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261B1 - 낱장 공급이 용이한 마스크 팩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낱장 공급이 용이한 마스크 팩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261B1
KR101473261B1 KR1020140086611A KR20140086611A KR101473261B1 KR 101473261 B1 KR101473261 B1 KR 101473261B1 KR 1020140086611 A KR1020140086611 A KR 1020140086611A KR 20140086611 A KR20140086611 A KR 20140086611A KR 101473261 B1 KR101473261 B1 KR 101473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olding
pouch
unit
su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식
Original Assignee
이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식 filed Critical 이계식
Priority to KR1020140086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folding or winding articles, e.g. gloves or stockings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팩을 파우치에 포장하는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 팩의 원단인 부직포를 공급 및 파우치에 투입하는 하우징에 픽업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픽업수단을 부직포 상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한 쌍의 밀착구와 상기 밀착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공기 흡착방식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서 부직포 원단을 낱장씩 집어 하우징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마스크 팩을 개별 포장 가능하게 하는 낱장 공급이 용이한 마스크 팩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낱장 공급이 용이한 마스크 팩 포장장치{MASK SHEET WRAPPING DEVICE }
본 발명은 마스크 팩을 파우치에 포장하는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 팩의 원단인 부직포를 공급 및 파우치에 투입하는 하우징에 픽업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픽업수단을 부직포 상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한 쌍의 밀착구와 상기 밀착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공기 흡착방식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서 부직포 원단을 낱장씩 집어 하우징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마스크 팩을 개별 포장 가능하게 하는 낱장 공급이 용이한 마스크 팩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에 관하여 관심이 높아지면서 마스크 팩의 소비가 늘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마스크 팩은 얼굴에 부착하여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얼굴의 노폐물을 제거하는 등 피부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얼굴 표면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미안술로서, 미용에서는 얼굴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팩 제를 흠뻑 발라두는 것을 가리킨다. 즉, 피부가 거칠어졌을 때나, 햇볕에 검게 탓을 때, 혹은 피로해 졌을 대 등에 이 방법을 사용하며, 주목적에 따라 적당한 팩 제를 선택하여 얼굴을 덮어 일시적으로 외기를 차단하여 보습에 의해 피부에 축적된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마스크 팩은 주로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직포 재질의 마스크 팩을 낱장으로 접어 파우치에 포장되어 공급되게 되며, 마스크 팩에 관한 다양한 종래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07-0099083호 『기능성 마스크 팩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마스크 팩의 원단이 될 부직포가 권취된 권취롤과, 권취롤로부터 풀려나온 부직포 원단 표면에 기능성 첨가물이 혼합된 실리콘을 도포하는 코팅유닛과, 실리콘이 도포된 부직포 원단을 고온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기 및, 건조처리 된 원단을 타공하는 타공기가 순서대로 배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마스크 팩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134096호 『마스크 팩 제조 및 포장시스템』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팩 원단의 하면에 PE 필름을 합치시켜 코팅부로 공급하고, 코팅부에서 겔 코팅후 상부 PE 필름을 합치시켜 마스크 팩 소재를 제조하고, 이를 냉각부를 통과시켜 냉각한 후 마스크 형상으로 절결하여 포밍하며, 포밍된 마스크를 분리하도록 스크랩부분을 스크랩 배출부로 인출시키면서 마스크를 분리하여 포장라인 컨베이어 상부로 이송시키고, 스크랩 배출부에서는 하부 pe필름과, 팩 원단과, 상부 pe필름을 각각 분리 배출하며, 포장라인 컨베이어의 표면에 격자형으로 돌출된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손쉽게 마스크를 집어들면서 눈, 코, 입 부분을 분리하여 포장할 수 있는 마스크 팩 제조 및 포장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마스크 팩을 제조 및 포장하기 위하여 단순히 부직포를 컷팅하여 마스크 팩을 성형하고 