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713B1 -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713B1
KR101857713B1 KR1020170041341A KR20170041341A KR101857713B1 KR 101857713 B1 KR101857713 B1 KR 101857713B1 KR 1020170041341 A KR1020170041341 A KR 1020170041341A KR 20170041341 A KR20170041341 A KR 20170041341A KR 101857713 B1 KR101857713 B1 KR 101857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hicle
housing
shaft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근
신종현
기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팔
Priority to KR1020170041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8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16H57/0441Arrangements of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2Four wheel driv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차량 및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차량에 지지시키는 메인지지유닛과, 상기 차량 및 유압펌프에 설치되어 상기 오일펌프를 상기 차량에 지지시키는 서브지지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는 메인지지유닛 및 서브지지유닛에 의해 하우징과 함께 오일펌프를 차량의 프레임에 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오일펌프의 중량에 의해 하우징 또는 지지장치가 변형이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Support apparatus for Hydrostatic Transfer Case}
본 발명은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오일펌프가 설치된 트랜스퍼 케이스를 차량에 지지시키기 위한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4륜 구동 차량은 험로주행시 한쪽바퀴의 구동력이 상실되더라도 동력전달이 가능하며, 눈길이나 모래길에서도 어려움 없이 주행이 가능하다. 또한, 심한 언덕길이나 내리막길 주행시 무게중심 변동에 따른 대응능력을 향상시키고, 4륜 토크 배분으로 미끄러운 노면에서의 타이어 그립력을 향상시켜 직진성이 향상되며, 4륜 토크 배분으로 선회시 코너링의 안전도가 급속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4륜 구동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가장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것이 바로 트랜스퍼 케이스이다. 상기 트랜스퍼 케이스는 4륜 구동을 작동시키기 위한 목적의 전륜 구동 전달장치이자 트랜스미션 이외에 구비된 또 하나의 변속장치이다.
상기 트랜스퍼 케이스는 주철이나 알미늄의 재질로 만들어진 케이스내에 전륜구동을 위한 기어장치들이 구성되어진 기계장치로서, 엔진과 트랜스미션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후륜으로 보내는 동시에 전륜드라이브축과 조향축인 전륜 액슬을 통해 앞 바퀴로 동력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트랜스퍼 케이스는 별도의 고정장치에 의해 차량에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트랜스퍼 케이스용 고정장치는 단순히 트랜스퍼 케이스의 하우징만을 차량에 고정하므로 하우징에 오일펌프가 설치된 경우, 오일펌프를 지지할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오일펌프의 무게에 의해 트랜스퍼 케이스가 세팅 위치가 변경되거나 고정장치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8467호: 4륜 구동차량용 트랜스퍼 케이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트랜스퍼 케이스의 하우징 뿐 아니라 하우징에 설치된 오일펌프를 차량에 지지시킬 수 있는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는 하우징과,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입력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차량의 전륜 및 후륜으로 전달하는 동력 인출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입력축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유체를 펌핑하는 유압펌프가 마련된 트랜스퍼 케이스를 상기 차량에 지지하는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및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차량에 지지시키는 메인지지유닛과, 상기 차량 및 유압펌프에 설치되어 상기 오일펌프를 상기 차량에 지지시키는 서브지지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지지유닛은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면에 각각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가 마련된 복수의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들의 관통구에 각각 삽입된 복수의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들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차량에 고정된 복수의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축과 링크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외부의 진동이 상기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부시를 구비한다.
상기 서브지지유닛은 상기 오일펌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오일펌프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마련된 서브브라켓과, 상기 서브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서브브라켓을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각각 연장되되, 양단부가 상기 차량에 고정된 브라켓 고정로드와, 상기 브라켓 고정로드 및 서브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패드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는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로드와, 상기 차량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로드의 타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고정부재가 마련된 상부 지지유닛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는 메인지지유닛 및 서브지지유닛에 의해 하우징과 함께 오일펌프를 차량의 프레임에 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오일펌프의 중량에 의해 하우징 또는 지지장치가 변형이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에 대한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트램스퍼 케이스용 지지장치의 서브지지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장치가 설치되는 트랜스퍼 케이스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장치가 설치되는 트랜스퍼 케이스에 대한 정면 부분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10)는 차량에 고정된 트랜스퍼 케이스에 설치되어 트랜스퍼 케이스의 하우징 및 오일펌프를 차량에 지지시킨다.
