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201B1 - 통신 시스템에서 손상된 무선 접속의 핸들링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손상된 무선 접속의 핸들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201B1
KR101851201B1 KR1020147019729A KR20147019729A KR101851201B1 KR 101851201 B1 KR101851201 B1 KR 101851201B1 KR 1020147019729 A KR1020147019729 A KR 1020147019729A KR 20147019729 A KR20147019729 A KR 20147019729A KR 101851201 B1 KR101851201 B1 KR 101851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content
damage
impairment
abando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9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3952A (ko
Inventor
페이 샹
헤수 후앙
루카이 카이
칼레드 헬미 엘-마레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13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30Network data restoration; Network data reliability; Network data fault tole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서비스 중단이 보다 훌륭하게 핸들링될 수 있도록 최종-사용자 휴대용 디바이스들과의 미래 접속해제들 또는 다른 접속 손상들을 예측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관련 기술들 및 장치들이 개시된다. 시스템은, 디바이스의 현재 GPS 위치, 그것의 이동의 방향 및 속도, 사용자 캘린더, 사용자 습관들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와 연관된 사용자-사용 정보, 및 시각, 날씨 조건들, 또는 무선 네트워크 커버리지 맵들과 같은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의 손실을 예측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제시되는 콘텐츠를 변경하기 위해 손상 핸들링 방법이 선택된다. 손상 핸들링 방법은, 손상의 발생 동안 콘텐츠가 변경되도록 무선 접속의 손상을 검출시에 시스템에 의해 실행된다. 손상의 사용자-지각 효과를 완화하기 위해 콘텐츠의 변경이 행해진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손상된 무선 접속의 핸들링{HANDLING IMPAIRED WIRELESS CONN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드롭되거나 그 외에 손상된 무선 접속들의 개선된 핸들링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디지털 세상에서는, 사용자들은 클라우드 서비스, 다른 사람 또는 브로드캐스팅 네트워크와 "접속되는" 때, 즉, 무선으로 통신할 때, 많은 활동들을 즐길 수 있다. 이러한 접속들이 원하지 않는 시간에 드롭되거나 중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즐거움은 고통받을 수도 있다.
이 요약은 모든 고려되는 실시형태들의 광범위한 개요가 아니고, 모든 실시형태들의 키 또는 결정적 엘리먼트들을 식별하려는 의도도 아니고 임의의 또는 모든 실시형태들의 범위를 기술하려는 의도도 아니다. 그것의 목적은 나중에 제시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두로서 단순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들의 몇몇 개념들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것은, 무선 서비스 접속해제들을 예측하고 그러한 접속해제들이 발생하는 경우에 어떤 에러 핸들링 (handling) 방법들을 선택하고 실행하기 위해, 사용자-사용 데이터, 환경 데이터, 네트워크 데이터, 및/또는 로케이션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술들이다. 각 에러 핸들링 방법은 접속 중단의 효과들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시되고 있는 콘텐츠를 변경한다.
기술들의 일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시 (present) 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콘텐츠는 무선 접속 (wireless connection) 을 통해 휴대용 디바이스에 전달된다. 시스템은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자 사용에 기초하여, 무선 접속의 미래의 일시적인 손상 (future temporary impairment) 을 예측하도록 구성된다. 그 예측의 결과로서, 프로세서는 그 다음, 손상의 예측된 기간 동안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제시되는 콘텐츠를 변경한다.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콘텐츠를 제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콘텐츠는 무선 접속을 통해 휴대용 디바이스에 전달된다. 시스템은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자 사용에 기초하여, 무선 접속의 미래의 일시적인 손상을 예측하는 수단, 및 그 예측된 손상 동안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제시되는 콘텐츠를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의 셋트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콘텐츠를 제시하기 위한 코드를 저장한다. 콘텐츠는 무선 접속을 통해 휴대용 디바이스에 전달된다. 매체는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자 사용에 기초하여, 무선 접속의 미래의 일시적인 손상을 예측하기 위한 코드, 및 예측된 손상 동안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제시되는 콘텐츠를 변경하기 위한 코드를 저장한다.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일시적으로 손상된 무선 접속을 핸들링하는 방법은,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콘텐츠를 제시하는 단계로서, 콘텐츠는 무선 접속을 통해 휴대용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상기 콘텐츠를 제시하는 단계;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자 사용에 기초하여, 무선 접속의 미래의 일시적인 손상을 예측하는 단계; 및 손상을 예측하는 것의 결과로서, 손상 동안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제시되는 콘텐츠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이하의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의 검토 시에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이하, '당업자' 라 함) 에게 있어 명백하거나 명백해질 것이다. 모든 이러한 추가적인 특징들, 양태들, 및 이점들은 이 설명 내에 포함되고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보호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면들은 오직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서의 컴포넌트들은 반드시 축척에 맞을 필요는 없는 것이며, 대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 및 디바이스들의 원리들을 나타냄에 있어 강조점이 놓인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다른 도면들 전체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들을 지정한다.
도 1 은 휴대용 디바이스가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그것의 접속을 상실하는 예시적인 무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 는 손상된 무선 접속을 예측 및 핸들링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예시적인 동작 시나리오에서 음성 신호를 시간 워핑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타임라인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5 는 도 4 와 함께 설명된 드롭된 무선 접속을 핸들링하는 제 1 예시적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도 4 와 함께 설명된 드롭된 무선 접속을 핸들링하는 제 2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 은 2 개의 도시들 사이에서의 자동차 여행 동안 무선 브로드캐스트의 손실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무선 브로드캐스트의 손실을 핸들링하는 제 1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9 는 도 7 의 무선 브로드캐스트의 손실을 핸들링하는 제 2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0 은 위성 브로드캐스트의 손실을 핸들링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 은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무선 접속들의 일시적인 손상들을 예측 및 핸들링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특정 컴포넌트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고 통합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하나 이상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들을 설명하고 예시한다. 한정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예시 및 교시하기 위해 제공된 이들 실시형태들은 당업자가 청구물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충분히 상세하게 도시되고 설명된다. 따라서, 간략함을 위해, 설명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어떤 정보는 생략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이라는 단어는 이 개시 전체에 걸쳐서 "예, 경우,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에서 설명된 어떤 것도 반드시 다른 접근법들 또는 특징들에 비해 선호되거나 이로운 것으로서 해석될 필요는 없다.
