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356B1 - 액정 오염성을 개선한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및 그를 경화하여 형성된 실란트 - Google Patents

액정 오염성을 개선한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및 그를 경화하여 형성된 실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356B1
KR101860356B1 KR1020110124563A KR20110124563A KR101860356B1 KR 101860356 B1 KR101860356 B1 KR 101860356B1 KR 1020110124563 A KR1020110124563 A KR 1020110124563A KR 20110124563 A KR20110124563 A KR 20110124563A KR 101860356 B1 KR101860356 B1 KR 101860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acrylate
crystal display
meth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8517A (ko
Inventor
김삼민
조규원
장용
김태균
이윤희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4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356B1/ko
Priority to TW101143722A priority patent/TW201326335A/zh
Priority to CN201210482621.9A priority patent/CN103131375B/zh
Publication of KR20130058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3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Liquid Crystal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소자의 제조에 사용되는 액정 표시장치용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오염 특성을 개선한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함으로써 광경화 특성 및 열경화 특성을 개선하여 액정에 대한 오염성이 적고, 경화 후 접착강도가 우수한 액정 표시장치용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정 오염성을 개선한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및 그를 경화하여 형성된 실란트 {COMPOSITION OF A SEALANT RESIN FOR THE CONTAMINATION OF LIQUID CRYSTAL IMPROVED AND SEALANT FORMED BY CURING THEREOF}
본 기술은 전자 소자 등의 봉지재에 사용되는 경화형 수지에 관한 기술이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액정 표시장치용 속경화형 수지 조성물로서, 저장 안정성이 우수한 실란트 조성물 및 상기 실란트 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되어 액정에 대한 오염성이 낮고 접착강도가 우수한 실란트에 관한 것이다.
소형의 휴대전화를 비롯하여 대화면의 표시 패널로서 액정 표시장치(LCD)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장치는 두 장의 기판 및 상기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을 포함한다. 두 장의 기판 사이에 액정을 개재시키기 위해서는 두 장의 기판 중에서 어느 한 장의 기판 가장자리에 실란트 조성물을 도포하고 상기 두 장의 기판을 합착한 다음, 상기 실란트 조성물을 경화한다. 그러나 경화공정 도중 또는 완료 후에 상기 실란트 조성물 또는 그 경화물이 상기 액정과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경화공정은 신속하게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실란트 조성물 또는 경화물이 액정으로 용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외력에 대한 액정 표시장치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상기 경화물은 강한 접착 강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 시간의 단축 및 재료 절감을 위해 광경화와 열경화를 병용한 실란트를 사용한 액정 적하 공법(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17932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39694호)으로서 한쪽의 투명 기판에 실란트 패턴을 형성하여 내측에 액정을 적하하고, 다른 한쪽의 투명 기판을 겹쳐 밀봉하는 액정 표시 셀의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액정 적하 공법에서 액정과 광경화 후 미경화 상태의 실란트 사이에 접촉이 일어나므로 실란트의 성분이 액정으로 용출되어 액정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대두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 액정 실란트로 사용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다량의 미경화 수지가 표면으로 용출되어 얼룩을 발생시키고 액정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기존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광개시제의 활성을 위해 약 340nm의 단파장을 조사하게 되는데, 단파장의 특성상 미경화되는 음영부가 많아지게 된다. 이러한 음영부 미경화와 낮은 유리전이온도로 인해 고온 고습 환경에서 장시간 패널을 방치하면 얼룩 및 잔상발생이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광경화 및 열경화를 병용하는 실란트를 사용한 적하 공법으로 액정 표시장치의 양산화 토대가 마련되었으나, 실란의 액정에 대한 오염성이 크기 때문에 액정 오염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실란 커플링제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광경화 시에 에폭시 수지와 광경화성이 있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저장 안정성이 우수한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란트 조성물을 경화하여 제조되며, 경화 후에 액정 오염성이 적고 접착 강도가 우수한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은 부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알콕시 기 및 적어도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를 포함하는 실란 커플링제 0.01 내지 10 중량부, 및 잠재성 열경화제 2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부분 (메타)아크릴레이트 경화성 수지는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트리스 페놀 메탄형 에폭시 수지 및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경화성 수지의 점도가 30000 내지 200000 cps일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상기 실란트 조성물의 광경화 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기에 의하여 상기 