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347B1 - 마이켈슨 간섭계의 하우징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이켈슨 간섭계의 하우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347B1
KR101860347B1 KR1020160160626A KR20160160626A KR101860347B1 KR 101860347 B1 KR101860347 B1 KR 101860347B1 KR 1020160160626 A KR1020160160626 A KR 1020160160626A KR 20160160626 A KR20160160626 A KR 20160160626A KR 101860347 B1 KR101860347 B1 KR 101860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onal
housing
light
assembly
beam spl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민
이준오
이재환
배효욱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60160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347B1/ko
Priority to US15/657,385 priority patent/US1116277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49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mechanical design details
    • G01B9/02051Integrated design, e.g. on-chip or monolith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28Investigating the spectrum
    • G01J3/45Interferometric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02Mechanical elements; Supports f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05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optical manifolds, diffusers, windows
    • G01J3/0208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optical manifolds, diffusers, windows using focussing or collimating elements, e.g. lenses or mirrors; performing aberration corr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8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fluctuations caused by temperature, humidity or pressure, or using cooling or temperature stabilization of parts of the device; Controlling the atmosphere inside a spectrometer, e.g. vacu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91Housings; Spectrometer accessories; Spatial arrangement of elements, e.g. folded path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6Scanning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order-se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28Investigating the spectrum
    • G01J3/45Interferometric spectrometry
    • G01J3/453Interferometric spectrometry by correlation of the amplitudes
    • G01J3/4532Devices of compact or symmetric constr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28Investigating the spectrum
    • G01J3/45Interferometric spectrometry
    • G01J3/453Interferometric spectrometry by correlation of the amplitudes
    • G01J3/4535Devices with moving mirr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46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by wave or beam interference
    • G02B6/29349Michelson or Michelson/Gires-Tournois configuration, i.e. based on splitting and interferometrically combining relatively delayed signals at a single beamsplit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021/359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using FT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 Instruments For Measurement Of Length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켈슨 간섭계에 2분할 구조의 하우징을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광학 부품들에 대한 광학정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마이켈슨 간섭계의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 반사경이 장착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 면 및 상기 제2 면과 45도 각도를 이루며, 외부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광선분할 조립체가 장착되는 제1 대각면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 및 이동 반사경이 장착되는 제 3면, 상기 제 3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4 면 및 상기 제1 대각면에 대응되는 제2 대각면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은, 상기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이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를 통하여 상기 고정반사경 및 상기 이동 반사경에 각각 분할되어 입사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대각면이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켈슨 간섭계 하우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켈슨 간섭계의 하우징 시스템 {HOUSING SYSTEM FOR MICHELSON INTERFEROMETER}
본 발명은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이하 FTIR)에 적용되는 마이켈슨 간섭계의 하우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켈슨 간섭계에 2분할 구조의 하우징을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광학 부품들에 대한 광학정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마이켈슨 간섭계의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 분광기(InfraRed Spectrometer)의 형태는 기기의 구조에 따라 필터형(Filter), 분산형(Dispersive),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형 등 다양하다. 상기 분산형과 필터형은 검출기에 도달되는 빛이 약하다는 문제점을 가지므로,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적외선 분광기는 대부분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FTIR)이다.
상기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FTIR)는 통상 마이켈슨 간섭계가 사용된다.
마이켈슨 간섭계는 물리학에서 빛의 간섭 무늬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로서, 빛살이 빔 가르개를 지나면서 두 갈래로 갈라졌다가 다시 합쳐지면서 간섭무늬가 생기게 되는데, 빛살이 갈라지면서 지나는 두 경로의 거리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빛의 위상차나, 서로 다른 물질을 지나면서 생기는 굴절률의 차이에 의하여 생긴다. 이를 검출기로 측정함으로써 간섭신호를 획득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빛살이 광원을 출발하여 빔 가르개를 지난 후 검출기에 도달하기까지 두 갈래의 경로를 따르는데, 이 두 경로의 거리가 파장의 정수배만큼 차이난다면 보강간섭이 일어나게 되어 강한 간섭신호가 검출되고, 파장의 반정수배만큼 차이난다면 상쇄간섭이 일어나게 되어 약한 간섭신호가 검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마이켈슨 간섭계는 광선분할 조립체, 고정반사경 조립체, 이동반사경 조립체 및 렌즈 조립체 등 다수의 광학부품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구성들은 미리 계산된 정확한 지점에 위치하여야 한다. 즉, 상기 마이켈슨 간섭계는 상기 광학 부품들의 조립 및 정렬에 매우 민감한 광학 장치인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마이켈슨 간섭계에 적용되던 하우징 구조는 사각형(육면체)의 일체형 구조로서, 마이켈슨 간섭계를 구성하는 광학 부품들인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 고정반사경 조립체, 이동반사경 조립체 및 렌즈 조립체 등을 위치시킬 때 별도의 지지대가 필요했으며, 간섭계에 대한 광학 정렬시 고려해야 하는 정렬요소들이 많아 광학 부품들의 조립 및 정렬에 시간과 비용이 상당히 소요된다는 단점을 가졌다.
