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945B1 -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945B1
KR101756945B1 KR1020170037546A KR20170037546A KR101756945B1 KR 101756945 B1 KR101756945 B1 KR 101756945B1 KR 1020170037546 A KR1020170037546 A KR 1020170037546A KR 20170037546 A KR20170037546 A KR 20170037546A KR 101756945 B1 KR101756945 B1 KR 101756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ing
receiving
accommodating
conveyed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왕진
Original Assignee
윤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왕진 filed Critical 윤왕진
Priority to KR1020170037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945B1/ko
Priority to PCT/KR2018/000414 priority patent/WO20181743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38Construction of the 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7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with two or more separator rollers in the fee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부직포나 직물 등의 이송대상물을 낱장씩 분리하여 이송한 다음 파우치에 수용하기에 적정하면서 다양한 크기로 권취하는 공정을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적층된 이송물을 상부에서부터 접촉하여 낱장씩 분리한 다음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송장치{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층된 이송물을 낱장으로 분리 및 이송한 다음 포장 파우치에 수용하기에 적정한 크기로 권취하는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직포나 직물은 다양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액상의 피부 미용용 영양 성분을 잘 함유하는 성질이 있어 미용 마스크 팩의 원단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미용 마스크 팩은 부직포나 직물에 다양한 종류의 피부 미용용 영양 성분을 선택적으로 흡수시켜, 피부가 거칠어졌을 때나, 햇볕에 검게 탓을 때, 피부에 영양을 보충하고자 할 때 사용하도록 한 것이며, 사용자는 주목적에 맞는 피부 미용용 영양 성분이 흡수된 미용 마스크 팩을 선택하여 사용함에 따라 피부를 아름답게 가꾸게 된다.
이러한 마스크 팩의 제조 공정을 살펴보면, 마스크 팩의 원단인 부직포나 직물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한장씩 낱장으로 분리한 다음 여러 번 접은 후 파우치에 담은 다음,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파우치 담겨진 부직포나 원단에 액상의 피부 미용용 영양 성분을 충진한 다음 파우치를 밀봉하여 완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마스크 팩의 제조공정에 의하면, 여러명의 작업자들이 수작업으로 부직포나 직물을 낱장으로 분리한 다음 접어서 파우치에 담아야 했으므로, 작업속도가 매우 느려 마스크 팩의 개당 제작에 소요되는 인건비의 비중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71624(2015.11.1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부직포나 직물 등의 이송대상물을 낱장씩 분리하여 이송한 다음 파우치에 수용하기에 적정하면서 다양한 크기로 권취하는 공정을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적층된 이송물을 상부에서부터 접촉하여 낱장씩 분리한 다음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물을 낱장씩 픽킹하는 픽킹부, 상기 픽킹부를 X-Y-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픽킹부는,
상기 이송부재에 의해 X-Y-Z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지그, 상기 지그에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다수개로 장착되고, 상기 지그의 하강시 이송물에 국부적으로 접촉되는 삽입부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픽킹부재, 상기 회전축을 소정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픽킹부재의 삽입부가 상기 이송물에 박히도록 하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픽킹부재들과 교차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다수개로 장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가압하여 상기 픽킹부재들이 상기 고정부들의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픽킹부재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압부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회전축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이송물에 외력을 가해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이송부와 함께 이송되고 상기 지그의 상부에 위치되는 승강용실린더, 상기 승강용실린더에 의해 승강되고, 하강시 상기 지그에 형성된 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픽킹부재에 픽킹된 이송물을 하강시키는 하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에 의해 하강된 이송물이 접힌 상태로 수용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제1센터수용부재, 상기 제1센터수용부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이송물이 수용되는 빈 공간을 형성시키는 제2센터수용부재로 구성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1센터수용부재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제1사이드수용부재, 상기 제2센터수용부재와 수평선상에 위치되어 이송물이 수용되는 빈 공간을 형성시키는 제2사이드수용부재로 구성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센터수용부재와 제2센터수용부재를 밀착시켜 이송물을 홀딩시키는 제1홀딩부, 상기 제1사이드수용부재와 제2사이드수용부재가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홀딩되도록 하는 제2홀딩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홀딩부를 제자리 회전시켜 상기 제2수용부의 빈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피이송물이 상기 제1수용부의 외면에 권취 되도록 하는 권취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수용부를 제1수용부의 전,후측 대각선상으로 각각 이송시키는 위치이동부,
