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871B1 - 코일용 온도보상장치 - Google Patents

코일용 온도보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871B1
KR101857871B1 KR1020160117065A KR20160117065A KR101857871B1 KR 101857871 B1 KR101857871 B1 KR 101857871B1 KR 1020160117065 A KR1020160117065 A KR 1020160117065A KR 20160117065 A KR20160117065 A KR 20160117065A KR 101857871 B1 KR101857871 B1 KR 101857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coil
reflection
heat
ref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341A (ko
Inventor
유용현
김황석
유광현
이상호
황진동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7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87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2Coils, bobbins,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용 온도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코일을 목적지로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부와, 벨트 컨베이어부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장착되어 코일이 안착되는 받침부와, 받침부에 장착되고 코일에서 배출되는 열을 반사하여 반사부를 포함하여, 코일의 국부적인 냉각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용 온도보상장치{TEMPERATURE COMPENSATION DEVICE FOR COIL}
본 발명은 코일용 온도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되는 코일의 공냉 과정에서 온도편차를 억제하는 코일용 온도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운코일러(down coiler)에서 권취된 코일(coil)은 스트리퍼카(striper car)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로 이동된다. 벨트 컨베이어로 이동된 코일은 목적지까지 이동되면서 공기와 접촉되어 냉각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74163호(2006.07.03. 공개, 발명의 명칭 :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되는 코일의 국부적인 과냉각을 방지함으로써, 코일의 재질 편차를 억제하는 코일용 온도보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용 온도보상장치는: 코일을 목적지로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부; 상기 벨트 컨베이어부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장착되어 상기 코일이 안착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장착되고, 상기 코일에서 배출되는 열을 반사하여 상기 코일의 냉각을 억제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고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반사부; 상기 제1반사부에 결합되고, 상기 코일의 측면에서 배출되는 열을 반사하는 제2반사부; 및 상기 제2반사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반사부의 일측 상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배치되어 열을 반사하는 제3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반사부는 양면에서 열을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2반사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반사부의 타측 상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배치되어 열을 반사하는 제4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2반사부 내지 상기 제4반사부의 각도를 전동방식으로 조절하는 반사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2반사부 내지 상기 제4반사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반사센서부; 및 상기 반사센서부의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반사작동부를 제어하는 반사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용 온도보상장치는 반사부가 열을 반사하여 코일의 국부적인 냉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용 온도보상장치는 제2반사부가 2개의 코일 사이에 배치되어 양측으로 열을 반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용 온도보상장치는 반사제어부가 제2반사부 내지 제4반사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반사센서부의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제2반사부 내지 제4반사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반사작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용 온도보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용 온도보상장치에서 반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용 온도보상장치가 수동으로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용 온도보상장치가 전동식으로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용 온도보상장치가 반사부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일용 온도보상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용 온도보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용 온도보상장치(1)는 벨트 컨베이어부(10)와, 받침부(20)와, 반사부(30)를 포함한다.
벨트 컨베이어부(10)는 코일(100)을 목적지로 이송한다. 일 예로, 벨트 컨베이어부(10)는 양단부에 롤러(11)가 배치되고, 롤러(11)에 감긴 벨트(12)가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면서 벨트(12)에 안착된 코일(100)을 목적지로 이동시킨다.
받침부(20)는 벨트 컨베이어(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장착되어 코일(100)이 안착된다. 일 예로, 받침부(20)는 대칭되는 경사를 갖는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원형의 코일(100)이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20)는 벨트(1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각의 받침부(20)에 코일(100)이 안착될 수 있다.
반사부(30)는 받침부(20)에 장착되고, 코일(100)에서 배출되는 열을 반사하여 코일(100)의 국부적인 과냉을 억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용 온도보상장치에서 반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30)는 제1반사부(31)와, 제2반사부(32)와, 제3반사부(33)를 포함한다.
