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075B1 -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075B1
KR101855075B1 KR1020130093393A KR20130093393A KR101855075B1 KR 101855075 B1 KR101855075 B1 KR 101855075B1 KR 1020130093393 A KR1020130093393 A KR 1020130093393A KR 20130093393 A KR20130093393 A KR 20130093393A KR 101855075 B1 KR101855075 B1 KR 101855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time difference
motors
unit
differen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7465A (ko
Inventor
정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30093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075B1/ko
Publication of KR20150017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스위칭부와; 스위칭부의 스위칭 연결 동작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구동시킬 때에,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서로 다른 시간차를 두고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of vehicle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는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배터리와 퓨즈 및 ECU(Electric Control Unit, 106a)를 포함하여 제공되었다.
그런데, 종래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는 모터중 후륜 우측 MOC(Motor on Caliper) 모터와 후륜 좌측 MOC(Motor on Caliper) 모터에 전원을 공급할 때에, 후륜 우측 MOC(Motor on Caliper) 모터 및 후륜 좌측 MOC(Motor on Caliper) 모터간의 Inrush 전류가 겹치면서 동작하므로, 별도의 추가 부품으로 Inrush 전류가 겹치는 동작을 억제시킬 필요가 있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는데에 한계가 있으면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최근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면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유도하여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서로 다른 시간차를 두고 구동시키므로,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의 Inrush 전류가 겹치지 않도록 동작할 수가 있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면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는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시간차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을 오프시킨 후 초기화시키므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는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시간차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므로,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유도할 수가 있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시간차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날 경우,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시키므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공급할 수가 있는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시킬 때에,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는 상황임을 식별시키므로,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유도할 수가 있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시킬 때에,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됨을 식별시키므로,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유도할 수가 있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스위칭부와; 스위칭부의 스위칭 연결 동작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구동시킬 때에,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서로 다른 시간차를 두고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부는 기준 시간차 범위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가 서로 다른 시간차를 두고 구동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감지부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어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을 오프시킨 후 초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어부는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부에서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시킬 때에,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는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2 식별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부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여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시킬 때에,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됨을 식별시키는 제 3 식별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스위칭부는 퓨즈(FUSE)와 MOSFET(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및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와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및 GTO(Gate Turn-Off) thyristor와 MCT(MOS Controlled Thyristor)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부에서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스위칭 단계; 및 스위칭부의 스위칭 연결 동작에 의해 제어부에서 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구동시킬 때에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서로 다른 시간차를 두고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모터 구동 단계는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가 서로 다른 시간차를 두고 구동되는지를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감지 단계를 더 수행하고; 감지부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가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에서 판단하는 판단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모터 구동 단계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어부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을 오프시킨 후 초기화시키는 모터 동작 오프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모터 구동 단계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 1 식별부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모터 구동 단계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어부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을 오프시키는 모터 동작 오프 단계를 더 수행하고; 모터 동작 오프 단계 이후에, 제 1 식별부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모터 구동 단계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 1 식별부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하고; 제 1 식별 단계 이후에, 제어부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을 오프시킨 후 초기화시키는 모터 동작 오프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모터 구동 단계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어부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을 오프시킨 후 초기화시키는 모터 동작 오프 단계를 더 수행하고; 모터 동작 오프 단계와 동기화되되, 제 1 식별부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모터 구동 단계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어부에서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시키는 모터 시간차 조절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모터 구동 단계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 1 식별부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하고; 제 1 식별 단계 이후에, 제어부에서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시키는 모터 시간차 조절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모터 구동 단계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 1 식별부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하고; 제 1 식별 단계와 동기화되되, 제어부에서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시키는 모터 시간차 조절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모터 구동 단계는 제어부에서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시킬 때에, 제 2 식별부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는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2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모터 구동 단계는 제어부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여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시킬 때에, 제 3 식별부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됨을 식별시키는 제 