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500B1 - 희토류 금속 장신구 - Google Patents

희토류 금속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500B1
KR101851500B1 KR1020170084689A KR20170084689A KR101851500B1 KR 101851500 B1 KR101851500 B1 KR 101851500B1 KR 1020170084689 A KR1020170084689 A KR 1020170084689A KR 20170084689 A KR20170084689 A KR 20170084689A KR 101851500 B1 KR101851500 B1 KR 101851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are earth
wearing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진
박치애
Original Assignee
김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진 filed Critical 김현진
Priority to KR1020170084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44C5/0023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for therapeutic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0/00Alloys containing less than 50% by weight of each constitu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희토류 금속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손에 감아쥐거나 손목 또는 목에 걸어 착용하도록 되어 있는 착용부(3); 및 상기 착용부(3)에 결합되어 장식성을 부여하는 장식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장식부(5)는 세륨 29.00중량부, 루테튬 0.25중량부, 이트륨 19.94중량부, 스칸듐 0.21중량부, 프리세오디뮴 3.82중량부, 네오디뮴 14.79중량부, 사마륨 3.56중량부, 유로피움 0.21중량부, 가돌리늄 3.68중량부, 테르비움 0.65중량부, 디스프로슘 4.18중량부, 홀미움 0.83중량부, 에르비움 2.41중량부, 투리움 0.34중량부, 이테르븀 2.04중량부, 란타늄 14.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위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희토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장식에 의해 다량의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방사시킴으로써, 인체 착용 시 신체에 유익한 여러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장식을 다양한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장신구의 장식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희토류 금속 장신구{Rareearth Metal Ornament}
본 발명은 희토류 금속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종의 희토류 금속을 혼합한 재료로 제작함으로써, 외관의 장식성을 높이는 동시에,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방사함으로써 인체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는 희토류 금속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희토류 금속은 자연계에 매우 드물게 존재하는 금속 원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원소기호 57 내지 71번인 란탄계 원소 15개와 원소기호 21번인 스칸듐, 39번인 이트륨 등 총 17개 원소를 총칭한다.
이들 희토류 금속은 대개 은백색 또는 회색의 금속으로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고 열을 잘 전달하는 속상을 가지는 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희토류 금속은 광학적 특성에 따라 가전제품이나 의료용구에 적용된 바 있으며, 또 화학적 특성에 따라 특수 용도의 안료로도 응용된 바 있다. 더욱이, 등록특허 제10-1696231호(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의 장신구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W)에 장착된 복수의 방사부재(W1)가 희토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바, 노이즈 유입 가능성을 원천 배제한 클린 상태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모듈을 구비하여, 진동-파동을 이용한 물성변화로 건강, 미용, 재활 분야에서 건강회복 및 활성에너지가 극대화되는 효과를 갖도록 되어 있다.
또한, 희토류 금속을 활용한 제품은 패치 형태로도 개발된 바 있는데, 등록특허 제10-1449527호(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패치 제품)의 패치는 부작용이 적으면서 진통 및 근육이완 효과가 우수한 패치로서, 유기물질 대신에 무기물질을 약효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진통 및 근육이완 효과를 거둠에도 불구하고 그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희토류 장신구들은 장식성이 떨어지고, 다량의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을 방사하지 못하여 이를 통한 건강 증진의 효능을 만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06963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희토류 장신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희토류 장신구의 장식성을 높이는 동시에, 희토류 장식에 의한 건강증진 효과를 배가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손에 감아쥐거나 손목 또는 목에 걸어 착용하도록 되어 있는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에 결합되어 장식성을 부여하는 장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장식부는 각각 희토류 금속의 혼합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착용부 상에 직접 결합되어, 착용 시 상기 착용부에 대해 상대운동이 제한된 상태로 되는 고정형 장식으로 이루어지는 희토류 금속 장신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장식부는 상기 착용부에 간접 연결되어, 착용 시 상기 착용부에 대해 상대운동이 허용된 상태로 되는 가동형 장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용부는 착용에 관여하는 부분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식부는 세륨 29.00중량부, 루테튬 0.25중량부, 이트륨 19.94중량부, 스칸듐 0.21중량부, 프리세오디뮴 3.82중량부, 네오디뮴 14.79중량부, 사마륨 3.56중량부, 유로피움 0.21중량부, 가돌리늄 3.68중량부, 테르비움 0.65중량부, 디스프로슘 4.18중량부, 홀미움 0.83중량부, 에르비움 2.41중량부, 투리움 0.34중량부, 이테르븀 2.04중량부, 란타늄 14.