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150B1 -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150B1
KR101854150B1 KR1020170101025A KR20170101025A KR101854150B1 KR 101854150 B1 KR101854150 B1 KR 101854150B1 KR 1020170101025 A KR1020170101025 A KR 1020170101025A KR 20170101025 A KR20170101025 A KR 20170101025A KR 101854150 B1 KR101854150 B1 KR 101854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ocking
pressing
ca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고스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고스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고스웨어
Priority to KR1020170101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60K15/0409Provided with a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34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preventing theft of fu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주유구를 밀폐시키는 주유캡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잠금부재는 하우징의 내측에 주유캡이 수용되는 빈 공간을 형성하여 주유캡의 상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SMART TYPE OF LOCKING APPARATUS FOR OILING CAP}
본 발명은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가가 고공행진을 지속함에 따라 주차된 차량에서 연료를 도난당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특히, 대형 상용차량이나 건설장비의 경우 야간에는 인적이 없는 공사 현장에 주차하고 있으며, 아울러 연료탱크의 잠금장치도 쉽게 열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연료 절도범들의 표적이 되고 있다.
더욱이 차량의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절도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불과 5분 이내로 짧아서, 연료 절도범의 절도행위를 근절시키는 것은 물론 연료 절도범을 검거하는데도 어려움이 있다.
종래의 연료 도난 방지 기술로서, 주차중인 차량에서 연료량 센서로부터 연료의 변화를 검출하고, 단위 시간당 연료 변화량이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연료의 도난으로 판정하여 경보음을 송출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짧은 절도 시간으로 인하여 경보음을 울리는 것만으로 연료 절도범의 절도 의지를 꺾을 수 없으며, 주차중 주기적으로 연료 변화량을 검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절도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로 인하여 배터리의 방전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5345호(2016.04.27)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유구의 연료 도난 의지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주유구의 주유캡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잠금부재는 하우징의 외측에서 탄성력을 갖고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주유캡의 상단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구비된 잠금부 및 회전반경이 다른 적어도 2 이상의 단면들이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잠금부의 상단을 가압 또는 해제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차량 주유구를 밀폐시키는 주유캡을 보호 또는 해제시키는 잠금부재 및 잠금부재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잠금부재의 잠금 또는 해제 명령을 송신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고, 잠금부재는 하우징의 외측에서 탄성력을 갖고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주유캡의 상단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구비된 잠금부 및 회전반경이 다른 적어도 2 이상의 단면들이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잠금부의 상단을 가압 또는 해제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삭제
그러므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과 연동되어 주유구를 밀폐시키는 주유캡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도록 보호함에 따라 도난 의지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유구의 개방을 감시하는 방식이 아닌 주유구의 주유캡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주유캡을 기구적으로 밀폐시킴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잠금부재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잠금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잠금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지지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하부커버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잠금부재에서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잠금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가압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잠금부재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차량(2)(예를 들면, 승용차, 건설장비, 대형트럭, 대형 버스)의 주유구(4)의 주유캡(41)을 보호하는 잠금부재(3)와, 잠금부재(3)를 구동시키는 모바일 단말(1)을 포함한다.
여기서, 잠금부재(3)는 차량(2)의 주유구(4)를 밀폐시키는 주유캡(41)의 무단 개방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주유캡(4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이때, 잠금부재(3)는 모바일 단말(1)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모바일 단말(1)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라 주유캡(41)의 보호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은 통신 서버 또는 사업자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앱을 설치하고, 설치된 앱을 통하여 원격지에서 잠금부재(3)를 구동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모바일 단말(1)은 단말 통신부(11), 단말 제어부(12) 및 단말 디스플레이(13)를 포함한다.
단말 디스플레이(13)는 입력과 출력이 모두 가능한 터치형 디스플레이로서 단말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하여 잠금부재(3)의 보호 및 해제 명령을 선택할 수 있는 앱 화면을 출력한다.