3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공급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서로 다른 시간차를 두고 구동시키므로,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의 Inrush 전류가 겹치지 않도록 동작할 수가 있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면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서로 다른 시간차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을 오프시킨 후 초기화시키므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셋째, 서로 다른 시간차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므로,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유도할 수가 있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넷째, 서로 다른 시간차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날 경우,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시키므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공급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다섯째,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시킬 때에,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는 상황임을 식별시키므로,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유도할 수가 있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여섯째,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시킬 때에,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됨을 식별시키므로,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유도할 수가 있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에 제 1 모터와 제 2 모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다른 일예로 나타낸 등가 회로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제어부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서로 다른 시간차를 두고 구동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에 제 1 모터와 제 2 모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다른 일예로 나타낸 등가 회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제어부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서로 다른 시간차를 두고 구동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02)와 스위칭부(104) 및 제어부(106)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02)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공되고, 스위칭부(104)는 전원 공급부(10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102)는 배터리(102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스위칭부(104)는 전원 공급부(10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퓨즈(FUSE , 104a)를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스위칭부(104)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원 공급부(10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MOSFET(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미도시) 및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미도시)와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미도시) 및 GTO(Gate Turn-Off) thyristor(미도시)와 MCT(MOS Controlled Thyristor, 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스위칭부(104)는 스위칭 동작시의 스위칭 손실율을 고려하면서, 전력공급시에 스위칭 동작 전압을 효율적으로 공급하여 소비전력을 낮출 수가 있게 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6)는 스위칭부(104)의 스위칭 연결 동작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구동시킬 때에,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서로 다른 시간차(t1, t2)를 두고 구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6)는 차량에 적용되는 메인 컴퓨터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ECU(Electric Control Unit, 106a)를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06)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일 칩 내부에 프로세서와 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를 갖춰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일예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104)는 40A용 퓨즈(FUSE, 104a)로 제공되고, 제어부(106)는 ECU(Electric Control Unit, 106a)로 제공되어 Inrush 전류가 25A까지 상승할 때에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서로 다른 시간차(t1, t2)를 두고 구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서로 다른 시간차(t1, t2)는 "t2 - t1 = 200㎲" 의 상관 관계로 설정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는 제 1 모터(10a) 및 제 2 모터(10b)를 포함할 수가 있고, 제 1 모터(10a)는 후륜 우측 MOC(Motor on Caliper) 모터일 수가 있으며, 제 2 모터(10b)는 후륜 좌측 MOC(Motor on Caliper) 모터일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를 이용하여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5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 내지 도3의 1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500)은 스위칭 단계(S502) 및 모터 구동 단계(S504)를 포함한다.
먼저, 스위칭 단계(S502)는 전원 공급부(도2의 10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부(도2의 104)에서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이 후, 모터 구동 단계(S504)는 스위칭부(도2의 104)의 스위칭 연결 동작에 의해 제어부(도2의 106)에서 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도2의 106)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1 내지 도4의 10: 10a, 10b)를 구동시킬 때에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1 내지 도4의 10: 10a, 10b)를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500)은 전원 공급부(102)와 스위칭부(104) 및 제어부(106)를 포함하여 스위칭 단계(S502) 및 모터 구동 단계(S504)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500)은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서로 다른 시간차 (t1, t2)를 두고 구동시키므로,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의 Inrush 전류가 겹치지 않도록 동작할 수가 있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면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6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와 동일하게 전원 공급부(102)와 스위칭부(104) 및 제어부(60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6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600)는 감지부(608)와 판단부(610)를 더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600)의 제어부(606)는 기준 시간차 범위를 더 포함한다.
즉, 감지부(608)는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되는지를 감지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감지부(608)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되는지를 감지하도록 통상적인 시간 차 측정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판단부(610)는 감지부(608)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606)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판단부(6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량에 적용되는 메인 컴퓨터로 감지부(608)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ECU(Electric Control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판단부(610)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일 칩 내부에 프로세서와 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를 갖춰 감지부(608)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어부(606)는 판단부(610)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을 오프시킨 후 초기화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600)를 이용하여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7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6 의 6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70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의 1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도5의 500)과 동일하게 스위칭 단계(S502)와 모터 구동 단계(S704)를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6의 6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7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의 1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도5의 5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6의 6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700)중 모터 구동 단계(S704)는 감지 단계(S704c)와 판단 단계(S704e) 및 모터 동작 오프 단계(S704g)를 더 수행한다.
