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077B1 - 예취실린더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예취실린더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077B1
KR101855077B1 KR1020180042767A KR20180042767A KR101855077B1 KR 101855077 B1 KR101855077 B1 KR 101855077B1 KR 1020180042767 A KR1020180042767 A KR 1020180042767A KR 20180042767 A KR20180042767 A KR 20180042767A KR 101855077 B1 KR101855077 B1 KR 101855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er
cutting cylinder
cutting
net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9612A (ko
Inventor
강영선
최진수
김수경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2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077B1/ko
Publication of KR20180039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52Anti-dus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6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clean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통형 콤바인에서 콩과 같은 작물 수확 시 발생하는 이물질에 의하여 예취실린더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콤바인은, 작물을 예취하기 위한 예취부(4)와, 상기 예취부에서 예취된 작물을 이송하기 위한 피더(10), 그리고 상기 피더를 통하여 예취부를 콤바인의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승하기시키기 위한 예취실린더(30)를 구비한다. 그리고 보호장치는, 피더(1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피더케이싱(12)과; 상기 피더케이싱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고,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다수의 배출공을 가지는 배진망(14); 그리고 상기 예취실린더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배진망을 통하여 배출되는 이물질이 예취실린더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재(20)로 구성된다. 이러한 보호부재(20)는 가로 방향의 종단면이 삿갓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배진망과는 선접촉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예취실린더 보호장치{Device for protecting cylinder for cutting portion}
본 발명은 콤바인의 예취부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취부를 승하강시키는 예취실린더가 수확되는 대상 작물의 처리 또는 이송 도중에 발생하는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에도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콤바인의 예취실린더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예취된 작물 전체를 탈곡 장치로 이송시켜, 탈곡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보통형 콤바인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은, 콤바인 전체의 주행을 위한 주행부(2)와, 재배지에서 성장한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4), 그리고 이러한 예취부(4)에서 절단된 작물의 탈곡을 수행하는 탈곡부(6)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행부(2)는 통상 한 쌍의 크롤러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주행부(2)는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본체 프레임은 엔진 및 트랜스미션은 물론이고, 여기서 설명하는 예취부(4), 주행부(2), 그리고 탈곡부(6) 등을 지지하는 기본적인 지지구조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 프레임에 지지되는 예취부(4)는 작물의 줄기를 절단하는 예취 작업을 위한 것으로,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예취부(4)에서 예취된 곡간은 피더(10)를 통하여 탈곡부(6)로 이송된다. 상기 탈곡부(6)는 예취된 곡간에서 곡립을 분리하는 탈곡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탈곡부(6)에서 탈곡된 곡간은 도시하지 않은 이송장치를 통하여 곡립탱크(8)로 이송된다. 곡립탱크(8)에 저장되는 곡립은 배출오거(8a)를 통하여 트럭 등과 같은 이송수단으로 옮겨진다.