단말 통신부(11)는 잠금부재(3)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른 명령을 출력한다. 여기서, 단말 통신부(11)는, 예를 들면, 약 10 미터(m) 도달 반경을 가진 2.4GHz 주파수 대역 기반의 저전력 저용량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저전력 블루투스(BLE:BLUETOOTH LOW ENERGY)가 적용되거나 또는 잠금부재(3)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모든 장치나 방식등이 적용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2)는 앱 화면(단말 디스플레이)을 통하여 입력된 구동명령과 동시에 단말 통신부(11)를 제어하여 잠금부재(3)를 호출하고, 단말 디스플레이(13)에 앱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단말 제어부(12)는 잠금부재(3)의 배터리 충전량을 수신받아 이를 앱 화면에 출력하게 제어함도 가능하다.
단말 제어부(12)는 입력된 명령에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단말 제어부(12)의 제어신호는 단말 통신부(11)를 통하여 잠금부재(3)로 송신된다. 여기서, 단말 제어부(12)는 통신 서버 또는 사업자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단말 디스플레이(13)에 앱화면을 출력토록 제어하고, 단말 디스플레이(13)를 통하여 입력된 명령(예를 들면, 잠금 또는 해제)을 단말 통신부(11)를 제어하여 잠금부재(3)로 송신한다.
여기서, 잠금부재(3)와 모바일 단말(1)은 각각의 고유 식별정보가 설정 및 저장된다. 예를 들면, 고유 식별정보는 잠금부재(3)별로 각각 설정되고,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과정에서 운전자가 모바일 단말(1)에 잠금부재(3)의 고유 식별정보를 등록하면서 통신사 서버 또는 사업자 서버로부터 잠금부재(3)의 고유 식별정보에 설정된 모바일 단말(1)용 고유 식별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1)과 잠금부재(3)는 상호 통신과정에서 고유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일치되었을 경우에만 통신을 연결한다.
잠금부재(3)는 잠금 제어부(31)와, 잠금 통신부(32)와, 잠금 센서부(33)와, 전원부(34)와, USB 커넥터(35)와, 구동부(3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들은 잠금부재(3)의 회로적 구성이며, 이외에도 기구적 구성을 포함한다. 기구적 구성은 후술한다.
잠금 통신부(32)는 단말 통신부(11)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잠금 통신부(32)는 단말 통신부(11)의 잠금 또는 해제명령을 수신하여 잠금 제어부(31)로 출력하고, 잠금 제어부(31)의 제어에 의하여 잠금 센서부(33)의 센싱감지 및 전원 감지 신호를 단말 통신부(11)로 송신한다.
잠금 센서부(33)는 후술되는 잠금부(300)의 작동 상태(잠금 또는 해제)와, 전원부(34)(배터리)의 에너지 충전량을 감지한다. 이와 같은 잠금 센서부(33)는 압전센서와 전류 또는 전압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외에도 작동상태와 전원부(34)의 충전량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전원부(34)는, 예를 들면, 배터리로서 구동부(36) 및 잠금 제어부(33)의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원부(34)는 교체 가능하다.
USB 커넥터(35)는 USB 타입의 저장부재(5)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USB형 저장부재(5)(도 7 참조)는 비상상황(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1)의 오프 또는 부재 상황, 전원부(34)의 방전)에서 USB 커넥터(35)에 체결되어 구동부(36)가 동작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아울러, USB형 저장부재(5)는 설정된 고유 식별정보와 해제 명령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1)의 분실 또는 전원 오프, 전원부(34)의 방전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USB형 저장부재(5)를 이용하여 잠금부재(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USB형 저장부재(5)는 일반 USB 메모리로 대체함도 가능하다.
구동부(36)는 잠금 제어부(31)의 제어에 의해 전원부(34) 또는 USB형 저장부재(5)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동작되어 후술되는 가압부(500, 도 10 참조)를 동작시킨다.
잠금 제어부(31)는 잠금 통신부(32)를 통하여 수신된 모바일 단말(1)의 잠금 및/또는 해제 명령에 따라서 구동부(36)를 구동시키고, 잠금 센서부(33)의 감지신호를 잠금 통신부(32)를 통하여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즉, 잠금부재(3)는 주유캡(41)을 무단으로 개방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모바일 단말(1)의 제어에 의해 주유캡(41)을 보호 또는 해제한다. 이를 위한 잠금부재(3)의 기구적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잠금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잠금부재(3)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회로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커버(100)의 사시도, 도 9는 하부커버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잠금부재에서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잠금부재(3)는 상술한 회로구성이 수용된 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100)와, 회로구성을 지지하는 지지판(400)과, 하우징(200)과, 하우징(20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600)과, 하우징(200)의 외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는 잠금부(300)와, 잠금부(300)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500)를 포함한다.