특히, 일반적인 마이켈슨 간섭계를 소형화함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이켈슨 간섭계의 하우징 구조는 광학 부품들의 광학 정렬이 더욱 복잡해지는 한계를 가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광학 부품들에 대한 광학정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마이켈슨 간섭계의 2 분할 구조의 하우징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마이켈슨 간섭계의 2 분할 구조의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정 반사경이 장착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 면 및 상기 제2 면과 45도 각도를 이루며, 외부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광선분할 조립체가 장착되는 제1 대각면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 및 이동 반사경이 장착되는 제 3면, 상기 제 3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4 면 및 상기 제1 대각면에 대응되는 제2 대각면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은, 상기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이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를 통하여 상기 고정반사경 및 상기 이동 반사경에 각각 분할되어 입사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대각면이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켈슨 간섭계 하우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면에는, 상기 이동 반사경 및 상기 고정 반사경에 각각 입사된 빛을 집광시키는 렌즈 조립체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은 각각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내부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로부터 나오는 빛의 일부는 상기 이동 반사경에 입사되고, 나머지는 상기 고정 반사경에 입사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대각면은 제1 및 제2 개구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은, 외부로부터 빛이 들어오도록 일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 반사경과 마주보게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는, 상기 들어오는 빛과 이루는 각이 45도가 되도록 상기 제1 대각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대각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와 중첩되게 상기 제1 대각면에 장착되는 고정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고정고리가 안착되도록 상기 고정고리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대각면에 홈을 내어 리세스되는 안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고리는, 원판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판의 일 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나사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나사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고리가 상기 제1 대각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및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분할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에 복수의 광학 부품들을 장착시킴으로써, 마이켈슨 간섭계에 적용되는 다수의 광학 부품들에 대한 광학 정렬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광선분할 조립체를 장착시킴으로써, 마이켈슨 간섭계 시스템의 내진동 또는 내충격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별도로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할 필요 없이 외부로부터 빛을 받을 수 있는바,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빛의 입사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마이켈슨 간섭계 하우징 시스템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1에서의 상기 제1하우징 구조의 상세도이며, 도 2b는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복수의 광학 부품들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화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1에서의 제2하우징 구조의 상세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켈슨 간섭계 하우징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마이켈슨 간섭계에 적용되던 하우징 구조는 사각형(육면체)의 일체형 구조로 마이켈슨 간섭계를 구성하는 광학 부품들인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 고정반사경 조립체, 이동반사경 조립체 및 렌즈 조립체 등 다수의 광학 부품들을 위치시킬 때 별도의 지지대가 필요함은 물론, 간섭계에 대한 광학 정렬시 고려해야 할 정렬요소들이 많아 조립 및 정렬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로 하게 되는 단점을 가졌다.
본 발명에서는,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이 대각선 방향으로 2 분할된 제1 및 제2 하우징(200, 3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200, 300)에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광학 부품들이 각각 장착되도록 이루어지는 마이켈슨 간섭계 하우징 시스템(100)을 제안한다.
도 1은 육면체 형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분할된 제1 하우징(200)에 고정 반사경(210) 및 광선분할 조립체(220)가 장착되고, 제2 하우징(300)에 이동 반사경(310) 및 렌즈 조립체(320)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진 마이켈슨 간섭계의 하우징 시스템(100)을 도시화한 것이다.
