격벽부(32) 및 제2격벽부(38)는 머플러(1)의 내벽에 둘레면이 밀착되게 압입되어 머플러(1) 내부를 후방공간부(7), 중앙공간부(5) 및 전방공간부(3)로 구획하게 된다.
가이드호퍼(12)는 촉매부(10)의 출구에 연결되는 입구부(14)가 촉매부(10)와 같이 상대적으로 넓은 단면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촉매부(10)의 출구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가이드호퍼(12)의 출구부(16)는 상대적으로 좁은 단면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가이드호퍼(12)가 깔때기 모양을 이루게 된다.
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가이드호퍼(12)의 출구부(16)는 제1격벽부(32)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1홀부(32a)에 압입되어 고정되고, 제1홀부(32a)와 가이드호퍼(12) 사이의 연결부위에 용접작업을 행하여 가이드호퍼(12)와 제1격벽부(32) 사이의 간격으로 배기가스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리턴안내관(34)은, 제1격벽부(32)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홀부(32a)에 압입되어 고정되므로 제1격벽부(32) 및 제2격벽부(38)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공간부(5)에 배기가스가 충진되면 리턴안내관(34)을 따라 배기가스가 후방공간부(7)로 후진하며 순환하게 된다.
이때, 중앙공간부(5)에 충진되는 배기가스는 이동방향이 가변되고, 중앙공간부(5)가 충진되는 시간 동안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므로 배기가스의 배출압력이 낮아지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격벽부(32)의 중앙에는 제1홀부(32a)가 형성되고, 제1격벽부(32)의 일측에는 제2홀부(32b)가 형성되어 리턴안내관(34)이 설치되고, 제1격벽부(32) 타측에는 제3홀부(32c)가 형성되어 배출안내관(36)이 설치된다.
배출안내관(36)은 제1격벽부(32)로부터 제2격벽부(38) 외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므로 배출안내관(36)은 제1격벽부(32)와 제2격벽부(38)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며 제2격벽부(38)를 지지하게 되고, 후방공간부(7)에 충진되는 배기가스는 배출안내관(36)을 따라 전방공간부(3)로 배출된다.
고정부(50)는, 제2격벽부(38)의 상면에 설치되는 'C' 모양의 고정블록(52)과, 고정블록(52)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홀부(54)와, 고정홀부(54)에 체결되어 머플러(1)의 내벽에 가압되는 체결부재(56)를 포함한다.
따라서 가이드호퍼(12), 제1격벽부(32), 리턴안내관(34), 배출안내관(36) 및 제2격벽부(38)가 일체로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저감장치를 머플러(1)에 삽입하여 가이드호퍼(12)와 촉매부(10)를 결합시킨 후에 작업자가 고정블록(52)으 내측으로부터 체결부재(56)를 고정홀부(54)에 체결하여 체결부재(56)가 고정블록(52) 외측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체결부재(56)의 단부가 머플러(1)의 내벽을 가압하면서 저감장치가 머플러(1) 내벽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머플러(1) 내측으로 저감장치를 삽입하면 제1격벽부(32)가 머플러(1) 내벽에 압입되면서 가이드호퍼(12)의 입구부(14)가 촉매부(10)와 결합되고, 가이드호퍼(12), 리턴안내관(34) 및 배출안내관(36)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제2격벽부(38)가 머플러(1) 내벽에 밀착되도록 압입된다.
