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128B1 - 열계면 재료의 액상 코팅에 사용되는 수용성 우레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계면 재료의 액상 코팅에 사용되는 수용성 우레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128B1
KR101852128B1 KR1020160108590A KR20160108590A KR101852128B1 KR 101852128 B1 KR101852128 B1 KR 101852128B1 KR 1020160108590 A KR1020160108590 A KR 1020160108590A KR 20160108590 A KR20160108590 A KR 20160108590A KR 101852128 B1 KR101852128 B1 KR 101852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ater
soluble urethane
graph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3385A (ko
Inventor
최정환
김대건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08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12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3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38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 C08G18/0842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 C08G18/0861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in the presence of a dispersing phase for the polymers or a phase dispersed in the polymers
    • C08G18/0866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in the presence of a dispersing phase for the polymers or a phase dispersed in the polymers the dispersing or dispersed phase being an aqueous me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 60중량부, 디메틸 부타 산(Dimethylol butanoic acid, DMBA) 3 내지 9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1 내지 5중량부 및 사슬연장제 2 내지 6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 및 상기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에 분산된 흑연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과 상기 흑연의 중량비는 3 내지 6 : 4 내지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우레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올 60중량부에 디메틸 부타 산(Dimethylol butanoic acid, DMBA) 3 내지 9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63 내지 69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 1 내지 5중량부 및 사슬연장제 2 내지 6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하여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 3 내지 6 중량부에 흑연 7 내지 4 중량부를 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우레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열계면 재료의 액상 코팅에 사용되는 수용성 우레탄 및 이의 제조방법 {Water-soluble polyurethane for liquid coating of thermal interface materi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용성 우레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코팅에 적합한 수용성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전기·전자 분야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자기기는 경량화, 박형화, 소형화, 다기능화가 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소자가 고집적화될수록 더욱 많은 열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방출열은 소자의 기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주변 소자의 오작동, 기판 열화 등의 원인이 되고 있어 방출 열을 제어하는 기술에 대해 많은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고 방열 회로 기판 소재는 베이스 금속기판의 열전도성을 이용할 수 있어 파워 디바이스나 LED 모듈 등 고 전력이 소모되고 열이 많이 발생하는 부품의 제작에 유리하여 연구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LED는 약 85%가 손실로 전환되며 고온의 방출 열로 인해 접합부의 온도가 계속 증가함으로써 LED 반도체의 수명저하를 일으키며, LED의 오작동이 일어나는 평균시간은 소자 작용 온도가 10℃ 상승할 때 수명은 2배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현재 전자기기의 열을 제어하여 전자기기의 기능저하, 오작동 및 열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전술한 전자기기의 열을 제어하여 전자기기의 기능저하, 오작동 및 열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액상 코팅에 사용되는 수용성 우레탄 개발 및 상기 수용성 우레탄 내의 흑연(graphite)의 분산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하여 상기 수용성 우레탄의 인장강도 및 열전도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폴리올 60중량부, 디메틸 부타 산(Dimethylol butanoic acid, DMBA) 3 내지 9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1 내지 5중량부 및 사슬연장제 2 내지 6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 및 상기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에 분산된 흑연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과 상기 흑연의 중량비는 3 내지 6 : 4 내지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우레탄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올로 분자량이 2,000인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로 메틸렌 다이페닐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MDI)를 사용하고, 상기 사슬연장제로 트리에틸아민(TEA)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흑연(graphite)의 분말 크기가 10 내지 15㎛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올 60중량부에 디메틸 부타 산(Dimethylol butanoic acid, DMBA) 3 내지 9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63 내지 69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 1 내지 5중량부 및 사슬연장제 2 내지 6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하여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 3 내지 6 중량부에 흑연 7 내지 4 중량부를 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우레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올과 디메틸 부타 산(Dimethylol butanoic acid, DMBA)을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폴리올 