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445B1 - 고구마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고구마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445B1
KR101857445B1 KR1020170016803A KR20170016803A KR101857445B1 KR 101857445 B1 KR101857445 B1 KR 101857445B1 KR 1020170016803 A KR1020170016803 A KR 1020170016803A KR 20170016803 A KR20170016803 A KR 20170016803A KR 101857445 B1 KR101857445 B1 KR 101857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case
roasting
seating
conveyanc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투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투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투비
Priority to KR1020170016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A23N12/125Accessori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고구마 구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역 "U"자로 수직상방으로 설치되는 구이부; 상기 구이부로 투입되어 고구마를 굽기 위한 구이통; 상기 구이부에 상기 구이통을 투입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구이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투입컨베이어벨트; 상기 구이통 내부의 고구마를 굽기 위해 상기 구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히터부; 상기 구이부로부터 구워진 고구마가 담긴 구이통을 탈거시키기 위한 탈거부재; 및 상기 탈거부재에 의해 탈거된 구이통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구마 구이장치{BAKING MACHINE}
본 발명은 고구마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구마를 대량으로 건식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고구마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구마나 감자, 밤 등의 식재료를 구워서 먹는 경우는, 그릴 또는 망체내에 내용물을 저장한 후 가열부인 화로에 근접시켜 굽게 된다.
조리 과정 중에 식재료가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식재료를 수시로 뒤집으면서 굽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많은 주의를 요구함에 따라 식재료를 굽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게 되고, 또한 하나의 화로를 이용함에 따라 많은 양의 식재료를 굽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를 보완한 기술로서 내용물을 저장하는 구이통과, 구이통의 하측에 버너를 형성하여 구이통을 회전시키면서 다량의 내용물을 구울 수 있는 구이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여전히 이러한 종래 구이장치는 조리량의 한계가 있어 대량 공급의 수요를 충족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한국 등록실용 20-0233816호 (2001.05.30.)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29320호 (2016.11.09)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연속적으로 대량의 고구마를 균일하게 구워 조리함으로써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구마 구이장치는,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역 "U"자로 수직상방으로 설치되는 구이부; 상기 구이부로 투입되어 고구마를 굽기 위한 구이통; 상기 구이부에 상기 구이통을 투입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구이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투입컨베이어벨트; 상기 구이통 내부의 고구마를 굽기 위해 상기 구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히터부; 상기 구이부로부터 구워진 고구마가 담긴 구이통을 탈거시키기 위한 탈거부재; 및 상기 탈거부재에 의해 탈거된 구이통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이부는,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로부터 이격되어 타측에 설치되는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에 일렬로 연결되는 이송벨트; 및 상기 이송벨트의 폭방향으로 구이통을 안착시키기 위해 일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장착되는 복수개의 안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이송벨트의 이격된 간격 사이에 다수의 지지롤러가 더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지지롤러는 상기 이송벨트의 폭방향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 구조로서, 상기 한 쌍의 롤러 사이에는 보조히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재는, 구이통이 안착되기 위하여 상호간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걸림후크; 상기 걸림후크가 자유스럽게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을 수용하고 상기 이송벨트에 장착될 수 있는 축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이통은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열이 전달되어서 고구마가 잘 구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금속라인으로 외부 형상을 제작하고, 상기 구이통의 일측면에는 고구마를 투입 또는 배출하기 위한 덮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거부재는 상기 구동풀리에 인접한 하방에 설치되는 판재형상을 갖고,
평면부, 탈거가 시작되는 볼록부 및 탈거된 피대상물을 자중에 의해 낙하시키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안착부재와 가장 근접한 지점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안착부재와 가장 멀리 위치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컨베이어벨트의 상부면에는 상기 구이통이 안정하게 위치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복수의 돌출부들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 개구부의 상단에는 정렬부재가 하방으로 늘어뜨려져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적으로 대량의 식재료를 균일하게 구워 조리함으로써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의해 발현될 수 있는 효과를 열거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개시된 효과 외에 다른 효과도 가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구마 구이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구이장치에서 내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이장치에서 투입컨베이어벨트를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구이장치에서 