포장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마스크 팩이 낱장씩 이동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지 않아 중첩되어 포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스크 팩을 접는 구체적인 기술이 제시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297461호 『마스크 팩 포장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사람의 얼굴 형태와 비슷하게 절취 된 마스크 팩 원단이 적층되어 리프트에 의해 이송되면, 적층되어 이송된 마스크 팩 원단을 이송부재의 원단 이송부재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분리된 마스크 팩 원단을 누름판을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여 파우치에 인입하여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수작업을 통해 마스크 팩 원단을 접고 이를 다시 수작업을 통해 미용도포제를 충진하던 과정을 마스크 팩 원단을 접고, 접은 마스크팩 원단을 파우치 내측에 인입하고, 인입된 파우치 내측에 미용도포제 및 밀봉 작업을 자동화시켜 상기와 같이 제품 내측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수작업을 통해 마스크 팩을 포장하던 것을 자동화로 행하므로 인건비의 절감 및 고객으로부터 클래임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마스크 팩 포장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마스크 팩을 이동함에 있어 누름판을 통하여 이송함에 따라 마스크 팩의 원단이 되는 부직포가 두 개 이상 중첩되어 이송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397194호 『시트 마스크 자동 폴딩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일정형상의지지 테이블과 t아기 짖테이블의 상부에 고정되며 시트 마스크가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비되며 안착된 시트 마스크 양측 일부를 접기 위한 한 쌍의 접철 플레이트, 상기 접철 플레이트가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접철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짖 테이블을 동시에 관통하는 관통 홀 및 상기지지 테이블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하여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되는 일정형상의 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트 마스크 자동 폴딩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중첩된 시트를 이송함에 있어 흡착방법을 이용하여 이송함에 따라 부직포로 이루어진 마스크 팩이 낱장씩 흡착되지 않을 수 있고, 마스크 팩의 양측을 접철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접는 방법으로 본원 발명과는 그 방식과 구조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낱장 공급이 용이한 마스크 팩 포장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에 마스크 팩의 원단이 되는 부직포를 이송하기 위하여 수평이송부재, 승하강부재 및 픽업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픽업수단에 부직포 상면에 밀착되는 밀착구와, 밀착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구비하여 기존의 부직포 상면을 흡착하지 않고, 상기 밀착구가 부직포 상면에 밀착되어 이격됨으로서 부직포를 인장시켜 픽업하여 부직포 낱장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마스크 팩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착구에는 부직포에 박히는 톱니부를 형성하거나 수벨크로부를 형성하여 부직포와의 밀착력을 확보함으로서 낱장의 부직포를 견고하게 집어 이송시킬 수 있는 마스크 팩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밀착구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경사부가 구비되느 캠과, 캠 양측에 구비되어 경사부와 대응결합하는 밀착구지지부재를 구비함으로서 밀착구지지부재가 하강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격되어 밀착구를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 팩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 포장장치는
마스크 팩의 원단이 되는 부직포를 공급하는 부직포공급부, 파우치가 공급되는 파우치공급부 및 상기 부직포를 파우치에 투입하는 투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부에 이송된 부직포를 접는 폴딩수단;
상기 부직포공급부에 구비되어, 적층된 부직포를 낱장씩 상기 투입부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부재와,
상기 수평이송부재의 단부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픽업수단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와,
상기 승하강부재의 하단에 구비되어, 적층된 부직포를 낱장씩 집는 픽업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픽업수단은,
에어공급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부직포 상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한쌍의 밀착구와,
