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379B1 -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379B1
KR101852379B1 KR1020180012064A KR20180012064A KR101852379B1 KR 101852379 B1 KR101852379 B1 KR 101852379B1 KR 1020180012064 A KR1020180012064 A KR 1020180012064A KR 20180012064 A KR20180012064 A KR 20180012064A KR 101852379 B1 KR101852379 B1 KR 101852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unit
coin
cutter
fa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2379B9 (ko
Inventor
박양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티
Priority to KR1020180012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379B1/ko
Publication of KR10185237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37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manufacturing of adhe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making adhesive or cohesive tape or fabrics therefor, e.g. coating or mechanical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2013/029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making transdermal patches (chemical processes exclud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 A61M2207/10Device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는 파스원단을 사용하여 원형 또는 네모 형상의 2개 이상으로 만들어진 동전파스와, 통째로 하나로 만들어진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장치로, 언와인딩 롤러에 감겨있는 상기 파스원단이 권출되는 언와인딩 유니트부와; 상기 파스원단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 컨트롤 유니트부와; 상기 파스원단을 당겨주는 동력을 공급하고 장력을 유지케 하며 상기 파스원단을 공급해주는 메인피더를 포함한 피더 유니트부와; 상기 동전파스를 제조할 때는 상기 파스원단을 패스시키고, 상기 일반파스를 제조할 때는 상기 파스원단을 공급받아 상기 원단 이형부의 중간부분을 물결 형상으로 커팅하며 웨이브커터를 포함하는 웨이브커팅 유니트부와; 상기 일반파스를 제조할 때는 상기 파스원단을 패스시키고, 상기 동전파스를 제조할 때는 상기 원단 약제부를 커팅시켜 상기 동전패취 외의 부분인 원단 약제부 스크랩을 벗겨내어 스크랩 처리할 수 있게 하프커팅하며 하프커터를 포함하는 하프커팅 유니트부와; 상기 동전파스를 제조할 때만 가동하며, 상기 원단 약제부 스크랩을 벗겨내어 권취하는 원단 약제부 스크랩 리와인더를 포함하는 원단 약제부 스크랩 리와인딩 유니트부와; 상기 파스원단에서 상기 동전파스 또는 일반파스 부분을 제외한 부분인 원단 이형부 스크랩 또는 원단 스크랩을 제거하기 위하여 파이널 커팅을 하며 파이널커터를 포함하는 파이널커팅 유니트부와; 상기 파스원단에서 상기 원단 스크랩을 벗겨내어 권취하여 상기 동전파스 또는 일반파스만 후공정으로 배출되게 하는 원단스크랩 리와인더를 포함하는 원단스크랩 리와인딩 유니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제조장치로 2품목 이상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장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장비설치비 및 장비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어 고정비를 줄어 생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Manufacturing Equipment of Pain Relief Patch for Two Items of Coin and General Type Patch}
본 발명은 파스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스원단을 사용하여 2개 이상으로 나누어지는 동전파스와, 통째로 하나로만 된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어 제조장치의 가동 시간을 늘일 수 있는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스는 피부에 바르는 염증과 통증 완화 약물, 즉 외용 소염진통제를 의미한다. 초기에는 파스의 제형으로서 반투명 연고의 형태, 또는 약 성분과 접착 성분이 섬유 상에 스프레드된 형태의 두 가지 형태가 있었으나, 요즘은 물파스, 뿌리는 파스, 로션 제형 파스 등으로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해졌다. 그러나, 통상적으로는 약 성분과 접착 성분이 섬유 상에 스프레드된 형태를 파스로 지칭한다.
즉, 파스는 진통 완화 및 치료를 목적으로 피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신축성이 있는 부직포에 진통 소염 효과를 가지는 약제와 접착성 물질을 도포하여 제조되고, 그 사용의 편리성과 효능에 의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파스는 접착성 물질의 도포면을 환부에 붙여서 그대로 사용하거나,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환부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사용하게 되는데, 효능에 따라 적합한 약제가 사용되고, 최근에는 한방 약제 등 다양한 작용을 하는 파스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파스는 재질의 특성으로 인한 유연함으로 인해 환부에 제대로 펼쳐서 붙이는 것이 쉽지 않으며, 특히 환부가 쉽게 손이 닿지 않는 경우이거나, 파스의 크기가 커질수록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파스를 제대로 펼쳐서 올바른 위치에 붙이지 못하게 됨으로써 파스를 환부로부터 재차 분리하여 붙이게 되는 경우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로 인해 파스의 접착면에 대한 오염을 유발하여 파스의 접착력을 쉽게 상실하게 되고,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이러한 섬유 상 형태의 파스는 피부에 밀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장시간 파스를 붙이고 있으면 진통효능 이외에 피부에 가려움증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고 있으며, 파스가 국소 부위만 부착하기 위하여 소형화되어 동전파스가 제조되고 있고, 고급화 되고 있어 여러 가지 종류의 파스를 제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제조장치가 많이 필요하게 되었다 생산설비에 대한 투자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어 다품종을 생산할 수 있는 파스제조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1. 한국등록 실용신안공보 제 20-0427927 (등록일자 : 2006년 09월 26일) 기능성 파스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554328 (등록일자 : 2015년 09월 14일) 포장지에 약제가 붙지 않고 약제수율이 개선된 약제패치 제조장치 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68900 (등록일자 : 2013년 05월 23일) 이형성이 좋은 약제패치 제조장치 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997772 (등록일자 : 2013년 05월 23일) 패치 자동 제조장치 5.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785425 (등록일자 : 2017년 09월 29일) 약제용 패치 제조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웨이브커터와 하프커터를 연속으로 설치하고 하프커터 후공정에 원단 약제부 스크랩 리와인더를 설치한 후 파이널커터를 설치하여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는 파스원단을 사용하여 원형 또는 네모 형상의 2개 이상으로 만들어진 동전파스와, 통째로 하나로 만들어진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장치이다.
