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249B1 -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 - Google Patents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249B1
KR101849249B1 KR1020170047777A KR20170047777A KR101849249B1 KR 101849249 B1 KR101849249 B1 KR 101849249B1 KR 1020170047777 A KR1020170047777 A KR 1020170047777A KR 20170047777 A KR20170047777 A KR 20170047777A KR 101849249 B1 KR101849249 B1 KR 101849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ack
jig
unit
rotation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유
Original Assignee
이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유 filed Critical 이재유
Priority to KR1020170047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65B25/145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packaging fo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folding or winding articles, e.g. gloves or stoc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된 마스크팩의 안정적인 낱장 분리가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에 관한 것으로,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핀을 갖는 복수개의 제1고정편이 고정되는 고정지그와, 상기 고정지그의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된 수직지그와, 상기 수직지그의 상측방향에 구비된 판 상의 수평지그로 구성된 고정프레임부; 상기 수직지그에 구비되며, 적층된 상측 마스크팩의 마주하는 양측을 틸팅시켜 하측 마스크팩과 이격시키는 틸팅부; 상기 수평지그에 지지되며, 양측이 틸팅된 상기 마스크팩의 둘레와 인접하는 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장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고정프레임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픽킹된 상기 마스크팩을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Mask pack manufacture device picking unit}
본 발명은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층된 마스크팩의 안정적인 낱장 분리가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팩은 얼굴 표면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미안술(美顔術)로서, 미용에서는 얼굴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팩 제(劑)를 흠뻑 발라두는 것을 가리킨다. 즉, 피부가 거칠어졌을 때나 햇볕에 검게 탓을 때, 혹은 피로해졌을 때 등에 이 방법을 사용하며 주목적에 따라 팩 제를 선택하여 얼굴을 덮어 일시적으로 외기를 차단하여 보습에 의해 피부 축적된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마스크팩은 사과나 오이 등과 같이 비교적 수분이 많이 함유되고 비타민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된 과일이나 야채로 이를 소정의 크기로 썰어 얼굴 등 원하는 부위에 직접 붙이기도 하고,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를 팩 제로 하거나 황토나 진흙을 팩 제로 한 진흙 마스크팩이나 한약 성분을 주재료로 하는 한방 마스크팩 등 여러 가지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스크팩의 경우 즉, 팩 제를 직접 얼굴에 붙이는 방식의 마스크팩은 팩 제를 얼굴에 바른 후 발라진 팩 제가 탈리되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일정 시간을 기다리고, 이후 얼굴에 발라진 팩 제를 제거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사용하기에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천연재료를 가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이용하거나 또는 천연재료로부터 즙을 내어 바르거나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준비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사용 후 후처리가 몹시 번거롭고 불편하기 때문에 이용이 매우 제한된다는 한계가 있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부직포와 같은 흡습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진 시트에 에센스나 알로에, 오일, 황토 등의 각종 유효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첨가물을 함침 및 흡수시킨 마스크팩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팩은 기능성 첨가물과 함께 포장물에 충진된 상태임에 따라 포장지로부터 마스크팩을 취출 후 일정 시간 동안 얼굴에 부착만 시켜놓았다가 정해진 시간이 되면 제거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세안 등이 필요없어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인해 많은 사용자들이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기술로 제시된 국내등록특허 제10-1701181호에는, 분리유닛은, 적재된 상기 마스크팩의 대열을 틀어짐 없이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의 상측에 배치되며 적재된 상기 마스크팩을 국부적으로 접촉하면서 낱장으로 픽킹하는 픽킹수단; 및 상기 픽킹수단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픽킹수단은, 하단 양측에 마주하는 연장편이 각각 구비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고정대와; 상기 각 연장편에 마주하게 구비된 한 쌍의 미세조절장치; 및, 상기 미세조절장치와 연동하며, 적재된 상기 마스크팩 표면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면서 상기 마스크팩을 낱장씩 픽킹하는 픽킹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픽킹장치는, 상기 미세조절장치에 고정되며, 하단에 상기 마스크팩의 표면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고정접촉편이 형성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고정레그; 상기 고정레그의 일측에 동일한 선상으로 배치되어 하측이 회동편에 의해 상기 고정레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에 상기 마스크팩의 표면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회동접촉편이 형성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회동레그; 및 상기 회동레그의 상측에 구비되며, 진.퇴하는 로드의 선단이 상기 고정레그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로드의 진.퇴에 따라 상기 회동레그를 상기 고정레그로부터 소정각도로 회동시키는 진퇴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스크팩 제조장치의 분리유닛 기술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다른 기술로 제시된 국내등록특허 제10-1444230호에는, 얼굴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단이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원단의 상측 부분을 하측 부분과 맞닿도록 접는 제1접이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접이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제1접이부를 통해 접힌 원단의 일측을 중앙부분으로 접는 제2접이부, 그리고 상기 제2접이부와 대칭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제2접이부를 통해 접힌 원단의 타측을 중앙부분으로 접는 제3접이부,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제조장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기술들은 적층된 마스크팩을 낱장씩 분리하고, 복수개의 접이부를 이용하여 마스크팩을 접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마스크팩 표면의 양측만을 지지한 상태로 낱장 분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마스크팩의 불안정한 분리와, 이로 인한 이동 간에 마스크팩이 낙하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이는 마스크팩 표면 전체의 지지가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만일, 마스크팩의 이송을 위해 마스크팩의 양측을 강하게 지지하는 경우, 마스크팩이 울게 되어 형상변형을 초래하거나 또는 지지부위의 보풀이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마스크팩의 접이 과정이 복수개 접이부의 순차적인 회전에 의해 접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접이부의 회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여 마스크팩 접이의 택타임(Takt Time)이 길어져 생산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701181호 국내등록특허 제10-1444230호 국내공개특허 제10-2007-0099083호 국내등록특허 제10-113409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적층된 마스크팩의 낱장 분리시 마스크팩의 표면 전체가 동시에 지지되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분리와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은,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핀을 갖는 복수개의 제1고정편이 고정되는 고정지그와, 상기 고정지그의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된 수직지그와, 상기 수직지그의 상측방향에 구비된 판 상의 수평지그로 구성된 고정프레임부; 상기 수직지그에 구비되며, 적층된 상측 마스크팩의 마주하는 양측을 틸팅시켜 하측 마스크팩과 이격시키는 틸팅부; 상기 수평지그에 지지되며, 양측이 틸팅된 상기 마스크팩의 둘레와 인접하는 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장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고정프레임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픽킹된 상기 마스크팩을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지그의 둘레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1고정편이 고정지그의 중심으로부터 가상으로 형성되는 