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896B1 - 현미쌀소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현미쌀소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896B1
KR101850896B1 KR1020160074821A KR20160074821A KR101850896B1 KR 101850896 B1 KR101850896 B1 KR 101850896B1 KR 1020160074821 A KR1020160074821 A KR 1020160074821A KR 20160074821 A KR20160074821 A KR 20160074821A KR 101850896 B1 KR101850896 B1 KR 101850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flour
roasted
salt
brown rice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1867A (ko
Inventor
박은주
Original Assignee
박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주 filed Critical 박은주
Priority to KR1020160074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896B1/ko
Publication of KR20170141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2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seeds or seed frag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가루, 멥쌀가루, 천일염, 통후추 및 볶은 참깨를 순차적으로 혼합하면서 볶은 다음, 분쇄기에서 일정 크기로 분쇄하여 육류 또는 버섯 등을 구워서 먹을 때 찍어 먹거나 각종 음식의 간을 맞추는데 사용함으로써 나트륨 섭취량도 현저하게 줄이면서 고소한 맛도 낼 수 있는 현미쌀소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미쌀소금의 제조방법은, 현미가루와 멥쌀가루를 각각 볶는 단계; 각각 볶아진 현미가루와 멥쌀가루를 혼합하여 함께 볶는 단계; 볶아지고 있는 현미가루와 멥쌀가루에 천일염을 첨가하여 함께 볶는 단계; 볶아지고 있는 현미가루, 멥쌀가루, 천일염에 통후추를 첨가하여 함께 볶는 단계; 볶아지고 있는 현미가루와 멥쌀가루, 천일염, 통후추에 볶은 참깨를 첨가하여 함께 볶는 단계; 볶아진 현미가루, 멥쌀가루, 천일염, 통후추, 볶은 참깨를 분쇄기에 넣고 일정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를 거쳐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미쌀소금 및 그 제조방법{Salt comprised of polished and unpolished rice pow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현미쌀소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미가루, 멥쌀가루, 천일염, 통후추 및 볶은 참깨를 순차적으로 혼합하면서 볶은 다음, 분쇄하여 각종 음식의 간을 맞추거나 육류 또는 버섯 등을 구워서 먹을 때 찍어 먹음으로써 나트륨 섭취량을 현저하게 줄이면서 고소한 맛도 낼 수 있는 현미쌀소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트륨은 소금의 구성 성분 중의 하나인데,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섭취하는 대부분의 나트륨은 소금의 섭취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소금(나트륨)은 인체 생리학적으로 체액의 삼투압을 조절하고 산염기 평형에 관여하며, 영양소의 흡수를 돕는 등 인간 생명유지에 꼭 필요한 물질로, 우리의 식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광물질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소금(나트륨)의 과도한 섭취로 인해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신장질환, 심장병 등 각종 질병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소금(나트륨)은 고혈압을 유발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미국 등 구미 선진국을 중심으로 소금(나트륨) 섭취량 저감화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이 세계보건기구(WHO)의 1일 나트륨 권장섭취량인 2,000㎎을 2∼3배 상회하는 많은 양의 나트륨을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신체기능을 정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나트륨량은 하루 1,300㎎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 들어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중심이 되어 소금(나트륨) 섭취량 저감화 운동이 전개되기 시작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1일 나트륨 권장섭취량인 2,000㎎을 소금으로 환산하면 5g(1 찻숟가락) 정도인데, 실제로 하루 소금 섭취량을 이 정도로 줄이면 뇌졸중에 걸릴 확률은 25%, 심장 관련 질병에 걸릴 위험이 19% 정도 줄어든다는 연구결과도 나온 바 있다.