제1반사부(31)는 받침부(20)에 결합되고 경사지게 배치된다. 일 예로, 제1반사부(31)는 한 쌍의 받침부(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향 경사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반사부(31)는 제2반사부(32)와 제3반사부(33)를 지지하도록 강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외, 제1반사부(31)에는 코일(100)의 하부에서 배출되는 열을 반사하기 위해 반사판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반사부(32)는 제1반사부(31)에 결합되고, 코일(100)의 측면에서 배출되는 열을 반사한다. 일 예로, 제2반사부(32)는 제1반사부(31)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3반사부(33)는 제2반사부(32)에 결합되고, 제2반사부(32)의 일측 상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배치되어 코일(100)의 상부에서 배출되는 열을 반사한다. 일 예로, 제3반사부(33)는 제2반사부(32)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제2반사부(32)는 양측면에 반사판이 형성되어 코일(100)의 측면에서 배출되는 열을 반사한다. 즉, 제2반사부(32)는 어느 하나의 코일(100)과 인접한 코일(100) 사이에 배치되어, 양방향으로 열을 반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30)는 제4반사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반사부(34)는 제2반사부(32)에 결합되고, 제2반사부(32)의 타측 상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배치되어 열을 반사한다. 일 예로, 제4반사부(34)는 제2반사부(32)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용 온도보상장치가 수동으로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30)는 수동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반사부(31)의 상단부에는 한 쌍의 결합돌기부(41)가 형성되고, 제2반사부(32)의 하단부에는 결합돌기부(41) 사이로 삽입되는 결합삽입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볼트부(43)가 결합돌기부(41)와 결합삽입부(42)를 관통하여 결합너트부(44)와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방식은 결합볼트부(43)와 결합너트부(44)의 조임력에 따라 제2반사부(32)를 원하는 각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방식은 제3반사부(33) 또는 제4반사부(34)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용 온도보상장치가 전동식으로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30)는 반사작동부(35)에 의해 전동식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반사작동부(35)는 전동돌기부(51)와, 전동삽입부(52)와, 전동축부(53)와, 전동모터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반사부(31)의 상단부에는 한 쌍의 전동돌기부(51)가 형성되고, 제2반사부(32)의 하단부에는 전동돌기부(51) 사이로 삽입되는 전동삽입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동삽입부(52)에는 전동돌출부(51)를 관통하는 전동축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전동축부(53)는 전동삽입부(52)를 관통하되, 외측이 각진 형상을 하여 전동삽입부(52)와 맞물리며, 전동축부(53)의 회전시 전동삽입부(52)가 연동될 수 있다. 전동돌기부(51)에 장착되는 전동모터부(54)는 전동축부(53)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전동모터부(54)에는 전동축부(53)가 삽입되어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전동모터부(54)가 구동되어 전동축부(53)가 회전됨에 따라 제2반사부(32)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방식은 제3반사부(33) 또는 제4반사부(34)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용 온도보상장치가 반사부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와,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30)는 반사센서부(36)와 반사제어부(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센서부(36)는 제2반사부(32) 내지 제4반사부(34)의 온도를 측정한다. 일 예로, 반사센서부(36)는 제2반사부(32) 내지 제4반사부(34)에 각각 장착되어 코일(100)에서 방출되는 열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2반사부(32)의 양측에 반사센서부(36)가 배치될 수 있다.
반사제어부(37)는 반사센서부(36)의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반사작동부(35)를 제어한다. 일 예로, 반사제어부(37)는 각각의 반사센서부(36)에서 측정한 측정신호를 수신하고, 이들의 측정값이 균일하도록 전동모터부(5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용 온도보상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운코일러(down coiler)에서 권취된 코일(100)은 스트리퍼카(striper car)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10)에 장착된 받침부(20)에 각각 안착되어 이동된다. 이러한 코일(100)은 벨트 컨베이어(10)에 의해 목적지로 이동되면서 공기와 접촉되어 냉각된다.
받침부(20)에는 반사부(30)가 장착되고, 반사부(30)는 코일(100)에서 방출되는 열을 반사시킨다. 이러한 반사부(30)는 코일(100)을 일부 감싸는 형상을 하고 코일(100)에 대한 보온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코일(100)의 부분 과냉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반사부(32) 내지 제4반사부(34)에는 각각 반사센서부(36)가 장착되어 코일(100)에서 방출되는 열을 측정한다. 그리고, 반사제어부(37)는 각각의 반사센서부(36)에서 측정한 온도값이 균일하도록 반사작동부(35)를 제어하여 제2반사부(32) 내지 제4반사부(34)의 각도를 조절한다. 그 외, 반사제어부(37)는 설정된 온도값이 측정되도록 반사작동부(35)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용 온도보상장치(1)는 반사부(30)가 열을 반사하여 코일(100)의 국부적인 냉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용 온도보상장치(1)는 제2반사부(32)가 2개의 코일(100) 사이에 배치되어 양측으로 열을 반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용 온도보상장치(1)는 반사제어부(37)가 제2반사부(32) 내지 제4반사부(34)의 온도를 측정하는 반사센서부(36)의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제2반사부(32) 내지 제4반사부(34)의 각도를 조절하는 반사작동부(35)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벨트 컨베이어부 20 : 받침부
30 : 반사부 31 : 제1반사부
32 : 제2반사부 33 : 제3반사부
34 : 제4반사부 35 : 반사작동부
36 : 반사센서부 37 : 반사제어부