구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구이장치에서 탈거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이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구마 구이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구이장치에서 내부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1의 구이장치에서 투입컨베이어벨트를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이장치에서 구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의 구이장치에서 탈거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구마 구이장치는 고구마를 대량으로 연속해서 굽기 위한 장치로서, 굽기 위한 장치가 내장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굽기 위한 고구마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컨베이어벨트(20)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컨베이어벨트(20)에는 고구마가 담겨진 구이통(130)이 일렬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이통(130)의 내부에는 다수의 고구마가 담겨질 수 있다. 상기 구이통(130)은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열이 전달되어서 고구마가 잘 구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금속라인으로 외부 구조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이통(130)의 일측면에는 고구마를 투입 또는 배출하기 위한 덮개(131)가 설치된다. 상기 덮개(131)는 힌지부(133)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부(133)의 반대편에는 걸쇠부(135)가 덮개(13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입컨베이어벨트(20)의 상부면에는 상기 구이통(130)이 안정하게 위치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복수의 돌출부(25)들이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25)들 사이에 구이통(130)이 배치됨으로써, 돌출부(25)가 원통형의 구이통(130)이 구르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하단에는 상기 투입컨베이어벨트(20)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사각의 개구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투입컨베이어벨트(20)는 상기 개구부(103)를 통과하여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개구부(103)의 상단에는 정렬부재(106)가 하방으로 늘어뜨려져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정렬부재(106)는 상기 투입컨베이어벨트(20)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구이통(130)을 잘 정돈시켜서 상기 돌출부(25)들 사이에 일렬로 정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구이부(10), 상기 구이부(10)에 고구마가 담긴 구이통(130)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컨베이어 벨트(20), 고구마를 굽기 위해 상기 구이부(10)의 중심에 설치되는 히터부(50), 상기 구이부(10)로부터 구워진 고구마가 담긴 구이통(130)을 탈거시키기 위한 탈거부재(40), 및 상기 탈거부재(40)에 의해 탈거된 구이통(130)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컨베이어 벨트(30)를 포함한다.
상기 구이부(10)는 역 'U"자 형상으로 수직으로 세워져서 설치된 구조로서,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풀리(11), 상기 구동풀리(11)로부터 이격되어 타측에 설치되는 종동풀리(13) 및 상기 구동풀리(11)와 상기 종동풀리(13)에 일렬로 연결되는 이송벨트(19)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송벨트(19)는 구동풀리(11)와 상기 종동풀리(13)를 양단으로 해서 연속해서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풀리(11)와 상기 종동풀리(13)를 연결하는 이송벨트(19)의 이격된 간격 사이에는 다수의 지지롤러(15)가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지지롤러(15)는 이송벨트(19)가 쳐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롤러(15)는 상기 이송벨트(19)의 폭방향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 구조로서, 상기 한 쌍의 롤러 사이에는 구이기능을 증대시키기 위한 보조히터(1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히터(17)는 상기 이송벨트(19)의 폭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벨트(19)에는 그 폭방향으로 구이통(130)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재(110)가 일체로 장착된다. 상기 안착부재(110)는 상기 이송벨트(19)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안착부재(110)는 구이통(130)이 안착되는 다수의 걸림후크(111), 상기 걸림후크(111)가 자유스럽게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회동축(113), 및 상기 회동축(113)을 수용하고 상기 이송벨트(19)에 장착될 수 있는 축하우징(115)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걸림후크(111)는 히터부(50)나 보조히터(17)로부터 상기 구이통(130)으로 열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상호간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축(113)이 상기 축하우징(11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때, 베어링(미도시)을 통해 지지되면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축하우징(115)은 상기 이송벨트(19)에 별도의 고정수단이나 접착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이송벨트(19)에 고정될 수만 있다면 어떠한 파스닝 수단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재(110)의 상기 걸림후크(111)는 자중에 의해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따라서 언제든지 회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히터부(50)는 상기 역 "U"자 구조의 구이부(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형태나 구조는 상황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투입컨베이어벨트(20)는 고구마가 담긴 구이통(130)을 연속적으로 이송하여 상기 구이부(10)의 안착부재(110)에 투입하는 장치로서, 상기 종동풀리(13)에 인접하게 일단이 배치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동풀리(13)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안착부재(110)에 상기 투입컨베이어벨트(20)로부터 이송되어 온 구이통(130)이 낙하되면서 안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투입컨베이어벨트(20)는 상기 종동풀리(13)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설치되며, 그 진행방향도 우측에서 좌측으로 진행하면서 구이통(130)을 상기 종동풀리(13) 측의 안착부재(110)에 투입하는 것이다.
