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259B1 - 댐퍼블레이드 개방각도를 차등화한 공기량 제어댐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탑 - Google Patents

댐퍼블레이드 개방각도를 차등화한 공기량 제어댐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259B1
KR101854259B1 KR1020160181366A KR20160181366A KR101854259B1 KR 101854259 B1 KR101854259 B1 KR 101854259B1 KR 1020160181366 A KR1020160181366 A KR 1020160181366A KR 20160181366 A KR20160181366 A KR 20160181366A KR 101854259 B1 KR101854259 B1 KR 101854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s
blade
inlet
link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익
Original Assignee
권오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익 filed Critical 권오익
Priority to KR1020160181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1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feeding gas or vapour
    • F28F25/12Ducts; Guide vanes, e.g. for carrying currents to distinct z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4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ross-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블레이드를 각각 다른 각도로 회전시켜 공기유입속도를 차등적으로 조정하는 공기량 차등제어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냉각탑을 위하여, 유입구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되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중 일부의 회전 각도를 다른 일부의 회전각도와 다르게 회전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댐퍼 블레이드의 개방각도를 차등화한 공기량 제어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냉각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댐퍼블레이드 개방각도를 차등화한 공기량 제어댐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탑{AIR VOLUME CONTROL DAMPER BY DIFFERENTIALLY OPENING DAMPER BLADES AND COOLING TOW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댐퍼블레이드 개방각도를 차등화한 공기량 제어댐퍼 및 이를 이용하는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각각 다른 각도로 회전시켜 공기유입속도를 차등적으로 조정하는 공기량 제어댐퍼 및 이를 이용하는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설비 및 냉동. 냉장장치 등에서 운전되는 냉동기나 산업용 열교환기에서 제거되어야 하는 폐열은 냉각수로 전달되며, 가열된 냉각수는 대기의 공기에 의해 냉각되고 가열된 공기는 대기로 배출된다.
이러한 냉각탑의 열 제거방식(heat rejection type)은, 습식냉각 열교환부(wet cooling type heat exchanger)에서 냉각공기와 접촉하며 유동하는 냉각수(cooling water) 일부가 증발되면서 발생되는 증발잠열에 의해 냉각수를 냉각하는 증발냉각(evaporative cooling)(이하, "습식냉각"이라 함), 건식 열교환부(dry cooling type heat exchanger)의 밀폐된 전열관(heat transfer tube)내를 유동하는 냉각수의 폐열을 관벽(tube wall)을 통해 냉각수 보다 온도가 낮은 냉각공기의 현열(sensible heat)로 냉각수를 냉각하는 공기냉각(air cooling)(이하, "건식냉각"이라 함), 습식냉각과 건식냉각을 조합한 혼식 냉각(hybrid type cooling)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작용은, 액체(냉각수, 냉각오일 등)의 온도를 낮추는 유체냉각(fluid cooling), 기체(냉매가스, 증기 등)를 냉각하여 응축하는 유체응축(fluid condensing)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냉각공기와 냉각수의 유동 방식은, 냉각공기는 상향으로 유동되고 냉각수는 하향으로 유동되는 대향류형(counter flow type), 냉각공기는 수평으로 유동되고 냉각수는 하향으로 유동되는 직교류형(cross flow type), 냉각공기와 냉각수가 같은 방향으로 유동되는 평행류형(parallel flow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열교환부는, 냉각수와 냉각공기가 유동하면서 상호 접촉에 의하여 증발 열교환하는 개방형 습식 열교환부, 피 냉각수가 유동하는 밀폐된 전열관의 외표면 상에 냉각수와 냉각공기가 접촉하면서 증발 열교환하는 밀폐형 습식 열교환부, 개방형 열교환부와 밀폐형 열교환부를 조합한 혼식 열교환부(hybrid type heat exchanger), 피 냉각수가 유동하는 밀폐된 전열관의 외표면 상에 냉각공기를 유동시키면서 현열 열교환하는 밀폐형 건식 열교환부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통풍방식은, 자연 대기의 풍력 또는 탑(tower)의 내외 공기 밀도차에 의한 상승 풍력을 이용하는 자연통풍식(natural draft type), 송풍팬을 통해 공기를 강제 통풍하는 기계통풍식(mechanical draft type), 자연통풍과 기계통풍을 조합한 혼합 통풍식(hybrid daft type), 이젝터(ejector)의 냉각수 살수 유인력을 이용하여 통풍하는 이젝터 통풍식(ejector draft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송풍방식은, 열교환부에서 열교환을 마친 고온의 냉각공기(이하에서는 "배기"라 한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유도송풍식(induced draft type), 냉각공기를 열교환부로 압입 송풍함에 따라 열교환부에서 열교환을 마친 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압입송풍식(forced draft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대기의 공기를 기기의 내부로 공급하는 방식이 유도송풍식인 경우, 공기흡입구에서의 공기 흐름의 속도는 팬(fan)과 가까운 지점일수록 속도가 빠르게 유입되는 불균형이 발생되어, 공기흡입구에 전열매체(예를 들어, 열교환기, 응축기, 충전재 등)가 곧 바로 놓이는 경우 기기의 전열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공기유입속도를 균등하게 또는 차등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댐퍼가 요구된다.
