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800B1 - 촬상 제어 장치 및 촬상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제어 장치 및 촬상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800B1
KR101851800B1 KR1020120060775A KR20120060775A KR101851800B1 KR 101851800 B1 KR101851800 B1 KR 101851800B1 KR 1020120060775 A KR1020120060775 A KR 1020120060775A KR 20120060775 A KR20120060775 A KR 20120060775A KR 101851800 B1 KR101851800 B1 KR 101851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ickup
image
imaging
s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9551A (ko
Inventor
다까히로 사까요리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39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5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or more image sensor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other than in their location or field of view, e.g. having different resolutions or colour pickup characteristics; using image signals from one sensor to control the characteristics of another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Lens Barrel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Abstract

장치는 조작 신호 접수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조작 신호 접수부는, 화면 상의 복수의 위치에 대한 터치 또는 근접의 검출이 가능한 패널에 대한 화면의 수직 방향의 수직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접수한다. 제어부는, 상기 수직 조작에 따라 복수의 촬상부 각각에 관련되는 처리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촬상 제어 장치 및 촬상 제어 방법{IMAGING CONTROL DEVICE AND IMAGING CONTROL METHOD}
<관련 기술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1년 6월 17일자로 일본특허청에 출원된 우선권인 일본특허출원 제2011-135358호에 기초하며, 35 U.S.C §119 하에서 일본특허출원 제2011-135358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촬상 제어 장치 및 촬상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로서 복수의 촬상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촬상 제어 장치 및 촬상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트윈 렌즈 촬상계(twin lens imaging system)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트윈 렌즈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체 화상(3D(Dimension) 화상)을 촬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초기 동작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짧은 촬상계를 우선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신속하게 화상을 촬상하는 트윈 렌즈 카메라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6-093859호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6-093859호
그런데, 트윈 렌즈 카메라 등의 2 이상의 촬상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에서, 촬상 장치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UI(User Interface)의 제안이 요구되고 있다.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기술에 따르면, 촬상 제어 장치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범위하게, 장치, 방법, 프로세서로 하여금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부호화된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장치는 조작 신호 접수부와 제어부를 포함한다. 조작 신호 접수부는, 화면 상의 복수의 위치에 대한 터치 또는 근접의 검출이 가능한 패널에 대한 화면의 수직 방향의 수직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접수한다. 제어부는, 수직 조작에 따라 복수의 촬상부 각각에 관련되는 처리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조작 신호 접수부는, 화면에 대한 터치 또는 근접의 검출이 가능한 패널에 대한 화면의 수평 방향의 수평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접수한다. 제어부는, 수평 조작에 따라 복수의 촬상부 각각의 촬상 방향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디지털 카메라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촬상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입/출력 패널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입/출력 패널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입/출력 패널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카메라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카메라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카메라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카메라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입/출력 패널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을 적용한 디지털 카메라의 일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디지털 카메라로서의 촬상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디지털 카메라는, 복수의, 예를 들면 2개의 촬상부(11L 및 11R), 신호 처리부(12), 기록부(13), 입/출력 패널(14), 조작부(17) 및 제어부(18)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는 2개의 촬상부(11L 및 11R)를 가지므로 트윈 렌즈 카메라이다.
촬상부(11L 및 11R)는, 각각, 제어부(18)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그에 입사하는 광에 대응하는 화상을 촬상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화상(신호)을 신호 처리부(12)에 공급한다.
신호 처리부(12)는 제어부(18)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촬상부(11L 및 11R)로부터의 화상에 신호 처리를 행하고, 필요에 따라 기록부(13) 및 입/출력 패널(14)에 공급한다.
기록부(13)는,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HD(Hard Disk))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도시 생략)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신호 처리부(12)로부터 공급되는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또한, 기록부(13)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을 재생하고, 신호 처리부(12)를 통해 입/출력 패널(14)에 화상을 공급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기록부(13)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을 재생하는 재생 기능은 중요하지는 않다.
입/출력 패널(14)은 검출부(15) 및 표시부(16)를 포함한다.
검출부(15)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검출하는)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 즉, 예를 들면, 정전식 등의 터치 패널, 또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 및 물체로부터의 그 광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센서의 세트 등으로 구성된다.
검출부(15)는, 외부로부터의 물체, 즉, 예를 들면, 유저의 손가락, 유저가 사용하는 터치 펜 등이 근접하거나 터치하면, 그 근접 또는 터치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위치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제어부(18)에 공급한다.
표시부(16)는 화상을 표시하는, 즉, 예를 들면, 액정 패널 등으로 구성되고 신호 처리부(12)로부터 공급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바이스이다.
입/출력 패널(14)은, 상술한 바와 같은 검출부(15)와 표시부(16)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입/출력 패널은 표시부(16)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고, 검출부(15)에 의해 표시부(16)에 표시된 화상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조작 입력(터치나 근접)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검출부(15)는, 입/출력 패널(14)의 화면(표시부(16)의 화면) 상의 하나 이상의 위치(하나의 위치 및 복수의 위치)에 대한 터치또는 근접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입/출력 패널(14)에서는, 예를 들면, 2개 이상의 복수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및 근접)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유저는 입/출력 패널(14)에 대하여 멀티 터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조작부(17)는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물리적인 버튼 등이며, 유저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제어부(18)에 공급한다.
제어부(18)는 CPU(19), 불휘발성 메모리(20) 및 RAM(21)을 포함하고, 입/출력 패널(14)(의 검출부(15))로부터의 검출 신호 또는 조작부(17)로부터의 조작 신호 등에 따라, 촬상부(11L 및 11R) 및 신호 처리부(12)를 제어한다.
CPU(19)는 불휘발성 메모리(20)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를 구성하는 각 블록을 제어한다.
불휘발성 메모리(20)는, CPU(19)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또는 CPU(19)의 동작상 기억될 필요가 있는 필요한 데이터, 유저가 조작부(17) 등을 조작할 때 설정되는 촬상 파라미터 등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전원이 오프되었을 때에도 유지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프로그램을 포함함)를 기억한다.
RAM(21)은 CPU(19)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여기에서, 촬상부(11L)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가 피사체를 향했을 때에, 피사체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조작하는 유저로부터 보았을 때 촬상부(11R)의 좌측에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촬상부(11R)는 촬상부(11L)의 우측에 제공되어 있다.
또한, 입/출력 패널(14)은,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의 촬상부(11L 및 11R)가 제공되어 있는 측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카메라의 촬상부(11L 및 11R))를 피사체를 향하게 했을 때에, 입/출력 패널(14)은 유저의 정면에 위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제어부(18)에서, CPU(19)가 불휘발성 메모리(20) 등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의 각 부를 제어한다.
촬상부(11L 및 11R)는, 제어부(18)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그에 입사하는 광에 대응하는 화상을 촬상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화상 신호를 신호 처리부(12)에 공급한다.
신호 처리부(12)에서는, 촬상부(11L 및 11R)로부터의 화상 신호에 (디지털)신호 처리가 행해지고, 화상 신호가 입/출력 패널(14)(의 표시부(16))에 공급된다. 입/출력 패널(14)에서는, 신호 처리부(12)로부터의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 즉, 소위 스루 화상(through image)이 표시된다.
또한, 제어부(18)는 입/출력 패널(14)(의 검출부(15)) 또는 조작부(17)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입/출력 패널(14)이나 조작부(17)가, 예를 들면, 촬상을 행하도록 조작 되면, 제어부(18)는 신호 처리부(12)를 제어함으로써, 촬상부(11L 및 11R)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압축 및 부호화시키고, 이 압축 및 부호화된 화상 신호를 기록부(13)에 장착된 기록 매체에 기록시킨다.
또한, 제어부(18)는 신호 처리부(12)를 제어함으로써, 입/출력 패널(14)(의 표시부(16))에 UI로서 아이콘을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8)는 신호 처리부(12)를 제어함으로써, 기록부(13)의 기록 매체로부터 화상을 재생시켜, 입/출력 패널(14)에 표시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는, 예를 들면, AF(Auto Focus) 기능, AE(Auto Exposure) 기능, AWB(Auto White Balance) 기능 등을 갖고 있고, 이 기능들은 CPU(19)가 제어부(18)에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때 실행된다.
또한, CPU(19)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리무버블 기록 매체로부터 디지털 카메라에 인스톨(install)함으로써 인스톨될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에 인스톨될 수 있다.
[촬상부(11L 및 11R)의 구성예]
도 2는 도 1의 촬상부(11L 및 11R)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촬상부(11L)는 촬상계(41L), 화상 처리부(42L) 및 구동부(43L)를 포함한다.
촬상계(41L)는 광학계(51L) 및 촬상 소자(54L)를 포함한다.
광학계(51L)는 렌즈 군(52L) 및 조리개(53L)를 포함하고, 그에 입사하는 광을 조정하고, 광을 촬상 소자(54L)에 입사시킨다.
즉, 렌즈 군(52L)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포커스를 조정하는 포커스 렌즈, 줌을 조정하는 줌 렌즈 등으로 구성되고,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조리개(53L)를 통해 촬상 소자(54L) 위에 결상시킨다.
또한, 렌즈 군(52L)은,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고, 소위 손떨림(camera shake)을 보정하는 방진 렌즈(vibration-proof lens) 등으로서 기능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 군(52L)을 포함하는 광학계(51L)는, 손떨림을 보정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갖는다.
조리개(53L)는, 개구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렌즈 군(52L)으로부터 촬상 소자(54L)에 입사하는 광의 강도를 조정한다.
촬상 소자(54L)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으로 구성되고, 피사체를 촬상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화상 신호를 출력한다.