하지만, 우리의 식생활 습관을 살펴보면, 특히 소고기나 삼겹살 등의 육류를 구워서 먹을 때 육류에 소금 또는 기름장(기름소금)을 찍고 야채에 얹은 후, 다시 쌈장을 얹어서 먹을 뿐만 아니라 점점 자극적인 맛을 선호하기 때문에 처음 먹기 시작할 때보다 나중에 먹을 때가 찍는 소금의 양이 점점 많아지며, 나이가 들수록 미각이 예민하지 못하기 때문에 음식의 간을 짜게 하게 되어 나트륨 섭취가 많아지고 있다. 또한, 소금이나 기름장(기름소금)을 육류에 찍을 때 육류에 묻은 소금이나 기름장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찍는 양을 맞추기 때문에 많은 양의 소금이 찍어질 수밖에 없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건강과 성인병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기 위한 많은 기술이 출현하였다. 예를 들면, 특허등록 제1333667호 "나트륨 섭취량을 저감화하는 천연 아미노산 추출물이 코팅된 소금 가공품", 특허등록 제1322657호 "쌀가루를 포함하는 과립형 조미소금"과 같은 기술이 출현하였는데, 이들 특허는 모두 식염(소금)에 맛을 내기 위한 MSG(monosodium glutamate)를 첨가한 소금 가공품으로, 일종의 화학조미료이다. 따라서 소금(나트륨) 섭취량은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을지라도 대부분의 가정에서 건강을 위해 화학조미료 사용을 피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있는데, 상기 특허는 오히려 MSG 섭취를 조장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미가루, 멥쌀가루, 천일염, 통후추 및 볶은 참깨를 순차적으로 혼합하면서 볶은 다음, 분쇄기에서 일정 크기로 분쇄하여 육류 또는 버섯 등을 구워서 먹을 때 찍어 먹거나 각종 음식의 간을 맞추는데 사용함으로써 나트륨 섭취량도 현저하게 줄이면서 고소한 맛도 낼 수 있는 현미쌀소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미쌀소금의 제조방법은, 현미가루와 멥쌀가루를 각각 볶는 단계; 각각 볶아진 현미가루와 멥쌀가루를 혼합하여 함께 볶는 단계; 볶아지고 있는 현미가루와 멥쌀가루에 천일염을 첨가하여 함께 볶는 단계; 볶아지고 있는 현미가루, 멥쌀가루, 천일염에 통후추를 첨가하여 함께 볶는 단계; 볶아지고 있는 현미가루와 멥쌀가루, 천일염, 통후추에 볶은 참깨를 첨가하여 함께 볶는 단계; 볶아진 현미가루, 멥쌀가루, 천일염, 통후추, 볶은 참깨를 분쇄기에 넣고 일정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를 거쳐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현미 및 멥쌀가루, 천일염, 통후추, 참깨의 혼합비율은 부피의 비율로, 현미 및 멥쌀가루 40∼50%, 천일염 40∼50%, 통후추 5∼10%, 볶은 참깨 5∼10%를 혼합하며, 현미가루와 멥쌀가루는 1:1의 비율로 혼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미쌀소금은 현미 및 멥쌀가루, 천일염, 통후추, 볶은 참깨를 볶아서 일정 크기로 분쇄하여 만든 것으로, 이들의 혼합비율은 부피의 비율로, 현미 및 멥쌀가루 40∼50%, 천일염 40∼50%, 후추 5∼10%, 볶은 참깨 5∼10%가 혼합되어 볶은 후에 일정 크기로 분쇄된 것이고, 현미가루와 멥쌀가루는 1:1의 비율로 혼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미쌀소금은, 천일염을 고열에서 볶아서 제조한 것이기 때문에 염전에서 햇빛으로 증발시키지 못한 간수나 유해성분이 마저 제거되어 부드러운 맛이 나면서, 인체에 유익한 무기질과 미네랄은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또한, 볶은 참깨가 혼합되기 때문에 고소한 맛을 내고, 참깨에 함유된 지방이 천일염(염분)의 입자에 유막을 입혀 나트륨이 체내로 들어가 인체에 흡수되는 양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현미쌀소금은, 통후추를 볶은 다음 분쇄하기 때문에 향신료로서의 기능과 육류의 독성 및 생선의 비린내 제거, 국물 요리의 잡내 제거 등 후추가 갖고 있는 효능을 그대로 가지며, 섬유질이 풍부하고 불포화지방산이 포함된 현미가루가 혼합되어 있어서 건강에도 좋고, 현미와 멥쌀가루가 소금과 같은 부피 정도로 혼합되어 있어서 구운 육류나 버섯 등에 찍어서 먹더라도 섭취하는 나트륨의 양은 적어지고 건강에 유익한 물질을 많이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쌀소금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미쌀소금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기 위해 건강에 유익하고 육류와 생선 또는 국물이 있는 요리 등의 잡내를 제거해 주는 현미와 멥쌀가루, 볶은 참깨, 통후추를 천일염과 혼합하여 볶은 다음 일정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미쌀소금의 제조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현미가루와 멥쌀가루를 각각 볶는 단계(S1), 각각 볶아진 현미가루와 멥쌀가루를 혼합하여 함께 볶는 단계(S2), 볶아지고 있는 현미가루와 멥쌀가루에 천일염을 첨가하여 함께 볶는 단계(S3), 함께 볶아지고 있는 현미가루, 멥쌀가루, 천일염에 통후추를 첨가하여 함께 볶는 단계(S4), 함께 볶아지고 있는 현미가루와 멥쌀가루, 천일염, 통후추에 볶은 참깨를 첨가하여 함께 볶는 단계(S5), 볶아진 현미가루, 멥쌀가루, 천일염, 통후추, 볶은 참깨를 분쇄기에 넣고 일정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S6)를 거쳐서 제조한다.