상기 구동풀리(11)에 인접한 그 하방에는 구워진 고구마가 담긴 구이통(130)을 탈거하기 위한 탈거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탈거부재(40)는 경사를 갖는 판재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평면부(41), 탈거가 시작되는 볼록부(43), 및 탈거된 피대상물(P)을 자중에 의해 낙하시키는 경사부(4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볼록부(43)는 상기 안착부재(110)와 가장 근접한 지점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경사부(45)는 상기 안착부재(110)와 가장 멀게 위치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재(110)가 상기 블록부(43)에 근접하면서 상기 걸림부(111)가 상기 볼록부(43)에 걸리게 되고, 계속해서 상기 이송벨트(19)가 회전하면서 상기 안착부재(110)가 상기 이송벨트(19)와 동일한 궤적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서 상기 걸림부(111)는 상기 탈거부재(40)와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완전히 젖혀지게 되어서 구이통(130)이 탈거되고, 계속된 진행에 따라서 안착부재(11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걸림부(111)는 축하우징(115)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이전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배출컨베이어벨트(30)는 상기 탈거부재(40)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탈거부재(40)에 의해 탈거된 구이통(130)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컨베이어벨트(30)의 타측에는 상기 탈거부재(40)로부터 낙하되는 구이통(130)이 배출컨베이어벨트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톱퍼부재(60)가 수직 상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이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투입컨베이어벨트(20)를 통해 이송되어 온 고구마가 담긴 구이통(130)은 그 끝단에서 상기 종동풀리(13)에 인접한 안착부재(110)의 걸림후크(111)에 투입된다. 그 상태에서 구동풀리(11)가 계속해서 구동되면서 이송벨트(19)가 회전하게 되고, 그에 일체로 장착된 안착부재(110)는 구이부(10)의 내측부 상방으로 승강하게 되면서 상기 히터부(50)와 보조히터(17)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구이통(130)에 담긴 고구마가 구워지게 된다. 계속해서 안착부재(110)는 역 "U"자 구이부(10)의 내측방향을 따라서 상승했다가 다시 하강하면서, 그 내부에 안착된 구이통(130)의 고구마가 히터부(50)와 보조히터(17)에 의해서 완전하게 구워지게 된다. 고구마가 완전하게 구워진 다음에 상기 구이통(130)은 상기 탈거부재(40)의 탈거동작에 의해 탈거되어서 상기 배출컨베이어벨트(30)에 의해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안착부재(110)는 상기 구동풀리(11)를 지나서, 역 "U"자 구이부(10)의 외측부 상방으로 다시 상승하고 하강하면서, 다시 구이통(130)을 공급받기 위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구이부 11: 구동풀리
13: 종동풀리 15: 지지롤러
17: 보조히터 19: 이송풀리
20: 투입컨베이어벨트
30: 배출컨베이어벨트 40: 탈거부재
50: 히터부 60: 스톱퍼부재
100: 케이스 103: 개구부
106: 정렬부재
110: 안착부재 111: 걸림후크
113: 회동축 115: 축하우징
130: 구이통

Claims (8)

  1.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역 "U"자로 수직상방으로 설치되는 구이부; 상기 구이부로 투입되어 고구마를 굽기 위한 구이통; 상기 구이부에 상기 구이통을 투입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구이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투입컨베이어벨트; 상기 구이통 내부의 고구마를 굽기 위해 상기 구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히터부; 상기 구이부로부터 구워진 고구마가 담긴 구이통을 탈거시키기 위한 탈거부재; 및 상기 탈거부재에 의해 탈거된 구이통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이부는,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로부터 이격되어 타측에 설치되는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에 일렬로 연결되는 이송벨트;
    상기 구이통을 안착시키기 위해,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이송벨트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벨트에 일체로 장착되는 복수개의 안착부재;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이송벨트의 이격된 간격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에 폭방향을 따라서 구비되는 보조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재는,
    구이통을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호 간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걸림후크;
    상기 걸림후크가 자유스럽게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을 수용하고 상기 이송벨트에 장착될 수 있는 축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투입컨베이어벨트의 상부면에는 상기 구이통이 안정하게 위치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복수의 돌출부들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구이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히터는 상기 지지롤러의 양측 폭방향을 따라서 길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구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통은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열이 전달되어서 고구마가 잘 구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금속라인으로 외부 형상을 제작하고,
    상기 구이통의 일측면에는 고구마를 투입 또는 배출하기 위한 덮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구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부재는 상기 구동풀리에 인접한 하방에 설치되는 판재형상을 갖고,
    평면부, 탈거가 시작되는 볼록부 및 탈거된 피대상물을 자중에 의해 낙하시키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안착부재와 가장 근접한 지점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안착부재와 가장 멀리 위치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구이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개구부의 상단에는 정렬부재가 하방으로 늘어뜨려져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구이장치.