즉, 촬상 소자(54L)는, 광학계(51L)로부터 입사하는 광을 수광하고, 그 광에 대해 광전 변환을 행함으로써 그 광을 출력하고, 수광량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로서 그 광을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촬상 소자(54L)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는 화상 처리부(42L)에 공급된다.
화상 처리부(42L)는, 촬상 소자(54L)로부터의 화상 신호의 증폭, A/D(Analog/Digital) 변환 및 게인 조정을 행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42L)는, 필요에 따라, 촬상 소자(54L)로부터의 화상 신호의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는 화이트 밸런스 처리 등의 화상 처리를 행하고, 이 신호를 신호 처리부(12)(도 1)에 공급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42L)에서는, 그 외에, 예를 들면 촬상 소자(54L)에서, 단기간에 고속의 셔터 스피드(짧은 노광 시간)로 촬상된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손떨림을 보정한 화상을 얻는 손떨림 보정 처리를, 하나의 화상 처리로서 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처리부(42L)에는 제어부(18)로부터 제어 신호가 공급된다. 화상 처리부(42L)는 제어부(18)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화상 처리를 행한다.
즉, 화상 처리부(42L)는, 제어부(18)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예를 들면, 손떨림 보정 처리 등의 화상 처리의 온과 오프의 전환을 행한다.
제어부(18)로부터 구동부(43L)에 제어 신호가 공급된다.
구동부(43L)는, 제어부(18)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계(41L)를 구동한다.
즉, 구동부(43L)는, 제어부(18)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계(41L)에 포함된 광학계(51L)를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구동부(43L)는, 예를 들면, 광학계(51L)에 포함된 렌즈 군(52L)의 포커스 렌즈 또는 줌 렌즈를 구동시킴으로써, 포커스 및 줌의 배율(magnification)을 조정한다.
또한, 구동부(43L)는, 예를 들면, 광학계(51L)에 포함된 조리개(53L)를 구동시키고, 조리개(조리개(53L)의 개구)를 조정한다.
또한, 구동부(43L)는, 예를 들면, 광학계(51L)에 포함된 렌즈 군(52L)의 방진 렌즈의 구동을 턴 온 또는 턴 오프함으로써, 광학계(51L)에 포함된 손떨림 보정 기능의 온과 오프의 전환을 행한다.
또한, 구동부(43L)는 촬상 소자(54L)의 셔터 속도를 조정한다.
또한, 구동부(43)는, 촬상계(41L) 전체를, 예를 들면, 팬되도록(panned) 또는 틸트되도록(tilted) 구동함으로써, 촬상계(41L)의 광축의 방향(촬상 소자(54L)의 수광면과 직교하는 광학계(51L)의 광축의 방향), 즉, 촬상계(41L)의 촬상 방향을 조정한다.
촬상부(11R)는 촬상부(11L)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촬상부(11R)는 촬상계(41R), 화상 처리부(42R) 및 구동부(43R)를 포함한다.
촬상계(41R)는 광학계(51R) 및 촬상 소자(54R)를 포함하고, 광학계(51R)는 렌즈 군(52R) 및 조리개(53R)를 포함한다.
촬상계(41R), 화상 처리부(42R), 구동부(43R), 광학계(51R), 렌즈 군(52R), 조리개(53R) 및 촬상 소자(54R)는, 각각, 촬상계(41L), 화상 처리부(42L), 구동부(43L), 광학계(51L), 렌즈 군(52L), 조리개(53L) 및 촬상 소자(54L)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촬상부(11L 및 11R)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8)에 의해 제어되지만(제어부(18)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함), 제어부(18)는 각 촬상부(11L 및 11R)를 독립적으로(별개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는, 촬상부(11L)에 포함된 광학계(51L)와, 촬상부(11R)에 포함된 광학계(51R)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는, 광학계(51L)에 포함된 렌즈 군(52L)과 광학계(51R)에 포함된 렌즈 군(52R)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광학계(51L)(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광학계(51R)(촬상부(11R))의 줌 배율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또는 광학계(51L)의 포커스와 광학계(51R)의 포커스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는, 광학계(51L)에 포함된 조리개(53L)와 광학계(51R)에 포함된 조리개(53R)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는, 광학계(51L)의 손떨림 보정 기능의 온과 오프의 전환과, 광학계(51R)의 손떨림 보정 기능의 온과 오프의 전환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는, 화상 처리부(42L)에 의한 손떨림 보정 처리 등의 화상 처리와, 화상 처리부(42R)에 의한 손떨림 보정 처리 등의 화상 처리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는, 촬상계(41L)(촬상부(11L))의 촬상 방향과, 촬상계(41R)(촬상부(11R))의 촬상 방향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입/출력 패널(14)의 표시 예]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입/출력 패널(14)의 스루 화상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8)는 촬상부(11L 및 11R)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촬상부(11L 및 11R)에서는, 줌 배율이나 촬상 방향이 상이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입/출력 패널(14)에서는,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이 서로 일치하고 촬상 방향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및 줌 배율과 촬상 방향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경우, 상이한 표시 패턴에 의해 스루 화상이 표시된다.
도 3a는, 촬상부(11L 및 11R)에서, 줌 배율이 서로 일치하고 촬상 방향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서의, 입/출력 패널(14)에서의 스루 화상의 표시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입/출력 패널(14)에서는, 하나의 화상 표시 영역(61)에 (하나의) 스루 화상이 표시된다.
즉, 입/출력 패널(14)에서는, 예를 들면, 신호 처리부(12)에서, 촬상부(11L 및 11R)를 이용하여 촬상된 화상들 중 하나의 화상, 또는 촬상부(11L)를 이용하여 촬상된 화상 및 촬상부(11R)을 이용하여 촬상된 화상에 대해 신호 처리를 행함으로써,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입체 화상이 스루 화상으로서 화상 표시 영역(61)에 표시된다.
여기에서, 하나의 화상 표시 영역(61)에 스루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턴을 1 화상 표시(one image display)라고도 한다.
도 3b는, 촬상부(11L 및 11R)에서 줌 배율과 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경우의, 입/출력 패널(14)에서의 스루 화상의 표시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개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의 각 스루 화상이 입/출력 패널(14)에 표시된다.
즉, 입/출력 패널(14)에서는, 화면의 좌측에 화상 표시 영역(61L)이 제공되고, 화면의 우측에 화상 표시 영역(61R)이 제공된다. 또한, 촬상부(11L)에서 촬상된 화상(이하, L 화상이라고 함)이 스루 화상으로서 화상 표시 영역(61L)에 표시되고, 촬상부(11R)에서 촬상된 화상(이하, R 화상이라고 함)이 스루 화상으로서 화상 표시 영역(61R)에 표시된다.
여기에서, 2개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스루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턴을 2 화면 표시(two screen display)라고도 한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서는, 촬상부(11L 및 11R)에서 줌 배율이 서로 일치하고 촬상 방향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는 입/출력 패널(14)에서 스루 화상을 1 화면 표시로서 표시하지만, 촬상부(11L 및 11R)에서 줌 배율이 서로 일치하고 촬상 방향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도, 줌 배율과 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루 화상을 2 화면 표시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1 화면 표시와 2 화면 표시 간의 전환은, 예를 들면, 유저의 조작에 따라 행해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입/출력 패널(14)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모드에서는, 2개의 촬상부(11L 및 11R)에서 화상을 촬상하는 트윈 렌즈 모드와, 2개의 촬상부(11L 및 11R) 중 하나만으로 화상을 촬상하는 단일 렌즈 모드(single lens mode)가 있다.
도 4는 동작 모드가 트윈 렌즈 모드인 경우의 입/출력 패널(14)의 표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동작 모드는, 예를 들면, 입/출력 패널(14)에 대한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 등의, 입/출력 패널(14)이나 조작부(17)의 조작을 이용하여 전환될 수 있다.
트윈 렌즈 모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출력 패널(14)에서, 유저에 의해 조작될 대상 영역인 조작 영역(operation area)을 표시하는 조작 영역 아이콘(62L 및 62R)이 UI로서 표시된다.
유저는, 예를 들면, 왼손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조작 영역 아이콘(62L)을, 그리고 오른손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조작 영역 아이콘(62R)을 각각 조작할 수 있다.
유저는, 조작 영역 아이콘(62L 및 62R)에 대해, 입/출력 패널(14)의 화면에 수직인 방향의 조작인 수직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제어부(18)는, 입/출력 패널(14)에 대한 수직 조작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촬상부(11L 및 11R)의 제어 또는 신호 처리부(12)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제어부(18)는, 입/출력 패널(14)에 대한 수직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입/출력 패널(14)의 조작 영역 아이콘(62L 및 62R)에 대한 터치의 압력에 따라, 촬상부(11L 및 11R) 각각의 줌 배율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제어부(18)는 조작 영역 아이콘(62L)에 대한 터치의 압력이 커질수록 더 줌 인(zoom in)하도록 촬상부(11L)의 줌 배율을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8)는 조작 영역 아이콘(62R)에 대한 터치의 압력이 커질수록 더 줌 인하도록 촬상부(11R)의 줌 배율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는, 조작 영역 아이콘(62L)을 탭(tapping)한 후 수직 조작되면, 그 수직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조작 영역 아이콘(62L)에 대한 터치의 압력에 따라 줌 아웃되도록, 촬상부(11L)의 줌 배율을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8)는, 조작 영역 아이콘(62R)이 탭되고 수직 조작되면, 조작 영역 아이콘(62R)에 대한 터치의 압력에 따라 줌 아웃되도록, 촬상부(11R)의 줌 배율을 제어한다.