상기 한 쌍의 밀착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 포장장치는 마스크 팩의 원단이 되는 부직포를 공급하는 부직포공급부와 파우치에 투입하는 투입부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부직포공급부에 구비되어 적층되어 있는 부직포를 이송하는 수평이송부재, 승하강부재 및 픽업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픽업수단을 적어도 한 쌍의 밀착구와 밀착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포함하여 부직포를 서로 다른방향으로 인장시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하우징의 투입부에 부직포를 낱장씩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마스크 팩이 중첩되어 복수개로 파우치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업수단의 밀착구에 톱니부 또는 수벨크로부를 형성하여 부직포 표면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이송중에 부직포가 밀착구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나아가 이격부재를 경사부가 구비된 캠과, 대응경사부를 구비한 밀착구지지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밀착구지지부재가 하강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격되어 밀착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멀어져 부직포를 인장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경사부와 대응경사부를 통해 구동됨에 따라 구성이 간단하고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 포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 포장장치의 픽업수단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 포장장치의 픽업수단의 실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 포장장치의 구속부재의 실시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 포장장치의 폴딩수단의 실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 포장장치의 폴딩수단의 실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 포장장치의 폴딩수단의 실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 포장장치(W)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픽업수단(20) 및 폴딩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10)에는 마스크 팩의 원단이 되는 부직포(B)가 공급되는 부직포공급부(11)와, 마스크 팩이 내삽되어 포장되는 파우치(P)를 공급하는 파우치공급부(1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부직포공급부(11)를 투입된 부직포(B)가 안착되어 상기 파우치공급부(13)를 통하여 공급된 파우치(P)에 투입되는 투입부(15)가 형성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파우치공급부(13)는 복수개의 파우치(P)가 중첩되어 구비되며, 후술하는 파우치(P)이송수단을 통하여 상기 투입부(15)로 이동되어 부직포(B)를 공급받게 되며, 부직포(B) 또한 후술하는 픽업수단(20)을 통하여 파우치공급부(13)를 통해 투입부(15)에 위치하게 된다.
다시 상기 하우징(10)에는 부직포공급부(11)에는 적층된 부직포(B)를 낱장씩 상기 투입부(15)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부재(113)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이송부재(113) 단부에 구비되어 픽업수단(20)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115) 및 상기 승하강부재(115)의 하단에 구비되어, 적층된 부직포(B)를 낱장씩 집는 픽업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부직포공급부(11)의 일측에는 상기 부직포(B)가 적층되어 쌓여 있는 적층부(111)가 구비되고, 상기 적층부(111)에서 상기 부직포(B)를 투입부(15)로 이송하는 수평이송부재(113)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수평이송부재(113)는 일반적으로 실린더를 이용하여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수평이송부재(113)의 단부에는 승하강부재(115)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승하강부재(115)는 상기 수평이송부재(113)가 적층부(111)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부직포(B)에 밀착되기 위하여 하강하고, 부직포(B)를 집어 다시 상승하며, 수평이송부재(113)가 투입부(15) 상부로 이동되면, 승하강부재(115)가 하강하여 부직포(B)를 상기 투입부(15)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 때 상기 승하강부재(115) 또한 에어를 이용한 실린더를 통하여 자동으로 작동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승하강부재(115)의 하단에는 본 발명의 핵심인 픽업수단(20)이 구비되어 있는데,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업수단(20)은 에어공급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부직포(B) 상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한 쌍의 밀착구(21)와, 상기 한 쌍의 밀착구(21)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이격부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픽업수단(20)의 이격부재(23)는 상기 승하강부재(115)에 구비되는 캠(231)과, 상기 캠(23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밀착구지지부재(232)로 이루어져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승하강부재(115)에는 캠(231)이 고정되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캠(231)의 양측에는 경사부(23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캠(231)의 