Claims (6)

  1. 코일을 목적지로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부;
    상기 벨트 컨베이어부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장착되어 상기 코일이 안착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장착되고, 상기 코일에서 배출되는 열을 반사하여 상기 코일의 냉각을 억제하는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고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반사부;
    상기 제1반사부에 결합되고, 상기 코일의 측면에서 배출되는 열을 반사하는 제2반사부; 및
    상기 제2반사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반사부의 일측 상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배치되어 열을 반사하는 제3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온도보상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사부는 양면에서 열을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온도보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2반사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반사부의 타측 상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배치되어 열을 반사하는 제4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온도보상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2반사부 내지 상기 제4반사부의 각도를 전동방식으로 조절하는 반사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온도보상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2반사부 내지 상기 제4반사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반사센서부; 및
    상기 반사센서부의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반사작동부를 제어하는 반사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온도보상장치.
KR1020160117065A 2016-09-12 2016-09-12 코일용 온도보상장치 KR101857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065A KR101857871B1 (ko) 2016-09-12 2016-09-12 코일용 온도보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065A KR101857871B1 (ko) 2016-09-12 2016-09-12 코일용 온도보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341A KR20180029341A (ko) 2018-03-21
KR101857871B1 true KR101857871B1 (ko) 2018-05-14

Family

ID=6190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065A KR101857871B1 (ko) 2016-09-12 2016-09-12 코일용 온도보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2929A (zh) * 2019-02-18 2019-05-21 姚潘涛 一种冷轧带钢开卷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7765B2 (ja) * 1989-12-29 2000-09-11 ステル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ダウンコイラーおよび類似のもので使用される薄物材料の取り扱いシステム
KR101036318B1 (ko) * 2008-12-24 2011-05-23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코일 형상복원 방법
KR101090870B1 (ko) 2004-12-24 2011-12-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열간압연선재의 균일냉각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7765B2 (ja) * 1989-12-29 2000-09-11 ステル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ダウンコイラーおよび類似のもので使用される薄物材料の取り扱いシステム
KR101090870B1 (ko) 2004-12-24 2011-12-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열간압연선재의 균일냉각방법
KR101036318B1 (ko) * 2008-12-24 2011-05-23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코일 형상복원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341A (ko)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27206B (zh) 物品输送设备
KR101857871B1 (ko) 코일용 온도보상장치
US20160177501A1 (en) Method for welding a curved seam
JP2007529344A (ja) 切断装置
JP5962450B2 (ja) 包装装置
KR960038680A (ko) 복수의 기기 사이에서 취급매체를 수수하는(주고받는)장치, 이를 구비한 현금처리시스템 및 거래매체의 수수방법
KR101220913B1 (ko) 사행방지장치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
US10834788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KR101590370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
WO2016097984A1 (en) Bending machine for bending tubes, profiled sections, sheets and the like, with a measuring system for measuring the reaction force applied by the workpiece on the bending roller(s) of the machine
EP1136364A2 (en) Film treatment device and wrapping apparatus
JP5416736B2 (ja) ドライアイスの切断装置
JP2021501879A (ja) 輸送手段のためのタイヤコンベヤ
KR101311132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코일 정렬장치
KR101424460B1 (ko) 코일 전도 방지용 스키드장치
CN106163782B (zh) 轮胎结构构件的供给装置及轮胎结构构件的供给方法
JP2005143499A (ja) 可変容量型貯蔵装置
CN111573195A (zh) 能自动修正输送带偏移的输送设备
KR101965394B1 (ko)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장치
JP3230528U (ja) バンド掛け装置
KR101553449B1 (ko) 압연재 커팅장치
KR101581544B1 (ko) 슈트용 댐퍼장치
JP7377516B2 (ja) 搬送装置
JP2018159670A (ja) 摩耗量測定装置及び摩耗量測定システム
JP5297499B2 (ja) 熱シール装置及び被シール体の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