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572B1 - 항균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필터 - Google Patents

항균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572B1
KR101856572B1 KR1020160096182A KR20160096182A KR101856572B1 KR 101856572 B1 KR101856572 B1 KR 101856572B1 KR 1020160096182 A KR1020160096182 A KR 1020160096182A KR 20160096182 A KR20160096182 A KR 20160096182A KR 101856572 B1 KR101856572 B1 KR 101856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ft polymer
polypropylene
solution containing
polymer
prep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3063A (ko
Inventor
나춘기
박가연
최희선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최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최희선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96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572B1/ko
Publication of KR20180013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71Surface coating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a) 고분자 여과소재에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고분자 여과소재 및 비닐계 단량체의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그래프트 중합체를 개질하여 항균관능기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필터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비닐계 단량체를 고분자 여과소재 표면에 광중합하여 일체화한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고, 제조한 그래프트 중합체 사슬의 관능기를 개질하여 항균관능기를 도입함으로써,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고, 화학적 내구성이 우수하여 항균제의 용출을 최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물막의 생성을 억제하여 장기간 효과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항균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한 항균필터는, 내구성과 항균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공기청정기, 제습기, 에어컨 등의 공기필터로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 항균필터는 항균제의 용출이 최소화되어 화학적 내구성 또한 우수함에 따라 정수는 물론 빗물 및 하폐수 처리용 등의 여과장치에 수처리용 항균필터로 유용하게 이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항균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필터{Method for preparing antibacterial filter and antibacterial filter prepared thereby}
본 발명은 항균필터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처리 산업에서 물의 고도처리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어 막분리, 흡착 등으로 물을 처리하는 물리·화학적 처리기술이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막분리 등과 같은 기술은 물에 포함된 미생물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여과소재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기능성 여과소재의 개발은 미래 수처리 산업의 핵심기술로 성장하고 있으며, 매년 관련소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여과소재는, 수처리 과정 중 미생물의 부착과 번식 등에 의한 생물부착(biofouling)현상으로 인해 수처리의 효율이 저하됨은 물론, 여과소재의 교체 주기의 단축 등 다양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항균활성을 갖는 기능성 여과소재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은(Ag)이나 구리(Cu) 등의 항균성 금속을 무기물 또는 고분자 화합물 등에 고정화하여 제조한 무기계 기능성 여과소재와 4급 암모늄염, 트리아진계, 벤즈이미다졸, 트리클로로산, 클로로헥시딘, 치아졸계 등의 항균성 유기물을 표면에 코팅하거나 고분자와 혼합하여 제조한 유기계 기능성 여과소재에 관한 기술 내용이 개시된 바 있다.
일례로, 선행기술문헌 1(제10-2012-0051003호)은, 수처리용 입상 항균제에 관한 것으로, Ag2O, K2O, SiO2 및 B2O3을 포함하여, 통수성과 항균성을 구비하고, 간단하게 지속 기간을 파악할 수 있는 수처리용 입상 항균제에 관한 기술 내용이 개시된 바 있다.
또 다른 예로, 선행기술문헌 2(제10-2006-0055116호)는, 액상 은나노를 사용한 항균성 지하저수조 코팅재 조성물에 관한것으로, 폴리아크릴릭아스테르계 에멀젼, 물, 백시멘트, 메타카올린, CSA, 경질탄산칼슘, 규사 및 은(Ag)용액을 혼합해 제조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지하저수조 코팅재에 관한 기술 내용이 개시된 바 있다.
또 다른 예로, 선행기술문헌 3(제10-0536551호)은, 항균성 단량체 화합물, 이를 이용한 항균성 고분자 화합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조 내에 중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를 포함하고, 지속적인 항균활성 및 높은 내열성을 갖는 유기계 항균성 단량체와 이를 이용한 항균성 고분자 화합물에 관한 기술 내용이 개시된 바 있다.
또 다른 예로, 선행기술문헌 4(제10-0163496호)는, 내열성과 항균방취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항균제와 고분자 간의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항균제를 섬유, 피혁 또는 플라스틱 제품에 직접 혼합, 성형 및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 내용이 개시된 바 있다.