상부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밀착구지지부재(232)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밀착구지지부재(232)에는 상기 경사부(231A)와 동일한 경사를 이루는 대응경사부(232A)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밀착구지지부재(232)가 하강하는 경우, 밀착구지지부재(232)의 경사부(231A)가 대응경사부(232A)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캠(231)의 양측에 구비되는 밀착구지지부재(232)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밀착구지지부재(232)는 서로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상기 밀착구지지부재(232)가 상승하는 경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격된 거리를 다시 좁힐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밀착구지지부재(232)의 단부에는 밀착구(21)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밀착구(21)는 적어도 한쌍으로 이루어져 부직포(B)의 양측에 모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보다 안정적으로 부직포(B)를 픽업하기 위하여 상기 승하강부재(115)의 단부에는 부직포(B)의 상면에 밀착되는 밀착판(211)이 구비되게 되고, 상기 밀착판(211)에는 상기 밀착구(21)가 관통되어 부직포(B)를 집을 수 있도록 픽업공(211A)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착구(21)의 하부에는 상기 부직포(B) 표면에 박힐 수 있는 톱니부(212)가 형성되거나, 수벨크로부(215)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픽업수단(20)이 부직포(B)를 픽업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적층부(111)에 쌓여 있는 부직포(B) 상부에 수평이송부재(113)를 통하여 픽업수단(20)이 위치하게 되고, 승하강부재(115)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밀착판(211)이 부직포(B)의 상면을 가압하여, 부직포(B)가 우는 것을 방지하며, 이 때 상기 밀착구지지부재(232)가 하강하여 밀착구지지부재(232)의 단부에 구비되어 톱니부(212) 또는 수벨크로부(215)를 형성하는 밀착구(21)가 부직포(B)의 상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밀착구지지부재(232)는 하강하면서 캠(231)의 경사부(231A)와 밀착구지지부재(232)의 대응경사부(232A)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고, 이 때 밀착구지지부재(232)의 단부에 구비되는 밀착구(21)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된다. 이 때 밀착구(21)가 픽업공(211A)을 관통하여 부직포(B) 상부에 밀착되어 위치하고 있음에 따라 밀착구(21)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부직포(B)는 인장되어 팽팽하게 되고, 이러한 인장력에 의해 밀착구(2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인장된 부직포(B)는 픽업수단(2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승하강부재(115)의 상승, 수평이송부재(113)가 투입부(15) 상부로 이동하고, 다시 승학강부재가 하강하면서 부직포(B)가 투입부(15)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투입부(15)에 부직포(B)가 안착되면, 상기 밀착구지지부재(232)가 상승하여 부직포(B)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제거되어 부직포(B)만 투입부(15)에 안착되고 상기 픽업수단(20)은 다시 두 번째 부직포(B)를 픽업하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톱니부(212)는 수직부(212A)와 사선부(212B)로 형성하여 부직포(B)에 인장력을 가하는 경우, 보다 견고하게 부직포(B)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밀착구지지부재(232), 승하강부재(115) 및 수평이송수단은 각각 에어를 이용한 실린더를 통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실린더는 당업자가 손쉽게 유추할 수 있는 주지관용 기술로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투입부(15)에 안착된 부직포(B)는 폴딩수단(30)에 의하여 접혀 파우치(P)에 투입되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폴딩수단(3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B)의 제1 접힘선(B2)을 움직이지 못하게 잡아주는 구속부재(31)와, 상기 부직포(B)의 일측 가장자리 하부에 위치하며, 전진함에 따라 상기 부직포(B)의 제1 접힘부(B1)를 상기 제1 접힘선(B2)을 기준으로 접는 제1 접이수단(33) 및 상기 부직포(B)의 반대측 가장자리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접이수단(33)이 통과하는 공간부(351)를 구비한 제2 접이수단(35), 상기 제2 접이수단(35)의 공간부(351)를 관통한 부직포(B)의 상부를 수직으로 눌러 투입부(15) 하부에 위치하는 파우치(P)에 부직포(B)를 넣는 제3 접이수단(37)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접이수단(33)은 상기 투입부(15)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부직포(B)가 픽업수단(20)에 의해 투입부(15)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부직포(B)의 제1 접힘선(B2)은 구속부재(31)에 의해 투입부(15)에 고정되게 되고, 이 때 상기 제1 접이수단(33)이 전진함에 따라 상기 부직포(B)의 제1 접힘부(B1) 하면을 밀어 제1 접힘선(B2)을 기준으로 부직포(B)를 접을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제1 접힘선(B2)은 부직포(B) 