제어부(1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11L 및 11R)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므로, 유저는 조작 영역 아이콘(62L 및 62R)에 대하여 촬상부(11L)가 줌 인하는 동작과 촬상부(11R)가 줌 아웃하는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패널(14)(의 검출부(15))이 입/출력 패널(14)에 대한 터치 외 근접을 검출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8)는 입/출력 패널(14)에 대한 수직 조작을 행하는, 예를 들면, 유저의 손가락 등의 입/출력 패널(14)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촬상부(11L 및 11R)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조작부(17)에 줌 배율을 조정하는 물리적인 키로서 줌 키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8)는, 예를 들면, 조작 영역 아이콘(62L)이 터치되면서 줌 키가 조작되었을 때에는 줌 키의 조작에 따라 촬상부(11L)의 줌 배율을 제어하고, 조작 영역 아이콘(62R)이 터치되면서 줌 키가 조작되었을 때에는 줌 키의 조작에 따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을 제어할 수 있다.
조작 영역 아이콘(62L 및 62R)에서는, 유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 조작 외에, 입/출력 패널(14)의 화면에 평행한 방향의 조작인 평행 조작(이하, 수평 조작이라고도 함), 즉, 입/출력 패널(14)의 화면을 트레이스(trace)하는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제어부(18)는, 입/출력 패널(14)에 대한 수평 조작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촬상부(11L 및 11R)의 제어 또는 신호 처리부(12)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제어부(18)는, 입/출력 패널(14)에 대한 수평 조작에 따라, 촬상부(11L 및 11R) 각각의 촬상 방향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어부(18)는, 조작 영역 아이콘(62L)에 대한 수평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촬상부(11L)의 촬상 방향이 현재의 촬상 방향으로부터 수평 조작이 행해진 방향으로 수평 조작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촬상계(41L)(도 2)를 제어(구동 제어)한다.
예를 들면, 촬상부(11L)의 촬상 방향이, 입/출력 패널(14)의 화면에 직교하는, 입/출력 패널(14)의 화면의 반대측의 면을 향하는 방향(이하, 정면 방향이라고도 함)을 향한다고 가정하고, 조작 영역 아이콘을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트레이스하는 수평 조작이 조작 영역 아이콘(62L)에 행해진다고 가정하면, 촬상부(11L)의 촬상 방향은, 정면 방향으로부터 좌측으로 팬(pan)되는 방향으로 변경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8)는, 조작 영역 아이콘(62R)에 대한 수평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촬상부(11R)의 촬상 방향이, 현재의 촬상 방향으로부터 수평 조작이 행해진 방향으로 수평 조작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촬상계(41R)(도 2)를 제어한다.
도 5는 트윈 렌즈 모드에서의 입/출력 패널(14)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신호 처리부(12)는 제어부(18)의 제어에 따라 스루 화상(through image)을 입/출력 패널(14)에 표시한다.
도 3a 및 도 3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촬상부(11L 및 11R)에서, 줌 배율과 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경우에는, 촬상부(11L)에서 촬상된 화상(L 화상)이 스루 화상으로서 화상 표시 영역(61L)에 표시되고, 촬상부(11R)에서 촬상된 화상(R 화상)이 스루 화상으로서 화상 표시 영역(61R)에 표시되는 2 화면 표시가 행해진다.
도 3a 및 도 3b에서는,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의 크기(size)가 동일하지만, 2 화면 표시에서는,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의 크기를 각각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에 따라 설정하고, 따라서, 이러한 크기를 갖는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스루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표시 영역(61L)에 표시되는 스루 화상으로서의, 촬상부(11L)에서 촬상된 화상(L 화상)은, 촬상부(11L)의 줌 배율에 대응하는 크기로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화상 표시 영역(61R)에 표시되는 스루 화상으로서의, 촬상부(11R)에서 촬상된 화상(R 화상)은, 촬상부(11R)의 줌 배율에 대응하는 크기로 표시된다.
도 5는 촬상부(11L 및 11R) 각각의 줌 배율마다 및 촬상 방향마다에서의 스루 화상의 표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촬상부(11L 및 11R)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줌 배율이 1× 배율 또는 2× 배율의 2가지이며, 촬상부(11L 및 11R)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촬상 방향이 정면 방향, 또는 정면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만큼 외측으로 기울어진, 밖으로 향하는 방향(outward direction) 2가지인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촬상부(11L)의 밖으로 향하는 방향은 정면 방향에 대하여 좌측인 좌향(leftward) 방향이며, 촬상부(11R)의 밖으로 향하는 방향은 정면 방향에 대하여 우측인 우향(rightward) 방향이다.
(좌측의)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1×이고 그 촬상 방향이 정면 방향이며, (우측의)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1×이고 그 촬상 방향이 정면 방향일 경우, 촬상부(11L)의 줌 배율 및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서로 일치하고 또한 촬상 방향도 서로 일치하고 있으므로, 스루 화상의 1 화면 표시가 하나의 화상 표시 영역(61)에 행해진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촬상부(11L 및 11R)(의 촬상계(41L 및 41R))의 줌 배율과 촬상 방향의 상태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 A라고도 한다.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1×이고 그 촬상 방향이 정면 방향이며,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2×이고 그 촬상 방향이 정면 방향일 경우, 촬상부(11L)의 줌 배율 및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므로, 스루 화상을 표시하는 2 화면 표시가 2개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행해진다.
또한, 2 화면 표시에서는,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의 크기가,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에 따라 각각 설정된다.
즉, 예를 들면, 촬상부(11L)에서 촬상된 L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L)의 크기 및 촬상부(11R)에서 촬상된 R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R)의 크기의 비는,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의 비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1×이고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2×이기 때문에, 화상 표시 영역(61L)은 화상 표시 영역(61R)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되고, 화상 표시 영역(61R)은 화상 표시 영역(61L)보다 큰 크기로 설정된다.
또한, 줌 배율이 1×로 낮은 L 화상이 작은 화상 표시 영역(61L)에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되고, 줌 배율이 2×로 높은 R 화상이 큰 표시 화상 영역(61R)에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여기에서, 이상과 같은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과 촬상 방향의 상태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 B라고도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11L 및 11R)의 촬상 방향이 동일하고,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1×이고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2×인 경우에는, 유저는 촬상부(11L 및 11R)의 촬상 방향에 있는 넓은 범위에서의 풍경을, 줌 배율이 1×인 촬상부(11L)를 사용하여 (광각으로) 촬상할 수 있고, 그 풍경의 일부인 확대 화상을 줌 배율이 2×인 촬상부(11R)를 이용하여 (망원으로(telephoto)) 촬상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아이의 운동회 등의 이벤트에서, 아이가 참가하고 있는 경기의 전체 모습을 줌 배율의 낮은 (광각의) 촬상부(11L)를 이용하여 촬상하고, 아이를 줌 업한 화상을 줌 배율이 높은 (망원의) 촬상부(11R)를 이용하여 촬상할 수 있다.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1×이고 그 촬상 방향이 정면 방향이며,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1×이고 그 촬상 방향이 우측 방향인 경우, 촬상부(11L 및 11R)의 촬상 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므로, 스루 화상을 표시하는 2 화면 표시가 2개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행해진다.
2 화면 표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11L)에서 촬상된 L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L)의 크기와 촬상부(11R)에서 촬상된 R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R)의 크기의 비가,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의 비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이 둘 모두 1×이기 때문에,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은 각각 동일한 크기로 설정된다.
그리고, 동일한 크기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줌 배율이 1×로 동일한 L 화상 및 R 화상이 각각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여기에서, 이상과 같은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과 촬상 방향의 상태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 C라고도 한다.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1×이고 그 촬상 방향이 정면 방향이며,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2×이고 그 촬상 방향이 우측 방향인 경우,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촬상 방향도 서로 일치하지 않으므로, 스루 화상을 표시하는 2 화면 표시가 2개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행해진다.
2 화면 표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11L)에서 촬상된 L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L)의 크기와 촬상부(11R)에서 촬상된 R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R)의 크기의 비가,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의 비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1×이고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2×이므로, 화상 표시 영역(61L)은 화상 표시 영역(61R)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되고, 화상 표시 영역(61R)은 화상 표시 영역(61L)보다 큰 크기로 설정된다.
또한, 줌 배율이 1×로 낮은 L 화상이 작은 화상 표시 영역(61L)에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되고, 줌 배율이 2×로 높은 R 화상이 큰 화상 표시 영역(61R)에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여기에서, 이상과 같은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과 촬상 방향의 상태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 D라고도 한다.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2×이고 그 촬상 방향이 정면 방향이며,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1×이고 그 촬상 방향이 정면 방향인 경우,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므로, 스루 화상을 표시하는 2 화면 표시가 2개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행해진다.
또한, 2 화면 표시에서는,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의 크기가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에 따라 각각 설정된다.
즉, 예를 들면, 촬상부(11L)에서 촬상된 L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L)의 크기와 촬상부(11R)에서 촬상된 R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R)의 크기의 비는,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의 비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2×이고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1×이기 때문에, 화상 표시 영역(61L)이 화상 표시 영역(61R)보다 큰 크기로 설정되고, 화상 표시 영역(61R)이 화상 표시 영역(61L)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된다.