팬과 가까운 지점의 공기 유입속도는 팬으로부터 먼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다. 공기흡입구에 일반적인 댐퍼를 설치하고, 그 후방에 응축기를 설치한 유도송풍식 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맨 윗쪽 응축기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속도는 매우 높고(공기량이 많음) 아래쪽 응축기로는 공기속도가 매우 낮게(공기량이 매우 작음) 유입되어, 응축기의 위쪽과 아래쪽에서의 공기속도차가 크게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 1.6 미터의 댐퍼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댐퍼 후단에 한 그룹의 응축기 블록을 설치하였을 경우, 댐퍼에서 7개 지점에서 풍속을 측정한 결과, 맨 아래쪽의 블레이드를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가 맨 위쪽의 블레이드를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에 비하여 약 56%가 낮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직교류형 냉각탑의 경우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이, 유도송풍식의 기기 또는 냉각탑의 경우에, 기기 또는 냉각탑 내부로 유입되는 대기의 공기유속의 불균형으로 인해, 응축기 또는 충전재에서의 전열효과가 감소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기 또는 냉각탑의 전면에 걸쳐 균등한 공기의 속도를 얻기 위해 각각의 댐퍼 블레이드의 개방각도를 차등적으로 작동되게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블레이드를 각각 다른 각도로 회전시켜 공기유입속도를 차등적으로 조정하는 공기량 제어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유입구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되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중 일부의 회전 각도를 다른 일부의 회전각도와 다르게 회전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댐퍼 블레이드의 개방각도를 차등화한 공기량 제어 댐퍼가 제공된다.
상기 공기량 제어 댐퍼는 상기 유입구의 일편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점차적으로 큰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량 제어 댐퍼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따라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에 대응하며 상기 샤프트에 상호 이격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주축기어와, 상기 복수의 주축기어와 각각 치합되며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블레이드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주축기어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기어의 각각의 기어비는 상기 유입구의 일편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량 제어 댐퍼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따라 배치되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샤프트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바와, 상기 복수의 바를 상기 샤프트에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유입구의 일편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두께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량 제어 댐퍼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양편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샤프트를 연결하며 동일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량 제어 댐퍼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유입구의 일편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그 길이가 짧아지는 복수의 블레이드링크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링크를 연결하는 하나의 연결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량 제어 댐퍼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유입구의 일편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그 길이가 짧아지는 복수의 블레이드링크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링크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링크를 각각 연결하는 다관절 링크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송풍팬과,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는 전술한 공기량 차등제어 댐퍼유닛을 포함하는 냉각탑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차등제어 댐퍼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냉각탑은 유입구의 위치에 따라 개도량을 조절함으로써 공기유입속도를 차등적으로 조정하여, 기기 또는 냉각탑의 전면에 걸쳐 균등한 공기유입 속도를 얻게 되어, 응축기 또는 충전재에서의 전열효과를 향상시킨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유도송풍식 기기의 댐퍼에서의 수직방향의 위치에 따른 공기유입속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유도송풍식 기기의 댐퍼에서의 수직방향의 위치에 따른 공기유입속도의 측정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직교류형 냉각탑의 댐퍼에서의 수직방향의 위치에 따른 공기유입속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을 개략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블레이드의 개방각도를 차등화한 공기량 제어 댐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블레이드의 개방각도를 차등화한 공기량 제어 댐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블레이드의 개방각도를 차등화한 공기량 제어 댐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블레이드의 개방각도를 차등화한 공기량 제어 댐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3은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블레이드의 연결링크가 복수 개로 구성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블레이드의 개방각도를 차등화한 공기량 제어 댐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인용된 참고문헌들은 본 발명에 참고로서 통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및 부분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은 송풍팬, 하우징 및 냉각탑용 개폐 유닛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냉각탑은 직교류형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대항류형 냉각탑 등 다양한 냉각탑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탑은 하우징(30)과, 송풍팬(20)과 공기량 차등제어 댐퍼(10)를 포함한다.