이후에, 작업자가 고정블록(52)에 격합된 체결부재(56)를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키면 체결부재(56)가 고정블록(52)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머플러(1)의 내벽을 가압하게 되므로 고정블록(52) 및 제2격벽부(38)가 머플러(1) 내벽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머플러(1) 내부에 저감장치를 설치한 후에 이륜차를 운행하면 머플러(1)를 따라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촉매부(10)를 통과하면서 유해물질이 정화되어 걸러지게 되고, 가이드호퍼(12)를 통해 후방공간부(7)를 지나지 않은 배기가스가 중앙공간부(5)로 배출되고, 중앙공간부(5)에 충진된 배기가스는 리턴안내관(34)을 따라 후방공간부(7)로 순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중앙공간부(5)로 배출된 배기가스가 중앙공간부(5)에 충진된 후에 진행방향을 바꾸어 후방공간부(7)로 순환되므로 배기가스의 배출압력이 감소하게 되므로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후방공간부(7)에 충진되는 배기가스는 2차로 진행방향이 변경되어 배출안내관(36)을 따라 전방공간부(3)를 통해 머플러(1) 외측으로 배출되어 보다 더 효과적으로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의 가변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의 가변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는, 제1격벽부(32) 또는 제2격벽부(38)의 지름을 확장시키면서 머플러(1)의 내벽에 제1격벽부(32) 또는 제2격벽부(38)를 밀착시키는 지름확장부(70)를 더 포함한다.
지름확장부(70)는, 제1격벽부(32) 또는 제2격벽부(38)의 지름을 확장시켜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넓은 머플러(1)에 저감장치가 설치될 때에 제1격벽부(32) 및 제2격벽부(38)의 지름을 확장시켜 머플러(1)의 내벽에 제1격벽부(32) 및 제2격벽부(38)의 테두리가 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저감장치는 다양한 크기 및 모양의 머플러(1)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지름확장부(70)는, 제1격벽부(32)의 지름을 확장시키도록 제1격벽부(3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변부(72)와, 제2격벽부(38)의 지름을 확장 또는 축소시키도록 제2격벽부(38)에 구비되는 제2가변부(76)를 포함한다.
머플러(1)는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일정한 파이프 모양일 수 있고, 머플러(1)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외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깔때기 모양일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지름확장부(70)는, 제1가변부(72) 및 제2가변부(76)를 구비하므로 머플러(1)의 형상에 따라 제1격벽부(32) 또는 제2격벽부(38)를 선택적으로 확장시키면서 머플러(1) 내벽에 제1격벽부(32) 및 제2격벽부(38)를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제1가변부(72)는, 제1격벽부(32)의 지름이 확장되도록 제1격벽부(32)에 안착되고 제1연결단턱(72b)을 구비하는 제1연장링부재(72a)와, 제1격벽부(32)의 지름이 확장되도록 제1격벽부(32)에 안착되고 제2연결단턱(72d)을 구비하며 제1연장링부재(72a)와 연결되는 제2연장링부재(72c)와, 제1연결단턱(72b)과 제2연결단턱(72d)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연결핀(74)을 포함한다.
제1격벽부(32)의 둘레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연결홈부(74a)가 형성되고, 반원모양의 제1연장링부재(72a)와 제2연장링부재(72c)를 연결홈부(74a)에 삽입하여 제1격벽부(32)의 둘레면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링부재를 이루게 되어 제1격벽부(32)의 지름이 확장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제1연장링부재(72a)의 양단부에는 제1연결단턱(72b)이 형성되고, 제2연장링부재(72c)의 양단부에는 제1연결단턱(72b)과 포개지면서 연결되는 제2연결단턱(72d)이 형성되며, 제1연결단턱(72b) 및 제2연결단턱(72d)에는 연결핀(74)이 압입되는 체결홀부가 형성된다.
제1격벽부(32)의 상면 및 저면에는 연결핀(74)이 삽입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므로 연결홈부(74a)에 제1연장링부재(72a)와 제2연장링부재(72c)를 삽입하여 안착시키고, 제1연결단턱(72b)과 제2연결단턱(72d)이 포개지는 부위에 연결핀(74)을 압입하여 제1연장링부재(72a)와 제2연장링부재(72c)를 제1격벽부(32)의 둘레면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하게 된다.