현미가루와 멥쌀가루를 각각 볶는 단계(S1)에서는 현미가루와 멥쌀가루를 각각 180∼210℃의 온도에서 5∼10분 동안 가루가 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저어주면서 볶는다. 만일, 현미가루와 멥쌀가루가 완전히 볶아지지 않은 것을 천일염과 혼합하면 나중에 변질될 염려가 있다. 또한, 현미가루와 멥쌀가루를 혼합하여 함께 볶는 단계(S2)에서는 각각 볶아진 현미가루와 멥쌀가루를 혼합하여 동일한 온도에서 1∼3분 동안 저어주면서 더 볶아준다. 멥쌀가루 대신 찹쌀가루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현미가루와 멥쌀가루(찹쌀가루) 중 어느 하나만 사용하더라도 큰 문제는 없다.
천일염을 첨가할 때는, 함께 볶아지고 있는 현미가루와 멥쌀가루에 천일염을 첨가하여 300∼350℃의 온도에서 15∼30분 동안 잘 저어주면서 볶는다. 천일염에 열을 가해 볶아주면, 염전에서 햇빛으로 증발시키지 못한 간수 성분이 제거되어 부드러운 맛이 나고 유해성분이 마저 제거되고 구수한 맛이 나며, 무기질과 인체에 유익한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 천연 미네랄은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온도에서 볶은 천일염은 위장을 강화시키고 몸속 노폐물을 제거해 주기 때문에 입냄새가 나는 근본적 원인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 천일염은 약산성이지만 열을 가해서 볶아주면 강알칼리성으로 변하게 되어, 인체의 면역력과 저항력을 증진시켜 주며, 음식물이 소화되는 위염을 많이 분비시키기 때문에 소화기능을 높여 주는 효과도 있다.
통후추를 첨가하는 단계는, 혼합되어 볶아지고 있는 현미가루와 멥쌀가루 및 천일염에 통후추를 첨가하여 200∼250℃의 온도에서 2∼3분 동안 잘 저어주면서 볶는다. 만일, 여기서 통후추를 첨가하지 않고 후추가루를 첨가하여 볶아주면, 후추가루가 타버리기 때문에 후추의 효능도 없어질 뿐만 아니라 후추가루가 탄 재를 먹게 된다. 후추는 육류와 국물 요리(사골국물, 뼈 국물 등)의 잡내를 없애주고 음식의 향을 더하는 역할을 한다.
참깨는 볶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다른 조성물과 함께 볶으면 다른 조성물이 타기 때문에 미리 볶아진 참깨를 섞는데, 참깨는 100∼130℃의 온도에서 20∼40분 동안 잘 저어주면서 볶는다. 혼합되어 볶아지고 있는 현미가루와 멥쌀가루, 천일염, 통후추에 볶은 참깨를 넣고 100∼130℃의 온도에서 1∼2분 동안 잘 저어주면서 볶는다. 현미쌀소금에 참깨를 혼합하면, 고소한 맛을 낼 뿐만 아니라 참깨에 함유된 지방이 천일염(염분)의 입자에 유막을 입혀 천일염(나트륨)이 체내로 들어가 인체에 흡수되는 양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볶아진 현미가루, 멥쌀가루, 천일염, 통후추, 볶은 참깨를 분쇄기에 넣고 일정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취식)한다. 기호나 용도에 따라 분쇄된 입자의 크기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현미쌀소금은 조성물을 모두 볶아서 만든 것이기 때문에 상온에서도 변질될 염려가 없으며, 용기에 담아 휴대하고 다니면서 야외에서 식사나 요리를 할 때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현미 및 멥쌀가루, 천일염, 통후추, 볶은 참깨의 혼합비율은 부피의 비율로, 현미 및 멥쌀가루 40∼50%, 천일염 40∼50%, 통후추 5∼10%, 참깨 5∼10%를 혼합하며, 현미가루와 멥쌀가루는 1: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기호나 용도에 따라 현미가루와 멥쌀가루 모두 사용하지 않고 한가지로만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현미가루와 멥쌀가루를 각각 180∼210℃의 온도에서 5∼10분 동안 볶는 단계;
    각각 볶아진 현미가루와 멥쌀가루를 혼합하여 180∼210℃의 온도에서 1∼3분 동안 저어주면서 함께 볶는 단계;
    볶아지고 있는 현미가루와 멥쌀가루에 천일염을 첨가하여 300∼350℃의 온도에서 15∼30분 동안 함께 볶는 단계;
    볶아지고 있는 현미가루, 멥쌀가루, 천일염에 통후추를 첨가하여 200∼250℃의 온도에서 2∼3분 동안 함께 볶는 단계;
    볶아지고 있는 현미가루, 멥쌀가루, 천일염, 통후추에 볶은 참깨를 첨가하여 100∼130℃의 온도에서 1∼2분 동안 함께 볶는 단계;
    볶아진 현미가루, 멥쌀가루, 천일염, 통후추, 볶은 참깨를 분쇄기에 넣고 일정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를 거쳐서 제조하며,
    상기 현미 및 멥쌀가루, 천일염, 통후추, 볶은 참깨의 혼합비율은 부피의 비율로, 현미 및 멥쌀가루 40∼50%, 천일염 40∼50%, 통후추 5∼10%, 볶은 참깨 5∼10%를 혼합하며, 현미가루와 멥쌀가루는 1: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쌀소금의 제조방법.