경화성 수지와 결합할 수 있고, 3-[트리스(트리에틸실록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3-[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잠재성 열경화제는 120℃ 이상에서 열경화가 일어나도록 작용할 수 있고, 이미다졸형 열경화제, 디히드라지드형 열경화제 또는 아민형 열경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은 충진제 또는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벤조인계 화합물,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티옥산톤류, 안트라퀴논류, α-아실옥심에스테르류, 페닐글리옥시레이트류, 벤질류, 아조계 화합물, 티페닐술피드계 화합물, 아실포스핀옥시계 화합물, 유기 색소계 화합물 또는 철-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는 제1항의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을 경화하여 형성되고, 접착강도가 1.0 내지 2.0 N/cm2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소자용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속경화가 가능한 경화성 수지 및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액정에 대한 오염성이 낮고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경화 후의 접착 강도가 우수하여, 강도 유지, 접착성 및 칙소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은 액정에 대한 오염도가 낮고, 접착 강도 및 칙소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부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경화성 수지,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알콕시기 및 적어도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를 포함하는 실란 커플링제 및 잠재성 열경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부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경화성 수지로서는, 노블락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트리스 페놀 메탄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부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경화성 수지의 점도는 합성 전 수지의 점도로 상기 부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경화성 수지의 점도 조절이 가능하다. 합성 전 수지의 점도가 1000 내지 15000cps 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5000내지 10000cps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경화성 수지의 점도는 30000 내지 200000cps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분자 내에 하나 이상의 알콕시기와 하나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실란 화합물로서, 광경화시에 (메타)아크릴레이트기가 광경화에 참여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실란 커플링제로는 3-[트리스(트리에틸실록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3-[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사용량은 부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10 중량부의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6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던 알콕시 작용기만을 갖는 알콕시 실란 화합물인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감마-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감마-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트리메톡시(프로필)실란, 트리메톡시(2-페닐에틸)실란, 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 실란, 트리메톡시(옥타데실)실란 등과 상기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알콕시기 및 적어도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와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에 사용되는 열경화제로는 120℃미만 온도에서는 경화를 시작하지 않고 120℃이상 온도에서만 열경화가 일어나도록 작용하는 잠재성 열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잠재성 열경화제로는 이미다졸형 열경화제, 디히드라지드형 열경화제 또는 아민형 열경화제가 사용될 수 있지만 경화시간, 저장 안정성, 액정 오염성, 접착력 향상 측면에서 아민형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다졸형 경화제의 구체적인 예로 2-메틸이미다졸, 1,2-디메틸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메틸이미다졸, P-0505(시코쿠 코퍼레이션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디히드라지드형의 구체적인 예로 아미큐어 VDH, 아미큐어 UDH(아지노모토사제품), ADH, SDH, DDH, IDH(오츠카화학사제품), NDH(일본히드라진 공업사제품), MDH(Lancaster사제품)등을 들 수 있다. 아민형 경화제의 구체적인 예로 아미큐어 PN-23, 아미큐어 PN-H, 아미큐어 PN-31, 아미큐어 PN-40, 아미큐어 PN-23J, 아미큐어 PN-31J, 아미큐어 PN-40J, 아미큐어 MY-24, 아미큐어 MY-H, 아미큐어 MY-HK-1, 아미큐어 AH-203, 아미큐어 AH-300, 아미큐어 AH-154, 아미큐어 AH-163(아지노모토사제품)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잠재성 열경화제의 사용량은 부분(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 2 내지 3 중량부이다. 상기 잠재성 열경화제가 2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단분자인 열경화제가 액정의 오염원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잠재성 열경화제가 2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경화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은 충진제 및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제로는 실리카 또는 탈크 등의 무기 충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진제로서 입자 크기가 최대 크기가 5㎛이하 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최대 크기가 5㎛이상이 되면 상하판 글라스 접착 시 셀갭이 유지되지 않아 불량의 원인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의 평균입경을 갖고 및 입자 분포가 균일한 무기 충진제를 사용한다.