먼저, 감지 단계(S704c)는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6의 10: 10a, 10b)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S704a)되는지를 감지부(도6의 608)에서 감지한다.
이 후, 판단 단계(S704e)는 감지부(도6의 608)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제어부(도6의 606)에 설정된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도6의 6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6의 610)에서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모터 동작 오프 단계(S704g)는 제어부(도6의 6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6의 610)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어부(도6의 606)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6의 10: 10a, 10b) 동작을 오프시킨 후 초기화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6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700)은 전원 공급부(102)와 스위칭부(104) 및 제어부(606)와 감지부(608) 및 판단부(610)를 포함하여 스위칭 단계(S502) 및 모터 구동 단계(S704)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6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700)은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서로 다른 시간차 (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시키므로,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의 Inrush 전류가 겹치지 않도록 동작할 수가 있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면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6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700)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을 오프시킨 후 초기화시키므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제 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8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와 동일하게 전원 공급부(102)와 스위칭부(104) 및 제어부(80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8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800)는 감지부(808)와 판단부(810) 및 제 1 식별부(812)를 더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800)의 제어부(806)는 기준 시간차 범위를 더 포함한다.
즉, 감지부(808)는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되는지를 감지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감지부(808)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되는지를 감지하도록 통상적인 시간 차 측정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판단부(810)는 감지부(808)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806)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판단부(8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량에 적용되는 메인 컴퓨터로 감지부(808)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ECU(Electric Control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판단부(810)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일 칩 내부에 프로세서와 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를 갖춰 감지부(808)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식별부(812)는 제어부(8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810)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식별부(81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피커(미도시)와 발광 부재(미도시) 및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과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 및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의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의 HUD(Head-UP Display)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800)를 이용하여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9와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8 의 8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90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의 1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도5의 500)과 동일하게 스위칭 단계(S502)와 모터 구동 단계(S904)를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8의 8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9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의 1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도5의 5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8의 8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900)중 모터 구동 단계(S904)는 감지 단계(S904c)와 판단 단계(S904e) 및 제 1 식별 단계(S904h)를 더 수행한다.
먼저, 감지 단계(S904c)는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8의 10: 10a, 10b)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S904a)되는지를 감지부(도8의 808)에서 감지한다.
이 후, 판단 단계(S904e)는 감지부(도8의 808)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제어부(도8의 806)에 설정된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도8의 8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8의 810)에서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제 1 식별 단계(S904h)는 제어부(도8의 8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8의 810)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 1 식별부(도8의 812)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8의 10: 10a, 10b)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8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900)은 전원 공급부(102)와 스위칭부(104) 및 제어부(806)와 감지부(808) 및 판단부(810)와 제 1 식별부(812)를 포함하여 스위칭 단계(S502) 및 모터 구동 단계(S904)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8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900)은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서로 다른 시간차 (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시키므로,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의 Inrush 전류가 겹치지 않도록 동작할 수가 있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면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8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900)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므로,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유도할 수가 있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제 4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와 동일하게 전원 공급부(102)와 스위칭부(104) 및 제어부(100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0)는 감지부(1008)와 판단부(1010) 및 제 1 식별부(1012)를 더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0)의 제어부(1006)는 기준 시간차 범위를 더 포함한다.
즉, 감지부(1008)는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되는지를 감지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감지부(1008)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되는지를 감지하도록 통상적인 시간 차 측정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판단부(1010)는 감지부(1008)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1006)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판단부(10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량에 적용되는 메인 컴퓨터로 감지부(1008)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ECU(Electric Control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판단부(1010)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일 칩 내부에 프로세서와 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를 갖춰 감지부(1008)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식별부(1012)는 제어부(10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1010)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제 1 식별부(101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피커(미도시)와 발광 부재(미도시) 및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과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 및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의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의 HUD(Head-UP Display)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때, 제어부(1006)는 판단부(1010)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을 오프시킨 후 초기화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0)를 이용하여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11내지 도 13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0의 10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1100, 1200, 130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의 1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도5의 500)과 동일하게 스위칭 단계(S502)와 모터 구동 단계(S1104, S1204, S1304)를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0의 10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1100, 1200, 13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의 1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도5의 5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0의 10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1100, 1200, 1300)중 모터 구동 단계(S1104, S1204, S1304)는 감지 단계(S1104c, S1204c, S1304c)와 판단 단계(S1104e, S1204e, S1304e) 및 모터 동작 오프 단계(S1104g, S1204g, S1304g)와 제 1 식별 단계(S1104h, 1204f, S1304h)를 더 수행한다.