및 디메틸 부타 산(Dimethylol butanoic acid, DMBA)를 15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켜 혼합물을 제조하며, 상기 폴리올로 분자량이 2,000인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에 이소시아네이트 및 사슬연장제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물에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및 사슬연장제를 첨가하여 80℃에서 1,000rpm으로 8시간 동안 교반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로 메틸렌 다이페닐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MDI)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사슬연장제로 트리에틸아민(TEA)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 3 내지 6 중량부에 흑연 7 내지 4 중량부를 분산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과 흑연을 300 내지 500 rpm으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교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우레탄은 액상코팅에 최적화된 점도와 고형분을 갖추어 상기 수용성 우레탄 내의 흑연(graphite)의 분산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상기 수용성 우레탄의 인장강도를 증가시키면서 성형성은 낮춰 가공이 용이하고, 열전도도가 높으므로 전자기기의 기능저하, 오작동 및 열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우레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와 비교예의 분산성 실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 및 비교의 필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흑연(graphite)의 분산도를 증가시켜, 우수한 인장강도 및 열전도도를 갖는 수용성 우레탄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실시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폴리올 60중량부, 디메틸 부타 산(Dimethylol butanoic acid, DMBA) 3 내지 9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1 내지 5중량부 및 사슬연장제 2 내지 6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 및 상기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에 분산된 흑연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과 상기 흑연의 중량비는 3 내지 6 : 4 내지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우레탄을 제공한다.
상기 흑연(graphite)의 분말 크기가 10 내지 15㎛이 바람직하다. 상기 흑연 분말 크기가 10㎛ 미만일 경우, 열전도도가 감소하며 필름 상태가 깔끔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며, 상기 흑연이 15㎛를 초과할 경우, 분산도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올 60중량부에 디메틸 부타 산(Dimethylol butanoic acid, DMBA) 3 내지 9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63 내지 69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 1 내지 5중량부 및 사슬연장제 2 내지 6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하여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 3 내지 6 중량부에 흑연 7 내지 4 중량부를 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우레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올과 디메틸 부타 산(Dimethylol butanoic acid, DMBA)을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폴리올 및 디메틸 부타 산(Dimethylol butanoic acid, DMBA)를 15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켜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DMBA는 상기 폴리올 6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9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MBA가 폴리올 60 중량부에 대하여 9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반응이 진행되며 겔화가 될 수 있으며, 3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반응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 3 내지 6 중량부에 흑연 4 내지 7 중량부를 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이 3 중량부 미만일 경우, 분산도가 감소하며, 6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전도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흑연이 4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전도도가 감소하며, 7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분산도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로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PG의 분자량이 높을수록 상기 수용성 우레탄의 인장강도가 상승하지만 성형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상기 PPG의 점도는 상기 PPG의 분자량이 2,000일 때 가장 높으므로, 상기 PPG의 분자량은 2,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물에 이소시아네이트 및 사슬연장제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물에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및 사슬연장제를 첨가하여 80℃에서 1,000rpm으로 8시간 동안 교반할 수 있으며, 상기 혼합물 66 중량부에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1 내지 5 중량부 및 상기 사슬연장제 2 내지 6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가 상기 혼합물 66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반응이 진행되며 겔화되는 문제가 있으며,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반응이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로 메틸렌 다이페닐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MDI)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슬연장제가 상기 혼합물 66 중량부에 대하여 6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반응이 진행되면 겔화되는 것이 문제이며, 2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반응이 진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사슬연장제로 트리에틸아민(TEA)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 3 내지 6 중량부에 흑연 7 내지 4 중량부를 분산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과 흑연 10 중량부에 계면활성제 0.1 중량부를 첨가하여 300 내지 500rpm의 교반 속도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교반할 수 있다.
상기 교반 속도가 300rpm 미만이거나 500rpm을 초과하면 상기 흑연이 분산되지 않고 응집될 수 있다.