하우징(30)은 냉각탑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며, 측면에는 공기가 유입되며, 상방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송풍팬(20)은 하우징(30)의 상방에 설치되며, 하우징(30)으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이러한 송풍팬(20)은 원심형 팬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구동방식은 벨트구동식(belt drive type), 감속기구동식 (gear reducer drive type), 직결구동식(direct drive type)일 수 있다. 물론 송풍팬(20)의 타입 및 구동방식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공기량 차등제어 댐퍼유닛(10)은 하우징(30)의 측면에 설치되며, 유입공기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량 차등제어 댐퍼유닛(10)은 송풍팬(20)에 인접할수록 공기가 느리게 유입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공기량 차등제어 댐퍼유닛(10)은 송풍팬(20)에 인접한 부분의 유속을 느리게 하고, 먼 부분의 유속을 빠르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량 차등제어 댐퍼(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공기량 차등제어 댐퍼유닛(10)은 프레임(100), 복수의 블레이드(200) 및 제어유닛(300)을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01)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100)은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30)의 측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프레임(100)은 사각형의 유입구(101)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프레임(100)의 설치 위치 및 형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블레이드(200)는 유입구(101)를 개폐하도록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블레이드(200)는 프레임(100)에 직접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블레이드(200)는 유입구(101)에 설치되되 브라켓 등에 의해 프레임(100)에 간접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블레이드(200)는 양 단부에 회전을 위한 회전축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블레이드(200)의 회전축은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별도의 브라켓(미도시) 등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블레이드(200)는 길게 연장된 사각 바 타입으로 형성된다, 즉, 복수의 블레이드(200)는 넓은 두 개의 면을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그 길이방향에 수직한 블레이드(200)의 단면은 중앙부분이 볼록하며 양 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진다. 이러한 복수의 블레이드(20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이며,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200)는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블레이드(200)는 사각형상의 유입구(101)를 개폐하기 위하여, 일방항(z방향, 유입구의 높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유입구(101)의 길이방향(x방향)으로 길게 놓인다.
복수의 블레이드(2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복수의 블레이드(200)는 회전함에 따라 유입구(101)를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블레이드(200)의 넓은 면이 y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유입구(101)를 폐쇄할 수 있다. 유입구(101)를 폐쇄한 상태에서 복수의 블레이드(200)가 회전하면, 복수의 블레이드(200)는 유입구(101)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블레이드(200)는 각각 회전하는 정도가 다를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블레이드(200)는 제1블레이드(201) 내지 제6블레이드(206)로 설명하며, 제1블레이드(201)에서 제6블레이드(206)로 갈수록 송풍팬(20)에서 멀어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레이드(201)는 유입구(101)의 최상부(일편)에 위치하고, 제6블레이드(206)는 유입구(101)의 최하부(반대편)에 배치된다.
제어유닛(300)은 복수의 블레이드(200)를 회전시키되 복수의 블레이드(200) 중 일부의 회전 각도를 다른 일부의 회전각도와 다르게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유닛(300)은 제1블레이드(201)에서 제6블레이드(206)로 갈수록 회전각도가 증가하도록 복수의 블레이드(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유닛(300)은 유입구(101)의 개방정도를 조절하여, 유입구(101)의 위치에 따라 공기의 유입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제어유닛(300)은 유입구(101)의 일편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복수의 블레이드(200)를 점차적으로 큰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300)은 송풍팬(20)에 가까운 부분의 유입구(101)를 작게 개방하여 유입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제어유닛(300)은 송풍팬(20)에 가까운 유입구(101)의 일편에서 먼 반대편으로 갈수록, 복수의 블레이드(200)의 회전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유입속도의 증가 및 감소는 유입구(101) 내에서 상대적인 비교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입구(101)가 닫힌 상태에서 기준으로 하여, 개방 시 제어유닛(300)은 제1블레이드(201)를 가장 작은 각도로 회전시키며, 제6블레이드(206)를 가장 큰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물론, 유입구(101)를 닫을 때에도 제어유닛(300)은 제1블레이드(201)를 가장 작은 각도로 회전시키며, 제6블레이드(206)를 가장 큰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블레이드(200)는 10°~ 90°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유입구(101)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1블레이드(201)가 40° 회전되고, 제2블레이드(202)는 50°, 제3블레이드(203)는 60°, 제4블레이드(204)는 70°, 제5블레이드(205)는 80°회전되고, 유입구(101)의 최하단에 위치한 제6블레이드(206)가 90°회전될 수 있다. 물론 여기에 개시된 회전각도는 예시일 뿐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어유닛(30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차등제어 댐퍼유닛(300)을 x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8은 y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유닛(300)은 샤프트(311), 복수의 주축기어(331, 332, ...)(331, 332,...) 및 복수의 블레이드기어(321, 322, ...)를 포함한다.