일측의 1/3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제1 접힘수단이 이동하여 부직포(B)의 일측 1/3을 접을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구속부재(31)는 끼임홈(311)과, 상기 픽업수단(20)에 구비되어 상기 부직포(B)의 제1 접힘선(B2)을 눌러 상기 끼임홈(311)에 부직포(B)를 끼워넣는 끼움판(3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끼임홈(311)은 투입부(15) 일측(부직포(B)의 제1 접힘선(B2)을 형성하는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끼임홈(311)에는 고정판(311A)과 이동판(311B) 및 상기 이동판(311B)을 고정판(311A)으로 밀어주는 복수개의 스프링(311C)이 구비되어 잇으며, 상기 이동판(311B)의 하부는 상기 끼임홈(311) 하부에 힌지축(311D)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있어 스프링(311C)에 의해 이동판(311B) 상부가 고정판(311A)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끼움판(312)에 의해 부직포(B)가 끼임홈(311)에 들어가는 경우, 상기 이동판(311B)의 상부가 고정판(311A)을 향해 이동되는 힘을 스프링(311C)을 통해 받음으로서 끼임홈(311)에 부직포(B)가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제1 접이수단(33)이 이동하여 제1 접힘선(B2)을 기준으로 제1 접힘부(B1)를 접는 경우, 부직포(B)가 끼임홈(311)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판(312)은 상기 픽업수단(20)에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픽업수단(20)의 밀착판(211)에는 상기 끼움판(312)이 관통될 수 있는 끼임공(211B)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입부(15)에 부직포(B)를 안착시키는 경우, 상기 끼움판(312)이 내려와 끼임공(211B)을 관통하여 부직포(B)를 끼임홈(311)에 견고하게 결합 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이 때 상기 끼움판(312)은 상기 밀착구(21)보다 더 내려오도록 구성하며, 픽업수단(20)이 후퇴하는 경우, 밀착판(211)보다 상기 끼움판(312)이 늦게 후퇴 할 수 있도록 조정하여 밀착판(211)에 부직포(B)가 마찰에 의해 들러붙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부직포(B)의 제1 접힘선(B2)이 끼임홈(311)에 결착되는 것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구속부재(31)는 접이안내부재(314)가 구비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접이안내부재(314)는 상기 제1 접힘선(B2) 상부에서 부직포(B)의 상부(얼굴에 붙이는 경우 이마가 붙는 곳) 또는 하부 또는 일방향에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부직포(B)가 투입부(15)에 안착되고, 픽업수단(20)이 후퇴한 경우, 상기 접이안내부재(314)가 돌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돌출된 접이안내부재(314)에 의해 제1 접이수단(33)이 전진하는 경우, 접이 안내부 상부로 제1 접이수단(33)이 전진하여 제1 접힘선(B2)을 기준으로 제1 접힘부(B1)를 접을 수 있도록 하며, 이 때 상기 투입부(15)의 일측에 센서(315)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접이수단(33)이 접혀진 제1 접힘부(B1)를 지나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1 접힘선(B2)을 기준으로 접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접이안내부재(314)가 다시 들어가 제1 접힘부(B1)가 접혀진 부직포(B)가 제1 접이수단(33)과 함께 전진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다시 제1 접힘부(B1)가 접혀진 부직포(B)는 제1 접이수단(33)의 이동에 따라 제1 접이수단(33)의 하부에서 함께 제2 접이수단(35)에 형성되는 공간부(351)를 관통하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접이부는 제1 접이수단(33)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부직포(B)의 접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제2 접이수단(35)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접이수단(33)이 제2 접이수단(35)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351)를 통과함에 따라 부직포(B)의 나머지가 상기 제1 접이수단(33)의 상부로 접혀질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제1 접힘선(B2)의 구속부재(31), 특히 끼임홈(311)이 형성되는 경우, 부직포(B)의 일측이 끼임홈(311)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제1 접이수단(33)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부직포(B)가 이동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접이수단(35)에는 복수개의 롤러(353)가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접이수단(35)의 공간부(351)의 입구(제1 접이수단(33)의 전진하는 방향을 기준으로)에는 복수개의 롤러(35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353)와 제2 접이수단(35) 사이로 상기 제1 접이수단(33)이 관통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롤러(353)는 상부에서 가압하면 유동적으로 하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며, 이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롤러(353) 하부에 구비되는 용수철 등의 탄성체를 구비하여 해결할 수 있다.
