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338B1 -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338B1
KR101853338B1 KR1020170161512A KR20170161512A KR101853338B1 KR 101853338 B1 KR101853338 B1 KR 101853338B1 KR 1020170161512 A KR1020170161512 A KR 1020170161512A KR 20170161512 A KR20170161512 A KR 20170161512A KR 101853338 B1 KR101853338 B1 KR 101853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izing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ange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6474A (ko
Inventor
오한선
정영수
이동현
하헌용
Original Assignee
(주)뷰티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뷰티화장품 filed Critical (주)뷰티화장품
Priority to KR1020170161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338B1/ko
Publication of KR20170136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에 적용시 히알루론산 합성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의 당김, 거칠음, 탄력부족 현상 등을 개선할 수 있어 피부보습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on for moisturizing comprising rehmannia glutinosa, astragalus membranaceus, angelica gigas and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장품 개발 경향은 이전의 미용적 범주를 벗어나 주름개선, 미백, 모공 수축 등의 기능적 측면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확대 및 발전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민감성 피부나 건성피부의 증상 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화장품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피부의 보습은 표피의 가장 외각에 존재하고 있는 각질층의 수분함량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건강한 피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각질층은 약 30% 정도의 수분을 함유해야 한다.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의 일종으로 콜라겐, 엘라스틴과 함께 피부의 3대 요소로 친수성이 강해 물과 결합하여 겔을 형성하는 성질이 있어 피부 수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천연 보습제로 알려져있다.
피부에서 HA의 농도는 연령의 증가, 자외선의 장기 노출과 같은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해 감소된다. 이러한 HA의 감소는 피부 수분함량의 감소와 함께 탄력의 감소, 거친 피부 및 주름 등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HA의 합성을 유도하거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은 피부 보습과 노화 방지에 효과적이며, 특히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yaluronic acid synthase, HAS) 중 HAS2와 HAS3는 히알루론산 합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피부에 적용시 HAS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HA의 생산을 촉진시킬 수 있는 화장료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10-0088881호 (공개일 : 2010.08.11) 한국공개특허 제 10-2015-0007530호 (공개일 : 2015.01.21.) 한국등록특허 제 10-1171369호 (등록일 : 2012.07.31.) 한국등록특허 제 10-1269993호 (등록일 : 2013.05.27.)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피부에 적용하면 HAS에 의한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보습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은 동일한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 후,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구현예에서, 정제수,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킬레이트제, 색소, 지방산, 산화방지제, 왁스, 향료, 방부제 및 중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에 적용시 히알루론산 합성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의 당김, 거칠음, 탄력부족 현상 등을 개선할 수 있어 피부보습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추출물을 처리한 HaCaT 세포의 RT-PCR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단, 1은 100bp Ladder, 2는 0.1% DMSO-HAS2, 3은 1μM ATRA-HAS2, 4, 5, 6은 실시예 1의 추출물 50 ㎍/㎖-HAS2의 동일 농도 조건으로 3회 반복실험, 7은 0.1% DMSO-GAPDH, 8은 1μM ATRA-GAPDH, 9, 10, 11은 실시예 1의 추출물 50 ㎍/㎖-GAPDH의 동일 농도 조건으로 3회 반복실험, 12는 100bp Ladder임).