기 파스원단은 제제로부터 약리학적 활성성분을 피부를 통해 전달시킬 수 있게 한 경피투여용 약물이 부착되며, 환부에 부착하는 원단 약제부와; 상기 원단 약제부의 하부에 점착되어 상기 원단 약제부를 보호하며, 환부 사용시 제거되는 원단 이형부로 구성된다.
상기 파스원단은 언와인딩 롤러에 감겨있다 파스 제조시 권출된다.
상기 원단 약제부는 경피투여용 상기 약물과 점착 성질을 부여하는 점착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형성되는 약물층과; 상기 약물층의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약물층의 외부 손실을 방지하며 환부에 신축성을 유지시켜 주는 보호필름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동전파스는 경피투여용 약물이 부착되며, 환부에 부착 시 상부에서 뜯어내어 환부에 부착하며, 원형 또는 네모 형상이고, 2개 이상의 동전패취로 구성된 동전파스 약제부와; 분할되지 않고 하나로 형성되어 일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동전파스 약제부의 하부에 점착되어 상기 동전파스 약제부를 보호하고, 각각의 상기 동전패취를 다 뜯어내어 사용한 후에는 버려지는 동전파스 이형부로 구성된다.
상기 일반파스는 경피투여용 약물이 부착되며, 환부에 부착 시 하측 부분을 뜯어낸 후 환부에 부착하고, 4각 형상의 1개의 일반패취로 된 일반파스 약제부와; 상기 일반파스 약제부의 하부에 점착되어 상기 일반파스 약제부를 보호하고, 중앙에 웨이브지게 웨이브절단선이 있어 2개로 분할되며, 상기 일반패취를 사용시 뜯어내어 제거되는 일반파스 이형부로 구성된다.
상기 파스 제조장치는 언와인딩 롤러에 감겨있는 상기 파스원단이 권출되는 언와인딩 유니트부와; 소진되었을 때 상기 파스원단의 교체 및 전후 공정의 속도 차이에 따른 완충을 하며, 상기 파스원단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 컨트롤 유니트부와; 상기 파스원단을 당겨주는 동력을 공급하고 장력을 유지케 하며 상기 파스원단을 공급해주는 메인피더를 포함한 피더 유니트부와; 상기 동전파스를 제조할 때는 상기 파스원단을 패스시키고, 상기 일반파스를 제조할 때는 상기 파스원단을 공급받아 상기 원단 이형부의 중간부분을 물결 형상으로 커팅하며 웨이브커터를 포함하는 웨이브커팅 유니트부와; 상기 일반파스를 제조할 때는 상기 파스원단을 패스시키고, 상기 동전파스를 제조할 때는 상기 원단 약제부를 커팅시켜 상기 동전패취 외의 부분인 원단 약제부 스크랩을 벗겨내어 스크랩 처리할 수 있게 하프커팅하며 하프커터를 포함하는 하프커팅 유니트부와; 상기 동전파스를 제조할 때만 가동하며, 상기 원단 약제부 스크랩을 벗겨내어 권취하는 원단 약제부 스크랩 리와인더를 포함하는 원단 약제부 스크랩 리와인딩 유니트부와; 상기 파스원단에서 상기 동전파스 또는 일반파스 부분을 제외한 부분인 원단 이형부 스크랩 또는 원단 스크랩을 제거하기 위하여 파이널 커팅을 하며 파이널커터를 포함하는 파이널커팅 유니트부와; 상기 파스원단에서 상기 원단 스크랩을 벗겨내어 권취하여 상기 동전파스 또는 일반파스만 후공정으로 배출되게 하는 원단스크랩 리와인더를 포함하는 원단스크랩 리와인딩 유니트부와; 완성품인 상기 동전파스 또는 일반파스를 후공정인 적재공정 또는 포장공정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유니트부와; 상기 파스 제조장치를 운전하고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스 제조장치는 상기 파스 제조장치의 프레임의 최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이브커터, 하프커터 및 파이널커터의 부품의 교체 또는 정비를 위해 크린룸의 클라스 100을 유지할 수 있는 무동력이며, 먼지와 불순물이 발생하지 않는 크린 호이스트 유니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크린 호이스트 유니트는 상기 웨이브커터, 하프커터 및 파이널커터를 들어올리고 내리는 수동으로 운전되는 크린 호이스트와; 프레임의 최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크린 호이스트가 360도 회전과 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호이스트 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호이스트 지지부는 상기 크린 호이스트가 전진하고 후진하며 수평으로 설치된 외팔보와; 상기 외팔보의 일단과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외팔보가 360도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볼지지부로 구성된다.
상기 언와인딩 유니트부는 상기 파스원단이 권취되어 있어 상기 파스원단이 권출되는 상기 언와인딩 롤러와; 상기 파스원단이 다 공급되어 소진되었을 때 새로운 상기 파스원단을 공급하기 위해 신구 파스원단을 이어주는 작업을 하는 스프라이서 보드(Splicer Board)와; 상기 파스원단이 사행을 하지 않고 일정한 센터로 공급되게 하기 위한 CPC 유니트((Center Position Cotrol Uni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텐션 컨트롤 유니트부는 신구 파스원단의 교체작업 시에도 연속으로 파스 제조를 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파스원단의 전후 공정의 속도 차이에 따른 완충을 하는 버퍼 유니트와; 공급되는 상기 파스원단의 텐션을 일정하게 조정하는 텐션 컨트롤 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각의 상기 메인피더, 웨이브커터, 하프커터 및 파이널커터는 상기 파스원단(A)의 초기 투입 및 타 품목 사용 시 패스할 수 있게 상부드럼을 위로 들어 하부드럼과의 갭이 20~30mm 발생할 수 있게 하며, 커팅시 일정 깊이까지만 커팅할 수 있게 갭 조절을 할 수 있는 피나클이 형성된다.