그리고, 줌 배율이 2×로 높은 L 화상이 큰 화상 표시 영역(61L)에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되고, 줌 배율이 1×로 낮은 R 화상이 작은 화상 표시 영역(61R)에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여기에서, 이상과 같은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과 촬상 방향의 상태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 E라고도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11L 및 11R)의 촬상 방향이 동일하고,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2×이고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1×인 경우에는, 표시 상태 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저는 촬상부(11L 및 11R)의 촬상 방향에 있는 풍경을, 줌 배율이 1×인 촬상부(11R)를 이용하여 광각으로 촬상하고, 줌 배율이 2×인 촬상부(11L)를 이용하여 망원으로 촬상할 수 있다.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2×이고 그 촬상 방향이 정면 방향이며,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2×이고 그 촬상 방향이 정면 방향인 경우,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서로 일치하고, 또한, 촬상 방향도 서로 일치하고 있으므로, 스루 화상을 표시하는 1 화면 표시가 하나의 화상 표시 영역(61)에 행해진다.
여기에서, 이상과 같은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과 촬상 방향의 상태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 F라고도 한다.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2×이고 그 촬상 방향이 정면 방향이며,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1×이고 그 촬상 방향이 우측 방향인 경우,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촬상 방향도 서로 일치하지 않으므로, 스루 화상을 표시하는 2 화면 표시가 2개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행해진다.
2 화면 표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11L)에서 촬상된 L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L)의 크기와 촬상부(11R)에서 촬상된 R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R)의 크기의 비가,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의 비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2×이고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1×이므로, 화상 표시 영역(61L)은 화상 표시 영역(61R)보다 큰 크기로 설정되고, 화상 표시 영역(61R)은 화상 표시 영역(61L)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된다.
그리고, 줌 배율이 2×로 높은 L 화상이 스루 화상으로서 큰 화상 표시 영역(61L)에 표시되고, 줌 배율이 1×로 낮은 R 화상이 스루 화상으로서 작은 화상 표시 영역(61R)에 표시된다.
여기에서, 이상과 같은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과 촬상 방향의 상태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 G라고도 한다.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2×이고 그 촬상 방향이 정면 방향이며,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2×이고 그 촬상 방향이 우측 방향인 경우, 촬상부(11L 및 11R)의 촬상 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므로, 스루 화상을 표시하는 2 화면 표시가 2개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행해진다.
2 화면 표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11L)에서 촬상된 L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L)의 크기와 촬상부(11R)에서 촬상된 R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R)의 크기의 비가,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의 비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은 둘 모두 2×이기 때문에,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된다.
그리고, 2×의 동일한 줌 배율을 갖는 L 화상 및 R 화상이, 각각, 동일한 크기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여기에서, 이상과 같은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과 촬상 방향의 상태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 H라고도 한다.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1×이고 그 촬상 방향이 좌측 방향이며,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1×이고 그 촬상 방향이 정면 방향인 경우, 촬상부(11L 및 11R)의 촬상 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므로, 스루 화상을 표시하는 2 화면 표시가 2개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행해진다.
2 화면 표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11L)에서 촬상된 L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L)의 크기와 촬상부(11R)에서 촬상된 R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R)의 크기의 비가,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의 비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은 둘 모두 1×이기 때문에,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된다.
그리고, 줌 배율이 1×로 동일한 L 화상 및 R 화상이, 동일한 크기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스루 화상으로서 각각 표시된다.
여기에서, 이상과 같은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과 촬상 방향의 상태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 I라고도 한다.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1×이고 그 촬상 방향이 좌측 방향이며,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2×이고 그 촬상 방향이 정면 방향일 경우,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촬상부(11L 및 11R)의 촬상 방향도 서로 일치하지 않으므로, 스루 화상을 표시하는 2 화면 표시가 2개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행해진다.
2 화면 표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11L)에서 촬상된 L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L)의 크기와 촬상부(11R)에서 촬상된 R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R)의 크기의 비가,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의 비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1×이고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2×이기 때문에, 화상 표시 영역(61L)은 화상 표시 영역(61R)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되고, 화상 표시 영역(61R)은 화상 표시 영역(61L)보다 큰 크기로 설정된다.
그리고, 줌 배율이 1×로 낮은 L 화상이 스루 화상으로서 작은 화상 표시 영역(61L)에 표시되고, 줌 배율이 2×로 높은 R 화상이 스루 화상으로서 큰 화상 표시 영역(61R)에 표시된다.
여기에서, 이상과 같은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과 촬상 방향의 상태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 J라고도 한다.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1×이고 그 촬상 방향이 좌측 방향이며,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1×이고 그 촬상 방향이 우측 방향인 경우, 촬상부(11L 및 11R)의 촬상 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므로, 스루 화상을 표시하는 2 화면 표시가 2개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행해진다.
2 화면 표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11L)에서 촬상된 L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L)의 크기와 촬상부(11R)에서 촬상된 R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R)의 크기의 비가,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의 비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촬상부(11L 및 11R) 둘 모두 1×의 동일한 줌 배율을 가지므로,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된다.
그리고, 줌 배율이 1×로 동일한 L 화상 및 R 화상이, 각각, 동일한 크기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여기에서, 이상과 같은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과 촬상 방향의 상태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 K라고도 한다.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1×이고 그 촬상 방향이 좌측 방향이며,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2×이고 그 촬상 방향이 우측 방향인 경우,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촬상 방향도 서로 일치하지 않으므로, 스루 화상을 표시하는 2 화면 표시가 2개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행해진다.
2 화면 표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11L)에서 촬상된 L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L)의 크기와 촬상부(11R)에서 촬상된 R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R)의 크기의 비가,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의 비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1×이고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2×이기 때문에, 화상 표시 영역(61L)은 화상 표시 영역(61R)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되고, 화상 표시 영역(61R)은 화상 표시 영역(61L)보다 큰 크기로 설정된다.
그리고, 줌 배율이 1×로 낮은 L 화상이 스루 화상으로서 작은 화상 표시 영역(61L)에 표시되고, 줌 배율이 2×로 높은 R 화상이 스루 화상으로서 큰 화상 표시 영역(61R)에 표시된다.
여기에서, 이상과 같은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과 촬상 방향의 상태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 L이라고도 한다.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2×이고 그 촬상 방향이 좌측 방향이며,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1×이고 그 촬상 방향이 정면 방향인 경우,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촬상 방향도 서로 일치하지 않으므로, 스루 화상을 표시하는 2 화면 표시가 2개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행해진다.
2 화면 표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11L)에서 촬상된 L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L)의 크기와 촬상부(11R)에서 촬상된 R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R)의 크기의 비가,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의 비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2×이고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1×이기 때문에, 화상 표시 영역(61L)은 화상 표시 영역(61R)보다 큰 크기로 설정되고, 화상 표시 영역(61R)은 화상 표시 영역(61L)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된다.
그리고, 줌 배율이 2×로 높은 L 화상이 스루 화상으로서 큰 화상 표시 영역(61L)에 표시되고, 줌 배율이 1×로 낮은 R 화상이 스루 화상으로서 작은 화상 표시 영역(61R)에 표시된다.
여기에서, 이상과 같은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과 촬상 방향의 상태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 M이라고도 한다.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2×이고 그 촬상 방향이 좌측 방향이며,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2×이고 그 촬상 방향이 정면 방향인 경우, 촬상부(11L 및 11R)의 촬상 방향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스루 화상을 표시하는 2 화면 표시가 2개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행해진다.
2 화면 표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11L)에서 촬상된 L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L)의 크기와 촬상부(11R)에서 촬상된 R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R)의 크기의 비가,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의 비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은 둘 모두 2×이기 때문에,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된다.
그리고, 동일한 크기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줌 배율이 둘 모두 2×인 L 화상 및 R 화상이 각각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여기에서, 이상과 같은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과 촬상 방향의 상태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 N이라고도 한다.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2×이고 그 촬상 방향이 좌측 방향이며,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1×이고 그 촬상 방향이 우측 방향인 경우,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촬상 방향도 서로 일치하지 않으므로, 스루 화상을 표시하는 2 화면 표시가 2개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행해진다.
2 화면 표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11L)에서 촬상된 L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L)의 크기와 촬상부(11R)에서 촬상된 R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R)의 크기의 비가,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의 비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2×이고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1×이기 때문에, 화상 표시 영역(61L)은 화상 표시 영역(61R)보다 큰 크기로 설정되고, 화상 표시 영역(61R)은 화상 표시 영역(61L)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된다.
그리고, 줌 배율이 2×로 높은 L 화상이 스루 화상으로서 큰 화상 표시 영역(61L)에 표시되고, 줌 배율이 1×로 낮은 R 화상이 스루 화상으로서 작은 화상 표시 영역(61R)에 표시된다.
여기에서, 이상과 같은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과 촬상 방향의 상태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 O라고도 한다.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2×이고 그 촬상 방향이 좌측 방향이며,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2×이고 그 촬상 방향이 우측 방향인 경우, 촬상부(11L 및 11R)의 촬상 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므로, 스루 화상을 표시하는 2 화면 표시가 2개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행해진다.
2 화면 표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11L)에서 촬상된 L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L)의 크기와 촬상부(11R)에서 촬상된 R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R)의 크기의 비가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의 비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은 둘 모두 2×이기 때문에,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된다.
그리고, 동일한 크기의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에, 줌 배율이 2×로 동일한 L 화상 및 R 화상이 각각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여기에서, 이상과 같은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과 촬상 방향의 상태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 P라고도 한다.
또한, 도 5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촬상부(11L 및 11R)에서 취득될 줌 배율이 1× 배율 및 2× 배율의 2가지로 설정했지만, 촬상부(11L 및 11R) 각각의 줌 배율로서 다른 값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2 화면 표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11L)에서 촬상된 L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L)의 크기와 촬상부(11R)에서 촬상된 R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61R)의 크기의 비가,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의 비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면,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1×이고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2×인 경우에는,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의 비는 1:2이기 때문에, 화상 표시 영역(61L)의 크기와 화상 표시 영역(61R)의 크기의 비가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의 비인 1:2이도록 설정된다.