도 2는 실시예 2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스킨을 적용한 볼 부위의 피부보습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3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에센스를 적용한 볼 부위의 피부보습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4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크림을 적용한 볼 부위의 피부보습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지황은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에 속하는 식물로, 카탈폴(catalpol), 아우쿠빈(aucubin)등과 같은 생리 활성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면역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황기는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며, 황기는 이소플라보노이드와 수용성 비타민인 콜린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한 피부로 관리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귀는 미나리과의 초본으로, 당귀에 함유된 데커신 성분은 피부 대사를 활성화시켜 활성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컨디셔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황금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주로 유해산소제거, 항염증, 항균, 항알레르기, 항산화작용, 미백, 노화방지, 보습 등의 작용을 하며, 한방 천연방부제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은 약용식물로 사용되어 피부에 적용시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AS)의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며, 이에 따라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의 생성을 증가시키므로 보습용 화장료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열수추출법, 용매추출법, 역류추출법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추출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추출법에 사용되는 용매는 정제수, 알코올, 알코올 수용액,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또는 헥산 등의 다양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일례로,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인간의 케라틴세포(keratinocyte)인 HaCaT에 적용한 결과 피부보습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그 함량이 너무 적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추출물의 보습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10 중량% 초과로 포함될 경우, 상대적으로 추가된 상승효과를 얻지 못할 뿐 아니라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0.1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5~1 중량%로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상기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은 동일한 비율로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작용부위에서의 농도가 바람직하게는 10~200 ㎍/㎖ 농도일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의 농도가 10 ㎍/㎖ 미만일 경우, 상기 추출물에 의한 보습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200 ㎍/㎖ 초과할 경우 세포독성이 높아져 상기한 농도범위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의 농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 후,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된 것을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된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에 용해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통상적인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킬레이트제, 색소, 지방산, 산화방지제, 왁스, 향료, 방부제, 중화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제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점증제 등과 혼합하여 로션, 스킨 또는 크림 등의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에센스, 아이크림, 마스크팩 또는 아이패치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는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에 적용시 히알루론산 합성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의 당김, 거칠음, 탄력부족 현상 등을 개선할 수 있어 피부보습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의 제조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은 퓨어마인드제약(경북, 영천)에서 구입하였으며 시료는 세명대학교 한방바이오융합과학부 천연물실험실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4종의 약재는 각 100 g을 측정하여 혼합한 뒤, 70%(v/v) 에탄올 용매 2,000 ml에 투입하고 냉침한 뒤 여과하여 병(bottle)에 포집하였고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은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이후에 동결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킨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킨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부틸렌글라이콜 7.00
글리세린 5.00
하이드록시에칠우레아 3.00
에탄올 1.50
베타인 1.50
피이지-32 1.00
페녹시에탄올 0.30
클로페네신 0.20
알란토인 0.20
판테놀 0.20
승마추출물 0.20
지황추출물 0.20
참당귀추출물 0.20
황금추출물 0.20
황기추출물 0.20
카보머 0.20
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0.20
피피지-26-부테스-26 0.20
알지닌 0.10
트로메타민 0.10
글리세릴폴리아크릴레이트 0.10
잔탄검 0.06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에칠헥실글리세린 0.02
정제수 적량
총량 100.00
실시예 3.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에센스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으로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디프로필렌글라이콜 6.00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3.0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코코넛오일 2.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0
에탄올 1.5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50
글리세릴글루코사이드 1.50
베타인 1.00
벤질글라이콜 0.92
사이클로헥사실록산 0.50
디메치콘 0.50
소르비탄올리베이트 0.50
세테아릴알코올 0.20
카보머 0.20
승마추출물 0.20
지황추출물 0.20
참당귀추출물 0.20
황금추출물 0.20
황기추출물 0.20
트로메타민 0.10
알지닌 0.10
알란토인 0.1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0
판테놀 0.10
부톡시디글라이콜 0.05
라스베리케톤 0.03
디소윰이디티에이 0.02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1
프로판디올 0.01
글리세린 0.01
하이드롤라이즈드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 0.01
정제수 적량
총량 100.00
실시예 4.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림 제조
하기 표 3에 나타낸 조성으로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7.00
부틸렌글라이콜 7.00
글리세린 3.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2.00
세테아릴알코올 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코코넛오일 2.00
하이드록시에칠우레아 2.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0
베타인 1.50
에탄올 1.50
사이클로헥사실록산 1.5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0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0
벤질글라이콜 0.92
디메치콘 0.50
비즈왁스 0.50
카보머 0.20
승마추출물 0.20
지황추출물 0.20
참당귀추출물 0.20
황금추출물 0.20
황기추출물 0.20
트로메타민 0.10
알지닌 0.10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10
잔탄검 0.1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0
판테놀 0.10
부톡시디글라이콜 0.05
알란토인 0.05
라스베리케톤 0.03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1
정제수 적량
총량 100.00
시험예 1. 추출물 분석
(1) 세포독성 분석
실시예 1의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TT 분석법을 이용한 독성검사를 수행하였다.
독성검사에 사용한 HaCaT 세포주는 미국 ATCC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HaCaT 세포는 세포배양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Gibco)에 10 %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Gibco)과 1 %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Gibco)이 함유된 배지에서 37 ℃, 5 %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먼저, 세포를 2×105 개/㎖ 농도로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안착(seeding)시켰다. 24시간 후에 무혈청(serum-free) DMEM으로 교체해준 후에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 10, 50, 100 및 200 ㎍/㎖로 각각 처리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해준 후에 배지(media)를 걷어내고 20 ㎕의 3-(4,5-디메틸-2-티아졸일)-2,5-디페닐-2수소-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MTT] 용액을 5 ㎎/㎖ 넣어주고 CO2 배양기에서 2시간 배양하였다. 100 ㎕의 디메틸설폭사이드(DMSO)로 결정을 용해시킨 후에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DMSO는 최종농도 0.1%에 맞추었다.