샤프트(311)는 복수의 블레이드(200)를 따라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샤프트(311)는 유입구(101)의 일편에서 반대편 방향(상하방향, z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이때 샤프트(311)는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별도의 브라켓(미도시) 등에 의해 프레임(100)에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샤프트(311)는 z방향으로 배치되어 x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블레이드(200)에 수직할 수 있다.
복수의 주축기어(331, 332, ...)는 샤프트(311)에 고정 결합되며, 복수의 블레이드(200)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된다. 즉, 복수의 주축기어(331, 332, ...)는 상호 이격되어 샤프트(311)에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복수의 주축기어(331, 332, ...)는 제1주축기어(331) 내지 제6주축기어(336)로 설명한다.
복수의 블레이드기어(321, 322, ...)는 복수의 블레이드(200)에 각각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1블레이드기어(321)는 제1블레이드(201)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제2블레이드기어(322)는 제2블레이드(202)의 단부에 고정 결합된다. 제3블레이드기어(323) 내지 제6블레이드기어(326)도 마찬가지이다. 이때, 복수의 블레이드기어(321, 322, ...)는 각 블레이드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블레이드기어(321, 322, ...)는 각 블레이드(200)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블레이드기어(321, 322, ...)는 복수의 주축기어(331, 332, ...)와 치합된다. 예를 들어, 제1블레이드기어(321)는 제1주축기어(331)와 치합되며, 제2블레이드기어(322)는 제2주축기어(332)와 치합된다. 제3블레이드기어(323) 내지 제6블레이드기어(326)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복수의 주축기어(331, 332, ...) 및 복수의 블레이드기어(321, 322, ...)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포이드 기어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주축기어(331, 332, ...) 및 복수의 블레이드기어(321, 322, ...)는 베벨기어, 웜기어 또는 피니언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복수의 주축기어(331, 332, ...)와 복수의 블레이드기어(321, 322, ...)의 각각의 기어비는 유입구(101)의 일편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예를 들어, 제1주축기어(331)와 제1블레이드기어(321)의 기어비는 1: 6이고, 제2주축기어(332)와 제2블레이드기어(322)의 기어비는 1: 5로 설정된다. 그리고 기어비는 제6주축기어(336)와 제6블레이드기어(326)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져, 제6주축기어(336)와 제6블레이드기어(326)의 기어비는 1:1일 수 있다. 물론 전술한 기어비는 예시일 뿐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복수의 주축기어(331, 332, ...)의 크기 및 톱니수는 동일하나, 복수의 블레이드기어(321, 322, ...)의 크기 및 톱니수는 제6블레이드(206)에서 제1블레이드(201)로 갈수록 커진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주축기어(331, 332, ...)의 크기가 변경될 수도 있다.
제6블레이드(206)는 상대적으로 작은 기어비에 의해 제5블레이드(205)보다 큰 각도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5블레이드(205)는 제4블레이드(204)보다 큰 각도로 회전한다. 최종적으로, 제1블레이드(201)는 복수의 블레이드(200) 중에서 가장 작은 각도로 회전한다. 이러한 복수의 블레이드(200)의 회전은 샤프트(311)가 회전함에 따라 동시에 이뤄진다.
즉, 복수의 블레이드(200)가 유입구(101)를 닫은 상태라면, 후술할 도 11과 같은 상태로 배치된다. 샤프트(311)가 회전함에 따라 복수의 블레이드(200)는 동시에 회전하며 각각 다른 각도로 회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01)를 개방한다. 따라서 각각의 복수의 블레이드(200)를 설정된 각도로 한번에 회전시켜, 유입구(101)의 개폐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차등제어 댐퍼(10)를 설명한다.
도 10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량 차등제어 댐퍼(10)는 샤프트(312), 복수의 바(341, 342, ...), 복수의 와이어(351, 352,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2개의 샤프트(312)가 복수의 블레이드(200)를 따라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샤프트(312)는 유입구(101)의 일편에서 반대편 방향 또는 상하방향(z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이때, 샤프트(312)는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별도의 브라켓(미도시) 등에 의해 프레임(100)에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샤프트(312)는 z방향으로 배치되어 x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블레이드(200)에 수직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312)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증가한다. 특히, 샤프트(312)는 유입구(101)의 일편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증가한다. 여기서 두께는 샤프트(312)의 길이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사방향의 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샤프트(312)가 원기둥형 바인 경우 두께는 직경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샤프트(312)의 두께가 변하는 구간은 복수의 블레이드(200)의 개수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샤프트(312)는 제1블레이드(201)에 대응하는 제1구간, 제2블레이드(202)에 대응하는 제2구간 등 총 6개의 구간을 포함한다. 이때, 제1구간의 두께가 가장 얇고, 제6구간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여, 제6구간의 두께가 가장 두껍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샤프트(312)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선형으로 증가할 수도 있다.