상기 웨이브커터는 상기 파스원단의 하부에 형성된 원단 이형부를 물결 형상으로 커팅하기 위하여 하부드럼에 칼날이 형성되고, 상기 하프커터는 상기 파스원단의 상부에 형성된 원단 약제부만 커팅하기 위하여 상부드럼에 칼날이 형성된다.
상술한 파스 제조장치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제조장치로 2품목 이상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장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장비설치비 및 장비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어 고정비를 줄어 생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에 사용하는 파스원단 평면도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한 일반파스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한 동전파스의 제1실시예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한 동전파스의 제2실시예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에 따른 언와인딩 유니트부와 텐션 컨트롤 유니트부 및 피더 유니트부 개략도 및 원료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에 따른 웨이브커팅 유니트부 개략도 및 원료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에 따른 하프커팅 유니트부 개략도 및 원료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에 따른 원단 약제부 스크랩 리와인딩 유니트부 개략도 및 원료 및 원단 약제부 스크랩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에 따른 파이널 커팅 유니트부 개략도 및 원료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에 따른 원단스크랩 리와인딩 유니트부와 컨베이어 유니트부 개략도 및 제품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일반파스를 제조하는 공정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동전파스를 제조하는 공정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에 따른 크린 호이스트 유니트 개략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에 사용하는 파스원단 평면도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한 일반파스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한 동전파스의 제1실시예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한 동전파스의 제2실시예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에 따른 언와인딩 유니트부와 텐션 컨트롤 유니트부 및 피더 유니트부 개략도 및 원료 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에 따른 웨이브커팅 유니트부 개략도 및 원료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에 따른 하프커팅 유니트부 개략도 및 원료 흐름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에 따른 원단 약제부 스크랩 리와인딩 유니트부 개략도 및 원료 및 원단 약제부 스크랩 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에 따른 파이널 커팅 유니트부 개략도 및 원료 흐름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에 따른 원단스크랩 리와인딩 유니트부와 컨베이어 유니트부 개략도 및 제품 흐름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일반파스를 제조하는 공정 흐름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동전파스를 제조하는 공정 흐름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에 따른 크린 호이스트 유니트 개략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는 파스원단(A)을 사용하여 원형 또는 네모 형상의 2개 이상으로 만들어진 동전파스(B)와, 통째로 하나로 만들어진 일반파스(C)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파스 제조장치(D)는 언와인딩 롤러(11)에 감겨있는 상기 파스원단(A)이 권출되는 언와인딩 유니트부(1)와; 소진되었을 때 상기 파스원단(A)의 교체 및 전후 공정의 속도 차이에 따른 완충을 하며, 상기 파스원단(A)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 컨트롤 유니트부(2)와; 상기 파스원단(A)을 당겨주는 동력을 공급하고 장력을 유지케 하며 상기 파스원단(A)을 공급해주는 메인피더(31)를 포함한 피더 유니트부(3)와; 상기 동전파스(B)를 제조할 때는 상기 파스원단(A)을 패스시키고, 상기 일반파스(C)를 제조할 때는 상기 파스원단(A)을 공급받아 상기 원단 이형부(A2)의 중간부분을 물결 형상으로 커팅하며 웨이브커터(41)를 포함하는 웨이브커팅 유니트부(4)와; 상기 일반파스(C)를 제조할 때는 상기 파스원단(A)을 패스시키고, 상기 동전파스(B)를 제조할 때는 상기 원단 약제부(A1)를 커팅시켜 상기 동전패취(B11) 외의 부분인 원단 약제부 스크랩(A13)을 벗겨내어 스크랩 처리할 수 있게 하프커팅하며 하프커터(51)를 포함하는 하프커팅 유니트부(5)와; 상기 동전파스(B)를 제조할 때만 가동하며, 상기 원단 약제부 스크랩(A13)을 벗겨내어 권취하는 원단 약제부 스크랩 리와인더(61)를 포함하는 원단 약제부 스크랩 리와인딩 유니트부(6)와; 상기 파스원단(A)에서 상기 동전파스(B) 또는 일반파스(C) 부분을 제외한 부분인 원단 이형부 스크랩(A21) 또는 원단 스크랩(A3)을 제거하기 위하여 파이널 커팅을 하며 파이널커터(71)를 포함하는 파이널커팅 유니트부(7)와; 상기 파스원단(A)에서 상기 원단 스크랩(A3)을 벗겨낸 후 권취하여 상기 동전파스(B) 또는 일반파스(C)만 후공정으로 배출되게 하는 원단스크랩 리와인더(81)를 포함하는 원단스크랩 리와인딩 유니트부(8)와; 완성품인 상기 동전파스(B) 또는 일반파스(C)를 후공정인 적재공정 또는 포장공정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유니트부(9)와; 상기 파스 제조장치(D)를 운전하고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스 제조장치(D)는 상기 파스 제조장치(D)의 프레임의 최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이브커터(41), 하프커터(51) 및 파이널커터(71)의 부품의 교체 또는 정비를 위해 크린룸의 클라스 100을 유지할 수 있는 무동력이며, 먼지와 불순물이 발생하지 않는 크린 호이스트 유니트(1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에는 상기 파스 제조장치(D)를 운전하고 제어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가 포함되며, 운전 및 제어방법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D)에 따르면 하나의 제조장치로 여러 종류의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1품목만 생산할 때는 생산량에 따라 제조장치를 정지시켜 운휴해야 하는데 소량 다품종을 생산할 수 있어, 제조장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장비설치비 및 장비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어 고정비를 줄어 생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D)에 사용되는 파스원단(A)은 제제로부터 약리학적 활성성분을 피부를 통해 전달시킬 수 있게 한 경피투여용 약물이 부착되며, 환부에 부착하는 원단 약제부(A1)와; 상기 원단 약제부(A1)의 하부에 점착되어 상기 원단 약제부(A1)를 보호하며, 환부 사용시 제거되는 원단 이형부(A2)로 구성된다.