먼저, 감지 단계(S1104c, S1204c, S1304c)는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10의 10: 10a, 10b)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S1104a, S1204a, S1304a)되는지를 감지부(도10의 1008)에서 감지한다.
이 후, 판단 단계(S1104e, S1204e, S1304e)는 감지부(도10의 1008)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제어부(도10의 1006)에 설정된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도10의 10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0의 1010)에서 판단한다.
이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동작 오프 단계(S1104g)는 제어부(도10의 10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0의 1010)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어부(도10의 1006)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10의 10: 10a, 10b) 동작을 오프시킨 후 초기화시킨다.
마지막으로, 제 1 식별 단계(S1104h)는 제어부(도10의 10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0의 1010)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 1 식별부(도10의 1012)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10의 10: 10a, 10b)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킨다.
반면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식별 단계(S1204f)는 제어부(도10의 10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0의 1010)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 1 식별부(도10의 1012)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10의 10: 10a, 10b)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킨다.
마지막으로, 모터 동작 오프 단계(S1204g)는 제어부(도10의 10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0의 1010)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어부(도10의 1006)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10의 10: 10a, 10b) 동작을 오프시킨 후 초기화시킨다.
반면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동작 오프 단계(S1304g)는 제어부(도10의 10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0의 1010)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어부(도10의 1006)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10의 10: 10a, 10b) 동작을 오프시킨 후 초기화시킨다.
동시에, 제 1 식별 단계(S1304h)는 제어부(도10의 10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0의 1010)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 1 식별부(도10의 1012)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10의 10: 10a, 10b)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1100, 1200, 1300)은 전원 공급부(102)와 스위칭부(104) 및 제어부(1006)와 감지부(1008) 및 판단부(1010)를 포함하여 스위칭 단계(S502) 및 모터 구동 단계(S1104, S1204, S1304)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1100, 1200, 1300)은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서로 다른 시간차 (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시키므로,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의 Inrush 전류가 겹치지 않도록 동작할 수가 있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면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1100, 1200, 1300)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을 오프시킨 후 초기화시키므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1100, 1200, 1300)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므로,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유도할 수가 있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제 5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4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와 동일하게 전원 공급부(102)와 스위칭부(104) 및 제어부(140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4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400)는 감지부(1408)와 판단부(1410)를 더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400)의 제어부(1406)는 기준 시간차 범위를 더 포함한다.
즉, 감지부(1408)는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되는지를 감지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감지부(1408)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되는지를 감지하도록 통상적인 시간 차 측정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판단부(1410)는 감지부(1408)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1406)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판단부(14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량에 적용되는 메인 컴퓨터로 감지부(1408)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ECU(Electric Control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판단부(1410)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일 칩 내부에 프로세서와 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를 갖춰 감지부(1408)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어부(1406)는 제어부(14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1410)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제어하여 구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400)를 이용하여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15와 같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4의 14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150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의 1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도5의 500)과 동일하게 스위칭 단계(S502)와 모터 구동 단계(S1504)를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4의 14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15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의 1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도5의 5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4의 14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1500)중 모터 구동 단계(S1504)는 감지 단계(S1504c)와 판단 단계(S1504e) 및 모터 시간차 조절 단계(1504k)를 더 수행한다.
먼저, 감지 단계(S1504c)는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14의 10: 10a, 10b)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S1504a)되는지를 감지부(도14의 1408)에서 감지한다.