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희토류 금속 장신구에 따르면, 다양한 희토류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 장식으로부터 다량의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방사시킴으로써, 인체 착용 시 음이온과 원적외선에 의해 건강 상 다양한 효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장식을 다양한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이들 장식에 의해 장신구의 장식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희토류 장신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희토류 금속 장신구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희토류 금속 장신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희토류 금속 장신구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희토류 금속 장신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희토류 금속 장신구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희토류 금속 장신구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신구는 도 2 및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착용부(3)와 장식부(5)로 이루어지며, 착용부(3)와 장식부(5)는 각각 희토류 금속의 혼합체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착용부(3)는 사용자로 하여금 장신구(1)를 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도 2에 도시된 팔찌인 경우 또는 도 3에 도시된 목걸이의 경우 또는 도 4에 도시된 묵주의 경우에는 길고 가는 줄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팔찌의 경우에는 링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때, 도 2 내지 도 4의 경우에 착용부(3)는 장식부(5)를 꿰어 넣도록 되어 있고, 도 5의 경우에 착용부(3)는 장식부(5)를 박아 넣거나 끼워 넣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착용부(3)는 손목에 걸어 착용하도록 되어 있고, 도 3에 도시된 착용부(3)는 목에 걸어 착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착용부(3)는 손에 감아쥐도록 되어 있다. 특히 손목에 걸어 착용할 때,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탄력이 없는 경우에는 묶거나 다른 끈으로 잡아매도록 되어 있지만, 고무줄과 같이 탄력이 있는 경우에는 그 자체로 착용에 관여하는 부분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장식부(5)는 장신구(1)에 장식성을 부여하는 부분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다양한 형태로 착용부(3)에 결합된다.
이때, 장식부(5)는 고정형 장식(51)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역할이나 결합형태를 달리하는 가동형 장식(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형 장식(51)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3) 상에 직접 결합되는 장식을 이르는 것으로, 착용 시 착용부(3)에 대해 상대운동이 제한된 상태로 된다. 즉,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형 장식(51)은 착용부(3)에 꿰어 착용부(3)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정도로 운동이 제한되거나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착용부(3)에 대해 전혀 움직일 수 없게 된다. 다만, 도 5의 경우 고정형 장식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착용부(3) 내에서 자전하는 정도로 움직일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형 장식(51)은 그 형태를 달리 할 수 있다. 즉, 구형 또는 십자가와 같은 다각형(51′)의 형태로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반면, 가동형 장식(53)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3)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장식을 이르는 것으로, 착용 시 착용부(3)에 대해 상대운동이 허용된 상태로 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가동형 장식(53)은 착용부(3)의 말단에 연결되거나 연결고리(미도시) 등을 통해 착용부(3)에 연결됨으로써, 고정형 장식(51)에 비해 일층 자유롭게 착용부(3)에 대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특히, 가동형 장식(53)은 고정형 장식(51)에 비해 더 중요한 장식요소로서, 즉, 핵심 장식부로서, 펜던트 등이 이에 해당하며, 묵주의 경우 대게 십자가 모양으로 된다.
이때, 장식부(5)는 세륨 29.00중량부, 루테튬 0.25중량부, 이트륨 19.94중량부, 스칸듐 0.21중량부, 프리세오디뮴 3.82중량부, 네오디뮴 14.79중량부, 사마륨 3.56중량부, 유로피움 0.21중량부, 가돌리늄 3.68중량부, 테르비움 0.65중량부, 디스프로슘 4.18중량부, 홀미움 0.83중량부, 에르비움 2.41중량부, 투리움 0.34중량부, 이테르븀 2.04중량부, 란타늄 14.10중량부로 이루어진 희토류 금속에 의해 제작된다.
따라서, 도 2의 팔찌형 장신구(1)는 고정형 장식(51)의 직경이 예컨대, 10㎜라고 할 때, 원적외선 방사율이 94.5%이고, 음이온 방출량이 600 내지 700ea/cc에 이른다. 또, 도 3의 목걸이형 장신구(1) 또는 도 4의 묵주형 장신구(1)는 고정형 장식(51)의 직경이 예컨대, 8㎜라고 할 때, 원적외선 방사율이 94.5%이고, 음이온 방출량이 600 내지 700ea/cc에 이른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장신구(1)는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팔찌형 장신구(1)에서와 같이, 착용에 관여하는 부분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 6의 장신구(1)는 착용부(3)의 양단을 서로 엇갈리게 충분히 겹쳐두고 겹친 부분을 고정링(7)으로 묶어, 장신구(1)를 손목에 감은 상태에서 일단을 붙들고, 타단을 잡아당기거나 밀어넣어 손목에 감기는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의 장신구(1)는 도시된 것처럼 고정형 장식(51)의 일부에 이름 등의 문자를 새겨 넣어, 장식성과 함께 정보 제공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희토류 금속 장신구(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장신구(1)는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팔지형의 경우, 손목에 끼우도록 되어 있는데, 도 2의 장신구(1)는 착용부(3)에 탄력이 있으면 좀더 쉽게 착탈이 가능하다. 또, 도 5의 장신구(1)는 착용부(3)에 장착된 별도의 착탈수단(9)을 통해 손목에 착탈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6의 장신구(1)는 위에서 언급한 데로 양단을 또는 일단을 타단에 대해 잡아당기거나 밀어 넣음으로써 쉽게 손목에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의 목걸이형 장신구(1)는 목에 걸도록 되어 있으며, 가동형 장식(53)에 의해 장식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또, 도 4의 장신구(1)는 손에 쥐도록 되어 있으나, 목에 걸거나 손목에 감을 수도 있다. 이때, 가동형 장식(53)은 마찬가지로 장신구(1)의 장식성을 높인다.
이와 같이, 신체 여러 부위에 장신구(1)를 착용하게 되면, 장신구(1)의 장식성에 의해 해당 부위를 장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장식부(5)에서 방사되는 다량의 음이온과 원적외선에 의해 면역력을 높일 수 있고, 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체내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세포의 지질과산화를 방지하는 등 인체에 유익한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된다.
1 : 장신구 3 : 착용부
5 : 장식부 7 : 고정링
9 : 착탈수단 51, 51′ : 고정형 장식
53 : 가동형 장식