제2가변부(76)는, 배출안내관(36)이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중앙부에 복수 개의 고정기둥부(76e)가 형성되는 제1패널(76a)과, 고정기둥부(76e)에 의해 제1패널(76a)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결되고, 가압홀부(76c)가 형성되는 제2패널(76b)과, 고정기둥부(76e)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어 가압홀부(76c) 내측에 배치되는 작동돌출부(82)를 구비하고, 제1패널(76a)과 제2패널(76b) 사이의 간격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출몰블록(80)과, 출몰블록(80)이 제1패널(76a) 및 제2패널(76b) 외측으로 돌출되면 출몰블록(80)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마감하도록 출몰블록(80)의 양측면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간격블록(86a)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제2격벽부(38)는, 제1패널(76a)과 제2패널(76b)이 간격을 유지하며 4개의 고정기둥부(76e)에 의해 연결되고, 고정기둥부(76e) 사이의 간격으로 4개의 출몰블록(8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패널(76a) 및 제2패널(76b)의 측 방향으로 출몰블록(80)이 돌출되면서 제2격벽부(38)의 지름을 확장시키게 된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2패널(76b)의 중앙부에는 작동볼트(76d)가 볼트결합되는 가압홀부(76c)가 형성되고, 가압홀부(76c)의 내벽에는 작동볼트(76d)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작동볼트(76d)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볼트(76d)가 가압홀부(76c) 내측으로 하강하면서 4개의 고정기둥부(76e) 사이의 형성되는 원형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이때, 출몰블록(80)으로부터 연장되어 고정기둥부(76e)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작동돌출부(82)는 작동볼트(76d)에 의해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제1패널(76a) 및 제2패널(76b) 외측으로 돌출된다.
작동돌출부(82)의 내측 단부에는 스토퍼(82a)가 형성되어 작동돌출부(82)가 고정기둥부(76e)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토퍼(82a)와 고정기둥부(76e)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87)가 개재되므로 작동돌출부(82) 및 출몰블록(80)을 제1패널(76a) 및 제2패널(76b)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작동돌출부(82)의 내측 단부에는 하측 방향으로 오목한 경사면(84)이 형성되므로 4개의 작동돌출부(82)가 제1패널(76a) 및 제2패널(76b)의 중앙부에 밀착되게 모아지게 되면 4개의 경사면(84)이 모아져 하측으로 오목한 홈부를 이루게 되고, 작동볼트(76d)의 단부가 이 홈부에 삽입된 후에 계속하여 하측으로 가압하면 4개의 경사면(84)이 벌어지면서 작동돌출부(82) 및 출몰블록(80)을 제1패널(76a) 및 제2패널(76b) 외측으로 돌출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4개의 출몰블록(80)이 제1패널(76a) 및 제2패널(76b) 외측으로 돌출되면 4개의 출몰블록(8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각각의 출몰블록(8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출몰홀부(86)로부터 간격블록(86a)이 돌출되면서 출몰블록(80)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마감하게 된다.
하나의 출몰블록(80) 내부에는 한 쌍의 간격블록(86a)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간격블록(86a) 사이에는 제2탄성부재(88)가 개재되므로 출몰블록(80)이 제1패널(76a) 및 제2패널(76b) 외측으로 돌출되어 출몰블록(8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면 이 간격으로 간격블록(86a)이 돌출되면서 간격을 메우게 된다.