그리고 상기 피더(10)는, 예취부(4)에서 예취된 곡간을 탈곡부(6)로 이송시키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곡간을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어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예취부(4)는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예취부(4)는,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라고 할 수 있는 예취실린더가 상기 예취부(4)를 승하강 가능하도록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예취실린더는, 도 1에서 상기 피더(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도시되고 있지는 않다.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보통형 콤바인은, 다양한 작물에 대한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벼, 보리는 물론이고 콩, 유채 등과 같은 다양한 작물의 수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작물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작물에 적절한 부수적인 장비가 필요하기도 하고, 부분적으로 콤바인의 구조 변경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콩을 수확하는 경우에는, 콩에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상당량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피더(10)의 저면에는 망 형상으로 구성되는 배진망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피더(10)의 저면에는 일정한 부분이 착탈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부분을 분리한 후 망 형상을 가지는 배진망을 부착함으로써, 콩의 수확 시 발생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피더(10)의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피더(10)의 하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취부(4)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예취실린더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피더(10)의 하방으로 배출되는 이물질이 예취실린더 부근으로 집중적으로 떨어지게 되어, 예취실린더를 오염시킬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예취실린더의 경우, 유압실린더의 내부로 출입하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물질이 다수 예취실린더 측으로 떨어지면 상대 운동하는 피스톤을 통한 예취실린더의 오염이 우려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예취부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예취실린더가 수확물에서 발생하는 이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예취실린더를 장기간에 걸쳐 동작 신뢰성을 유지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콤바인 자체의 수명 및 동작 신뢰도 등을 향상시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물을 예취하기 위한 예취부와, 상기 예취부에서 예취된 작물을 이송하기 위한 피더, 그리고 상기 피더를 통하여 예취부를 콤바인의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승하기시키기 위한 예취실린더를 구비하는 보통형 콤바인에서, 상기 피더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피더케이싱과; 상기 피더케이싱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고,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다수의 배출공을 가지는 배진망; 그리고 상기 예취실린더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배진망을 통하여 배출되는 이물질이 예취실린더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재로 구성되는 예취실린더 보호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부재는 가로 방향의 종단면이 삿갓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배진망과는 선접촉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피더케이싱의 저면에 설치되는 배진망에서 낙하는 이물질이 보호부재에 의하여 예취실린더에 직접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에 의하여,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실린더는 수확하는 작물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에 대하여 충분히 보호될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는 장기간에 걸친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등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보통형 콤바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요부 측면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콤바인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을 같이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배한 작물의 줄기를 절단하는 예취부(4)의 후방에는 피더(1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피더(10)는, 피더케이싱(12)과, 상기 피더케이싱(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예취된 작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어를 포함하는 이송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피더케이싱(12)의 저면에는, 망 형상의 배진망(14)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진망(14)은 콩의 수확 시 발생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콩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피더케이싱(12)의 저면에 배진망(14)를 설치함으로써, 수확된 콩의 예취 및 이송 시 발생하는 이물질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배진망(14)은, 피더케이싱(12)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고,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다수의 배출공을 가지는 망 또는 메쉬 형태로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콩이 아닌 다른 작물, 즉 이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작물의 수확 시에는, 상기 배진망(14)을 분리하고,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판을 장착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배진망(14)은 예를 들면 다수의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피더케이싱(12)의 저면 중에서 비어 있는 부분을 막을 수 있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진망(14)의 하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예취실린더(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예취실린더(30)는 콤바인의 본체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피더(10)를 포함하는 예취부(4)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예취실린더(30)는 전후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그 구동에 의하여 예취부(4)가 회동하면서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상기 배진망(1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콩 등과 같이 이물질의 발생이 많은 작물을 수확할 때, 선택적으로 피더케이싱(12)의 저면에 장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능하면 배진망(14)의 구멍을 막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상기 배진망(14)은 실질적으로 피더케이싱(12)의 저면에서 좌우폭 전체에 대응하는 폭(좌우 방향의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배진망(14)의 구멍이 조금이라도 막히게 되면, 실질적으로 이물질의 배출 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한 것은 당연하다.
또한 이와 같이 이물질의 배출에 최대한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과 동시에, 배진망(14)의 하부에 위치하는 예취실린더(30)로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진망(14)의 전후 방향(주행 방향)에서, 상기 예취실린더(30)의 직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호부재(20)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보호부재(20)는, 예취실린더(30)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배진망(14)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배진망(14)을 통하여 하강하는 이물질이 예취실린더(30)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보호부재(20)는 배진망(14)을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하는 이물질이 예취실린더(30)의 상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예취실린더(30)가 이물질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호부재(20)는 전후 방향을 따르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재(20)는 배진망(14)의 배진 구멍을 가능하면 막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부재(20)가 배진망(14)을 통한 이물질의 배출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단면이 삿갓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하고 있다.
