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333B1 - 동전 배출구 - Google Patents

동전 배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333B1
KR101851333B1 KR1020160060578A KR20160060578A KR101851333B1 KR 101851333 B1 KR101851333 B1 KR 101851333B1 KR 1020160060578 A KR1020160060578 A KR 1020160060578A KR 20160060578 A KR20160060578 A KR 20160060578A KR 101851333 B1 KR101851333 B1 KR 101851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outlet
opening
dispens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051A (ko
Inventor
송서영
Original Assignee
송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서영 filed Critical 송서영
Priority to KR102016006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333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07D1/02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07D1/02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 G07D1/04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dispensing change equal to a sum deposi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07D1/02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 G07D1/06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dispensing the difference between a sum paid and a sum charg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1/00Coin disp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동전을 수취할 수 있도록 하는 동전지급장치의 동전 배출구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동전 배출구는 상기 동전 지급장치의 배출구에 회전축으로 고정되어 상하로 회동되고, 동전 배출구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어지며, 동전 배출구의 내부쪽의 끝에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외부쪽의 끝에는 동전 유출부를 구비하여 수집부에 모인 동전이 관을 타고 이동하여 유출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개구부쪽에 무게중심이 있어 평상시에 개구부 쪽으로 기울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배출관; 및 동전지급기로부터 낙하한 동전을 모아 상기 동전배출관의 개구부로 이동시키도록 상부는 동전지급기를 향해 넓게 펼쳐져 있고 하부는 동전배출관의 내부쪽 끝단에 구비된 개구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대기형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전배출구 {Coin reject ope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버스, 자동판매기, 동전 교환기 등에서 사용되는 동전 지급장치의 동전 배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 자동판매기 등에서는 신속한 잔돈 지급 및 수령이 필요하기 때문에 동전으로 잔돈을 지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동전지급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통상의 동전지급장치는 전면 하단에 개구되는 동전배출구를 포함한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단에는 해당 금액에 맞는 동전을 지급하는 동전지급기가 장착되어 있고, 하단의 동전배출구 후면에는 동전배출함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통상의 동전지급장치는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동전 지급기에서 지급된 동전이 낙하하여 하단의 동전배출함에 적재되면, 사용자가 동전배출구에 손을 넣어 바닥에 있는 동전을 쓸어 담아가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전지급장치의 배출구에 개폐커버를 구비하거나 배출구 하단을 곡선으로 만들어 동전을 쓸어 담기에 편리하게 만든 동전지급장치가 있고, 공개 특허 제10-2008-0049390호와 같이 전기장치로 상기 개폐커버의 개폐를 조절하는 식의 개량된 동전지급기들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동전지급장치들은 모두 바닥에 떨어져 있는 동전을 쓸어 담아야 하는 방식으로 납작한 형상의 동전을 누락 없이 신속하게 수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전들이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고, 사용자의 손으로 바로 배출되도록 동전배출관을 구비하여, 사용자들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동전을 수취할 수 있도록 하는 동전지급장치의 동전배출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동전지급장치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주름을 구비한 수집부를 포함하고 있어, 기존 동전지급장치의 사이즈에 무관하게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동전배출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동전지급장치의 동전 배출구에 있어서, 상기 동전 배출구에 회전축으로 고정되어 상하로 회동되고, 동전 배출구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어지며, 동전 배출구의 내부쪽의 끝에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외부쪽의 끝에는 동전 유출부를 구비하여 개구부에 모인 동전이 관을 타고 이동하여 유출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개구부쪽에 