또한, 예를 들면, 촬상부(11L)의 줌 배율이 2.3배이고 촬상부(11R)의 줌 배율이 3배인 경우에는,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의 비가 2.3:3이기 때문에,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의 크기의 비가 촬상부(11L)의 줌 배율과 촬상부(11R)의 줌 배율의 비인 2.3:3로 설정된다.
또한,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의 크기에 대해서는, 그 최대값과 최소값이 미리 결정되어 있다. 화상 표시 영역(61L 및 61R)의 크기는 최대값을 초과하지 않고, 또한 최소값보다 작지 않도록 설정(제한)된다.
[카메라 제어 처리]
도 6 내지 도 9는 도 1의 제어부(18)가 행하는 촬상부(11L 및 11R)의 제어 처리(카메라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여기에서, 도 7 및 도 8은 도 6에 후속되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후속되는 도면이다.
단계 S11에서, 제어부(18)는, 동작 모드가 트윈 렌즈 모드와 단일 렌즈 모드 중 트윈 렌즈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1에서, 동작 모드가 트윈 렌즈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즉, 동작 모드가 단일 렌즈 모드, 예를 들면, 촬상부(11L 및 11R) 중 어느 한쪽만이 동작하고 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12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촬상부(11L 및 11R) 중에서 동작하고 있는 하나의 촬상부에 대해, 하나의 촬상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단일 렌즈 디지털 카메라)에 대한 제어와 마찬가지로, 통상 제어(normal control)를 행한다.
또한, 단계 S11에서, 동작 모드가 트윈 렌즈 모드인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13으로 진행되고, 예를 들면, 입/출력 패널(14) 또는 조작부(17)의 조작에 의해, 동작 모드가 단일 렌즈 모드에서 트윈 렌즈 모드로 변경된 직후이면, 제어부(18)는, 촬상부(11L)의 촬상계(41L)(도 2) 및 촬상부(11R)의 촬상계(41R)를 디폴트 상태로 하도록 제어하고, 처리는 단계 S14로 진행한다.
여기에서, 촬상계(41L 및 41R)의 디폴트 상태란, 예를 들면, 줌 배율이 1×이고 촬상 방향이 정면 방향인 상태를 의미한다.
단계 S14에서는, 제어부(18)는, L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계(41L)(도 2)의 촬상 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입/출력 패널(14)의 조작 아이콘(62L)(도 4)의 수평 조작(이하, 좌측 촬상 방향 조작이라고 함)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4에서, 좌측 촬상 방향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15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L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계(41L)의 줌 배율을 조정하기 위해, 입/출력 패널(14)의 조작 아이콘(62L)의 수직 조작(이하, 좌측 줌 조작이라고 함)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5에서, 좌측 줌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16으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R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계(41R)(도 2)의 촬상 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입/출력 패널(14)의 조작 아이콘(62R)(도 4)의 수평 조작(이하, 우측 촬상 방향 조작이라고 함)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6에서, 우측 촬상 방향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17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R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계(41R)의 줌 배율을 조정하기 위해, 입/출력 패널(14)의 조작 아이콘(62R)의 수직 조작(이하, 우측 줌 조작이라고 함)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7에서, 우측 줌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제어부(18)는 촬상계(41L 및 41R)를 특별히 제어하지 않는다.
이 경우, 단계 S13에서, 촬상계(41L 및 41R)가 디폴트 상태로 되어 있으면, 촬상계(41L 및 41R)의 상태는, 예를 들면, 도 5에서 설명한 상태 A가 된다.
또한, 단계 S17에서, 우측 줌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18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우측 줌 조작에 따라, 예를 들면, 줌 배율이 2×가 되도록 촬상계(41R)를 제어한다.
이 경우, 단계 S13에서, 촬상계(41L 및 41R)가 디폴트 상태로 되어 있으면, 촬상계(41L 및 41R)의 상태는, 예를 들면 도 5에서 설명한 상태 B가 된다.
또한, 단계 S16에서, 우측 촬상 방향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19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우측 촬상 방향 조작에 따라, 예를 들면 촬상계(41R)의 촬상 방향이 우측 방향이 되도록 촬상계(41R)를 제어하고, 처리는 단계 S20으로 진행한다.
단계 S20에서, 제어부(18)는 우측 줌 조작(촬상계(41R)의 줌 배율을 조정하는 조작 아이콘(62R)의 수직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0에서, 우측 줌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제어부(18)는 촬상계(41L 및 41R)를 특별히 제어하지 않는다.
이 경우, 단계 S13에서, 촬상계(41L 및 41R)가 디폴트 상태로 되어 있으면, 촬상계(41L 및 41R)의 상태는, 예를 들면 도 5에서 설명한 상태 C가 된다.
또한, 단계 S20에서, 우측 줌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21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우측 줌 조작에 따라, 예를 들면 줌 배율이 2×가 되도록 촬상계(41R)를 제어한다.
이 경우, 단계 S13에서, 촬상계(41L 및 41R)가 디폴트 상태로 되어 있으면, 촬상계(41L 및 41R)의 상태는, 예를 들면 도 5에서 설명한 상태 D가 된다.
한편, 단계 S15에서, 좌측 줌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22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좌측 줌 조작에 따라, 예를 들면 줌 배율이 2×가 되도록 촬상계(41L)를 제어하고, 처리는 도 7의 단계 S31로 진행한다.
도 7의 단계 S31에서, 제어부(18)는 우측 촬상 방향 조작(촬상계(41R)의 촬상 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입/출력 패널(14)의 조작 아이콘(62R)을 수평으로 조작하는 것)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31에서, 우측 촬상 방향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32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우측 줌 조작(촬상계(41R)의 줌 배율을 조정하기 위해 입/출력 패널(14)의 조작 아이콘(62R)을 수직으로 조작하는 것)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32에서, 우측 줌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제어부(18)는 촬상계(41L 및 41R)를 특별히 제어하지 않는다.
이 경우, 도 6의 단계 S13에서, 촬상계(41L 및 41R)가 디폴트 상태로 되어 있으면, 촬상계(41L 및 41R)의 상태는, 예를 들면 도 5에서 설명한 상태 E가 된다.
또한, 단계 S32에서, 우측 줌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33으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우측 줌 조작에 따라, 예를 들면, 줌 배율이 2×가 되도록 촬상계(41R)를 제어한다.
이 경우, 단계 S13에서, 촬상계(41L 및 41R)가 디폴트 상태로 되어 있으면, 촬상계(41L 및 41R)의 상태는, 예를 들면 도 5에서 설명한 상태 F가 된다.
또한, 단계 S31에서, 우측 촬상 방향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34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우측 촬상 방향 조작에 따라, 예를 들면 촬상계(41R)의 촬상 방향이 우측 방향이 되도록 촬상계(41R)를 제어하고, 처리는 단계 S35로 진행한다.
단계 S35에서, 제어부(18)는 우측 줌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35에서, 우측 줌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제어부(18)는 촬상계(41L 및 41R)를 특별히 제어하지 않는다.
이 경우, 도 6의 단계 S13에서, 촬상계(41L 및 41R)가 디폴트 상태로 되어 있으면, 촬상계(41L 및 41R)의 상태는, 예를 들면, 도 5에서 설명한 상태 G가 된다.
또한, 단계 S35에서, 우측 줌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36으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우측 줌 조작에 따라, 예를 들면, 줌 배율이 2×가 되도록, 촬상계(41R)를 제어한다.
이 경우, 도 6의 단계 S13에서, 촬상계(41L 및 41R)가 디폴트 상태로 되어 있으면, 촬상계(41L 및 41R)의 상태는, 예를 들면 도 5에서 설명한 상태 H가 된다.
도 6으로 되돌아가서, 단계 S14에서, 좌측 촬상 방향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23으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좌측 촬상 방향 조작에 따라, 예를 들면, 촬상계(41L)의 촬상 방향이 좌측 방향이 되도록 촬상계(41L)를 제어하고, 처리는 도 8의 단계 S41로 진행한다.
도 8의 단계 S41에서, 제어부(18)는 좌측 줌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41에서, 좌측 줌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42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우측 촬상 방향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42에서, 우측 촬상 방향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43으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우측 줌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43에서, 우측 줌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제어부(18)는 촬상계(41L 및 41R)를 특별히 제어하지 않는다.
이 경우, 도 6의 단계 S13에서, 촬상계(41L 및 41R)가 디폴트 상태로 되어 있으면, 촬상계(41L 및 41R)의 상태는, 예를 들면 도 5에서 설명한 상태 I가 된다.
또한, 단계 S43에서, 우측 줌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44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우측 줌 조작에 따라, 예를 들면, 줌 배율이 2×가 되도록 촬상계(41R)를 제어한다.
이 경우, 도 6의 단계 S13에서, 촬상계(41L 및 41R)가 디폴트 상태로 되어 있으면, 촬상계(41L 및 41R)의 상태는, 예를 들면 도 5에서 설명한 상태 J가 된다.
또한, 단계 S42에서, 우측 촬상 방향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45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우측 촬상 방향 조작에 따라, 예를 들면, 촬상계(41R)의 촬상 방향이 우측 방향으로 되도록 촬상계(41R)를 제어하고, 처리는 단계 S46으로 진행한다.
단계 S46에서, 제어부(18)는 우측 줌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46에서, 우측 줌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제어부(18)는 촬상계(41L 및 41R)를 특별히 제어하지 않는다.