이 후, 판단 단계(S1504e)는 감지부(도14의 1408)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제어부(도14의 1406)에 설정된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도14의 14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4의 1410)에서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모터 시간차 조절 단계(S1504k)는 제어부(도14의 14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4의 1410)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어부(도14의 1406)에서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14의 10: 10a, 10b)를 제어하여 구동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4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1500)은 전원 공급부(102)와 스위칭부(104) 및 제어부(1406)와 감지부(1408) 및 판단부(1410)를 포함하여 스위칭 단계(S502) 및 모터 구동 단계(S1504)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4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1500)은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서로 다른 시간차 (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시키므로,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의 Inrush 전류가 겹치지 않도록 동작할 수가 있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면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4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1500)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날 경우,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제어하여 구동시키므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제 6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6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와 동일하게 전원 공급부(102)와 스위칭부(104) 및 제어부(160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6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600)는 감지부(1608)와 판단부(1610) 및 제 1 식별부(1612)를 더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600)의 제어부(1606)는 기준 시간차 범위를 더 포함한다.
즉, 감지부(1608)는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되는지를 감지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감지부(1608)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되는지를 감지하도록 통상적인 시간 차 측정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판단부(1610)는 감지부(1608)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1606)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판단부(16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량에 적용되는 메인 컴퓨터로 감지부(1608)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ECU(Electric Control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판단부(1610)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일 칩 내부에 프로세서와 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를 갖춰 감지부(1608)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어부(1606)는 제어부(16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1610)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제어하여 구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제 1 식별부(1612)는 제어부(16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1610)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식별부(161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피커(미도시)와 발광 부재(미도시) 및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과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 및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의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의 HUD(Head-UP Display)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600)를 이용하여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17 및 도18과 같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6의 16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1700, 180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의 1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도5의 500)과 동일하게 스위칭 단계(S502)와 모터 구동 단계(S1704, S1804)를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6의 16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1700, 18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의 1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도5의 5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6의 16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1700, 1800)중 모터 구동 단계(S1704, S1804)는 감지 단계(S1704c, S1804c)와 판단 단계(S1704e, S1804e) 및 제 1 식별 단계(S1704j, S1804j)와 모터 시간차 조절 단계(1704k, S1804k)를 더 수행한다.
먼저, 감지 단계(S1704c, S1804c)는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16의 10: 10a, 10b)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S1704a, S1804a)되는지를 감지부(도16의 1608)에서 감지한다.
이 후, 판단 단계(S1704e, S1804e)는 감지부(도16의 1608)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제어부(도16의 1606)에 설정된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도16의 16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6의 1610)에서 판단한다.
이 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식별 단계(S1704j)는 제어부(도16의 16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6의 1610)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 1 식별부(도16의 1612)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16의 10: 10a, 10b)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킨다.
마지막으로, 모터 시간차 조절 단계(S1704k)는 제어부(도16의 16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6의 1610)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어부(도16의 1606)에서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16의 10: 10a, 10b)를 제어하여 구동시킨다.
반면에,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시간차 조절 단계(S1804k)는 제어부(도16의 16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6의 1610)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어부(도16의 1606)에서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16의 10: 10a, 10b)를 제어하여 구동시킨다.
동시에, 제 1 식별 단계(S1804j)는 제어부(도16의 16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6의 1610)에서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 1 식별부(도16의 1612)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16의 10: 10a, 10b)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6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1700, 1800)은 전원 공급부(102)와 스위칭부(104) 및 제어부(1606)와 감지부(1608) 및 판단부(1610)와 제 1 식별부(1612)를 포함하여 스위칭 단계(S502) 및 모터 구동 단계(S1704, S1804)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6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1700, 1800)은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시키므로,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의 Inrush 전류가 겹치지 않도록 동작할 수가 있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면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6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1700, 1800)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날 경우,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제어하여 구동시키므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6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1700, 1800)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므로,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유도할 수가 있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제 7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900)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400)와 동일하게 전원 공급부(102)와 스위칭부(104) 및 제어부(1406)와 감지부(1408) 및 판단부(14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9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4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900)는 제 2 식별부(1914)를 더 포함한다.