하우징(200)은 바닥판(600)과 커버(100) 사이에 빈공간을 형성하도록 외면이 형성된다. 여기서, 하우징(200)의 외면은 잠금부(300)가 안내될 수 있도록 복 수개의 절개구(210)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구(210)는 하우징(200)의 외면에서 복 수개가 길이방향으로 절개 형성되어 잠금부(300)가 회전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바닥판(600)은 하우징(200)의 내측에 체결되되, 바닥판(600)의 하면과 하우징(200)의 외면에 둘러쌓인 빈 공간을 형성할 있도록 하우징(200)의 하측 끝단 보다 승강된 위치에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바닥판(600)의 하측에서 하우징(200)의 외면에 둘러쌓인 빈 공간을 형성하여 주유캡(4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용하기 위함이다.
즉, 하우징(200)은 바닥판(60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주유캡(41)의 상단에 위치된다. 이때, 주유캡(41)은 하우징의 내측에서 바닥판(600)의 하면과 하우징(200)의 외면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 내에 위치됨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지지판(400)은 하우징(200)의 상단에서 잠금 제어부(31), 전원부(34), 잠금 통신부(32), 잠금 센서부(33), USB 커넥터(35)(이하 회로구성으로 총칭함)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수용 및 지지하는 평면을 이룬다. 여기서 지지판(400)은 커버(10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향된 복 수개의 고정봉(410)을 포함한다.
고정봉(410)은 지지판(400)의 상면에서 직립되고, 내측에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등이 체결되도록 중심부에 고정홀(411)이 형성된다.
커버(100)는 회로 구성이 설치된 지지판(400)을 밀폐시키도록 하우징(200)의 상단에 체결되는 하부커버(100)와, 하부커버(100)의 상단을 밀폐시키는 상부커버(110)를 포함한다. 이는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하부커버(100)는 편평한 평면을 중심으로 하향되는 벽면을 이루어 내측에서 회로 구성이 설치되는 공간을 이루는 하부몸체(124)와, 하부몸체(124)의 중심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연결돌기(121)와, 하부몸체(124)에서 하향된 삽입홈(122)을 포함한다.
연결돌기(121)는 하부몸체(124)에서 하향 연장되어 내측에 고정봉(410)의 고정홀(411)에 연통되는 연통홀(121c)과, 상단에서 후술되는 상부커버(110)의 체결돌기(111)가 삽입되도록 내향된 상부홈(121a)과, 하단에서 고정봉(410)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상향된 하부홈(121b)이 각각 형성된다.
상부홈(121a)은 연결돌기(121)의 상단에서 상부커버(110)의 체결돌기(111)가 삽입되는 공간 및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체결돌기(111)는 상부홈(121a)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하부홈(121b)은 연결돌기(121)의 하단에서 고정봉(410)의 상단이 삽입되는 공간 및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고정봉(410)은 하부홈(121b)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연통홀(121c)은 상부홈(121a)과 하부홈(121b)을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즉, 연통홀(121c)은 하부홈(121b)을 통하여 삽입된 고정봉(410)에 형성된 고정홀(411)과 연통 형성된다. 따라서, 나사등의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연통홀(121c)을 통하여 고정홀(411)에 체결됨에 따라 상부커버(110)와 지지판(4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부커버(110)는 편평한 하면을 이루는 상부몸체(114)와, 상부몸체(114)의 하면에서 하향 연장된 복 수개의 체결돌기(111)와, 하면에서 돌출되는 돌출홈(112)과, 상부몸체의 외면에서 돌출된 손잡이(113)를 포함한다.
상부몸체(114)는 상부커버(110)의 상면을 밀폐시킬 수 있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다.