이때, 상기 트랜스퍼 케이스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과,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입력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차량의 전륜 및 후륜으로 전달하는 동력 인출부를 구비한다.
하우징(200)은 4륜 구동 방식의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입력축(300), 아이들축(400), 전방축(500), 후방축(600), 디퍼렌셜 유닛(700) 및 동력전달유닛(800)이 설치되기 위한 내부공간(201)이 마련되어 있다.
입력축(30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후단부가 각각 하우징(200)에 관통되어 상기 하우징(20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입력축(300)의 전단부에는 엔진의 변속기에 연결된 출력축(미도시)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플랜지(30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플랜지(301)는 입력축(30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출력축에 볼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1체결홀(3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동력 인출부는 상기 입력축(3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00)에 설치된 아이들축(400)과, 상기 차량의 전륜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방 동력전달축(미도시)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전방축(500)과, 상기 차량의 후륜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후방 동력전달축(미도시)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후방축(600)과, 상기 아이들축(400)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을 상기 전방축(500) 및 후방축(600)으로 분배하는 디퍼렌셜 유닛(700)과, 상기 입력축(300)의 구동력을 상기 아이들축(400)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기 아이들축(400)의 회전속도를 기준으로 고속모드, 상기 고속모드보다 상기 아이들축(400)의 회전속도가 낮은 저속모드 및 상기 저속모드보다 상기 아이들축(400)의 회전속도가 낮은 중립모드 중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한 모드로 상기 아이들축(400)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유닛(800)을 구비한다.
아이들축(400)은 입력축(300)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하우징(200) 내부에 설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20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아이들축(400)은 입력축(300)과 나란하게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축(500)은 아이들축(400)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하우징(200) 내부에 설치되며, 전단부가 상기 하우징(200)에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전방축(500)은 입력축(300)과 나란하게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하우징(200)의 외부로 돌출된 전단부에는 전방 동력 전달축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2플랜지(50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플랜지(501)는 전방축(500)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전방 동력전달축에 볼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2체결홀(502)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축(600)은 전방축(500)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하우징(20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후단부가 하우징(200)에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상기 후방축(600)은 회전중심이 상기 전방축(500)의 회전중신선 상에 위치하도록 하우징(2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방축(600)의 후단부에는 후방 동력전달축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3플랜지(60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3플랜지(601)는 후방축(600)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후방 동력전달축에 볼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3체결홀(602)이 형성되어 있다.
디퍼렌셜 유닛(700)은 후술되는 동력전달유닛(800)의 제1피동기어(812)와 치합되며, 상기 전방축(50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라이브 기어(710)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710)를 상기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전방축(500)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전방축(500)에 고정시키거나 상기 전방축(500)으로부터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아웃풋 클러치(720)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710)로부터 구동력을 상기 후방축(600)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기 아우풋 클러치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 기어(710)가 상기 전방축(500)으로부터 고정상태가 해제 시 상기 전방축(500)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되, 상기 후방축(600)으로 전달되는 구동력과 상이한 크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성 기어부(730)를 구비한다.
드라이브 기어(710)는 중앙에 전방축(5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제1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제1피동기어(812)와 치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관통구는 드라이브 기어(710)가 전방축(500)에 대해 상대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전방축(500)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웃풋 클러치(720)는 전방축(500)과 드라이브 기어(7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드라이브 기어(710)를 선택적으로 전방축(500)에 고정시킨다. 상기 아웃풋 클러치(720)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그 클러치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성 기어부(730)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710)에 고정되어 상기 드라이브 기어(710)와 회전하는 캐리어(731)와, 상기 전방축(50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캐리어(7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유성기어(732)와, 상기 후방축(600)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성기어(732) 및 전방축(500)의 단부가 인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유성기어(732)와 치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된 링 기어(733)와, 상기 유성기어(732)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유성기어(732)에 대향되는 상기 전방축(500)의 단부에 고정된 선 기어를 구비한다.
캐리어(731)는 후단부가 상기 후방축(600)의 전단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735)와, 상기 본체(735)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드라이브 기어(710)의 후단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736)를 구비한다.
본체(735)는 후단부가 후방축(600)의 전단면에 인입되어 후방축(600)에 결합되는데, 회전중심이 후방축(600)의 회전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736)는 본체(735)의 전단부에, 본체(735)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고정부재(736)는 가장자리에 드라이브 기어(710)에 고정되기 위한 다수의 고정돌기(73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737)는 고정부재(736)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드라이브 기어(710)의 후단면에 각각 볼팅된다. 상기 고정돌기(737)에 의해 캐리어(731)는 드라이브 기어(710)와 함께 회전한다.
