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117B1 - 마스크팩 픽킹유닛 - Google Patents

마스크팩 픽킹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117B1
KR101909117B1 KR1020180057749A KR20180057749A KR101909117B1 KR 101909117 B1 KR101909117 B1 KR 101909117B1 KR 1020180057749 A KR1020180057749 A KR 1020180057749A KR 20180057749 A KR20180057749 A KR 20180057749A KR 101909117 B1 KR101909117 B1 KR 101909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ack
support frame
mask
moving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제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제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제이테크
Priority to KR1020180057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2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by needles or the like engag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48Air blast acting on edges of, or und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65H2301/423245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the pile lying on a stationary support, i.e. the separator moving according to the decreasing height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매가 적층된 상태로 공급되는 마스크팩의 낱장 분리가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스크팩 픽킹유닛에 관한 것으로,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플레이트; 상기 승강플레이트 하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하면에 복수개의 고정핀부들이 구비된 상태로 하강에 의해 상기 마스크팩 표면을 지지하는 링 형상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방사상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이동을 통해 상기 마스크팩에 외측방향으로 향하는 장력을 발생시켜 상기 마스크팩을 지지하는 장력발생수단;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강을 통해 픽킹된 마스크팩을 분리시키는 분리푸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마스크팩 픽킹유닛{Mask pack picking unit}
본 발명은 마스크팩 픽킹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매가 적층된 상태로 공급되는 마스크팩의 낱장 분리가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스크팩 픽킹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팩은 얼굴 표면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미안술(美顔術)로서, 미용에서는 얼굴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팩 제(劑)를 흠뻑 발라두는 것을 가리킨다. 즉, 피부가 거칠어졌을 때나 햇볕에 검게 탓을 때, 혹은 피로해졌을 때 등에 이 방법을 사용하며 주목적에 따라 팩 제를 선택하여 얼굴을 덮어 일시적으로 외기를 차단하여 보습에 의해 피부 축적된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마스크팩은 사과나 오이 등과 같이 비교적 수분이 많이 함유되고 비타민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된 과일이나 야채로 이를 소정의 크기로 썰어 얼굴 등 원하는 부위에 직접 붙이기도 하고,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를 팩 제로 하거나 황토나 진흙을 팩 제로 한 진흙 마스크팩이나 한약 성분을 주재료로 하는 한방 마스크팩 등 여러 가지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스크팩의 경우 즉, 팩 제를 직접 얼굴에 붙이는 방식의 마스크팩은 팩 제를 얼굴에 바른 후 발라진 팩 제가 탈리되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일정 시간을 기다리고, 이후 얼굴에 발라진 팩 제를 제거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사용하기에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천연재료를 가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이용하거나 또는 천연재료로부터 즙을 내어 바르거나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준비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사용 후 후처리가 몹시 번거롭고 불편하기 때문에 이용이 매우 제한된다는 한계가 있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부직포와 같은 흡습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진 시트에 에센스나 알로에, 오일, 황토 등의 각종 유효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첨가물을 함침 및 흡수시킨 마스크팩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팩은 기능성 첨가물과 함께 포장물에 충진된 상태임에 따라 포장지로부터 마스크팩을 취출 후 일정 시간 동안 얼굴에 부착만 시켜놓았다가 정해진 시간이 되면 제거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세안 등이 필요없어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인해 많은 사용자들이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된 국내등록특허 제10-1849249호에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핀을 갖는 복수개의 제1고정편이 고정되는 고정지그와, 상기 고정지그
의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된 수직지그와, 상기 수직지그의 상측방향에 구비된 판 상의 수평지그로 구성된 고정프레임부; 상기 수직지그에 구비되며, 적층된 상측 마스크팩의 마주하는 양측을 틸팅시켜 하측 마스크팩과 이격시키는 틸팅부; 상기 수평지그에 지지되며, 양측이 틸팅된 상기 마스크팩의 둘레와 인접하는 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장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고정프레임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픽킹된 상기 마스크팩을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 기술이 개재되어 있다.
그러나, 위의 기술은 마스크팩의 낱장 픽킹을 위해 고정지그와 수직지그 및 수평지그로 구성된 고정프레임과, 마스크팩의 표면 양측을 틸팅시키는 틸팅부와, 마스크팩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 및 분리부로 구성됨에 따라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여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있고, 무엇보다도 제작비가 상승하는 비용적이 문제가 있다.