체결돌기(111)는 상부몸체(114)의 하면에서 복 수개가 연장되어 연결돌기(121)의 상부홈(121a)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된다.
돌출홈(112)은 하부커버(100)의 상면에서 내향된 삽입홈(1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몸체(114)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된다. 여기서, 돌출홈(112)과 삽입홈(122)은 각각 힌지수단(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13)는 돌출홈(112)과 삽입홈(122)과 반대편 위치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손잡이(113)를 이용하여 상부커버(110)를 개방시키고, 하부커버(100)의 연결돌기(121)와 지지판(400)의 고정봉(410)을 연통한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해제시키거나 또는 삽입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잠금부(300)와 바닥판(600) 및 가압부(500)는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0과 도 11은 잠금부(300) 및 가압부(500)등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하우징(200)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잠금부(300)는 하우징(200)에 탄성력을 갖도록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 수개의 고정바(320)와, 고정바(320)의 끝단에서 주유캡(41)에 걸림되는 걸림돌기(310)와 고정바(320)의 상단에서 가압부(500)에 접촉되는 접촉편(330)을 포함한다.
걸림돌기(310)는 고정바(320)의 끝단에서 돌출 형성되어 주유캡(41)의 상단 외측으로 연장된 주유캡(41)에 체결된다.
고정바(320)는 상단이 가압부(500)의 단면에 밀착된 상단에서 하향 연장되는 복 수개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고정바(320)는 가압부(500)의 회전에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측의 걸림돌기(310)를 주유캡(41)에 걸림되어 잠금 또는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잠금을 해제시킨다.
고정바(320)는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우징(200)에 탄성 힌지결합된다. 이와 같은 탄성력을 갖는 힌지 결합구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임에 따라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생략되었다.
접촉편(330)은 고정바(320)의 상단에서 가압부(500)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돌출형성된다. 이때, 접촉편(330)의 일면은 직립된 단면, 경사면 또는 볼록형의 곡면으로 이루어져 가압부(500)과 접촉되어 가압부(500)의 회전반경에 따라 고정바(320)를 앞으로 밀어내거나 후진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바(320)는 가압부(500)측으로 당겨지도록 탄성력이 가해지고, 힌지축(321)이 상측에서 하우징(200)과 결합됨에 따라 접촉편(330)에 압력이 가해지면 걸림돌기(310)가 주유캡(41)측으로 이동되고, 접촉편(330)으로부터 압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접촉편(330)이 가압부(500)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걸림돌기(310)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바닥판(600)은 가압부(500)의 하측에 고정되는 구동부(36)(예를 들면, 모터)를 지지하도록 평면을 형성한다. 즉, 바닥판(600)은 하우징(200)의 내측에서 바닥면을 이루어 내측을 밀폐시키고, 동시에 구동부(36)를 지지한다.
또한, 바닥판(600)은 고정바(320)의 회전반경에 따라서 복 수개의 내향된 수용홈(6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홈(610)은 고정바(320)를 안내하도록 내향된 홈으로 형성된다.
가압부(500)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단면을 갖는 편평한 판으로 형성되는 회전몸체(510)와, 회전몸체(510)의 중심부에서 관통형성되어 구동부(36)에서 연장된 회전축에 체결되는 회전공(540)과 회전몸체(510)에서 돌출되어 확장된 회전반경을 갖는 가압단(520)과, 회전몸체(510)의 단면에서 축소된 회전반경을 갖는 해제단(530)을 포함한다.
회전몸체(510)는 편평한 판으로서 구동부(36)에서 연장된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가압단(520)과 해제단(530)은 회전몸체(510)의 단면으로서 상호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가압단(520)은 접촉편(330)과의 접촉시에 해제단(530)에 비하여 보다 큰 회전반경(중심부에서 단면까지의 길이가 긴)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다. 반대로 해제단(530)은 가압단(520)에 비하여 중심부에서 단면 까진의 길이가 보다 짧게 형성되어 회전반경이 좁다. 즉 해제단(530)은 가압단(520)과 가압단(520) 사이를 직립된 단면으로 이루어져 단면이 돌출된 가압단(520)에 비하여 좁은 회전반경을 갖는다.