일반적으로, 이 개시는, 서비스 장애가 보다 우아하게 (gracefully) 핸들링될 수 있도록 최종-사용자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접속해제를 미리 예측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과 관계가 있다. 시스템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현재 GPS 위치, 그것의 이동 방향 및 속도, 시각, 날씨 조건들, 무선 네트워크 커버리지 맵들 (coverage maps), 이벤트들의 사용자 캘린더, 사용자 습관들 등과 같은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의 손실을 예측한다. 서비스의 예측된 손실은 그것이 실제로 발생하기 단지 수초 전에 발생할 수도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들은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 들, 스마트 폰들, 퍼스널 컴퓨터들, 엔터테인먼트 시스템들, 셀룰러 폰들, 비디오 게임 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손실이 실제로 일어나기 전에, 시스템은 지능적으로 접속 에러를 어떻게 핸들링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손실이 존재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 길이에 따라 수개의 방식들 중 하나로 그것을 핸들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1) 오류가 발생한 통신 신호를 뮤팅 (muting) 하는 것; 2) 손실 구간이 충분히 짧은 경우에는, 그 손실 구간을 커버하도록 신장시키기 위해 미디어 신호 (음성 및/또는 오디오) 를 시간 워핑하는 것; 3) 대안적인 엔터테인먼트 또는 광고 정보를 삽입하는 것; 및/또는 4) 사용자에게 서비스의 임박한 손실 및 서비스의 예측되는 복귀를 경고하기 위해 손실이 발생하기 전에 경고 경보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에러를 핸들링할 수도 있다.
에러 핸들링 방법 3) 에 있어서, 삽입된 필러 (filler) 콘텐츠는, 예를 들어, 시스템이 사용자의 서비스의 손실을 예상한 결과로서 클라우드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휴대용 사용자 디바이스에 사전-저장되고 다운로드될 수 있다. 다운로드는 손실이 실제로 발생하기 바로 전에 일어날 수도 있고, 또는, 콘텐츠가 사용자 동작 이전에 휴대용 디바이스 상으로 사전-로딩될 수도 있다.
개선된 에러 예측 및 핸들링 프로세스들 및 시스템들의 예들은 일반적으로 여기에 포함된 도면들에서 도시된다. 이들 방법들 및 시스템들은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시스템 자원을 지능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직접 해결한다. 드롭된 무선 접속을 야기할 수도 있는 가능한 접속 에러들을 선제적으로 예측하고, 그 다음, 손실된 접속의 은닉/교정 (concealment/correction) 을 적절하게 핸들링하는 것은 중대한 향상이다.
도 1 은 휴대용 디바이스 (14) 가 무선 네트워크 (12) 에 대한 그것의 접속을 상실하는 예시적인 무선 시스템 (10) 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 (14) 는 제 1 로케이션 (location) 에 있는 동안 무선 네트워크 (12) 에 대한 무선 주파수 (radio frequency; RF) 접속을 유지한다. 휴대용 디바이스 (14) 가 제 2 로케이션으로 이동할 때, 무선 접속이 손실되고, 디바이스 (14) 는 네트워크 (12) 로부터 접속해제된다. 접속해제 (disconnection) 는, 무선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coverage) 영역의 범위 밖으로의 이동, 또는, 예를 들어 언덕들 또는 산들, 빌딩들 및/또는 다른 구조들과 같은, 접속의 RF 신호들을 차단 또는 약화시키는 물리적인 장애물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이유들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다. 접속 손상 (connection impairment) 은 또한, 서비스 중단 (outage) 또는 드롭된 (dropped) 접속을 야기하는 날씨 조건들 또는 네트워크 동작 조건들과 같은, 디바이스 (14) 의 이동에 의해 야기되지 않는 다른 이유들로 인해 일어날 수도 있다.
이하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시스템 (10) 은, 접속 중단이 보다 우아하게 핸들링될 수 있도록, 미리 휴대용 디바이스 (14) 와의 접속해제를 예측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는 손상된 무선 접속들을 예측하고 핸들링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 (50) 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시스템 (50) 은 도 1 의 무선 통신 시스템 (10) 에 포함될 수도 있다. 시스템 (50) 은 하나 이상의 센서들 (53) 로부터의 센서 데이터 및 하나 이상의 데이터 소스들 (55) 로부터 다양한 유형들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서 및 데이터 획득 블록 (52) 을 포함한다. 시스템 (50) 은 또한, 접속 에러 예측 엔진 (connection error prediction engine; CEPE) (54), 손상 핸들링 방법 선택 블록 (56), 손상 핸들링 방법들 (58), 대안적인 콘텐츠 렌더링 (rendering) 엔진 (60), 로컬 콘텐츠 저장부 (62), 외부 콘텐츠 저장부 (64), 및 하나 이상의 제시 (presentation) 디바이스들 (66) 을 포함한다.
데이터 소스 (55) 는, 휴대용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환경, 이동의 방향, 이동의 속도, 네트워크 커버리지 맵 (map) 정보, 날씨 등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소스 (55) 는 저장 디바이스들 및 휴대용 디바이스 상에 로컬로 및/또는 네트워킹된 서버들 상에 원격으로 이러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그들의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들 (53) 은 휴대용 디바이스의 GPS 좌표들, 시각 (time of day), 무선 접속 강도 등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들 (53) 은 GPS 위성들과 통신하기 위해 휴대용 디바이스에 포함된 GPS 모듈, 및/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에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고, 여기서, 에어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와의 무선 채널들의 강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데이터는 센서 및 데이터 획득 블록 (52) 에 의해 주기적으로 수집되고, 그 다음, CEPE (54) 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융합을 통해 이용하기 위해 놓인다. 휴대용 디바이스에 관한 속도 정보는 센서들 (53) 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미리정의된 기간 (period of time) 에 걸쳐 블록 (52) 에 의해 수집된 GPS 좌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 블록 (52) 에 의해 계산될 수도 있다.
CEPE (54) 는 센서 및 데이터 획득 블록 (52) 에 의해 CEPE 에 제공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휴대용 디바이스의 무선 접속에 대한 미래 손상들을 예측한다. CEPE (54) 는, 손상의 심각도, 예를 들어, 접속의 완전한 손실 대 중간정도로 열화된 신호 품질, 및 예측된 시작 시간 및 손상의 지속기간 (duration) 을 계산할 수도 있다.
무선 서비스의 일시적인 손실 (temporary loss) 의 예측은, GPS 로케이션, 휴대용 디바이스의 이동의 속도 및 방향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대안적으로, 예측은 캐리어 네트워크 커버리지 맵, 시각, 지역 날씨 조건들, 지역 트래픽 (traffic) 조건들, 검출된 신호 강도 및/또는 기타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대안적으로, 예측은 사용자 커뮤니티 (user community) 로부터 클라우드 (cloud) (예를 들어, 페이스북 또는 다른 소셜 네트워크) 로 업로드된 로케이션 태그들 (location tags) 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태그들은 열악한 신호 수신을 갖는 위치들을 식별할 수도 있다. 각 태그는 GPS 좌표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열악한 신호 수신을 갖는 것으로서 위치를 보고하는 커뮤니티 사용자들의 수에 따라 가중될 수도 있다. 태그들은 커뮤니티 멤버의 휴대용 디바이스 상으로 주기적으로 푸시 (push) 될 수도 있다.