복수의 바(341, 342, ...)는 복수의 블레이드(200)에 각각 결합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바(341, 342, ...)는 복수의 블레이드(200)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블레이드(200)의 폭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복수의 바(341, 342, ...)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으로 연장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복수의 바(341, 342, ...)의 길이는 복수의 블레이드(200)의 폭보다 작다. 또한, 복수의 바(341, 342, ...)는 샤프트(31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바(341)는 제1블레이드(201)의 일단부 또는 회전축에 결합되며, 제2바(342)는 제2블레이드(202)의 일단부 또는 회전축에 결합된다. 제3바(343) 내지 제6바(346)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제1바(341)는 제1블레이드(201)의 넓은 면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길이는 제1블레이드(201)의 폭보다 짧다. 제2바(342) 내지 제6바(346)는 제1바(342)와 마찬가지로 각각 제2블레이드(201) 내지 제6블레이드(206)에 결합된다.
복수의 와이어(351, 352, ...)는 복수의 바(341, 342, ...)를 샤프트(312)에 각각 연결한다. 와이어(351, 352, ...)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샤프트(312)가 회전함에 따라 샤프트(312)에 감긴다. 또한, 복수의 와이어(351, 352, ...)는 복수의 바(341, 342, ...)의 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이러한 복수의 와이어(351, 352, ...)는 철사 등의 금속재질, 합성수지재의 와이어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와이어(351)는 제1바(341)와 샤프트(312)의 제1구간을 연결하고, 제2와이어(352)는 제2바(342)와 샤프트(312)의 제2구간을 연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351)는 샤프트(312)가 회전 시 샤프트(312)에 감기기 위하여, 샤프트(312)에 고정된 상태이다. 또한, 제1와이어(351)는 제1바(341)에 고정된다. 제3와이어(353) 내지 제6와이어(356)도 마찬가지이다.
블레이드(200)가 입구를 닫은 상태에서, 제1와이어(351)는 제1블레이드(201)의 중심을 지나 제1바(341)에 연결된다. 이러한 것은 제2와이어(352) 내지 제6와이어(356)도 마찬가지이다.
샤프트(312)가 회전함에 따라 두께가 가장 얇은 샤프트(312)의 제1구간에 연결된 제1와이어(351)는 제1 내지 제6와이어(356) 중 가장 적게 감긴다. 그리고 두께가 가장 두꺼운 샤프트(312)의 제6구간에 감긴 제6와이어(356)는 제1 내지 제6와이어(356) 중 가장 많이 감긴다,
제1블레이드(201) 내지 제6블레이드(206)는 샤프트(312)가 회전됨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되 각각 다른 각도로 회전된다. 이때, 제1블레이드(201)가 가장 작은 각도로 회전되며, 제6블레이드(206)가 가장 큰 각도로 회전된다.
한편, 샤프트(312)는 안정적인 회전을 위하여 복수의 블레이드(200)의 양편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바(341, 342, ...) 및 복수의 와이어(351, 352, ...)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샤프트(312)에 연결된다.
이때, 두 개의 샤프트(312)를 동기화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공기량 제어 댐퍼는 두 개의 샤프트(312)를 연결하며, 동일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링크(41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링크(410)는 관절 링크이며, 양단부가 두 개의 샤프트(312)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구동기(미도시)가 구동링크(410)를 동작하여 샤프트(312)를 동일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블레이드(200)는 보다 정확하고 원활하게 기 설정된 각도로 각각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블레이드(200)는 유입구(101)를 닫기 위하여 각각 토션 스프링(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량 차등제어 댐퍼(10)를 설명한다. 도 11은 공기량 차등제어 댐퍼(10)가 유입구(101)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공기량 차등제어 댐퍼(10)가 유입구(101)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유닛(300)은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61, 362, ...)와 연결링크(371, 372, ...)를 포함한다.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61, 362, ...)는 복수의 블레이드(200)에 각각 결합되며, 예를 들어,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61, 362, ...)는 복수의 블레이드(200)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블레이드(200)의 회전축에 대략 방사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61, 362, ...)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복수의 블레이드(200)에 결합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블레이드링크(361)는 제1블레이드(201)의 일단부 또는 회전축에 결합되며, 제2블레이드링크(362)는 제2블레이드(202)의 일단부 또는 회전축에 결합된다. 제3블레이드링크(363) 내지 제6블레이드링크(366)도 마찬가지이다.