상기 제2수용부를 각각 제1수용부의 전측면과 후측면으로 이송시켜 상기 제2수용부 내의 이송물이 인출되어 상기 제1수용부에 권취된 이송물에 접촉되도록 하는 인출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부직포나 직물 등의 이송대상물을 낱장씩 분리하여 이송한 다음 파우치에 수용하기에 적정하면서 다양한 크기로 권취하는 공정을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에 적용된 픽킹부에 이송물이 픽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에 적용된 픽킹부재와 고정부 및 가압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에 적용된 픽킹부재와 고정부 및 가압부가 회전축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에 적용된 고정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물을 수용부에 이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에 적용된 제1수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에 적용된 수용부와 홀딩부와 위치이동부와 인출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에 적용된 픽킹부에 이송물이 픽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에 적용된 픽킹부재와 고정부 및 가압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에 적용된 픽킹부재와 고정부 및 가압부가 회전축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에 적용된 고정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물을 수용부에 이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에 적용된 제1수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에 적용된 수용부와 홀딩부와 위치이동부와 인출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분리장치는 받침대(90)의 상면에 다수개로 적층된 이송물(P)을 낱장씩 분리한 다음 기 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부(10), 상기 이송부(10)를 통해 이송된 이송물(P)을 분리시키는 분리부(20)를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분리장치가 이송 및 분리하고자 하는 대상은 부직포나 직물 재질로 제작되는 다양한 것들 일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이송물(P)이 마스크팩으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때, 본 발명에서 이송 및 분리하고자 하는 대상은 마스크팩에 한정되지 않고, 부직포나 직물 재질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로 제작되는 모든 종류의 대상물을 이송 및 분리할 수 있음을 밝힌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분리장치는 이송물(P)인 마스크팩을 기능성 첨가물이나 피부 미용용 영양 성분과 함께 파우치의 내부공간에 투입할 수 있도록 낱장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마스크팩을 파우치에 투입하기에 적절한 크기로 폴딩하는 일련의 공정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 상기 받침대(90)는 일정한 높이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면에는 크게 다수개의 이송물(P)이 적층되는 공간과, 이송물(P)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10)가 설치되는 공간 및 이송부(10)를 통해 이송된 이송물(P)을 권치시키기 위한 공간으로 나뉘어진다.
상기 이송부(10)는 픽킹부(11)와, 이송부재(12)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픽킹부(11)는 상기 받침대(90)의 상면에 다수개로 적층된 이송물(P)을 상부에서부터 낱장씩 픽킹하는 것으로, 다시 지그(111), 회전축(112), 픽킹부재(113), 회전구동부(114)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 중 지그(111)는 상기 이송부(10)에 의해 X-Y-Z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블록을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후면이 상기 이송부(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그(111)의 저면에는 밑판(1111)이 결합되며, 상기 밑판(1111)의 양측면에는 결합용날개부(11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용날개부(1112)는 상기 밑판(1111)의 전측과 후측에서 각각 지그(111)의 외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며, 이로 인해 상기 결합용날개부(1112)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112)이 배치 및 노출되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결합용날개부(1112)의 저면에는 베어링하우징(1113)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하우징(1113)에는 회전축(112)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는 베어링(B)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112)은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두 개가 한 조를 이루어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회전축(112)은 길이 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상기 결합용날개부(1112)의 빈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지그(111)를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12)은 그 양측이 상기 베어링(B)을 관통하는 형태로 연결됨에 따라 제자리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픽킹부재(113)는 이송물(P)을 낱장씩 픽킹하는 것으로,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기 이송물(P)에 국부적으로 접촉되는 삽입부(113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113a)는 톱니 또는 바늘일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삽입부(113a)가 톱니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픽킹부재(113)는 중앙부분에 슬라이딩홀(113b)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12)의 외주연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112)과 함께 회전된다.