유성기어(732)는 상기 고정돌기(73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유성기어(732)는 차량이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서 고정돌기(737)에 고정될 수도 있다.
링 기어(733)는 후단부가 후방축(600)의 전단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유성기어(732), 캐리어(731) 및 전방축(500)의 후단부가 인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캐리어(731)의 후단부는 링 기어(733)를 관통하여 후방축(600)에 고정된다.
링 기어(733)의 내주면에는 유성기어(732)가 치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캐리어(731)의 본체(735)는 베어링에 의해 상기 링 기어(733)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선 기어(734)는 링 기어(733) 내측으로 인입된 전방축(500)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유성기어(732)에 치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디퍼렌셜 유닛(7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방축(500)과 후방축(600)에 동일한 구동력을 전달할 경우, 아웃풋 클러치(720)를 작동시켜 드라이브 기어(710)가 전방축(500)과 함께 회전하도록 드라이브 기어(710)를 전방축(500)에 고정시킨다. 아이들축(400)의 구동력은 제1피동기어(812) 및 드라이브 기어(710)를 통해 전방축(500)에 전달되고, 동일한 구동력이 드라이브 기어(710) 및 유성 기어부(730)를 통해 후방축(600)에도 전달된다.
다음, 전방축(500)과 후방축(600)에 각가 상이한 구동력을 전달할 경우, 아웃풀 클러치를 작동시켜 드라이브 기어(710)가 전방축(500)에 대해 상대회전되도록 전방축(500)에 대한 드라이브 기어(710)의 고정상태를 해제한다. 이때, 아이들축(400)의 구동력은 제1피동기어(812)를 통해 드라이브 기어(710)에 전달되고, 드라이브 기어(710)의 회전에 따라 캐리어(731)가 회전한다. 캐리의 회전에 따라 유성기어(732)가 회전하며 링 기어(733)를 회전시키고, 링 기어(733)의 회전에 따라 후방축(600)이 회전한다. 또한, 유성기어(732)의 회전에 따라 선 기어(734)도 회전되며, 선 기어(734)와 함께 전방축(500)이 회전한다. 이때, 전방축(500)과 후방축(600)은 유성 기어부(730)를 이루는 기어들의 기어비에 따라 상호 상이한 구동력이 전달된다.
동력전달유닛(800)은 상기 입력축(30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입력축(300)의 구동력을 상기 아이들축(400)으로 전달하는 고속 전달부(810)와, 상기 입력축(30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입력축(300)의 구동력을 상기 아이들축(400)으로 전달하되, 상기 고속 전달부(810)보다 낮은 속도로 상기 아이들축(400)을 회전시키는 저속 전달부(820)와, 상기 입력축(30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입력축(300)의 구동력을 상기 아이들축(400)으로 전달하되, 상기 저속 전달부(820)보다 낮은 속도로 상기 아이들축(400)을 회전시키는 중립 전달부(830)와, 상기 운전자가 고속모드를 선택시 상기 입력축(300)에 상기 고속 전달부(810)를 연결하고, 상기 운전자가 저속모드를 선택시 상기 입력축(300)에 상기 저속 전달부(820)를 연결하고, 상기 운전자가 중립모드를 선택시 상기 입력축(300)에 상기 중립 전달부(830)를 연결하는 선택 연결부(840)를 구비한다.
고속 전달부(810)는 상기 선택 연결부(840)에 의해 상기 입력축(300)에 고정되거나 상기 입력축(300)으로부터 고정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축(30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입력기어(811)와, 상기 제1입력기어(811)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들축(400)에 설치된 제1피동기어(812)를 구비한다.
제1입력기어(811)는 중앙부에 상기 입력축(3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제2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관통구는 제1입력기어(811)가 입력축(300)에 대해 상대회전되도록 입력축(300)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피동기어(812)는 아이들축(400)과 함께 회전하도록 제1입력기어(811)에 대향되는 아이들축(400)에 고정되며, 제1입력기어(811) 및 드라이브 기어(710)에 치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피동기어(812)는 제1입력기어(811)의 기어잇수보다 더 작은 기어잇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속 전달부(820)는 상기 선택 연결부(840)에 의해 상기 입력축(300)에 결합되거나 상기 입력축(300)으로부터 고정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축(30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입력기어(812)와, 상기 제1입력기어(811)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들축(400)에 설치된 제2피동기어(822)를 구비한다.