제1블레이드링크(361) 내지 제6블레이드링크(366) 중 제1블레이드링크(361)가 가장 길고, 제6블레이드링크(366)가 가장 짧다. 그리고 제1블레이드링크(361)에서 제6블레이드링크(366)로 갈수록 그 길이가 점차 줄어든다.
하나의 연결링크(370)는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61, 362, ...)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연결링크(370)는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61, 362, ...)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61, 362, ...)의 일단은 회전가능하게 하나의 연결링크(370)에 결합되고, 타단은 복수의 블레이드(200)에 각각 고정결합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연결링크(370)에 의해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61, 362, ...)를 연결하는 구성이므로, 구조가 간단하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링크(370)는 복수의 블레이드(200)를 따라 배치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유입구(101)의 일편에서 반대편을 따라 사선으로 길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1블레이드링크(361)부터 제6블레이드링크(366)는 순서대로 연결링크(37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링크(370)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연결링크가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61, 362, ...)를 연결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연결링크(370)는 와이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링크(370)는 철사 등의 금속와이어, 직물와이어, 합성수지재와이어일 수 있다. 또한, 와이어인 연결링크(370)는 유입구(101)의 일편에서 반대편을 따라 사선으로 길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1블레이드링크(361)부터 제6블레이드링크(366)는 순서대로 연결링크(37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와이어인 연결링크(370)는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61, 362, ...)를 연결할 때 전체적인 형상이 직선을 이룰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연결링크(370)는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61, 362, ...)를 각각 연결하는 다관절 링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링크(371, 372, ...)는 제1블레이드링크(361)와 제2블레이드링크(362)를 연결하는 제1연결링크(371), 제2블레이드링크(362)와 제3블레이드링크(363)를 연결하는 제2연결링크(372), 제3블레이드링크(363)와 제4블레이드링크(364)를 연결하는 제3연결링크(373), 제4블레이드링크(364)와 제5블레이드링크(365)를 연결하는 제4연결링크(374), 제5블레이드링크(365)와 제6블레이드링크(366)를 연결하는 제5연결링크(3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링크(371) 내지 제5연결링크(375)는, 도 11과 유사하게, 복수의 블레이드(200)가 유입구(101)를 닫았을 때 직선을 이룬다. 또한, 도 13과 유사하게, 제1연결링크(371) 내지 제5연결링크(375)는 복수의 블레이드(200)가 유입구를 개방했을 때에도 직선을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레이드(2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13에 도시된 상태로 연결링크(370)가 이동하여, 블레이드링크(361, 362, ...) 및 복수의 블레이드(200)를 동시에 상호 다른 각도로 회전시킨다.
이때, 복수의 블레이드(200)는 결합된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61, 362, ...)의 길이 차이에 의하여, 각각 다른 각도로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링크 중 가장 짧은 제6블레이드링크(366)와 결합된 제6블레이드(206)의 회전각도가 가장 크다. 그리고 제6블레이드(206)에서 제1블레이드(201)로 갈수록 회전각도가 줄어든다.
이어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용 블레이드유닛(10)을 설명한다.
도 14는 공기량 차등제어 댐퍼(10)가 유입구(101)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공기량 차등제어 댐퍼(10)가 유입구(101)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유닛(300)은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91, 392, ...)와 복수의 연결링크(381, 382, ...)를 포함한다.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91, 392, ...)는 복수의 블레이드(200)에 각각 결합되며, 예를 들어,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91, 392, ...)는 복수의 블레이드(200)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블레이드의 회전축에 대략 방사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91, 392, ...)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복수의 블레이드(200)에 결합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블레이드링크(391)는 제1블레이드(201)의 일단부 또는 회전축에 결합되며, 제2블레이드링크(392)는 제2블레이드(202)의 일단부 또는 회전축에 결합된다. 제3블레이드링크(393) 내지 제6블레이드링크(396)도 마찬가지이다.
제1블레이드링크(391) 내지 제6블레이드링크(396) 중 제1블레이드링크(391)가 가장 길고, 제6블레이드링크(396)가 가장 짧다. 그리고 제1블레이드링크(391)에서 제6블레이드링크(396)로 갈수록 그 길이가 점차 줄어든다.