  2. 삭제
  3. 현미 및 멥쌀가루, 천일염, 통후추, 볶은 참깨가 혼합되어 구성되며, 각 구성의 혼합비율은 부피의 비율로, 현미 및 멥쌀가루 40∼50%, 천일염 40∼50%, 통후추 5∼10%, 볶은 참깨 5∼10%가 혼합되어 볶은 후에 일정 크기로 분쇄된 것이고, 현미가루와 멥쌀가루는 1:1의 비율로 혼합되어 구성되며,
    현미가루와 멥쌀가루를 각각 180∼210℃의 온도에서 5∼10분 동안 볶는 단계와, 각각 볶아진 현미가루와 멥쌀가루를 혼합하여 동일 온도에서 1∼3분 동안 저어주면서 함께 볶는 단계와, 볶아지고 있는 현미가루와 멥쌀가루에 천일염을 첨가하여 300∼350℃의 온도에서 15∼30분 동안 함께 볶는 단계와, 볶아지고 있는 현미가루와 멥쌀가루 및 천일염에 통후추를 첨가하여 200∼250℃의 온도에서 2∼3분 동안 함께 볶는 단계와, 볶아지고 있는 현미가루와 멥쌀가루와 천일염과 통후추에 볶은 참깨를 첨가하여 100∼130℃의 온도에서 1∼2분 동안 함께 볶는 단계를 거친 다음 분쇄기에 넣고 일정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쌀소금.
KR1020160074821A 2016-06-16 2016-06-16 현미쌀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101850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821A KR101850896B1 (ko) 2016-06-16 2016-06-16 현미쌀소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821A KR101850896B1 (ko) 2016-06-16 2016-06-16 현미쌀소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867A KR20170141867A (ko) 2017-12-27
KR101850896B1 true KR101850896B1 (ko) 2018-05-31

Family

ID=60938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821A KR101850896B1 (ko) 2016-06-16 2016-06-16 현미쌀소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8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616A (ja) * 2000-10-27 2002-05-08 Apio Club:Kk ハーブソルトの製造方法
JP3391875B2 (ja) * 1993-12-28 2003-03-31 株式会社創研 塩害防止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1875B2 (ja) * 1993-12-28 2003-03-31 株式会社創研 塩害防止塩
JP2002125616A (ja) * 2000-10-27 2002-05-08 Apio Club:Kk ハーブソル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867A (ko)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28691B (zh) 富营养牦牛肉熟食酱及其加工方法
CN101485481A (zh) 一种野生菌火锅底料及其制备方法
KR20130069897A (ko) 밥물 첨가물을 이용한 맞춤식 영양 밥 제조방법
KR20150085238A (ko) 청양고추 함유 쌈장 및 그 제조방법
CN101744018A (zh) 绿色生物钙硒纳米强化面粉
KR100220792B1 (ko) 민물고기를 주재로한 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2626203B (zh) 一种均衡营养饺子
CN101438786A (zh) 香甜型桃片风味羹
AU2007336445A1 (en) Food composition
KR20160067378A (ko) 해산물과 채소를 혼합하여 만든 양념소스분말
CN104366405B (zh) 一种酸菜汤锅佐料
KR101461205B1 (ko) 전복 내장을 이용한 식품 첨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CN1720805A (zh) 绿色生物钙硒纳米强化面粉
KR101850896B1 (ko) 현미쌀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55618A (ko) 즉석 우동 및 그 조리방법
KR100644154B1 (ko) 현미를 주재로 한 식품조성물
CN101103797A (zh) 钙磷王全虾调味料
KR20080049180A (ko) 크릴을 함유한 소시지의 제조방법
KR20210056521A (ko) 미네랄이 풍부한 순대전골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순대전골
KR20190043517A (ko) 천연 무기질을 포함하는 매운 맛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05141A (ko) 물과 천연 재료로 만든 통합죽 제조 방법 및 당뇨에 좋은 성분 함유
KR20150067878A (ko) 체내흡수가능한 초미세분말을 이용한 천연복합분말조미료
KR102568463B1 (ko) 짬뽕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434836B1 (ko) 개똥쑥잎, 모시잎 및 엉겅퀴를 함유하는 냉면용 반죽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냉면의 조리방법
KR101565514B1 (ko) 표고버섯이 함유된 담북장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