따라서 단면적이 넓은 머플러(1)에 제2격벽부(38)를 설치할 때에는 저감장치를 머플러(1)의 내부에 삽입시킨 후에 작동볼트(76d)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압홀부(76c) 내측으로 삽입시키면 작동볼트(76d)의 단부가 4개의 경사면(84)이 벌어지도록 작동돌출부(82)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4개의 작동돌출부(82) 및 출몰블록(80)이 제1패널(76a) 및 제2패널(76b)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제2격벽부(38)의 지름이 증가하게 되고, 이때, 제2탄성부재(88)가 팽창하면서 출몰블록(80)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으로 간격블록(86a)이 돌출되면서 출몰블록(80)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간격블록(86a)은 불연성재질을 포함하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제2탄성부재(88)의 팽창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간격블록(86a)이 서로 밀착된 후에 출몰블록(80)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출몰블록(80) 사이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패널(76a), 제2패널(76b) 및 간격블록(86a)에는 배출안내관(36)이 통과되는 홀부가 형성되고, 간격블록(86a)에 형성되는 통과홀부(86b)는 간격블록(86a)이 제1패널(76a) 및 제2패널(76b) 외측으로 돌출되고 출몰블록(80)들 사이의 간격으로 돌출될 때에 통과홀부(86b)와 배출안내관(36)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4개의 간격블록(86a) 중 어느 하나의 간격블록(86a)에는 배출안내관(36)의 단면적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통과홀부(86b)가 형성된다.
이로써,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는 유해물질을 거르는 촉매부가 구비되고, 머플러의 내부를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촉매부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중앙공간부로부터 후방공간부로 리턴된 후에 전방공간부로 배출되면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구획패널을 머플러 내벽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저감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머플러 10 : 촉매부
12 : 가이드호퍼 14 : 입구부
16 : 출구부 32 : 제1격벽부
32a : 제1홀부 32b : 제2홀부
32c : 제3홀부 34 : 리턴안내관
36 : 배출안내관 38 : 제2격벽부
50 : 고정부 52 : 고정블록
54 : 고정홀부 56 : 체결부재
70 : 지름확장부 72 : 제1가변부
72a : 제1연장링부재 72b : 제1연결단턱
72c : 제2연장링부재 72d : 제2연결단턱
74 : 연결핀 74a : 연결홈부
76 : 제2가변부 76a : 제1패널
76b : 제2패널 76c : 가압홀부
76d : 작동볼트 76e : 고정기둥부
80 : 출몰블록 82 : 작동돌출부
84 : 경사면 86 : 출몰홀부
87 : 제1탄성부재 88 : 제2탄성부재
12 : 가이드호퍼 14 : 입구부
16 : 출구부 32 : 제1격벽부
32a : 제1홀부 32b : 제2홀부
32c : 제3홀부 34 : 리턴안내관
36 : 배출안내관 38 : 제2격벽부
50 : 고정부 52 : 고정블록
54 : 고정홀부 56 : 체결부재
70 : 지름확장부 72 : 제1가변부
72a : 제1연장링부재 72b : 제1연결단턱
72c : 제2연장링부재 72d : 제2연결단턱
74 : 연결핀 74a : 연결홈부
76 : 제2가변부 76a : 제1패널
76b : 제2패널 76c : 가압홀부
76d : 작동볼트 76e : 고정기둥부
80 : 출몰블록 82 : 작동돌출부
84 : 경사면 86 : 출몰홀부
87 : 제1탄성부재 88 : 제2탄성부재
Claims (6)
- 머플러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는 유해물질을 정화시키는 촉매부;
상기 촉매부로부터 상기 머플러의 단부까지의 공간을 후방공간부, 중앙공간부 및 전방공간부로 구획하는 격벽부;
상기 촉매부를 지나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중앙공간부로 안내하는 가이드호퍼;
상기 중앙공간부에 충진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후방공간부로 순환되도록 안내하는 리턴안내관; 및
상기 후방공간부에 충진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전방공간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안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는,
상기 후방공간부와 상기 중앙공간부를 구획하는 제1격벽부;
상기 중앙공간부와 상기 전방공간부를 구획하는 제2격벽부; 및
상기 제2격벽부를 상기 머플러의 내벽에 밀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격벽부 또는 상기 제2격벽부의 지름을 확장시키면서 상기 머플러의 내벽에 상기 제1격벽부 또는 상기 제2격벽부를 밀착시키는 지름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름확장부는,
상기 제1격벽부의 지름을 확장시키도록 상기 제1격벽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변부; 및
상기 제2격벽부의 지름을 확장 또는 축소시키도록 상기 제2격벽부에 구비되는 제2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변부는,