전술한 데이터 및 정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이 CEPE (54) 에 의해 접속 손상들을 예측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예상되는 손상의 예측된 타이밍, 심각도 및 지속기간은 손상 핸들링 방법 선택 블록 (56) 으로 패스된다. CEPE (54) 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 블록 (56) 은, 접속 손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될 때 실행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핸들링 방법들 (58) 을 선택한다. 손상 (에러) 핸들링 방법들은, 1) 사용자의 현재 통신 세션의 콘텐츠를 시간 워핑 (time warping) 하는 것; 2) 필러(filler)/대안적인 콘텐츠를 삽입하는 것; 3) 서비스의 임박한 손실의 사용자 경고를 제공하는 것; 4) 손실 구간 동안 콘텐츠 신호를 뮤팅 (muting) 하는 것; 또는 전술한 핸들링 방법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콘텐츠 시간 워핑은 예를 들어 손실 기간이 미리정의된 지속기간 미만일 때에만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콘텐츠는 그 콘텐츠에 대응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신장 또는 수축시킴으로써 시간-워핑된다. 특히, 시간-워핑은, 손상이 은닉되어야 하는 기간과 정렬시키기 위해 콘텐츠와 연관된 오디오 및/또는 시각적 신호의 시간 축을 신장 또는 수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시간 워핑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콘텐츠에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기술이고, 시간 워핑을 수행하기 위한 내장된 소프트웨어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선택된 손상 핸들링 방법이 접속 장애 구간 동안 대안적인 또는 필러 콘텐츠를 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콘텐츠는 대안적인 콘텐츠 렌더링 블록 (60) 에 의해 사용자 휴대용 디바이스 상에 제시하기 위해 렌더링될 수 있다. 콘텐츠 렌더링 블록 (60) 은, 휴대용 디바이스 내에 위치될 수도 있는 로컬 콘텐츠 저장 소스 (62) 로부터, 또는 외부 콘텐츠 저장 소스 (64) 로부터 콘텐츠를 취출 (retrieve) 할 수 있다. 외부 콘텐츠 저장 소스 (64) 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의 일부로서 포함되는 서버일 수 있다.
대안적/필러 콘텐츠는, 무선 서비스의 임박한 손실을 예측시, 하지만 실제로 서비스를 상실하기 전에, 외부 콘텐츠 소스 (64) 로부터 휴대용 사용자 디바이스 상으로 대안적으로 푸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대안적으로, 필러 콘텐츠는 휴대용 디바이스 상으로 사전-로딩될 수 있다.
선택된 손상 핸들링 방법은 그 다음, 손상의 예측된 시간에서 시스템 (50) 에 의해 실행된다. 선택된 핸들링 방법의 출력은 사용자의 휴대용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제시 디바이스들 (66) 에 제공된다. 선택된 핸들링 방법은 접속 장애의 효과들을 마스크 (mask) 또는 은닉 (conceal) 하기 위해 제시 디바이스(들) (66) 상에 현재 제시되고 있는 콘텐츠를 변경한다. 콘텐츠는 디지털로 표현될 수 있는 오디오 및/또는 시각적 정보를 포함한다. 어떤 구성들에서, 선택된 손상 핸들링 방법은 이러한 콘텐츠를 표현하는 디지털 신호들을 조작함으로써 콘텐츠를 변경한다. 제시 디바이스들 (66) 은 시각적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피커들 또는 헤드폰들과 같은 오디오 출력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 은 도 2 의 시스템 (50) 을 동작시키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 (100) 를 나타낸다. 블록 102 에서, 센서(들) 및 데이터 소스(들)은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 손상을 예측하는 것에 관련된 데이터를 취출하기 위해 쿼리 (query) 된다.
블록 104 에서, 미래 접속 장애 (손상) 의 가능성이 그 취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접속 장애는, 예를 들어 휴대용 디바이스의 이동의 계산된 방향 및 속도 및 무선 네트워크 커버리지 맵에 대한 그것의 비교에 기초하여 예측될 수 있다.
결정 블록 106 에서, 미래 접속 손상이 임박 (imminent) 하였는지 여부에 관한 체크 (check) 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커버리지 맵에 대한 휴대용 디바이스 속도의 비교에 기초하여, 시스템은 손상의 발생 시간을 예측하고 그것의 지속기간을 추정할 수 있다. 예측된 발생 시간은 임계치에 대해 비교될 수 있고, 장애가 임계치에 의해 특정된 시간 내에 발생하는 경우, 손상은 임박한 것으로 결정된다. 손상이 임박하지 않은 경우, 방법은 박스 102 로 돌아간다. 하지만, 접속 손상이 예측되는 경우, 방법은 박스 108 로 진행한다.
박스 108 에서, 손상 핸들링 방법이 선택된다. 핸들링 방법은 접속 장애의 예측된 시작 시간 및/또는 지속기간에 따라 선택될 수도 있다. 핸들링 방법 선택은 또한 대안적인 콘텐츠 및/또는 사용자 입력들 및 셋팅의 이용가능성에 의존할 수도 있다. 도 2 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손상 핸들링 방법들은, 1) 사용자의 현재 통신 세션의 콘텐츠를 시간 워핑하는 것; 2) 필러/대안적인 콘텐츠를 삽입하는 것; 3) 서비스의 임박한 손실의 사용자 경고를 제공하는 것; 4) 손실 구간 동안 콘텐츠 신호를 뮤팅하는 것; 또는 전술한 핸들링 방법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결정 박스 110 에서, 외부 콘텐츠 데이터가 선택된 핸들링 방법에 의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체크가 이루어진다. 콘텐츠 데이터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콘텐츠 파일들과 같은 대안적인 필러 콘텐츠일 수도 있다. 외부 콘텐츠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방법은, 선택 핸들링 방법에 의해 요구될 수도 있는 임의의 로컬 콘텐츠를 취출하는 박스 114 로 진행한다. 하지만, 외부 소스로부터의 콘텐츠가 필요한 경우, 방법은 박스 112 로 진행하고, 콘텐츠는 하나 이상의 외부 소스들로부터 페치 (fetch) 된다.
박스 116 에서, 선택된 핸들링 방법은 접속 장애의 지각되는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손상의 예측된 시간에서 실행된다.
박스 118 에서, 핸들링 방법의 결과들 및 센서들 및 예측 데이터 소스들로부터의 판독들이 업데이트된다.
결정 박스 120 에서, 손상이 핸들링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체크가 이루어진다. 이것은 핸들링 방법의 실행 시작에서부터 경과된 시간을 체크하고 그것을 접속 손상의 예측된 지속기간에 대해 비교함으로써 행해질 수도 있다. 손상이 적절하게 핸들링되었다고 결정되는 경우, 방법은 박스 102 로 돌아간다. 하지만, 손상 핸들링 방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방법은 핸들링 방법의 실행을 계속하기 위해 박스 116 으로 돌아간다.