무게중심이 있어 평상시에 개구부 쪽으로 기울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배출관 및 동전지급기로부터 낙하한 동전을 모아 상기 동전배출관의 개구부로 이동시키도록 상부는 동전지급기를 향해 넓게 펼쳐져 있고 하부는 동전배출관의 내부쪽 끝단에 구비된 개구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대기형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수집부는 낙하하는 동전이 누락되지 않고 잘 모이도록 상부가 넓은 깔대기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존의 동전지급장치의 사이즈에 무관하게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주름을 구비하고 있어 사이즈가 큰 동전지급장치에 설치할 경우에는 수집부의 넓은 상단이 기존의 동전지급장치의 동전지급기의 사이즈에 맞도록 주름을 펴서 설치를 하고, 사이즈가 작은 동전지급장치에 설치할 경우에는 주름을 접어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동전을 누락 없이 손쉽게 수취할 수 있어 버스에서는 버스의 정차시간을 단축하고, 교통안전에 이바지하며, 자동판매기 등의 경우에도 물건의 구매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기존의 동전지급장치에서와 같이 동전 배출구 하단 바닥을 손으로 쓸지 않아도 되어 공중 위생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기존의 동전지급장치에 그대로 추가 설치가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전배출구의 상단에 동전지급기가 결합된 동전지급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2는 도1의 동전지급장치 중 본 발명에 따른 동전 배출구를 잘 나타내기 위하여 동전 배출구의 내부를 나타낸 것으로 평상시에 동전 배출관이 동전 배출구의 내부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3은 도1의 동전지급장치 중 본 발명에 따른 동전 배출구를 잘 나타내기 위하여 동전 배출구의 내부를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가 동전을 받기 위해 동전 배출관을 유출부쪽으로 기울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동전지급장치의 동전 배출구는 상기 동전 배출구에 회전축으로 고정되어 상하로 회동되고, 동전 배출구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어지며, 동전 배출구의 내부쪽의 끝에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외부쪽의 끝에는 동전 유출부를 구비하여, 개구부에 모인 동전이 관을 타고 이동하여 유출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개구부쪽에 무게중심이 있어 평상시에 개구부 쪽으로 기울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배출관 및 동전지급기로부터 낙하한 동전을 모아 상기 동전배출관의 개구부로 이동시키도록 상부는 동전지급기를 향해 넓게 펼쳐져 있고 하부는 동전배출관의 내부쪽 끝단에 구비된 개구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대기형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배출구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동전 배출구가 결합된 동전지급장치는 통상의 동전 지급기를 비롯한 다양한 지급기(100)가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지급기에서 지급된 동전은 하부로 낙하하게 되는데, 이때 깔대기형 수집부(30)를 통해 한곳으로 모여 동전배출관(10)의 개구부(11)에 적재되어 있게 된다. 사용자가 동전배출관(10)을 유출부(12)쪽으로 기울이면 개구부(11)에 적재되어 있던 동전이 관을 타고 유출부(12)쪽으로 이동하여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손으로 안착하게 된다. 사용자가 동전을 수취하고 손을 떼면 무게 중심으로 인하여 동전 배출관은 다시 자연스럽게 개구부(11)쪽으로 기울여 지게 된다.
상기 동전 배출관(10)은 사용자가 손을 대기 전에 동전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11)쪽으로 경사지게 결합 되어 있는 것이 좋으며, 이를 위해 회전축(20)을 중심으로 개구부(11)의 길이를 유출부(12)보다 길게 하거나, 개구부(11) 부분에 무게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11)의 상단에 있는 구멍의 사이즈가 유출부(12)의 하단에 위치한 구멍보다 작을 경우 자연스럽게 개구부(11)의 부피가 유출부(12)의 부피보다 크게 되어 길이를 다르게 한다거나 추가의 무게중심추를 결합하지 않더라도 경사를 만들 수 있다.
한편, 상기 동전 배출관(10)은 속이 빈 관이기만 하면 그 형태는 불문하나, 원형관의 형태인 것이 동전이 관을 타고 이동하기에 효과적이다.
상기 회전축(20)은 동전 배출관(10)이 상하로 부드럽게 이동하면서도 동전 배출관(10)이 동전 배출구로 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안정감 있게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동전 배출관(10)을 관통하여 동전배출구에 결합 되어 있을 수도 있고, 동전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동전 배출관(10)의 외부에 2개의 짧은 축이 결합되고, 내부에는 가상의 축을 형성하는 식으로 결합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동전 배출관(10)의 내부쪽 상단에 구비된 개구부(11)는 개구부(11)의 상단에 위치한 수집부(30)의 하단에 구비된 구멍과 대응되어 낙하하는 동전이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집부(30)를 통해 개구부(11)로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수집부(30)하단의 구멍은 상기 개구부(11)보다 작은 사이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동전 배출관(10)의 유출부(12)는 사용자가 손바닥을 기울이지 않더라고 동전을 편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단을 뚫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동전지급기
110: 동전 배출구
10: 동전배출관
11: 개구부
12: 유출부
20: 회전축
30: 수집부