또 다른 예로, 선행기술문헌 5(제10-0846395호)는, 항균 중공사막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수성 고분자, 유기용매 및 친수성 화합물로 구성된 방사도프와 내부 응고액을 2중 관형노즐로 공기 중으로 방사한 후 외부응고액으로 응고시켜 중공사막을 제조할 때, 상기 방사도프 또는 내부응고액에 항균제를 첨가해 방사하여, 항균활성을 갖는 중공사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 내용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문헌 1 내지 5에 개시된 방법들은 항균제의 단순 혼합이나 도포에 바탕을 두고 있어, 수처리시 항균제가 쉽게 용출되어 항균력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항균제의 용출이 인간 및 환경에 미치는 독성 등으로 인해 기술적 한계가 지적되고 있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능성 항균소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51003호 (공개일 : 2012.05.21)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55116호 (공개일 : 2006.05.23) 한국등록특허 제10-0536551호 (공개일 : 2003.08.09) 한국등록특허 제10-0163496호 (공개일 : 1997.09.12.) 한국등록특허 제10-0846395호 (공개일 : 2004.08.2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분자 여과소재에 항균 기능성 단량체를 도입하여 일체화함으로써, 항균 기능성 물질의 용출을 방지할 수 있어 장시간 반복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높은 항균활성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항균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 내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a) 고분자 여과소재에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고분자 여과소재 및 비닐계 단량체의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그래프트 중합체를 개질하여 항균관능기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아크릴계, 폴리에스터계, 폴리비닐알콜계, 폴리염화비닐계 및 폴리우레탄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카르복실기, 이미다졸기, 아민기, 벤질기, 에폭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 (a)는, 50 내지 80 ℃의 온도조건에서 20 내지 300분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반응을 수행하여 20 내지 100%의 중합률을 갖는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그래프트 중합체의 관능기에 은(Ag), 구리(Cu) 또는 티탄(Ti) 이온을 고정화하여 항균관능기를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그래프트 중합체의 관능기를 아민기, 술폰기, 사차암모늄염으로 개질하는 것으로 항균관능기를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필터의 제조방법에서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아크릴산,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질산은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은 이온을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필터의 제조방법에서는, 폴리프로필렌 박막여과지에 아크릴산,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질산은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은 이온을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필터의 제조방법에서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1-비닐이미다졸,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질산은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은 이온을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필터의 제조방법에서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1-비닐이미다졸,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클로로황산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술폰기를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필터의 제조방법에서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1-비닐이미다졸,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요오드화메틸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사차암모늄염을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필터의 제조방법에서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비닐벤질클로라이드(클로로메틸스티렌),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클로로황산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술폰기를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필터의 제조방법에서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비닐벤질클로라이드,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에틸렌디아민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에틸렌디아민을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필터의 제조방법에서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클로로황산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술폰기를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필터의 제조방법에서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에틸렌디아민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에틸렌디아민을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항균관능기가 도입된 고분자 여과소재 및 비닐계 단량체의 그래프트 중합체를 포함하는 항균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필터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비닐계 단량체를 고분자 여과소재 표면에 광중합하여 일체화한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고, 제조한 그래프트 중합체 사슬의 관능기를 개질하여 항균관능기를 도입함으로써,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고, 화학적 내구성이 우수하여 항균제의 용출을 최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물막의 생성을 억제하여 장기간 효과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항균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한 항균필터는, 내구성과 항균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공기청정기, 제습기, 에어컨 등의 공기필터로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 항균필터는 항균제의 용출이 최소화되어 화학적 내구성 또한 우수함에 따라 정수는 물론 빗물 및 하폐수 처리용 등의 여과장치에 수처리용 항균필터로 유용하게 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필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a) 고분자 여과소재에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고분자 여과소재 및 비닐계 단량체의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그래프트 중합체를 개질하여 항균관능기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도 1).