상기 마이켈슨 간섭계 하우징 시스템(100)은 제1 하우징(200) 및 제2 하우징(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켈슨 간섭계 하우징 시스템(100)은 제1 및 제2 하우징(200, 300)이 서로 결합된 상태(이하, 제1 상태)와 서로 이격되어 분리된 상태(이하, 제2 상태)를 각각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200, 300)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제1 상태를 도시화한 것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200, 300)은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200, 300)은 복수의 광학부품들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티타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200)은 고정 반사경(210)이 장착되는 제1 면(201), 상기 제1 면(201)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 면(202) 및 외부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광선분할 조립체(220)가 장착되는 제1 대각면(203)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1 하우징(200)은 삼각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은 적외선 영역에 해당하며, 여기서 외부라 함은 상기 하우징 시스템(100)의 외측에 해당되는 모든 배경을 의미한다. 즉, 상기 외부는 상기 하우징 시스템(100)이 배치되는 곳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 면(201)과 상기 제2 면(202)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대각면(203)은 상기 제1 및 제2 면(201, 202)에 각각 45도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외부로부터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로 빛이 입사되는 경우, 상기 빛이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를 통하여 상기 빛의 50%는 상기 고정 반사경(210)에, 나머지 50%는 후술되는 이동 반사경(310)으로 분할되어 입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200)의 제2 면(202)에는 빛이 외부로부터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로 입사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후술되는 이동 반사경(310)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관통홀(202a)을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202a)은 외부로부터 빛을 받을 수 있다면 그 크기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통홀(202a)은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면(202)의 중앙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02a)이 상기 제2 면(202)의 중앙영역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는 상기 제1 대각면(203)의 중앙영역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마이켈슨 간섭계 하우징(100)이 별도의 광학부품을 배치하지 않고도, 외부로부터 상기 관통홀(202a)를 통하여 상기 제1 하우징(200)에 들어오는 빛이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로 입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 하우징(300)은 이동 반사경(310)이 장착되는 제3 면(301), 상기 제3 면(301)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4 면(302) 및 상기 제1 대각면(203)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2 대각면(303)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2 하우징(300)은 삼각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대각면(303)은 상기 제1 대각면(203)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인바, 상기 제1 대각면(203)과 동일하게, 상기 제3 및 제4 면(301, 302)에 각각 45도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4면(302)에는 상기 이동 반사경(310) 및 상기 고정 반사경(210)에 각각 입사된 빛이 외부로 나가도록 상기 빛을 집광시키는 렌즈 조립체(3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200, 300)은, 상기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이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를 통하여, 상기 고정 반사경(210) 및 상기 이동 반사경(310)에 각각 분할되어 입사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대각면(203, 303)이 서로 마주보게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마이켈슨 간섭계 하우징(100)은 상기 제1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1를 참조하면서, 상기 마이켈슨 간섭계 하우징 시스템(100)에 적외선 영역에 해당하는 빛이 들어오는 경우에 상기 빛의 이동 경로를 상기 구성요소들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적외선 영역에 해당하는 빛은 상기 관통홀(202a)을 통하여 상기 제1 하우징(200)에 들어오게 되고, 상기 관통홀(202a)의 배치에 대응되게 상기 제1 하우징(200)에 장착된 광선분할 조립체(220)에 입사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빛의 일부는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를 투과하게 되고, 나머지는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로부터 반사하게 된다. 상기 투과된 빛은 상기 이동 반사경(310)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고, 상기 반사된 빛은 상기 고정 반사경(210)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며, 각각 이동 반사경(310) 및 고정 반사경(210)에 입사하게 된다. 이상적인 경우, 상기 이동 반사경(310) 및 고정 반사경(210)에 각각 입사된 빛은 상기 관통홀(202a)을 통과하여 들어온 빛이 정확히 반으로 분할된 것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 반사경(310)에 입사된 빛은 상기 이동 반사경(310)의 이동에 의하여 미세한 경로차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이동 반사경(310)에 입사된 상태와 다른 상태로 상기 이동 반사경(310)으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로 입사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고정 반사경(210)은 상기 제1 하우징(200)에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는 바, 상기 고정 반사경(210)에 입사된 빛은 어떠한 경로차도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고정 반사경(210)에 입사된 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상기 고정 반사경(210)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로 입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로 다시 입사하게 되는 빛은 상기 렌즈 조립체(320)를 향하고, 상기 렌즈 조립체(320)에 의하여 집광되게 된다. 상기 렌즈 조립체(320)에 의하여 집광된 빛은 검출기(미도시)로 입사되고, 상기 검출기로부터 상기 빛을 방출하는 물질의 고유 성질을 알아낼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200, 300)은 서로 결합되어야 한다. 상기 결합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는 상기 제1 및 제2 대각면(203, 303)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서로 면접촉되는 경우, 복수의 나사(130)가 상기 제1 및 제2 대각면(203, 303)을 각각 관통됨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200, 300)은 서로 결합된다.