다시 본 발명으로 돌아와 상기 제1 접이수단(33)이 상기 롤러(353)와 제2 접이수단(35) 사이를 관통하는 경우, 상기 롤러(353)에 의해 위해서부터 제2 접이수단(35), 부직포(B), 제1접이수단, 부직포(B) 사이의 마찰력이 향상됨과 동시에 롤러(353)는 공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가장 아래의 부직포(B)와 롤러(353)사이에는 마찰력이 약해지도록 이루어져 제1 접이수단(33)과 제2 접이수단(35)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끼임홈(311)으로부터 제1 접이수단(33)이 전진함에 따라 부직포(B)가 이탈될 수 있으며, 하단의 부직포(B)와 롤러(353)는 마찰력이 작아 제1 접이수단(33)과 함께 부직포(B)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부직포(B)는 제1 접힘선(B2)을 기준으로 1/3이 접히고, 제2 접이수단(35)을 통하여 나머지 1/3이 접힐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접이수단(33)은 제2 접이수단(35)의 공간부(351)를 관통하여 계속 전진하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접이수단(35)의 후단(제1 접이수단(33)이 전진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과 후단을 정함)에는 수용판(371)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판(371)의 상부에는 제3 접이수단(37)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판(371)에는 상기 제3 접이수단(37)이 내려와 관통될 수 있는 접이공(37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판(371)과 투입부(15) 사이에 부직포(B)와 함께 이송된 제1 접이수단(33)이 위치하게 되고, 제3 접이수단(37)이 하강하여 상기 접이공(371A)을 관통하여 부직포(B)의 중앙을 눌러 상기 투입부(15) 하부에 위치하는 파우치(P)에 부직포(B)만 상하 기준 반으로 접어 투입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 접이수단(33)에는 상기 접이공(371A)과 연통하는 연통공(3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판(371)에는 상기 제3 접이수단(37)의 하강에 의해 부직포(B)가 울며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지탱부재(373)가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지탱부재(373)가 상기 수용판(371) 내부에 투입된 부직포(B)의 상하 양측을 눌러 부직포(B)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지탱부재(373)가 양측을 누르기 위해 상기 제1 접이수단(33) 및 수용판(371)에는 상기 지탱부재(373)와 연통될 수 있는 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제3 접이수단(37)에 의해 반으로 접혀 하강하는 부직포(B)는 상기 투입부(15) 하부에 위치하는 파우치(P)에 들어가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P)는 하우징(10) 일측에 구비되는 파우치공급부(13)에 의해 공급되며, 상기 파우치공급부(13)에 구비되는 파우치(P)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투입부(15)의 하부, 특히 상기 접이공(371A) 하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파우치(P)이송수단에는 에어를 통하여 파우치(P)를 흡착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흡착판(131A)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흡착판(131A)에 의해 흡착된 파우치(P)는 상기 투입부(15)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원할한 부직포(B)의 삽입을 위하여 파우치(P)의 입구를 열수 있도록 투입부(15) 하부에는 복수개의 열림판(132A)을 구비한 열림부재(13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열림판(132A)은 상기 흡착판(131A)과 동일하게 에어를 통하여 흡착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파우치(P)의 일측을 흡착한 파우치이송부재(131)는 상기 열림부재(132)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파우치이송부재(131)가 상기 열림부재(132)와 밀착되게 움직여, 파우치(P)의 일측은 흡착판(131A)이, 반대쪽은 열림판(132A)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파우치이송부재(131)가 다시 상기 열림부재(132)와 멀어지되, 상기 흡착판(131A)과 열림판(132A)이 각각 파우치(P)의 양측을 흡착하여 입구를 개방하여 부직포(B)가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투입부(15)의 하단에는 상기 부직포(B)가 파우치(P)의 입구로 정확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135)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35)는 상기 투입부(15) 하단에 결합되는 가이드연결부(135A)와, 상기 가이드연결부(135A)의 단부에 연장되어 파우치(P)의 입구 방향으로 