또한, 틸팅부를 통해 마스크팩의 양측만을 잡아 당기면서 마스크팩을 분리하기 때문에 부직포 재질인 해당부위의 변형이 발생함에 따라, 마스크팩이 비전검사를 위해 안착될 때 해당부위의 들뜸현상에 의해 안착상태가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마스크팩의 낱장 픽킹시 적층된 하측의 마스크팩이 함께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하측의 적층된 마스크팩을 눌러주는 가압유닛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국내등록특허 제10-1849249호 특허문헌 2: 국내등록특허 제10-170118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픽킹유닛의 구조가 단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마스크팩의 낱장 분리가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마스크팩의 낱장 픽킹시 적층된 하측 마스크팩의 가압이 필요치 않는 마스크팩 픽킹유닛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스크팩 픽킹유닛은,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플레이트; 상기 승강플레이트 하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하면에 복수개의 고정핀부들이 구비된 상태로 하강에 의해 상기 마스크팩 표면을 지지하는 링 형상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방사상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이동을 통해 상기 마스크팩에 외측방향으로 향하는 장력을 발생시켜 상기 마스크팩을 지지하는 장력발생수단;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강을 통해 픽킹된 마스크팩을 분리시키는 분리푸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장력발생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둘레면을 따라 인접되게 배치되며, 하면에 고정핀부들이 구비된 복수개의 이동지그; 상기 지지프레임의 직경 중심에 배치된 척실린더; 및 일측은 상기 이동지그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척실린더와 연결된 복수개의 이동척;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부들이 상기 척실린더를 통한 이동지그들의 이동에 의해 상기 마스크팩을 외측방향으로 당겨 장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마스크팩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둘레면에는 상기 이동척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이동지그의 하면에 구비된 고정핀부들은 가상의 직경라인을 따라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마스크팩의 픽킹이 이루어질 때 적층된 하측의 마스크팩과 분리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하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에어분사노즐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에어분사노즐의 말단부 외주면에는, 분사되는 에어가 상기 에어분사노즐의 직경방향으로 확산되도록 복수개의 확산홈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은 복수개의 지지바에 의해 상기 승강플레이트와 이격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마스크팩 픽킹유닛에 의하면,
마스크팩의 낱장 분리시 마스크팩 표면의 둘레방향 부위가 방사상으로 당겨지게 하여 마스크팩의 픽킹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당겨지는 부위의 형상변형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후 공정을 위한 마스크팩의 안착상태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마스크팩의 낱장 분리시 에어분사를 통해 하측 마스크팩과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하측 마스크팩의 가압을 위한 장치가 필요치 않아 구조적으로 뛰어나 효과가 있다.
또한, 마스크팩이 이동지그의 이동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구조적인 개선을 통한 유지보수의 편리함과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스크팩 픽킹유닛이 설치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픽킹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승강플레이트를 제거한 요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을 보여주는 요부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3의 평면도로서, 이동지그의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작용도이며,
도 8은 도 4의 상태에서 픽킹된 마스크팩을 분리시키기 위해 분리푸셔가 하강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스크팩 픽킹유닛이 설치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픽킹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승강플레이트를 제거한 요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을 보여주는 요부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3의 평면도로서, 이동지그의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작용도이며, 도 8은 도 4의 상태에서 픽킹된 마스크팩을 분리시키기 위해 분리푸셔가 하강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스크팩 픽킹유닛(100)은, 승강장치(111)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플레이트(110); 상기 승강플레이트(110) 하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하면에 복수개의 고정핀부(P)들이 구비된 상태로 하강에 의해 상기 마스크팩(M) 표면을 지지하는 링 형상의 지지프레임(120); 상기 지지프레임(120)에 방사상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이동을 통해 상기 마스크팩(M)에 외측방향으로 향하는 장력을 발생시켜 상기 마스크팩(M)을 지지하는 장력발생수단(130); 및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내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강을 통해 픽킹된 마스크팩(M)을 분리시키는 분리푸셔(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마스크팩 픽킹유닛(100)은 복수매의 마스크팩(M)이 적층된 리프트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적층된 마스크팩(M)을 낱장씩 분리하여 픽킹한다.