직경에 대하여 방사상 동일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장편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틸팅부는, 회전실린더에 연결된 회전캠; 상기 회전캠에 마주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회전링크; 및 상기 회전링크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회전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마스크팩의 양측을 틸팅시키는 한 쌍의 틸팅수단;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회전링크와 핀 결합되며, 하측으로 상기 고정지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면에 지지핀을 갖는 제2고정편이 구비된 제1레그; 상기 회전링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제1레그의 상측에 구비된 제1실린더; 및 상기 제1레그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면에 지지핀을 갖는 제2회동편이 구비되어 상기 제1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회동하는 제2레그;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레그의 길이방향 상측에는 상기 제1실린더의 로드와 핀 결합되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레그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상기 제1레그의 돌출부와 핀 결합되는 결합편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지그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지그의 상기 제1고정편들과 동일선상을 유지한 상태로 이격되고 지지핀을 갖는 복수개의 제1회동편이 구비된 림부; 상기 림부의 상부로 수직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지지부재에 의해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수평지그에 고정된 회전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를 관통한 상태로 상단에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암이 형성되고, 둘레에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의 저면과 결합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암과 연결된 제2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지지체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고정지그의 둘레에 배치되며, 둘레를 따라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개의 보조푸셔가 형성된 편평한 면을 갖는 링 형상의 메인푸셔; 상기 메인푸셔의 상부로 수직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지지부재에 의해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수직지그에 관통되게 배치된 제2지지플레이트; 및 수직한 상태로 하측이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측이 제3실린더와 결합되어 상기 제3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승강봉;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승강봉은 레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에 의하면, 적층된 마스크팩의 낱장 분리시 분리되는 마스크팩의 양측을 틸팅시킨 상태로 마스크팩의 표면 전체가 지지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분리되도록 하여 이동 간에 따른 마스크팩의 낙하가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접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중 픽킹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며,
도 5는 픽킹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중 고정프레임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중 틸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틸팅부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작용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구성중 회전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구성중 분리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4의 저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구성중 가압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구성중 이송수단을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구성중 접이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및 배면사시도이고,
도 18 및 도 19는 접이유닛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20 내지 도 22는 접이유닛을 통해 마스크팩이 접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용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접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중 픽킹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며, 도 5는 픽킹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중 고정프레임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중 틸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틸팅부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작용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구성중 회전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구성중 분리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4의 저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구성중 가압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구성중 이송수단을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구성중 접이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및 배면사시도이고, 도 18 및 도 19는 접이유닛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20 내지 도 22는 접이유닛을 통해 마스크팩이 접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용도이다.
도 1 내지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스크팩 접이장치(500)는, 리프트(10)에 복수매로 적층된 마스크팩(M)을 상측부터 낱장으로 분리하고, 포장지(미 도시)에 투입하기 위해 소정의 크기를 갖도록 접는 장치이다.
이러한 마스크팩 접이장치(500)는 도 1 및 2와 같이 도면상 좌측방향에 픽킹유닛(100)이 구비되어 있고, 픽킹유닛(100)의 양측에는 가압유닛(200)이 배치되어 있으며, 픽킹유닛(100)의 상측에는 이송유닛(300)이 구비되어있고, 픽킹유닛(100)의 후방 즉 도면상 우측방향으로는 접이유닛(40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위의 각 구성들은 도 1과 같이 양측에 구비되는 외측프레임(30)과 외측프레임(30)을 가로지르는 도시하지는 않은 별도의 지지구조물에 의해 지지된다.
설명에 앞서, 각 구성들을 수직이동 또는 수평이동시키는 겐트리는 수평과 수직에 따른 배치상태만 다를 뿐 동일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각 구성들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됨은 물론이다.
또한, 각 실린더와 핀 또는 축에 의해 결합되는 링크구조는 일반적인 사항임에 따라 부호 및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마스크팩(M)은 에센스나 알로에, 오일, 황토 등의 각종 유효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첨가물의 함침 및 흡수가 용이하도록 통상적인 부직포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팩 접이장치(500)의 도면상 좌측에는 복수매의 마스크팩(M)이 적층되는 리프트(10)가 구비되어 있다.
리프트(10)는 외측프레임(30)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된 볼스크류(11)를 타고 승강하는 승강바(12)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볼스크류(11)는 구동모터(13)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봉(14)과 베벨기어(15)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리프트(10)는, 구동모터(13)에 의해 회전봉(14)이 회전하면 베벨기어(15)를 통한 볼스크류(11)의 회전에 의해 승강바(12)와 함께 상승한다. 이때, 구동모터(13)는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더하여, 마스크팩 접이장치(500)의 도면상 우측 즉 후술하는 이송유닛(300)의 고정플레이트(31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접이유닛(400)을 통해 3등분으로 접어진 마스크팩(M)을 후공정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20)이 구비되어 있으며, 다양한 구조를 통해 구현이 가능하고 통상 픽커(22)를 갖는 회동바(21)에 의해 접어진 마스크팩(M)이 취출되어 후공정으로 배출된다.
픽킹유닛(100)은 도 1 내지 도 12와 같이, 마스크팩(M)이 적층된 리프트(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리프트(10)에 복수매로 적층된 상측 마스크팩(M)의 마주하는 양측방향을 하측의 마스크팩(M)과 이격시키고, 마스크팩(M)의 표면에 임의의 직경방향을 따라 복수의 위치에서 장력을 발생시켜 마스크팩(M)을 낱장씩 픽킹하여 분리한다.
픽킹유닛(100)의 저부에는, 도 4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하나의 조를 이루는 8쌍의 제1,2고정편(112,132)과 제1,2회동편(142,135)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고정편과 회동편의 하면에는 마스크팩(M)의 표면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지지핀(P)이 소정의 각도를 이룬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8쌍의 제1,2고정편(112,132)과 제1,2회동편(142,135)은, 각 조에서 제1,2회동편(142,135)들만 동시에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마스크팩(M) 표면에 직경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하여 마스크팩(M)을 지지한다.