상기 제1격벽부의 지름이 확장되도록 상기 제1격벽부에 안착되고 제1연결단턱을 구비하는 제1연장링부재;
상기 제1격벽부의 지름이 확장되도록 상기 제1격벽부에 안착되고 제2연결단턱을 구비하며 상기 제1연장링부재와 연결되는 제2연장링부재; 및
상기 제1연결단턱과 상기 제2연결단턱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변부는,
상기 배출안내관이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중앙부에 복수 개의 고정기둥부가 형성되는 제1패널;
상기 고정기둥부에 의해 상기 제1패널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결되고, 작동홀부가 형성되는 제2패널;
상기 고정기둥부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어 상기 작동홀부 내측에 배치되는 작동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 사이의 간격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출몰블록; 및
상기 출몰블록이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출몰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마감하도록 상기 출몰블록의 양측면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간격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0863A KR101862850B1 (ko) | 2016-11-14 | 2016-11-14 |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0863A KR101862850B1 (ko) | 2016-11-14 | 2016-11-14 |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3832A KR20180053832A (ko) | 2018-05-24 |
KR101862850B1 true KR101862850B1 (ko) | 2018-05-30 |
Family
ID=6229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0863A KR101862850B1 (ko) | 2016-11-14 | 2016-11-14 |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285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1693B1 (ko) | 2019-05-31 | 2020-11-24 | 원동민 | 이륜차용 소음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72396A (ja) * | 2011-09-28 | 2013-04-22 | Honda Motor Co Ltd | 小型車両用マフラー |
-
2016
- 2016-11-14 KR KR1020160150863A patent/KR1018628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72396A (ja) * | 2011-09-28 | 2013-04-22 | Honda Motor Co Ltd | 小型車両用マフラー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1693B1 (ko) | 2019-05-31 | 2020-11-24 | 원동민 | 이륜차용 소음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3832A (ko) | 2018-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641818C2 (ru) | Фильтры в сборе, их элементы и отличительные признак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и сборки | |
JP5255812B2 (ja) | 排気ガスリアマフラー | |
JP5552173B2 (ja) | 鞍乗型車両の排気装置 | |
JP5185751B2 (ja) | 排気ガス浄化装置 | |
US20040206073A1 (en) | Exhaust muffler and muffler system for use wit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930021918A (ko) | 직렬 팽창실과 궁형 배기관을 갖는 스탬프형 자동차 배기소음기 | |
US20040089500A1 (en) | Muffler with spark arrestor | |
CN104271905B (zh) | 粒子过滤器及消音器 | |
KR101862850B1 (ko) | 이륜차용 배기가스 및 소음 저감장치 | |
JP5361688B2 (ja) | 排気浄化装置 | |
KR102667245B1 (ko) | 자동차의 배기가스 시스템을 위한 소음기 및 소음기를 구비하는 자동차 | |
CN104011340A (zh) | 排气处理装置 | |
KR20130007837A (ko) | 차량용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 |
JP5762899B2 (ja) | 消音装置 | |
JP2003097248A (ja) | 排気浄化装置 | |
SE535923C2 (sv) | Ljuddämparanordning och motorfordon innefattande en sådan ljuddämparanordning | |
JP2018115653A (ja) | エンジンの排気装置 | |
US20020088666A1 (en) | Muffler and spark arrester | |
JP6263279B2 (ja) | 車両用エアクリーナ装置 | |
JP6261766B2 (ja) | 車両用エアクリーナ装置 | |
KR101309020B1 (ko) | 차량용 머플러 | |
JP4047060B2 (ja) | マフラ | |
JP5923543B2 (ja) | 排気ガス浄化装置 | |
JP7380477B2 (ja) | 排気装置 | |
KR100907293B1 (ko) |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