상기 단계 (a)는 고분자 여과소재에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고분자 여과소재 및 비닐계 단량체의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고분자 여과소재는 셀룰로오스계나 합성수지계를 제한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나, 물리화학적 내구성을 고려할 경우, 합성수지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합성수지계로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아크릴계, 폴리에스터계, 폴리비닐알콜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우레탄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나, 광중합을 위한 그래프트 효율을 고려하면,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아크릴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여과소재는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충분한 표면적을 갖는 것이라면 제한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나, 여과필터 제조를 위한 공정의 용이성 및 효율성을 고려할 때, 부직포, 직포, 멤브레인 등과 같은 평판형 직물인 여과포 또는 여과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라면 제한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나, 카르복실기, 이미다졸기, 아민기, 벤질기 및 에폭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중합공정, 개질의 용이성, 후술할 단계에서 제조한 여과필터의 항균능 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비닐벤질계, 비닐이미다졸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비닐계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닐계 단량체를 상기 고분자 여과소재에 도입하여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제조하고, 제조한 중합용액을 고분자 여과소재에 코팅하여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중합용액은 메탄올, 물 등의 용매에 상기 비닐계 단량체를 혼합하고, 자외선 빛을 받으면 비닐계 단량체의 중합을 유도하는 광개시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광개시제로 벤조페논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중합용액은 스프레이 코팅 등의 통상적인 다양한 용액 코팅 방법을 이용해 상기 고분자 여과소재에 코팅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 여과소재를 중합용액에 침적하는 방법을 이용해 상기 고분자 여과소재에 중합용액을 코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중합 공정을 유도하기 위해서 자외선을 공급하는 광원은 최근 가로등용 또는 어선용으로 시판되는 수은램프 등을 제한받지 않고 사용 가능하지만, 400W 이상의 등급을 갖는 램프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있으며, 광조사 효율을 고려하여 상기 중합용액이 코팅된 고분자 여과소재 표면과 램프와의 거리는 10 cm 이내로 설정하여 광중합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 공정은 50 내지 80 ℃의 온도조건에서 20 내지 300분 동안 자외선을 조사해 광중합 공정을 수행하여 20 내지 100%의 중합률을 갖는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한 바와 같은 광중합 공정을 이용한 그래프트 중합체의 제조는 중합용액의 흡수(또는 도포)과정과 자외선 조사과정을 반복하여 적정한 중합율을 갖는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중합용액은 70 내지 90 부피%의 물, 10 내지 30 부피%의 메탄올을 혼합한 혼합용액을 사용하고, 상기 혼합용액은 0.1 내지 1 중량%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며, 80 내지 97 부피%의 상기 혼합용액에 3 내지 20 부피%의 비닐계 단량체를 혼합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b)는 상기 그래프트 중합체를 개질하여 그래프트 중합체의 사슬에 항균관능기를 도입하는 단계로서, 상기와 같이 광중합 공정으로 제조한 그래프트 중합체는 사용된 비닐계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 그 자체만으로도 항균성을 가질 수 있으나, 그래프트 중합체의 관능기를 화학적으로 개질함으로써, 항균성을 더욱 향상시켜, 우수한 항균성을 갖는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개질공정은, 그래프트 중합체의 관능기에 은(Ag), 구리(Cu) 또는 티탄(Ti) 이온 등의 항균성 무기 이온을 도입하거나, 상기 그래프트 중합체의 관능기를 아민화, 사차암모늄염화 또는 술폰화하는 항균성 유기 관능기를 도입시킴으로써, 그래프트 중합체의 항균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항균성 무기이온으로 은(Ag), 구리(Cu), 티탄(Ti) 등 항균기능성이 알려진 무기이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지만, 항균효과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할 때 은(Ag) 이온을 바람직하게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민화는 아민기를 포함하는 탄화수소화합물이면 제한받지 않고 그래프트 중합체 관능기의 아민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개질공정과 효율, 생산품의 항균효과 등을 고려할 때, 에틸아민,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이 바람직하며, 사차암모늄염화를 위해서는, 알킬할로겐화물이면 제한받지 않고 아민기의 사차암모늄염화를 위해 사용할 수 있으나, 사차화 효율 및 항균효과 측면에서 메틸기, 에틸기 또는 벤질기 등과 같은 짧은 사슬의 알킬기를 갖는 염화물이나 요오드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술폰화는 황산, 발연 삼산화황, 아황산나트륨, 클로로황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그래프트 중합체 관능기의 술폰화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질공정은, 상기 광그래프트 중합체를 개질용액에 침적하고, 20 내지 80 ℃의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반응시켜 상기 광그래프트 중합체의 관능기를 개질할 수 있으며, 개질이 완료된 후, 상기 그래프트 중합체를 증류슈, 메탄올 또는 아세톤 등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거쳐 우수한 항균성을 갖는 광그래프트 중합체인 항균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필터의 제조방법은, 카르복시기, 이미다졸기, 아민기, 벤질기, 에폭시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를 고분자 여과소재 표면에 광중합하여 고분자 여과소재 및 비닐계 단량체를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일체화한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고, 제조한 그래프트 중합체 사슬의 관능기를 개질하여 은 이온 등의 금속 이온을 고정화하거나, 아민기, 술폰기, 사차암모늄염기 등의 항균관능기를 도입함으로써, 화학적 내구성과 항균성이 우수하여 항균제의 용출을 최소화하고, 생물막의 생성을 억제하여 장기간 효과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항균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필터의 제조방법은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조성을 갖는 항균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아크릴산,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질산은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은 이온을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박막여과지에 아크릴산,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질산은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은 이온을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1-비닐이미다졸,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질산은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은 