이러한 픽킹부재(113)가 지그(111)와 함께 하강될 경우 그 하강력에 따라 일부의 삽입부(113a)가 최상부에 위치된 이송물(P)의 내부에 접촉되거나 박히게 된다.
이때, 상기 픽킹부재(113)는 상기 이송물(P)을 안정적으로 픽킹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112)에 다수개로 장착되며, 다수개의 고정부(115)와 두 개의 가압부(116)를 통해 상기 회전축(112)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115)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슬라이딩홀(115a)이 형성되어, 상기 픽킹부재(113)들과 교차되도록 상기 회전축(112)의 외주연에 장착된다.
이때, 고정부(115)와 픽킹부재(113)가 교차되도록 장착되더라도 삽입부(113a)는 고정부(11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송물(P)을 픽킹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가압부(116)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슬라이딩홀(116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116)는 두 개가 한 조를 이루어 구성되어, 하나의 가압부(116)는 회전축(112)의 일측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되면서 시점에 위치된 가압부(116)를 가압하고, 다른 하나의 가압부(116)는 회전축(112)의 타측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되면서 종점에 위치된 가압부(116)를 가압하여 상기 픽킹부재(113)들과 고정부(115)들을 일체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116)를 통해 픽킹부재(113)들과 고정부(115)들을 고정한 이후에는 가압부(116)와 회전축(112)에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홀(112a,116a)에 하나의 고정핀(100)을 설치하므로서, 상기 가압부(116)를 회전축(112)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분리장치는 이와 같이 회전축(112)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되는 픽킹부재(113)와 고정부(115) 및 가압부(116)의 특징을 통해 이송물(P)의 두께에 따라 삽입부(113a)의 돌출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고정부(115)의 직경이 넓을수록 삽입부(113a)의 돌출 길이가 짧아지고, 고정부(115)의 직경을 작을수록 삽입부(113a)의 돌출 길이가 길어지게 됨으로, 이송물(P)의 두께가 얇을 경우에는 삽입부(113a)의 돌출길이가 짧아지도록 상기 픽킹부재(113)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부(115)를 회전축(112)에 장착하여 상기 삽입부(113a)가 최상부에 위치된 이송물 및 그 하측에 위치된 이송물에 동시에 박히지 않고 최상부에 위치된 이송물에만 박히도록 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이송물(P)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는 삽입부(113a)의 돌출길이가 길어지도록 상기 픽킹부재(113)와 동일하거나 작은 직경을 갖는 고정부(115)를 회전축(112)에 장착하여 상기 삽입부(113a)가 최상부에 위치된 이송물(P)에 안정적인 깊이로 박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구동부(114)는 이송물(P)에 대한 픽킹부재(113)의 피킹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스탭 모터, AC 모터, DC 모터 등이 적용되며, 회전축(112) 및 픽킹부(11)의 회전 방향을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상기 회전구동부(114)는 상기 결합용날개부(1112)의 저면에 고정되고 모터축이 상기 회전안내홀(1113a)을 관통한 회전축(112)에 링 형태의 커플러(미도시)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모터축이 소정각도로 회전됨으로 인해 상기 이송물(P)이 말리는 현상 없이 일부의 삽입부(113a)에 상기 이송물(P)이 픽킹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송부(10)는 상기 받침대(9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픽킹부(11)를 X축 방향(도 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X축 이송부재(121)와, 상기 X축 이송부재(121)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픽킹부(11)를 Y축 방향(도 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Y축 이송부재(122)와, 상기 Y축 이송부재(122)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송되며, 결합판(110)을 매개로 상기 픽킹부(11)와 결합되어 상기 픽킹부(11)를 Z축 방향(도 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Z축 이송부재(123)로 구성된다.