상기 파스원단(A)은 언와인딩 롤러에 감겨있다 파스 제조시 권출된다.
상기 원단 약제부(A1)는 경피투여용 상기 약물과 점착 성질을 부여하는 점착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형성되는 약물층(A11)과; 상기 약물층(A11)의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약물층(A11)의 외부 손실을 방지하며 환부에 신축성을 유지시켜 주는 보호필름층(A12)으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일반파스(C)는 경피투여용 약물이 부착되며, 환부에 부착 시 하측 부분을 뜯어낸 후 환부에 부착하고, 4각 형상의 1개의 일반패취로 된 일반파스 약제부(C1)와; 상기 일반파스 약제부(C1)의 하부에 점착되어 상기 일반파스 약제부(C1)를 보호하고, 중앙에 웨이브지게 웨이브절단선(C21)이 있어 2개로 분할되며, 상기 일반패취를 사용시 뜯어내어 제거되는 일반파스 이형부(C2)로 구성된다.
상기 일반파스(C)의 통상적인 크기는 가로 약 100mm 세로 약 70mm 이며, 상기 웨이브절단선(C21)의 물결 피치는 30~35mm 인 것이 바람직하며, 4모서리는 곡률반경 8~10mm로 라운드지는게 인체에 부착하였을 때 모서리 부분이 떨어지지 않는다.
상기 일반파스(C)는 통상 크기인 가로 약 100mm 세로 약 70mm 의 2배나 4배로 생산되기도 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동전파스(B)는 상기 파스원단(A)을 사용하여 상기 일반파스(C)보다 1/2 또는 1/6의 크기이고, 원형 또는 네모 형상의 2개 이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동전파스(B)는 경피투여용 약물이 부착되며, 환부에 부착 시 상부에서 뜯어내어 환부에 부착하며, 원형 또는 네모 형상이고, 2개 이상의 동전패취(B11)로 구성된 동전파스 약제부(B1)와; 분할되지 않고 하나로 형성되어 일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동전파스 약제부(B1)의 하부에 점착되어 상기 동전파스 약제부(B1)를 보호하고, 각각의 상기 동전패취(B11)를 다 뜯어내어 사용한 후에는 버려지는 동전파스 이형부(B2)로 구성된다.
도 5는 상기 일반파스(C)의 크기에 원형의 상기 동전패치(B11)이 6개 형성된 상기 동전파스(B)의 제1실시예이다.
상기 동전파스(B)의 제1실시예는 원형의 동전패취(B11)를 6개를 가지며, 상기 동전파스 이형부(B2)의 크기가 가로 약 100mm 세로 약 70mm 이고, 상기 동전패취(B11)의 크기는 직경 28±0.5mm 이다.
도 6은 상기 일반파스(C)의 크기에 사각형의 상기 동전패치(B11)이 2개 형성된 상기 동전파스(B)의 제2실시예이다.
상기 동전파스(B)의 제2실시예는 4각형의 동전패취(B11)를 2개를 가지며, 상기 동전파스 이형부(B2)의 크기가 가로 약 100mm 세로 약 70mm 이고, 상기 동전패취(B11)의 크기는 가로 64±0.5mm 세로 45±0.5mm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에 따른 상기 언와인딩 유니트부(1)와 텐션 컨트롤 유니트부(2) 및 피더 유니트부(3)의 개략도 및 원료 흐름도이다.
상기 언와인딩 롤러(11)에 상기 파스원단(A)은 상기 원단 약제부(A1)가 상부에 있도록 권취어야 있어, 권출될 때에 상기 원단 약제부(A1)가 상층을 이루고, 상기 원단 이형부(A2)은 하층을 이룬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언와인딩 유니트부(1)는 상기 파스원단(A)이 권취되어 있어 상기 파스원단(A)이 권출되는 상기 언와인딩 롤러(11)와; 상기 파스원단(A)이 다 공급되어 소진되었을 때 새로운 상기 파스원단(A)을 공급하기 위해 신구 파스원단(A)을 이어주는 작업을 하는 스프라이서 보드(Splicer Board)(12)와; 상기 파스원단(A)이 사행을 하지 않고 일정한 센터로 공급되게 하기 위한 CPC 유니트((Center Position Cotrol Unit)(13)와; 상기 파스원단(A)의 방향을 변경시키거나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롤러(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프라이서 보드(Splicer Board)(12)에서 구 파스원단(A)을 잡아주어 신구 파스원단(A)을 연결해주는 시간을 벌 수 있게 한다.