복수의 연결링크(381, 382, ...)는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91, 392, ...)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연결링크(381, 382, ...)는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91, 392, ...)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91, 392, ...)의 일단은 회전가능하게 복수의 연결링크(381, 382, ...)에 결합되고, 타단은 복수의 블레이드(200)에 각각 고정결합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연결링크(381, 382, ...)에 의해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91, 392, ...)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블레이드들 사이의 개방각도의 차이(△θ)를 균등하게, 즉 선형적으로 개방각도를 차등화시킬 수 있어서, 댐퍼에서의 수직방향의 위치에 따른 공기유입속도를 개략적으로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복수의 연결링크(381, 382, ...)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어느 일 방향으로 연장된 곡선형 링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링크(381, 382, ...)는 복수의 블레이드(200)를 따라 배치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유입구(101)의 일편에서 반대편을 따라 사선으로 길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1블레이드링크(391)부터 제6블레이드링크(396)는 순서대로 복수의 연결링크(381, 382, ...)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른 예로 연결링크(381, 382, ...)는 와이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링크(381, 382, ...)는 철사 등의 금속와이어, 직물와이어 또는 합성수지와이어일 수 있다. 또한, 와이어인 연결링크(381, 382, ...)는 유입구(101)의 일편에서 반대편을 따라 사선으로 길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1블레이드링크(391)부터 제6블레이드링크(396)는 순서대로 연결링크(381, 382, ...)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와이어인 연결링크(381, 382, ...)는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91, 392, ...)의 길이차이에 의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곡선을 이룰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연결링크(381, 382, ...)는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91, 392, ...)를 각각 연결하는 다관절 링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링크(381, 382, ...)는 제1블레이드링크(391)와 제2블레이드링크(392)를 연결하는 제1연결링크(381), 제2블레이드링크(392)와 제3블레이드링크(393)를 연결하는 제2연결링크(382), 제3블레이드링크(393)와 제4블레이드링크(394)를 연결하는 제3연결링크(383), 제4블레이드링크(394)와 제5블레이드링크(395)를 연결하는 제4연결링크(384), 제5블레이드링크(395)와 제6블레이드링크(396)를 연결하는 제5연결링크(38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링크(381) 내지 제5연결링크(385)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200)가 유입구(101)를 닫았을 때 곡선을 이룬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링크(381) 내지 제5연결링크(385)는 복수의 블레이드(200)가 유입구(101)를 개방했을 때에도 곡선을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레이드(2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도 14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15에 도시된 상태로 연결링크(381, 382, ...)가 이동하여, 블레이드링크(391, 392, ...) 및 복수의 블레이드(200)를 동시에 상호 다른 각도로 회전시킨다.
이때, 복수의 블레이드(200)는 결합된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91, 392, ...)의 길이 차이에 의하여, 각각 다른 각도로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링크 중 가장 짧은 제6블레이드링크(396)와 결합된 제6블레이드(206)의 회전각도가 가장 크다. 그리고 제6블레이드(206)에서 제1블레이드(201)로 갈수록 회전각도가 줄어든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량 차등제어 댐퍼를 냉각탑에 적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기량 제어댐퍼에서 댐퍼의 공기유입구의 수직단면에 있어서 수직방향에 따라 공기의 유입량을 차등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는 다른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 공기량 차등제어 댐퍼유닛 20: 송풍팬
100: 프레임 200: 복수의 블레이드
300: 제어유닛 311, 312: 샤프트
321 ~ 326: 블레이드 기어 331 ~ 336: 주축기어
351 ~ 356: 와이어
361 ~ 366, 391 ~ 396: 블레이드 링크
370, 371 ~ 376, 381 ~ 386: 연결링크

Claims (10)

  1. 유입구(101)를 형성하는 프레임(100);
    상기 유입구(101)를 개폐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200);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200)를 회전시키되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중 일부의 회전 각도를 다른 일부의 회전각도와 다르게 회전시키는 제어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200)를 따라 배치되는 샤프트(311);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200)에 대응하며 상기 샤프트(311)에 상호 이격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주축기어(331, 332, ...); 및
    상기 복수의 주축기어(331, 332, ...)와 각각 치합되며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블레이드기어(321, 322,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주축기어(331, 332, ...)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기어(321, 322, ...)의 각각의 기어비는 상기 유입구(101)의 일편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공기량 제어 댐퍼.