즉, 상기 픽킹부(11)는 상기 X축 이송부재(121)와 Y축 이송부재(122)에 의해 평면상에서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Z축 이송부재(123)에 의해 승강됨에 따라, 받침대(90)의 상면에 적층된 이송물(P)을 상부에서부터 낱장씩 픽킹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X축 이송부재(121)와 Y축 이송부재(122) 및 Z축 이송부재(123)는 공지의 리니어 실린더 또는 로드레스 실린더일 수 있으며, 상기 리니어 실린더 또는 로드레스 실린더의 작동방법은 주지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픽킹부(11)에 픽킹된 이송물(P)은 상기 X축 이송부재(121)와 Y축 이송부재(122) 및 Z축 이송부재(123)의 작동의 의해 받침대(90)의 상면에 설치된 수용부(30) 측으로 이송되고, 분리부(20)를 통해 픽킹부(11)에서 분리된 다음 수용부(30)에 수용된다.
먼저, 상기 분리부(20)는 승강용실린더(21)와 하강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용실린더(21)는 상기 결합판(110)에 결합되어 상기 픽킹부(1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픽킹부(11)와 함께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이송되며, 공압 또는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됨으로 인해 피스톤(211)이 승강된다.
그리고, 상기 하강부(22)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피스톤(211)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며, 하강시 상기 지그(111)의 중앙부분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통과홀(111a)을 통과하여 상기 픽킹부(11)에 픽킹되어 있는 이송물(P)을 수용부(30)로 하강시킨다.
상기 수용부(30)는 상기 분리부(20)에 의해 하강된 이송물(P)이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받침대(90)의 상면에 설치된 프레임(120)의 상측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1수용부(31), 상기 제1수용부(31)의 양측에 각각 단절된 구조로 위치되는 제2수용부(32)로 구성된다.
그 중 제1수용부(31)는 이송물(P)의 중앙부분이 수용되는 것으로, 다시 제1센터수용부재(311), 제2센터수용부재(312)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센터수용부재(311)는 한개의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세개의 수직바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바의 하단 일측은 일부분이 절개되어 대략 "ㄴ"자 블럭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받침판(3111)의 상단에 고정된다.
상기 제2센터수용부재(312)는 상기 제1센터수용부재(311)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하단 타측은 대략 직사각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받침판(3121)의 상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센터수용부재(312)는 상기 제2받침판(3121)이 상기 제1받침판(3111)의 절개된 부분에 배치됨으로 인해 상기 제1센터수용부재(311)와 마주하는 형태가 되며, 상기 제1센터수용부재(311)와 제2센터수용부재(312)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부(20)에 의해 하강된 이송물(P)의 중앙부분은 상기 제1센터수용부재(311)와 제2센터수용부재(312)의 사이 빈 공간에 대략 절반으로 접힌 상태로 수용된다.
한편, 상기 제2수용부(32)는 상기 이송물(P)의 양 사이드 부분이 각각 수용되는 것으로, 다시 제1사이드수용부재(321)와 제2사이드수용부재(322)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사이드수용부재(321)는 한 개의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상면에 양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두개의 수직바로 구성되고, 상기 제1센터수용부재(311)와 수평선상에 위치된다.
상기 제2사이드수용부재(322)는 상기 제1사이드수용부재(321)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센터수용부재(312)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수용부재(321)와 마주하는 형태가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사이드수용부재(321)와 제2사이드수용부재(322)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부(20)에 의해 하강된 이송물(P)의 양 사이드 부분은 상기 제1사이드수용부재(321)와 제2사이드수용부재(322)의 사이 빈 공간에 대략 절반으로 접힌 상태로 수용된다.
그리고, 제1사이드수용부재(321)의 수직바와 제2사이드수용부재(322)의 수직바 끝부분은 대략 직사각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술되는 제2홀딩부(50)에 의해 작동되는 제1브라켓(B1)과 제2브라켓(B2)에 각각 고정된다.
한편, 상기 이송물(P)은 상기 수용부(3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홀딩부(40)와 제2홀딩부(50)를 통해 홀딩된 다음 권취부(60)를 통해 제1센터수용부재(311)의 외면에 권취되어 파우치 등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기에 적절한 크기로 축소된다.