도 4 는 예시적인 동작 시나리오에서 음성 신호를 시간 워핑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타임라인 그래프 (150) 를 나타낸다. 그래프 (150) 는 휴대용 디바이스 A (152) 및 휴대용 디바이스 B (154) 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들을 묘사한다. 디바이스 A (152) 는 터널 (158) 을 통과하는 기차 (156) 에 의해 이동하고, 터널에서 그것의 무선 접속을 상실한다. 음성 신호 (160) 는, 손상 핸들링 방법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 디바이스 A (152) 에 의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나타낸다. 제 2 음성 신호 (162) 는, 기차 (156) 가 터널을 통과함에 따라, 손상 구간 t1-t2 를 커버하도록 신장하기 위해 음성 신호 (160) 를 시간 워핑한 결과로서 디바이스 A (152) 에 의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나타낸다. 제 3 음성 신호 (164) 는 제 2 디바이스 B (154) 에 의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나타낸다.
도 5 는 도 4 와 관련하여 설명된 드롭된 무선 접속을 핸들링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 (200) 를 나타낸다. 박스 202 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용 디바이스 A (152) 와 휴대용 디바이스 B (154) 사이에 호 (call) 가 확립된다. 박스 204 에서, 양 휴대용 디바이스 A 및 B (152, 154) 의 위치 및 속도가 양 디바이스들에 대한 GPS 좌표 데이터로부터 계산될 수도 있다.
박스 206 에서, CEPE 는, 디바이스 A (152) 가 미래 시간에, 예를 들어 시간 t1 에서 10 초 내에, 터널에 진입할 것이라고 결정한다. CEPE 는 추가로, 디바이스 A (152) 가 특정 지속기간, 예를 들어 t2 까지 3 초 동안 터널 내에 남을 것이라고 결정한다. 이들 결정들은, 디바이스 A (152) 에 대해 계산된 위치 및 속도를 그것의 현재 위치에서 디바이스 A (152) 를 둘러싸는 지형 및 특징들의 저장된 디지털화된 지리적 맵에 대해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CEPE 는 또한, 디바이스들 A 및 B 사이의 무선 접속이 시간 t1 과 t2 사이에서 터널의 통과 동안 손실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박스 208 에서, 손상 핸들링 방법은 디바이스들 A 및 B 사이의 손실된 무선 접속을 다루기 위해 선택된다. 이 경우에, 시간 워핑은 터널을 통과하는 경로 동안 손실된 접속의 효과를 완화하기 위해 선택된다.
박스 210 에서, 예측된 접속 손실 전의 시간, 시간 t0, 예를 들어 터널에 진입하기 5 초 전에, 디바이스 A (152) 는 그것의 음성 신호를 워핑하여 시간 t1 에서 t2 로 신장시킨다. 이것은 도 4 의 신장 음성 신호 (162) 에 의해 나타난다.
박스 212 에서, 디바이스 A 및 B (152, 154) 사이의 호는 기차가 터널들을 통과함에 따라 시간 t1 에서 t2 까지 드롭된다. 이 구간 동안, 디바이스 A (152) 에서의 사용자는 느리게 된, 신장된 음성 신호 (162) 를 듣는다. 시간 t2 에서, 무선 시스템은 디바이스 A 및 B 사이에 호를 자동으로 재접속한다. 박스 214 에서, 호는 종결된다.
도 6 은 도 4 와 관련하여 설명된 드롭된 무선 접속을 핸들링하는 제 2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 (250) 를 나타낸다. 박스 252 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용 디바이스 A (152) 와 휴대용 디바이스 B (154) 사이에 호가 확립된다. 박스 254 에서, 양 휴대용 디바이스 A 및 B (152, 154) 의 위치 및 속도가 양 디바이스들에 대한 GPS 좌표 데이터로부터 계산될 수도 있다.
박스 256 에서, CEPE 는, 디바이스 A (152) 가 미래의 시간에, 예를 들어 시간 t1 에서 10 초 내에 터널에 진입할 것이고 시간 t2 까지 60 초 동안 터널 내에 머무를 것이라고 결정한다. 이들 결정들은 현재 로케이션에서 디바이스 A (152) 를 둘러싸는 지형 및 특징들의 저장된 디지털화된 지리적 맵에 대해 디바이스 A (152) 에 대해 계산된 위치 및 속도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CEPE 는 또한, 디바이스들 A 및 B 사이의 무선 접속이 시간 t1 과 t2 사이에서 터널의 통과 동안 손실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박스 258 에서, 손상 핸들링 방법은 디바이스들 A 및 B 사이의 손실된 무선 접속을 다루기 위해 선택된다. 이 경우에, 접속 손상의 지속기간이 음성 신호를 워핑하기에는 너무 길기 때문에, 터널을 통과하는 경로 동안 손실된 접속의 효과를 완화하기 위해 경보 메시지 플러스 대안적인 필러 콘텐츠가 선택된다.
박스 260 에서, 예측된 접속 손실 전의 시간, 예를 들어 터널에 진입하기 5 초 전에, 디바이스들 A 및 B (152, 154) 는, 사용자들에게 그들의 호가 곧 60초 동안 드롭될 예정이고 그 다음 자동적으로 재접속될 것이라는 것을 경고하는 경보 메시지 (alert message) 를 제시한다.
박스 262 에서, 대안적인 콘텐츠가 시간 t1 에서 시작하여 양 디바이스들 A 및 B 에서 제시된다.
박스 264 에서, 디바이스들 A 및 B (152, 154) 사이의 호는 기차가 터널들을 통과함에 따라 시간 t1 에서 t2 까지 드롭된다. 이 구간 동안, 디바이스들 A 및 B (152, 154) 에서의 사용자들은 필러 콘텐츠를 듣는다. 시간 t2 에서, 무선 시스템은 디바이스 A 및 B 사이에 호를 자동적으로 재접속시키고, 필러 콘텐츠는 중단된다. 박스 266 에서, 호가 종결된다.
도 7 은 2 개의 도시들 사이에서의 자동차 여행 동안 무선 브로드캐스트의 손실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는 제 1 도시 (도시 1) (304), 제 2 도시 (도시 2) (306), 및 제 1 도시 (304) 로부터 제 2 도시 (306) 까지 이동하는 차량을 갖는 예시적인 지리적 영역 (300) 을 나타낸다. 도시 1 (304) 에 위치한 제 1 라디오 스테이션, 예를 들어 제 1 FM 스테이션 FM1 은 제 1 브로드캐스트 커버리지 영역 (308) 에 걸쳐 브로드캐스트하고, 도시 2 (306) 에 위치한 제 2 라디오 스테이션, 예를 들어 제 2 FM 스테이션, FM2 는 제 2 브로드캐스트 커버리지 영역 (310) 에 걸쳐 브로드캐스트한다.