위와 같은 픽킹유닛(100)은 크게 고정프레임부(110)와, 틸팅부(120)와, 회전부(140) 및 분리부(160)로 구성된다.
고정프레임부(110)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핀(P)(도 4 참조)을 갖는 6개의 제1고정편(112)이 고정되는 고정지그(111)와, 고정지그(111)의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된 판 상의 수직지그(115)와, 수직지그(115)의 상측방향에 구비된 수직지그(115)와 직교하는 판 상의 수평지그(116)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지그(111)의 마주하는 양측에는 후술하는 틸팅부(120)의 제2고정편(132)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결합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지그(111)의 둘레에는, 6개의 제1고정편(112)이 고정지그(111)의 중심으로부터 가상으로 형성되는 직경에 대하여 방사상 동일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장편(113)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도 12 참조).
수직지그(115)는 2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틸팅부(12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수평지그(116)에는 도 3과 같이 후술하는 회전부(140)의 회전지지체(151)가 안착고정되며, 회전부(140)가 회전지지체(15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틸팅부(12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2개의 수직지그(115)에 걸쳐 고정되며, 리프트(10)에 적층된 최상측의 상측 마스크팩(M)의 마주하는 양측을 틸팅시켜 하측 마스크팩(M)과 이격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틸팅부(120)는, 수직지그(115)의 일측으로 고정된 회전실린더(121)에 연결된 원판 형상의 회전캠(122)과, 회전캠(122)의 일면에 서로 마주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회전링크(123)와, 회전링크(123)와 각각 연결되며 회전캠(122)의 회전에 따라 마스크팩(M)의 양측을 틸팅시키는 한 쌍의 틸팅수단(130)으로 구성된다.
위와 같은 틸팅수단(130)은, 제1레그(131) 및 제2레그(134)로 구성된다.
제1레그(131)는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길이방향 상측으로는 회전캠(122)에 연결된 회전링크(123)의 타측이 핀을 통해 결합되고, 하측으로 일측이 고정지그(111)의 결합홈(11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하면에 지지핀(P)을 갖는 제2고정편(132)이 구비되어 있다.
제1실린더(133)는 회전링크(123)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제1레그(131)의 상측에 고정되어 있다.
제2레그(134)는 마주한 상태로 제1레그(131)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하면에는 마스크팩(M)의 표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핀(P)을 갖는 제2회동편(135)이 구비되어 제1실린더(133)의 구동에 의해 회동한다.
이를 위해, 제2레그(134)의 길이방향 상측에는 제1실린더(133)의 로드와 핀 결합되는 장공(134a)이 형성되고, 제2레그(134)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제1레그(131)의 중심부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131a)와 핀 결합되는 결합편(134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제2레그(134)는, 제1레그(131)에 회동가능한 상태로 고정됨과 동시에 제1레그(131)가 회전캠(122)의 회전에 의해 회동 될때 함께 회전하게 되고, 제1실린더(133)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레그(131)의 돌출부(131a)를 기준으로 제1레그(131)가 회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틸팅부(120)는, 도 8의 (a)와 같이 제1레그(131)가 회전실린더(121)에 의해 직경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링크(123)를 통해 고정지그(111)의 결합홈(114)을 중심으로 틸팅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핀(P)을 통해 마스크팩(M)의 양측을 지지한 제2고정편(132)과 제2회동편(135)을 함께 틸팅시켜 도 8의 (b)와 같이 하측의 마스크팩(M)과 이격시킨다.
또한, 도 9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제1실린더(133)가 구동하여 제2레그(134)를 제1레그(131)의 돌출부(131a)를 기준으로 도 9의 (b)와 같이 회동시키기 때문에, 회동하는 제2회동편(135) 하면의 지지핀(P)이 회동하는 과정에서 마스크팩(M) 표면을 인장시킴으로써 틸팅수단(130)이 마스크팩(M) 양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제2레그(134)의 회동은 제1실린더(133)의 구동방향에 따라 도면상 좌,우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며, 제1레그(131)와 제2레그(134)의 틸팅이 완료된 이후 제2레그(134)의 회동만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회전부(140)는, 고정프레임부(110)의 수평지그(116)에 지지된 상태로 틸팅부(120)에 의해 양측이 틸팅된 마스크팩(M)의 둘레와 인접하는 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장력을 발생시킨다.
회전부(140)는 도 10과 같이, 림부(141)와, 제1지지플레이트(143) 및 회전부재(150)로 구성된다.
림부(141)는, 내부가 중공되는 특정된 모양을 갖는 링으로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지그(111)의 상측에 배치되며, 림부(141)의 둘레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도면상 3개씩 총 6개의 제1회동편(142)이 고정지그(111)의 제1고정편(112)들과 동일한 선상을 유지한 상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어 있고, 각 제1회동편(142)의 하면에는 마스크팩(M)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핀(P)들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림부(141)가 상기 고정지그(111)에 안착되면, 6개의 제1회동편(142)들은 각각 제1고정편(112)과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이로 인해 제1고정편(112)과 제1회동편(142)이 하나의 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고정지그(111)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지그(111)의 상기 제1고정편(112)들과 동일선상을 유지한 상태로 소정간격 이격되고 지지핀(P)을 갖는 복수개의 제1회동편(142)이 구비된 림부(141);
제1지지플레이트(143)는, 림부(141)의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4개의 제1지지부재(144)에 의해 림부(141)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편평한 직사각형상을 유지하고 있다.