먼저, 상기 제1홀딩부(40)는 유압 또는 공압이 배출됨에 따라 피스톤(41)이 신축되는 공지의 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제1홀딩부(40)는 상기 프레임(120)의 상면 중앙부분에 설치되고, 그 상면에 상기 제1받침판(3111)과 제2받침판(3121)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홀딩부(40)는 도 를 기준으로 전측과 후측에 수평방향으로 신축되는 피스톤(41)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41)의 끝단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작동부(42)가 각각 결합된다.
즉, 어느 하나의 제1작동부(42)는 상기 제1센터수용부재(311)의 전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그 상측이 상기 제1받침판(3111)의 측면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제1작동부(42)는 상기 제2센터수용부재(312)의 후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그 상측이 상기 제2받침판(3121)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홀딩부(40)의 피스톤(41)을 인출시키면 도 와 같이 제1센터수용부재(311)와 제2센터수용부재(312)가 벌어져 이송물(P)이 수용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이와 반대로 피스톤(41)을 인입시키면 제1센터수용부재(311)와 제2센터수용부재(312)가 밀착되면서 이송물(P)을 가압하여 고정한다.
한편, 상기 제2홀딩부(50)는 유압 또는 공압이 배출됨에 따라 피스톤(51)이 신축되는 공지의 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제2홀딩부(50)는 상기 제2수용부(32)의 일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1브라켓(B1) 및 제2브라켓(B2)과 마주하는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제2홀딩부(50)는 도 를 기준으로 전측과 후측에 수평방향으로 신축되는 피스톤(51)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51)의 끝단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작동부(52)가 각각 결합된다.
즉, 어느 하나의 제2작동부(52)는 상기 제1브라켓(B1)의 전측면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제2작동부(52)는 상기 제2브라켓(B2)의 후측면에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홀딩부(50)의 피스톤(51)을 인출시키면 도 와 같이 제1사이드수용부재(321)와 제2사이드수용부재(322)가 벌어져 이송물(P)이 수용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이와 반대로 피스톤(51)을 인입시키면 제1사이드수용부재(321)와 제2사이드수용부재(322)가 밀착되면서 이송물(P)을 가압하여 고정한다.
상기 권취부(60)는 상기 이송물(P)을 제1수용부(31)의 외면에 권취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AC 모터 또는 DC 모터일 수 있으며, 이송물(P)의 권취 방향을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권취부(60)는 상기 프레임(120)의 상면에 안착되어 프레임(120)을 지지하며, 모터축이 상기 프레임(120)을 관통하여 제1홀딩부(4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권취부(60)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축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1홀딩부(40)와 제1작동부(42)와 제1,2받침판 및 제1,2센터수용부(30)재가 동시에 제자리 회전되며, 상기 제2수용부(32)의 빈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이송물(P)의 양측 부분이 점진적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제1,2센터수용부(30)재의 외면에 권취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1)는 이송물(P)의 양 사이드 부분이 펄럭이지 않고 권취 된 부분에 밀착된 상태에서 파우치에 포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위치이동부(70)와 인출가이드(8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출가이드(80)는 상기 프레임(120)의 상면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3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공지의 로드레스 실린더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레스 실린더를 구성하는 이동체(81)의 상면에는 대략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브라켓(B3)이 설치되고, 상기 제3브라켓(B3) 중 제2수용부(32)와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위치이동부(70)가 결합된다.
상기 위치이동부(70)는 공지의 로드레스 실린더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레스 실린더를 구성하는 이동체(71)는 상기 제2홀딩부(50)와 결합된다.
