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148Y1 - 시계줄 - Google Patents

시계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148Y1
KR200183148Y1 KR2019990027787U KR19990027787U KR200183148Y1 KR 200183148 Y1 KR200183148 Y1 KR 200183148Y1 KR 2019990027787 U KR2019990027787 U KR 2019990027787U KR 19990027787 U KR19990027787 U KR 19990027787U KR 200183148 Y1 KR200183148 Y1 KR 200183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t
watch band
straps
presen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환
Original Assignee
이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환 filed Critical 이기환
Priority to KR2019990027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1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1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Landscapes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계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세대의 패션감각에 맞춰 전통 매듭을 시계줄에 적용시켜, 여러 색상의 끈을 다양한 형태로 엮어 형성된 매듭으로 시계줄을 형성함으로써, 시계줄을 여러 다양한 형태와 색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매듭의 양단부에 조절끈을 연결하여 고리를 끼워 넣고 상기 조절끈을 고리 내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엇갈리게 끼워 넣음으로써, 조절끈의 양단부를 잡아 당기면, 매듭 길이를 신축 가능케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계줄{WRIST WATCH BAND}
본 고안은 시계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세대의 패션감각에 맞춰 전통 매듭을 시계줄에 도입하여 응용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의 시계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시계줄은 통상적으로 금속이나 가죽제의 밴드로 구성되어, 일단은 시계의 양단부에 연결하고 다른 일단에는 연결고리를 부착하여 시계줄의 길이를 착용자의 손목에 맞춰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시계줄은 그 구조와 방식이 모두 대동소이한 것이어서,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과 감각을 요구하는 신세대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한 실정에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신세대에 보다 적합한 전혀 새로운 개념의 시계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목적을 달성키 위하여 본 고안은 시계줄에 전통매듭을 적용시켜, 여러 색상의 끈을 다양한 형태로 엮어 형성된 매듭으로 시계줄을 형성함으로써, 시계줄을 여러 다양한 형태와 색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매듭의 양단부에 조절끈을 연결하여 고리를 끼워 넣고 상기 조절끈을 고리 내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엇갈리게 끼워 넣음으로써, 조절끈의 양단부를 잡아 당기면, 매듭 길이를 신축 가능케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시계줄은 여러 다양한 형태와 색상의 끈(1)을 엮어서 된 매듭(2)으로 형성되고, 이 매듭(2)에는 구슬이나 리본등의 엑세사리(3)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매듭(2)의 중간부위에는 통상과 시계(4)가 연결고리(5)(5')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고, 매듭(2)의 양단부에는 조절끈(6)(6')과 걸림턱(7)(7')이 형성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차된 상태로 고리(8) 내부에 수납되어, 조절끈(6)(6')을 잡아 당기면, 매듭(2) 길이가 신축 가능케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시계줄은 사용시, 도 2 에서와 같이, 매듭(2)의 고리(8) 윗부분을 잡아 당겨 매듭(2) 길이를 적당히 늘어 뜨린 뒤, 매듭(2)을 손목에 끼우고, 다시 고리(8)의 양단부로 인출된 조절끈(6)(6')을 잡아 당기면, 고리(8) 내부에서 조절끈(6)(6')이 빠져 나오면서 매듭(2)의 길이가 손목 굵기에 알맞게 조절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 기술적 범위내에서 많은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매듭(2)과 고리(8)를 구성하는 끈(1)의 엮는 방법이나 종류등은 여러 형태가 있을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달라지는 것은 물론 아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시계줄에 의하면, 우리 고유의 전통매듭을 시계줄에 도입하여 종래 천편일률적이던 시계줄에 보다 다양한 디자인과 개성을 표출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끈(1)과 엑세사리(3)가 다양한 형태와 색상으로 엮여 중간부에 시계 연결고리(5)(5')를 끼우도록 된 매듭(2)과,
    상기 매듭(2)의 양단부에 연장되어 단부에 걸림턱(7)(7')이 형성된 조절끈(6)(6')과,
    상기 조절끈(6)(6')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차되게 삽입되어 그 길이가 신축 가능케 조절되는 고리(8)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줄.
KR2019990027787U 1999-12-10 1999-12-10 시계줄 KR200183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787U KR200183148Y1 (ko) 1999-12-10 1999-12-10 시계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787U KR200183148Y1 (ko) 1999-12-10 1999-12-10 시계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148Y1 true KR200183148Y1 (ko) 2000-05-15

Family

ID=19600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787U KR200183148Y1 (ko) 1999-12-10 1999-12-10 시계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14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106B1 (ko) * 2015-09-30 2017-10-25 김효진 교통 카드가 구비된 팔찌
KR101851500B1 (ko) * 2017-07-04 2018-04-24 김현진 희토류 금속 장신구
KR20220094334A (ko) * 2020-12-29 2022-07-06 서지영 팔찌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106B1 (ko) * 2015-09-30 2017-10-25 김효진 교통 카드가 구비된 팔찌
KR101851500B1 (ko) * 2017-07-04 2018-04-24 김현진 희토류 금속 장신구
KR20220094334A (ko) * 2020-12-29 2022-07-06 서지영 팔찌 제조방법
KR102477048B1 (ko) 2020-12-29 2022-12-13 서지영 팔찌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63058A (en) Expansible flexible member for belts and other purposes
US20060248922A1 (en) Jewelry system
US20060021630A1 (en) Hair band
KR200183148Y1 (ko) 시계줄
CN208293200U (zh) 一种拉伸变形的网状织带
WO2002065864A8 (en) Expandable, no-shrink shirt collar
KR20010022340A (ko) 팔찌용 접이식 버클
KR200492045Y1 (ko) 의류용 허리벨트
JP2009191409A (ja) 帽子兼用マフラー
GB1601334A (en) Adjustable strap
KR20000007716A (ko) 장식이 부착된 신발끈
CA2413159A1 (en) Materials and products using strip of real or artificial fur
US5372151A (en) Band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304039Y1 (ko) 장식용 머리끈
CN108103658A (zh) 一种拉伸变形的网状织带
CN206822148U (zh) 一种手链
KR910005022Y1 (ko) 장식용 혁대
KR200282103Y1 (ko) 분실방지줄
KR200294280Y1 (ko) 인체용 띠장신구의 연결구
KR0112539Y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손잡이
JP3011392U (ja) 和服用の帯
JPS5938409Y2 (ja) 装身用織ベルト
KR200289444Y1 (ko) 부분 광택 날염 밴드
KR200165488Y1 (ko) 헤어밴드
JP3564473B1 (ja) 環状帯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