제1지지플레이트(143)가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는 것은, 도 3과 같이 림부(141)와 제1지지플레이트(143) 사이로 틸팅부(120)와 분리부(16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회전부재(150)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수평지그(116)에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수평지그(116)에 고정된 회전지지체(151)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회전부재(150)의 상측은 제1지지플레이트(143)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단에는 도 10과 같이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연장암(1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장암(152)은 제2실린더(154) 로드와 링크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연장암(152)과 인접하는 회전부재(150)의 둘레에는 제1지지플레이트(143)의 저면과 결합되는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플랜지(153)가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회전지지체(15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부재(150)는, 제2실린더(154)의 구동에 의해 연장암(152)이 회동될 때 회전지지체(151)를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게 되며, 회전부재(150)의 회전에 따라 플랜지(153)도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제1지지플레이트(143)와 림부(141)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림부(141)에 구비된 제1회동편(142)들도 회전지지체(151)를 중심으로 연동하게 됨으로써, 결국 제1회동편(142)들의 지지핀(P)들이 마스크팩(M) 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장력을 발생시켜 마스크팩(M)을 지지하게 된다(도 12 참조).
분리부(160)는, 공정프레임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픽킹유닛(100)의 제1,2고정편(112,132)과 제1,2회동편(142,135)에 의해 픽킹된 마스크팩(M)을 후술하는 접이유닛(400)의 스테이지(410)에서 분리시킨다.
분리부(160)는 도 11과 같이, 메인푸셔(161)와, 제2지지플레이트(163) 및 승강봉(165)으로 구성된다.
메인푸셔(161)는, 8각의 편평한 면을 갖는 링 형상으로 고정지그(111)의 외측방향 둘레에 배치되며, 둘레에는 둘레를 따라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8개의 보조푸셔(16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보조푸셔(162)는 도 3 및 4와 같이 각 제1,2회동편(142,135)과 제1,2고정편(112,132) 사이에 배치된다.
제2지지플레이트(163)는 편평한 직사각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메인푸셔(161)의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4개의 제2지지부재(164)에 의해 메인푸셔(161)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도 3 및 4와 같이 수직지그(115)에 관통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2지지플레이트(163)가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는 것은, 도 3과 같이 메인푸셔(161)와 제2지지플레이트(163) 사이로 틸팅부(12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승강봉(165)은 수직한 상태로 하측이 제2지지플레이트(163)에 고정되고, 상측이 제3실린더(167)와 결합되어 제3실린더(167)의 구동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이때, 승강봉(165)은 도 5와 같이 회전부(140)의 회전부재(15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봉(165)은 제3실린더(167)의 구동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제2지지플레이트(163)와 메인푸셔(161)를 승강시키기 때문에 이동에 따른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레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그(115)에 승강봉(165)의 승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가이드(16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분리부(160)는, 제3실린더(167)의 구동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봉(165)에 의해 메인푸셔(161)가 승강하면서 제1,2고정편(112,132)과 제1,2회동편(142,135)에 의해 픽킹된 마스크팩(M)을 접이유닛(400)의 스테이지(410) 상에서 분리시킨다.
따라서 픽킹유닛(100)은, 도 12와 같이 제1고정편(112)과 제1회동편(142) 및 제2고정편(132)과 제2회동편(135)이 각각 하나의 조를 이루는 총 8개조 중 제2고정편(132)과 제2회동편(135)으로 구성된 2개조가 틸팅부(120)에 의해 마스크팩(M)의 마주하는 양측방향을 틸팅시키고, 나머지 제1고정편(112)과 제1회동편(142)으로 구성된 6개조 중 제1회동편(142)들과 틸팅부(120)의 제2회동편(135)들의 직경방향으로 회동을 통해 마스크팩(M) 표면에 장력을 발생시켜 마스크팩(M)을 낱장씩 픽킹하여 분리한다.
가압유닛(200)은 도 1,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팩(M)이 적층된 리프트(10)의 양측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픽킹유닛(100)이 마스크팩(M)을 낱장으로 분리할 때 하측 마스크팩(M)의 양측을 가압하여 눌러줌으로써 마스크팩(M)의 낱장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픽킹유닉의 틸팅부(120)를 통해 마스크팩(M)의 양측이 틸팅될 때 하측 마스크팩(M)의 노출된 양측을 눌러주는 것이다.
위와 같은 가압유닛(200)은, 리프트(10)의 일측으로 상기 픽킹유닛(100)의 저부와 대응하는 높이가 유지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수직프레임(210)과, 수직프레임(21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판 상의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편(212)과, 회동편(212)의 하측방향으로 수직프레임(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편(212)의 돌출된 타측과 링크 연결된 상태로 회동편(212)을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213)와, 회동편(212)의 타측과 인접하는 일측에 고정되며 회동편(212)의 회동에 따라 마스크팩(M) 표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판 상의 가압편(2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마스크팩(M)의 표면을 가압하는 가압편(214)의 선단측은 마스크팩(M)의 표면과 최소의 면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접촉면이 가압편(214)이 복귀하는 순간 마스크팩(M)이 함께 딸려 나오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가압유닛(200)은, 피킹유닛이 마스크팩(M)을 낱장으로 픽킹하기 위해 틸팅부(120)를 통해 마스크팩(M)의 양측을 이격시킴과 동시에 가압편(214)이 노출된 마스크팩(M)의 양측을 눌러주도록 함으로써 마스크팩(M)의 낱장 분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송유닛(300)은 도 1, 도 2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킹유닛(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픽킹유닛(100)에의해 픽킹된 마스크팩(M)을 후술하는 접이장치의 스테이지(410)로 이송시킨다.
이송유닛(300)은, 픽킹유닛(100)의 상부에 접이유닛(400) 방향으로 배치되며 길이방향 중심부를 따라 관통하는 관통슬롯(311)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310)와, 고정플레이트(310)의 일측에 배치된 제1수평겐트리(31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이동블럭(313)과, 하측으로 픽킹유닛(100)이 고정되며 관통슬롯(311)을 관통한 상태로 제1이동블럭(313)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제2수직겐트리(314)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픽킹유닛(100)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이동블럭(315), 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수평겐트리(312)와 연결된 제1이동블럭(313)의 맞은편에는 제1이동블럭(313)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L/M가이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이송유닛(300)은, 픽킹유닛(100)을 통해 마스크팩(M)이 픽킹되면 제2이동블럭(315)이 제2수직겐트리(314)를 타고 상승하면서 픽킹유닛(100)을 상승시키고, 이후 제1이동블럭(313)이 제1수평겐트리(312)를 타고 이동하면서 픽킹유닛(100)을 후술하는 접이부의 스테이지(410)로 이동시켜 다시 제2이동유닛의 하강을 통해 픽킹유닛(100)을 스테이지(410)의 상부로 하강시킨다.