상기 무기 충진제의 종류는 크게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무기 충진제는 예를 들면 실리카, 규조토, 알루미나, 산화아연, 산화철, 산화마그네슘, 산화주석, 산화티탄,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알루미늄,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석고, 규산칼슘, 탈크, 유리 비드, 견운모, 활석백토, 벤토나이트,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티탄산 칼륨, 제올라이트, 칼시아, 마그네시아, 페라이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 무기 충진제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진제의 부분(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40 중량부이다. 40 중량부 이상을 사용하면 점도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고, 10 중량부 미만을 사용하면, 실란트의 칙소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한편, 상기 무기 충진제와 더불어 유기 충진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무기 충진제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유기 충진제로서는 메타크릴산 메틸, 폴리스티렌 및 이와 공중합이 가능한 모노머들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벤조인계 화합물,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티옥산톤류, 안트라퀴논류, α-아실옥심에스테르류, 페닐글리옥시레이트류, 벤질류, 아조계 화합물, 티페닐술피드계 화합물, 아실포스핀옥시계 화합물, 유기 색소계 화합물, 철-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벤조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벤질, 벤조일이소프로필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티오크산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는 상기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을 자외선에 의하여 광경화한 후, 잠재성 열경화제를 이용하여 열경화하여 형성된다. 두 단계의 경화 공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광경화만으로 경화를 진행하였을 경우와 달리, 광경화 후 미경화 상태의 실란트 사이에 접촉이 일어나 실란트의 성분이 액정으로 용출되어 액정을 오염시키게 되는 우려가 낮아지게 된다. 상기 경화된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는 접착강도가 1.0 내지 2.0 N/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청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1
열경화제 2g 포함하는 부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수지 75g,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A) 2g, 광중합 개시제 1g, 무기 충진제 20g을 배합한 후 1차 혼합과정 후 3-롤 밀로 충분히 밀링을 하고, 자전 공전 탈포기로 진공 탈포 처리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2
열경화제 2g을 포함하는 부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수지 75g,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B) 2g, 광중합 개시제 1g, 무기 충진제 20g을 배합한 후 1차 혼합과정 후 3-롤 밀로 충분히 밀링을 하고, 자전 공전 탈포기로 진공 탈포 처리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3
열경화제 2g을 포함하는 부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수지 75g,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C) 2g, 광중합 개시제 1g, 무기 충진제 20g을 배합한 후 1차 혼합과정 후 3-롤 밀로 충분히 밀링을 하고, 자전 공전 탈포기로 진공 탈포 처리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4
열경화제 2g을 포함하는 부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수지 75g, 3-[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D) 2g, 광중합 개시제 1g, 무기 충진제 20g을 배합한 후 1차 혼합과정 후 3-롤 밀로 충분히 밀링을 하고, 자전 공전 탈포기로 진공 탈포 처리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5
열경화제 2g을 포함하는 부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수지 75g, 광경화 실란 커플링제로서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E) 1g, 알콕시 실란 커플링제로서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F) 1g, 광중합 개시제 1g, 무기 충진제 20g을 배합한 후 1차 혼합과정 후 3-롤 밀로 충분히 밀링을 하고, 자전 공전 탈포기로 진공 탈포 처리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1