이때, 분리되는 마스크팩(M)이 적층된 하측의 마스크팩(M)과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픽킹된 마스크팩(M)의 안정적인 지지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스크팩 픽킹유닛이 설치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마스크팩 픽킹유닛(100)은 연결부재를 통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두 개의 마스크팩 픽킹유닛(100)이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동시에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두 개의 마스크팩 픽킹유닛(100)의 사이에는 콘베이어(C)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콘베이어(C)는 각 마스크팩 픽킹유닛(100)을 통해 각각 픽킹된 마스크팩(M)을 후 공정을 위한 장소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두 개의 마스크팩 픽킹유닛(100)이 구비되면, 두 개의 마스크팩 픽킹유닛(100)이 동시에 이동하면서 콘베이어(C)에 분리된 마스크팩(M)을 번갈아 안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마스크팩(M)을 낱장으로 분리하는 공정의 택-타임을 단축할 수 있어 대량 생산에 따른 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스크팩 픽킹유닛(100)이 두 개가 적용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전용기의 크기 또는 생산량에 따라 단일로도 적용가능하기 때문에 그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에 앞서, 후술하게되는 각 구성들을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마스크팩 픽킹유닛(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마스크팩 픽킹유닛(100)은 크게 승강플레이트(110)와, 지지프레임(120)과, 장력발생수단(130) 및 분리푸셔(140)로 구성된다.
승강플레이트(110)는 도 2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상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일면이 상측에 수직한 상태로 배치된 승강장치(111)와 연결되어 있다.
승강플레이트(110)는 승강장치(111)의 구동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며, 승강을 통해 후술하는 지지프레임(120)과 장력발생수단(130) 및 분리푸셔(140)를 적층된 마스크팩(M)으로 하강 및 상승시켜 마스크팩(M)의 낱장 픽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승강장치(111)는 승강플레이트(110)의 정교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서보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승강제어는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됨은 물론이다.
더하여, 승강장치(111)는 도 1과 같이 연결부재에 결합된 상태이다.
지지프레임(120)은 2 내지 도 8과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형의 링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승강플레이트(110)의 하측방향으로 소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되어 승강플레이트(110)와 연동 하강하면서 하측에 적층된 마스크팩(M)의 상부 표면과 접촉을 이루면서 마스크팩(M)을 지지한다.
이때, 지지프레임(120)의 이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20)과 승강플레이트(110) 사이에는 3개의 지지바(121)가 구비되며, 3개의 지지바(121)는 등 간격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하측이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측이 승강플레이트(110)의 하면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링 형상의 지지프레임(120) 하면에는, 도 4와 같이 마스크팩(M)의 표면과 접촉된 상태로 마스크팩(M)을 지지하는 수십개의 핀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고정핀부(P)가 지지프레임(120)의 하면을 따라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고정핀부(P)의 돌출 정도는 마스크팩(M)과 접촉을 이룰 때 마스크팩(M)을 관통하지 않을 정도이다.
그리고, 복수개의 고정핀부(P)는 도 4와 같이 지지프레임(120)의 하면에 가상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직경라인(B)(일점쇄선)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하는 이동지그(131)들의 하면에 돌출된 고정핀부(P)들도 이 직경라인(B)을 따라 배치된다.
이는, 지지프레임(120)과 이동지그(131)의 고정핀부(P)들이 동일한 가상의 직경라인(B) 상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복수개이 이동지그(131)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장력이 마스크팩(M)의 외측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와 같이 지지프레임(120)의 둘레면에는 둘레를 따라 후술하는 장력발생수단(130)의 복수개의 이동척(133)이 수용되도록 지지프레임(120)의 중심을 향하여 함몰된 3개의 수용홈(1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동척(133)이 수용홈(122)에 수용됨에 따라 지지프레임(120)의 둘레와 이동척(133)들의 둘레가 일치되게 하고, 이로 인해 고정핀부(P)를이 둘레의 최외측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스크팩(M)의 픽킹을 위한 지지가 마스크팩(M)의 외측 부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도 6 및 도 7 참조).
장력발생수단(130)은 링 형상의 지지프레임(120)에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이동을 통해 픽킹 대상이 되는 마스크팩(M) 표면에 마스크팩(M)의 외측방향으로 향하는 장력을 발생시켜 마스크팩(M)을 지지한다.
즉, 마스크팩(M)의 픽킹을 위해 마스크팩(M)의 둘레방향을 향해 장력을 방사상으로 발생시키면서 마스크팩(M)을 지지하는 것이다.