제2입력기어(812)는 중앙부에 상기 입력축(3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제3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관통구는 제2입력기어(812)가 입력축(300)에 대해 상대회전되도록 입력축(300)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입력기어(812)는 제1입력기어(811)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입력축(3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피동기어(822)는 아이들축(400)과 함께 회전하도록 제2입력기어(812)에 대향되는 아이들추겡 고정되며, 제2입력기어(812)에 치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2피동기어(822)는 제2입력기어(812)의 기어잇수보다 더 큰 기어잇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입력기어(812) 및 제2피동기어(822)는 아이들축(400)으로 구동력을 전달시 고속 전달부(810)보다 작은 속도록 상기 아이들축(4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기어비가 상기 제1입력기어(811) 및 제1피동기어(812)의 기어비보다 더 크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중립 전달부(830)는 상기 선택 연결부(840)에 의해 상기 입력축(3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입력축(300)에 연결되거나 분리되도록 상기 하우징(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연결축(831)과, 상기 연결축(831)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축(831)이 상기 입력축(300)에 연결시 상기 연결축(831)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여 작동유체를 펌핑하는 유압펌프(832)와, 상기 하우징(2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압펌프(832)로부터 상기 작동유체를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유압모터(833)와, 상기 유압모터(833)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아이들축(400)으로 전달하는 서브 동력전달부(834)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축(831)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입력축(300)의 후단부에 전단부가 인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연결축(831)은 회전중심이 입력축(300)의 회전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축(831)은 선택 연결부(840)에 의해 입력축(300)에 고정되거나 입력축(300)으로부터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유압펌프(832)는 하우징(200)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연결축(831)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연결축(83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유압펌프(832)는 연결축(831)으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작동하여 차량에 설치된 유압탱크(미도시)로부터 작동유체를 펌핑한다. 상기 작동유체는 비압축성 유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압모터(833)는 복수개가 하우징(200)의 좌우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유체공급관(미도시)를 통해 유압펌프(832)에 연결된다. 유압모터(833)는 상기 유압펌프(832)로부터 공급된 유체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유압모터(833)를 통과한 작동유체는 유압탱크와 유압모터(833) 사이에 연결된 유체배출관(미도시)를 통해 차량의 유압탱크로 배출된다.
서브 동력전달부(834)는 상기 유압모터(833)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00)에 설치된 서브 축(835)과, 상기 서브 축(835)에 결합되어 상기 서브 축(835)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836)와, 상기 구동기어(836) 및 상기 아이들축(400)에 설치된 제1피동기어(812)에 치합되도록 상기 하우징(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아이들 기어(837)를 구비한다.
서브 축(835)은 하우징(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유압모터(833)의 회전축의 전단부에 후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브 클러치(미도시)에 의해 유압모터(833)의 회전축에 고정되거나 회전축에 대한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서브 축(835)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전단부가 하우징(20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서브 클러치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리브에 의해 서브 축(835)과 유압모터(833)의 회전축을 결합 및 분리시키는 것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클러치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기어(836)는 서브 축(835)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서브 축(835)에 고정되면,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아이들 기어(837)는 구동기어(836)와 제1피동기어(812) 사이의 하우징(20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동기어(836)와 제1피동기어(812)에 치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중립 전달부(830)는 구동력을 아이들축(400)에 전달시 저속 전달부(820)보다 낮은 속도로 아이들축(400)을 회전시키기 위해 저속 전달부(820)보다 감속비가 크도록 상기 구동기어(836), 아이들 기어(837) 및 제1피동기어(812)의 기어비를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립 전달부(830)는 설치된 유압펌프(832) 및 유압모터(833)의 용량 및 설정 값에 따라 감속비를 보다 크게 설정할 수도 있다.