상기 나사(130)가 상기 제1 및 제2 대각면(203, 303)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대각면(203, 303)은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200, 300)이 서로 분리되는 제2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200, 300)의 결합 및 분리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광학 부품들의 유지 및 보수에도 편리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1에서의 상기 제1하우징 구조의 상세도이며, 도 2b는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복수의 광학 부품들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화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1에서의 제2하우징 구조의 상세도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은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200, 300)이 서로 분리된 제2 상태를 도시화 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200, 300)은 각각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200, 300)의 내부공간은 상기 빛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마이켈슨 간섭계에 필요한 광학부품 또는 전자 부품들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마이켈슨 간섭계 시스템은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를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구조를 갖추어야 했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마이켈슨 간섭계 시스템은 광학부품들의 광학 정렬에도 어려움이 있었으며, 마이켈슨 간섭계에 진동 내지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의 위치가 틀어지게 되는 등 진동 내지 충격에 민감하였던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200) 자체에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가 장착되어 고정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인바, 광학부품들의 광학 정렬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외부의 진동 내지 충격에도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만의 위치가 틀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 내지 진동에 대한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200)의 고정 반사경(210)과, 상기 제2 하우징(300)의 렌즈 조립체(320)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이동 반사경(310)은 상기 고정 반사경(210)과 상기 렌즈 조립체(320) 사이에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 대각면(203, 303)을 통해 분할 및 결합되는 상기 제1 하우징(200)과 제2 하우징(300)을 포함하는 마이켈슨 간섭계 하우징 시스템(100)의 구조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 제1 하우징(200)에는 광학 부품들 중 상기 고정반사경 및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를 장착시키고, 상기 제2 하우징(300)에는 상기 이동반사경 및 상기 렌즈 조립체(320)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200)과 제2 하우징(300)을 결합만으로 마이켈슨 간섭계에 적용되는 다수의 광학 부품들에 대한 정렬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각각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대각면(110, 120)은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300)의 내부공간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개구를 통하여, 상기 빛의 일부는 상기 이동 반사경(310)에 입사되고, 나머지는 상기 고정 반사경(210)에 입사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는 상기 제1 개구를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개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거나, 상기 제1 개구의 일 영역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1 개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는 상기 제1 및 제2 개구의 적어도 일 영역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1 대각면(203)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는 상기 제1 개구를 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하우징(200)은 상기 제1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도록 상기 제1 대각면(203)에 장착되고,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를 고정지지 하도록 형성되는 고정고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고리(110)는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의 외곽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1 대각면(203)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고리(110)는 상기 제1 대각면(203)을 사이에 두고 상기 광선분할 조립(220)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고리(110)는 원판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판의 일 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나사홀(11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나사홀(111a)은 상기 원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고리(110)는 상기 제1 개구에 대응되어 일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이는 도넛 모양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200)은 상기 복수의 나사홀(111a)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고리(110)가 상기 제1 대각면(203)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나사(11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고정나사(111b)가 상기 복수의 나사홀(111a) 및 상기 제1 대각면(203)을 각각 관통하여 삽입 고정됨에 의하여, 상기 고정고리(110)는 상기 제1 대각면(203)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고정고리(110)는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220)를 일 측에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3을 각각 참조하면, 상기 제2 하우징(300)은 상기 고정고리(110)가 안착되도록 상기 고정고리(1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안착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20)은 상기 제2 대각면(303)에 홈을 내어 리세스될 수 있다. 상기 고정고리(110)가 상기 안착홈(120)에 안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대각면(203, 303)으로부터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앞서 살펴봤듯이, 상기 마이켈슨 간섭계 하우징 시스템(100)은 상기 제1 및 제2 대각면(203, 303)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서로 상기 제1 및 제2 대각면(203, 303)이 서로 면접촉되는 경우, 복수의 나사(130)가 상기 제1 및 제2 대각면(203, 303)을 각각 관통됨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200, 300)은 서로 결합된다.