접이유닛(4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킹유닛(100)의 일측 즉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픽킹유닛(100)을 통해 이송된 마스크팩(M)을 일차적으로 누른 상태에서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마스크팩(M)을 1/2인 절반으로 접고, 접어진 마스크팩(M)을 접어진 방향과 직교하는 양 방향에서 3등분으로 포개지게 접는다.
위와 같은 접이유닛(400)은 도 1, 도 2, 도 16 내지 도 22와 같이 크게 스테이지(410)와, 제1접이부(420) 및 제2접이부(440)로 구성된다.
스테이지(41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직사각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픽킹유닛(100)의 일측인 도면상 우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송된 마스크팩(M)이 안착된다.
제1접이부(420)는 스테이지(410)에 안착된 마스크팩(M)의 절반을 단차지게 변형시키고, 마스크팩(M)의 단차진 아랫쪽의 하면을 누른 상태로 이동시키면서 마스크팩(M)을 2/1인 절반으로 접는다.
제1접이부(420)는 도 16 내지 도 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플레이트(421)와 제1슬라이더(430)로 구성된다.
승강플레이트(421)는 "L"자 형상으로, 스테이지(410) 상면 중심부에 안착되어 도면상 수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도 16 및 도 19와 같이 스테이지(410)에 안착된 마스크팩(M)의 일측 절반(도면상 우측)을 스테이지(4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시켜 마스크팩(M)이 단차진 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이를 위해 승강플레이트(421)는, 승강플레이트(421)의 일측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3수직겐트리(42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3이동블럭(423)에 고정되며, 제3수직겐트리(422)를 타고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이동블럭(423)의 이동에 따라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플레이트(421)는, 픽킹유닛(100)을 통해 마스크팩(M)이 스테이지(410)에 안착될 때 제3이동블럭(423)의 승강에 의해 스테이지(410)의 상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승강플레이트(421)의 승강은 마스크팩(M)이 안착됨과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또는 안착되기 전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승강플레이트(421)의 승강 높이는 접어지는 마스크팩(M)의 폭과 후술하는 제1슬라이더(430)의 두께를 합한 높이보다 약간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마스크팩(M)의 두께가 항상 일정하다면 승강플레이트(421)는 항상 동일한 높이로 셋팅됨은 물론일 것이며, 이 경우 승강플레이트(421)는 승강 구조가 적용되지 않아도 무방할 것이다.
제1슬라이더(430)는 "ㄷ"자 형상의 판으로, 스테이지(410)의 일측인 도면상 스테이지(410)의 우측 상면으로 도 17과 같이 마스크팩(M)이 스테이지(410)에 안착될 수 있는 거리 만큼 승강플레이트(421)와 이격되게 설치되며, 승강플레이트(421)에 의해 단차진 마스크팩(M)의 타측 절반을 하강하여 누른 상태로 수평 이동하면서 마스크팩(M)을 2/1인 절반으로 접어 제2접이부(440)로 이송시킨다.
이때, 제1슬라이더(430)는 그 모양이 "ㄷ"자 형상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도 16 및 도 17과 같이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테이지(410)를 내측으로 수용한 상태로 배치된다.
이를 위해 제1슬라이더(430)의 일측에는 도 16 내지 도 8과 같이, 스테이지(410)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4수평겐트리(43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4이동블럭(432)이 구비되고, 제4이동블럭(432)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제5수직겐트리(433)를 타고 이동하는 제5이동블럭(434)에 제1슬라이더(430)의 양측이 고정되어, 제4이동블럭(432) 및 제5이동블럭(434)의 이동방향에 따라 제1슬라이더(430)의 승강 및 수평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슬라이더(430)는, 승강플레이트(421)에 의해 마스크팩(M)이 단차지게 안착되면 제4이동블럭(432)과 제5이동블럭(434)의 이동에 따라 도 18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강하고, 이 상태에서 스테이지(410)의 상면과 승강플레이트(421)의 하면 사이로 마스크팩(M)을 밀면서 이동하여 제2접이부(440)로 반으로 접어진 마스크팩(M)을 공급한다.
제2접이부(440)는, 승강플레이트(421)의 후방 즉 도면상 스테이지(410)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접이부(420)를 통해 반으로 접어진 상태로 이송된 마스크팩(M)의 접어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마스크팩(M)의 양측을 각각 들어올린 상태로 교번적으로 이동하면서 마스크팩(M)을 3등분으로 포개지게 접는다.
제2접이부(440)는 도 16 내지 도 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고정편(441)과, 한 쌍의 제2슬라이더(442)로 구성된다.
위치고정편(441)은, 승강플레이트(421)의 후방과 인접된 상태로 스테이지(410) 타측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1접이부(420)로부터 접어진 상태로 공급되는 마스크팩(M)의 상면 중심부를 눌러준다.
이때, 위치고정편(441)의 이격 높이는 앞서 서술된 승강플레이트(421)의 높이와 동일하다.
또한, 위치고정편(441)은 공급되는 마스크팩(M)의 중심 부위를 눌러주기 위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410) 길이방향의 중심위치에 셋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위치고정편(441)은 마스크팩(M)의 다양한 두께에 적용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된 높이로 R고정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제2슬라이더(442)는 위치고정편(441)의 양측에 마주하는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면이 스테이지(410)의 상면과 대응하는 면상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때, 제2슬라이더(442)의 상면은 편평한 면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이며, 반으로 접어진 마스크팩(M)의 양측을 밀어서 접기 위해 소정의 길이를 유지하고 있다.
위의 상태애서 마스크팩(M)이 공급되면, 도 19와 같이 마스크팩(M)의 양측은 노출될 것이며, 한 쌍의 제2슬라이더(442)는 마스크팩(M)의 하면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위의 상태에서 한 쌍의 제2슬라이더(442)는, 위치고정편(441)의 양측으로 노출된 마스크팩(M)의 하면 양측을 들어올려 교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마스크팩(M)을 3등분으로 접게 된다.