즉, 이와 같이 위치이동부(70)가 제2홀딩부(50)를 매개로 제2수용부(32)와 연결되고, 상기 인출가이드(80)가 제3브라켓(B3)을 매개로 상기 위치이동부(70)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2수용부(32)는 상기 위치이동부(70)의 작동에 의해 프레임(12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인출가이드(80)의 작동에 의해 프레임(12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이동부(70)와 인출가이드(80)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어느 하나의 위치이동부(70)는 어느 하나의 제2수용부(32)를 제1수용부(31)의 전측 대각선상으로 이송시키고, 다른 하나의 위치이동부(70)는 다른 하나의 제2수용부(32)를 제1수용부(31)의 전측 대각선 상으로 이송시켜 수평선상에 위치하고 있던 상기 제1수용부(31)와 제2수용부(32)가 어긋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각각의 위치이동부(70)가 상기 제1수용부(31)의 전,후 측 대각선상에 위치된 제2수용부(32)를 이동시켜 제1수용부(31)의 전측면과 후측면에 평행한 상태로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제2수용부(32)의 빈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이송물(P)의 잔여부분이 외부로 인출되어 제1수용부(31)와 제2수용부(32)의 사이 빈 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2센터수용부(30)재의 외면에 권취된 이송부(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1)는 상기 제1,2센터수용부(30)재에 권취된 이송물(P)을 잡아 파우치의 내부 수납공간에 수용시키는 부가 이송부(미도시)와 상기 파우치(미도시)의 개방된 부분을 밀봉시키는 밀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이송장치 10 : 이송부
11 : 픽킹부 111 : 지그
111a : 통과홀 1111 : 밑판
1112 : 결합용날개부 1113 : 베어링하우징
112 : 회전축 112a,116a : 고정홀
113 : 픽킹부재 113a : 삽입부
113b,115a,116b : 슬라이딩홀 114 : 회전구동부
115 : 고정부 116 : 가압부
12 : 이송부재 121 : X축 이송부재
122 : Y축 이송부재 123 : Z축 이송부재
20 : 분리부 21 : 승강용실린더
211, 41,51 : 피스톤 22 : 하강부
30 : 수용부 31 : 제1수용부
311 : 제1센터수용부재 3111 : 제1받침판
312 : 제2센터수용부재 3121 : 제2받침판
32 : 제2수용부 321 : 제1사이드수용부재
322 : 제2사이드수용부재 40 : 제1홀딩부
42 : 제1작동부 50 : 제2홀딩부
52 : 제2작동부 60 : 권취부
70 : 위치이동부 71,81 : 이동체
80 : 인출가이드 90 : 받침대
100 : 고정핀 110 : 결합판
120 : 프레임

Claims (9)

  1. 적층된 이송물을 상부에서부터 접촉하여 낱장씩 분리한 다음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물을 낱장씩 픽킹하는 픽킹부,
    상기 픽킹부를 X-Y-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픽킹부는,
    상기 이송부재에 의해 X-Y-Z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지그,
    상기 지그에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다수개로 장착되고, 상기 지그의 하강시 이송물에 국부적으로 접촉되는 삽입부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픽킹부재,
    상기 회전축을 소정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픽킹부재의 삽입부가 상기 이송물에 박히도록 하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픽킹부재들과 교차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다수개로 장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가압하여 상기 픽킹부재들이 상기 고정부들의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픽킹부재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압부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회전축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이송물에 외력을 가해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이송부와 함께 이송되고 상기 지그의 상부에 위치되는 승강용실린더,
    상기 승강용실린더에 의해 승강되고, 하강시 상기 지그에 형성된 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픽킹부재에 픽킹된 이송물을 하강시키는 하강부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에 의해 하강된 이송물이 접힌 상태로 수용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제1센터수용부재, 상기 제1센터수용부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이송물이 수용되는 빈 공간을 형성시키는 제2센터수용부재로 구성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1센터수용부재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제1사이드수용부재, 상기 제2센터수용부재와 수평선상에 위치되어 이송물이 수용되는 빈 공간을 형성시키는 제2사이드수용부재로 구성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터수용부재와 제2센터수용부재를 밀착시켜 이송물을 홀딩시키는 제1홀딩부,
    상기 제1사이드수용부재와 제2사이드수용부재가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홀딩되도록 하는 제2홀딩부를 더 포함하는 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딩부를 제자리 회전시켜 상기 제2수용부의 빈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피이송물이 상기 제1수용부의 외면에 권취 되도록 하는 권취부를 더 포함하는 이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부를 제1수용부의 전,후측 대각선상으로 각각 이송시키는 위치이동부,
    상기 제2수용부를 각각 제1수용부의 전측면과 후측면으로 이송시켜 상기 제2수용부 내의 이송물이 인출되어 상기 제1수용부에 권취된 이송물에 접촉되도록 하는 인출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이송장치.