즉, 제 2 식별부(1914)는 제어부(1406)에서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제어하여 구동시킬 때에,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는 상황임을 식별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식별부(191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피커(미도시)와 발광 부재(미도시) 및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과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 및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의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의 HUD(Head-UP Display)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는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900)를 이용하여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20과 같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9의 19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2000)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4의 14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도15의 1500)과 동일하게 스위칭 단계(S502)와 모터 구동 단계(S2004)를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9의 19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20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4의 14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도15의 15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9의 19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2000)중 모터 구동 단계(S2004)는 모터 시간차 조절 단계(S1504k) 이후에, 제 2 식별 단계(S2004m)를 더 수행한다.
반면에,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9의 19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2000)중 모터 구동 단계(S20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모터 시간차 조절 단계(미도시)와 동기화되어 제 2 식별 단계(미도시)를 더 수행할 수가 있다.
즉, 제 2 식별 단계(S2004m)는 제어부(도19의 1406)에서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19의 10: 10a, 10b)를 제어하여 구동시킬 때에, 제 2 식별부(도19의 1914)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19의 10: 10a, 10b)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는 상황임을 식별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9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2000)은 전원 공급부(102)와 스위칭부(104) 및 제어부(1406)와 감지부(1408) 및 판단부(1410)와 제 2 식별부(1914)를 포함하여 스위칭 단계(S502) 및 모터 구동 단계(S2004)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9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2000)은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서로 다른 시간차 (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시키므로,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의 Inrush 전류가 겹치지 않도록 동작할 수가 있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면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9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2000)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날 경우,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제어하여 구동시키므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9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2000)은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제어하여 구동시킬 때에,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는 상황임을 식별시키므로,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유도할 수가 있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제 8 실시예>
도 2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100)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600)와 동일하게 전원 공급부(102)와 스위칭부(104) 및 제어부(1606)와 감지부(1608) 및 판단부(1610)와 제 1 식별부(1612)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6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100)는 제 2 식별부(2114)를 더 포함한다.
즉, 제 2 식별부(2114)는 제어부(1606)에서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제어하여 구동시킬 때에,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는 상황임을 식별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식별부(211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피커(미도시)와 발광 부재(미도시) 및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과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 및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의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의 HUD(Head-UP Display)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는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100)를 이용하여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22 및 도 23과 같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21의 21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2200, 2300)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6의 16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도17 및 도18의 1700, 1800)과 동일하게 스위칭 단계(S502)와 모터 구동 단계(S2204, S2304)를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21의 21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2200, 23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6의 16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도17 및 도18의 1700, 18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21의 21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2200, 2300)은 모터 시간차 조절 단계(1704k, S1804k) 이후에, 제 2 식별 단계(S2204m, S2304m)를 더 수행한다.
반면에,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21의 21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2200, 230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모터 시간차 조절 단계(1704k, S1804k)와 동기화되어 제 2 식별 단계(미도시)를 더 수행할 수가 있다.
즉, 제 2 식별 단계(S2204m, S2304m)는 제어부(도21의 1606)에서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21의 10: 10a, 10b)를 제어하여 구동시킬 때에, 제 2 식별부(도21의 2114)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21의 10: 10a, 10b)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는 상황임을 식별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1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2200, 2300)은 전원 공급부(102)와 스위칭부(104) 및 제어부(1606)와 감지부(1608) 및 판단부(1610)와 제 2 식별부(2114)를 포함하여 스위칭 단계(S502) 및 모터 구동 단계(S2204, S2304)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1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2200, 2300)은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시키므로,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의 Inrush 전류가 겹치지 않도록 동작할 수가 있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면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1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2200, 2300)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날 경우,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제어하여 구동시키므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1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2200, 2300)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므로,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유도할 수가 있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1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2200, 2300)은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제어하여 구동시킬 때에,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는 상황임을 식별시키므로,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유도할 수가 있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제 9 실시예>
도 24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400)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400)와 동일하게 전원 공급부(102)와 스위칭부(104) 및 제어부(1406)와 감지부(1408) 및 판단부(14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4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4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400)는 제 3 식별부(2416)를 더 포함한다.