자동차 (302) 내의 사용자는 FM1 스테이션을 들으면서 그의/그녀의 여정을 시작할 수도 있다. 자동차 (302) 가 도시 1 로부터 멀리 이동함에 따라, FM1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신호는 약해지는 한편, FM2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신호는 점점 더 강해진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의 방향에 기초하여, 라디오 또는 TV 브로드캐스트 스테이션이 자동차 (302) 내의 무선 디바이스 상에서 점차 희미해질 때를 예측하기 위한 이 시나리오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소스 FM1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용자에 의해 야기된 약한 신호로 인해) 브로드캐스트 손실이 발생할 때, 무선 디바이스는, 1) 유사한 콘텐츠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있는 로컬 브로드캐스팅 스테이션, 예를 들어 FM2 로 대체; 또는 2) 약화된, 왜곡된 라디오 또는 TV 브로드캐스트 신호 대신에 디바이스에 저장된 원래 브로드캐스팅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사전-기록된 콘텐츠로 대체할 수 있다.
도 8 은, 도 7 의 무선 브로드캐스트 FM1 의 손실을 핸들링하는 제 1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 (350) 를 나타낸다. 이 방법은, 도 7 의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주어진 바와 같이, FM2 와 같은 대안적인 브로드캐스트 스테이션을 선택하는 것을 수반한다.
박스 352 에서, 운전자는 도시 1 로부터 도시 2 로 가는 자동차 (302) 에서 운전 여정을 시작한다. 박스 354 에서, CEPE 는, 사용자의 라디오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로컬 라디오 스테이션, FM1 을 청취하고 있다고 결정한다. 라디오는, 그것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 (flag) 및 라디오가 현재 동조되는 라디오 주파수를 나타내는 디지털 값을 CEPE 에 대해 이용가능하게 만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디지털 데이터 네트워킹 통신 또는 버스 방식이 사용자의 라디오로부터 CEPE 로 이러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박스 356 에서, CEPE 는 도시 1 로부터 도시 2 로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저장된 사용자 캘린더 및 GPS 데이터에 대해 쿼리한다. 사용자 캘린더는, 사용자가 특정 시간 및 날짜에 도시 2 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엔트리 (entry)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자동차의 이동의 위치 및 속도는 GPS 데이터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박스 358 에서, CEPE 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로, FM1 과의 브로드캐스트 접속이 미래의 어떤 시간에 심각하게 열화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이 예측은 계산된 사용자 속도 및 FM1 의 브로드캐스트 커버리지 영역의 저장된 맵에 기초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FM1 의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강도는, 브로드캐스트가 사용자의 관점에서 수용가능하지 않을 정도로 손상되게 될 때를 예측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박스 360 에서, FM1 과 자동차 (302) 에서의 휴대용 디바이스 사이의 열화된 브로드캐스트 접속을 다루기 위해 손상 핸들링 방법이 선택된다. 이 경우에, 이동 경로를 따른 동등의 대안적인 브로드캐스트 스테이션, FM2 가 브로드캐스트 손상의 예측된 시간에서 FM1 에 대해 대체하기 위해 선택된다. 대안적인 스테이션은, 그들의 프로그래밍 유형, 위치, 브로드캐스트 전력, 브로드캐스트 주파수, 커버리지 맵 등과 같은 브로드캐스트 스테이션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안적인 스테이션은, 유사한 프로그래밍을 갖는 새로운 로컬 스테이션을 선택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레코드들에서 표시된 프로그래밍 유형을 현재 들리는 스테이션의 것에 대해 매칭시키고 그 다음 데이터베이스 내의 커버리지 맵 레코드들과 사용자의 GPS 좌표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박스 362 에서, 새로운 브로드캐스트 스테이션, FM2 는 제 1 브로드캐스트 신호가 손실되는 예측된 시간에서 휴대용 디바이스 상에서 페이드인 (fade in) 된다.
결정 박스 364 에서, 사용자가 다른 브로드캐스트 스테이션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체크가 이루어진다. 만약 그렇지 않은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는, 디바이스가 턴오프될 때 (예를 들어, 목적지에 도달할 때, 박스 366) 까지, 대체된 브로드캐스트를 제시하는 것을 계속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새로운 스테이션을 선택하여야 하는 경우, 방법은 박스 354 로 돌아간다.
도 9 는, 도 7 의 무선 브로드캐스트 FM1 의 손실을 핸들링하는 제 2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 (400) 를 나타낸다. 이 방법은, FM1 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들의 수신을 종결하는 것 및 FM1 브로드캐스트에 대해, 로컬로 저장된, 사전-기록된 콘텐츠로 대체하는 것을 수반한다.
박스 402 에서, 운전자는 도시 1 로부터 도시 2 로 가는 자동차 (302) 에서 운전 여정을 시작한다. 박스 404 에서, CEPE 는, 사용자가 특정 로컬 라디오 스테이션, FM1 을 청취하고 있다고 결정한다. 박스 406 에서, CEPE 는 도시 1 로부터 도시 2 로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저장된 사용자 캘린더 및 GPS 데이터에 대해 쿼리한다. 사용자 캘린더는, 사용자가 특정 시간 및 날짜에 도시 2 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엔트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자동차의 이동의 위치 및 속도는 GPS 데이터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박스 408 에서, CEPE 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로, FM1 과의 브로드캐스트 접속이 미래의 어떤 시간에 심각하게 열화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이 예측은 계산된 사용자 속도 및 FM1 의 브로드캐스트 커버리지 영역의 저장된 맵에 기초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FM1 의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강도는, 브로드캐스트가 사용자의 관점에서 수용가능하지 않을 정도로 손상되게 될 때를 예측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박스 410 에서, FM1 과 자동차 (302) 에서의 휴대용 디바이스 사이의 열화된 브로드캐스트 접속을 다루기 위해 손상 핸들링 방법이 선택된다. 이 경우에, 로컬로 저장된, 사전-기록된 콘텐츠가 브로드캐스트 손상의 예측된 시간에서 FM1 에 대해 대체하기 위해 선택된다. FM1 의 프로그래밍에 대해 유형 면에서 동등한 사전-기록된 콘텐츠가, 스테이션 프로그래밍 유형, 위치, 브로드캐스트 전력, 커버리지 맵 등과 같은 FM1 을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트 스테이션들에 관한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박스 412 에서, 사전-기록된 콘텐츠는 FM1 으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 신호가 손실되는 예측된 시간에서 휴대용 디바이스 상에서 페이드인된다.
도 10 은, 장애로 인한 위성 브로드캐스트와 같은 무선 접속의 손실을 핸들링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 (450) 이다. 박스 452 에서, CEPE 는, 차량에서의 라디오와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가 주차 구조물 또는 빌딩에 진입하는 것과 같이 특별한 이벤트로 인해 무선 커버리지를 상실하게 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한다. 박스 454 에서, 시스템은, 사용자가 현재 위성 브로드캐스트와 같은 무선 접속에 의해 콘텐츠를 수신하고 있다고 결정한다. 박스 456 에서, 손상 핸들링 방법은 손실된 접속을 다루기 위해 선택된다. 이 경우에, 손상 핸들링 방법은, 그러한 이벤트 전에 사용자에게 접속해제를 경고하는 경보를 제시하고, 그 다음,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브로드캐스트되는 신호를 뮤팅시킨다.