한 쌍의 제2슬라이더(442)가 승강과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제2슬라이더(442)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6수직겐트리(44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6이동블럭(444)과, 제6이동블럭(444)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된 제7수평겐트리(445)를 타고 이동하는 제7이동블럭(446)에 고정되어 제6이동블럭(444) 및 제7이동블럭(446)의 이동방향에 따라 승강 및 수평이동 하게 된다.
한편 제2접이부(440)에는 도 17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팩(M)이 제1접이부(420)의 승강플레이트(421)를 통해 공급될 때 복귀하는 제1접이부(420)의 승강플레이트(421)와 마스크팩(M)이 분리되도록 위치고정편(441)의 양측으로 노출된 마스크팩(M)의 양측 상면을 선택적으로 눌러주는 한 쌍의 가압푸셔(447)가 구비된다.
이 경우 가압푸셔(447)는, 일측으로 마련된 푸셔회전실린더(448)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마스크팩(M)이 공급될 때 마스크팩(M)의 양단을 각각 눌러주고, 제2접이부(440)의 마스크팩(M) 접이 공정이 이루어질 때 원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마스크팩(M)을 선택적으로 눌러주게 된다.
따라서 제2슬라이더(442)는, 승강플레이트(421)를 통해 반으로 접어진 마스크팩(M)이 공급되면, 가압푸셔(447)를 통해 마스크팩(M)의 양측을 눌러 제1슬라이더(430)의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2슬라이더(442)가 제6이동블럭(444)과 제7이동블럭(446)의 구동에 의해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반으로 접어진 마스크팩(M)의 양측을 들어올려 교번적으로 접어 마스크팩(M)을 3등분으로 접는다.
한편, 제2접이부(440)가 배치된 스테이지(410)의 일측은, 도 17 및 도 19와 같이 위치고정편(441)의 하면까지 절개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앞서 서술된 배출수단(20)의 회동바(21)의 픽커(22)가 접어진 마스크팩(M)을 취출하기 위해 진입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마스크팩(M)이 낱장으로 분리되고, 접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리프트(10)에 복수매의 마스크팩(M)을 적재시킨다.
이후, 구동모터(13)의 구동을 통해 회전봉(14)과 볼스크류(11)를 회전시키면서 승강바(12)를 상승시켜 적재된 마스크팩(M)의 상측이 픽킹유닛(10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한다.
위의 상태에서 픽킹유닛(100)이 하강하게 되고, 픽킹유닛(100)의 하강은 제1,2고정편(112,132)과 제1,2회동편(142,135)들의 지지핀(P)이 최상측 마스크팩(M)에 삽입되는 위치까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픽킹유닛(100)의 하강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됨은 물론일 것이다.
제1,2고정편(112,132)과 제1,2회동편(142,135)들의 지지핀(P)이 마스크팩(M)에 삽입되면, 틸팅부(120) 양측의 틸팅수단(130)은 도 8의 (a)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제1회전실린더(121)의 구동에 의해 회전캠(122)과 함께 회전링크(123)의 이동이 일어나게 되면서 제1레그(131)가 도 8의 (b)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마스크팩(M)의 양측은 제1레그(131)의 회전에 의해 틸팅되면서 하측의 마스크팩(M)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마스크팩(M)의 양측이 틸팅되면, 픽킹된 마스크팩(M) 만이 분리될 수 있도록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10)의 양측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가압편(214)이 회동실린더(213)의 회동을 통한 회동편(212)의 회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하측 마스크팩(M)의 양측을 눌러 준다.
이 상태에서 회전부(140)의 제2실린더(154)가 구동하여 연장암(152)을 회동시킨다.
연장암(152)의 회동에 따라 회전지지체(151)를 중심으로 회전부재(150)의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더불어 회전부재(150)와 일체를 이룬 제1지지플레이트(143), 제1지지부재(144) 및 림부(141)도 함께 연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림부(141)의 회전에 따라 제1회동편(142)들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1회동편(142)들의 지지핀(P)들이 마스크팩(M)의 표면에 장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마스크팩(M)은 지지핀(P)들의 장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회동편(142)들의 회동과 동시에 틸팅수단(130)의 제2회동편(135)들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2회동편(135)들의 회동은 제1레그(131)의 회동과 함께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제1회동편(142)들의 회동과 함께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제2회동편(135)들의 회동은 설정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제2회동편(135)의 회동은, 먼저 도 9의 (a)상태에서 제1실린더(133)가 화살표 방향인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로드를 당긴다.
이러게 되면, 제2레그(134)는 제1레그(131)의 돌출부(131a)를 기준으로 도 9의 (b)와 같이 회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제2회동편(135)의 지지핀(P)들이 마스크팩(M)이 표면을 당기면서 장력을 발생시켜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제2회동편(135)의 회동방향은 제1실린더(133) 로드의 진행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픽킹유닛(100)에 마스크팩(M)이 완전하게 지지되면, 픽킹유닛(100)이 마스크팩(M)을 분리할 수 있도록 제2이동블럭(315)을 상승시킨다.
이후, 마스크팩(M)이 픽킹된 픽킹유닛(100)은 제1이동블럭(313)의 이동에 의해 접이유닛(400)의 스테이지(410)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분리부(160)의 제3실린더(167)가 구동하면서 승강봉(165)을 하강시키게 되고, 승강봉(165)의 하강과 함께 제2지지플레이트(163)와 메인푸셔(161)도 하강하게 된다.
이러게 되면, 제1,2고정편(112,132)과 제1,2회동편(142,135)에 지지된 마스크팩(M)이 하강하는 메인푸셔(161)에 의해 제1,2고정편(112,132)과 제1,2회동편(142,135)으로부터 분리되어 스테이지(410)에 안착된다.
마스크팩(M)이 분리된 픽킹유닛(110)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더불어 회동되었던 구조들도 함께 복귀하게 된다.
도 20의 (a)는 스테이지(410)에 안착된 마스크팩(M)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승강플레이트(421)는 스테이지(4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마스크팩(M)이 안착되면, 마스크팩(M)은 도 21의 (a)와 같이 단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도 21의 (b)와 같이 제1슬라이더(430)가 제4이동블럭(432)에 의해 단차진 마스크팩(M)의 도면상 좌측 하면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동이 완료되면, 도 21의 (c)와 같이 제1슬라이더(430)가 제5이동블럭(434)의 이동에 의해 하강하면서 마스크팩(M)의 좌측 하면을 눌러준다.