경사진 가이드안내부(135B)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135)는 상기 투입부(15) 하단의 양측(파우치이송부재(131)가 위치하는 방향과 열림부재(132)가 위치하는 방향)의 상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부직포(P)가 파우치(P)에 투입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안내부(135B)를 따라 정확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투입부(15)와 가이드연결부(135A)는 일반적으로 볼트 결합을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핀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 해서는 안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마스크 팩 포장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 : 마스크 팩 포장장치 B : 부직포
B1 : 제1 접힘부 B2 : 제1 접힘선
P : 파우치 10 : 하우징
11 : 부직포공급부 111 : 적층부
113 : 수평이송부재 115 : 승하강부재
131 : 파우치이송부재 131A : 흡착판
132 : 열림부재 132A : 열림판
135 : 가이드부재 135A : 가이드연결부
135B : 가이드안내부
15 : 투입부 20 : 픽업수단
21 : 밀착구 211 : 밀착판
211A : 픽업공 211B : 끼임공
212 : 톱니부 212A : 수직부
212B : 사선부 215 : 수벨크로부
23 : 이격부재 231 : 캠
231A : 경사부 232 : 밀착구지지부재
232A : 대응경사부 30 : 폴딩수단
31 : 구속부재 311 : 끼임홈
311A : 고정판 311B : 이동판
311C ; 스프링 311D : 힌지축
312 : 끼움판 314 : 접이안내부재
315 : 센서 33 : 제1 접이수단
331 : 연통공 35 : 제2 접이수단
351 : 공간부 353 : 롤러
37 : 접이수단 371 : 수용판
371A : 접이공 373 : 지탱부재

Claims (4)

  1. 마스크 팩의 원단이 되는 부직포를 공급하는 부직포공급부, 파우치가 공급되는 파우치공급부 및 상기 부직포를 파우치에 투입하는 투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부에 이송된 부직포를 접는 폴딩수단;
    상기 부직포공급부에 구비되어, 적층된 부직포를 낱장씩 상기 투입부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부재와,
    상기 수평이송부재의 단부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픽업수단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와,
    상기 승하강부재의 하단에 구비되어, 적층된 부직포를 낱장씩 집는 픽업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픽업수단은,
    에어공급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부직포 상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한쌍의 밀착구와,
    상기 한 쌍의 밀착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포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구에는 상기 부직포 표면에 박히는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포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구에는 상기 부직포 표면에 밀착되는 수(♂)벨크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포장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경사부를 구비한 캠과, 상기 캠의 양측의 각각 구비되어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는 대응경사부를 구비한 밀착구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포장장치.
KR1020140086611A 2014-07-10 2014-07-10 낱장 공급이 용이한 마스크 팩 포장장치 KR101473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611A KR101473261B1 (ko) 2014-07-10 2014-07-10 낱장 공급이 용이한 마스크 팩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611A KR101473261B1 (ko) 2014-07-10 2014-07-10 낱장 공급이 용이한 마스크 팩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261B1 true KR101473261B1 (ko) 2014-12-16

Family

ID=5267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611A KR101473261B1 (ko) 2014-07-10 2014-07-10 낱장 공급이 용이한 마스크 팩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26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482B1 (ko) * 2015-03-09 2016-02-12 (주)에프티코스메틱 마스크팩 포장장치
KR101668310B1 (ko) 2015-12-18 2016-10-28 이재유 마스크팩 제조장치
KR101701181B1 (ko) 2015-12-21 2017-02-01 김지순 마스크팩 제조장치의 분리유닛