도 2에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례에서의 보호부재(20)는 가로 방향 종단면이 삿갓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부재(20)의 상단부가 배진망에 접촉할 때 면 접촉 보다는 선접촉에 가까운 형상으로 접촉하게 됨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접촉 형태를 통하여 배진망(14)을 통하여 이물질의 배출을 최대한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보호부재(20)는 어떠한 형태로 배진망(14)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례에서는 보호부재(20)가 배진망(14)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중간프레임(16) 등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보호부재(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적 범위 내에서, 배진망(14)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물질의 발생이 많은 작물을 수확하는 경우, 배진망(14)을 피더케이싱(12)의 저면에 설치하는데, 이러한 배진망(14)에는 이물질이 예취실린더(30)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부재(20)를 기본적인 기술적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바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자명하다고 할 수 있다.
4 ..... 예취부
10 ..... 피더
12 ..... 피더케이싱
14 ..... 배진망
20 ..... 보호부재
30 ..... 예취실린더

Claims (1)

  1. 작물을 예취하기 위한 예취부와, 상기 예취부에서 예취된 작물을 이송하기 위한 피더, 그리고 상기 피더를 통하여 예취부를 콤바인의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승하강시키기 위하여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예취실린더를 구비하는 보통형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피더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피더케이싱과;
    상기 피더케이싱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고,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다수의 배출공을 가지며, 상기 예취실린더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배진망; 그리고
    상기 예취실린더의 상부에 대응하는 배진망의 전후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대하여 설치되어, 배진망을 통하여 배출되는 이물질이 예취실린더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보호부재는, 가로 방향의 종단면이 삿갓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되고, 배진망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중간프레임에 고정되는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실린더 보호장치.
KR1020180042767A 2018-04-12 2018-04-12 예취실린더 보호장치 KR101855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767A KR101855077B1 (ko) 2018-04-12 2018-04-12 예취실린더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767A KR101855077B1 (ko) 2018-04-12 2018-04-12 예취실린더 보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476A Division KR101851451B1 (ko) 2016-07-13 2016-07-13 예취실린더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612A KR20180039612A (ko) 2018-04-18
KR101855077B1 true KR101855077B1 (ko) 2018-05-09

Family

ID=62082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767A KR101855077B1 (ko) 2018-04-12 2018-04-12 예취실린더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0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5424Y2 (ja) 1992-03-30 1999-05-3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3425678B2 (ja) 1994-07-05 2003-07-14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普通形コンバイン
JP4885750B2 (ja) 2007-01-26 2012-02-29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756364B2 (ja) 2011-07-26 2015-07-29 株式会社クボタ 普通型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5424Y2 (ja) 1992-03-30 1999-05-3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3425678B2 (ja) 1994-07-05 2003-07-14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普通形コンバイン
JP4885750B2 (ja) 2007-01-26 2012-02-29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756364B2 (ja) 2011-07-26 2015-07-29 株式会社クボタ 普通型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612A (ko)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3431B2 (en) Agricultural harvester concave clamping system
JP2012060955A (ja) コンバインの排気構造
JP2017038578A (ja) コンバイン
KR101851451B1 (ko) 예취실린더 보호장치
JP2012060956A (ja) コンバインの排気構造
US10159192B2 (en) Transition cone liner for a farm combine
KR101855077B1 (ko) 예취실린더 보호장치
KR101300922B1 (ko) 탈곡 장치
JP4945984B2 (ja) コンバイン
JP2013027317A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6947622B2 (ja) コンバイン
JP6717738B2 (ja) コンバイン
EP2073623B1 (fr) Dispositif de recuperation de la menue paille sur une moissonneuse batteuse
JP6257492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
JP2016178872A (ja) コンバイン
JP6770934B2 (ja) 脱穀装置
JP2017046609A (ja) コンバイン
JP2020039294A (ja) コンバイン
JP3833158B2 (ja) コンバインの燃料タンク構造
CN205320578U (zh) 联合收割机
JP2017148000A (ja) 汎用コンバイン
JP2020178577A (ja) 汎用コンバイン
JP2021052648A (ja) 汎用コンバイン
JPH0928158A (ja) コンバインの穀稈引起装置
JP2000060285A (ja) 作業車の穀粒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