장력발생수단(13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이동지그(131)와, 척실린더(132) 및 이동척(133)을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지그(131)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직경과 대응하는 곡면을 갖는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3개의 이동지그(131)가 지지프레임(120)의 둘레면을 따라 지지프레임(120)의 3개의 수용홈(122)에 각각 수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동지그(131)의 하면에는 마스크팩(M) 표면과 접촉을 이루는 복수개의 고정핀부(P)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고정핀부(P)는 지지프레임(120)의 고정핀부(P)와 동일한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척실린더(132)는 3개의 이동지그(131)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지지프레임(120)의 직경 중심에 배치된 상태로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승강플레이트(110)에 고정되어 있다.
척실린더(132)의 구조는 통상적인 사항임에 따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척(133)은 척실린더(132)와 이동지그(131)를 연결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길이방향 일측은 이동지그(131)와 연결되고 타측은 척실린더(132)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척(133)은 이동지그(131)가 3개로 구성됨에 따라 도시된 도면과 같이 3개가 필요하며, 척실린더(132)의 구동에 따라 도 6의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연결된 이동지그(131)를 도 7과 같이 외측방향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장력발생수단(130)은 척실린더(132)에 의한 이동척(133)에 의해 3개의 이동지그(131)가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각 이동지그(131)들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고정핀부(P)들이 마스크팩(M)의 표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접촉부위를 도 7의 화살표 방향인 외측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마스크팩(M)에 외측으로 향하는 방사상의 장력을 발생시키면서 마스크팩(M)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척(133), 이동지그(131) 및 지지프레임(120)의 수용홈(122)이 3개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마스크팩(M)그 픽킹유닛의 구조에 따라 개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그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분리푸셔(140)는 도 4 및 8과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링 형상의 지지프레임(120)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을 통해 마스크팩 픽킹유닛(100)에 픽킹된 마스크팩(M)을 분리시킨다.
즉, 이동척(133)과 지지프레임(120)의 고정핀부(P)들에 의해 픽킹된 마스크팩(M)을 설정된 장소 즉 도 1과 같이 콘베이어(C) 상에 안착시킬 때, 분리푸셔(140)가 마스크팩(M)을 하측방향으로 밀어 고정핀부(P)들에 의한 마스크팩(M)의 지지상태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분리푸셔(140)의 상부에는 분리푸셔(140)의 상승과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의 실린더(14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실린더(141)는 승강플레이트(110)에 고정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분리푸셔(140)를 승강시키게 된다.
더하여, 분리푸셔(140)의 판면에는 복수개의 홀(미부호)들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마스크팩(M)을 픽킹하기 위해 마스크팩 픽킹유닛(100)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마스크팩(M)이 리프트에 적층될 때 마스크팩(M)에 형성된 눈과 입부위를 관통하는 봉(미도시)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지지프레임(120)에는 도 3 내지 7과 같이, 이동척(133)과 지지프레임(120)의 고정핀부(P)들을 통해 마스크팩(M)의 픽킹이 이루어질 때 픽킹 대상의 하측에 적층된 마스크팩(M)과의 분리가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측의 마스크팩(M)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에어분사노즐(150)이 구비된다.
에어분사노즐(150)은 링 형상의 지지프프레임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에 각각 나사결합을 통해 관통되게 설치된다.
이때, 관통홀에 결합되는 에어분사노즐(150)은 도 5와 같이 도면상 하측의 말단부가 지지프레임(120)의 하면으로부터 미세하게 노출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에어분사노즐(150)의 말단부 외주면에는, 분사되는 에어가 에어분사노즐(150)의 직경방향으로 확산되도록 복수개의 확산홈(151)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분사되는 에어가 하측으로 분사됨과 동시에 복수개의 확산홈(151)을 통해 마스크팩(M) 표면 사이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픽킹된 마스크팩(M)은 복수개의 에어분사노즐(150)을 통해 에어가 동시에 하측의 마스크팩(M)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하측 마스크팩(M)과 순간적으로 이격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 과정에서 픽킹된 마스크팩(M) 만의 상승이 이루어지게 된다.
미설명된 부호 152는 에어분사노즐(150)에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튜브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마스크팩(M)이 낱장으로 픽킹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승강장치(111)를 이동시켜 마스크팩 픽킹유닛(100)을 마스크팩(M)이 적층된 리프트의 상측에 배치시킨다.