따라서, 가압단(520)과 해제단(530)은 회전몸체(510)가 회전되면서 접촉편(330)을 가압 또는 해제하여 고정바(32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가압단(520)은 돌출되는 단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회전반경이 크기에 접촉편(330)에 밀어내는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접촉편(330)은 가압단(520)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받아서 외측으로 회전되고, 걸림돌기(310)는 고정바(310)의 하측에 형성됨에 따라 접촉편(330)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주유캡(41)측으로 밀착된다.
해제단(530)은 가압단(520)에 비하여 좁은 회전반경을 갖기 때문에 접촉편(330)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제시킨다. 고정바(310)는 접촉편(330)이 해제단(530)에 밀착되면서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내측으로 회전되고, 걸림돌기(320)는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주유구(4)의 주유캡(41)에서 이탈된다.
즉, 가압부(500)는 회전몸체(510)가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되, 각각의 단면을 이루는 가압단(520)과 해제단(530)중 어느 하나가 접촉편(330)과 접촉되는지에 따라 회전반경이 변경되어 고정바(320)를 전후 방향을 이동시켜 주유캡(41)의 잠금과 해제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와 같은 구성들의 상호 작용에 의해 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차량(2)의 운전자는 주유소에 도착 되면, 자신의 모바일 단말(1)을 조작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따라서, 단말 디스플레이(13)는 잠금부재(3)의 잠금 또는 해제 메뉴가 포함된 앱화면을 출력한다. 이때, 단말 제어부(12)는 잠금부재(3)의 잠금 통신부(32)를 호출하도록 단말 통신부(11)를 제어한다.
아울러, 잠금부재(3)는 주유캡(41)의 상면에 바닥판(600)이 밀착되고, 잠금부(300)의 걸림돌기(310)가 주유구(4)의 주유캡(41)에 체결된 상태이다. 이때, 주유캡(4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부재(3)가 상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바(320) 및 걸림돌기(310)에 의해 고정된 상태임에 따라 잠금부재(3)가 제거되기 전에는 개방이 불 가능하다.
즉, 잠금부재(3)는 주유구(4)의 주유캡(41)이 무단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차량(2)의 주유를 위해서는 주유캡(41)의 상측에 고정된 잠금부재(3)를 분리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1)에 해제 명령을 입력한다. 따라서, 단말 제어부(12)는 단말 디스플레이(13)를 통하여 해제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 통신부(11)를 통하여 잠금 통신부(32)에 해제 명령을 송신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로 모바일 단말(1)과 잠금부재(3)는 각각 고유의 식별정보가 설정되고, 통신 연결전에 식별정보의 확인 과정을 거쳐 설정된 장치들간에만 통신 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식별정보의 설정 및 확인 과정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을 적용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잠금부재(3)는 잠금 통신부(32)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1)의 해제 명령이 수신되면 구동부(36)를 제어하여 가압부(500)를 회전시켜 잠금부(300)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가압부(500)과 잠금부(300)의 동작은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잠금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가압부의 회전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잠금 상태는 잠금부(300)의 걸림돌기(310)가 주유구(4)의 주유캡(41)에 밀착된 상태이고, 접촉편(330)은 가압단(520)에 밀착된 상태이다. 여기서, 잠금부(300)는 탄성력에 의하여 접촉편(330)이 가압부(500)의 가압단(520)측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가압부(500)는 구동부(36)가 작동되면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접촉편(330)과 가압단(520)과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고, 대신 접촉편(330)과 해제단(530)이 접촉된다. 이때, 잠금 센서부(33)는 가압부(500)의 회전 반경을 감지하여 잠금 제어부(31)에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잠금 제어부(31)는 잠금 센서부(33)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접촉편(330)과의 접촉 대상이 가압단(520)에서 해제단(530)으로 변경될 때까지 회전시킨다.