이온을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1-비닐이미다졸,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클로로황산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술폰기를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1-비닐이미다졸,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요오드화메틸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사차암모늄염을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비닐벤질클로라이드(클로로메틸스티렌),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클로로황산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술폰기를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비닐벤질클로라이드,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에틸렌디아민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에틸렌디아민을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클로로황산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술폰기를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에틸렌디아민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에틸렌디아민을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항균관능기가 도입된 고분자 여과소재 및 비닐계 단량체의 그래프트 중합체인 다양한 항균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해 제조되어, 항균관능기가 도입된 고분자 여과소재 및 비닐계 단량체의 그래프트 중합체를 포함하는 항균필터를 제공한다.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한 항균필터는, 내구성과 항균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공기청정기, 제습기, 에어컨 등의 공기필터로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 항균필터는 항균제의 용출이 최소화되어 화학적 내구성 또한 우수함에 따라 정수는 물론 빗물 및 하폐수 처리용 등의 여과장치에 수처리용 항균필터로 유용하게 이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아래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1>
1.0 중량%의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 20 부피% 및 단량체로 아크릴산 10 부피% 및 증류수 70 부피%를 혼합하여 제조한 중합용액에 폴리프로필렌 부직포(180g/m2, 두께 2 mm, 12D spunbond)를 침적하고, 60℃에서 60분간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가 완료된 후, 중합용액으로부터 부직포를 꺼내 온수로 세척하였으며, 메탄올로 2시간 이상 속시렛 추출(soxhlet extraction)하여 부직포에 잔류하는 미반응 단량체 및 단일중합체를 제거하고, 60 ℃에서 건조하여 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1.0 중량%의 질산은(AgNO3)을 포함하는 메탄올 용액에 침적하고, 상온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켜 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은 이온을 도입하였으며, 반응종료 후 메탄올로 세척하여 그래프트 중합체에 잔류하는 미반응 질산은을 제거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여 은(Ag) 이온이 도입된 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4중량% 수소화붕소나트륨(NaBH4) 용액에 2시간 동안 침적시켜 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도입된 은 이온을 환원시켜 항균성 여과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아크릴산을 4부피%를 혼합하여 제조한 중합용액에 폴리프로필렌 박막 여과지(공경 0.45㎛)를 침적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성 박막 여과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단량체로 1-비닐이미다졸 5부피%를 혼합하여 제조한 중합용액을 사용하여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고, 80℃에서 4시간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1-비닐이미다졸의 이미다졸기에 나노은이 결합된 항균성 여과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5 부피%의 클로로황산(ClSO3H)을 포함하는 이염화에탄올 용액에 침적하고 상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아세톤과 증류수로 충분히 세척하고 건조하여, 이미다졸기에 술폰기가 도입된 항균성 여과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10 부피%의 요오드화메틸(CH3I)을 포함하는 메탄올 용액에 침적하고 상온에서 5시간 반응시킨 후, 메탄올과 증류수로 충분히 세척하고 건조하여, 이미다졸기를 사차암모늄염화시킨 항균성 여과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0.2중량%의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 20 부피% 및 단량체로 비닐벤질클로라이드(클로로메틸스티렌) 6부피%를 혼합한 중합용액을 사용하여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고, 60℃에서 3시간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닐벤질클로라이드의 벤질기에 술폰기가 도입된 항균성 여과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에틸렌디아민용액에 침적하고 60℃에서 2시간 반응시켜 벤질클로라이드기의 아민화를 유도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여 미반응 아민용액을 제거하고 건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벤질클로라이드기에 아민기가 도입된 항균성 여과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단량체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혼합한 중합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고, 이 중합체를 10질량% 아황산나트륨 용액에 침적하고 80 ℃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에폭시기에 술폰기가 도입된 항균성 여과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8과 동일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민화하여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에폭시기에 아민기가 도입된 항균성 여과소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은 이온을 도입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나노은을 도입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벤질기를 도입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의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술폰기를 도입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폴리프로필렌의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고, 이 중합체를 3부피%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PHMG) 용액에 침적시켜 40℃에서 5시간 반응시킨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건조하는 방법으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에폭시기와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이 결합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항균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여과소재에 대하여 항균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그래프트율 및 2차 화학적 개질반응을 통해 도입된 추가관능기의 밀도와 함께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무처리 여과소재를 대조군으로 하여 항균성을 분석하였다.