  2. 유입구(101)를 형성하는 프레임(100);
    상기 유입구(101)를 개폐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200);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200)를 회전시키되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중 일부의 회전 각도를 다른 일부의 회전각도와 다르게 회전시키는 제어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200)를 따라 배치되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샤프트(312);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200)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바(341, 342, ...); 및
    상기 복수의 바(341, 342, ...)를 상기 샤프트(312)에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351, 352,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유입구(101)의 일편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200)를 점차적으로 큰 각도로 회전시키는, 공기량 제어 댐퍼.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12)는 상기 유입구의 일편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두께 증가하는, 공기량 제어 댐퍼.
  6. 제2항에 있어서,
    두개의 샤프트(312)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200)의 양편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200)의 양편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샤프트(312)를 연결하며 동일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링크(410)를 더 포함하는,
    공기량 제어 댐퍼.
  7. 유입구(101)를 형성하는 프레임(100);
    상기 유입구(101)를 개폐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200);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200)를 회전시키되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중 일부의 회전 각도를 다른 일부의 회전각도와 다르게 회전시키는 제어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200)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유입구의 일편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그 길이가 짧아지는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61, 362, ...);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링크를 연결하는 하나의 연결링크(371);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유입구(101)의 일편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200)를 점차적으로 큰 각도로 회전시키는, 공기량 제어 댐퍼.
  8. 유입구(101)를 형성하는 프레임(100);
    상기 유입구(101)를 개폐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200);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200)를 회전시키되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중 일부의 회전 각도를 다른 일부의 회전각도와 다르게 회전시키는 제어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200)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유입구의 일편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그 길이가 짧아지는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91, 392, ...);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링크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링크(381, 382,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유입구(101)의 일편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200)를 점차적으로 큰 각도로 회전시키는, 공기량 제어 댐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링크(381, 382, ...)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링크(391, 392, ...)를 각각 연결하는 다관절 링크인, 공기량 제어 댐퍼.
  10.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송풍팬;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댐퍼 블레이드의 개방각도를 차등화한 공기량 제어 댐퍼;를 포함하는 냉각탑.
KR1020160181366A 2016-12-28 2016-12-28 댐퍼블레이드 개방각도를 차등화한 공기량 제어댐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탑 KR101854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366A KR101854259B1 (ko) 2016-12-28 2016-12-28 댐퍼블레이드 개방각도를 차등화한 공기량 제어댐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366A KR101854259B1 (ko) 2016-12-28 2016-12-28 댐퍼블레이드 개방각도를 차등화한 공기량 제어댐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259B1 true KR101854259B1 (ko) 2018-05-03

Family

ID=6224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366A KR101854259B1 (ko) 2016-12-28 2016-12-28 댐퍼블레이드 개방각도를 차등화한 공기량 제어댐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2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4599A (zh) * 2018-09-06 2018-12-25 北京华清荣昊新能源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冷却塔通风量自动调节装置
KR102367917B1 (ko) * 2020-12-16 2022-02-25 김충회 양방향 센서를 구비한 공조 겸용 스마트 제연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4965B2 (ja) 2006-04-18 2011-03-23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の室外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4965B2 (ja) 2006-04-18 2011-03-23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の室外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4599A (zh) * 2018-09-06 2018-12-25 北京华清荣昊新能源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冷却塔通风量自动调节装置
KR102367917B1 (ko) * 2020-12-16 2022-02-25 김충회 양방향 센서를 구비한 공조 겸용 스마트 제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270973A (ja) 空気調和機
KR101854259B1 (ko) 댐퍼블레이드 개방각도를 차등화한 공기량 제어댐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탑
JP6311427B2 (ja) 空気調和装置
CN102575681A (zh) 贯流风扇、成型用模具和流体输送装置
JP6253513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2015124986A (ja) 空調室内機
JP6370399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WO2017068725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862655B2 (ja) 空調室内機
CN206459529U (zh) 一种翅片式换热器
CN112460687A (zh) 换热器及空调器
WO2020170327A1 (ja) 熱源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5984162B2 (ja) プロペラファン、送風装置、および室外機
JP3991477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CN107614981B (zh) 制冷循环装置用室外单元以及制冷循环装置
ITTO20080303A1 (it) Condizionatore d'aria dotato di doppie pale azionate in maniera indipendente
JP6614876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WO2021229794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3675895B2 (ja) 空気調和機の風向変更装置
WO2011077484A1 (ja) 空気調和機
CN207570023U (zh) 一种新型多功能空气处理装置
CN205351724U (zh) 用于空调器的换热器及空调器
CN107062925A (zh) 散热装置及具有其的空冷系统
CN205783689U (zh) 一种用于分体机空调的换热器及具有其的分体机空调
KR100898116B1 (ko) 열교환기의 전열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