0.1μM 올-트랜스-레티놀산(All-trans-retinoic acid, ATRA, sigma)로 처리시의 세포 생존율을 100%로 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은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 10 ㎍/㎖로 처리시 92.65%, 50 ㎍/㎖로 처리시 93.73%, 100 ㎍/㎖로 처리시 94.02% 및 200 ㎍/㎖로 처리시 100.19%로,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 처리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RT-PCR(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분석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이 HAS2(Hyaluronic acid synthase 2)유전자를 발현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RT-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먼저, HaCaT 세포를 2×105 개/㎖ 농도로 6 웰 플레이트에 안착시켰다. 24 시간 후에 무혈청 DMEM으로 교체해준 후,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을 50 ㎍/㎖로 처리하였다. 최종 DMSO는 농도는 0.1%로 맞추었다. 24 시간동안 배양해준 후에 이지블루(easyBlue, Intron)로 RNA를 추출하였다. RNA 농도와 순도 (OD 260 / OD 280)를 측정한 후에 2 ㎍ RNA로 파워 cDNA 합성 키트(power cDNA synthesis kit, Intron)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PCR은 프리믹스 PCR 키트(premix PCR kit, Solgent)를 이용하였다. PCR 생성물은 1.5% 아가로오스 겔(agarose gel)에 전기영동하고 밴드를 확인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올-트랜스-레티놀산(All-trans-retinoic acid, ATRA, sigma) 1 μM 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참고로 사용된 프라이머(primer)의 서열은 하기 표 4과 같다.
유전자 방향 염기서열(5' → 3') 크기 (bp)
HAS2 정방향 GCT ACC AGT TTA TCC AAA CG (20 mer) 393
역방향 GTG ACT CAT CTG TCT CAC CG (20 mer)
GAPDH 정방향 ATT GTT GCC ATC AAT GAC CC (20 mer) 546
역방향 AGT AGA GGC AGG GAT GAT GT (20 mer)
PCR조건은 94 ℃ 15분, 32~35 사이클(cycle) [94 ℃ 30초, 50 ℃ 30초, 72 ℃ 60초, 72 ℃ 10분 최종 합성]으로 수행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50 ㎍/㎖ 농도의 추출물에서 HAS2 유전자가 발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HA 합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HA-ELISA(H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분석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HA의 생성량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HA-ELISA(HA-ELISA kit, echelon)를 수행하였다.
먼저, HaCaT 세포를 2×105 개/㎖ 농도로 6 웰 플레이트에 안착시켰다. 24시간 후에 무혈청 DMEM으로 2 번 세척해준 후, 무혈청 DMEM를 새로 교체하고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을 50 ㎍/㎖로 처리하였다. DMSO는 0.1%로 맞추어 주었다. 추출물 처리 24시간 후에 350 ㎕의 배지를 취하여 15,000×g에서 5 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취하여 ELISA를 수행할 때까지 ­20 ℃에서 보관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ATRA 1 μM 을 사용하여 ELISA로 0분, 15분 30분 및 45분에 측정한 HA 생성량을 표 5에 나타내었다.

생성량 (㎍/㎖)
0분 15분 30분 45분 ATRA(30분)
실시예 1
50 ㎍/㎖
517.025 528.904 543.324 516.959 759.091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을 50 ㎍/㎖ 처리했을 경우, HA의 생성량이 30분 측정시점에서 가장 높은 543.32 ㎍/㎖으로 측정되었다. 이에 따라,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은 HAS 유전자를 발현시켜 HA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은 비록 화합물과 유사한 정도는 아니지만, 독성이 없는 안전한 천연물로서 화합물과 마찬가지로 HA 생성 효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피부보습 개선효과 인체적용 시험
(1) 스킨
실시예 2에 따른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킨의 피부보습 개선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여성 22명(평균 40.636세)의 얼굴 볼 부위에 적용하였다.
먼저, 안면을 물로 세안한 후 항온항습 조건에서 30분간 대기한 다음, 시료적용 전, 시료적용 2주 후, 시료적용 4주 후 시험부위의 보습량을 수분측정기(Corneometer CM825, Courage and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3회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6 밑 도 2에 나타냈고, 피부보습 증가율을 표 7에 나타내었다. 통계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적용 전 적용 2주 후 적용 4주 후
평균(A.U) 55.007 61.678 64.704
표준편차 6.862 7.158 7.262
적용 2주 후 적용 4주 후
증가율(%) 12.612 18.457
표 6, 표 7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료적용 전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적용 2주 후 및 4주 후 각각 12.612% 및 18.457%의 피부보습 증가율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실시예 2에 따른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킨은 피부보습 증가에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2) 에센스
실시예 3에 따른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에센스의 피부보습 개선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여성 22명(평균 43.272세)의 얼굴 볼 부위에 적용하였다.