따라서, 고정바(320)는 탄성력에 의하여 접촉편(330)이 해제단(530)측으로 밀착되도록 회전되면서 고정바(320)의 하측이 외측으로 벌어져 주유구(4)의 주유캡(41)과 걸림돌기(310)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주유캡(41)에서 잠금부재(3)를 제거한 뒤에 주유캡(41)을 개방시켜 주유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주유가 완료되면, 주유캡(41)의 상면에 바닥판(600)을 위치시키고, 자신의 모바일 단말(1)을 조작하여 잠금 명령을 입력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1)의 단말 제어부(12)는 단말 통신부(11)를 제어하여 잠금부재(3)에 잠금 명령을 송신한다.
그리고 잠금부재(3)는 잠금 제어부(31)가 구동부(36)를 작동시켜 가압부(500)를 회전시킨다. 즉, 가압부(500)는 구동부(36)가 작동되면서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해제단(530)에서 가압단(520)으로 접촉편(330)에 밀착시킨다.
가압단(5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해제단(530)에 비하여 확장된 회전반경을 갖기에 접촉편(330)에 밀어내는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바(320)는 상단이 외측으로 회전되고, 하측 끝단이 주유캡(41)측으로 회전되어 걸림돌기(310)를 주유캡(41)에 체결시킨다. 즉, 잠금부재(3)가 주유캡(41)을 잠금 시킨다.
여기서, 가압부(500)는 상술한 회전몸체(510)의 단면에서 가압단(520)과 해제단(530)을 교번적으로 형성함과 달리 내향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가압부(5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가압부(500)의 다른 실시예는 회전몸체(510)의 중심부에서 거리가 길어지도록 단면이 돌출되는 가압단(560)과, 가압단(560)들 사이에서 내향된 홈으로 형성되는 해제홈(550)을 포함한다.
가압단(560)과 해제홈(550)은 각각 복 수개로서 회전몸체(510)의 단면을 이루며 상호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가압단(560)은 해제홈(550)에 비하여 회전반경이 크도록 중심부에서 단면까지의 길이가 해제홈(550)에 비하여 보다 길고,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록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해제홈(550)은 가압단(560)들 사이에서 내향된 홈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접촉편(330)이 삽입됨에 따라 잠금부(300)의 잠금해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잠금부재(3)는 잠금 센서부(33)에서 전원부(34)(배터리)의 충전량을 감지하여 잠금 제어부(31)로 출력하면, 잠금 제어부(31)는 잠금 통신부(32)를 제어하여 전원부(34)(배터리)의 충전량을 송신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모바일 단말(1)을 통하여 전원부(34)(배터리)의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고, 만약 전원부(34)의 충전량이 적다면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는 상부커버(110)의 손잡이(113)를 잡고 상향시키면, 상부커버(110)의 체결돌기(111)와 돌출홈(112)이 하부커버(100)의 연결돌기(121)와 삽입홈(122)에서 인출되면서 하부커버(100)의 상면에서 상부커버(110)가 제거된다. 따라서, 하부커버(100)의 상면이 노출된다.
그리고 운전자는 드라이버등의 연장을 이용하여 연결돌기(121)의 연통홀(121c)에 체결된 고정수단을 인출시켜 하부커버(100)를 하우징(200)의 상단에서 분리시켜 전원부(34)(배터리)가 고정되는 지지판(400)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배터리를 교체한 뒤에 하부커버(100)와 상부커버(110) 순으로서 조립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이 교체할 배터리가 없거나, 모바일 단말(1)이 방전되거나, 모바일 단말(1)을 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잠금부재(3)의 작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USB형 저장부재(5)를 더 포함하며, USB형 저장부재(5)는 잠금부재(3)의 해제 명령 코드와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잠금부재(3)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위와 같은 비상상황에 해당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커버(110)와 하부커버(100)를 순차적으로 분리한 뒤에 지지판(400)에 설치된 USB 커넥터(35)에 USB형 저장부재(5)를 연결시킨다.
그러므로 잠금 제어부(31)는 USB 커넥터(35)를 통하여 USB형 저장부재(5)가 감지되면, USB형 저장부재(5)에 저장된 고유 식별정보와 해제 명령 코드를 수신한다. 그리고 잠금 제어부(31)는 설정된 식별정보와 수신된 고유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되면, 해제 명령 코드에 따라서 가압부(500)를 구동시켜 잠금을 해제시킨다.