상기 텐션 컨트롤 유니트부(2)는 상기 파스원단(A)이 소진되었을 때 상기 파스원단(A)의 교체 및 전후 공정의 속도 차이에 따른 완충을 하며, 상기 파스원단(A)의 텐션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텐션 컨트롤 유니트부(2)는 신구 파스원단(A)의 교체작업 시에도 연속으로 파스 제조를 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파스원단(A)의 전후 공정의 속도 차이에 따른 완충을 하는 버퍼 유니트(21)와; 공급되는 상기 파스원단(A)의 텐션을 일정하게 조정하는 텐션 컨트롤 유니트(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더 유니트부(3)는 상기 파스원단(A)을 당겨주는 동력을 공급하고 장력을 유지케 하며 상기 파스원단(A)을 공급해주는 메인피더(31)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피더(31)는 상기 파스원단(A)의 초기 투입 및 타 품목 사용 시 패스할 수 있게 상부드럼을 위로 들어 하부드럼과의 갭이 20~30mm 발생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파스원단(A)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상부드럼(312)과 하부드럼(313)의 마찰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갭 조절을 할 수 있는 피나클(Pinnacle)(311)이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웨이브커팅 유니트부(4)는 상기 동전파스(B)를 제조할 때는 상기 파스원단(A)을 패스시키고, 상기 일반파스(C)를 제조할 때는 상기 파스원단(A)을 공급받아 상기 원단 이형부(A2)의 중간부분을 물결 형상으로 커팅하며 웨이브커터(41)를 포함한다.
상기 웨이브커터(41)는 상기 파스원단(A)이 하부로 지나가는 상부드럼(412)와; 상기 상부드럼(41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파스원단(A)이 상부로 지나가며 상기 상부드럼(412)과 같이 상기 파스원단(A)의 원단 이형부(A2)를 물결 형상으로 커팅하며, 상기 파스원단(A)에 마찰력을 주는 하부드럼(413)과; 상기 상부드럼(412)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파스원단(A)의 초기 투입 및 타 품목 사용 시 패스할 수 있게 상기 상부드럼(412)을 위로 들어 상기 하부드럼(413)과의 갭이 20~30mm 발생할 수 있게 하며, 커팅시 일정 깊이까지만 커팅할 수 있게 갭 조절을 할 수 있는 피나클(Pinnacle)(4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드럼(413)에는 상기 파스원단(A)의 하부에 형성된 원단 이형부(A2)를 물결 형상으로 커팅하기 위하여 칼날이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하프커팅 유니트부(5)는 상기 일반파스(C)를 제조할 때는 상기 파스원단(A)을 패스시키고, 상기 동전파스(B)를 제조할 때는 상기 원단 약제부(A1)를 커팅시켜 상기 동전패취(B11) 외의 부분인 원단 약제부 스크랩(A13)을 벗겨내어 스크랩 처리할 수 있게 하프커팅하며 하프커터(51)를 포함한다.
상기 하프커터(51)는 상기 파스원단(A)이 하부로 지나가는 상부드럼(512)와; 상기 상부드럼(51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파스원단(A)이 상부로 지나가며 상기 상부드럼(512)과 같이 상기 파스원단(A)의 원단 약제부(A1)를 일정 크기와 형상으로 커팅하며, 상기 파스원단(A)에 마찰력을 주는 하부드럼(513)과; 상기 상부드럼(512)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파스원단(A)의 초기 투입 및 타 품목 사용 시 패스할 수 있게 상기 상부드럼(512)을 위로 들어 상기 하부드럼(513)과의 갭이 20~30mm 발생할 수 있게 하며, 커팅시 일정 깊이까지만 커팅할 수 있게 갭 조절을 할 수 있는 피나클(Pinnacle)(5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드럼(512)에는 상기 파스원단(A)의 상부에 형성된 원단 약제부(A1)를 일정 형상으로 커팅하기 위하여 칼날이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원단 약제부 스크랩 리와인딩 유니트부(6)는 상기 동전파스(B)를 제조할 때만 가동하며, 상기 원단 약제부 스크랩(A13)을 벗겨내어 권취하는 원단 약제부 스크랩 리와인더(61)와 원단 약제부 스크랩 스크레이퍼(62)와, 상기 원단 약제부 스크랩(A13)의 방향을 변경시키고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롤러(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단 약제부 스크랩 리와인딩 유니트부(6)는 상기 원단 약제부 스크랩(A13)을 벗겨내어 권취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일반파스(C)를 제조할 때는 가동되지 않는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파이널커팅 유니트부(7)는 상기 파스원단(A)에서 상기 동전파스(B) 또는 일반파스(C) 부분을 제외한 부분인 원단 이형부 스크랩(A21) 또는 원단 스크랩(A3)을 제거하기 위하여 파이널 커팅을 하며 파이널커터(71)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붉은색으로 표시된 선이 파이널커팅한 선이다.