Claims (3)

  1. 동전지급장치의 동전 배출구에 있어서,
    상기 동전 배출구에 회전축으로 고정되어 상하로 회동되고, 동전 배출구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어지며, 동전 배출구의 내부쪽의 끝에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외부쪽의 끝에는 동전 유출부를 구비하여 개구부에 모인 동전이 관을 타고 이동하여 유출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개구부쪽에 무게중심이 있어 평상시에 개구부 쪽으로 기울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배출관; 및
    동전지급기로부터 낙하한 동전을 모아 상기 동전배출관의 개구부로 이동시키도록 상부는 동전지급기를 향해 넓게 펼쳐져 있고 하부는 동전배출관의 내부쪽 끝단에 구비된 개구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대기형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배출구.
  2. 제1항의 동전배출구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세로로 주름을 구비하고 있어 사이즈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배출구.
  3. 제1항의 동전배출구에 있어서,
    상기 동전 배출관의 유출부는 관의 하단이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배출구.
KR1020160060578A 2016-05-18 2016-05-18 동전 배출구 KR101851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578A KR101851333B1 (ko) 2016-05-18 2016-05-18 동전 배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578A KR101851333B1 (ko) 2016-05-18 2016-05-18 동전 배출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051A KR20170130051A (ko) 2017-11-28
KR101851333B1 true KR101851333B1 (ko) 2018-04-23

Family

ID=6081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578A KR101851333B1 (ko) 2016-05-18 2016-05-18 동전 배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3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2636B2 (ja) 1990-07-31 1998-11-11 富士電機株式会社 硬貨搬送リフター
JP2000137845A (ja) 1998-11-04 2000-05-16 Shuko Electronics Co Ltd コイン等の払い出し装置
KR200334477Y1 (ko) 2003-09-06 2003-11-28 주식회사 네오테크 주화 출금장치용 출금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2636B2 (ja) 1990-07-31 1998-11-11 富士電機株式会社 硬貨搬送リフター
JP2000137845A (ja) 1998-11-04 2000-05-16 Shuko Electronics Co Ltd コイン等の払い出し装置
KR200334477Y1 (ko) 2003-09-06 2003-11-28 주식회사 네오테크 주화 출금장치용 출금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051A (ko)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9213B2 (en) Automatic coin aligning apparatus and method
AU725879B2 (en) Process for operating a cash register terminal and cash register terminal
JP5147496B2 (ja) 遊技台の計数ユニット
JP2018511540A (ja) 通過装置、バルブ、これらを具備する収容器具、および内容物移動器具
CN202247395U (zh) 滚筒式洗衣机
KR101851333B1 (ko) 동전 배출구
US3175669A (en) Device for vending cylindrical objects
CN106683256A (zh) 多自由度硬币分拣装置
EP2920347B1 (en) A laundry washing and/or drying machine with a steam generator
JP2003181071A (ja) パチンコ遊技機の補給タンク機構
US3095997A (en) Device for vending cylindrical objects
JP4416092B1 (ja) 回胴式遊技機
WO2003022121A1 (en) A household appliance
EP2102404B1 (en) A washer/dryer
JP2002292048A (ja) パチンコ機
JP4218227B2 (ja) 遊技機
JP2005198769A (ja) パチンコ機の賞球払出機構
JP2005245794A (ja) 回胴式遊技機
ES2246649B1 (es) "dispositivo dosificador de productos molidos".
CN210222923U (zh) 柜式饮料现调机
US2509836A (en) Weighing and packaging apparatus
JP3022864U (ja) 移動型パチンコ玉計数器
CN210930910U (zh) 柜式饮料现调机出杯装置
US3445040A (en) Spillage collecting dispensers for powders and the like
JP2006289186A (ja) コイン精米機の白米詰まり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