상기 복수의 나사(130)는 상기 제2 대각면(303) 중 상기 안착홈(120)이 형성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나사(130)는 상기 제2 대각면(303)의 나머지 영역을 관통하며, 상기 제1 대각면(203)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나사(130)가 상기 제1 및 제2 대각면(203, 303)을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200, 300)이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제1 상태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면(301)에 상기 이동 반사경(310)이 장착되는데 있어서, 상기 이동 반사경(310)은 상기 제2 하우징(300)의 외측을 향하여 상기 제3 면(301)으로부터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4 면(302)에 상기 렌즈 조립체(320)가 장착되는데 있어서, 상기 렌즈 조립체(320)는 상기 제2 하우징(300)의 외측을 향하여 상기 제4 면(302)으로부터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200, 300)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상기 이동 반사경(310) 및 상기 렌즈 조립체(320)가 상기 제3 면(301) 및 제4 면(302)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장착되지 않는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이동 경로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고정 반사경이 장착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 면 및 상기 제1 및 제2 면과 각각 45도 각도를 이루며, 외부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광선분할 조립체가 장착되는 제1 대각면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 및
    이동 반사경이 장착되는 제3 면, 상기 제3 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4 면 및 상기 제1 대각면에 대응되며, 상기 제3 및 제4 면과 각각 45도 각도를 이루는는 제2 대각면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면, 제2 면 및 제1 대각면을 측면으로 하는 삼각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3 면, 제4 면 및 제2 대각면을 측면으로 하는 삼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은,
    상기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이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를 통하여 상기 고정 반사경 및 상기 이동 반사경에 각각 분할되어 입사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대각면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복수의 나사가 상기 제1 및 제2 대각면을 관통됨에 의하여 결합되어 광학정렬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켈슨 간섭계 하우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은,
    외부로부터 빛이 들어오도록 일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 반사경과 마주보게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는 상기 들어오는 빛과 이루는 각이 45도가 되도록 상기 제1 대각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켈슨 간섭계 하우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면에는,
    상기 이동 반사경 및 상기 고정 반사경에 각각 입사된 빛을 집광시키는 렌즈 조립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켈슨 간섭계 하우징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은 각각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대각면은,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내부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로부터 나오는 빛의 일부는 상기 이동 반사경에 입사되고, 나머지는 상기 고정 반사경에 입사되도록, 제1 및 제2 개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켈슨 간섭계 하우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대각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광선분할 조립체와 중첩되게 상기 제1 대각면에 장착되는 고정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고정고리가 안착되도록 상기 고정고리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대각면에 홈을 내어 리세스되는 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켈슨 간섭계 하우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고리는,
    원판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판의 일 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나사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나사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고리가 상기 제1 대각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켈슨 간섭계 하우징 시스템.
KR1020160160626A 2016-11-29 2016-11-29 마이켈슨 간섭계의 하우징 시스템 KR101860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626A KR101860347B1 (ko) 2016-11-29 2016-11-29 마이켈슨 간섭계의 하우징 시스템
US15/657,385 US11162775B2 (en) 2016-11-29 2017-07-24 Housing system for Michelson interferom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626A KR101860347B1 (ko) 2016-11-29 2016-11-29 마이켈슨 간섭계의 하우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347B1 true KR101860347B1 (ko) 2018-05-23

Family

ID=6219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626A KR101860347B1 (ko) 2016-11-29 2016-11-29 마이켈슨 간섭계의 하우징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162775B2 (ko)