이 경우, 도 6의 단계 S13에서, 촬상계(41L 및 41R)가 디폴트 상태로 되어 있으면, 촬상계(41L 및 41R)의 상태는, 예를 들면 도 5에서 설명한 상태 K가 된다.
또한, 단계 S46에서, 우측 줌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47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우측 줌 조작에 따라, 예를 들면, 줌 배율이 2×가 되도록 촬상계(41R)를 제어한다.
이 경우, 도 6의 단계 S13에서, 촬상계(41L 및 41R)가 디폴트 상태로 되어 있으면, 촬상계(41L 및 41R)의 상태는 예를 들면 도 5에서 설명한 상태 L이 된다.
한편, 단계 S41에서, 좌측 줌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48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좌측 줌 조작에 따라, 예를 들면, 줌 배율이 2×로 되도록 촬상계(41L)를 제어하고, 처리는 도 9의 단계 S51로 진행한다.
도 9의 단계 S51에서는, 제어부(18)는 우측 촬상 방향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51에서, 우측 촬상 방향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52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우측 줌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52에서, 우측 줌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제어부(18)는 촬상계(41L 및 41R)를 특별히 제어하지 않는다.
이 경우, 도 6의 단계 S13에서, 촬상계(41L 및 41R)가 디폴트 상태로 되어 있으면, 촬상계(41L 및 41R)의 상태는 예를 들면 도 5에서 설명한 상태 M이 된다.
또한, 단계 S52에서, 우측 줌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53으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우측 줌 조작에 따라, 예를 들면, 줌 배율이 2×로 되도록 촬상계(41R)를 제어한다.
이 경우, 도 6의 단계 S13에서, 촬상계(41L 및 41R)가 디폴트 상태로 되어 있으면, 촬상계(41L 및 41R)의 상태는 예를 들면 도 5에서 설명한 상태 N이 된다.
또한, 단계 S51에서, 우측 촬상 방향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54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우측 촬상 방향 조작에 따라, 예를 들면 촬상계(41R)의 촬상 방향이 우측 방향으로 되도록 촬상계(41R)를 제어하고, 처리는 단계 S55로 진행한다.
단계 S55에서는, 제어부(18)는 우측 줌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55에서, 우측 줌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제어부(18)는 촬상계(41L 및 41R)를 특별히 제어하지 않는다.
이 경우, 도 6의 단계 S13에서, 촬상계(41L 및 41R)가 디폴트 상태로 되어 있으면, 촬상계(41L 및 41R)의 상태는, 예를 들면 도 5에서 설명한 상태 O가 된다.
또한, 단계 S55에서, 우측 줌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 S56으로 진행하고, 제어부(18)는, 우측 줌 조작에 따라, 예를 들면, 줌 배율이 2×로 되도록 촬상계(41R)를 제어한다.
이 경우, 도 6의 단계 S13에서, 촬상계(41L 및 41R)가 디폴트 상태로 되어 있으면, 촬상계(41L 및 41R)의 상태는 예를 들면 도 5에서 설명한 상태 P가 된다.
이상과 같이,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제어부(18)는 입/출력 패널(14)에 대한 수직 조작 및 수평 조작에 따라 촬상부(11L 및 11R)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므로, 디지털 카메라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유저는, 조작 영역 아이콘(62L 및 62R)(도 4)을 조작함으로써, 예를 들면,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 및 촬상 방향의 상태를 도 5의 상태 A 내지 상태 P로 매끄럽게(seamless)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조작 영역 아이콘(62L 및 62R)에 대한 수평 조작으로 인해 촬상부(11L 및 11R)의 촬상 방향이 변경될 수 있고, 조작 영역 아이콘(62L 및 62R)에 대한 수직 조작으로 인해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유저는 복잡한 조작을 하지 않고, 소위 직감적인 조작으로, 촬상부(11L 및 11R)의 촬상 방향 및 줌 배율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입/출력 패널(14)의 다른 표시 예]
도 10은 도 1의 입/출력 패널(14)의 다른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의 입/출력 패널(14)의 표시에서는, 도 4의 표시에 시야각 UI(User Interface)(80)가 중첩되어 있다.
시야각 UI(80)는 각 촬상부(11L 및 11R)에서 촬상되는 촬상 범위를 나타내는 사각 형상의 화상(그래픽)이며, L 아이콘(81L) 및 R 아이콘(81R), 포커스 거리 라인(82L 및 82R) 및 시야각 라인(83L 및 83R)을 (GUI의 일부로서) 포함한다.
L 아이콘(81L)은 촬상부(11L)를 모방한 아이콘이며, 촬상부(11L)의 촬상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향한 상태로 표시된다.
R 아이콘(81R)은 촬상부(11R)를 모방한 아이콘이며, 촬상부(11R)의 촬상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향한 상태로 표시된다.
포커스 거리 라인(82L)은, L 아이콘(81L) 및 R 아이콘(81R) 두 방향에 인접한 소정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원(circle)의 아치형의 라인이며, L 아이콘(81L)에서 포커스 거리 라인(82L)으로서의 아치형의 라인까지의 거리, 즉, 소정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포커스 거리 라인(82L)이 원의 일부가 되는 원(이하, 촬상부(11L)의 포커스 거리 원(focal distance circle)이라고 함)의 반경은, 촬상부(11L)의 포커스 거리(결과적으로, 줌 배율)에 대응한다.
포커스 거리 라인(82R)은, 포커스 거리 라인(82L)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원의 아치형의 라인이며, R 아이콘(81R)에서 포커스 거리 라인(82R)으로서의 아치형의 라인까지의 거리, 즉, 소정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포커스 거리 라인(82R)이 원의 일부가 되는 원(이하, 촬상부(11R)의 포커스 거리 원이라고도 함)의 반경은, 촬상부(11R)의 포커스 거리(결과적으로, 줌 배율)에 대응한다.
시야각 라인(83L)은, 촬상부(11L)의 포커스 거리 원의 반경 방향의 2개의 선분(line segment)이며, 그 2개의 선분의 각도가 촬상부(11L)((촬상부11L)에서 촬상되는 화상)의 화각(an angle of view)에 대응한다. 또한, 시야각 라인(83L)로서의 2개의 선분의 각도를 2등분하는 방향이 촬상부(11L)의 촬상 방향에 대응한다.
시야각 라인(83R)은, 촬상부(11R)의 포커스 거리 원의 반경 방향의 2개의 선분이며, 그 2개의 선분의 각도가 촬상부(11R)의 화각에 대응한다. 또한, 시야각 라인(83R)으로서의 2개의 선분의 각도를 2등분하는 방향이 촬상부(11R)의 촬상 방향에 대응한다.
이상과 같은 시야각 UI(80)에서는, 촬상부(11L 및 11R)의 줌 배율이 변경되면, 변경된 줌 배율(및 화각)에 따라, 포커스 거리 라인(82L 및 82R) 및 시야각 라인(83L 및 83R)이 변경된다.
또한, 촬상부(11L 및 11R)의 촬상 방향이 변경되면, 변경된 촬상 방향에 따라, L 아이콘(81L) 및 R 아이콘(81R), 및 시야각 라인(83L 및 83R)이 변경된다.
유저는 시야각 UI(80)를 참조함으로써, 촬상부(11L 및 11R) 각각에서 촬상되는 촬상 범위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시야각 UI(80)를 참조함으로써, 시야각 라인(83L)으로서의 반경 방향의 2개의 선분 중 시야각 라인(83R)에 가까운 선분과, 시야각 라인(83R)으로서의 반경 방향의 2개의 선분 중 시야각 라인(83L)에 가까운 선분이 (거의) 중첩되도록, 촬상부(11L 및 11R)의 촬상 방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촬상부(11L 및 11R) 각각에서 촬상되는 화상을, 즉, 서로 연결된 광각의 파노라마 화상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시야각 UI(80)는 비표시(non-display)로서 설정될 수 있다. 시야각 UI(80)의 표시와 비표시(표시의 온과 오프)는, 입/출력 패널(14) 및 조작부(17)를 조작함으로써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촬상부(11L 및 11R) 각각에서 촬상된 화상을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파노라마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파노라마 화상을 생성하거나, 또는 이러한 파노라마 화상을 생성하지 않고 촬상부(11L 및 11R) 각각에서 촬상된 화상을 고수할지는, 입/출력 패널(14) 및 조작부(17)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전환할 수 있다.
파노라마 화상을 생성하도록 입/출력 패널(14) 및 조작부(17)가 조작되었을 경우, 제어부(18)는, 신호 처리부(12)를 제어함으로써, 촬상부(11L 및 11R) 각각에서 촬상된 화상을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파노라마 화상을 생성하는 신호 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CPU)에 의해 프로그램에 따라 행해지는 처리는 반드시 플로우차트에서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로 행해질 필요는 없다. 즉, 컴퓨터(CPU)에 의해 프로그램에 따라 행해지는 처리는, 병렬 처리 또는 개별 처리(예를 들면, 병렬로 행해지는 처리 또는 오브젝트 처리)를 또한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램이어도 좋고,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 분산 처리되는 프로그램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디지털 카메라에 2개의 촬상부(11L 및 11R)가 제공되었지만, 디지털 카메라에는 1개 또는 3개 이상의 촬상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지 화상 및 동화상 중 어느 쪽의 촬상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부(18)가 2개의 촬상부(11L 및 11R)를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했지만, 제어부(18)에서는 촬상부(11L 및 11R) 중의 한쪽이 다른 쪽의 제어에 따르도록 제어함으로써, 촬상부(11L 및 11R)에 동일한 처리를 행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18)에서, 촬상부(11L 및 11R)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촬상부(11L 및 11R) 중의 한쪽이 다른 쪽의 제어에 따르도록 제어할지에 대한 결정은, 예를 들면, 유저의 조작에 따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1) 장치로서,
화면 상의 복수의 위치에 대한 터치 또는 근접의 검출이 가능한 패널에 대한 화면의 수직 방향의 수직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접수하는 조작 신호 접수부, 및
상기 수직 조작에 따라, 복수의 촬상부 각각에 관련되는 처리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2) (1)에 따른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직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촬상부 각각의 줌 배율 레벨(zoom magnification level)을 변경시킨다.