도 11 은, 휴대용 디바이스 (502) 와의 무선 접속 (501) 의 일시적인 손상들을 예측 및 핸들링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500) 의 특정 컴포넌트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시스템 (500) 은 도 1 내지 도 10 과 관련하여 설명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어느 것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500) 은 무선 네트워크 (504) 와 통신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502) 를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 (504) 는 서버 (520) 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506) 와 통신한다. 서버 (520) 는, 무선 네트워크 (504) 에 의해 휴대용 디바이스 (502) 에 다운로드될 수 있는 외부 콘텐츠 및/또는 다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DB) 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 (502) 는 무선 인터페이스 (508), 프로세서 (510), 사용자 인터페이스 (UI) (512) 및 메모리 (514) 를 포함한다. UI (512) 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사용자에게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해 오디오 사용자 인터페이스 (518) 및 시각적 디스플레이 (516) 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510) 는, 도 2 의 시스템 블록들 52-66 의 기능 및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방법 단계들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 (514) 에 저장된 프로그래밍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시스템들, 장치들, 디바이스들, 및 그들의 개별 컴포넌트들의 기능, 및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단계들 및 모듈들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펌웨어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들, 내장된 제어기들, 또는 IP 코어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디지털 회로들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의 셋트들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 코드 세그먼트들) 을 갖는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펌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될 수도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적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운반 또는 저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컴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고, 여기서, 디스크 (disk) 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 (disc) 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재생한다. 상기한 것들의 조합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특정 시스템들, 기술들, 및 방법들이 개시되었다. 이들 시스템들, 기술들, 및 방법들은 예들이고, 가능한 통합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 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이 가능하고,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원리들은 다른 시스템들에도 역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컴포넌트들 및/또는 방법 단계들/블록들이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구체적으로 개시된 것들 이외의 배열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형태들 및 변형들은 이들 교시들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항들은, 상기 명세 및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검토될 때 모든 이러한 실시형태들 및 변형들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52)

  1.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디바이스로서, 상기 콘텐츠는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및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자 사용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접속의 미래의 일시적인 손상을 예측하고;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심각성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심각성의 결정은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시작 시간 및 기간을 예측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심각성을 결정하는 것을 행하며;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심각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손상 핸들링 기법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손상 핸들링 기법들을 선택하고; 그리고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상기 기간 동안 사용자 경험에 대한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영향들을 완화하기 위해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상기 기간 동안 변경된 콘텐츠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제시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손상 핸들링 기법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커뮤니티로부터 클라우드로 업로드된 복수의 로케이션 태그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클라우드 서비스로서, 상기 로케이션 태그들의 각각은 열악한 신호 수신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를 식별하는,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로케이션 태그들에 기초하여 상기 미래의 일시적인 손상을 예측하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태그들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상으로 주기적으로 푸시하도록 구성된 서버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태그들의 각각은 열악한 신호 수신을 갖는 것으로 상기 위치를 보고하는 커뮤니티 사용자들의 수에 따라 가중되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손상의 지속기간을 추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하나의 손상 핸들링 기법에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상기 기간과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콘텐츠의 시간 축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상기 콘텐츠를 시간 워핑 (time warping) 함으로써 상기 콘텐츠가 변경되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손상 핸들링 기법에서, 상기 콘텐츠는 상기 손상 동안 원래의 콘텐츠와 유사한 대안적인 콘텐츠로 대체함으로써 변경되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안적인 콘텐츠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손상을 예측한 결과로서 외부 데이터 소스로부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상으로 푸시되는,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안적인 콘텐츠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상으로 사전-로딩되는,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안적인 콘텐츠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선택된 대안적인 소스에 의해 제 2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브로드캐스트되는,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손상 핸들링 기법에서, 상기 콘텐츠는 상기 손상 동안 상기 콘텐츠를 뮤팅 (muting) 함으로써 변경되는,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손상의 발생 전에 사용자에게 경보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는,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위치를 제공하는 GPS 좌표들, GPS 좌표들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해 계산된 이동의 속도 및 방향, 캐리어 네트워크 커버리지 맵, 시각, 지역 날씨 조건들, 지역 트래픽 조건들, 사용자 캘린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접속의 검출된 신호 강도, 및 전술한 데이터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래의 손상을 예측하는, 시스템.
  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일시적으로 손상된 무선 접속을 핸들링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콘텐츠를 제시하는 단계로서, 상기 콘텐츠는 상기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상기 콘텐츠를 제시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자 사용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접속의 미래의 일시적인 손상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심각성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심각성의 결정은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시작 시간 및 기간을 예측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심각성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심각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손상 핸들링 기법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손상 핸들링 기법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상기 기간 동안 사용자 경험에 대한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영향들을 완화하기 위해 상기 손상 동안 변경된 콘텐츠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제시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손상 핸들링 기법들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시적으로 손상된 무선 접속을 핸들링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클라우드 서비스로부터 복수의 로케이션 태그들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로케이션 태그들은 사용자 커뮤니티에 의해 클라우드로 업로드되고, 상기 로케이션 태그들의 각각은 열악한 신호 수신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를 식별하는, 상기 복수의 로케이션 태그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로케이션 태그들 및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자 사용에 기초하여 상기 미래의 일시적인 손상을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일시적으로 손상된 무선 접속을 핸들링하는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태그들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상으로 주기적으로 푸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일시적으로 손상된 무선 접속을 핸들링하는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열악한 신호 수신을 갖는 것으로 상기 위치를 보고하는 커뮤니티 사용자들의 수에 따라 상기 로케이션 태그들의 각각을 가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일시적으로 손상된 무선 접속을 핸들링하는 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의 지속기간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일시적으로 손상된 무선 접속을 핸들링하는 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를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상기 기간과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콘텐츠의 시간 축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상기 콘텐츠를 시간 워핑 (time warping)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시적으로 손상된 무선 접속을 핸들링하는 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손상 동안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대안적인 콘텐츠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시적으로 손상된 무선 접속을 핸들링하는 방법.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을 예측한 결과로서 외부 데이터 소스로부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상으로 상기 대안적인 콘텐츠를 푸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일시적으로 손상된 무선 접속을 핸들링하는 방법.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상으로 상기 대안적인 콘텐츠를 사전-로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일시적으로 손상된 무선 접속을 핸들링하는 방법.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0 항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의해 선택된 대안적인 소스에 의해 제 2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상기 대안적인 콘텐츠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일시적으로 손상된 무선 접속을 핸들링하는 방법.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손상 동안 상기 콘텐츠를 뮤팅 (muting)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시적으로 손상된 무선 접속을 핸들링하는 방법.