상기 파이널커터(71)는 상기 웨이브절단선(C21)이 형성된 상기 파스원단(A)이나, 상기 원단 약제부 스크랩(A13)이 벗겨진 상기 파스원단(A)이 하부로 지나가는 상부드럼(712)와; 상기 상부드럼(71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웨이브절단선(C21)이 형성된 상기 파스원단(A)이나, 상기 원단 약제부 스크랩(A13)이 벗겨진 상기 파스원단(A)이 지나가며 상기 상부드럼(712)과 같이 원단 이형부 스크랩(A21) 또는 원단 스크랩(A3)을 제거하기 위하여 파이널 커팅을 하며 상기 웨이브절단선(C21)이 형성된 상기 파스원단(A)이나, 상기 원단 약제부 스크랩(A13)이 벗겨진 상기 파스원단(A)에 마찰력을 주는 하부드럼(713)과; 상기 상부드럼(712)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파스원단(A)의 초기 투입 시 패스할 수 있게 상기 상부드럼(712)을 위로 들어 상기 하부드럼(713)과의 갭이 20~30mm 발생할 수 있게 하며, 커팅시 일정 깊이까지만 커팅할 수 있게 갭 조절을 할 수 있는 피나클(Pinnacle)(7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파스 제조장치에 따른 상기 원단스크랩 리와인딩 유니트부(8)와 컨베이어 유니트부(9) 개략도 및 제품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원단스크랩 리와인딩 유니트부(8)는 상기 파스원단(A)에서 상기 원단 스크랩(A3) 또는 원단 이형부 스크랩(A21)을 벗겨낸 후 권취하여 상기 동전파스(B) 또는 일반파스(C)만 후공정으로 배출되게 하는 원단스크랩 리와인더(81)와 가이드롤러(82)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 유니트부(9)는 완성품인 상기 동전파스(B) 또는 일반파스(C)를 후공정인 적재공정 또는 포장공정으로 이송하며, 제1컨베이어(91)와 제2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3은 상기 일반파스(C)를 제조할 때의 각 구성요소의 사용상태와 상기 파스원단(A)의 플로우와 최종 제품을 보여주고 있으며, 분홍색으로 표시된 상기 하프커팅 유니트부(5)와 원단 약제부 스크랩 리와인딩 유니트부(6)는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통과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4은 상기 동전파스(B)를 제조할 때의 각 구성요소의 사용상태와 상기 파스원단(A)의 플로우와 최종 제품을 보여주고 있으며, 분홍색으로 표시된 상기 웨이브커팅 유니트부(4)는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통과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4는 상기 동전파스(B)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동시에 나타냈으며, 작업할 때는 별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크린 호이스트 유니트(10)는 상기 파스 제조장치(D)의 프레임의 최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이브커터(41), 하프커터(51) 및 파이널커터(71)의 부품의 교체 또는 정비를 위해 크린룸의 클라스 100을 유지할 수 있는 무동력이며, 먼지와 불순물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상기 크린 호이스트 유니트(10)는 상기 웨이브커터(41), 하프커터(51) 및 파이널커터(71)를 들어올리고 내리는 수동으로 운전되는 크린 호이스트(101)와; 프레임의 최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크린 호이스트(101)가 360도 회전과 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호이스트 지지부(102)로 구성된다.
상기 호이스트 지지부(102)는 상기 크린 호이스트(101)가 전진하고 후진하며 수평으로 설치된 외팔보(1021)와; 상기 외팔보(1021)의 일단과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외팔보(1021)가 360도 회전할 수 있게 하게 내부에 베어링(10221)이 설치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볼지지부(102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D)에 따르면 하나의 제조장치로 여러 종류의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1품목만 생산할 때는 생산량에 따라 제조장치를 정지시켜 운휴해야 하는데 소량 다품종을 생산할 수 있어, 제조장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장비설치비 및 장비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어 고정비를 줄어 생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A : 파스원단 A1 : 원단 약제부
A11 : 약물층 A12 : 보호필름층
A13 : 원단 약제부 스크랩 A2 : 원단 이형부
A21 : 원단 이형부 스크랩 A22 : 웨이브절단선
A3 : 원단 스크랩
B : 동전파스 B1 : 동전파스 약제부
B11 : 동전패취 B111 : 동전파스 약물층
B112 : 동전파스 보호필름층 B2 : 동전파스 이형부
C : 일반파스 C1 : 일반파스 약제부
C11 : 일반파스 약물층 C12 : 일반파스 보호필름층
C2 : 일반파스 이형부 C21 : 웨이브절단선
D : 파스제조장치
1 : 언와인딩 유니트부 11 : 언와인딩 롤러
12 : 스프라이서 보드 13 : CPC 유니트
14 : 가이드롤러
2 : 텐션 컨트롤 유니트부 21 : 버퍼 유니트
22 : 텐션 컨트롤 유니트 3 : 피더 유니트부
31 메인피더 311 : 피나클
312 : 상부드럼 313 : 하부드럼
4 : 웨이브커팅 유니트부 41 : 웨이브커터
411 : 피나클 412 : 상부드럼
413 : 하부드럼 5 : 하프커팅 유니트부
51 : 하프커터 511 : 피나클
512 : 상부드럼 513 : 하부드럼
6 : 원단 약제부 스크랩 리와인딩 유니트부
61 : 원단 약제부 스크랩 리와인더 62 : 원단 약제부 스크랩 스크레이퍼
63 : 가이드롤러
7 : 파이널커팅 유니트부 71 : 파이널커터
711 : 피나클 8 : 원단스크랩 리와인딩 유니트부
81 : 원단스크랩 리와인더 82 : 가이드롤러
9 : 컨베이어 유니트부 91 : 제1컨베이어
92 : 제2컨베이어 10 : 크린 호이스트 유니트
101 : 크린 호이스트 102 : 호이스트 지지부
1021 : 외팔보 1022 : 볼지지부
10221 : 베어링
20 : 프레임부 30 : 제어부

Claims (5)

  1. 파스원단(A)을 사용하여 원형 또는 네모 형상의 2개 이상으로 만들어진 동전파스(B)와, 통째로 하나로 만들어진 일반파스(C)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D)에 있어서,