Claims (4)

  1. 손에 감아쥐거나 손목 또는 목에 걸어 착용하도록 되어 있는 착용부(3); 및
    상기 착용부(3)에 결합되어 장식성을 부여하는 장식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장식부(5)는 각각 희토류 금속의 혼합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착용부(3) 상에 직접 결합되어, 착용 시 상기 착용부(3)에 대해 상대운동이 제한된 상태로 되는 고정형 장식(5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식부(5)는 세륨 29.00중량부, 루테튬 0.25중량부, 이트륨 19.94중량부, 스칸듐 0.21중량부, 프리세오디뮴 3.82중량부, 네오디뮴 14.79중량부, 사마륨 3.56중량부, 유로피움 0.21중량부, 가돌리늄 3.68중량부, 테르비움 0.65중량부, 디스프로슘 4.18중량부, 홀미움 0.83중량부, 에르비움 2.41중량부, 투리움 0.34중량부, 이테르븀 2.04중량부, 란타늄 14.10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형 장식(51)은 직경이 8 내지 10 ㎜일 때, 원적외선 방사율이 94.5%이고, 음이온 방출량이 600 내지 700ea/c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토류 금속 장신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5)는 상기 착용부(3)에 간접 연결되어, 착용 시 상기 착용부(3)에 대해 상대운동이 허용된 상태로 되는 가동형 장식(5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토류 금속 장신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3)는 착용에 관여하는 부분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토류 금속 장신구.
  4. 삭제
KR1020170084689A 2017-07-04 2017-07-04 희토류 금속 장신구 KR101851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89A KR101851500B1 (ko) 2017-07-04 2017-07-04 희토류 금속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89A KR101851500B1 (ko) 2017-07-04 2017-07-04 희토류 금속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500B1 true KR101851500B1 (ko) 2018-04-24

Family

ID=62084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689A KR101851500B1 (ko) 2017-07-04 2017-07-04 희토류 금속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5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148Y1 (ko) * 1999-12-10 2000-05-15 이기환 시계줄
KR101696231B1 (ko) * 2016-07-29 2017-01-13 (주) 크리오코리아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148Y1 (ko) * 1999-12-10 2000-05-15 이기환 시계줄
KR101696231B1 (ko) * 2016-07-29 2017-01-13 (주) 크리오코리아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9828B2 (en) Magnetic key chain
EP0714615B1 (en) Accessorial device
KR101851500B1 (ko) 희토류 금속 장신구
KR101819862B1 (ko) 건강 기능이 구비된 장신구
CN202959087U (zh) 一种磁保健饰品结构
CN202425730U (zh) 具收缩功能的手镯
JP3119800U (ja) 健康マグネットユニット及び連結健康マグネットユニット
KR200402279Y1 (ko) 건강 악세사리
JPH01190367A (ja) 身装品
JP3174570U (ja) 磁気眼鏡チェーン
JP3103256U (ja) 磁気装身具
CN212414972U (zh) 兼具功能性的配戴装置
JP3210600U (ja) 磁気装身具
KR200431840Y1 (ko)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
KR200341575Y1 (ko) 자석을 내장한 목걸이
KR200367689Y1 (ko) 토르마린 성분이 함유된 휴대폰 액세서리
JP3105237U (ja) 健康装身具セット
KR200301573Y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발생하는 장신구
KR200382105Y1 (ko) 목걸이
JP2007014734A (ja) 芳香具兼用指圧用ブレスレットおよび芳香具兼用指圧用指輪
KR200177550Y1 (ko) 건강 목걸이 겸용 묵주
Laursen 10 Dressing the dead in Jin China
CN2049541U (zh) 磁疗保健手镯
KR200251026Y1 (ko) 목걸이
JP2004236994A (ja) 健康増進用飾り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