먼저, 안면을 물로 세안한 후 항온항습 조건에서 30분간 대기한 다음, 시료적용 전, 시료적용 2주 후, 시료적용 4주 후 시험부위의 보습량을 수분측정기를 이용하여 3회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8 및 도 3에 나타냈고, 피부보습 증가율을 표 9에 나타내었다.
적용 전 적용 2주 후 적용 4주 후
평균(A.U) 52.096 64.467 70.672
표준편차 8.028 6.771 5.237
적용 2주 후 적용 4주 후
증가율(%) 25.177 38.091
표 8, 표 9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료적용 전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적용 2주 후 및 4주 후 각각 25.177% 및 38.091%의 피부보습 증가율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실시예 3에 따른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에센스는 피부보습 증가에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3) 크림
실시예 4에 따른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림의 피부보습 개선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여성 22명(평균 45.045세)의 얼굴 볼 부위에 적용하였다.
먼저, 안면을 물로 세안한 후 항온항습 조건에서 30분간 대기한 다음, 시료적용 전, 시료적용 2주 후, 시료적용 4주 후 시험부위의 보습량을 수분측정기를 이용하여 3회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0 및 도 4에 나타냈고, 피부보습 증가율을 표 11에 나타내었다.
적용 전 적용 2주 후 적용 4주 후
평균(A.U) 59.960 64.184 67.883
표준편차 8.354 7.725 7.832
적용 2주 후 적용 4주 후
증가율(%) 7.733 14.026
표 10, 표 11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료적용 전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적용 2주 후 및 4주 후 각각 7.733% 및 14.026%의 피부보습 증가율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실시예 4에 따른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림은 피부보습 증가에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의 에탄올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2 중량%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승마의 에탄올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 후,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정제수,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킬레이트제, 색소, 지방산, 산화방지제, 왁스, 향료, 방부제 및 중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KR1020170161512A 2017-11-29 2017-11-29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3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512A KR101853338B1 (ko) 2017-11-29 2017-11-29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512A KR101853338B1 (ko) 2017-11-29 2017-11-29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298A Division KR20170055293A (ko) 2015-11-11 2015-11-11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474A KR20170136474A (ko) 2017-12-11
KR101853338B1 true KR101853338B1 (ko) 2018-05-02

Family

ID=6094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512A KR101853338B1 (ko) 2017-11-29 2017-11-29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3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854B1 (ko) * 2019-04-08 2019-08-30 (주)우성씨앤티 황금과 후박의 벤질글라이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안티- 풀루션 효과로 피부 트러블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 화장품 조성물
KR20210051673A (ko)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황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854B1 (ko) * 2019-04-08 2019-08-30 (주)우성씨앤티 황금과 후박의 벤질글라이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안티- 풀루션 효과로 피부 트러블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 화장품 조성물
KR20210051673A (ko)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황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474A (ko) 201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93621A (zh) 包含铁皮石斛花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KR101352363B1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KR10225309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
EP2200574B1 (en) Novel use of panduratin derivatives or extract of kaempferia pandurata comprising the same
JP2011088845A (ja) インボルクリン発現抑制剤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5496831B (zh) 含雪参提取物的组合物及其用途和皮肤外用剂
KR101853338B1 (ko)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2536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22637B1 (ko) 마유 및 애기수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4444B1 (ko) 아티초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6069341A (ja) 皮膚バリア機能改善剤、細胞間接着構造の形成促進剤、タイトジャンクション形成促進剤及びtrpv4遺伝子の発現亢進剤
KR100829819B1 (ko) 판두라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35679B1 (ko)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529227B1 (ko) 연우주안방과 연방을 함유하는 미백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한방화장품
KR20180059318A (ko) 자감초, 향부자 및 강황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1088854A (ja) インボルクリン発現抑制剤
KR20170055293A (ko) 지황, 황기, 당귀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75988B1 (ko) 3,3',4-tri-O-methylellag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229902B1 (ko) 페놀성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292114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미세먼지 유발 염증 개선, 및 모공축소용 조성물
KR101515443B1 (ko) 베르가못, 금은화, 율무 및 밀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미백 및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기능성 화장용 조성물
KR102370802B1 (ko) 민들레 뿌리 추출물, 카페인 및 토코페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21579B1 (ko) 보센벌지아 로툰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KR20170013588A (ko)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