위의 상태에서 제4이동블럭(432)이 다시 제2접이부(44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슬라이더(430)를 함께 이동시켜 도 21의 (d)와 같이 마스크팩(M)을 2/1인 절반으로 접어 제2접이부(440)로 공급한다.
이때, 한 쌍의 가압푸셔(447)는 회전을 통해 공급된 마스크팩(M)의 양측을 눌러주게 되며, 제1슬라이더(430)가 복귀하면 누름을 해제하게 된다.
이후, 제1슬라이더(430)는 제4이동블럭(432)과 제5이동블럭(434)의 복귀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제1슬라이더(430)의 구동에 의해 반으로 접어진 마스크팩(M)이 제2접이부(440)로 공급된 상태는 도 20의 (b)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2접이부(440)에서 한 쌍의 제2슬라이더(442)의 구동에 의해 도 20의 (c)와 같이 3등분으로 접어지게 되고, 접이가 완료된 마스크팩(M)은 배출수단(20)의 픽커(22)에 의해 취출되어 후 공정으로 배출된다.
이하, 제2접이부(440)로 공급된 마스크팩(M)이 접어지는 과정을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2접이부(440)로 공급된 마스크팩(M)은 도 22의 (a)와 같이 위치고정편(441)에 눌린 상태로 스테이지(410) 상에 위치하게 된다.
위의 상태에서 한 쌍의 제2슬라이더(442) 중 도면상 우측의 제2슬라이더(442)가 도 22의 (b)와 같이 제6이동블럭(444)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마스크팩(M)의 우측을 들어올린다.
이후, 도 22의 (c)와 같이 제7이동블럭(446)의 이동에 의해 우측의 제2슬라이더(442)가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들어올려진 마스크팩(M)의 우측을 위치고정편(441)의 상면으로 접는다.
마스크팩(M) 우측의 접이 공정이 완료되면, 우측의 제2슬라이더(442)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다음으로 도면상 좌측의 제2슬라이더(442)가 도 22의 (d)와 같이 제6이동블럭(444)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마스크팩(M)의 좌측을 들어올린다.
이후, 도 22의 (e)와 같이 제7이동블럭(446)의 이동에 의해 좌측의 제2슬라이더(442)가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들어올려진 마스크팩(M)의 좌측을 위치고정편(441)의 상면에 이미 접어진 마스크팩(M)의 위로 포개어 접어 마스크팩(M)을 3등분으로 포개지는 접이공정을 완료한다.
위의 공정은 마스크팩(M)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은, 적층된 마스크팩의 낱장 분리시 분리되는 마스크팩의 양측을 틸팅시킨 상태로 마스크팩의 표면 전체가 지지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분리되도록 하여 이동 간에 따른 마스크팩의 낙하가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마스크팩의 여러 방향의 접이 과정이 슬라이더들을 통해 신속하게 접어짐에 따라 시간이 최대한으로 단축되어 마스크팩 접이에 대한 택타임(Takt Time)이 상당히 짧아지는 구조적인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을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 : 리프트 100 : 픽킹유닛
110 : 고정프레임 111 : 고정지그
112 : 제1고정편 113 : 연장편
114 : 결합홈 115 : 수직지그
116 : 수평지그 120 : 틸팅부
121 : 회전실린더 122 : 회전캠
123 : 회전링크 130 : 틸팅수단
131 : 제1레그 132 : 제2고정편
133 : 제1실린더 134 : 제2레그
135 : 제2회동편 140 : 회전부
141 : 림부 142 : 제1회동편
143 : 제1지지플레이트 144 : 제1지지부재
150 : 회전부재 151 : 회전지지체
152 : 연장암 153 : 플랜지
154 : 제2실린더 160 : 분리부
161 : 메인푸셔 162 : 보조푸셔
163 : 제2지지플레이트 164 : 제2지지부재
165 : 승강봉 167 : 제3실린더
200 : 가압유닛 210 : 수직프레임
211 : 브라켓 212 : 회동편
213 : 회동실린더 214 : 가압편
300 : 이송유닛 310 : 고정플레이트
311 : 관통슬롯 312 : 제1수평겐트리
313 : 제1이동블럭 314 : 제2수직겐트리
315 : 제2이동블럭 400 : 접이유닛
410 : 스테이지 420 : 제1접이부
421 : 승강플레이트 422 : 제3수직겐트리
423 : 제3이동블럭 430 : 제1슬라이더
431 : 제4수평겐트리 432 : 제4이동블럭
433 : 제5수직겐트리 434 : 제5이동블럭
440 : 제2접이부 441 : 위치고정편
442 : 제2슬라이더 443 : 제6수직겐트리
444 : 제6이동블럭 445 : 제7수평겐트리
446 : 제7이동블럭 447 : 가압푸셔
448 : 푸셔회전실린더 500 : 마스크팩 접이장치
P : 지지핀

Claims (8)

  1. 마스크팩(M)이 적층된 리프트(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적층된 상기 마스크팩(M)을 낱장씩 픽킹하는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100)에 있어서,
    상기 픽킹유닛(100)은,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핀(P)을 갖는 복수개의 제1고정편(112)이 고정되는 고정지그(111)와, 상기 고정지그(111)의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된 수직지그(115)와, 상기 수직지그(115)의 상측방향에 구비된 판 상의 수평지그(116)로 구성된 고정프레임부(110);
    상기 수직지그(115)에 구비되며, 적층된 상측 마스크팩(M)의 마주하는 양측을 틸팅시켜 하측 마스크팩(M)과 이격시키는 틸팅부(120);
    상기 수평지그(116)에 지지되며, 양측이 틸팅된 상기 마스크팩(M)의 둘레와 인접하는 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장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140); 및
    상기 고정프레임부(1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픽킹된 상기 마스크팩(M)을 분리시키는 분리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111)의 둘레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1고정편(112)이 고정지그(111)의 중심으로부터 가상으로 형성되는 직경에 대하여 방사상 동일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장편(1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120)는,
    회전실린더(121)에 연결된 회전캠(122);
    상기 회전캠(122)에 마주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회전링크(123); 및
    상기 회전링크(123)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회전캠(1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마스크팩(M)의 양측을 틸팅시키는 한 쌍의 틸팅수단(1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수단(130)은,
    상기 회전링크(123)와 핀 결합되며, 하측으로 상기 고정지그(1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면에 지지핀(P)을 갖는 제2고정편(132)이 구비된 제1레그(131);
    상기 회전링크(123)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제1레그(131)의 상측에 구비된 제1실린더(133); 및
    상기 제1레그(131)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면에 지지핀(P)을 갖는 제2회동편(135)이 구비되어 상기 제1실린더(133)의 구동에 의해 회동하는 제2레그(1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그(134)의 길이방향 상측에는 상기 제1실린더(133)의 로드와 핀 결합되는 장공(134a)이 형성되고, 상기 제2레그(134)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상기 제1레그(131)의 돌출부(131a)와 핀 결합되는 결합편(13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40)는,