KR101733925B1 (ko) 2016-08-10 2017-05-08 최정회 마스크팩 픽업장치
KR101814993B1 (ko) * 2015-07-14 2018-01-04 임무섭 마스크팩용 시트 자동폴딩장치
KR101831353B1 (ko) * 2017-04-26 2018-02-22 김경욱 전단된 미용 직물의 분리장치
KR20180028880A (ko) * 2016-09-09 2018-03-19 주윤중 마스크팩제조장치
KR20180058965A (ko) * 2016-11-25 2018-06-0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스크 팩 자동 포장 장치
WO2018174391A1 (ko) * 2017-03-24 2018-09-27 윤왕진 이송장치
CN108910164A (zh) * 2018-08-23 2018-11-30 杭州语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面膜灌浆包装机
KR200493429Y1 (ko) * 2019-10-15 2021-03-30 정민호 마스크시트 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1849A (ja) 1999-12-16 2001-06-26 Nippon Steel Corp 通気性シートのピックアップ方法及び装置
JP2008050043A (ja) 2006-08-25 2008-03-06 Sumitomo Rubber Ind Ltd 手袋包装方法、及び手袋包装装置
KR101126191B1 (ko) 2011-11-23 2012-03-23 아이팩(주) 미용 마스크 제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미용 마스크 제작 방법
KR101397194B1 (ko) 2013-04-29 2014-05-19 주식회사 화인컴 시트 마스크 자동 폴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1849A (ja) 1999-12-16 2001-06-26 Nippon Steel Corp 通気性シートのピックアップ方法及び装置
JP2008050043A (ja) 2006-08-25 2008-03-06 Sumitomo Rubber Ind Ltd 手袋包装方法、及び手袋包装装置
KR101126191B1 (ko) 2011-11-23 2012-03-23 아이팩(주) 미용 마스크 제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미용 마스크 제작 방법
KR101397194B1 (ko) 2013-04-29 2014-05-19 주식회사 화인컴 시트 마스크 자동 폴딩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482B1 (ko) * 2015-03-09 2016-02-12 (주)에프티코스메틱 마스크팩 포장장치
KR101814993B1 (ko) * 2015-07-14 2018-01-04 임무섭 마스크팩용 시트 자동폴딩장치
KR101668310B1 (ko) 2015-12-18 2016-10-28 이재유 마스크팩 제조장치
KR101701181B1 (ko) 2015-12-21 2017-02-01 김지순 마스크팩 제조장치의 분리유닛
KR101733925B1 (ko) 2016-08-10 2017-05-08 최정회 마스크팩 픽업장치
KR20180028880A (ko) * 2016-09-09 2018-03-19 주윤중 마스크팩제조장치
KR20180058965A (ko) * 2016-11-25 2018-06-0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스크 팩 자동 포장 장치
WO2018174391A1 (ko) * 2017-03-24 2018-09-27 윤왕진 이송장치
KR101831353B1 (ko) * 2017-04-26 2018-02-22 김경욱 전단된 미용 직물의 분리장치
CN108910164A (zh) * 2018-08-23 2018-11-30 杭州语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面膜灌浆包装机
KR200493429Y1 (ko) * 2019-10-15 2021-03-30 정민호 마스크시트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261B1 (ko) 낱장 공급이 용이한 마스크 팩 포장장치
KR101473262B1 (ko) 향상된 폴딩효과를 갖는 마스크 팩 포장장치
KR101297461B1 (ko) 마스크 팩 포장장치
US9466167B2 (en) Device for filling and closing disposable bags for containing banknotes
KR101469219B1 (ko) 시트 마스크 자동포장 장치
KR101398789B1 (ko) 유연물 삽입장치, 및 유연물 봉지담기장치
KR101853359B1 (ko) 시트 마스크 패킹장치
KR101034218B1 (ko) 팩 비닐 자동 포장기
KR101892258B1 (ko) 전자동 마스크시트 포장장치
KR101853360B1 (ko) 시트 마스크 패킹장치
KR20180016770A (ko) 마스크팩 제조장치
KR101719608B1 (ko) 마스크 팩 입수장치
KR101884235B1 (ko) 부착이 용이한 마스크시트의 포장장치
KR20110077535A (ko) 랩 포장기
CN205633144U (zh) 一种半自动打包机
KR20180043012A (ko) 낱장 공급이 용이한 마스크시트의 포장장치
KR20080046902A (ko) 엠 포장지 공급장치
KR20100086734A (ko) 화장지의 자동 포장장치
CN204871669U (zh) 薄膜包装机
CN106275540B (zh) 薄膜包装机及其包装工艺
KR101733925B1 (ko) 마스크팩 픽업장치
CN209275025U (zh) 全自动包装点数整理套膜机
KR102449943B1 (ko) 점착성 패치 패키징 장치
CN115743809B (zh) 一种电子产品自动包装生产线及包装工艺
KR101899772B1 (ko) 마스크 팩 자동 포장 장치용 낱장 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