KR (1) KR1018603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260A (ko) * 2017-10-31 2019-05-09 국방과학연구소 이동반사경 고정구조를 갖는 마이켈슨 간섭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9934B (zh) * 2019-06-24 2022-02-01 北京雪迪龙科技股份有限公司 干涉调制器及红外光谱仪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0231A1 (en) * 2007-01-12 2008-07-17 Sas Photonics, Llc Interferometer maintaining optical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JP2014134534A (ja) 2012-12-21 2014-07-24 Agilent Technologies Inc 複数の走査台を有する干渉計およびそれを含むフーリエ変換赤外分光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76583D1 (en) * 1983-12-22 1989-03-09 Deutsche Forsch Luft Raumfahrt Interferometer
EP0369054B1 (de) 1988-11-17 1993-09-01 Erwin Kayser-Threde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Reflektorsystem für Michelson-Interferometer
EP0433008B1 (en) * 1989-12-11 1995-02-22 Konica Corporation Laser interferometric measuring apparatus
US6765679B2 (en) * 2001-05-30 2004-07-20 Jds Uniphase Corporation Multi-cavity interferometer with dispersion compensating resonators
JP5302020B2 (ja) * 2009-01-26 2013-10-02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光モジュール
US8358466B2 (en) * 2009-09-14 2013-01-22 Oclaro (North America), Inc. Optical delay line interferometers with silicon dual mirror for DPSK
US8294980B2 (en) * 2010-08-20 2012-10-23 Oclaro Technology Limited Delay line interferometer with liquid crystal tuning element
KR101182807B1 (ko) 2011-02-24 2012-09-13 주식회사 나노시스템 간섭계에서의 광경로 조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경로 조정 방법
US9798051B2 (en) * 2011-02-28 2017-10-24 Plx, Inc. Mount for an optical structure having a grooved protruding member and method of mounting an optical structure using such mount
US20150008303A1 (en) * 2013-02-21 2015-01-08 Plx, Inc. Mounts for an optical structure having a grooved protruding member with a damping ring disposed in or on the groove and methods of mounting an optical structure using such mounts
WO2015095724A2 (en) * 2013-12-20 2015-06-25 Oakland University Digital shearography ndt system for speckless objects
JP6271493B2 (ja) * 2015-05-25 2018-01-31 Ckd株式会社 三次元計測装置
JP6279013B2 (ja) * 2016-05-26 2018-02-14 Ckd株式会社 三次元計測装置
JP6246875B1 (ja) * 2016-08-24 2017-12-13 Ckd株式会社 計測装置
WO2018100508A1 (en) * 2016-11-29 2018-06-07 Ramot At Tel-Aviv University Ltd. 3d modular optics for 3d optical alignments
JP7028623B2 (ja) * 2017-12-07 2022-03-02 Ckd株式会社 三次元計測装置
US10976151B2 (en) * 2018-12-26 2021-04-1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Optical interferometer with reference arm longer than sample ar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0231A1 (en) * 2007-01-12 2008-07-17 Sas Photonics, Llc Interferometer maintaining optical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JP2014134534A (ja) 2012-12-21 2014-07-24 Agilent Technologies Inc 複数の走査台を有する干渉計およびそれを含むフーリエ変換赤外分光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260A (ko) * 2017-10-31 2019-05-09 국방과학연구소 이동반사경 고정구조를 갖는 마이켈슨 간섭계
KR102082769B1 (ko) * 2017-10-31 2020-02-28 국방과학연구소 이동반사경 고정구조를 갖는 마이켈슨 간섭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62775B2 (en) 2021-11-02
US20180149465A1 (en)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7487B1 (en) Two-beam interferometer for fourier transform spectroscopy with double pivot scanning mechanism
JP3696789B2 (ja) ビームスプリッタアセンブリを備えた一体式光学アセンブリ、干渉計アセンブリ及び再帰反射アセンブリ
KR101860347B1 (ko) 마이켈슨 간섭계의 하우징 시스템
JP2013504066A5 (ko)
JP6380662B2 (ja) フーリエ変換型分光光度計
CA2996453A1 (en) Spectrograph
KR20140022715A (ko) 분광측정장치
US10520361B2 (en) Spectral analysis system for capturing a spectrum
JP2000186959A (ja) 共心球分光計
JP2007178523A (ja) 波長選択スイッチ
JP2001183233A (ja) 分光器および分光方法
JP6725068B2 (ja) ビームスプリッタ組立品
KR20190048260A (ko) 이동반사경 고정구조를 갖는 마이켈슨 간섭계
KR101236350B1 (ko)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 간섭계용 광선분할기 조립체
US7839504B1 (en) Multiple order common path spectrometer
US20110194117A1 (en) Mirror-tilt-insensitive fourier transform spectrometer
KR101158738B1 (ko) 무게균형을 개선한 고속 스캔 회전형 간섭계용 회전판 조립체
KR101806897B1 (ko) 마이켈슨 간섭계의 이동반사경 틸트 보상시스템
EP1597549B1 (en) Infrared modulator for spectrometer
TW201821850A (zh) 光學量測裝置及其光學部件的安裝方法
JP3275287B2 (ja) 干渉計
JP2023143718A (ja) 分光器、および分析システム
CN115615543A (zh) 光谱仪及其组装方法
JPH085329A (ja) 格子干渉型変位検出装置
JP2023117889A (ja) 分光器および分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