  2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의 발생 전에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에게 경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일시적으로 손상된 무선 접속을 핸들링하는 방법.
  2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래의 손상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위치를 제공하는 GPS 좌표들, GPS 좌표들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해 계산된 이동의 속도 및 방향, 캐리어 네트워크 커버리지 맵, 시각, 지역 날씨 조건들, 지역 트래픽 조건들, 사용자 캘린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접속의 검출된 신호 강도, 및 전술한 데이터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데이터에 기초하는, 일시적으로 손상된 무선 접속을 핸들링하는 방법.
  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콘텐츠를 제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콘텐츠는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상기 콘텐츠를 제시하는 수단;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자 사용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접속의 미래의 일시적인 손상을 예측하는 수단;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심각성을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심각성의 결정은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시작 시간 및 기간을 예측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심각성을 결정하는 수단;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심각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손상 핸들링 기법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손상 핸들링 기법들을 선택하는 수단; 및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상기 기간 동안 사용자 경험에 대한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영향들을 완화하기 위해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상기 기간 동안 변경된 콘텐츠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제시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손상 핸들링 기법들을 실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7 항에 있어서,
    클라우드 서비스로부터 복수의 로케이션 태그들을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로케이션 태그들은 사용자 커뮤니티에 의해 클라우드로 업로드되고, 상기 로케이션 태그들의 각각은 열악한 신호 수신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를 식별하는, 상기 복수의 로케이션 태그들을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로케이션 태그들 및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자 사용에 기초하여 상기 미래의 일시적인 손상을 예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태그들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상으로 주기적으로 푸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8 항에 있어서,
    열악한 신호 수신을 갖는 것으로 상기 위치를 보고하는 커뮤니티 사용자들의 수에 따라 상기 로케이션 태그들의 각각을 가중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31.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의 지속기간을 추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32. [청구항 3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수단은, 상기 콘텐츠를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상기 기간과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콘텐츠의 시간 축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상기 콘텐츠를 시간 워핑 (time warping)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33. [청구항 3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수단은, 상기 손상 동안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대안적인 콘텐츠를 제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34. [청구항 3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을 예측한 결과로서 외부 데이터 소스로부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상으로 상기 대안적인 콘텐츠를 푸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35. [청구항 3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상으로 상기 대안적인 콘텐츠를 사전-로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36. [청구항 3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3 항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의해 선택된 대안적인 소스에 의해 제 2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상기 대안적인 콘텐츠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37. [청구항 3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 동안 상기 콘텐츠를 뮤팅 (muting) 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38. [청구항 3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의 발생 전에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에게 경보를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39. [청구항 3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래의 손상을 예측하는 것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위치를 제공하는 GPS 좌표들, GPS 좌표들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해 계산된 이동의 속도 및 방향, 캐리어 네트워크 커버리지 맵, 시각, 지역 날씨 조건들, 지역 트래픽 조건들, 사용자 캘린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접속의 검출된 신호 강도, 및 전술한 데이터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데이터에 기초하는, 시스템.
  40. [청구항 4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의 셋트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콘텐츠를 제시하기 위한 코드로서, 상기 콘텐츠는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상기 콘텐츠를 제시하기 위한 코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자 사용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접속의 미래의 일시적인 손상을 예측하기 위한 코드;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심각성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로서, 상기 심각성의 결정은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시작 시간 및 기간을 예측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심각성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심각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손상 핸들링 기법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손상 핸들링 기법들을 선택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상기 기간 동안 사용자 경험에 대한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영향들을 완화하기 위해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상기 기간 동안 변경된 콘텐츠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제시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손상 핸들링 기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1. [청구항 4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0 항에 있어서,
    클라우드 서비스로부터 복수의 로케이션 태그들을 수신하기 위한 코드로서, 상기 로케이션 태그들은 사용자 커뮤니티에 의해 클라우드로 업로드되고, 상기 로케이션 태그들의 각각은 열악한 신호 수신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를 식별하는, 상기 복수의 로케이션 태그들을 수신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로케이션 태그들 및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자 사용에 기초하여 상기 미래의 일시적인 손상을 예측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2. [청구항 4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태그들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상으로 주기적으로 푸시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3. [청구항 4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1 항에 있어서,
    열악한 신호 수신을 갖는 것으로 상기 위치를 보고하는 커뮤니티 사용자들의 수에 따라 상기 로케이션 태그들의 각각을 가중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4. [청구항 4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의 지속기간을 추정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5. [청구항 4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일시적인 손상의 상기 기간과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콘텐츠의 시간 축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상기 콘텐츠를 시간 워핑 (time warping)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6. [청구항 4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 동안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대안적인 콘텐츠를 제시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7. [청구항 4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을 예측한 결과로서 외부 데이터 소스로부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상으로 상기 대안적인 콘텐츠를 푸시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8. [청구항 4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상으로 상기 대안적인 콘텐츠를 사전-로딩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9. [청구항 4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6 항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의해 선택된 대안적인 소스에 의해 제 2 무선 접속을 통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상기 대안적인 콘텐츠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50. [청구항 5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 동안 상기 콘텐츠를 뮤팅 (muting)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51. [청구항 5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의 발생 전에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에게 경보를 제공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52. [청구항 5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래의 손상을 예측하는 것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위치를 제공하는 GPS 좌표들, GPS 좌표들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해 계산된 이동의 속도 및 방향, 캐리어 네트워크 커버리지 맵, 시각, 지역 날씨 조건들, 지역 트래픽 조건들, 사용자 캘린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접속의 검출된 신호 강도, 및 전술한 데이터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데이터에 기초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47019729A 2011-12-19 2012-11-01 통신 시스템에서 손상된 무선 접속의 핸들링 KR101851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77613P 2011-12-19 2011-12-19
US61/577,613 2011-12-19
US13/665,621 2012-10-31