상기 항균성 시험은 한국산업규격의 텍스타일 재료의 항균성 시험방법(K 0693-2001)에 준거하여 수행하였으며,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KCCM 11335)과 대장균(Escherichia coli KCCM 11234)을 시험균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하기의 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제조한 여과소재의 항균성(정균감소율)을 분석하였다.
[식 1]
항균성(정균감소율%) = [(대조편의 18시간 배양 후 생균수 - 시험편의 18시간 배양 후 생균수)/대조편의 18시간 배양 후 생균수] × 100
Figure 112016073566480-pa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9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 여과소재는 모두 황색포도상구균과 대장균에 높은 항균효과(99% 이상)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에, 비교예 1 내지 5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그래프트 중합체들은 모두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 여과소재들보다 항균효과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항균효과의 지속성 평가
제조한 항균성 여과소재가 갖는 항균효과의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예 3 내지 5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 여과소재 및 비교예 2의 그래프트 중합체의 항균효과의 지속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항균효과의 지속성 평가는 항균성 평가-살균재생 과정을 반복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항균효과의 지속성 평가에 사용한 검체는 75% 에탄올 용액에 침적하고 교반(120 rpm, 5분, 3회 반복)하여 살균 처리하고 건조한 다음, 항균성 평가의 검체로 반복 재사용하였다.
Figure 112016073566480-pa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3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그래프트 중합체는 3회 이상 반복 사용한 후에는 항균효과가 급격히 감소된 반면, 실시예 3 내지 5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항균 소재는 10회의 반복 사용한 후에도 높은 항균효과를 유지하고 있어, 항균 활성이 우수해 수처리를 위한 다양한 분야에 효과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6)

  1. (a) 고분자 여과소재에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고분자 여과소재 및 비닐계 단량체의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그래프트 중합체를 개질하여 항균관능기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i) 내지 (vii)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항균필터의 제조방법:
    (i)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1-비닐이미다졸,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질산은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은 이온을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필터의 제조방법,
    (ii)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1-비닐이미다졸,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클로로황산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술폰기를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필터의 제조방법,
    (iii)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1-비닐이미다졸,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요오드화메틸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사차암모늄염을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1-비닐이미다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필터의 제조방법,
    (iv)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비닐벤질클로라이드(클로로메틸스티렌),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클로로황산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술폰기를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필터의 제조방법,
    (v)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비닐벤질클로라이드,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에틸렌디아민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에틸렌디아민을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필터의 제조방법,
    (vi)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클로로황산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술폰기를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필터의 제조방법, 및
    (vii)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증류수 및 벤조페논이 용해되어 있는 메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에 에틸렌디아민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코팅하여 에틸렌디아민을 항균관능기로 도입한 비닐벤질클로라이드-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필터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항균관능기가 도입된 고분자 여과소재 및 비닐계 단량체의 그래프트 중합체를 포함하는 항균필터.