    상기 파스원단(A)은 제제로부터 약리학적 활성성분을 피부를 통해 전달시킬 수 있게 한 경피투여용 약물이 부착되며, 환부에 부착하는 원단 약제부(A1)와;
    상기 원단 약제부(A1)의 하부에 점착되어 상기 원단 약제부(A1)를 보호하며, 환부 사용시 제거되는 원단 이형부(A2)로 구성되며,
    상기 파스원단(A)은 언와인딩 롤러에 감겨있다 파스 제조시 권출되고,
    상기 원단 약제부(A1)는 경피투여용 상기 약물과 점착 성질을 부여하는 점착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형성되는 약물층(A11)과;
    상기 약물층(A11)의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약물층(A11)의 외부 손실을 방지하며 환부에 신축성을 유지시켜 주는 보호필름층(A12)으로 구성되고,
    상기 동전파스(B)는 경피투여용 약물이 부착되며, 환부에 부착 시 상부에서 뜯어내어 환부에 부착하며, 원형 또는 네모 형상이고, 2개 이상의 동전패취(B11)로 구성된 동전파스 약제부(B1)와;
    분할되지 않고 하나로 형성되어 일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동전파스 약제부(B1)의 하부에 점착되어 상기 동전파스 약제부(B1)를 보호하고, 각각의 상기 동전패취(B11)를 다 뜯어내어 사용한 후에는 버려지는 동전파스 이형부(B2)로 구성되며,
    상기 일반파스(C)는 경피투여용 약물이 부착되며, 환부에 부착 시 하측 부분을 뜯어낸 후 환부에 부착하고, 4각 형상의 1개의 일반패취로 된 일반파스 약제부(C1)와;
    상기 일반파스 약제부(C1)의 하부에 점착되어 상기 일반파스 약제부(C1)를 보호하고, 중앙에 웨이브지게 웨이브절단선(C21)이 있어 2개로 분할되며, 상기 일반패취를 사용시 뜯어내어 제거되는 일반파스 이형부(C2)로 구성되며,
    상기 파스 제조장치(D)는 언와인딩 롤러(11)에 감겨있는 상기 파스원단(A)이 권출되는 언와인딩 유니트부(1)와;
    소진되었을 때 상기 파스원단(A)의 교체 및 전후 공정의 속도 차이에 따른 완충을 하며, 상기 파스원단(A)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 컨트롤 유니트부(2)와;
    상기 파스원단(A)을 당겨주는 동력을 공급하고 장력을 유지케 하며 상기 파스원단(A)을 공급해주는 메인피더(31)를 포함한 피더 유니트부(3)와;
    상기 동전파스(B)를 제조할 때는 상기 파스원단(A)을 패스시키고, 상기 일반파스(C)를 제조할 때는 상기 파스원단(A)을 공급받아 상기 원단 이형부(A2)의 중간부분을 물결 형상으로 커팅하며 웨이브커터(41)를 포함하는 웨이브커팅 유니트부(4)와;
    상기 일반파스(C)를 제조할 때는 상기 파스원단(A)을 패스시키고, 상기 동전파스(B)를 제조할 때는 상기 원단 약제부(A1)를 커팅시켜 상기 동전패취(B11) 외의 부분인 원단 약제부 스크랩(A13)을 벗겨내어 스크랩 처리할 수 있게 하프커팅하며 하프커터(51)를 포함하는 하프커팅 유니트부(5)와;
    상기 동전파스(B)를 제조할 때만 가동하며, 상기 원단 약제부 스크랩(A13)을 벗겨내어 권취하는 원단 약제부 스크랩 리와인더(61)를 포함하는 원단 약제부 스크랩 리와인딩 유니트부(6)와;
    상기 파스원단(A)에서 상기 동전파스(B) 또는 일반파스(C) 부분을 제외한 부분인 원단 이형부 스크랩(A21) 또는 원단 스크랩(A3)을 제거하기 위하여 파이널 커팅을 하며 파이널커터(71)를 포함하는 파이널커팅 유니트부(7)와;
    상기 파스원단(A)에서 상기 원단 스크랩(A3) 또는 원단 이형부 스크랩(A21)을 벗겨낸 후 권취하여 상기 동전파스(B) 또는 일반파스(C)만 후공정으로 배출되게 하는 원단스크랩 리와인더(81)를 포함하는 원단스크랩 리와인딩 유니트부(8)와;
    완성품인 상기 동전파스(B) 또는 일반파스(C)를 후공정인 적재공정 또는 포장공정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유니트부(9)와;
    상기 파스 제조장치(D)를 운전하고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 제조장치(D)는 상기 파스 제조장치(D)의 프레임의 최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이브커터(41), 하프커터(51) 및 파이널커터(71)의 부품의 교체 또는 정비를 위해 크린룸의 클라스 100을 유지할 수 있는 무동력이며, 먼지와 불순물이 발생하지 않는 크린 호이스트 유니트(10)가 추가로 포함되며,
    상기 크린 호이스트 유니트(10)는 상기 웨이브커터(41), 하프커터(51) 및 파이널커터(71)를 들어올리고 내리는 수동으로 운전되는 크린 호이스트(101)와;
    프레임의 최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크린 호이스트(101)가 360도 회전과 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호이스트 지지부(102)로 구성되며,
    상기 호이스트 지지부(102)는 상기 크린 호이스트(101)가 전진하고 후진하며 수평으로 설치된 외팔보(1021)와;
    상기 외팔보(1021)의 일단과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외팔보(1021)가 360도 회전할 수 있게 하게 내부에 베어링(10221)이 설치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볼지지부(10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언와인딩 유니트부(1)는 상기 파스원단(A)이 권취되어 있어 상기 파스원단(A)이 권출되는 상기 언와인딩 롤러(11)와;
    상기 파스원단(A)이 다 공급되어 소진되었을 때 새로운 상기 파스원단(A)을 공급하기 위해 신구 파스원단(A)을 이어주는 작업을 하는 스프라이서 보드(Splicer Board)(12)와;
    상기 파스원단(A)이 사행을 하지 않고 일정한 센터로 공급되게 하기 위한 CPC 유니트((Center Position Cotrol Unit)(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컨트롤 유니트부(2)는 신구 파스원단(A)의 교체작업 시에도 연속으로 파스 제조를 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파스원단(A)의 전후 공정의 속도 차이에 따른 완충을 하는 버퍼 유니트(21)와;
    공급되는 상기 파스원단(A)의 텐션을 일정하게 조정하는 텐션 컨트롤 유니트(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메인피더(31), 웨이브커터(41), 하프커터(51) 및 파이널커터(71)는 상기 파스원단(A)의 초기 투입 및 타 품목 사용 시 패스할 수 있게 상부드럼을 위로 들어 하부드럼과의 갭이 20~30mm 발생할 수 있게 하며, 커팅시 일정 깊이까지만 커팅할 수 있게 갭 조절을 할 수 있는 피나클(Pinnacle)(311, 411, 511, 711)이 형성되며,