선택 연결부(840)는 입력축(300)에 제1입력기어(811)를 고정시키거나 입력축(300)에 대한 제1입력기어(81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입력축(300)과 제1입력기어(811) 사이에 설치된 제1클러치(841)와, 입력축(300)에 제2입력기어(812)를 고정시키거나 입력축(300)에 대한 제2입력기어(812)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입력축(300)과 제2입력기어(812) 사이에 설치된 제2클러치(842)와, 입력축(300)에 연결축(831)을 고정시키거나 입력축(300)에 대한 서브 축(835)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입력축(300)과 연결축(831) 사이에 설치된 제3클러치(843)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클러치(842)는 도그 클러치가 적용되고, 제3클러치(843)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리브에 의해 서브 축(835)과 연결축(831)을 결합 및 분리시키는 것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클러치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1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10)는 차량 및 트랜스퍼 케이스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차량에 지지시키는 메인지지유닛(20) 및 상기 차량 및 트랜스퍼 케이스의 유압펌프에 설치되어 상기 오일펌프를 상기 차량에 지지시키는 서브지지유닛(30)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지지유닛(20)은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면에 각각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가 마련된 복수의 링크부재(21)와, 상기 링크부재(21)들의 관통구에 각각 삽입된 복수의 지지축(미도시)과, 상기 지지축들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차량에 고정된 복수의 지지브라켓(22)과, 상기 지지축과 링크부재(21) 사이에 설치되며, 외부의 진동이 상기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부시(미도시)를 구비한다.
링크부재(21)는 일단이 하우징의 좌우측면에 볼팅되며, 하우징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연장되되, 타단이 일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된다. 링크부재(21)의 타단부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구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지지축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되어 링크부재(21)의 관통구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때, 지지축은 링크부재(21)의 관통구 내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브라켓(22)은 지지축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단위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단위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은 지지축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은 차량의 프레임에 볼팅되어 고정된다.
탄성부시는 상기 링크부재(21)의 관통구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링크부재(21)의 관통구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고, 관통구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되게 전후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탄성부시는 중앙에 지지축이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메인지지유닛(20)은 트랜스퍼 케이스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하우징을 차량에 지지시킨다. 이때, 메인지지유닛(20)은 탄성부시에 의해 차량으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트랜스퍼 케이스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서브지지유닛(30)은 상기 오일펌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오일펌프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마련된 서브브라켓(31)와, 상기 서브브라켓(31)에 설치되며, 상기 서브브라켓(31)을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각각 연장되되, 양단부가 상기 차량에 고정된 브라켓 고정로드(32)와, 상기 브라켓 고정로드(32) 및 서브브라켓(31)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패드(33)를 구비한다.
서브브라켓(31)은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면이 오일펌프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오일펌프에 설치된다. 서브브라켓(31)의 좌우단부에는 오일펌프의 좌우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돌출부재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재는 서브브라켓(31)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오일펌프의 좌우측면을 지지한다. 이때, 돌출부재의 상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천공홀이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 고정로드(32)는 상부에 상기 서브브라켓(31)이 설치되며, 좌우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된다. 지지패드(33)는 브라켓 고정로드(32) 및 서브브라켓(31) 사이에 설치되어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서브지지유닛(30)은 오일펌프의 하부에 설치되어 오일펌프를 차량이 지지시킨다. 또한, 서브지지유닛(30)은 지지패드(33)의 탄성에 의해 차량으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오일펌프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된 바와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10)는 메인지지유닛(20) 및 서브지지유닛(30)에 의해 하우징과 함께 오일펌프를 차량의 프레임에 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오일펌프의 중량에 의해 하우징 또는 지지장치(10)가 변형이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10)는 하우징 상부를 차량에 지지시키기 위한 상부 지지유닛(4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상부 지지유닛(40)은 제1고정부재(41), 지지로드(42) 및 제2고정부재(43)를 구비한다.