상기 교반을 1시간 내지 3시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교반 시간이 3시간을 초과할 경우, 이미 분산되었으므로 추가적인 교반이 필요하지 않으며, 교반 시간이 1시간 미만일 경우, 분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
( 실험예 1) 폴리올에 따른 수용성 우레탄의 인장강도 비교
폴리올로 PPG, PEG 및 PTMG를 사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고, 인장강도 및 점도를 비교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6082957013-pat00001
상기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이 비교예 1 내지 6보다 수용성 우레탄의 인장강도가 9.43 내지 10.28MPa로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이소시아네이트에 따른 수용성 우레탄의 물성 비교
폴리올로 분자량이 2,000인 PPG에 이소시아네이트로 MDI, TDI 및 IPDI를 사용하여 실시예와 비교예를 제조하여 물성을 비교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16082957013-pat00002
상기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4의 인장강도 및 점도가 비교예 7 및 8보다 더욱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3) 사슬연장제에 따른 수용성 우레탄의 물성 비교
폴리올로 분자량이 2,000인 PPG 및 이소시아네이트로 MDI에 사슬연장제로 TEA, EG, 1,4-Butandiol을 사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여 물성을 비교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112016082957013-pat00003
상기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5의 인장강도 및 점도가 비교예 9 및 10의 인장강도 및 점도보다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4) 수용성 우레탄의 고형분 함량에 따른 수용성 우레탄의 물성 비교
폴리올로 분자량이 2,000인 PPG, 이소시아네이트로 MDI 및 사슬연장제로 TEA를 사용하고 고형분의 함량을 20%, 30%, 40%로 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여 물성을 비교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112016082957013-pat00004
상기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8의 인장강도 및 점도가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5) 수용성 우레탄과 흑연(graphite) 함량에 따른 물성 비교
PPG 60중량부에 DMBA 6중량부, MDI 3중량부 및 TEA 4중량부로 수용성 우레탄을 제조하여 수용성 우레탄과 흑연(graphite)의 비율을 달리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한 후, 분산성, 인장강도 및 열전도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5와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6082957013-pat00005
상기 결과와 도 2를 참조하면, 열전도도는 비교에 16 및 17이 우수하지만 분산성이 낮으며, 비교예 13 내지 15는 열전도도 및 분산성 모두 낮은 것을 알 수 있으나, 실시예 7 내지 10은 분산성 및 열전도도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6) 흑연(graphite) 분말 크기에 따른 열 전도도 측정
상기 흑연(graphite) 분말 크기를 5, 10, 15㎛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작하여 열전도도 및 필름상태를 확인한 결과를 하기 표 6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112016082957013-pat00006
상기 결과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1 및 12가 비교예 18보다 필름상태도 깨끗하며, 열전도도 또한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2)

  1. 폴리올로서 분자량이 2,000인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60중량부;
    디메틸 부타 산(Dimethylol butanoic acid, DMBA) 3 내지 9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로서 메틸렌 다이페닐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MDI) 1 내지 5중량부 및 사슬연장제로서 트리에틸아민(TEA) 2 내지 6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 및
    상기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에 분산된 흑연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성 우레탄조성물과 상기 흑연의 중량비는 3 내지 6 : 4 내지 7이며,
    상기 흑연(graphite)의 분말 크기가 10 내지 15㎛이며,
    상기 수용성 우레탄은 열전도도가 3.478W/mK이상이며, 인장강도가 9.48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계면 재료 액상 코팅용 수용성 우레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폴리올로서 분자량이 2,000인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60중량부에 디메틸 부타 산(Dimethylol butanoic acid, DMBA) 3 내지 9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63 내지 69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로서 메틸렌 다이페닐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MDI) 1 내지 5중량부 및 사슬연장제로서 트리에틸아민(TEA) 2 내지 6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하여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및
    상기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 3 내지 6 중량부에 흑연 7 내지 4 중량부를 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우레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흑연(graphite)의 분말 크기가 10 내지 15㎛이며,
    상기 수용성 우레탄은 열전도도가 3.478W/mK이상이며, 인장강도가 9.48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계면 재료 액상 코팅용 수용성 우레탄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과 디메틸 부타 산(Dimethylol butanoic acid, DMBA)을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폴리올 및 디메틸 부타 산(Dimethylol butanoic acid, DMBA)를 15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켜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우레탄의 제조방법.