(3) (1) 또는 (2)에 따른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신호 접수부가 수평 조작을 접수할 때 상기 복수의 촬상부 각각의 촬상 방향을 변경시킨다.
(4) (1) 내지 (3)에 따른 장치로서,
각각 화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촬상부, 및
각각 상기 복수의 촬상부 중 대응하는 하나의 촬상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촬상 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5) (4)에 따른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촬상 컨트롤러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대응하는 촬상 컨트롤러에 가해지는 압력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촬상부 각각을 독립적으로 줌(zoom)한다.
(6) (4) 또는 (5)에 따른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대응하는 촬상 컨트롤러로부터 피사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촬상부 각각을 독립적으로 줌한다.
(7) (4) 내지 (6)에 따른 장치로서, 표시부는 조작 영역에 상기 복수의 촬상 컨트롤러를 표시한다.
(8) (4) 내지 (7)에 따른 장치로서,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촬상부의 각 화상에 대한 촬상 범위(imaging range)를 표시한다.
(9) (4) 내지 (8)에 따른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촬상부 각각은 렌즈 군(lens group) 및 조리개를 포함하고, 화상 제어부(image control unit)는 상기 복수의 촬상부 각각의 상기 렌즈 군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10) (9)에 따른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촬상부 각각은 상기 렌즈 군의 포커스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된 렌즈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촬상부 각각의 상기 렌즈 구동부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11) (9) 또는 (10)에 따른 장치로서, 상기 렌즈 구동부 각각은 대응하는 촬상부의 대응하는 조리개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12) (9) 내지 (11)에 따른 장치로서, 상기 렌즈 군 각각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손떨림 보정 렌즈(shake correction lens)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제어부는, 각 손떨림 보정 렌즈를 제어함으로써 광학 손떨림 보정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13) (4) 내지 (12)에 따른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촬상부 각각으로부터의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독립적으로 행하도록 구성된 화상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14) (13)에 따른 장치로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촬상부 각각으로부터의 화상에 대하여 손떨림 보정 처리를 독립적으로 행한다.
(15) (1) 내지 (14)에 따른 장치로서, 각 화상의 크기가 상기 복수의 촬상부 중 대응하는 복수의 촬상부의 줌 배율 레벨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촬상부 각각으로부터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16) 방법으로서,
화면 상의 복수의 위치에 대한 터치 또는 근접의 검출이 가능한 패널에 대한 화면의 수직 방향의 수직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 조작에 따라, 복수의 촬상부 각각에 관련되는 처리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7) 프로세서에 로드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부호화된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화면 상의 복수의 위치에 대한 터치 또는 근접의 검출이 가능한 패널에 대한 화면의 수직 방향의 수직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 조작에 따라, 복수의 촬상부 각각에 관련되는 처리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8) 장치로서,
화면에 대한 터치 또는 근접의 검출이 가능한 패널에 대한 화면의 수평 방향의 수평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접수하는 조작 신호 접수부, 및
상기 수평 조작에 따라, 복수의 촬상부 각각의 촬상 방향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19) 방법으로서,
화면에 대한 터치 또는 근접의 검출이 가능한 패널에 대한 화면의 수평 방향의 수평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수평 조작에 따라, 복수의 촬상부 각각의 촬상 방향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20) 프로세서에 로드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부호화된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화면에 대한 터치 또는 근접의 검출이 가능한 패널에 대한 화면의 수평 방향의 수평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수평 조작에 따라, 복수의 촬상부 각각의 촬상 방향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게다가, 본 기술은 또한 이하로서 구성된다.
(1) 촬상 제어 장치로서, 화면 상의 복수의 위치에 대한 터치 또는 근접의 검출이 가능한 패널에 대한 화면에 수직인 방향의 수직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접수하는 조작 신호 접수부, 및 상기 수직 조작에 따라 화상을 촬상하는 복수의 촬상부 각각에 관련되는 처리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2) (1)에 기재된 촬상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널에 대한 터치의 압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촬상부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3) (1)에 기재된 촬상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널에 근접하는 물체의, 상기 패널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상기 복수의 촬상부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4) (1)에 기재된 촬상 제어 장치로서, 상기 촬상부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촬상부에 포함된 광학계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5) (4)에 기재된 촬상 제어 장치로서, 상기 광학계는 렌즈 및 조리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촬상부의 광학계 각각에 포함된 렌즈의 구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6)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촬상부 각각의 줌 배율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7) (6)에 기재된 촬상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촬상부에서 촬상되는 화상 각각을, 그 화상을 촬상한 촬상부의 줌 배율에 대응하는 크기로 표시한다.
(8) (4)에 기재된 촬상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촬상부 각각의 포커스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9) (4)에 기재된 촬상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촬상부의 광학계 각각에 포함된 조리개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10) (4)에 기재된 촬상 제어 장치로서, 상기 광학계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손떨림(camera shake)을 보정하는 손떨림 보정(camera shake correction)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촬상부의 광학계 각각에 포함된 손떨림 보정 기능의 온과 오프의 전환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11)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제어 장치로서, 상기 촬상부는, 광학계, 상기 광학계로부터의 광을 화상 신호로 변환하도록 광전 변환을 행하는 촬상 소자, 및 상기 촬상 소자에서 얻어지는 화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촬상부에 포함된 상기 화상 처리부 각각의 화상 처리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12) (11)에 기재된 촬상 제어 장치로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화상 처리로서 손떨림을 보정하는 손떨림 보정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촬상부에 포함된 상기 화상 처리부 각각의 손떨림 보정 처리의 온과 오프의 전환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13)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널에 대한 화면에 평행한 방향의 평행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촬상부 각각의 촬상 방향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14) (13)에 기재된 촬상 제어 장치로서, 상기 패널은 상기 평행 조작의 대상인 조작 영역을 표시한다.
(15) (13) 또는 (14)에 기재된 촬상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촬상부 각각에서 촬상되는 촬상 범위를 표시한다.
(16) 촬상 제어 방법으로서, 화면 상의 복수의 위치에 대한 터치 또는 근접의 검출이 가능한 패널에 대한 화면에 수직인 방향의 수직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 조작에 따라 화상을 촬상하는 복수의 촬상부 각각에 관련되는 처리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7) 촬상 제어 장치로서, 화면에 대한 터치 또는 근접의 검출이 가능한 패널에 대한 화면에 평행한 방향의 평행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접수하는 조작 신호 접수부, 및 상기 평행 조작에 따라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의 촬상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18) (17)에 기재된 촬상 제어 장치로서, 상기 패널은 화면 상의 복수의 위치에 대한 터치 또는 근접의 검출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행 조작에 따라 복수의 촬상부 각각의 촬상 방향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19) (18)에 기재된 촬상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촬상부 각각에서 촬상되는 촬상 범위를 표시한다.
(20) 촬상 제어 방법으로서, 화면 상에 대한 터치 또는 근접의 검출이 가능한 패널에 대한 화면에 평행한 방향의 평행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평행 조작에 따라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의 촬상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당업자들은,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동등물의 범위에 포함되는 한 설계 요건 및 다른 요인에 따라 각종 변경, 결합, 부분결합 및 변형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1L, 11R : 촬상부, 12 : 신호 처리부, 13 : 기록부, 14 : 입/출력 패널, 15 : 검출부, 16 : 표시부, 17 : 조작부, 18 : 제어부, 19 : CPU, 20 : 불휘발성 메모리, 21 : RAM, 41L, 41R : 촬상계, 42L, 42R : 화상 처리부, 43L, 43R : 구동부, 51L, 51R : 광학계, 52L, 52R : 렌즈 군, 53L, 53R : 조리개, 54L, 54R : 촬상 소자 , 61, 61L, 61R : 화상 표시 영역, 62L, 62R : 조작 영역 아이콘, 80 : 시야각 UI, 81L : L아이콘, 81R : R아이콘, 82L, 82R : 포커스 거리 라인, 83L, 83R 시야각 라인

Claims (20)

  1. 촬상 제어 장치로서,
    복수의 위치에 대한 터치 또는 근접의 검출이 가능한 조작 영역에 대한, 상기 조작 영역과 수직인 방향의 수직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접수하는 조작 신호 접수부, 및
    상기 조작 신호에 관련되는 촬상부에서의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촬상부의 줌 배율과 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일치 유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촬상부에서 촬상되는 화상을 표시시키는, 촬상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별로, 상기 촬상부에 대응하는 조작 영역에 대한 터치의 압력에 따라서, 상기 촬상부에서의 처리를 제어하는, 촬상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별로, 상기 촬상부에 대응하는 조작 영역에 근접하는 물체의, 상기 조작 영역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촬상부에서의 처리를 제어하는, 촬상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광학계를 갖고,
    상기 촬상부에서의 처리는, 상기 광학계에 관련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촬상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렌즈와 조리개를 갖고,
    상기 광학계에 관련되는 처리는, 상기 렌즈의 구동 처리를 포함하는, 촬상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의 구동 처리를 제어함으로써, 그 렌즈를 갖는 상기 촬상부의 줌 배율을 제어하는, 촬상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촬상부의 줌 배율과 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촬상부에서 촬상되는 화상 각각을, 그 화상을 촬상한 촬상부의 줌 배율에 대응하는 크기로 표시시키는, 촬상 제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의 구동 처리를 제어함으로써, 그 렌즈를 갖는 상기 촬상부의 포커스를 제어하는, 촬상 제어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에 관련되는 처리는, 상기 광학계가 갖는 조리개에 관련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촬상 제어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손떨림을 보정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갖고,
    상기 광학계에 관련되는 처리는, 상기 손떨림 보정 기능의 온과 오프를 전환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촬상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광학계,
    상기 광학계로부터의 광을 화상 신호로 광전 변환하는 촬상 소자, 및
    상기 촬상 소자에서 얻어지는 화상 신호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부
    를 갖고,
    상기 촬상부에서의 처리는, 상기 화상 처리를 포함하는, 촬상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화상 처리로서, 손떨림 보정을 하는 손떨림 보정 처리를 행하고,
    상기 촬상부에서의 처리는, 상기 손떨림 보정 처리의 온과 오프를 전환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촬상 제어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별로, 상기 촬상부에 대응하는 조작 영역에 대한 평행인 방향의 평행 조작에 따라서, 상기 촬상부의 촬상 방향을 제어하는, 촬상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촬상부 각각에서 촬상되는 촬상 범위를 표시시키는, 촬상 제어 장치.