즉, 제 3 식별부(2416)는 제어부(1406)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제어하여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시킬 때에,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됨을 식별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식별부(241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피커(미도시)와 발광 부재(미도시) 및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과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 및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의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의 HUD(Head-UP Display)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됨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400)를 이용하여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25와 같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24의 24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2500)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4의 14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도15의 1500)과 동일하게 스위칭 단계(S502)와 모터 구동 단계(S2504)를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24의 24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25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4의 14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도15의 15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24의 24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2500)중 모터 구동 단계(S2504)는 모터 시간차 조절 단계(S1504k) 이후에, 제 3 식별 단계(S2504n)를 더 수행한다.
즉, 제 3 식별 단계(S2504n)는 제어부(도24의 1406)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24의 10: 10a, 10b)를 제어하여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시킬 때에, 제 3 식별부(도24의 2416)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24의 10: 10a, 10b)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됨을 식별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4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2500)은 전원 공급부(102)와 스위칭부(104) 및 제어부(1406)와 감지부(1408) 및 판단부(1410)와 제 3 식별부(2416)를 포함하여 스위칭 단계(S502) 및 모터 구동 단계(S2504)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4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2500)은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서로 다른 시간차 (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시키므로,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의 Inrush 전류가 겹치지 않도록 동작할 수가 있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면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4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2500)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날 경우,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제어하여 구동시키므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4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2500)은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제어하여 구동시킬 때에,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됨을 식별시키므로,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유도할 수가 있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제 10 실시예>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600)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600)와 동일하게 전원 공급부(102)와 스위칭부(104) 및 제어부(1606)와 감지부(1608) 및 판단부(1610)와 제 1 식별부(1612)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6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16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600)는 제 3 식별부(2616)를 더 포함한다.
즉, 제 3 식별부(2616)는 제어부(1606)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제어하여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시킬 때에,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됨을 식별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식별부(261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피커(미도시)와 발광 부재(미도시) 및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과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 및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의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의 HUD(Head-UP Display)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됨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600)를 이용하여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27 및 도 28과 같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26의 26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2700, 2800)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6의 16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도17 및 도18의 1700, 1800)과 동일하게 스위칭 단계(S502)와 모터 구동 단계(S2704, S2804)를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26의 26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2700, 28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16의 16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도17 및 도18의 1700, 18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도26의 2600)의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2700, 2800)은 모터 시간차 조절 단계(S1704k, S1804k) 이후에, 제 3 식별 단계(S2704n, S2804n)를 더 수행한다.
즉, 제 3 식별 단계(S2704n, S2804n)는 제어부(도26의 1606)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26의 10: 10a, 10b)를 제어하여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시킬 때에, 제 3 식별부(도26의 2616)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도26의 10: 10a, 10b)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됨을 식별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6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2700, 2800)은 전원 공급부(102)와 스위칭부(104) 및 제어부(1606)와 감지부(1608) 및 판단부(1610)와 제 3 식별부(2616)를 포함하여 스위칭 단계(S502) 및 모터 구동 단계(S2704, S2804)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6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2700, 2800)은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를 두고 구동시키므로,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의 Inrush 전류가 겹치지 않도록 동작할 수가 있어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면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6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2700, 2800)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날 경우,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제어하여 구동시키므로, 모터 동작 전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6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2700, 2800)은 서로 다른 시간차(도4의 t1, t2)가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므로,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유도할 수가 있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26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2700, 2800)은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를 제어하여 구동시킬 때에,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10: 10a, 10b)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됨을 식별시키므로,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유도할 수가 있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연결 동작에 의해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구동시킬 때에,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서로 다른 시간차를 두고 구동시키며, 기준 시간차 범위를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가 서로 다른 시간차를 두고 구동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가 상기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서로 다른 시간차가 상기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시킬 때에,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는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2 식별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서로 다른 시간차가 상기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을 오프시킨 후 초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서로 다른 시간차가 상기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시킬 때에,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됨을 식별시키는 제 3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퓨즈(FUSE)와 MOSFET(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및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와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및 GTO(Gate Turn-Off) thyristor와 MCT(MOS Controlled Thyristor)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9.