이후, 승강장치(111)를 구동시키면서 지지프레임(120)과 이동지그(131)의 고정핀부(P)들이 적층된 상측 마스크팩(M)의 표면과 접촉될 때까지 하강시킨다(도 5 참조).
이때, 지지프레임(120)과 이동지그(131)의 하강은 승강장치(111)를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이렇게 되면, 지지프레임(120)과 이동지그(131)의 고정핀부(P)들은 마스크팩(M)의 둘레와 인접하는 위치에서 마스크팩(M) 표면과 접촉을 이룬상태로 마스크팩(M)을 상측방향에서 지지하게 된다.
한편, 분리푸셔(140)는 실린더가 승강플레이트(110)에 고정된 상태임에 따라 승강플레이트(110)와 함께 승강을 이룬다.
지지프레임(120)과 이동지그(131)의 하강이 완료되면, 척실린더(132)가 구동하면서 3개의 이동척(133)을 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동척(133)의 이동에 의해 이동하는 3개의 이동지그(131)는 도 7과 같이 마스크팩(M)의 외측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이동지그(131)의 고정핀부(P)들은 지지된 마스크팩(M)의 표면을 외측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이렇게 되면 마스크팩(M)은, 3개의 이동지그(131)에 의해 둘레부위를 향하는 방사상의 장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고정핀부(P)들에 의해 팽팽한 지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승강장치(111)의 구동을 통해 지지프레임(120)과 이동지그(131)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지지프레임(120)과 이동지그(131)의 승강이 이루어지기 전, 복수개의 에어분사노즐(150)을 통해 도 5와 같이 에어가 동시에 하측의 마스크팩(M)을 향해 분사된다.
분사된 에어는 픽킹 대상이되는 마스크팩(M)과 하측 마스크팩(M) 사이로 유입되면서 양 마스크팩(M)을 순간적으로 이격시키기 때문에 마스크팩(M)의 픽킹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픽킹이 완료된 마스크팩(M)은 후 공정을 위한 콘베이어(C)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분리푸셔(140)의 하강에 의해 고정핀부(P)들과 분리되어 콘베이어(C)에 안착된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스크팩 픽킹유닛은, 마스크팩의 낱장 분리시 마스크팩 표면의 둘레방향 부위가 방사상으로 당겨지게 하여 마스크팩의 픽킹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당겨지는 부위의 형상변형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후 공정을 위한 마스크팩의 안착상태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마스크팩의 낱장 분리시 에어분사를 통해 하측 마스크팩과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하측 마스크팩의 가압을 위한 장치가 필요치 않아 구조적으로 뛰어나 효과가 있다.
또한, 마스크팩이 이동지그의 이동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구조적인 개선을 통한 유지보수의 편리함과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마스크팩 픽킹유닛을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마스크팩 픽킹유닛 101 : 연결부재
110 : 승강플레이트 111 : 승강장치
120 : 지지프레임 121 : 지지바
122 : 수용홈 123 : 관통홀
130 : 장력발생수단 131 : 이동지그
132 : 척실린더 133 : 이동척
140 : 분리푸셔 141 : 실린더
150 : 에어분사노즐 151 : 확산홈
152 : 에어튜브 B : 직경라인
L ; 레일 M : 마스크팩
P : 고정핀부

Claims (7)

  1. 마스크팩(M)이 적층된 리프트의 상측에 배치되어 적층된 마스크팩(M)을 낱장씩 픽킹하는 마스크팩 픽킹유닛(100)에 있어서,
    승강장치(111)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플레이트(110);
    상기 승강플레이트(110) 하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하면에 복수개의 고정핀부(P)들이 구비된 상태로 하강에 의해 상기 마스크팩(M) 표면을 지지하는 링 형상의 지지프레임(120);
    상기 지지프레임(120)에 방사상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이동을 통해 상기 마스크팩(M)에 외측방향으로 향하는 장력을 발생시켜 상기 마스크팩(M)을 지지하는 장력발생수단(130); 및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내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강을 통해 픽킹된 마스크팩(M)을 분리시키는 분리푸셔(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장력발생수단(130)은,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둘레면을 따라 인접되게 배치되며, 하면에 고정핀부(P)들이 구비된 복수개의 이동지그(131);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직경 중심에 배치된 척실린더(132); 및 일측은 상기 이동지그(131)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척실린더(132)와 연결된 복수개의 이동척(133);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핀부(P)들이 상기 척실린더(132)를 통한 이동지그(131)들의 이동에 의해 상기 마스크팩(M)을 외측방향으로 당겨 장력을 발생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픽킹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둘레면에는 상기 이동척(133)이 수용되는 수용홈(1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픽킹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20)과 상기 이동지그(131)의 하면에 구비된 고정핀부(P)들은 가상의 직경라인(B)을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픽킹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20)에는, 상기 마스크팩(M)의 픽킹이 이루어질 때 적층된 하측의 마스크팩(M)과 분리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20)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하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에어분사노즐(1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픽킹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노즐(150)의 말단부 외주면에는, 분사되는 에어가 상기 에어분사노즐(150)의 직경방향으로 확산되도록 복수개의 확산홈(151)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픽킹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복수개의 지지바(121)에 의해 상기 승강플레이트(110)와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픽킹유닛.