열경화제 2g을 포함하는 부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수지 75g, 트리메톡시(2-페닐에틸)실란(G) 2g, 광중합 개시제 1g, 무기 충진제 20g을 배합한 후 1차 혼합과정 후 3-롤 밀로 충분히 밀링을 하고, 자전 공전 탈포기로 진공 탈포 처리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2
열경화제 2g을 포함하는 부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수지 75g,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H) 2g, 광중합 개시제 1g, 무기 충진제 20g을 배합한 후 1차 혼합과정 후 3-롤 밀로 충분히 밀링을 하고, 자전 공전 탈포기로 진공 탈포 처리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평가
1. 저장 안정성 평가
경화 전의 실란트를 실온에서 2주간 보존 후 스핀들 점도계로 측정한 점도가 초기 점도의 변화율이 100%이내인 경우 ○, 100%이상인 경우 ×로 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경화성 수지 (g) 75 75 75 75 75 75 75
무기 충진제 (g) 20 20 20 20 20 20 20
광중합 개시제 (g) 1 1 1 1 1 1 1
열경화제 (g) 2 2 2 2 2 2 2
실란
커플링제
(g)
A 2
B 2
C 2
D 2
E/F 1/1
G 2
H 2
저장 안정성 평가 ×
2. 액정 반응성 평가
경화 전의 실란트를 1g을 앰플병에 넣은 후 액정 1g를 상기 앰플병에 넣고 1시간 방치 후 자외선 경화(2000mJ/㎠)를 하고 열경화 (120℃, 40분 및 60분)를 진행한 후 DSC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승온 속도 5℃/분으로 블랭크 액정의 TN -I값을 측정하고 상기 진행된 샘플을 TN -I값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TN -I값이 블랭크 액정 TN -I값에 가까울수록 액정에 대한 오염성이 적었다.
그 결과는 표 2에
○: 0.5℃ 이내 값 변화
×: 0.5℃ 이상 값 변화
로 표시하였다.
3. 접착강도의 측정
경화 전 실란트 조성물을 세정한 ITO 유리기판(삼성 코닝사 제조)을 이용하여 동일한 ITO 유리기판이 중첩되는 중앙부에 취하고 중첩시킨 후 두께를 균일하게 하여, 자외선 경화(2000mJ/㎠)를 하고 열경화(120℃, 40분 및 60분)를 진행한 후 접착 강도 측정용 시편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편을 인장강도계(Tinius Olsen)를 사용하여 접착 강도를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냈다.
구분 열경화 (120℃, 40분) 열경화 (120℃, 60분)
액정 반응성 접착 강도(N/cm2) 액정 반응성 접착 강도(N/cm2)
실시예1 1.3 1.2
실시예2 1.5 1.3
실시예3 1.2 0.9
실시예4 1.4 1.5
실시예5 1.2 1.1
비교예1 0.5 × 0.3
비교예2 × 0.7 × 0.6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Claims (10)

  1. 부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알콕시 기 및 적어도 하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를 포함하는 실란 커플링제 0.01 내지 10 중량부; 및
    잠재성 열경화제 2 내지 3 중량부
    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경화성 수지는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트리스 페놀 메탄형 에폭시 수지 및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메타)아크릴레이트 경화성 수지는 수지의 점도가 30000 내지 200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상기 실란트 조성물의 광경화 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기에 의하여 상기 경화성 수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3-[트리스(트리에틸실록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3-[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재성 열경화제는 120℃ 이상에서 열경화가 일어나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재성 열경화제는 이미다졸형 열경화제, 디히드라지드형 열경화제 및 아민형 열경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충진제 또는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벤조인계 화합물,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티옥산톤류, 안트라퀴논류, α-아실옥심에스테르류, 페닐글리옥시레이트류, 벤질류, 아조계 화합물, 티페닐술피드계 화합물, 아실포스핀옥시계 화합물, 유기 색소계 화합물 및 철-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10. 제1항의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을 경화하여 형성되고,
    접착강도가 1.0 내지 2.0 N/cm2인 액정 표시소자용 실란트.