  15. 촬상 제어 방법으로서,
    복수의 위치에 대한 터치 또는 근접의 검출이 가능한 조작 영역에 대한, 상기 조작 영역과 수직인 방향의 수직 조작에 따라 촬상부에서의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의 처리에서는, 복수의 촬상부의 줌 배율과 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일치 유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촬상부에서 촬상되는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촬상 제어 방법.
  16. 촬상 제어 장치로서,
    복수의 위치에 대한 터치 또는 근접의 검출이 가능한 조작 영역에 대한, 상기 조작 영역과 평행인 방향의 평행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접수하는 조작 신호 접수부, 및
    상기 조작 신호에 관련되는 촬상부에서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촬상부의 줌 배율과 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일치 유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촬상부에서 촬상되는 화상을 표시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촬상 제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촬상부 각각에서 촬상되는 촬상 범위를 표시시키는, 촬상 제어 장치.
  18. 촬상 제어 방법로서,
    복수의 위치에 대한 터치 또는 근접의 검출이 가능한 조작 영역에 대한, 상기 조작 영역과 평행인 방향의 평행 조작에 따라 촬상부의 촬상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의 처리에서는, 복수의 촬상부의 줌 배율과 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일치 유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촬상부에서 촬상되는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촬상 제어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별로, 상기 촬상부에 대응하는 조작 영역에 대한 상기 수직 조작에 따라서, 상기 촬상부에 관련되는 처리를 제어하는, 촬상 제어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별로, 상기 촬상부에 대응하는 조작 영역에 대한 상기 평행 조작에 따라서, 상기 촬상부의 촬상 방향을 제어하는, 촬상 제어 장치.
KR1020120060775A 2011-06-17 2012-06-07 촬상 제어 장치 및 촬상 제어 방법 KR101851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35358 2011-06-17
JP2011135358A JP5909889B2 (ja) 2011-06-17 2011-06-17 撮像制御装置、及び、撮像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551A KR20120139551A (ko) 2012-12-27
KR101851800B1 true KR101851800B1 (ko) 2018-04-24

Family

ID=4659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775A KR101851800B1 (ko) 2011-06-17 2012-06-07 촬상 제어 장치 및 촬상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25970B2 (ko)
EP (1) EP2536158B1 (ko)
JP (1) JP5909889B2 (ko)
KR (1) KR101851800B1 (ko)
CN (1) CN1028334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7005B2 (en) 2008-09-03 2012-06-12 Thorley Industries Llc Infant care apparatus
JP2013206180A (ja) * 2012-03-28 2013-10-07 Kyocera Corp 電子機器および表示方法
EP2967232A4 (en) 2013-03-15 2016-08-31 Thorley Ind Llc DRIVEN CHILDREN SEAT
JP2014178990A (ja) * 2013-03-15 2014-09-25 Kyocera Corp 携帯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210821B2 (ja) * 2013-09-30 2017-10-11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CN108353126B (zh) * 2015-04-23 2019-08-23 苹果公司 处理相机的内容的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854156B1 (en) 2016-06-12 2017-12-2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camera effects
EP3566431A4 (en) 2017-02-24 2020-03-18 SZ DJI Technology Co., Ltd. MULTIPLE CARDAN SET
EP3664432B1 (en) 2017-08-02 2021-09-01 Sony Group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imaging device,, and program
CN109101167B (zh) * 2018-08-31 2021-06-11 北京新界教育科技有限公司 控制方法及装置
DK201870623A1 (en) 2018-09-11 2020-04-1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SIMULATED DEPTH EFFECTS
US11770601B2 (en) 2019-05-06 2023-09-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US10674072B1 (en) 2019-05-06 2020-06-0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US11321857B2 (en) 2018-09-28 2022-05-03 Apple Inc. Displaying and editing images with depth information
US11128792B2 (en) 2018-09-28 2021-09-21 Apple Inc. Capturing and displaying images with multiple focal planes
CN113164813A (zh) 2018-12-07 2021-07-23 索尼互动娱乐股份有限公司 输入设备
US11706521B2 (en) 2019-05-06 2023-07-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CN111147752B (zh) * 2019-12-31 2021-07-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变焦倍数调节方法、电子设备及介质
KR20210124807A (ko) * 2020-04-07 2021-10-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이미지 센싱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5451A (ja) * 2004-06-15 2006-01-05 Mitsubishi Electric Corp 車載監視装置
JP2006308767A (ja) * 2005-04-27 2006-11-0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映像表示方法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10028364A (ja) * 2008-07-17 2010-02-04 Nikon Systems Inc 撮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51322T2 (de) 1988-02-01 1995-05-04 Sperry Marine Inc Steuerberührungsanzeige mit Steuerung durch Schiebeberührung.
US5396287A (en) 1992-02-25 1995-03-07 Fuji Photo Optical Co., Ltd. TV camera work control apparatus using tripod head
JPH07234447A (ja) * 1993-12-28 1995-09-05 Canon Inc 撮影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
JP2003298888A (ja) * 2002-04-02 2003-10-17 Konica Corp 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4500140B2 (ja) 2004-09-21 2010-07-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2眼撮像系を搭載したカメラ
US7256944B2 (en) * 2005-02-18 2007-08-14 Eastman Kodak Company Compact image capture assembly using multiple lenses and image sensors to provide an extended zoom range
JP2007081508A (ja) * 2005-09-12 2007-03-2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画像出力方法
JP4356689B2 (ja) * 2005-12-08 2009-11-04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制御装置、パノラマ画像作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373333B1 (ko) * 2007-07-11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인식을 통한 영상촬영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그 촬영방법
KR101403839B1 (ko) * 2007-08-16 2014-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제어방법
JP2009094724A (ja) * 2007-10-05 2009-04-30 Fujifilm Corp 撮像装置
JP2009244369A (ja) * 2008-03-28 2009-10-22 Sony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8164655B2 (en) * 2008-05-19 2012-04-24 Spatial Cam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currently playing multiple images from a storage medium
JP2009284452A (ja) * 2008-05-23 2009-12-03 Advas Co Ltd ハイブリッドビデオカメラ撮像装置及びシステム
US8532346B2 (en) * 2009-03-11 2013-09-10 Sony Corporatio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5326802B2 (ja) * 2009-05-19 2013-10-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拡大縮小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218353B2 (ja) * 2009-09-14 2013-06-2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NO332170B1 (no) 2009-10-14 2012-07-16 Cisco Systems Int Sarl Anordning og fremgangsmate for kamerakontroll
JP2011103631A (ja) * 2009-11-12 2011-05-26 Nikon Corp デジタルカメラ
US8294748B2 (en) * 2009-12-11 2012-10-23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Panorama imaging using a blending map
EP2355526A3 (en) 2010-01-14 2012-10-31 Nintendo Co., Lt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5451A (ja) * 2004-06-15 2006-01-05 Mitsubishi Electric Corp 車載監視装置
JP2006308767A (ja) * 2005-04-27 2006-11-0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映像表示方法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10028364A (ja) * 2008-07-17 2010-02-04 Nikon Systems Inc 撮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33479A (zh) 2012-12-19
EP2536158A1 (en) 2012-12-19
CN102833479B (zh) 2018-01-26
KR20120139551A (ko) 2012-12-27
JP5909889B2 (ja) 2016-04-27
EP2536158B1 (en) 2015-11-04
US9325970B2 (en) 2016-04-26
JP2013005275A (ja) 2013-01-07
US20120319968A1 (en)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800B1 (ko) 촬상 제어 장치 및 촬상 제어 방법
US11614822B2 (en) Imaging device
US20190158729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2574041B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885069B2 (en) View angle manipulation by optical and electronic zoom control
US817460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130120311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16027704A (ja) 撮像装置
JP2013201527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30678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JP2012033104A (ja) 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WO2014141612A1 (ja) 撮像装置
KR10125736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JP2016225799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TW202002606A (zh) 影像擷取裝置與其操作方法
US20110032390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oving picture capturing method performed by the same
JP2011071712A (ja) 立体撮像装置及び立体撮像方法
JP2016045813A (ja) ズーム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736391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CN118104242A (zh) 电子设备、控制方法、程序和存储介质
JP6467827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表示制御装置、画像補正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42918B2 (ja) カメラ
KR20100098116A (ko) 디지털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JP202016745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58903A (ja) 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