이때, 잠금 제어부(31)는 USB형 저장부재(5)를 통하여 공급된 전원으로 구동부(36)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연료 도난을 감시 또는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연료탱크의 주유구(4)를 밀폐시키는 주유캡을 직접적으로 잠금 또는 해제시킴에 따라 연료 도난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도난 의지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종래에 비하여 보다 저렴한 방식으로 기술 구현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모바일 단말 2 : 차량
3 : 잠금부재 4 : 주유구
5 : USB형 저장부재 11 : 단말 통신부
12 : 단말 제어부 13 : 단말 디스플레이
31 : 잠금 제어부 32 : 잠금 통신부
33 : 잠금 센서부 34 : 전원부
35 : USB 커넥터 36 : 구동부
41 : 주유캡 100 : 커버
110 : 상부커버 111 : 체결돌기
112 : 돌출홈 113 : 손잡이
114 : 상부몸체 120 : 하부커버
121 : 연결돌기 121a : 상부홈
121b : 하부홈 121c : 연통홀
122 : 삽입홈 124 : 하부몸체
200 : 하우징 210 : 절개구
300 : 잠금부 310 : 걸림돌기
320 : 고정바 330 : 접촉편
400 : 지지판 410 : 고정봉
411 : 고정홀 500 : 가압부
510 : 회전몸체 520 : 가압단
530 : 해제단 540 : 회전공
550 : 해제홈 560 : 가압단
600 : 바닥판 610 : 수용홈

Claims (15)

  1. 차량(2) 주유구(4)의 주유캡(4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잠금부재(3);를 포함하고,
    잠금부재(3)는
    하우징(200)의 외측에서 탄성력을 갖고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주유캡(41)의 상단에 걸림되는 걸림돌기(310)가 구비된 잠금부(300); 및
    회전반경이 다른 적어도 2 이상의 단면들이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구동부(36)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잠금부(300)의 상단을 가압 또는 해제하는 가압부(500);을 포함하는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
  2. 삭제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가압부(500)는
    잠금부(300)의 상단을 가압하여 걸림돌기(310)가 주유캡(41)에 걸림 되도록 잠금부(300)의 상단에 접촉되는 단면들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외측으로 돌출된 가압단(5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가압부(500)는
    가압단(520)에 비하여 회전반경이 짧은 해제단(530)이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해제단(530)은
    가압부(500)의 내측으로 내향된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잠금부재는
    구동부(36)를 제어하는 잠금 제어부(31)와 구동부(36)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4)를 지지하는 지지판(400);
    하우징(200)의 바닥면을 형성하여 구동부(36)를 지지하는 바닥판(600); 및
    지지판(400)의 상단을 개폐시키는 커버(100);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
  7.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잠금부(300)는
    탄성력을 갖도록 하우징(200)에 힌지 결합되고, 일방향으로 연장된 끝단에서 걸림돌기(310)가 형성되는 고정바(320); 및
    고정바(320)의 상단에서 돌출형성된 일면에서 가압부(500)과 접촉되고, 가압부(500)의 회전반경에 따라 가해지는 힘을 고정바(320)로 전달하는 접촉편(330);을 포함하고,
    걸림돌기(310)는 접촉편(33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 되어 주유캡(41)에 걸림 또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
  8.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7항에 있어서, 하우징(200)은
    잠금부(300)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외면에서 절개된 복 수개의 절개구(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
  9. 차량(2) 주유구(4)를 밀폐시키는 주유캡(4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잠금부재(3); 및
    잠금부재(3)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잠금부재(3)의 해제 명령을 송신하는 모바일 단말(1);을 포함하고,
    잠금부재(3)는
    하우징(200)의 외측에서 탄성력을 갖고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주유캡(41)의 상단에 걸림되는 걸림돌기(310)가 구비된 잠금부(300); 및
    회전반경이 다른 적어도 2 이상의 단면들이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구동부(36)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잠금부(300)의 상단을 가압 또는 해제하는 가압부(500);를 포함하는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
  10. 삭제
  11. 청구항 9항에 있어서, 가압부(500)는
    잠금부(300)의 상단을 가압하여 걸림돌기(310)가 주유캡(41)측으로 회전되어 걸림되도록 잠금부(300)의 상단에 접촉되는 단면들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가압단(520);을 포함하는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