KR1020160096182A 2016-07-28 2016-07-28 항균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필터 KR101856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182A KR101856572B1 (ko) 2016-07-28 2016-07-28 항균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182A KR101856572B1 (ko) 2016-07-28 2016-07-28 항균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063A KR20180013063A (ko) 2018-02-07
KR101856572B1 true KR101856572B1 (ko) 2018-05-10

Family

ID=61204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182A KR101856572B1 (ko) 2016-07-28 2016-07-28 항균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5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605B1 (ko) 2022-07-12 2023-05-10 (주)다모아테크 천일염을 이용한 항균필터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499B1 (ko) * 2018-08-14 2019-04-19 (주)한길산업 악취제거용 흡착탈취제와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흡착탈취제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JP7113866B2 (ja) * 2020-05-26 2022-08-05 株式会社荏原製作所 金属担持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触媒、不飽和化合物の水素化方法、並びに炭素-窒素結合の形成方法
CN115028923B (zh) * 2021-03-08 2024-02-13 嘉瑞塑胶科技有限公司 防细菌聚合物复合材料
CN114635311B (zh) * 2022-04-06 2023-06-20 济南市农产品质量安全中心 一种抗菌水帘纸及制备方法和应用
CN115073900A (zh) * 2022-06-09 2022-09-20 合肥工业大学 一种高强高韧长效抗菌的聚乳酸共混复合材料及制备方法与应用
WO2024080823A1 (ko) * 2022-10-13 2024-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항균 수지, 항균 수지 형성용 조성물 및 항균 수지를 포함하는 성형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949B1 (ko) * 2014-10-07 2015-10-14 (주) 시온텍 부직포형 이온교환섬유의 제조방법
KR101586769B1 (ko) 2013-12-23 2016-01-20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고분자 지지체를 이용한 박형 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769B1 (ko) 2013-12-23 2016-01-20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고분자 지지체를 이용한 박형 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
KR101559949B1 (ko) * 2014-10-07 2015-10-14 (주) 시온텍 부직포형 이온교환섬유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환경공학회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605B1 (ko) 2022-07-12 2023-05-10 (주)다모아테크 천일염을 이용한 항균필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063A (ko)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572B1 (ko) 항균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필터
Puoci et al. Polymer in agriculture: a review
El-Mehalmey et al. Strong interplay between polymer surface charge and MOF cage chemistry in mixed-matrix membrane for water treatment applications
US5011602A (en) Antibacterial material for water
CA2863060C (en) Resilient cation exchange membranes prepared by polymerizing ionic surfactant monomers
US9592489B2 (en) Metal-adsorbing gel and adsorbent supporting metal-adsorbing gel
CN103349922B (zh) 芳香聚酰胺反渗透复合膜表面功能化的方法
CN109569331A (zh) 一种亲水性抗菌滤膜的制备方法
JP2021512208A (ja) ポリアニリン導電性高分子に有機酸及び金属イオンが一定の順でドープされる、抗菌および重金属除去用ポリアニリン複合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ポリアニリン複合体
Nan et al. Preparation of superhydrophilic adsorbents with 3DOM structure by water-soluble colloidal crystal templates for boron removal from natural seawater
Hu et al. Biomimetic polylactic acid electrospun fibers grafted with polyethyleneimine for highly efficient methyl orange and Cr (VI) removal
Vatanpour et al. Polyacrylonitrile in the Preparation of Separation Membranes: A Review
Yan et al. The surface modification of zeolite 4A and its effect on the water-absorption capability of starch-g-poly (acrylic acid) composite
JP2011156519A (ja) 高分子水処理膜、水処理方法及び高分子水処理膜のメンテナンス方法
CN105330787A (zh) 一种用于吸附重金属的水凝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2009007728A (ja) アミノ基含有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繊維を含む繊維構造物
CN1400355A (zh) 表面接枝抗菌单体的高分子灭菌纤维的制备方法
Sasidharan et al. Nanochitosan impregnated polyurethane foam in the removal of phosphate and coliforms from greywater
JP4875025B2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成形物
KR101673928B1 (ko) 폴리케톤 양이온 교환막 및 이의 제조방법
Liu et al. Antibacterial modification of microcrystalline cellulose by grafting copolymerization
US20180079661A1 (en) Polymer and polymer loaded materials for scavenging environmental pollutants from natural water sources
EP3938449A1 (de) Partikel mit biozider beschichtung
JP6172671B2 (ja) 環境にやさしいアニオン交換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915980A (zh) 基于双驱动自组装法的酚类吸附膜及其废水净化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