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부에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칭 단계; 및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연결 동작에 의해 제어부에서 상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어부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구동시킬 때에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서로 다른 시간차를 두고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구동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가 서로 다른 시간차를 두고 구동되는지를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감지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서로 다른 시간차가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에서 판단하는 판단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서로 다른 시간차가 상기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시킬 때에, 제 2 식별부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는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2 식별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 단계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서로 다른 시간차가 상기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을 오프시킨 후 초기화시키는 모터 동작 오프 단계를 더 수행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 단계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서로 다른 시간차가 상기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 1 식별부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 단계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서로 다른 시간차가 상기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을 오프시킨 후 초기화시키는 모터 동작 오프 단계를 더 수행하고;
    상기 모터 동작 오프 단계 이후에, 제 1 식별부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 단계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서로 다른 시간차가 상기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 1 식별부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하고;
    상기 제 1 식별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을 오프시킨 후 초기화시키는 모터 동작 오프 단계를 더 수행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 단계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서로 다른 시간차가 상기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을 오프시킨 후 초기화시키는 모터 동작 오프 단계를 더 수행하고;
    상기 모터 동작 오프 단계와 동기화되되, 제 1 식별부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 단계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서로 다른 시간차가 상기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시키는 모터 시간차 조절 단계를 더 수행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
  1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 단계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서로 다른 시간차가 상기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 1 식별부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하고;
    상기 제 1 식별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시키는 모터 시간차 조절 단계를 더 수행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
  18.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 단계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서로 다른 시간차가 상기 기준 시간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 1 식별부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하고;
    상기 제 1 식별 단계와 동기화되되,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시키는 모터 시간차 조절 단계를 더 수행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
  19. 삭제
  20. 제 16항 내지 제 1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 단계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시킬 때에, 제 3 식별부에서 현재 적어도 둘 이상의 모터 동작이 기준 시간차 범위에 맞춰진 서로 다른 시간차로 구동 완료됨을 식별시키는 제 3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방법.
KR1020130093393A 2013-08-07 2013-08-07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KR101855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393A KR101855075B1 (ko) 2013-08-07 2013-08-07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393A KR101855075B1 (ko) 2013-08-07 2013-08-07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465A KR20150017465A (ko) 2015-02-17
KR101855075B1 true KR101855075B1 (ko) 2018-05-09

Family

ID=53046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393A KR101855075B1 (ko) 2013-08-07 2013-08-07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0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010B1 (ko) * 2016-10-18 2022-10-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캘리퍼 일체형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접지 상태 감지 회로 및 방법
KR102482548B1 (ko) * 2018-01-23 2022-12-29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9968A (ja) * 1999-10-18 2001-04-27 Canon Inc 振動型モータ駆動制御装置、駆動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4343892A (ja) 2003-05-15 2004-12-0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モータ駆動制御方法、モータ駆動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7104755A (ja) 2005-09-30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機駆動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9968A (ja) * 1999-10-18 2001-04-27 Canon Inc 振動型モータ駆動制御装置、駆動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4343892A (ja) 2003-05-15 2004-12-0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モータ駆動制御方法、モータ駆動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7104755A (ja) 2005-09-30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機駆動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465A (ko) 201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41709B (zh) 基于l2级的智能领航驾驶开关控制方法与系统
EP3383142B1 (en) Systems and methodologies for controlling a vehicle light
JP5899312B2 (ja) パワーリレーアセンブリー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855075B1 (ko)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WO2015076303A1 (ja) 電源分配装置及び電源分配システム
KR101478073B1 (ko)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그 램프 제어 방법
US10984612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066445B2 (en) Cool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107202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2010471A (ja) 過電流遮断装置
KR20190106397A (ko) 모터 판별 장치
WO20171189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mode selection
KR20140104257A (ko) 전자식 파워 스티어링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99784B1 (ko) 방향 지시등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14989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25791B1 (ko) 자동 비상등 제어 장치, 자동 전자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8049974A (ja) 電灯駆動装置
KR101486274B1 (ko) 전기 부스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6502B1 (ko) 차량용 epb 장치의 고장 판별 장치 및 그 고장 판별 방법
KR102333900B1 (ko) 전자식 릴레이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
KR102504032B1 (ko)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95490A (ko)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30829A (ko) 배터리 팩 제어 장치 및 배터리 팩 제어 방법
KR101683000B1 (ko) 모터 단선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
JP2016172458A (ja) 車両用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