    상기 고정지그(111)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지그(111)의 상기 제1고정편(112)들과 동일선상을 유지한 상태로 이격되고 지지핀(P)을 갖는 복수개의 제1회동편(142)이 구비된 림부(141);
    상기 림부(141)의 상부로 수직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지지부재(144)에 의해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지지플레이트(143); 및
    상기 수평지그(116)에 고정된 회전지지체(15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143)를 관통한 상태로 상단에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암(152)이 형성되고, 둘레에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143)의 저면과 결합되는 플랜지(153)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암(152)과 연결된 제2실린더(154)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지지체(15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160)는,
    상기 고정지그(111)의 둘레에 배치되며, 둘레를 따라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개의 보조푸셔(162)가 형성된 편평한 면을 갖는 링 형상의 메인푸셔(161);
    상기 메인푸셔(161)의 상부로 수직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지지부재(164)에 의해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수직지그(115)에 관통되게 배치된 제2지지플레이트(163); 및
    수직한 상태로 하측이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163)에 고정되고, 상측이 제3실린더(167)와 결합되어 상기 제3실린더(167)의 구동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승강봉(16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봉(165)은 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


KR1020170047777A 2017-04-13 2017-04-13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 KR101849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777A KR101849249B1 (ko) 2017-04-13 2017-04-13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777A KR101849249B1 (ko) 2017-04-13 2017-04-13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249B1 true KR101849249B1 (ko) 2018-04-16

Family

ID=6208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777A KR101849249B1 (ko) 2017-04-13 2017-04-13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24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502B1 (ko) * 2018-06-04 2018-12-14 황건수 시트팩 자동 공급 장치
KR101909117B1 (ko) * 2018-05-21 2018-12-19 주식회사 티제이테크 마스크팩 픽킹유닛
KR20200021118A (ko) * 2018-08-20 2020-02-28 박동석 고속 부직포 자동 공급장치
CN111661429A (zh) * 2020-07-29 2020-09-15 哈尔滨禄远科技有限公司 一种面膜及其加工方法
CN111792134A (zh) * 2020-07-29 2020-10-20 哈尔滨禄远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中药成分的面膜及其制备工艺与制备系统
KR20210000107A (ko) * 2019-06-24 2021-01-04 주윤중 삽지일체형 부직포마스크팩시트 자동접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310B1 (ko) 2015-12-18 2016-10-28 이재유 마스크팩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310B1 (ko) 2015-12-18 2016-10-28 이재유 마스크팩 제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117B1 (ko) * 2018-05-21 2018-12-19 주식회사 티제이테크 마스크팩 픽킹유닛
KR101929502B1 (ko) * 2018-06-04 2018-12-14 황건수 시트팩 자동 공급 장치
KR20200021118A (ko) * 2018-08-20 2020-02-28 박동석 고속 부직포 자동 공급장치
KR102107904B1 (ko) * 2018-08-20 2020-05-26 박동석 고속 부직포 자동 공급장치
KR20210000107A (ko) * 2019-06-24 2021-01-04 주윤중 삽지일체형 부직포마스크팩시트 자동접지장치
KR102223643B1 (ko) 2019-06-24 2021-03-04 주윤중 삽지일체형 부직포마스크팩시트 자동접지장치
CN111661429A (zh) * 2020-07-29 2020-09-15 哈尔滨禄远科技有限公司 一种面膜及其加工方法
CN111792134A (zh) * 2020-07-29 2020-10-20 哈尔滨禄远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中药成分的面膜及其制备工艺与制备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249B1 (ko)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
KR101668310B1 (ko) 마스크팩 제조장치
KR101849247B1 (ko) 마스크팩 접이장치
KR101701181B1 (ko) 마스크팩 제조장치의 분리유닛
US6520058B2 (en) Three-side trimmer
KR101849251B1 (ko)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접이유닛
JPH08175748A (ja) 積重ね方法及び装置
KR102131783B1 (ko) 마스크 팩 공급장치
KR101909117B1 (ko) 마스크팩 픽킹유닛
DE602005001378T2 (de) Maschine zum gruppenweisen Kartonieren von Gegenständen
JP5941519B2 (ja) 食品生地の成形方法及び装置
CN114476191A (zh) 水果套袋装置
KR101849261B1 (ko) 마스크팩 접이장치 및 접이방법
DE19904281A1 (de) Maschine zum automatischen Verpacken von Nadeln mit daran befestigtem Nahtmaterial
KR101756945B1 (ko) 이송장치
CN212919964U (zh) 硅棒压紧装置及硅棒开方机
KR20190012655A (ko) 봉형 정수 필터 절단 방법
JP4278854B2 (ja) 包皮食品製造装置における麺皮移し替え装置
KR101849260B1 (ko) 마스크팩 제조장치의 폴딩유닛
US5052876A (en) Unpackaging apparatus for packaged sheets
JP4972214B1 (ja) 野菜類の芯取り切断装置
EP1389597A1 (de) Verfahren sowie Vorrichtung zum Entstapeln eines aus mehreren horizontal geschichteten Warenlagen bestehenden Warenstapels
CN208233431U (zh) 一种生日蜡烛锡膜自动包装机
CN210939515U (zh) 一种智能物流裁切生产线
KR102125769B1 (ko) 마스크시트를 낱장으로 투입하는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