  8. 제 6항 또는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로 분자량이 2,000인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우레탄의 제조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이소시아네이트 및 사슬연장제를 첨가하여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물에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및 사슬연장제를 첨가하여 80℃에서 1,000rpm으로 8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우레탄의 제조방법.
  10. 제 6항 또는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로 메틸렌 다이페닐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MDI)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우레탄의 제조방법.
  11. 제 6항 또는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슬연장제로 트리에틸아민(TEA)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우레탄의 제조방법.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 3 내지 6 중량부에 흑연 7 내지 4 중량부를 분산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성 우레탄 조성물과 흑연을 300 내지 500rpm으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우레탄의 제조방법.
KR1020160108590A 2016-08-25 2016-08-25 열계면 재료의 액상 코팅에 사용되는 수용성 우레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2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590A KR101852128B1 (ko) 2016-08-25 2016-08-25 열계면 재료의 액상 코팅에 사용되는 수용성 우레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590A KR101852128B1 (ko) 2016-08-25 2016-08-25 열계면 재료의 액상 코팅에 사용되는 수용성 우레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385A KR20180023385A (ko) 2018-03-07
KR101852128B1 true KR101852128B1 (ko) 2018-04-25

Family

ID=6168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590A KR101852128B1 (ko) 2016-08-25 2016-08-25 열계면 재료의 액상 코팅에 사용되는 수용성 우레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781B1 (ko) * 2023-04-21 2023-08-07 홍정애 흑연 조성물이 코팅된 통전부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6464A (ja) 2000-09-12 2002-03-26 Polymatech Co Ltd 熱伝導性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61735B1 (ko) 2008-12-31 2011-09-02 주식회사 노루홀딩스 수성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6464A (ja) 2000-09-12 2002-03-26 Polymatech Co Ltd 熱伝導性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61735B1 (ko) 2008-12-31 2011-09-02 주식회사 노루홀딩스 수성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385A (ko)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6398B (zh) 含有氮化硼之組成物、以及具有由該組成物所構成的層之三維積體電路
TWI534256B (zh) Hardened heat dissipation composition
CN107312440A (zh) 高导热性水性聚氨酯涂料及其制备方法
JP2015006980A (ja) 窒化ホウ素凝集粒子、凝集bn粒子含有樹脂組成物及び放熱シート
KR101312203B1 (ko) 전자 페이퍼용 카본 블랙 안료와 그 분산체 및 제조 방법
US11075021B2 (en) Conductive composites
KR20150064039A (ko) 도전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전성 성형체
CN110724449B (zh) 一种聚碳酸酯改性耐磨涂料及其制备方法
TW201326356A (zh) 用於各向異性導電黏合膜之組成物、各向異性導電黏合膜以及半導體裝置
KR101852128B1 (ko) 열계면 재료의 액상 코팅에 사용되는 수용성 우레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80515B1 (ko) 잠재성 경화제의 제조 방법
JP5713619B2 (ja) 異方性導電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02867B1 (ko) 수분산 재유화형 폴리우레탄/아크릴공중합체 하이브리드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341569B (zh) 热塑性聚氨酯弹性体及其制备方法
KR20180011420A (ko) 웨이퍼 가공용 보호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 코팅제
JPH10251377A (ja) 封止用成形材料及び電子部品
KR100842411B1 (ko)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에폭시 하이브리드 수지 분말 제조용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35889B1 (ko) 경화성 조성물
JP7388947B2 (ja) 導電性皮膜を形成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導電性皮膜の製造方法
KR20220115222A (ko) 조성물 및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6568722A (zh) 可固化组合物
CN116376502A (zh) 有机硅树脂改性聚氨酯灌封胶及其制备方法
TW202106741A (zh) 硬化物、保護膜及可撓性電路板
JPH1121420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KR20150055226A (ko) 방열코팅제가 도포된 자동차용 컨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