    상기 웨이브커터(41)는 상기 파스원단(A)의 하부에 형성된 원단 이형부(A2)를 물결 형상으로 커팅하기 위하여 하부드럼(413)에 칼날이 형성되고,
    상기 하프커터(51)는 상기 파스원단(A)의 상부에 형성된 원단 약제부(A1)만 커팅하기 위하여 상부드럼(512)에 칼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
KR1020180012064A 2018-01-31 2018-01-31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 KR101852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064A KR101852379B1 (ko) 2018-01-31 2018-01-31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064A KR101852379B1 (ko) 2018-01-31 2018-01-31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379B1 true KR101852379B1 (ko) 2018-04-30
KR101852379B9 KR101852379B9 (ko) 2022-03-11

Family

ID=6208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064A KR101852379B1 (ko) 2018-01-31 2018-01-31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70794A (zh) * 2022-11-22 2023-02-03 安徽省德济堂药业有限公司 一种高吸水性膏药贴及其加工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056A (ko) * 1998-06-16 2000-01-15 조민호 약물 경피투여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997772B1 (ko) * 2010-06-23 2010-12-01 (주)금강이엔지 패치 자동 제조장치
JP2011136477A (ja) * 2009-12-28 2011-07-14 Ikeda Kikai Sangyo Kk 包装体の製造装置
KR101268901B1 (ko) * 2012-12-24 2013-05-29 유현석 이형성이 좋은 약제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51064B1 (ko) * 2011-07-08 2014-01-16 아이큐어 주식회사 패치 제조 방법
KR20150134030A (ko) * 2014-05-21 2015-12-01 박지혜 의료용 드레싱 밴드의 제조방법
KR101785425B1 (ko) * 2017-06-15 2017-10-16 주식회사 케이엠티 약제용 패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056A (ko) * 1998-06-16 2000-01-15 조민호 약물 경피투여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2011136477A (ja) * 2009-12-28 2011-07-14 Ikeda Kikai Sangyo Kk 包装体の製造装置
KR100997772B1 (ko) * 2010-06-23 2010-12-01 (주)금강이엔지 패치 자동 제조장치
KR101351064B1 (ko) * 2011-07-08 2014-01-16 아이큐어 주식회사 패치 제조 방법
KR101268901B1 (ko) * 2012-12-24 2013-05-29 유현석 이형성이 좋은 약제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34030A (ko) * 2014-05-21 2015-12-01 박지혜 의료용 드레싱 밴드의 제조방법
KR101785425B1 (ko) * 2017-06-15 2017-10-16 주식회사 케이엠티 약제용 패치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70794A (zh) * 2022-11-22 2023-02-03 安徽省德济堂药业有限公司 一种高吸水性膏药贴及其加工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379B9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306753T2 (de) Zentrums-/umfangsumwickler und wickler
KR101248121B1 (ko) 환부 보호용 드레싱재의 성형 및 포장장치
US9289968B2 (en) Method for handling adhesive laminate sections
KR102056627B1 (ko) 이형지 필름 상에 드레싱재를 다수개 부착시킨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장치
TW201437136A (zh) 彈性線傳送方法及具有簡化路徑之組合裝置
KR102437493B1 (ko) 피가공물의 가공 방법
KR101852379B1 (ko) 동전파스와 일반파스의 2품목을 제조할 수 있는 파스 제조장치
RU2607749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упаковки восприимчивой к давлению адгезивной ленты
KR101313495B1 (ko) 환부 보호용 드레싱재의 성형 및 포장장치
KR101554328B1 (ko) 포장지에 약제가 붙지 않고 약제수율이 개선된 약제패치 제조장치
KR101785425B1 (ko) 약제용 패치 제조장치
EP0848937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edicinal patches for percutaneous administration
KR101554329B1 (ko) 포장지에 약제가 붙지 않고 약제수율이 개선된 약제패치 및 그 제조방법
JP4245343B2 (ja) 貼付剤シートの加工ライン
CN105342760A (zh) 一种耳贴加工工艺
KR102048717B1 (ko)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를 위한 원단 이송장치
JP2008063059A (ja) 粘着シート貼付装置
KR100214007B1 (ko) 약물 경피투여제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211363841U (zh) 墙砖贴纸模型生产装置
CN220976036U (zh) 一种送料飞达
CN108792747A (zh) 一种用于涂布薄膜的分离机
EP4316435A1 (en) Flexible demolding device, core molding device, and core forming method
KR20000002056A (ko) 약물 경피투여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Z173297A3 (en) Process for producing adaptable absorption article and the absorption article produced in such a manner
JPS63255061A (ja) 絆創膏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