KR1020170016803A 2017-02-07 2017-02-07 고구마 구이장치 KR101857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803A KR101857445B1 (ko) 2017-02-07 2017-02-07 고구마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803A KR101857445B1 (ko) 2017-02-07 2017-02-07 고구마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445B1 true KR101857445B1 (ko) 2018-05-15

Family

ID=62186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803A KR101857445B1 (ko) 2017-02-07 2017-02-07 고구마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304B1 (ko) 2019-08-07 2020-01-03 농업회사법인온드림푸드주식회사 대량 구워짐이 가능한 자동 고구마 구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308Y1 (ko) * 1999-07-10 2000-02-15 김익무 회동식구이기
KR200165140Y1 (ko) * 1998-06-03 2000-02-15 윤종락 연속식자동취반기
JP3105702B2 (ja) * 1993-06-11 2000-11-06 レーザーテック株式会社 光学式欠陥検査装置
JP2002320558A (ja) * 2001-04-25 2002-11-05 Samy:Kk 自動調理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5702B2 (ja) * 1993-06-11 2000-11-06 レーザーテック株式会社 光学式欠陥検査装置
KR200165140Y1 (ko) * 1998-06-03 2000-02-15 윤종락 연속식자동취반기
KR200166308Y1 (ko) * 1999-07-10 2000-02-15 김익무 회동식구이기
JP2002320558A (ja) * 2001-04-25 2002-11-05 Samy:Kk 自動調理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304B1 (ko) 2019-08-07 2020-01-03 농업회사법인온드림푸드주식회사 대량 구워짐이 가능한 자동 고구마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7401B2 (en) Tostada forming and cooking
KR101857446B1 (ko) 고구마 구이장치
US2855308A (en) Deep fat frying potatoes
US5259302A (en) Automatic deep fry apparatus
KR101857445B1 (ko) 고구마 구이장치
US4440071A (en) Conveyor system for skewered foods
KR101857443B1 (ko) 구이장치
CN210630521U (zh) 一种受热均匀的烤箱
US20090007800A1 (en) Rotisserie
ES2907596T3 (es) Aparato asador vertical con vertido de líquido para lardear
WO1991012597A1 (en) Automatic hot food dispenser
CN212065589U (zh) 一种水煮桃仁生产机
JP2012059096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US3610134A (en) Automatic bun grill
KR101023663B1 (ko) 자동 구이 장치
KR20050055292A (ko) 식품 자동조리기용 식품 공급장치
US20140102312A1 (en) Popcorn Making Machine with Corn Intake Control
CN218571355U (zh) 咖啡豆烘烤装置
KR102028188B1 (ko) 식자재 자동 구이 장치
KR20120121226A (ko) 튀김 장치
CN218164116U (zh) 全自动多层隧道烤炉
US20230404322A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CN108782639A (zh) 石头饼自动生成线及生产石头饼的方法
CN210052240U (zh) 一种柱状速冻食品快速售卖现烤自动贩卖机
KR20130034834A (ko) 유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