US13/665,621 US9578495B2 (en) 2011-12-19 2012-10-31 Handling impaired wireless conn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PCT/US2012/063047 WO2013095782A1 (en) 2011-12-19 2012-11-01 Handling impaired wireless conn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952A KR20140113952A (ko) 2014-09-25
KR101851201B1 true KR101851201B1 (ko) 2018-04-23

Family

ID=48611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9729A KR101851201B1 (ko) 2011-12-19 2012-11-01 통신 시스템에서 손상된 무선 접속의 핸들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78495B2 (ko)
EP (1) EP2795941B1 (ko)
JP (1) JP6073365B2 (ko)
KR (1) KR101851201B1 (ko)
CN (1) CN104012126B (ko)
WO (1) WO20130957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4104B2 (ja) * 2013-03-12 2018-02-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通信端末、対話提供方法
US10735408B2 (en) 2013-03-14 2020-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lication connection for devices in a network
US10284657B2 (en) * 2013-03-14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lication connection for devices in a network
US20140357226A1 (en) * 2013-05-29 2014-12-04 Kent S. Charugundla Zone Bas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9591095B2 (en) * 2014-03-10 2017-03-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fetching application data for periods of disconnectivity
DE102014104562A1 (de) * 2014-04-01 2015-10-01 Karlsruher Institut für Technologie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Konnektivitätsprognose und Zwischenspeicherung von mobilen Endgeräten
JP6340917B2 (ja) * 2014-05-23 2018-06-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文書管理プログラム、文書閲覧編集プログラム、文書管理装置、端末装置及び文書管理システム
US9420477B2 (en) * 2014-06-04 2016-08-16 Grandios Technologies, Llc Signal strength management
US20160088143A1 (en) * 2014-09-24 2016-03-24 Intel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graceful disconnection from a wireless docking station
US9973448B2 (en) 2015-02-25 2018-05-15 At&T Mobility Ii Llc Predictive cached buffer for communication devices
US9571624B2 (en) 2015-03-24 2017-02-14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terminating a docking sess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docking device
FR3058862B1 (fr) * 2016-11-15 2019-07-19 Red Technologies Sas Alerte de connectivite d'une carte d'environnement radio
US10367706B2 (en) * 2016-11-21 2019-07-3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tomatic identification of solutions for weather-related network impairments
US10772147B2 (en) * 2016-12-22 2020-09-08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nection attempt failure avoidance with a wireless network
JP6763311B2 (ja) * 2017-01-27 2020-09-30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無線通信システム
US10945141B2 (en) 2017-07-25 2021-03-0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content presentation
WO2019191565A1 (en) * 2018-03-30 2019-10-03 Rhapsody International Inc. Adaptive predictive caching systems and methods
US10757623B2 (en) 2018-11-27 2020-08-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gnitive analysis of temporal obstructions
CN110457781B (zh) * 2019-07-24 2022-12-23 中南大学 面向乘客舒适性的列车过隧道时长计算方法
CN115499775A (zh) * 2019-12-31 2022-12-20 北京骑胜科技有限公司 一种设备离线处理方法及装置
US11783332B2 (en) 2020-02-14 2023-10-10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secure card-based transactions
WO2021196117A1 (en) * 2020-04-02 2021-10-07 Qualcomm Incorporated Preloading application data based on network status prediction and data access behavior prediction
EP3933730A1 (en) * 2020-06-30 2022-01-05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Realtime selection of payment accou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47137A1 (en) * 2008-03-31 2009-10-01 Mina Awad Potential call drop indicato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1864A (en) 1996-05-20 1998-07-14 Metawave Communications Corporation Cellular system conditioner which overrides a disconnect for active radios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mobiles located in pre-identified territorial positions
US7203487B2 (en) 2002-04-22 2007-04-10 Intel Corporation Pre-notification of potential connection los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2004228851A (ja) 2003-01-22 2004-08-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システム
US8295838B2 (en) * 2004-11-19 2012-10-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service drop in a wireless network
JP4371272B2 (ja) 2005-07-04 2009-11-25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JP4388083B2 (ja) 2007-01-29 2009-12-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制御装置及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CN101246417B (zh) 2007-02-13 2010-09-29 艾威梯科技(北京)有限公司 音频数据流输入/输出无间断软件切换的方法和系统
US8620319B1 (en) * 2007-04-24 2013-12-31 At&T Mobility Ii Llc Intelligent algorithm to determine service availability and presentation to user
EP2073486A1 (en) 2007-12-17 2009-06-24 Alcatel Lucent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service to a mobile device in case of foreseen network unavailability
US8023964B2 (en) * 2008-04-01 2011-09-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dictive mobile phone service disruption service
US8098590B2 (en) 2008-06-13 2012-01-17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erformance measurements in wireless networks
JP5202194B2 (ja) 2008-09-03 2013-06-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および通信品質管理装置ならびに無線基地局
US8948738B2 (en) * 2008-12-17 2015-0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nerating alerts based on predicted wireless connection losses
US8321216B2 (en) 2010-02-23 2012-11-27 Broadcom Corporation Time-warping of audio signals for packet loss concealment avoiding audible artifacts
US9066370B2 (en) * 2012-03-02 2015-06-23 Seven Networks, Inc. Providing data to a mobile application accessible at a mobile device via different network connections without interrup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47137A1 (en) * 2008-03-31 2009-10-01 Mina Awad Potential call drop indicator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AKON RIISER ET AL. "Bitrate and video quality planning for mobile streaming scenarios using a GPS-based bandwidth lookup service"
HUNG-YUN HSIEH ET AL. "Enhancing campus VoIP service for ubiquitous communication on dual-mode mobile handsets"
IGOR D. D. CURCIO ET AL. "Geo-predictive real-time media delivery in mobile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95941A1 (en) 2014-10-29
US20130159552A1 (en) 2013-06-20
KR20140113952A (ko) 2014-09-25
EP2795941B1 (en) 2018-05-23
CN104012126A (zh) 2014-08-27
CN104012126B (zh) 2018-12-11
US9578495B2 (en) 2017-02-21
JP6073365B2 (ja) 2017-02-01
WO2013095782A1 (en) 2013-06-27
JP2015508587A (ja)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20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손상된 무선 접속의 핸들링
US10015636B2 (en) Techniques for obtaining and displaying communication quality information
US8606511B2 (en) Methods to improve route quality using off-route data
US20160105365A1 (en) Network-coordinated drx transmission reduction for a network access device of a telematics-equipped vehicle
US200702710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departure time using schedule information
US20050153650A1 (en)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s of program reception through broadcasting and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and program reception controlling method
CN105142112A (zh) 移动终端自动检测地铁环境并自动报站提示的方法及装置
CN105099473A (zh) 用于降低车辆上收音机的噪音的方法、装置和系统
US20190390964A1 (en) Navigation device using reception sensitivity map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3968549A1 (en) Broadcast receiver
JP2006060710A (ja) 無線通信端末
US201902132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inuing a running playback of audio and/or video content from a first source after a temporary interruption or overlaying the running playback by a playback of audio and/or video content from a second source
US8583370B2 (en) Identifying a network record corresponding to a particular routing event
US9215558B2 (en) Method for digital radio fringe area learning
CN108093278B (zh) 车载广播影像联动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07154964B (zh) 一种移动终端信息推送方法及装置
JP2006129051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制御プログラム
JP6022833B2 (ja) 放送受信機及びチャンネルリスト管理方法
JP2006121196A (ja) 移動端末及び地域別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JP5940390B2 (ja) 放送受信機及びチャンネルサーチ方法
JP2017175549A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6844015B2 (ja) 放送制御システム及び放送制御方法
JP2008067376A (ja) データ受信システム、データ同報配信システム、データ受信方法、及びデータ同報配信方法
JP3914860B2 (ja) 情報再生装置
WO20111575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 time translation in a rad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