  12. 청구항 9항에 있어서, 고유 식별정보와, 명령 코드가 저장되어 잠금부재(3)에 착탈식으로 체결되는 USB형 저장부재(5);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
  13. 청구항 9항 또는 청구항 12항에 있어서, 잠금부재(3)는
    모바일 단말(1)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잠금 통신부(32);
    잠금 통신부(32)에서 수신된 모바일 단말(1)의 명령에 따라 구동부(36)를 제어하는 잠금 제어부(31); 및
    USB 커넥터(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
  14.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잠금부재(3)와 모바일 단말(1)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BLE:BLUETOOTH LOW ENERGY)으로 통신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
  15.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잠금부(300)는
    탄성력을 갖도록 하우징(200)에 힌지 결합되고, 일방향으로 연장된 끝단에서 걸림돌기(310)가 형성되는 고정바(320); 및
    고정바(320)의 상단에서 돌출형성된 일면에서 가압부(500)과 접촉되고, 가압부(500)의 회전반경에 따라 가해지는 힘을 고정바(320)로 전달하는 접촉편(330);을 포함하고,
    걸림돌기(310)는 접촉편(33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 되어 주유캡(41)에 걸림 또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
KR1020170101025A 2017-08-09 2017-08-09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 KR101854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025A KR101854150B1 (ko) 2017-08-09 2017-08-09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025A KR101854150B1 (ko) 2017-08-09 2017-08-09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150B1 true KR101854150B1 (ko) 2018-05-03

Family

ID=62244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025A KR101854150B1 (ko) 2017-08-09 2017-08-09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1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8179A (ja) 2000-12-20 2002-07-05 Kubota Corp 燃料タンク施錠装置
CN201525276U (zh) 2009-02-16 2010-07-14 郝存信 防盗油箱盖
WO2015154102A1 (en) * 2014-02-12 2015-10-08 Van Der Merwe, Schalk Willem Fuel gap locking system and method of unlocking a fuel ca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8179A (ja) 2000-12-20 2002-07-05 Kubota Corp 燃料タンク施錠装置
CN201525276U (zh) 2009-02-16 2010-07-14 郝存信 防盗油箱盖
WO2015154102A1 (en) * 2014-02-12 2015-10-08 Van Der Merwe, Schalk Willem Fuel gap locking system and method of unlocking a fuel ca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5437B2 (ja) 給電プラグロック装置
US9199551B2 (en) Lock device
US20080150679A1 (en) Remote Keyless Entry Device with Integrated Accessible Memory Storage
RU2670025C2 (ru) Дверной замок и бесключевая система дверного замка для дверей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варианты)
US10046324B2 (en) Reagent magazine with motor latch coupler
JP5096518B2 (ja) 給電プラグロック装置
JP6726460B2 (ja) 自動車ドア用電子式ラッチリリース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
CN108301706B (zh) 一种防盗油系统
WO2000012850A1 (en) Reconfigurable universal trainable transmitter
JP2014120229A (ja) ロック装置
JP5685122B2 (ja) ロック機器制御装置
CN103872519A (zh) 锁闭装置
WO2007078968A2 (en) Communication of automotive diagnostic data
JP6034171B2 (ja) ロック装置
CN101218405A (zh) 用于机动车辆的闭锁装置的无钥匙起动的系统
JP2004312621A (ja) 携帯型送信機
US20180069228A1 (en) Electrical Energy Store Having a Remote Controllable Locking Device
US20180096549A1 (en) Lock system, electronic lock, and portable device with certification function and pairing method for the same
JP2014116998A (ja) ロック制御装置
KR101876923B1 (ko) 컨테이너 전자 봉인장치
CN101830207A (zh) 通信装置以及通信方法
JP4243517B2 (ja) 通信システム
US20160379424A1 (en) Reuseable keyfob for use prior to sale of keyless vehicle
CN104832010A (zh) 门锁系统
KR101854150B1 (ko) 스마트형 주유캡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