KR1020110124563A 2011-11-25 2011-11-25 액정 오염성을 개선한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및 그를 경화하여 형성된 실란트 KR101860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563A KR101860356B1 (ko) 2011-11-25 2011-11-25 액정 오염성을 개선한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및 그를 경화하여 형성된 실란트
TW101143722A TW201326335A (zh) 2011-11-25 2012-11-22 改進液晶污染問題的顯示元件用密封劑合成物及固化其形成的密封劑
CN201210482621.9A CN103131375B (zh) 2011-11-25 2012-11-23 改进液晶污染问题的显示元件用密封剂合成物及固化其形成的密封剂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563A KR101860356B1 (ko) 2011-11-25 2011-11-25 액정 오염성을 개선한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및 그를 경화하여 형성된 실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517A KR20130058517A (ko) 2013-06-04
KR101860356B1 true KR101860356B1 (ko) 2018-05-24

Family

ID=4849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563A KR101860356B1 (ko) 2011-11-25 2011-11-25 액정 오염성을 개선한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및 그를 경화하여 형성된 실란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60356B1 (ko)
CN (1) CN103131375B (ko)
TW (1) TW20132633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7824B2 (ja) * 2011-09-27 2017-03-01 日本化薬株式会社 液晶シール剤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セル
JP5759638B1 (ja) * 2013-11-13 2015-08-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用シール剤、上下導通材料、及び、液晶表示素子
JP6076893B2 (ja) * 2013-12-27 2017-02-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486571B1 (ja) * 2017-06-06 2019-03-20 日本化薬株式会社 電子部品用接着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54607A (zh) * 2009-09-08 2010-02-24 烟台德邦科技有限公司 一种高纯度光热-双固化胶粘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70A (zh) * 1989-08-10 1991-02-20 深圳天马微电子公司 液晶封口紫外光固化粘结剂的制备方法
JP2006124531A (ja) * 2004-10-29 2006-05-18 Shin Etsu Chem Co Ltd 異方導電性接着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54607A (zh) * 2009-09-08 2010-02-24 烟台德邦科技有限公司 一种高纯度光热-双固化胶粘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517A (ko) 2013-06-04
TW201326335A (zh) 2013-07-01
CN103131375B (zh) 2015-09-30
CN103131375A (zh)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047B1 (ko) 액정 표시 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JP5651177B2 (ja) 液晶シール剤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セル
JP3921493B2 (ja) 液晶シール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セル
JPH06160872A (ja) 液晶表示パネル用シール材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パネル
JP2004061925A (ja) 液晶シール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セル
JP4977896B2 (ja) 液晶シール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セル
KR101283474B1 (ko) 액정 표시 소자용 흑색 실란트 조성물
JP2008015155A (ja) 液晶シール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セル
CN108700785B (zh) 显示元件密封剂、液晶密封剂及其固化物以及液晶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KR101134635B1 (ko) 액정 표시 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KR101860356B1 (ko) 액정 오염성을 개선한 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및 그를 경화하여 형성된 실란트
JP2008179796A (ja) (メタ)アクリロイル基およびグリシジル基を有する化合物、および当該化合物を含む重合性組成物
KR20070073294A (ko) 액정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씰제
JP4532883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液晶表示素子用シール剤、液晶表示素子用封口剤、液晶表示素子用上下導通材料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033827B1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그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평판 표시장치 및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TW201930536A (zh) 顯示器用封裝劑
KR20090032361A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액정표시장치
JP2008096710A (ja) 液晶シール剤、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パネル
JP2005308811A (ja) 液晶表示素子用熱硬化性樹脂組成物、液晶滴下工法用シール剤、上下導通材料及び液晶表示素子
KR101038926B1 (ko) 액정 표시 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액정 표시 소자
KR101429428B1 (ko) 경화 후 접착강도를 개선한 액정 표시 소자용 실란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72321A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액정표시장치
WO2014010731A1 (ja) 液晶シール剤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セル
KR20180094594A (ko) 액정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KR20180026813A (ko) 액정표시소자용 실란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