KR1020180057749A 2018-05-21 2018-05-21 마스크팩 픽킹유닛 KR101909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749A KR101909117B1 (ko) 2018-05-21 2018-05-21 마스크팩 픽킹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749A KR101909117B1 (ko) 2018-05-21 2018-05-21 마스크팩 픽킹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117B1 true KR101909117B1 (ko) 2018-12-19

Family

ID=65008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749A KR101909117B1 (ko) 2018-05-21 2018-05-21 마스크팩 픽킹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1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6706A (zh) * 2020-01-10 2020-05-19 朱金宝 一种固态干面膜及其加工系统与方法
KR20210000107A (ko) * 2019-06-24 2021-01-04 주윤중 삽지일체형 부직포마스크팩시트 자동접지장치
KR200493429Y1 (ko) * 2019-10-15 2021-03-30 정민호 마스크시트 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2940A (ja) * 2013-09-26 2015-04-0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板材分離装置及び板材分離方法
KR101849249B1 (ko) * 2017-04-13 2018-04-16 이재유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2940A (ja) * 2013-09-26 2015-04-0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板材分離装置及び板材分離方法
KR101849249B1 (ko) * 2017-04-13 2018-04-16 이재유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107A (ko) * 2019-06-24 2021-01-04 주윤중 삽지일체형 부직포마스크팩시트 자동접지장치
KR102223643B1 (ko) 2019-06-24 2021-03-04 주윤중 삽지일체형 부직포마스크팩시트 자동접지장치
KR200493429Y1 (ko) * 2019-10-15 2021-03-30 정민호 마스크시트 공급장치
CN111166706A (zh) * 2020-01-10 2020-05-19 朱金宝 一种固态干面膜及其加工系统与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117B1 (ko) 마스크팩 픽킹유닛
KR101849249B1 (ko)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픽킹유닛
CN205757091U (zh) 高速水果去皮去核开瓣一体机
CN105398178B (zh) 全自动覆膜机
US10562256B2 (en) Methods for producing pressware
JP2018501990A (ja) プレス成形品を製造するための成形型組立体
US10703064B2 (en) Systems for producing pressware
KR101990291B1 (ko) 스프레이 방식의 접착식 적층 코어 제조 장치
KR101701181B1 (ko) 마스크팩 제조장치의 분리유닛
JP5941519B2 (ja) 食品生地の成形方法及び装置
CN114476191A (zh) 水果套袋装置
KR101849261B1 (ko) 마스크팩 접이장치 및 접이방법
KR101849247B1 (ko) 마스크팩 접이장치
CN210538623U (zh) 自动压茶机
KR101849251B1 (ko) 마스크팩 접이장치의 접이유닛
CN112935742B (zh) 一种卡扣海绵垫圈的穿戴方法
CN114378180A (zh) 一种圆筒冲孔机
KR200436694Y1 (ko) 스웨징장치
KR102318608B1 (ko) 건멸치 내장 제거장치
KR101849260B1 (ko) 마스크팩 제조장치의 폴딩유닛
KR102025568B1 (ko) 마스크 팩 그립장치
CN115366310B (zh) 一种硅胶垫制品用加工模具
CN218192333U (zh) 一种弹簧预压机
CN110077101B (zh) 一种塑胶材质的拼图生产装置
CN209988608U (zh) 一种皮带输送线承托操作板活动机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