KR1020170037546A 2017-03-24 2017-03-24 이송장치 KR101756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546A KR101756945B1 (ko) 2017-03-24 2017-03-24 이송장치
PCT/KR2018/000414 WO2018174391A1 (ko) 2017-03-24 2018-01-09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546A KR101756945B1 (ko) 2017-03-24 2017-03-24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945B1 true KR101756945B1 (ko) 2017-07-11

Family

ID=59354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546A KR101756945B1 (ko) 2017-03-24 2017-03-24 이송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56945B1 (ko)
WO (1) WO201817439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886A1 (ko) * 2018-10-19 2020-04-23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용 팩 제조 장치
CN112093514A (zh) * 2019-06-18 2020-12-18 成都纺织高等专科学校 一种用于快速分拣垒叠小型无纺布产品的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47023A (zh) * 2020-07-21 2020-10-30 武汉工程大学 一种面膜生产机送料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310B1 (ko) * 2015-12-18 2016-10-28 이재유 마스크팩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219B1 (ko) * 2013-04-29 2014-12-09 주식회사 제닉 시트 마스크 자동포장 장치
KR101473261B1 (ko) * 2014-07-10 2014-12-16 이계식 낱장 공급이 용이한 마스크 팩 포장장치
KR101814993B1 (ko) * 2015-07-14 2018-01-04 임무섭 마스크팩용 시트 자동폴딩장치
KR101701181B1 (ko) * 2015-12-21 2017-02-01 김지순 마스크팩 제조장치의 분리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310B1 (ko) * 2015-12-18 2016-10-28 이재유 마스크팩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886A1 (ko) * 2018-10-19 2020-04-23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용 팩 제조 장치
KR102104969B1 (ko) * 2018-10-19 2020-04-27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용 팩 제조 장치
CN112093514A (zh) * 2019-06-18 2020-12-18 成都纺织高等专科学校 一种用于快速分拣垒叠小型无纺布产品的设备
CN112093514B (zh) * 2019-06-18 2022-11-11 成都纺织高等专科学校 一种用于快速分拣垒叠小型无纺布产品的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74391A1 (ko)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945B1 (ko) 이송장치
KR101668310B1 (ko) 마스크팩 제조장치
CN109132002B (zh) 一种锂电池自动打包设备
CN105217069B (zh) 自动装袋机构及智能自动包装贴条码系统
CN105034349A (zh) 往复式泡棉热贴机
KR101701181B1 (ko) 마스크팩 제조장치의 분리유닛
CN105253344A (zh) 全自动打包机
CN204096115U (zh) 包装系统或设备
KR20190138952A (ko) 마스크팩 이송포장장치
CN104627727B (zh) 薄片物件自动折叠机构
KR20130089035A (ko) 수축 포장 시스템
CN111114891B (zh) 一种纸杯叠放包装用投放装置
CN112722406A (zh) 文具宣纸分包机
CN109848692A (zh) 一种试卡生产设备
CN106494681B (zh) 一种自动装箱机
CN113165304B (zh) 用于通过连续地将包装用的多张纸板片彼此接合来实现包装用纸板条的设备
CN214931084U (zh) 一种立式装盒机的包装盒上料装置
CN211494640U (zh) 一种板状物装袋机的入袋机构
CN109476424A (zh) 输送机
CN113772142A (zh) 产品叠设套袋包装装置
CN216035565U (zh) 一种枕式包装机气动缓冲打孔装置
CN111942662A (zh) 上纸机
CN208292235U (zh) 一种自动收料机
CN110253950A (zh) 一种带有插格的折箱自动加工设备
ITTO20080411A1 (it) Unita' di controllo del flusso di sbozzati per un dispositivo mettifoglio di una macchina piegatrice-incollatr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