제1고정부재(41)는 하우징의 상면에 볼팅에 의해 고정되면, 하우징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지지로드(42)는 제1고정부재(4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고정부재(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고정부재(43)는 제1고정부재(41)에 대향되는 위치의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되며, 지지로드(42)의 타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 지지유닛(40)은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되어 하우징의 상부를 차량의 프레임에 지지시킨다. 또한, 상부 지지유닛(40)은 차량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하우징이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우징을 지지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지지장치
20: 메인지지유닛
21: 링크부재
22: 지지브라켓
30: 서브지지유닛
31: 서브브라켓
32: 브라켓 고정로드
33: 지지패드
40: 상부 지지유닛
41: 제1고정부재
42: 지지로드
43: 제2고정부재

Claims (4)

  1. 하우징과,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입력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차량의 전륜 및 후륜으로 전달하는 동력 인출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입력축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유체를 펌핑하는 유압펌프가 마련된 트랜스퍼 케이스를 상기 차량에 지지하는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및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차량에 지지시키는 메인지지유닛; 및
    상기 차량 및 유압펌프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펌프를 상기 차량에 지지시키는 서브지지유닛;을 구비하는,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
  2. 제1항에 이어서,
    상기 메인지지유닛은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면에 각각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가 마련된 복수의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들의 관통구에 각각 삽입된 복수의 지지축;
    상기 지지축들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차량에 고정된 복수의 지지브라켓; 및
    상기 지지축과 링크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외부의 진동이 상기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부시;를 구비하는,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지지유닛은
    상기 유압펌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유압펌프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마련된 서브브라켓;
    상기 서브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서브브라켓을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각각 연장되되, 양단부가 상기 차량에 고정된 브라켓 고정로드; 및
    상기 브라켓 고정로드 및 서브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패드를 구비하는,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로드와, 상기 차량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로드의 타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고정부재가 마련된 상부 지지유닛;을 더 구비하는,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
KR1020170041341A 2017-03-31 2017-03-31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 KR101857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341A KR101857713B1 (ko) 2017-03-31 2017-03-31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341A KR101857713B1 (ko) 2017-03-31 2017-03-31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713B1 true KR101857713B1 (ko) 2018-06-25

Family

ID=62805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341A KR101857713B1 (ko) 2017-03-31 2017-03-31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7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6742U1 (ru) * 2021-05-31 2021-09-24 Валерий Евгеньевич Тоневицкий Опора раздаточной коробки автомобиля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3458A (ja) 2000-03-22 2001-09-26 Jatco Transtechnology Ltd 変速機ユニット
JP2003090400A (ja) 2001-09-19 2003-03-2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農作業機
JP2008157266A (ja) 2006-12-20 2008-07-1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駆動装置の潤滑構造
JP2013115830A (ja) 2011-11-24 2013-06-10 Honda Motor Co Ltd 電動機の内外接続導体配置構造
US8839901B1 (en) 2013-03-20 2014-09-23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Transfer case skid shield
CN104191967A (zh) 2014-09-24 2014-12-10 常州市瑞泰工程机械有限公司 分动箱悬挂装置
CN205800797U (zh) 2016-07-21 2016-12-14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分动箱悬置结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3458A (ja) 2000-03-22 2001-09-26 Jatco Transtechnology Ltd 変速機ユニット
JP2003090400A (ja) 2001-09-19 2003-03-2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農作業機
JP2008157266A (ja) 2006-12-20 2008-07-1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駆動装置の潤滑構造
JP2013115830A (ja) 2011-11-24 2013-06-10 Honda Motor Co Ltd 電動機の内外接続導体配置構造
US8839901B1 (en) 2013-03-20 2014-09-23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Transfer case skid shield
CN104191967A (zh) 2014-09-24 2014-12-10 常州市瑞泰工程机械有限公司 分动箱悬挂装置
CN205800797U (zh) 2016-07-21 2016-12-14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分动箱悬置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6742U1 (ru) * 2021-05-31 2021-09-24 Валерий Евгеньевич Тоневицкий Опора раздаточной коробки автомобил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7574B2 (en) Transmission having simple construction
US7350603B2 (en) Hybrid drive unit and vehicle mounted therewith
RU2489275C2 (ru) Приводная система автомобилей, в частности автомобилей промышл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JP2008037421A (ja) ドライブトレーン用アクスルドライブユニット
US6902026B2 (en) Wheel type traveling and operating vehicle
EP3817940B1 (en) Electrical vehicle axle
JP5529091B2 (ja) ダンプトラックの走行駆動装置
US20210381198A1 (en) Work machine
KR101857713B1 (ko)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
KR101795693B1 (ko) 트랜스퍼 케이스
KR101804419B1 (ko) 트랜스퍼 케이스
KR101982179B1 (ko)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
SE513350C2 (sv) Transmission vid personbilar
US7179188B2 (en)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working vehicle
KR101807248B1 (ko) 트랜스퍼 케이스
JP6292194B2 (ja) パワートレインユニット
US4631978A (en) Device for the distribution of motive power
US20190270380A1 (en) Tandem Axle System
CN219007591U (zh) 一种包含传动系统的全地形卡丁车的动力传动机构
JP3503637B2 (ja) 農用走行車体
JP4420318B2 (ja) 走行作業機
CN214499746U (zh) 一种便于拆装的汽车传动轴
KR10089343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사륜 구동 장치
KR102426063B1 (ko) 농업용 작업차량
JP4280874B2 (ja) Hstを備えた車輌の伝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